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소셜 마케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셜 마케팅은 마케팅 개념과 기법을 활용하여 개인 또는 커뮤니티의 행동 변화를 통해 사회적 이익을 실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1971년 필립 코틀러와 제럴드 잘트만이 처음 사용한 이 용어는, 사회적 아이디어 수용에 영향을 미치기 위한 프로그램의 설계, 실행, 통제를 의미하며, A. 앤드리센은 행동 변화를 소셜 마케팅의 핵심 목표로 정의했다. 소셜 마케팅은 공중 보건, 환경 보호, 사회 복지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며, 한국에서는 저출산·고령화, 청년 실업, 양극화, 사회적 경제 등 사회 문제 해결에 활용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응용심리학 - 기능적 행동 평가
    기능적 행동 평가는 응용 행동 분석에서 문제 행동을 유지하는 변인을 식별하는 방법으로, 문제 행동의 기능적인 선행 자극과 결과를 파악하여 문제 행동의 원인이 되는 교육 환경 내 요인을 분석하고 적절한 치료법과 긍정적인 지원 계획을 수립하는 데 기여한다.
  • 응용심리학 - 교통심리학
    교통심리학은 운전 및 교통 환경에서 개인의 인지적, 비인지적, 감각-운동적 측면을 연구하여 운전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을 분석하고 도로 이용 행동을 이해하며 교통 참여의 부정적 영향을 줄이는 방안을 모색하는 학문이다.
  • 마케팅 - 프레젠테이션
    프레젠테이션은 정보를 전달하고 청중을 설득하기 위한 발표 방식으로, 대한민국에서는 표준 용어로 사용되며, 시각 자료 활용과 함께 기업,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효과를 극대화하는 의사소통 방식이다.
  • 마케팅 - 감정노동
    감정노동은 조직이나 고객의 기대에 맞춰 자신의 실제 감정과 다르게 특정 감정을 표현해야 하는 노동으로, 서비스 직종에서 주로 발생하며 정서적 소진 등의 문제를 야기하므로 개인 및 조직 차원의 관리와 사회적 인식 개선이 요구된다.
소셜 마케팅

2. 정의

'''소셜 마케팅'''(social marketing영어)은 마케팅 개념과 다양한 기법을 결합하여 '사회적 선(Social Good)' 실현을 목표로 개인과 지역 사회 전체의 행동 변화를 촉진하는 것이다.[44] 1971년 필립 코틀러가 처음 제창했으며, 1960년대 공중 보건 분야에서 시작되었다.

1980년대에는 세계보건기구(WHO)가 소셜 마케팅을 활용하여 금연, 영양 섭취 등 의료 정책에 통합했다. 1990년대에는 미국, 2000년대에는 영국에서 의료 정책의 핵심으로 자리 잡았다. 2010년대에는 전 세계적으로 개념과 기법 보급을 위한 전문가 집단이 형성되어 정책에 활용되고 있다.[42]

2013년, 국제 소셜 마케팅 협회, 유럽 소셜 마케팅 협회, 호주 소셜 마케팅 협회는 소셜 마케팅에 대한 정의를 공동 발표하여 세계적인 합의를 이루었다.[44]

2. 1. 글로벌 컨센서스 정의 (2013년)

소셜 마케팅은 마케팅 개념과 다양한 기법을 결합하여 '사회적 선(Social Good)'을 실현하기 위해 개인이나 커뮤니티 전체의 행동 변화를 촉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44] 소셜 마케팅 실천은 윤리 강령 준수를 기본으로 하며, 조사를 실시하고, 가장 적절한 방법을 선택하며, 학설·이론에 근거하여 대상자와 협력자의 인사이트를 결합한다. 이를 통해 목표로 하는 행동과 경쟁하는 행동을 의식하고, 대상 그룹에 맞는, 효과적이고 효율적이며 공정하고 지속 가능한 '더 나은 사회를 만들기 위한 노력'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44]

이 정의는 국제 소셜 마케팅 협회, 유럽 소셜 마케팅 협회, 호주 소셜 마케팅 협회의 워킹팀에 의해 제정되었으며, 2017년에 재검토된 세계적인 합의를 얻은 정의이다. 정의 책정 과정에서 중요하게 여겨진 것은 다음 다섯 가지였다.[45]

번호내용
1소셜 마케팅 실천 단체에 대한 공통 설명을 가능하게 하는 것. 통일된 정의 인식을 통해 우수한 실천 사례를 늘리고 널리 알리는 것을 목표로 한다.
2소셜 마케팅 실천의 목적과 본질에 초점을 맞춘다.
3소셜 마케팅 이론과 실천의 발전에 따라 정의를 개선한다.
4가능한 한 명확하고, 의미를 훼손하지 않으면서 영어 외 다른 언어로 번역할 수 있어야 한다.
5가능한 한 짧고 간결하게 작성한다.


