맨위로가기

덕종 (조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덕종은 조선의 왕족으로, 조선 세조와 정희왕후의 장남이다. 1438년에 태어나 1457년에 20세의 나이로 요절하였으며, 이후 그의 아들인 성종이 즉위한 1469년에 덕종으로 추존되었다. 어려서부터 학문과 예절이 바르고 해서에 능했으나 건강이 좋지 않았으며, 1450년 한확의 딸 소혜왕후와 혼인하여 월산대군, 명숙공주, 성종을 낳았다. 사후 경기도 고양시에 있는 경릉에 안장되었다.

2. 생애

세조의 장남이자, 성종의 아버지이다. 세종의 손자이기도 한 그는 아버지가 즉위하기 전까지 ‘덕원군’이라는 작위를 받았다. 1450년 좌의정을 지낸 외교관이자 정치가인 한확의 딸 한씨(후에 수빈으로 책봉됨)와 결혼하였다.[1]

1455년 1월 14일 의경세자와 인수왕후 사이에서 장남 월산대군이 태어났고, 1456년에는 장녀 명숙공주가, 1457년 8월 28일에는 막내이자 차남인 자산군(후에 성종)이 태어났다.

1457년 9월 29일, 의경세자는 원인 불명으로 사망하였다. 일각에서는 아버지 세조가 전 왕인 노산군을 처형한 것에 대한 복수로, 혜빈의 저주 때문이라는 이야기가 있다.

사후 그의 부인과 자녀들은 세조의 명령으로 궁궐에 머물 수 있었다. 그러나 전 왕세자빈은 계속 궁궐에 머무르는 것을 원치 않았고, 시아버지에게 경운궁(현 덕수궁)을 짓도록 하여 궁궐 근처에 거처를 마련하였다.

1468년 그의 처남인 해양대군이 새로운 왕세자가 되어 조선의 왕이 되었으나, 1469년 사망하였다. 결국 왕위는 장남인 월산대군이 아닌 막내아들 성종에게 돌아갔다. 1474년 그의 아들이 즉위 전에 삼촌인 예종과 사촌인 안순왕후의 양자가 되었기 때문에, 한씨가 대비의 작위를 받고 仁粹大妃|인수대비중국어가 되었다. 이로써 전 왕의 왕비이자 현 국왕의 법적 어머니인 인혜왕대비보다 더 높은 지위를 차지하게 되었다.

1470년, 아들 성종이 즉위하면서 의경세자는 德宗|덕종중국어으로 추존되었고, 그의 부인은 仁粹王妃|인수왕비중국어로 추존되었으나, 그 지위는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의경세자의 능은 고양 경릉에 위치해 있다.[2] 1457년 사망 당시 왕세자였기 때문에 매우 소박하다. 반면, 그의 배우자의 능은 1504년에 昭惠王后|소혜왕후중국어라는 시호로 대비의 예장으로 화려하게 조성되었고, 그의 능 왼편에 위치해 있다.

2. 1. 탄생과 성장

1438년(세종 21년) 한성부 궁궐 안에서 아버지 수양대군과 어머니 낙랑부대부인 윤씨의 장자로 태어났다. 실록에 따르면 왕자의 아내는 궐내에서 해산할 수 없지만, 세종소헌왕후군부인 윤씨를 사랑하였기에 궁궐 내에서 해산하였다고 한다.[5]

할아버지 세종은 그에게 현동(賢同)이라는 이름을 지어 주었다. 자라면서 이름은 숭(崇)으로, 자는 원명(原明)으로 하였다. 관례를 올린 뒤에는 장(暲)으로 이름을 고쳤다.

1445년 1월 24일 8세에 정의대부(正義大夫)의 품계를 받고 도원군(桃源君)에 책봉되었으며, 성인이 된 뒤에는 이름을 숭에서 장으로 바꾸었다. 1450년 한확의 딸 한씨와 혼례를 올렸다. 1453년 승헌대부가 되고, 그해 11월 8일 계유정난 때 공로로 흥록대부(興祿大夫)의 품계를 받았다. 1454년 4월 입학하였다.

