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진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석진형은 일제강점기에 활동한 인물로, 일본 유학 후 법학 교관, 대한제국 군부 관료, 조선총독부 참여관, 충청남도 및 전라남도 지사를 역임했다. 호서은행 취체역, 동양척식주식회사 감사 등을 지내며 경제인으로도 활동했으며, 3·1 운동 이후 총독부의 신임을 받았다. 친일 행적으로 인해 친일파 명단에 포함되었으며, 사위는 김명학이다. 저서로는 채권법 제1부, 평시 국제공법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제강점기의 전라남도지사 - 장헌식
장헌식은 대한제국 관료와 조선총독부 사무관, 중추원 참의 등을 역임하며 친일 행위를 했고, 청주상업고등학교 교장을 지냈으며, 해방 후 공금횡령 혐의로 처벌받았으며, 친일파 명단에 포함되었다. - 일제강점기의 전라남도지사 - 신가이 하지메
신가이 하지메는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 관료로 활동하며 일제 식민 통치에 협력했고, 해방 후에는 오이타현 부지사와 텔레비전 오이타 초대 사장을 지냈다. - 동양척식주식회사 관련자 - 데라우치 마사타케
데라우치 마사타케는 메이지 시대부터 다이쇼 시대까지 활동한 일본의 군인이자 정치가로서 육군대신, 한국통감, 조선총독, 내각총리대신을 역임하며 한국 병합을 주도하고 무단통치를 실시했으며, 시베리아 출병 등 외교 정책을 펼친 일본 제국주의 핵심 인물이다. - 동양척식주식회사 관련자 - 가쓰라 다로
가쓰라 다로는 메이지 시대와 다이쇼 시대에 세 차례 총리대신을 역임하며 2,886일간 집권한 일본의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영일 동맹 체결 및 러일 전쟁 승리에 기여했으나 한일 병합 조약 체결 등으로 한국에서는 비판받기도 했다. - 충주 석씨 - 석현준
석현준은 AFC 아약스에서 데뷔하여 여러 국가의 클럽에서 활동하며 포르투갈 리그에서 두각을 나타냈고 대한민국 국가대표팀으로도 활동했지만, 병역 문제와 K리그 등록 취소 등 논란이 있는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이다. - 충주 석씨 - 석동현
석동현은 대한민국의 법조인 출신 정치인으로, 검사로 26년간 재직 후 변호사로 활동하다 새누리당에 입당하여 정계에 입문했으며, 윤석열 정부에서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사무처장을 지냈고,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통일당 비례대표 후보로 출마했으나 낙선했다.
석진형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한글 | 석진형 |
한자 | 石鎭衡 |
가타카나 | 소쿠 치니ョン (소쿠 친히ョン) |
히라가나 | 세키 친코우 |
인물 정보 | |
이름 | 석진형 |
원래 이름 | 석진형 (石鎭衡) |
출생일 | 1877년 9월 29일 |
사망일 | 1946년 2월 24일 (사망 당시 나이: 68세) |
본관 | 충주 석씨 (忠州 石氏) |
종교 | 유교 (성리학) |
출생지 | 조선 경기도 광주 |
거주지 | 일제강점기 충청남도 예산 일제강점기 충청남도 대전 일제강점기 전라남도 광주 일제강점기 경성부 일제강점기 경기도 광주 |
사망지 | 미 군정 조선 서울 |
직책 | 前 조선총독부 예하 전라남도 도지사 (前 朝鮮總督府 隸下 全羅南道 道知事) |
학력 | 일본 도쿄 제국대학교 법학과 |
친인척 | 김명학(사위) |
정당 | 무소속 |
경력 | |
주요 경력 | 前 호서은행 취체역 前 동양척식주식회사 감사역 前 북선주조주식회사 취체역 前 요식업체 천향원 사장 前 북선주조주식회사 사장 |
관료 임용 정보 | |
임기 시작 | 1926년 8월 14일 |
임기 종료 | 1929년 1월 19일 |
총독 | 사이토 마코토 (일본) 우가키 가즈시게 (일본) |
군주 | 히로히토 (일본) |
총리 | 하마구치 오사치 (일본) 와카쓰키 레이지로 (일본) |
2. 생애
석진형은 경기도 광주 출신으로 일본에 유학하여 호세이 대학의 전신인 도쿄의 와후쓰 법률학교에서 공부하여 나왔고 그 후 동경제국대학 법과를 나왔다.[5] 1902년 와불 법률 학교(현 호세이 대학)를 졸업하고 귀국하여 법관 양성소·경성 전수 학교 등에서 법학 교관으로 취임했다.[2][3]
1904년 대한제국 군부의 군법국 주사에 임명되면서 관직에 들어섰고, 보성전문학교에서 법학을 강의하고 법관양성소 교관으로 근무하는 등 법률 전문가로서 중용되었다. 1906년, 매겸차랑의 한국 정부 법률 고문 취임에 따라, 그의 통역 및 부동산 법 조사회의 조사 위원으로 취임했다.
한일 병합 후 전라남도 참여관 등을 거쳐, 1924년 충청남도 지사(-1926년), 1926년 전라남도 지사(-1929년)에 취임했고, 1929년에 퇴관했다.
1913년 충청남도 예산군에서 설립된 호서은행 취체역을 맡은 것을 시작으로, 1920년 조선제사주식회사와 대동상회에 참여하고 경성상업회의소 특별위원으로 재직하는 등 경제인으로의 이력도 쌓았다.
1921년 조선총독부에 의해 발탁되어 전라남도의 참여관으로 발령받았다. 3·1 운동 이후 구성된 임시교육조사위원회에 이완용, 고원훈과 함께 조선인 위원 3인 중 한 사람으로 포함되는 등 총독부의 신임을 받았다.