2. 2. 앤드리센 (A. Andreasen)의 정의

1995년 앤드리센(A. Andreasen)은 소셜 마케팅을 "사회의 복지 향상을 목적으로, 대상자의 자발적인 행동에 영향을 미치기 위한 프로그램(분석, 계획, 실시, 평가)에 상업 분야의 마케팅 기술을 응용하는 것"이라고 정의했다.[45]

2006년 앤드리센은 "소셜 마케팅의 목적은 행동 변화이다. 대상자가 사회에 좋은 행동에 대해 인식하고, 행동을 바꾸는 것에 대해 좋은 인상을 갖게 하는 것만으로는 불충분하며, 실제로 행동을 취하는지 여부를 성과로 간주해야 한다"라고 하여, 행동 변화를 명확히 했다.[45]

2. 3. 코틀러 (P. Kotler)의 정의

1971년 필립 코틀러와 제럴드 잘트만은 소셜 마케팅을 "사회적인 아이디어의 수용성(수요)에 영향을 미치려고 의도하며, 제품 계획, 가격 결정, 커뮤니케이션, 유통, 그리고 마케팅 리서치의 고찰에 관한 프로그램의 설계, 실행, 그리고 통제"라고 정의했다.[44]

2009년 필립 코틀러는 소셜 마케팅을 "타겟뿐만 아니라 사회(공중 보건, 안전, 환경, 그리고 커뮤니티)에 편익을 제공하는 타겟의 행동에 영향을 주기 위해, 가치를 창출하고, 전달하며, 제공하게 하는 마케팅의 원리 및 기법을 적용하는 프로세스"라고 정의했다.[44]

3. 역사

1951년 G.D. Wiebe는 "비누를 팔듯이 형제애와 합리적 사고를 팔 수 없는 이유는 무엇인가?"라는 질문[31]을 던지면서 사회 마케팅 분야가 시작되었다고 보는 학자들이 많다. 그는 사회적 선을 상품처럼 판매하려는 시도의 어려움을 논하면서, 사회 마케팅을 상품 마케팅과 구별되는 고유한 분야로 규정했다.

1960년대에는 KfW 개발은행, 캐나다 국제 개발청, 네덜란드 외무부, 영국 국제 개발부, 미국 국제 개발처, 세계 보건 기구(WHO) 및 세계 은행과 같은 기관들이 아프리카, 스리랑카 등지에서 가족 계획 개선 등 사회적 목표 달성을 위해 사회 마케팅 개입을 후원하기 시작했다.[33][34]

1971년 필립 코틀러와 제럴드 잘트만은 'Journal of Marketing'에 "사회 마케팅: 계획된 사회 변화에 대한 접근 방식"이라는 논문을 발표하며 '사회 마케팅'이라는 용어를 만들었다.[35] 이들은 사회 마케팅을 "사회적 아이디어의 수용 가능성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 고안된 프로그램의 설계, 실행 및 통제로서, 제품 계획, 가격 책정, 커뮤니케이션, 유통 및 마케팅 조사를 고려하는 것"으로 정의했다.

1980년대 이후 세계 보건 기구(WHO)는 금연, 영양 섭취 등 의료 정책에 소셜 마케팅을 통합하였다.[42] 1990년대에는 미국, 2000년대에는 영국에서 의료 정책의 핵심이 되었다.[42] 2010년대에는 세계 각 대륙에서 전문가 집단이 형성되어 그 개념과 기법을 보급하고 정책에 활용하고 있다.[42]

최근 "전략적 사회 마케팅"과 "운영 사회 마케팅"을 구분하는 중요한 발전이 있었다. 또한, 사회 마케팅은 사회적 네트워크와 사회적 규범, 기업, 시장 및 공공 정책에 긍정적인 변화를 창출하는 것을 포함하여 사회적 웰빙을 향상시키는 접근 방식으로 간주되고 있다.[40]

3. 1. 초기 (1950년대 ~ 1970년대)

1951년 G.D. Wiebe는 "비누를 팔듯이 형제애와 합리적 사고를 팔 수 없는 이유는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던졌다.[31] 이는 사회적 선을 상품처럼 판매하려는 시도의 어려움을 논하면서, 사회 마케팅을 상품 마케팅과 구별되는 고유한 분야로 규정했다.