어려서부터 예절이 바르고 학문을 좋아했으며, 해서에 능했다.[6] 그러나 건강이 좋지 않아 잔병이 잦았다.[6]

의경세자의 능

2. 2. 세자 책봉과 죽음

1455년 아버지 세조가 왕위에 오르자, 원자(元子)에 책봉되었다가 바로 세자에 책봉되었다.[1]

1456년 2월 사육신 성삼문, 박팽년, 성승 등이 행사장에 별운검을 설치하여 자신은 물론 그의 아버지 세조, 동생 예종을 타살하려다 실패했다.

그는 죽기 전에 늘 단종의 어머니 현덕왕후의 혼령에 시달렸으며, 그가 병상에 누워 있을 때 21명의 승려가 경회루에서 공작재를 베풀기도 했다.[6] 하지만 그는 끝내 쾌유되지 못하였다. 1457년 7월 27일부터 병석에 누워 여러 번 약을 복용하였으나 병은 계속되었다. 실록에는 어느 질병이라는 병명이 나타나지 않는다. 사인은 가위눌림이라고 하나 불확실하다. 야사는 의경세자와 세조가 단종의 억울한 죽음으로 인해 문종비 현덕왕후의 원한을 샀다고 전하지만, 오히려 덕종이 단종보다 먼저 사망했으므로 이 전설은 허구로 추정된다.

1457년(세조 3년) 9월 20일(음력 9월 2일)에 20살의 나이로 경복궁 자선당(資善堂)에서 요절하였다.

그가 죽자 현덕왕후의 살을 맞고 죽었다는 도사의 말을 신봉한 세조는 형수 현덕왕후의 묘를 파내 시신을 쪼개고 강물에 던졌다. 또는 관곽을 강물에 던졌다고도 하는데, 관곽이 멈춘 곳의 주민들이 임시로 거두었다가 후에 다시 능으로 조성했다 한다.

조선왕조실록에서는 "세자는 용모와 의표(儀表)가 아름답고 온량(溫良) 공경(恭敬)하며, 학문을 좋아하고 또 해서(楷書)를 잘 썼다. 양궁(兩宮)이 애도(哀悼)하니, 시종한 여러 신하들이 마음 아파하지 않는 자가 없었다."라고 서술되어 있는 것을 보아 의경세자는 예의 바르고 학문을 좋아하고 해서를 잘쓴 세자였으며 의경세자의 죽음은 당시에 안타까운 죽음이였음을 알 수 있다.[7] 세조는 명을 내려 그의 상복은 7일상으로 치루게 하였다.

2. 3. 사후 추숭과 추존

1457년 11월 24일 시신은 경기도 고양현 동봉현(東蜂峴, 현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원당동 서오릉 경내) 간좌 곤향(艮坐坤向)에 매장되고 표석을 세웠다. 덕종의 묘소는 세자의 예에 따라 조성되었고, 후일 묻힌 부인 소혜왕후의 묘는 대비의 예에 따라 조성되어 석물 구조의 차이가 있다. 세조는 9월 7일 어찰을 국장도감에 보내 나의 장남이라 해도 박하게 하고, 경상(卿相)급으로 간략하게 장례하도록 지시했다. 바로 의경(懿敬)의 시호가 추서되었다. 사당은 효정묘(孝靖廟)라 하고, 묘는 의묘(懿墓)라 하였다.

그가 죽자 그의 부인 한씨는 수빈(粹嬪)으로 봉했고, 궐내에서 살아도 좋다는 시아버지 세조의 배려에도 사가로 나가 살겠다며 출궁하였다. 수빈 한씨는 사저에서 불우한 세월을 보냈지만 한명회 등과 사돈이 되면서 둘째 아들 잘산군을 왕(王)으로 올리는 묵계를 체결한다. 후에 둘째 아들 잘산군성종으로 즉위하면서 1469년부터 추숭여론이 나타났고 1470년 1월 왕(王)으로 추존되었다가 1475년 다시 대왕(大王)으로 추존되었다.

