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위생은 건강을 유지하고 증진하기 위한 개인 및 사회적 행위를 포괄하는 개념이다. 어원은 그리스어 'hygieinē technē'에서 유래되었으며, 고대부터 목욕과 청결은 중요한 위생 관리의 일부였다. 역사적으로 위생은 종교적 의례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발전해 왔으며, 개인 위생, 가정 위생, 의료 위생, 식품 위생 등 다양한 분야로 확장되었다. 위생학, 위생공학 등의 학문 분야에서 연구되며, 개인의 건강과 공중 보건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위생학 - 사회적 거리두기
사회적 거리두기는 감염병 확산을 억제하기 위해 사람들 간 접촉을 줄이는 방법으로, 물리적 거리 유지, 모임 최소화, 장소 회피 등의 행동 변화를 포함하며, 경제적 비용과 심리적 부작용을 야기할 수 있지만, 역사적으로 감염병 유행 시 시행되었고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 전 세계적으로 적용되었다. - 위생학 - 보건용 마스크
보건용 마스크는 호흡기 질환 및 유해 물질로부터 호흡기를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며, 역사적으로 감염병 예방 수단으로 발전해 왔고, 한국에서는 식품의약품안전처의 KF 등급 기준으로 분류되며 의료용, 산업용, 천 마스크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 위생 - 샤워
샤워는 몸을 씻는 행위나 시설을 뜻하며, 역사적으로 폭포에서 시작하여 고대 문명을 거쳐 19세기 후반 프랑스에서 현대적인 형태로 발명되었고, 현재는 물 절약형 샤워기 등 다양한 형태로 발전했다. - 위생 - 체취
체취는 인간의 피부상재균이 분비물을 대사하여 발생하는 냄새로, 유전자, 건강 상태 등에 따라 달라지며, 데오드란트 등으로 관리하거나 심한 경우 의학적 치료가 필요하다. - 위생 시설 - 공중보건
공중보건은 조직적인 노력과 사회적 선택을 통해 질병을 예방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과학 기술이며, 환경보건, 역학, 보건관리 분야를 포함하여 개인과 인구 집단의 건강을 개선하고 평균 수명을 늘리는 것을 목표로 한다. - 위생 시설 - 설사
설사는 세계보건기구(WHO) 정의에 따라 하루 세 번 이상 묽은 변을 보거나 평소보다 많은 변을 보는 상태로, 급성, 지속성, 만성으로 나뉘며, 소화흡수능력 저하, 감염, 약물 부작용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하고, 물 같은 변, 복통, 구토, 탈수 증상을 동반하며, 위생적인 생활 습관과 수분 및 전해질 보충으로 예방 및 치료가 가능하다.
위생 | |
---|---|
위생 개요 | |
정의 | |
위생 | 건강을 보존하기 위해 수행하는 관행 |
개인 위생 | |
종류 | 목욕 손씻기 구강 위생 여성 위생 남성 위생 위생 관리 |
공중 위생 | |
공중 위생 | 지역사회 건강 개선을 위한 집단적 조치 |
관련 분야 | |
관련 분야 | 산업 위생 식품 위생 주거 위생 환경 위생 |
사회적 위생 운동 | |
사회적 위생 운동 | 19세기 말과 20세기 초의 사회 개혁 운동 |
목표 | 질병 예방 공중 보건 개선 사회적 순수성 증진 |
주요 관심사 | 성병 매춘 알코올 중독 |
추가 정보 | |
관련 기관 | 세계 보건 기구 (WHO) |
주요 문서 | WHO 위생 개요 |
2. 용어
위생의 영어 낱말 'hygiene'은 건강을 뜻하는 그리스어 ὑγιεινή|히기에이네grc (τέχνη|테크네grc)에서 라틴어화된 프랑스어 'hygiene'에서 비롯한 것이다.[129]
위생에 관한 최초의 기록은 마누 법전, 비슈누 푸라나와 같은 힌두교 경전에서 발견된다.[130] 힌두교에서는 목욕이 5가지 니탸 카르마(일일 의무) 가운데 하나로 여겨지며, 일부 경전에 따르면 이를 수행하지 않으면 죄가 된다고 한다.