그 후, 동양척식주식회사 감사[2], 북선주조 사장 등을 역임했다.[3] 1929년에는 관직에서 물러나 동양척식주식회사의 감사역을 맡았다. 요식업체 천향원과 양조업체 북선주조주식회사에서 취체역과 사장을 지내며 기업인으로 활동했다. 이 가운데 천향원은 서울의 ‘3대 요리집’으로 불리던 곳이다.[5]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석진형은 경기도 광주 출신으로 일본에 유학하여 호세이 대학의 전신인 도쿄의 와후쓰 법률학교를 졸업하고 동경제국대학 법과를 졸업했다.[5] 1902년 와불 법률 학교를 졸업하고 귀국하여 법관 양성소·경성 전수 학교 등에서 법학 교관으로 취임했다.[2][3] 1904년 대한제국 군부의 군법국 주사에 임명되면서 관직에 들어섰고, 보성전문학교에서 법학을 강의하고 법관양성소 교관으로 근무하는 등 법률 전문가로서 중용되었다.2. 2. 대한제국 시기 활동
일본 유학 후 호세이 대학의 전신인 와후쓰 법률학교와 동경제국대학 법과를 졸업했다. 1904년 대한제국 군부의 군법국 주사에 임명되면서 관직에 들어섰고, 보성전문학교에서 법학을 강의하고 법관양성소 교관으로 근무하는 등 법률 전문가로서 중용되었다. 1906년에는 매겸차랑의 한국 정부 법률 고문 취임에 따라, 그의 통역 및 부동산 법 조사회의 조사 위원으로 취임했다.2. 3. 일제강점기 관료 활동
경기도 광주 출신으로 일본에 유학하여 호세이 대학의 전신인 도쿄의 와후쓰 법률학교와 동경제국대학 법과를 졸업했다.[5] 1904년 대한제국 군부의 군법국 주사에 임명되면서 관직에 들어섰고, 보성전문학교에서 법학을 강의하고 법관양성소 교관으로 근무하는 등 법률 전문가로서 중용되었다. 1906년에는 매겸차랑의 한국 정부 법률 고문 취임에 따라, 그의 통역 및 부동산 법 조사회의 조사 위원으로 취임했다.[5]1913년 충청남도 예산군에서 설립된 호서은행 취체역을 맡은 것을 시작으로, 1920년 조선제사주식회사와 대동상회에 참여하고 경성상업회의소 특별위원으로 재직하는 등 경제인으로의 이력도 쌓았다.
1921년 조선총독부에 의해 발탁되어 전라남도 참여관으로 발령받았다. 3·1 운동 이후 구성된 임시교육조사위원회에 이완용, 고원훈과 함께 조선인 위원 3인 중 한 사람으로 포함되는 등 총독부의 신임을 받았다.[5] 1924년과 1926년에는 각각 충청남도와 전라남도 도지사에 임명되었다.[5]
1929년에는 관직에서 물러나 동양척식주식회사의 감사역을 맡았다.[2] 요식업체 천향원과 양조업체 북선주조주식회사에서 취체역과 사장을 지내며 기업인으로 활동했다. 이 가운데 천향원은 서울의 ‘3대 요리집’으로 불리던 곳이다.[5]
2. 4. 기업인 활동
석진형은 관직에서 물러난 뒤 여러 기업에서 활동했다. 1929년 동양척식주식회사의 감사역을 맡았다.[2] 요식업체 천향원과 양조업체 북선주조주식회사에서 취체역과 사장을 지냈다.[5] 이 가운데 천향원은 서울의 ‘3대 요리집’으로 불리던 곳이다.[5] 북선주조 사장 등을 역임했다.[3]3. 사후 평가
2002년 발표된 친일파 708인 명단과 2008년 민족문제연구소가 정리한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에 모두 선정되었다. 대한민국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도 친일반민족행위 195인 명단에 수록했다.[4]
2007년, 대한민국 대통령 직속 기관인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는 조선총독부의 자문 기관이었던 중추원의 간부와 순사, 보도 관계자를 포함한 "친일반민족행위"의 제2기 3차 조사 대상자 110명을 확정했는데, 그 조사 대상자에 김응선, 이재각, 김시권 등과 함께 석진형의 이름이 포함되었다.[4]
대한축구협회 회장을 지낸 외과 의사 김명학이 석진형의 사위이다.
3. 1. 친일 행적 논란
석진형은 2002년 발표된 친일파 708인 명단과 2008년 민족문제연구소가 정리한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에 모두 선정되었다. 대한민국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도 친일반민족행위 195인 명단에 수록했다.[4]2007년, 대한민국 대통령 직속 기관인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는 조선총독부의 자문 기관이었던 중추원의 간부와 순사, 보도 관계자를 포함한 "친일반민족행위"의 제2기 3차 조사 대상자 110명을 확정했는데, 그 조사 대상자에 김응선, 이재각, 김시권 등과 함께 석진형의 이름이 포함되었다.[4]
대한축구협회 회장을 지낸 외과 의사 김명학이 석진형의 사위이다.
4. 가족 관계
5. 저서
wikitext
- 채권법 제1부
- 평시 국제공법
참조
[1]
웹사이트
"[충북의성씨를 찾아서]충주-홍주석씨(忠州-洪州石氏)"
https://www.ccdailyn[...]
2013-01-03
[2]
서적
『東洋拓殖株式会社三十年誌』
[3]
서적
『昭和人名辞典 第4巻』
[4]
뉴스
聯合ニュース-親日反民族行為者、第2期調査対象226人を確定
http://japanese.yonh[...]
[5]
뉴스
10만석 재산 털어 지킨 문화재의 거리 - 〈장규식의 서울역사산책〉 피마골 풍물기행②
http://www.pressian.[...]
프레시안
2003-06-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