1470년(성종 1년), 1월 18일에 의경왕(懿敬王)으로 추숭하였다. 당시 태조 이성계의 아들이자 태종 이방원의 친형인 정종은 사후 시호가 없었고 종묘에도 배향되지 않았으므로 '정종(定宗)'이 아닌 '공정왕(恭靖王)'이라 불렀는데[8], 의경왕(懿敬王) 또한 그러하였다. 아내 수빈 한씨 또한 '왕대비(王大妃)'가 아닌 '인수왕비(仁粹王妃)'로 진책되었다. 이때 그는 왕으로는 추숭되었으나 종묘에는 배향되지 않았다. 당시 그를 왕으로 추존한 뒤 황고로 부르느냐 황백고로 부르느냐를 놓고 논란이 발생하였다. 사당은 의경묘(懿敬廟)로 정해지고 제사는 월산대군에게 받들게 하였다. 1471년 온문(溫文)의 존호가 추가되었다.

1475년(성종 6년), 1월 6일에 의경왕(懿敬王)을 의경대왕(懿敬大王)으로 추존하였다. 이때 의정부(議政府)·육조(六曹)·춘추관(春秋館)에서 논의하여 올린 첫 시호는 선숙공현온문의경대왕(宣肅恭顯溫文懿敬大王)이었고 1월 21일(임술)에 최종적으로 예조(禮曹)에서 올린 시호가 회간선숙공현온문의경대왕(懷簡宣肅恭顯溫文懿敬大王)였다. 따라서 인수왕비(仁粹王妃) 또한 인수왕대妃(仁粹王大妃)로 진책되었다. 그해 4월 23일부터 종묘에 부묘하자는 상소가 올라와 9월 16일 논의 끝에, 1476년(성종 7년) 1월 5일 종묘에 예종의 묘 앞으로 부묘되었다.

3. 가족 관계

덕종의 가족 관계는 다음과 같다.

관계이름출생사망비고
정비소혜왕후 한씨1437년 10월 16일1504년 5월 21일청주 한씨. 서성부원군 한확의 딸
후궁귀인 권씨?1494년 6월 8일연산군에 의해 폐비 윤씨 사사에 관련되었다는 이유로 호가 박탈됨.[10]
후궁귀인 윤씨1438년?
후궁숙의 신씨1436년1476년 6월 16일


  • 장남: 월산대군 (1454년 ~ 1488년)
  • 장녀: 명숙공주 (1455년 ~ 1482년)
  • 차남: 성종 (1457년 ~ 1494년, 조선 제9대 국왕)

3. 1. 부모

항목내용
아버지세조 (1417년 ~ 1468년, 조선 제7대 국왕)
어머니정희왕후 윤씨 (1418년 ~ 1483년)
할아버지세종 (1397년 ~ 1450년, 조선 제4대 국왕)
할머니소헌왕후 심씨 (1395년 ~ 1446년)
외할아버지윤번 (1384년 ~ 1448년)
외할머니흥녕부대부인 인천 이씨 (1383년 ~ 1456년)


3. 2. 왕비와 후궁

덕종의 왕비와 후궁
신분시호본관생몰년부모비고
왕비소혜왕후
인수대비
청주1437년 - 1504년서원부원군 한확
남양부부인 홍씨
귀인안동미상 - 1494년권치명
미상
연산군에 의해 폐비 윤씨 사사에 관련되었다는 이유로 호가 박탈됨.
귀인파평미상윤기
안동 김씨
숙의거창미상 - 1476년신선경
청주 한씨


3. 3. 자녀

덕종은 한씨(韓氏)와의 사이에서 2남 1녀를 두었으며, 측실에게서는 자녀를 얻지 못했다.

