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목장공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성목장공주는 고려 안종 왕욱의 딸로, 고려 현종에게는 이복 누나이다. 생몰년은 미상이며, 고려사나 고려사절요에는 기록이 없으나, 1930년 현화사비를 통해 존재가 알려졌다. 현화사비는 1018년에 건립되었으며, 현종이 부모인 안종 왕욱과 헌정왕후, 원정왕후, 그리고 성목장공주를 추모하기 위해 세워졌다. 성목장공주는 1018년 이전에 사망했으며, 남편과 자녀에 대한 기록은 전해지지 않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려의 공주 - 정헌공주
정헌공주는 고려 혜종과 의화왕후의 딸이며, 흥화궁군, 경화궁부인과 남매 관계이다. - 고려의 공주 - 명혜부인
명혜부인은 고려 혜종과 궁인 애이주 사이에서 태어난 혜종의 딸이자 왕제의 누이이다. - 생몰년 미상 - 유급
유급은 전한 말기에 신양후에 봉해졌으나, 전한 멸망으로 작위를 잃은 유영의 아들이다. - 생몰년 미상 - 야스케
야스케는 16세기 일본에 기록된 최초의 아프리카인으로, 오다 노부나가의 가신으로 특별한 대우를 받았으며, 혼노지의 변에서 함께 싸웠으나 이후 행적은 불확실하고, 다양한 대중문화 작품에서 소재로 활용된다.
성목장공주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작위 | 고려 안종의 공주 |
원래 이름 | 성목장공주 (成穆長公主) |
출생일 | 미상 |
사망일 | 미상 (1018년 이전) |
부친 | 안종 |
모친 | 미상 |
2. 생애
생몰년은 미상이고 안종 왕욱의 딸이며 어머니의 이름과 시호는 전해지지 않는다. 현종에게는 이복 누나가 된다. 고려사와 고려사절요에는 나타나지 않아 이름이 실전되었다가 1930년 일제강점기 당시 경기도 개성군 판교리 영추산에서 발견된 현화사비(북한 국보 문화유물 제151호)를 통해 존재가 알려지게 되었다.[1] 현화사비는 1018년(현종 10년)에 세워진 것이다. 일연은 삼국유사 제2권 기이2 김부대왕(金傅大王)조 편에서 신성왕후 김씨에 대해 서술하면서, 김관의가 지은 『왕대종록』을 인용해 현화사는 신성왕후 김씨를 추모하기 위해 세운 원당이라 하였다.[1]
성목장공주의 가계는 고려 왕실의 복잡한 혼인 관계를 보여준다.
현종은 즉위 후 부모인 안종 왕욱과 헌정왕후 황보씨(효숙왕태후로 추서)의 명복을 빌고 복권시키기 위해 안종 왕욱과 헌정왕후 황보씨의 추모비를 세울 때 정비 원정왕후 김씨 및 누이인 성목장공주를 함께 추모하도록 하고, 문신 채충순(蔡忠順)과 주저(周佇), 불교 승려 정진(定眞), 혜인(慧仁), 능회(能會) 등의 승려에게 현화사 비문을 짓게 했다.[1]
성목장공주의 생애에 대한 기록은 남아있지 않다.[1] 현화사비는 1018년(현종 10년)에 건립되었으므로 1018년 이전에 사망했으나 몰년과 사망일은 미상이다. 남편의 이름과 생몰년 역시 미상이다.[1]
3. 가족 관계
관계 이름 출생 - 사망 비고 조부 태조 왕건 877년 ~ 943년 조모 신성왕후 김씨 생몰년 미상 아버지 안종 ? ~ 996년 어머니 미상 생몰년 미상 이복 동생 현종 992년 ~ 1031년 사촌 언니 헌애왕후 964년 ~ 1029년 사촌 언니 헌정왕후 생몰년 미상 ~ 992년/993년 현종의 생모
3. 1. 조부모 및 부모
3. 2. 형제자매 및 친인척
참조
[1]
서적
韓國女性關係資料集: 中世篇(中)
https://books.google[...]
1985-03
[2]
문서
Grand Princess is a Royal Noble title granted to a sister or favourite daughter of a monarch's ruler.
[3]
서적
朝鮮美術史: 下. 各論篇
https://books.google[...]
Yeolhwadang
2007
[4]
문서
Hyeonhwa Sabi described the story of [[Queen Sinseong]] ({{Korean|hangul=신성왕후|labels=no}}) based on ''[[Samguk yusa]]''{'}s 2nd part, vol.2, about [[Gyeongsun of Silla|King Gim Bu the Great]] ({{Korean|hangul=김부대왕|hanja=金傅大王|labels=no}}), the 56th and final ruler of [[Later Silla|Kingdom of Silla]] in [[Korea]]n.
[5]
웹사이트
현화사비 탑본(현화사의 개창을 기념하여 지은 비석의 탑본)
https://www.museum.g[...]
2021-06-19
[6]
웹사이트
현화사비(玄化寺碑)
http://encykorea.aks[...]
Academy of Korean Studies
199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