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일본 여객철도 207계 전동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일본 여객철도 207계 전동차는 JR 서일본이 국철 시대 차량을 대체하고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개발한 통근형 전동차이다. 1991년 4월부터 운행을 시작하여, 가타마치선, JR 도자이선 등 어번 네트워크의 직류 전철화 구역에서 운용되었다. 207계는 221계의 설계 컨셉을 계승하여 밝고 쾌적한 실내를 구현했으며, 반자동 출입문과 한랭지 사양을 갖춘 것이 특징이다. 0번대, 1000번대, 2000번대 등 다양한 번대로 구분되며, 2005년 후쿠치야마선 탈선 사고 이후 띠색 변경, 체질 개선 공사 등 개조를 거쳤다. 2022년 4월에는 프로토타입 차량이 폐차되었고, 후쿠치야마선 탈선 사고 관련 차량은 보존될 예정이다.
(위가 207계, 아래가 321계)]]
2. 차량 개요
차내 조명은 221계를 답습한 글로브 부착 형광등을 사용한다. 좌석은 좌면 높이, 깊이, 쿠션을 최적화하여 착석감을 개선했다. 좌석 표면은 나일론 모켓지를 사용하여 질감과 내구성에 신경썼다. 등장 당시 청색 모켓을 채용했지만, 2010년 이후 녹색 좌석으로 순차 교체되었다.
좌석 단부 팔걸이는 팔걸이 겸 패널에 파이프를 조합한 것으로, 출입문 부근 승객이 파이프 부분을 잡을 수 있다. 일부 편성에는 정원 착석 촉진을 위해 버킷 시트가 시험 도입되었다. 1993년 3월 이후 제조된 차량 좌석은 외팔이식으로 변경되었다.
측면 출입문(승강문) 실내측은 화장판 마감이다. 차내 온도 유지를 위해 반자동문 스위치가 설치되었고, 차외측은 닫힘 스위치를 생략하고 열림 스위치만 있다.
측면 창은 공조 효율 향상, 방음, 겨울철 결로 방지를 위해 복층 유리 고정창이 채용되었다. 차단부는 하강창이지만, 환기량 확보를 위해 처면 창을 대형화하여 개폐 가능하게 했기 때문에, 처면 관통문이 오프셋되어 있다.
배리어 프리 대응으로 출입문 부근에 손잡이 설치 및 JR 서일본 차량 최초로 도어 차임이 설치되었다. 출입문 상부에 LED식 차내 안내 표시 장치가 지그재그 배치로 1량당 총 4곳 설치되어 목적지, 정차역 안내, 광고 매체로 사용된다.
휠체어 공간은 2000번대만 쿠하206형 차단부에 신제 당시부터 설치되었다. 0·1000번대는 체질 개선 공사 시 편성 양 선두차에 신설[19]되었고, 2009년도 내에 손잡이 증설로 침목 방향으로도 설치되었다.
2. 1. 개발 배경 및 도입
JR 서일본은 민영화를 거친 이후, 국철 시대에 제작된 노후 차량을 대체하고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207계 전동차를 개발하였다.[2] 특히, JR 도자이선 운행을 위해 차량 설계 초기부터 지하 구간 대응 설계를 반영하였다. 1991년 4월 30일 첫 운행을 시작하여,[3] 후쿠치야마선과 가타마치선에서 운행되던 101계, 103계 전동차를 대체하였다.[3]
207계 전동차는 히타치 제작소, JR 서일본(고토 공장), 킨키 차량, 가와사키 중공업이 공동으로 제작하였다.[4]
2. 2. 디자인 및 특징
207계 전동차는 JR의 통근형 전동차로 표준적인 20m 4도어 차량이다. 205계 1000번대에 이어 비드식 가공 경량 전스테인리스 차체 구조를 채택했으며, 전두부 측면과 지붕 부분은 FRP제로 제작되었다. JR 통근형 전동차로는 처음으로 2950mm 광폭형 차체가 채용되어 정원수를 늘렸다.
주 회로 제어에는 JR 서일본 차량 최초로 VVVF 인버터가 채용되었다.[13] VVVF 인버터의 제어 소자는 제조 기간에 따라 파워 트랜지스터 (PTr), 게이트 턴 오프 사이리스터 (GTO), 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 (IGBT) 등으로 다양하다.
팬터그래프는 JR 도자이선 내의 강체 가선 구간에서의 이선 대책으로 하부 교차식 WPS27형을 쿠모하 207형 및 모하 207형 1량당 2기 탑재한다. JR 도자이선 외에서는 제1 팬터그래프만 올리고 주행하며, 아마가사키역과 교바시역에서 제2 팬터그래프 승강 작업을 실시한다.
구동 장치는 국철·JR 통틀어 재래선 전차로는 처음으로 WN 드라이브가 채용되었으며, 이후 JR 서일본의 신형 재래선 차량은 WN 드라이브를 표준 채용하고 있다. 기어비는 14:99 (7.07)이다. 최고 속도는 등장 당시 통근형 전동차로는 처음으로 120km/h에 대응했다.
공조 장치는 221계를 답습한 집약 분산식 냉방 장치 2기를 전 차량에 탑재하고 있다.
차량 형식은 다음과 같다.