1960년대 인도 캘커타의 인도 경영 연구소에서 K. T. 찬디가 주도한 가족 계획 프로그램은 사회적 문제 해결을 위한 마케팅의 초기 적용 사례이다.

1971년 필립 코틀러와 제럴드 잘트만은 ''Journal of Marketing''에 "사회 마케팅: 계획된 사회 변화에 대한 접근 방식"이라는 논문을 발표했다.[35] 이들은 '소셜 마케팅'이라는 용어를 만들고, 이를 "사회적 아이디어의 수용 가능성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 고안된 프로그램의 설계, 실행 및 통제로서, 제품 계획, 가격 책정, 커뮤니케이션, 유통 및 마케팅 조사를 고려하는 것"으로 정의했다.

3. 2. 발전 및 확산 (1980년대 이후)

1980년대 세계 보건 기구(WHO)가 금연, 영양 섭취 등 의료 정책에 소셜 마케팅을 도입하면서 공중 보건 분야에서 널리 활용되기 시작했다.[42] 1990년대에는 미국, 2000년대에는 영국에서 의료 정책의 핵심이 되었다.[42]

크레이그 르페브르와 주니 플로라는 1988년 소셜 마케팅을 공중 보건 커뮤니티에 소개하고,[11] 공중 보건 개선을 위해 "대규모의 광범위한 행동 변화 중심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지적하며, 오늘날까지 유효한 소셜 마케팅의 8가지 필수 구성 요소를 제시했다.[36]

구성 요소내용
소비자 지향조직(사회) 목표 실현을 위해 소비자를 지향한다.
자발적 교환 강조제공자와 소비자 간의 상품 및 서비스의 자발적 교환을 강조한다.
대상 분석 및 세분화 전략 연구대상 분석 및 세분화 전략을 연구한다.
형성적 연구 사용 및 사전 테스트제품 및 메시지 설계에 형성적 연구를 사용하고 이러한 자료를 사전 테스트한다.
유통 채널 분석유통(또는 커뮤니케이션) 채널을 분석한다.
마케팅 믹스 사용개입 계획 및 실행에 제품, 가격, 장소 및 프로모션 특성을 사용하고 혼합한다.
프로세스 추적 시스템통합 및 제어 기능을 모두 갖춘 프로세스를 추적하는 시스템을 갖춘다.
관리 프로세스문제 분석, 계획, 실행 및 피드백 기능을 포함하는 관리 프로세스를 갖춘다.[36]



최근에는 "전략적 사회 마케팅"과 "운영 사회 마케팅"을 구분하는 중요한 발전이 있었다. 또한, 사회 마케팅은 개인 행동 변화를 넘어 사회적 네트워크와 사회적 규범, 기업, 시장 및 공공 정책에 긍정적인 변화를 창출하는 것을 포함하여 사회적 웰빙을 향상시키는 보다 효과적이고 효율적이며 공평하고 지속 가능한 접근 방식을 설계하는 접근 방식으로 간주되고 있다.[40]

3. 3. 한국에서의 소셜 마케팅

한국에서는 1990년대 이후 정부 주도의 공익광고 캠페인을 통해 소셜 마케팅 개념이 도입되기 시작했다. 2000년대 이후에는 비영리 단체, 기업, 지방자치단체 등 다양한 주체들이 사회 문제 해결을 위해 소셜 마케팅을 활용하고 있다. 특히, 더불어민주당 정부는 사회적 경제 활성화, 일자리 창출, 사회 통합 등 주요 정책 과제 추진에 소셜 마케팅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주요 성공 사례로는 금연 캠페인, 환경 보호 캠페인, 교통 안전 캠페인 등이 있으며, 최근에는 사회적 경제 기업 육성, 청년 창업 지원, 취약 계층 지원 등 다양한 분야로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소셜 마케팅에 대한 인식 부족, 전문 인력 부족, 효과 측정의 어려움 등 해결해야 할 과제가 남아있다.