작호이름생몰년생모배우자비고
1월산대군
月山大君

1455년 - 1489년소혜왕후 한씨승평부부인 박씨
昇平府夫人 朴氏[9]
2성종대왕
成宗大王
잘산군
乽山君

1457년 - 1494년소혜왕후 한씨공혜왕후 한씨, 폐비 윤씨, 정현왕후 윤씨제9대 국왕
1명숙공주
明淑公主
경근
慶根[10]
1456년 - 1482년소혜왕후 한씨당성위 홍상
唐陽尉 洪常
명의공주
明懿公主


4. 능묘

그의 능은 경기도 고양시 용두동에 위치한 경릉이다.[2] 1457년 의경세자가 요절하자, 현재의 위치에 조성되었다. 1457년 사망 당시 왕세자였기 때문에 경릉은 매우 소박하게 조성되었다. 반면, 그의 배우자인 소혜왕후의 능은 1504년에 대비의 예장으로 화려하게 조성되었고, 그의 능 왼편에 위치해 있다. 1970년 5월 26일 서오릉의 하나로 사적 제198호로 지정되었다.

5. 기타

덕종 사후, 아버지 세조가 며느리뻘인 귀인 권씨(貴人 權氏)와 귀인 윤씨(昭訓 尹氏)를 범하려 했다는 추문이 돌았다. 권 귀인과 윤 귀인은 세조의 장남 덕종의 후궁들이었다.[11][12] 김일손은 이 사실을 그대로 사초에 실었다가 사화의 원인이 되었고, 김일손 자신도 희생되었다.[11][12]

김일손은 귀인 권씨의 조카이자 양자인 허반(許磐)에게서 들은 것을 사초에 기록하였는데,[11] 연산군은 '권귀인은 바로 덕종의 후궁인데 세조께서 일찍이 부르셨는데도 분부를 받들지 아니했다'는 구절과 '세조는 귀인 윤씨(昭訓 尹氏)에게 많은 전민과 가사를 내렸고 항상 어가가 따랐다'는 사초의 내용을 구실삼아 사화를 일으켰다.[11][12]

6. 덕종이 등장한 작품

2011년 JTBC 드라마 인수대비에서 백성현이, KBS2 드라마 공주의 남자에서 권현상이 각각 덕종을 연기하였다.

6. 1. 드라마

연도드라마 제목방송사배우
1984년 ~ 1985년조선왕조 오백년 - 설중매MBC박병훈
1994년한명회KBS 2TV윤다훈
1998년 ~ 2000년왕과 비KBS 1TV이광기
2007년 ~ 2008년왕과 나SBS이지오
2011년공주의 남자KBS 2TV권현상
2011년 ~ 2012년인수대비JTBC백성현


6. 2. 영화

참조

[1] 백과사전 ko:덕종 https://terms.naver.[...] 2020
[2] 웹사이트 Royal Tombs https://english.cha.[...] 2020-05-12
[3] 서적 한권으로 읽는 조선왕조실록 들녘 1998
[4] 서적 한권으로 읽는 조선왕조실록 웅진지식하우스 1996
[5] 사료 세조실록 1457-11-24
[6] 서적 한권으로 읽는 조선왕조실록 들녘 1998
[7] 사료 조선왕조실록 세조실록 1457-09-02
[8] 문서 정종의 묘호와 시호
[9] 문서 장경왕후의 이모
[10] 사료 세조실록 1468-03-20
[11] 뉴스 歷史 왜곡과 조선의 史官 http://www.seoul.co.[...] 서울신문 2001-07-14
[12] 뉴스 아는 만큼 힘들다 (이종범의 사림열전) 김일손(金馹孫): 당신의 죽음은 하늘의 시샘이었다 ⑥ http://www.pressian.[...] 프레시안 2007-11-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