형식 | 설명 |
---|---|
쿠모하207형(Mc) | 교토 방면 선두 제어 전동차. 팬터그래프와 주 회로 기기 탑재. 0번대는 존재하지 않음. |
모하207형(M, M1) | |
모하206형(M2) | 모하207형 0번대에서 팬터그래프, 공기 압축기, 보조 전원 장치를 생략한 구조의 중간 전동차. 모하207형 0번대와 유닛을 이루어 사용. 여성 전용차. |
쿠하207형(Tc) | 교토 방면 선두 제어차. 0번대만 존재. |
쿠하206형(Tc') | 니시 아카시·신 산다 방면 선두 제어차. 0번대는 시제 편성 1량뿐. Z편성·H편성은 100번대 연결. 2000번대는 1위 측(연결면 남쪽)에 휠체어 공간 설치. |
사하207형(T, T1) | 부수차. 0번대는 시제 편성 2량만 존재. 1000번대·2000번대는 모든 편성에 1량씩 연결. |
'유닛'은 인접한 전동차끼리 별도 기기를 탑재하여 2량을 1조로 묶는 방식이다. 이전 형식에서는 유닛 2량이 검사 등으로 분리되지 않았지만, 207계는 기기를 집약하여 모하207형 또는 쿠모하207형 단독 사용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었다.
2. 2. 1. 외관
1988년 205계 1000번대에 이어 비드식 가공 경량 전스테인리스 차량 구조로, 전두부의 측면과 기기류를 설치하는 지붕 부분은 FRP제로 되어있다. 종래의 통근형 전동차가 차체폭 2800mm였던 것에 비해 207계는 정원수를 약간 늘리고자 하였기 때문에 근교형 전동차에서 많이 보였던 2950mm의 광폭형 차체가 JR의 통근형 전동차로는 처음으로 채용되었다.전면은 중앙에 비상용 관통문이 설치된 형태이다. 중앙이 튀어나오고 상하가 들어간, 옆에서 보면 부채꼴 형태의 모양으로, 보통 철강제로 사고시 충격흡수의 역할을 맡기 때문에 두껍게 된 것이다. 전조등과 미등은 사각형 형태로 옆의 합계 4등이 배치되어 있다.
앞뒤 측면에는 외면에 설치된 소화기를 차내에 들여오는 경로로, 또는 비상시의 환기용의 개구면적을 확보하기 위한 목적으로 대형의 1단 하강창이 설비되어 있다. 때문에 차량간을 연결하는 여객용 관통로가 중앙으로부터 JR 고베선 주행시를 기준으로 약간 북쪽에 위치하게 되어, 좌우 비대칭 형태가 되어있다. 또한 앞뒤 측면의 벽 상부에는 환기통이 설치되어 있다.
측면 창 밑에는 JR 서일본의 CI 컬러와 도카이도 본선·산요 본선(JR 고베·교토 선)의 라인 컬러인 청색(■) 및 약간 밝게 한 색상의 띠가 쓰였으나 후쿠치야마 선 탈선 사고 이후 2005년 321계 도입시[33]부터 짙은 청색과 주황색, 백색을 배치한 형태로 바뀌었다.
종별 및 행선 표시기는 221계에서 채용된 방식과 같이 종별 표시기를 행선막으로, 행선 표시기를 LED 방식으로 병용하고 있다. 다만 221계에서 행선 표시기 옆에 표시되던 호차 표시는 생략되었다.
종별 표시기의 문자 색상은 '구간 쾌속'이 녹색, JR 다카라즈카 선 계통의 '쾌속'이 오렌지색, '신쾌속'(정규 운용 없음)이 청색이다. 이외에는 백색이며, '쾌속' 역시도 백색으로 표기될 경우가 있다.
; 행선막을 사용하는 방식
: 문자의 밑에 사용된 색상줄은 노선 색상을 표시한다.
색상 | 사용 구간 |
---|---|
청색 (■) | |
황색 (■) | |
분홍색 (■) | |
황록색 (■) | 갓켄토시 선내 운용 열차에만 쓰임. |
기타 |
2. 2. 2. 실내
차내 조명은 221계를 답습한 글로브 부착 형광등을 사용하고 있다. 좌석은 종전보다 좌면 높이, 깊이, 쿠션의 최적화를 꾀하여 착석감 개선이 이루어졌다. 좌석 표면은 나일론 모켓지를 사용하여 질감과 내구성에 배려했다. 등장 당시 좌석은 청색 모켓을 채용했지만, 2010년 이후 녹색 좌석으로 교체가 순차적으로 진행되었다.좌석 단부의 팔걸이는 팔걸이를 겸한 패널에 파이프를 조합한 것으로, 출입문 부근의 승객이 파이프 부분을 잡을 수도 있게 되어 있다. 일부 편성에는 정원 착석 촉진을 위해 버킷 시트가 시험 도입되었다. 또한, 1993년 3월 이후에 제조된 차량의 좌석은 외팔이식으로 변경되었다.
측면 출입문(승강문)의 실내측은 화장판 마감으로 되어 있다. 측면 출입문에는 차내 온도 유지를 위해 반자동문 스위치를 설치했다. 반자동문 스위치의 차외측에 대해서는 닫힘 스위치를 생략하고 열림 스위치만 있다.
측면 창은 공조 효율 향상 및 방음, 겨울철 결로 방지를 위해 복층 유리 고정창이 채용되었다. 차단부는 하강창으로 되어 있지만, 환기량 확보를 위해 처면 창을 대형화하여 개폐 가능하게 했기 때문에, 처면의 관통문이 오프셋되어 있다.
또한 배리어 프리에 대응하여, 출입문 부근에 손잡이 설치 및 JR 서일본 차량에서는 처음으로 도어 차임이 설치되었다. 또한, 출입문 상부에 LED식 차내 안내 표시 장치가 지그재그 배치로 1량당 총 4곳 설치되어 있다. 목적지나 정차역 등의 안내 외에, 광고 매체로도 사용된다.