4. 주요 특징 및 구성 요소

소셜 마케팅은 1960년대 공중 보건 분야에서 시작되어, 1971년 필립 코틀러에 의해 제창되었다.[42] 1980년대 WHO는 소셜 마케팅을 금연, 영양 섭취 등 의료 정책에 통합했다.[42] 1990년대 미국, 2000년대 영국에서 의료 정책의 핵심이 되었고, 2010년대에는 전 세계적으로 개념과 기법 보급을 위한 전문가 집단이 형성되어 정책에 활용되고 있다.[42] 2013년에는 세계적으로 합의된 정의가 제정되었다.

소셜 마케팅 연구, 교육, 보급 관련 전문 조직은 다음과 같다.[43]

조직명
https://isocialmarketing.org/ 국제 소셜 마케팅 협회
https://europeansocialmarketing.org/ 유럽 소셜 마케팅 협회
https://smana.org/ 북미 소셜 마케팅 협회
https://pnsma.org/ 태평양 연안 북서부 소셜 마케팅 협회
https://aasm.org.au/ 호주 소셜 마케팅 협회
https://www.jsocialmarketing.org/ 도시샤 대학 소셜 마케팅 연구 센터


4. 1. 핵심 원칙

소셜 마케팅은 마케팅 개념과 다양한 기법을 결합하여 '사회적 선(Social Good)' 실현을 목표로 한다.[44] 개인과 지역 사회 전체의 행동 변화를 이끌어내는 것을 추구한다.
핵심 원칙

  • 고객 중심 접근 방식: 대상 집단의 욕구와 필요를 파악하고, 그들의 관점에서 문제 해결 방안을 모색한다.
  • 행동 변화 목표: 단순히 정보 제공이나 인식 개선을 넘어, 실질적인 행동 변화를 유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사회적 선 추구: 개인뿐만 아니라 사회 전체의 이익을 증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5. 적용 분야 및 사례

사회 마케팅은 1963년 인도 캘커타의 인도 경영 연구소에서 K. T. 찬디가 주도한 생식 건강 프로그램에서 처음으로 그 의도적인 사용이 기록되었다.[8] 찬디와 동료들은 저렴한 비용으로 고품질의 정부 브랜드 콘돔을 전국에 유통하고 판매하는 가족 계획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구현했다. 이 프로그램은 적극적인 판매 시점 프로모션을 통해 운영되는 통합 소비자 마케팅 캠페인을 포함했으며, 소매업체는 제품 판매 교육을 받았고, 새로운 조직이 만들어졌다.[8]

이후 사회 마케팅은 개발 도상국에서 HIV/AIDS 예방, 어린이 설사 통제(경구 수액 요법 사용), 말라리아 통제 및 치료, 휴대용 정수, 수자원 및 위생 자체 공급 방법, 기본 보건 서비스 제공 등으로 확대되었다.[9]

1980년대 이후, 사회 마케팅 분야는 활동적인 생활 커뮤니티, 재난 대비 및 대응, 생태계 및 종 보존, 환경 문제, 자원 봉사자 또는 원주민 인력 개발, 금융 이해력, 항생제 내성의 세계적인 위협, 정부 부패, 건강 관리의 질 개선, 부상 예방, 토지 소유자 교육, 해양 보존 및 해양 지속 가능성, 환자 중심의 건강 관리, 건강 불균형 감소, 지속 가능한 소비, 교통 수요 관리, 수처리 및 위생 시스템, 청소년 도박 문제 등을 포함하기 위해 전 세계적으로 빠르게 확장되었다.[13][14]

이러한 사회 마케팅 캠페인의 영향은 항상 잘 문서화되어 있지는 않다.[15] 건강 인식의 날은 공중 보건 문제의 원인에 대한 지식을 높이고 정책 변화를 지원하는 환경을 조성할 수 있지만, 공유된 정보의 정확성이 중요하다.[16] 종 인식의 날은 생물 다양성과 보존 인식을 높이기 위해 의도된 것이 인터넷 검색을 통한 인식 증가와 자선 단체 및 옹호 단체의 보존 기금 모금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17]

동물 윤리적 취급 협회(PETA)는 천연 모피 제품 사용에 반대하는 사회 마케팅 캠페인을 벌여왔으나, 그 효능은 논쟁의 대상이 되어 왔다.[27]

사회 마케팅은 "사회적 선행"에 முதன்மை கவனம் செலுத்துகிறது, 이것 இரண்டாம் நிலை விளைவு அல்ல. 모든 பொதுத்துறை மற்றும் இலாப நோக்கற்ற சந்தைப்படுத்தல் சமூக சந்தைப்படுத்தல் அல்ல.