휠체어 공간은 2000번대만 쿠하206형의 차단부에 신제 당시부터 설치되어 있다. 0·1000번대에 대해서는 체질 개선 공사 시공 시 편성의 양 선두차에 신설[19]되었다. 또한 2009년도 내에 손잡이 증설이 이루어져 침목 방향으로도 설치되어 있다.
2. 2. 3. 운전실
221계와 동일한 횡축 트윈 레버형 마스터 컨트롤러를 채용했다. 디지털 계기판을 갖추고 있으며, 액정 모니터 장치를 통해 차량 상태 감시, 공조 설정 등을 지원한다. (2000번대와 체질 개선 차량 제외) 보조 경적으로 뮤직 혼을 표준 장비했다.2. 3. 기술 사양
JR 서일본이 민영화 이후 처음으로 설계한 통근형 전동차로, JR 서일본 최초로 VVVF 인버터 제어를 채택하여 최고 속도를 낼 수 있게 되었다. 등장 당시 통근형 전동차로는 처음으로 120km에 대응하였다.[32] 제조 초기부터 지하 구간 대응 설계, 출입문 반자동 기능, 내설 브레이크 등 한랭지 대책도 포함하여 JR 서일본 어번 네트워크의 직류 전철화 구간 전체에서 사용할 수 있는 상태이다.원래는 가타마치선과 후쿠치야마선을 잇기 위한 가타후쿠 연락선(현재의 JR 도자이선)이 지하선으로 신설되면서, 여기에 투입할 목적으로 기존의 구형 통근 전동차인 103계를 설계, 도입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이후 각 노선의 공통 운용과 구형 차량 교체를 위해 JR 서일본의 표준형 통근 차량을 대폭 도입, 증편하기로 하였다. 10년 이상 동안 484량이 제조되었지만, 차체는 모든 차량이 공통으로 사용하였다. 다만 구동, 제어 계통과 그 밖의 기기류는 제조 시기에 따라 달라진 부분이 많다. 또한 고속 운행 시 사행동을 방지하기 위해 대차의 요댐퍼가 도입 도중에 추가되었고, 당초 준비 공사만 시행했던 초기 차량에도 확대 적용되었다. 또한 최근에는 역 정차 시 출입문 개방 후 약 20초쯤에 신칸센 700계 전동차나 신칸센 N700계 전동차와 동일한 전자음이 울리도록 변경되었다.
운전실에는 223계, 281계, 681계와 같은 디지털 계기판을 갖추고 있다.
2. 4. 운용 노선
- 도카이도 본선, 산요 본선 (비와코 선, JR 교토 선, JR 고베 선): 야스 ~ 가코가와 간에 걸쳐 운용.[32] 아마가사키 서쪽으로는 가타마치 선(갓켄토시 선), JR 도자이 선으로부터의 직통 열차가 추가됨. 기본적으로 보통 열차로 운용.[32] 현재는 교토 ~ 니시아카시 구간이 주된 운행 구간이며, 니시아카시 ~ 가코가와 구간은 이른 아침에만 운행.[32]
- 후쿠치야마 선 (JR 다카라즈카 선): 도카이도 본선(JR 교토 선), JR 도자이 선, 가타마치 선(갓켄토시 선)과 직통 운행.[32] 다카쓰키 ~ 오사카 ~ 신산다 (~ 사사야마구치) 구간을 직통 운행.[32] 러시아워에는 오사카 ~ 신산다/사사야마구치 간 쾌속 운행에도 투입.[32]
- JR 도자이 선, 가타마치 선 (갓켄토시 선): 도카이도 본선(JR 고베 선) 또는 후쿠치야마 선(JR 다카라즈카 선)에서 직통.[32] (가코가와 ~ 니시아카시)/(사사야마구치 ~ 다카라즈카) ~ 아마가사키 ~ 마쓰이야마테 ~ 교타나베 ~ 기즈 구간을 직통 운행.[32] 도시샤마에 ~ 기즈 간 갓켄토시 선 구간은 승강장 유효 길이가 4량.[32]
- 간사이 본선 (야마토지 선): 기즈 ~ 나라 구간. 아침저녁, 심야에만 4량 편성으로 운행.[32]
- 고세이 선: 야마시나 ~ 오미마이코 구간. 아침저녁은 가타타 → 야마시나가 1일 1회, 야간에는 야마시나 → 오미마이코가 평일에만 1회 운용.[32]
- 와다미사키 선: 효고 ~ 와다미사키 구간에서 운용.[26] 2023년 3월 19일부터는 T3편성의 5-7호차와, T18편성의 4-6호차를 조성한 6량 고정 편성인 X1편성이 103계를 완전히 대체하여 정기 운용에 투입.[27]
3. 번대 구분
1991년에 긴키 차량과 가와사키 중공업에서 제작된 7량 고정 편성(C1 편성)이 요도가와 전차구(현 아보시 종합 차량소 아카시 지소 방출 파출소)에 배치되어, 가타마치선(학연도시선) 가타마치 - 마쓰이야마테 구간에서 운행을 시작했다.[31]
차량 번호는 시제차를 의미하는 900번대가 아닌 1번부터 부여되었으며, '양산 선행차'라고도 불린다.