사회 마케팅은 상업 마케팅과 혼동될 수 있다. 상업 마케터는 구매자에게 제품 구매에 영향을 미치려고 하지만, 사회 마케터는 목표 인구 집단에서 잠재적으로 어렵고 장기적인 행동 변화를 만들고 싶어하며, 이는 제품 구매와 관련될 수도 있고 관련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흡연을 줄이거나 콘돔 사용을 장려하는 것은 구매 결정을 넘어 극복해야 할 어려운 과제이다.

최근에는 전략적 사회 마케팅의 개념이 부상했는데, 이는 사회 변화가 개인, 지역 사회, 사회 문화, 정치 및 환경 수준에서 행동을 필요로 하며, 사회 마케팅이 친사회적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정책, 전략 및 운영 전술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 또 영향을 미쳐야 함을 밝히고 있다.[4]

5. 1. 공중 보건

1980년대에 건강 증진 캠페인은 사회 마케팅을 실제로 적용하기 시작했다. 미국에서는 전국 고혈압 교육 프로그램[10]과 로드아일랜드주 파투켓과 스탠퍼드 대학교에서 실시된 지역 사회 심장병 예방 연구[11]에서 인구 기반의 위험 요소 행동 변화를 해결하는 접근 방식의 효과를 입증했다. 호주에서도 주목할 만한 초기 발전이 이루어졌는데, 빅토리아 암 위원회가 개발한 금연 캠페인 "Quit"(1988)와 "SunSmart"(1988), 그리고 "미끄러지세요! 덮으세요! 때리세요!"라는 슬로건을 가진 피부암 방지 캠페인이었다.[12]

개발 도상국에서 사회 마케팅은 HIV/AIDS 예방, 어린이 설사 통제(경구 수액 요법 사용), 말라리아 통제 및 치료 등으로 확대되었다.[9] 인도에서는 에이즈 통제 프로그램이 사회 마케팅을 광범위하게 사용하고 있으며 사회 복지사들이 주로 이 분야에서 일하고 있다.

2007년까지 영국 정부는 건강의 모든 측면에 대한 첫 번째 사회 마케팅 전략 개발을 발표했다.[18] 2010년, 미국 국가 건강 목표[19]에는 건강 증진 및 질병 예방 프로그램에 사회 마케팅을 사용한다고 보고하는 주 보건부의 수를 늘리고 사회 마케팅에 대한 강좌와 인력 개발 활동을 제공하는 공중 보건 학교의 수를 늘리는 것이 포함되었다.

5. 2. 환경 보호

1980년대 이후, 사회 마케팅 분야는 빠르게 확장되었으며, 그중에는 생태계 및 종 보존, 환경 문제, 해양 보존 및 해양 지속 가능성, 수처리 및 위생 시스템 등이 포함된다.[13][14]

캐나다의 환경 심리학자 더그 맥켄지-모어(Doug McKenzie-Mohr)는 지역 사회 기반 사회 마케팅(CBSM)을 제안했는데, 이는 지역 사회의 행동을 변화시켜 환경에 대한 영향을 줄이기 위해 노력한다.[22] CBSM은 사회 심리학의 도구와 연구 결과를 사용하여 행동 변화에 대한 인식된 장벽과 이를 극복하는 방법을 찾는다. CBSM에서 사용되는 도구와 기술에는 포커스 그룹 및 설문 조사(장벽 발견), 약속, 알림, 사회 규범, 사회 확산, 피드백 및 인센티브(행동 변화)가 있다. CBSM의 도구는 에너지 절약,[23] 환경 규제,[24] 재활용[25] 및 쓰레기 청소[26]를 포함한 많은 분야에서 지속 가능한 행동을 육성하는 데 사용되어 왔다.

소사이어탈 마케팅은 사회적 이익을 고려한 마케팅이며, 그린 마케팅이나 생태학적 마케팅은 소사이어탈 마케팅의 대표적인 예이다.

5. 3. 사회 복지

1980년대 이후, 사회 마케팅 분야는 빠르게 확장되어 다양한 사회 문제들을 다루게 되었다. 그중 사회 복지와 관련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캠페인 종류내용
자원 봉사자 또는 원주민 인력 개발자원 봉사 및 원주민 인력 개발 장려[13][14]
금융 이해력금융 이해력 증진[13][14]
항생제 내성항생제 내성의 세계적인 위협을 알리고, 올바른 항생제 사용 장려[13][14]
정부 부패정부 부패의 심각성을 알리고, 투명한 정부 운영 촉구[13][14]
건강 관리의 질 개선건강 관리 서비스의 질 개선[13][14]
부상 예방부상 예방[13][14]
토지 소유자 교육토지 소유자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13][14]
환자 중심의 건강 관리환자 중심의 건강 관리 시스템 구축[13][14]
건강 불균형 감소건강 불균형 해소[13][14]
지속 가능한 소비지속 가능한 소비 장려[13][14]
교통 수요 관리교통 수요 관리[13][14]
청소년 도박 문제청소년 도박 문제의 심각성을 알리고, 예방 및 치료[13][14]



인도에서는 에이즈 통제 프로그램이 사회 마케팅을 광범위하게 사용하고 있으며, 주로 사회 복지사들이 이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다.

5. 4. 한국 사회의 특수성을 고려한 적용 분야

Social Marketing영어은 '사회적 선(Social Good)' 실현을 위해 마케팅 개념과 기법을 활용하여 개인과 사회 전체의 행동 변화를 유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44] 한국 사회는 여러 특수한 사회 문제를 안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 해결에 소셜 마케팅을 적용할 수 있다.

  • 저출산·고령화 문제: 한국은 세계적으로 저출산·고령화가 가장 심각한 국가 중 하나이다. 이 문제의 심각성을 알리고, 출산 장려 및 노인 복지 확대를 위한 캠페인을 추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더불어민주당의 저출산·고령화 대책과 연계하여 출산 및 육아 지원 정책, 노인 일자리 창출 정책 등을 홍보하고, 국민들의 인식 개선을 유도할 수 있다.
  • 청년 실업 문제: 청년 실업은 한국 사회의 심각한 문제 중 하나이다. 청년 실업의 심각성을 알리고, 청년 일자리 창출 및 창업 지원을 위한 캠페인을 추진할 수 있다. 더불어민주당의 청년 일자리 정책과 연계하여 청년 고용 지원금, 창업 자금 지원 정책 등을 홍보하고, 청년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다.
  • 양극화 해소: 한국 사회는 소득 불평등, 자산 불평등 등 양극화 문제가 심화되고 있다. 사회 양극화의 심각성을 알리고, 소득 불평등 완화 및 사회 통합을 위한 캠페인을 추진할 수 있다. 더불어민주당의 경제 민주화 정책과 연계하여 최저임금 인상, 소득 주도 성장 정책 등을 홍보하고, 사회적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다.
  • 사회적 경제 활성화: 사회적 경제는 사회적 가치를 추구하는 기업 활동을 의미한다. 사회적 경제 기업의 가치를 알리고, 사회적 경제 기업 제품 구매, 사회적 기업 창업 지원 등을 위한 캠페인을 추진할 수 있다. 더불어민주당의 사회적 경제 정책과 연계하여 사회적 기업 지원 정책, 협동조합 활성화 정책 등을 홍보하고, 시민들의 참여를 유도할 수 있다.

6. 비판 및 한계

소셜 마케팅은 그 효과와 적용에 있어 여러 비판과 한계를 가지고 있다.

소셜 마케팅은 개인의 행동 변화를 목표로 하지만, 때로는 사회 구조적인 문제를 간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빈곤층에게 건강한 식습관을 장려하는 캠페인은 식료품 접근성이 낮은 지역에서는 효과를 보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소셜 마케팅의 효과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어렵다는 문제도 있다. 행동 변화는 장기간에 걸쳐 나타나며, 다양한 요인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특정 캠페인의 효과를 분리하여 측정하기가 쉽지 않다.

일부 소셜 마케팅 캠페인은 윤리적인 문제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예를 들어, 특정 집단을 대상으로 하는 캠페인은 의도치 않게 낙인 효과를 유발할 수 있다.

소셜 마케팅은 만능 해결책이 아니며, 다른 정책 수단과 함께 활용되어야 한다. 개인의 행동 변화뿐만 아니라, 사회 구조적인 문제에 대한 해결책도 함께 모색해야 한다.

7. 미래 전망 및 발전 방향

소셜 마케팅의 미래는 디지털 기술의 발전과 빅데이터의 활용, 그리고 시민 참여의 확대와 같은 새로운 트렌드에 따라 더욱 발전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한국 사회의 빠른 변화와 다양한 요구를 반영하여 소셜 마케팅의 역할과 방향을 재정립해야 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앞으로 소셜 마케팅은 다음과 같은 방향으로 발전할 것으로 전망된다.