승강문 창유리는 D자형을 채용하고, 사이를 검게 도색하여 양쪽으로 열리는 문이면서 하나의 창문처럼 보이도록 했다. 운전대에는 독특한 형태의 마스콘·브레이크 핸들을 채용했고, 운전대 오른쪽 모니터 장치는 컬러 표시가 아닌 오렌지색 단색 표시였으며, 터치 패널 방식이 아닌 하단에 10개의 버튼이 있었다. 이러한 시제 편성만의 독자적인 설비는 이후 양산차에 맞춰 개조되었다. 냉방 장치는 221계와 같은 집약 분산식 WAU701을 2기 탑재했다. 7량 고정 편성으로 전두부에 전기 연결기는 장비되어 있지 않았다.
1개 편성만 존재하여 가타마치선(학연도시선) 교타나베역 - 기즈 구간은 2010년 3월 12일까지 최대 4량 대응이었기 때문에, 7량 고정 편성인 본 편성은 도카이도 본선·산요 본선(JR 교토선·JR 고베선)에서 한정 운용되었다.
이후 321계와 공통 운용되다가, 2012년 3월 17일부터 다른 207계와 완전한 공통 운용이 되었다. 2022년 4월 6일에 스이타 종합 차량소로 회송[31]되어, 다음 날인 7일에 폐차되었다.
3. 1. 0번대
0번대는 주로 가타마치선(학연도시선)용 103계 대체를 위해 1991년부터 1993년까지 147량이 제조되었다.[32] GTO 사이리스터 초퍼 회로와 파워 트랜지스터 소자를 조합한 3레벨 VVVF 인버터 제어 방식을 사용한다. 4량 편성(2M2T)과 7량 편성(3M4T, 양산 선행 차량)으로 구성된다.20m급 편측 4개 출입문 차체를 가지며, 올 스테인리스 차체로 구성되어 있다. 전두부의 앞면은 보통강제, 측면 및 지붕면은 FRP제로 되어 있다. 국철·JR의 통근형 전동차에서 처음으로 근교형 전동차와 동일한 차체 폭 2,950mm의 와이드 보디가 채용되었다(재래차는 2,800mm).
앞면은 중앙에 비상용 관통문이 설치된 반원통 형상으로, 중앙이 부풀어 있고, 옆에서 보면 부채꼴로 보이는 형상으로, 사고 시의 충격 흡수의 역할을 갖게 하기 위해 두껍게 만들어졌다. 전조등은 각형 쉴드 빔으로, 미등과 함께 앞면 하부의 좌우에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또한, 국철·JR의 통근형 차량에서는 처음으로 앞면에 신조 시부터 스커트가 장비되었다. 스커트는 2004년까지 전 차량 강화형으로 교체되었다.
컬러 디자인은 JR 서일본의 코퍼레이트 컬러와 비와코선, JR 교토선, JR 고베선의 라인 컬러를 나타내는 농담 블루와 흰색을 조합한 3색 띠로, 측면 창 아래에 배치했다. 짙은 파란색 띠는 앞면 창 아래에도 배치했다.
종별·행선 표시기는 221계와 마찬가지로 종별을 막식, 행선지를 LED식으로 했다.

제조 시기에 따라 1차차와 2차차로 나뉜다.
; 1차차
1991년 12월부터 1992년 2월에 걸쳐 4량 편성 16개(64량)와 3량 편성 13개(39량) 총 103량이 완성되어 요도가와 전차구에 배치되었다.
; 2차차
1993년 2월부터 3월에 걸쳐 4량 편성 7개(28량)와 3량 편성 3개(9량) 총 37량이 완성되어, B·A 편성이 요도가와 전차구에, V편성이 미야하라 전차구(현 아보시 종합 차량소 미야하라 지소)에 배치되었다. V편성은 후쿠치야마선(JR 다카라즈카선) 오사카역 - 신산다역 간에서 운용을 시작했다. 이 그룹부터 하부가 비어있는 외팔이식 좌석이 적용되었다.
소속은 요도가와 전차구·미야하라 운전소에서 스이타 공장 다카쓰키 파견소를 거쳐 2000년까지 모든 열차가 아보시 종합 차량소로 변경되었다. 현재는 편성 번호의 변경이 이루어져, 신제 당시부터 4량 편성인 편성은 Z편성, 신제 당시 3량 편성인 편성은 H편성으로 칭한다.
제조 당초, 4량 편성의 쿠하 206형과 3량 편성의 쿠하 207형 및 쿠하 206형은 자동 해결 장치·전기 연결기를 장비하여 100번대로 구분되었지만, JR 도자이선 개업 전에 4량 편성의 쿠하 207형 (2 - 17)에도 해당 장비가 추가되어 사양 차이는 없어졌다.
3. 2. 1000번대
도카이도 본선(JR 교토선), 산요 본선(JR 고베선)의 103계를 교체하고 JR 도자이선 개업 준비를 위해 1994년부터 1997년까지 제조되었다. 1994년 3월 1일부터 영업 운전을 시작했다.[32]이 그룹부터 전동차 유닛 방식이 폐지되었고, 쿠모하 형식이 설정되었다. 일부 차량은 고토 종합 차량소에서 제조되었다(S54・S55편성). 0번대에서는 전동차에 주행 기기를 집중 탑재했지만, 1000번대에서는 쿠모하 형식 설정으로 인해 전동차(쿠모하 207형·모하 207형)에는 VVVF 제어 장치·보조 전원 장치를 탑재하고, 부수차(사하 207형·쿠하 206형) 일부에 공기 압축기 등을 탑재하여 MT비 1:1이 되도록 편성하였다.
제어 장치(WPC3A)에는 0번대와 달리 도시바제[32] GTO 사이리스터 소자를 채용하여 1대의 인버터로 1기의 모터를 구동하는 개별 제어 방식을 사용했다. 이 제어 장치는 281계나 223계 0번대에도 채용되었다.
보조 전원 장치는 GTO 초퍼+IGBT 인버터로 구성되었고, 정격 용량 122kVA를 갖춘 WSC31을, 공기 압축기에는 0번대와 같은 왕복식 WMH3093-WTC2000A를 탑재한다.
급경사가 많은 JR 도자이선에 대응하기 위해 주전동기는 출력 200kW의 WMT102, 3차차 및 4차차는 출력 220kW의 WMT104로 출력을 높였다. 운전대 패널의 계기 배치도 변경되었다. 냉방 장치는 집약 분산식 WAU702B를 1량당 2기 탑재하고 있으며, 모서리에 둥근 덮개가 추가되었다.
집전 장치는 내한·내설 성능을 고려하여 내설용 덮개와 가선 추종성 향상을 위한 댐퍼가 부착된 WPS27D 하부 교차식 팬터그래프를 전동차에 1기 탑재한다. JR 도자이선 개통에 맞춰 2기 탑재로 변경되었다.
- '''1차차''' (1994년): 기본 6량 편성 및 부속 2량 편성이 각각 14개씩 총 112량이 제조되어 스이다 공장 다카츠키 파견소(현 아보시 종합 차량소 아카시 지소 다카츠키 파견소)에 배치되었다. 아카시 전차구의 103계를 교체하여 본선 계통의 보통 운행에서 103계가 일단 철수했다. 낮에는 6량, 러시아워에는 8량 편성으로 운전했지만, 운용 개시 후 약 1개월 동안은 일부 역의 홈 연장이 완료되지 않아 6량 편성의 모하 207을 제외한 5+2의 7량 편성으로 운전되었다. 1차차에만 공기 압축기를 탑재한 1100번대 사하 207형이 있다.
- '''2차차''' (1995년 3월~4월): 4량 편성 3개(12량)와 3량 편성 9개(27량) 등 총 39량(V5 - V7・V31 - V39 편성)이 미야하라 전차구에 배치되었다. 1995년 4월 20일 다이어 개정으로 후쿠치야마선 운용 범위가 사사야마구치역까지 확대되었다.
- '''3차차''' (1996년 3월): 4량 편성 2개(8량), 3량 편성 4개(12량), 모하 207형 1500번대 2량 등 총 22량(T18 - T19·S24 - S27 편성)이 제조되어 T편성은 스이다 공장 다카츠키 파견소, S편성은 요도가와 전차구에 배치되었다.
- '''4차차''' (1996년 7월~1997년 2월): 3량 편성 28개, 총 84량(S28 - S58 편성)이 제조되어 스이다 공장 다카츠키 파견소에 배치되었다.
JR 도자이선 개업 전 재조립과 추가 제조를 통해 T편성 4량 편성 19개(76량), S편성 3량 편성 55개(165량)가 되었다. 이때 한쪽에만 설치되었던 팬터그래프가 0번대와 같이 2개로 변경되었다. 이후 0번대와 마찬가지로 전 차량 아보시 종합 차량소로 이관되었다.
0번대에 편입되어 차량 번호에 500을 더한 1차차 모하 207형 홀수차는 팬터그래프를 철거했다. 다만 기존 차량에서는 0번대 2량이 남기 때문에 추가로 2량이 신조되었지만, 지붕 위 기기 배치는 다른 1000번대와 같다.
3. 3. 2000번대
JR 서일본이 가타마치 선의 수송 개선과 103계 교체를 목적으로 2002년부터 2003년까지 80량을 제조한 그룹이다. 차량 외관에는 큰 변화가 없지만, 기본적으로 223계 2000번대를 기반으로 기기를 장착했다. T편성 4량 11편성 44량과 S편성은 3량 12편성 36량으로 총 80량이 재적하며, 편성 번호는 1000번대의 속번으로 되어 있다.[32]전동차(쿠모하207형·모하207형)에는 주회로용 인버터(VVVF 제어 장치)와 보조 전원용 인버터(SIV)를 일체화한 차량 제어 장치(WPC13)를 탑재하고, 부수차(사하207형·쿠하206형)에 공기 압축기 등의 보조 기기를 탑재한다.
차량 제어 장치(WPC13)는 IGBT 소자를 사용한 3레벨 전압형 PWM 인버터이다. 1기의 장치 중에 인버터를 5기(주회로부 4기+보조 전원부 1기) 탑재하여 주회로부는 인버터 1기로 1대의 주전동기를 제어하는 1C1M 제어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보조 전원부는 3상 교류 440 V, 150kVA의 용량을 가지고 있으며, 주회로부와 마찬가지로 IGBT를 사용한 2레벨 전압형 PWM 인버터를 CVCF 제어하고, 보조 전원부가 고장났을 때에는 주회로용 인버터를 CVCF 제어함으로써 보조 전원의 백업으로 하고 있다. 주전동기는 동차와 동형의 WMT102B를 탑재하고 있다. 전동 공기 압축기(CP)는 기존의 왕복식에서 제습 장치 일체형의 저소음형 스크류식(WMH3098-WRC1600)으로 변경되어 쿠하206형에 탑재한다. 나중에 등장하는 225계나 287계에도 채용되었다. 대차는 축 스프링부가 건식 원통 안내식으로 된 WDT62(전동 차량), WTR239B(부수차)가 되었다.