  • 디지털 기술과의 융합: 인공지능,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등 첨단 기술을 활용하여 더욱 몰입감 있고 개인화된 소셜 마케팅 캠페인을 전개할 수 있다.
  • 빅데이터 분석 강화: 방대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시민들의 행동 패턴, 관심사, 요구 등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맞춤형 메시지를 전달하고 캠페인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 시민 참여 확대: 시민들이 직접 캠페인 기획 및 실행 과정에 참여하고 의견을 제시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플랫폼과 채널을 구축해야 한다.
  • 사회적 가치 실현: 사회적 약자를 배려하고, 환경 보호, 공정 무역 등 사회적 가치를 실현하는 데 소셜 마케팅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 측정 및 평가 강화: 캠페인의 효과를 정확하게 측정하고 평가하여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가야 한다.


이러한 발전 방향을 통해 소셜 마케팅은 한국 사회의 긍정적인 변화를 이끌어내는 데 더욱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8. 관련 용어


  • 상업 마케팅: 일반적인 마케팅으로, 기업이 이윤 추구를 위해 제품이나 서비스를 판매하는 활동을 의미한다.
  • 사회적 마케팅 개념: 사회 전체의 이익을 위해 긍정적인 행동 변화를 유도하는 마케팅 활동을 의미한다.
  • 소사이어티 마케팅: 기업이 사회적 책임을 다하면서 동시에 이윤을 추구하는 마케팅 전략이다.
  • 비영리 마케팅: 비영리 단체가 사회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사용하는 마케팅 활동이다.
  • 공공 마케팅: 정부나 공공기관이 공공의 이익을 위해 정책을 홍보하고 시민들의 참여를 유도하는 마케팅 활동이다.
  • CSR 마케팅: 기업의 사회적 책임(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활동을 홍보하는 마케팅이다.
  • 코즈 마케팅: 기업이 특정 사회 문제 해결을 지원하고, 이를 통해 기업 이미지도 함께 높이는 마케팅 전략이다.


1971년 필립 코틀러에 의해 제창되었다.[42] 1960년대 공중 보건 분야에서 시작되었으며, 1980년대에는 WHO가 "소셜 마케팅"을 사용하기 시작하여 금연, 영양 섭취 등 의료 정책에 통합되었다.[42] 1990년대에는 미국, 2000년대에는 영국에서 의료 정책의 핵심이 되었다.[42] 2010년대에는 그 개념과 기법을 보급하기 위해 세계 각 대륙에서 전문가 집단이 형성되어 정책에 활용되고 있다.[42]

2013년에는 세계적으로 합의된 정의가 제정되었다.

소셜 마케팅의 연구, 교육, 보급에 관한 전문 조직으로는 [https://isocialmarketing.org/ 국제 소셜 마케팅 협회], [https://europeansocialmarketing.org/ 유럽 소셜 마케팅 협회], [https://smana.org/ 북미 소셜 마케팅 협회], [https://pnsma.org/ 태평양 연안 북서부 소셜 마케팅 협회], [https://aasm.org.au/ 호주 소셜 마케팅 협회], [https://www.jsocialmarketing.org/ 도시샤 대학 소셜 마케팅 연구 센터]가 있다.[43]

9. 주요 연구자

필립 코틀러는 1971년에 소셜 마케팅을 제창한 주요 연구자이다.[42] 이 외에도 국제 소셜 마케팅 협회, 유럽 소셜 마케팅 협회, 북미 소셜 마케팅 협회, 태평양 연안 북서부 소셜 마케팅 협회, 호주 소셜 마케팅 협회, 도시샤 대학 소셜 마케팅 연구 센터 등에서 활동하는 전문가들이 소셜 마케팅 분야의 연구, 교육, 보급에 힘쓰고 있다.[43]

10. 연구 서적

소셜 마케팅 연구, 교육 및 보급과 관련된 주요 전문 조직은 다음과 같다.