그 이전의 그룹은 운전대 패널에 디지털 계기가 사용되었지만, 본 번대에서는 223계 1000번대 이후에 준하는 아날로그 계기로 변경되었다.
내장에서는 문이 열릴 때에도 도어 차임이 울리도록 개선되었고, 시제차를 제외한 모든 편성도 변경되었다. 차단부에 휠체어 공간을 설치하고 있다.
이 번대부터 전락 방지 호로가 제조 당시부터 설치되었고, 2006년부터 가동 중인 모든 편성에 설치되었다. 또한 완성 당시부터 ATS-P 보안 장치를 탑재하고 있다.
4. 개조
1994년부터 207계 전동차에는 여러 차례 개조가 이루어졌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ATS-P 설치: 1994년 8월부터 1995년 3월까지 0번대 양산차에 ATS-P 보안 장치가 설치되었다.
- 내한 내설 개조: 1995년 후쿠치야마선 아이모토역 탈선 사고 이후 0번대에 내설 브레이크 등 내한 내설 개조가 이루어졌다.
- JR 도자이선 개업 대응: JR 도자이선 개업에 맞춰 1000번대 선두차에 ATS-P 장치를 설치하고, 0번대 차량에 팬터그래프 전환 기능을 추가했다.
- 요댐퍼 추가: 고속 운행 시 궤도 이탈 방지를 위해 요댐퍼가 추가되었다.
- 띠색 변경: 2005년 321계 도입에 맞춰 띠색이 남색과 주황색 조합으로 변경되었다.
- 전락 방지 덮개 설치: 마이코역 추락 사고를 계기로 2014년부터 2015년까지 전 편성 중간 선두차에 전락 방지 덮개가 설치되었다.
- 손잡이 개선: 2011년부터 225계 사양으로 손잡이 교체 및 증설이 진행 중이다.
- 체질 개선 공사: 2014년부터 노후화된 0번대와 1000번대를 대상으로 접객 설비 개선 및 안전성 향상을 위한 체질 개선 공사가 진행되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외관: 전조등 HID/LED 변경, 안개등 추가, 관통문 와이퍼 설치, 전면 디자인 변경, 행선 표시기 풀 컬러 LED화, 차체 보강 등
- 내부: 화장판 및 바닥재 교체, 휠체어 공간 신설, LED 조명, 좌석 칸막이 및 손잡이 설치, 차임 음성 안내 등



체질 개선 공사 실적은 아래 표와 같다.
시공 연도 | 시공 공장 및 차량 수 | 번대별 시공 현황 | 합계 | ||
---|---|---|---|---|---|
아보시 | 스이타 | 0번대 | 1000번대 | ||
2014 | 8 | 12 | 20/143 (14%) | 0/257 (0%) | 20/400 (5%) |
2015 | 15 | 0 | 32/143 (22%) | 3/257 (1%) | 35/400 (9%) |
2016 | 29 | 10 | 52/143 (37%) | 22/257 (8%) | 77/400 (19%) |
2017 | 28 | 10 | 63/143 (44%) | 49/257 (19%) | 112/400 (28%) |
2018 | 28 | 6 | 63/143 (44%) | 83/257 (32%) | 146/400 (37%) |
2019 | 24 | 8 | 80/143 (56%) | 98/257 (38%) | 178/400 (45%) |
2020 | 28 | 6 | 88/143 (62%) | 124/257 (48%) | 212/400 (53%) |
2021 | 13 | 8 | 99/143 (69%) | 134/257 (52%) | 233/400 (58%) |
2022 | 24 | 12 | 115/136 (84%) | 154/257 (60%) | 269/393 (68%) |
4. 1. ATS-P 설치
1994년 8월부터 1995년 3월까지 0번대 양산차의 쿠하 39조 78량(쿠하 207-2 ~ 17, 101 ~ 113, 130 ~ 139·쿠하 206-101 ~ 139)에 대해 ATS-P 보안 장치 설치 공사가 스이타 공장에서 실시되었다.[1]4. 2. 내한 내설 개조
1995년 12월 25일 후쿠치야마선 아이모토역에서 0번대 4량이 눈으로 인한 브레이크 불량으로 정지 위치를 지나 안전 측선으로 진입하여 탈선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후 0번대에 내설 브레이크 장비 등 내한 내설 개조가 이루어졌다.4. 3. JR 도자이선 개업 대응 개조
JR 도자이선 개업 전, 1000번대 선두 차량에 ATS-P 차량 탑재 장치를 설치하고, 0번대 차량의 팬터그래프 전환 기능을 추가하는 등 다음과 같은 개조를 시행했다.[1]- 1000번대 선두차에 ATS-P 차량 탑재 장치 설치
- 0번대 모든 차량에 1팬터그래프·2팬터그래프 전환 기능 추가
- 1000번대 1팬터그래프 설치 차량을 2팬터그래프화
- 0번대 M차의 가속도를 1000번대와 동일화
- 1000번대 차량을 0번대에 통합
- 0번대 양산차의 모든 선두차에 자동 해제 장치 설치
4. 4. 요댐퍼 추가 장착
고속 운전 시 요댐퍼에 의한 궤도 이탈 방지 장치가 중간부터 추가 장착되었으며, 처음에는 설치 준비만 되어 있던 초기 차량에도 2003년까지 장착이 완료되었다.4. 5. 띠색 변경

2005년부터 321계 전동차가 도입되면서 207계 전동차는 초기 투톤 블루 배색에서 321계 전동차와 동일한 남색과 주황색 배색으로 재도색되었다.[3][5] 2005년 11월부터 321계의 도입에 맞춰 차량의 이미지 변신이 이루어지면서, 띠색이 기존의 짙은 청색과 옅은 청색 조합에서 남색과 오렌지색 조합으로 변경되었고, 2006년 3월에 완료되었다.[14] 2011년 봄부터 약 2년간, JR 교토선, 다카라즈카선에서 평일 아침에만 운행되던 205계 0번대가 같은 띠색으로 변경되었던 시기가 있었다.
4. 6. 선두차간 전락 방지 덮개 설치
2010년 12월 17일 마이코역에서 발생한 승객 추락 사망 사고에 대한 대책으로, 2014년부터 2015년에 걸쳐 편성 중간에 위치하는 선두차에 전락 방지 덮개가 전 편성 설치되었다.[1]4. 7. 손잡이 교환 및 증설
2011년 10월 19일부터 본 계열과 321계의 손잡이가 225계 사양으로 순차적으로 교환 및 증설되고 있다.[15]4. 8. 체질 개선 공사
2014년부터 노후화된 0번대와 1000번대를 대상으로 접객 설비 개선 및 안전성 향상을 위한 체질 개선 공사가 실시되었다.[16][17] 2014년 11월 17일, 0번대 Z22편성이 처음으로 영업 운전에 복귀했으며,[18] 2022년 12월 Z20편성을 마지막으로 Z편성의 리뉴얼 공사가 완료되었다.차량 외관 및 바닥 하부 장치
- 7량 편성 선두 운전대 측 전조등을 HID로 변경하고, 내부에 HID식 안개등 (노란색)을 추가했으며, 관통문에 와이퍼를 설치했다.[19] (4량 편성 쿠하 206형과 3량 편성 쿠모하 207형의 전조등은 실드 빔 유지)
- 2018년 12월 이후 검사 또는 체질 개선 공사를 시공한 차량은 전조등을 LED로, 안개등은 주황색으로 변경했다.[20]
- 오프셋 및 측면 충돌 대책으로 차체를 보강했다.[16][19]
- 전면 디자인을 321계와 유사하게 변경하고, 운전사 측 창문을 축소했으며, 스커트를 강화했다.[19]
- 행선 표시기를 풀 컬러 LED로 변경 (측면 오른쪽 끝에 호차 번호 표시 기능 추가).[19]
- 2023년부터 체질 개선 완료 편성을 대상으로 종별 표시기를 풀 컬러 LED로 변경했다.[21]
- 차측등을 변경했다.[19]
- 차량 이상 거동 감지 장치를 설치했다.[19]
- 주 전동기, 제어 장치, 보조 전원 장치 등 바닥 하부 전자 장치류를 갱신했다.[19]
차내 설비
- 화장판과 바닥재를 교체했다.[19]
- 편성 양쪽 선두차에 휠체어 공간을 신설했다.[19]
- 차내 조명 기구를 형광등에서 LED로 변경하고, 형광등 커버를 철거했다.[19] (미시공 차량도 존재).
- 7인승 좌석 중앙부에 칸막이와 손잡이를 설치하고, 6인승 버킷 시트로 변경했다.[16]
- 소화기를 이설했다.[19]
- 손잡이 색상과 형태를 변경했다.[19]
- 문 닫힘 예고 안내 장치를 차임식에서 음성식으로 변경했다.[19]
시공 연도 | 시공 공장 시공 차량 수 | 번대별 시공 차량 수 시공 완료 차량 비율 | 합계 | ||
---|---|---|---|---|---|
아보시 | 스이타 | 0번대 | 1000번대 | ||
2014 | 8 | 12 | 20/143 14% | 0/257 0% | 20/400 '5%' |
2015 | 15 | 0 | 32/143 22% | 3/257 1% | 35/400 '9%' |
2016 | 29 | 10 | 52/143 37% | 22/257 8% | 77/400 '19%' |
2017 | 28 | 10 | 63/143 44% | 49/257 19% | 112/400 '28%' |
2018 | 28 | 6 | 63/143 44% | 83/257 32% | 146/400 '37%' |
2019 | 24 | 8 | 80/143 56% | 98/257 38% | 178/400 '45%' |
2020 | 28 | 6 | 88/143 62% | 124/257 48% | 212/400 '53%' |
2021 | 13 | 8 | 99/143 69% | 134/257 52% | 233/400 '58%' |
2022 | 24 | 12 | 115/136 84% | 154/257 60% | 269/393 '68%' |
5. 후쿠치야마선 탈선 사고 영향
2005년 4월 25일 오전 9시 18분경, 후쿠치야마선 아마가사키역 - 쓰카구치역 구간에서 발생한 JR 후쿠치야마선 탈선 사고로 인해, 사고 해당 편성인 Z16 편성(4량)과 S18 편성(3량) 중 Z16 편성 4량이 사고 당일에 폐차되었다.[24] S18 편성은 효고현 경찰에 중요 증거로 압수되어 보관되었다가, 2024년 3월 31일부로 제적되었다.