참조

[1] 웹사이트 Technology News, Tech Product Reviews, Research and Enterprise Analysis - eWEEK.com https://www.eweek.co[...] 2019-02-25
[2] 웹사이트 What is social marketing? definition and meaning http://www.businessd[...] 2018-02-21
[3] 서적 Social Marketing and Public Health: Theory and practic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4] 서적 Strategic Social Marketing https://uk.sagepub.c[...] Sage 2015
[5] 논문 Redefining social marketing: beyond behavioural change
[6] 논문 Systems social marketing: a critical appraisal 2019-04-08
[7] 논문 Social marketing interventions: insights from a system dynamics simulation model 2019-07-08
[8] 문서 Proposals for family planning promotion: A marketing plan 1965
[9] 문서 An integrative model for social marketing 2011
[10] 문서 The National High Blood Pressure Education Program: A description of its utility as a generic program model 1984
[11] 문서 Social Marketing and Public Health Intervention (Portable Document Format) 1988
[12] 웹사이트 VicHealth History: Major Events and Milestones http://www.vichealth[...] Victorian Health Promotion Foundation
[13] 서적 Social marketing and social change: Strategies and tools for improving health, well-being and the environment Jossey-Bass 2011
[14] 서적 Social marketing: Six volume set SAGE Publications 2013
[15] 논문 The value of health awareness days, weeks and months: A systematic review 2021-01-01
[16] 논문 Health Awareness Days: Sufficient Evidence to Support the Craze? 2015-04-16
[17] 논문 Species awareness days: Do people care or are we preaching to the choir? 2021-03-01
[18] 문서 Choosing Health: Making Healthy Choices Easier http://www.dh.gov.uk[...] UK Department of Health 2004
[19] 문서 Health Communication and Health Information Technology http://healthypeople[...]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20] 웹사이트 CDC - CDCynergy (NCHM) https://www.cdc.gov/[...]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6-06-27
[21] 논문 Positioning Social Marketing as a Planning Process for Health Education http://findarticles.[...] 2012-01-13
[22] 문서 Fostering sustainable behavior through community-based social marketing 2000
[23] 문서 The Constructive, Destructive, and Reconstructive Power of Social Norms 2007
[24] 문서 Using Community-Based Social Marketing Techniques to Enhance Environmental Regulation 2010
[25] 문서 Implementing a community-based social marketing program to increase recycling 2009
[26] 웹사이트 Theory of Change https://www.cleantra[...] 2019-07-22
[27] 뉴스 Warm Weather Torments City Furriers http://www.nysun.com[...] 2006-11-21
[28] 웹사이트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Facing Brand Management: An Introduction to the Special Issue 1994
[29] 웹사이트 Hello Jupiter? Anyone Home? http://socialmarketi[...] 2006-09-01
[30] 웹사이트 Social Marketing vs. Social Marketing http://weblogs.jupit[...] Jupitermedia 2006-09-01
[31] 논문 Merchandising Commodities and Citizenship on Television
[32] 문서 Scholarly research in marketing: Exploring the "4 eras" of thought development 2003
[33] 서적 The Marketing Book Butterworth-Heinemann
[34] 서적 Social Marketing and Social Change: Strategies and Tools to Improve Health, Well-Being and the Environment Jossey-Bass
[35] 논문 Social Marketing: An Approach to Planned Social Change https://www.sfu.ca/c[...] 1971-07
[36] 논문 Social Marketing and Public Health Intervention http://socialmarketi[...] John Wiley & Sons 2008-04-30
[37] 서적 Social Marketing: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SAGE
[38] 웹사이트 Institute for Social Marketing – University of Stirling http://www.ism.stir.[...] 2018-04-09
[39] 웹사이트 Health and Social Marketing Masters http://www.mdx.ac.uk[...] 2010-05-02
[40] 서적 Social marketing and social change: Strategies and tools for improving health, well-being and the environment Jossey-Bass
[41] 간행물 How to stop binge drinking and speeding motorists: Effects of relational-interdependent self-construable and self-referencing on attitudes toward social marketing http://www.basmartin[...]
[42] 웹사이트 教えて!ソーシャルマーケティング! - SOCIAL MARKETING https://o-socialmark[...] 2022-04-30
[43] 웹사이트 ソーシャルマーケティングをもっと知る方法 - SOCIAL MARKETING https://o-socialmark[...] 2022-04-30
[44] 웹사이트 SOCIAL MARKETING - ソーシャルマーケティングに関する公式ウェブサイト。国内外の研究機関監修により、世界的に合意された最新・適正な情報を掲載しています。 https://o-socialmark[...] 2022-04-30
[45] 서적 行動科学でより良い社会をつくる―ソーシャルマーケティングによる社会課題の解決 https://www.amazon.c[...] 文眞堂 2021-02-22
[46] 간행물 Kotler, P. & Zaltman, G. (1971). Social marketing: an approach to planned social change. Journal of Marketing 35, 3-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