사고 당시 Z16 편성은 도다이마에 방면 2량이 크게 파손되었고, 3, 4량째도 모든 대차가 탈선하고 차체가 찌그러지는 피해를 입었다. S18 편성은 절반 이상의 대차가 탈선했고, 쿠모하 207-1033은 전면이 파손되었다.
colspan="7" | | |||||||
---|---|---|---|---|---|---|---|
차량 | 쿠하 207 -17 | 모하 207 -31 | 모하 206 -17 | 쿠하 206 -129 | 쿠모하 207 -1033 | 사하 207 -1019 | 쿠하 206 -1033 |
편성 번호 | Z16 편성 | S18 편성 |
JR 서일본은 사고를 잊지 않고 교훈으로 삼기 위해, 사고 차량을 보존할 예정이다.[24] 2018년 11월 17일, 사고의 잊혀짐 방지 및 사원 교육에 활용하기 위해 사고 해당 7량을 보존할 의향을 밝혔다.[24] 이미 해체된 Z16 편성 4량은 부품별로 보존하고,[25] S18 편성 3량은 오사카부 스이타시의 사원 연수 센터 부지 내 철도 안전 고동관에 보존할 예정이다.
이 사고로 7량이 사용 불가능하게 되자, 321계를 예정보다 3편성 21량 더 투입하여 차량 부족을 보충했다.
6. 폐차
2022년 4월 6일, 7량 편성의 양산 선행 차량(F1)이 폐차를 위해 스이타 종합 차량소로 회송되었으며,[9][31] 같은 해 4월 7일자로 폐차되었다.
2024년 3월 31일, JR 후쿠치야마선 탈선 사고 해당 차량인 S18편성(후 3량)은 사고의 중요한 증거로서 효고현 경찰에 압수되었다가 JR 서일본에 반환된 후 제적되었다.
참조
[1]
서적
プロトタイプの世界 – Prototype World
Kōtsū Shimbunsha
2005-12
[2]
간행물
片福連絡線乗り入れ用 207系通勤形直流電車登場
Koyusha Co., Ltd.
1991-04
[3]
웹사이트
JR西日本の「207系」電車がデビューした日 学研都市線の新エース車両 -1991.4.30
https://trafficnews.[...]
2022-04-30
[4]
논문
JR第1世代の車両・現況と概要
2014-03
[5]
웹사이트
JR西日本 : JRニュース>ニュース一覧>ニュース詳細
http://www.westjr.co[...]
2005-08-29
[6]
웹사이트
207系通勤形電車をリニューアルします
https://www.westjr.c[...]
2014-09-22
[7]
웹사이트
207系体質改善車が営業運転を開始
https://railf.jp/new[...]
Koyusha Co., Ltd.
2014-11-18
[8]
웹사이트
207系通勤形電車のリニューアルの概要
https://www.westjr.c[...]
2014-09-22
[9]
웹사이트
207系量産先行車が吹田へ
https://railf.jp/new[...]
Koyusha Co., Ltd.
2022-04-07
[10]
문서
[11]
문서
[12]
웹사이트
データで見るJR西日本2020
http://www.westjr.co[...]
西日本旅客鉄道
2024-06-28
[13]
웹사이트
JR西日本の「207系」電車がデビューした日 学研都市線の新エース車両 -1991.4.30
https://trafficnews.[...]
2022-04-30
[14]
웹사이트
「207系」電車塗色デザインの変更
http://www.westjr.co[...]
西日本旅客鉄道
2005-08-29
[15]
보도자료
在来線列車に「新しい吊り手」を導入します
http://www.westjr.co[...]
西日本旅客鉄道
2011-10-18
[16]
보도자료
207系通勤形電車をリニューアルします!
http://www.westjr.co[...]
西日本旅客鉄道
2014-09-22
[17]
웹사이트
207系体質改善車が試運転を実施
http://railf.jp/news[...]
交友社
2014-09-29
[18]
웹사이트
207系体質改善車が試運転を実施
http://railf.jp/news[...]
交友社
2014-11-18
[19]
보도자료
207系通勤形電車のリニューアルの概要
https://www.westjr.c[...]
西日本旅客鉄道
2014-09-22
[20]
웹사이트
【JR西】207系Z13編成 検査出場
https://rail.hobidas[...]
네코・パブリッシング
[21]
웹사이트
【リニューアルで装いも新たに】207系にLEDの種別表示車が登場
https://rail.hobidas[...]
네코・パブリッシング
[22]
뉴스
転結部の前照灯を点灯 ホーム転落防止へ JR西日本
http://www.kobe-np.c[...]
神戸新聞社
2011-05-29
[23]
웹사이트
【リニューアルで装いも新たに】207系にLEDの種別表示車が登場
https://rail.hobidas[...]
네코・パブリッシング
[24]
뉴스
JR西社長 脱線事故車両、社員教育活用へ 全7両保存し
https://mainichi.jp/[...]
2018-11-17
[25]
뉴스
“JR福知山線脱線衝突事故”から16年 事故車両の保存方法 1~4両目は部品ごと整理
https://www.youtube.[...]
読売テレビニュース
[26]
웹사이트
和田岬線に207系が入線
http://railf.jp/news[...]
交友社
2011-08-07
[27]
웹사이트
JR西日本207系X1編成を充当 - 103系引退後の和田岬線、日常に戻る
https://news.mynavi.[...]
マイナビ
[28]
문서
[29]
웹사이트
JR西日本、大阪駅(うめきたエリア)開業後におおさか東線が乗入れへ
https://news.mynavi.[...]
マイナビ
2022-12-09
[30]
웹사이트
JR西、うめきた新駅の発着列車ダイヤ概要を発表(鉄道コム)
https://news.yahoo.c[...]
[31]
웹사이트
207系量産先行車が吹田へ
https://railf.jp/new[...]
交友社
2022-04-07
[32]
문서
[33]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