일본어의 「衛生(위생)」이라는 단어는 메이지 시대에 나가요 센사이가 장자의 경상초편(庚桑楚篇)에서 가져온 것이다.[127] 나가요 센사이는 유럽을 시찰하고, 생명과 생활을 보호하는 개념으로서 독일어 "Hygiene(히ュギエーネ)"를 고려했는데, 이 단어가 사회 기반 시설 정비를 포함하여 국가와 도시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굳이 「養生(양생)」("건강", "보건")을 전용하지 않고 장자의 경상초편에 있는 「衛生」(강희자전체에서는 「衞生」)이라는 단어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3. 역사
로마 문명에서는 정기적인 목욕이 문명의 특징 중 하나였다.[131]
산업혁명 이후 유럽에서는 히포크라테스와 갈레노스 등의 저서를 통해 위생 개념이 기록되었지만, 공중위생이라는 개념은 더욱 중요해졌다.[124]
일본어의 「衛生(위생)」이라는 단어는 메이지 시대에 나가요 센사이(長與專齋)가 장자의 경상초편(庚桑楚篇)에서 가져왔다.[127] 나가요 센사이는 유럽을 시찰하고, 생명과 생활을 보호하는 개념으로서 독일어 "Hygiene(히ュギエーネ)"를 고안했는데, 이 단어가 사회 기반 시설 정비를 포함하여 국가와 도시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養生(양생)」("건강", "보건")을 사용하지 않고 장자의 경상초편에 있는 「衛生」(강희자전체에서는 「衞生」)이라는 단어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선사 시대 인류의 가장 큰 위협은 급성 감염병이었다.[125] 이러한 위협에 대해 종교적인 방법(기도, 제물)을 사용하거나 규칙을 제정하는 등의 방법으로 대처하려 했다.
고대 그리스와 고대 로마 시대에는 도시 배수, 관개, 목욕탕, 주택 청결법 등 위생적인 지식이 있었다.[125]
중세부터 르네상스 시대에는 기독교적 사상의 영향으로 질병이 인간의 원죄에서 기인한다는 사상이 강해져 학문 발전이 정체되었다.[126] 그러나 자선 병원에서 환자 격리, 쥐 구제, 검역 등 감염병 대책은 시행되었다.[126]
근대 산업혁명이 시작되면서 공장 중심의 도시 발전, 농촌 인구의 도시 유입, 교통기관 발달 등으로 감염병 유행이 심해졌다.[126] 이러한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프랑스에서는 1822년에 고등 공중위생 회의가, 영국에서는 1848년에 공중위생법이 제정되어 위생국이 설립되었다.[126] 루이 파스퇴르와 로베르트 코흐의 병원균 발견, 에드워드 제너의 종두법, 존 스노우의 콜레라 역학 연구 등도 이 시기에 이루어졌다.[126]
3. 1. 아시아
중국 문학에서 목욕 문화는 은나라 시대부터 나타나는데, 당시 갑골문에는 사람들이 목욕으로 머리와 몸을 씻는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 주나라의 의례, 정치, 문화를 다룬 전국 시대 저서 주례에서는 5일에 한 번 뜨거운 물로 샤워하고 3일에 한 번 머리를 감는 것을 권장한다. 한나라 시대에는 목욕이 일상화되었고 관리들은 5일에 한 번씩 목욕을 해야 했다.[65]
고대 중국 도시 허난성의 동주양 유적지 등에서는 고대 목욕 시설이 발견되었다. 욕실은 湢|bi중국어라고 불렸고, 욕조는 청동이나 목재로 만들어졌다.[66] 한나라 시대에는 콩가루, 정향, 침향, 꽃, 가루 옥 등을 섞은 분말 비누 혼합물인 목욕콩이 기록되어 있다. 목욕콩은 고급 세면 용품이었고, 일반 서민들은 향신료가 섞이지 않은 콩가루를 사용했다. 당나라에는 온천 주변에 호화로운 목욕탕이 있었다.[65] 송나라 시대에는 공중목욕탕이 인기를 얻었다.[66] 목욕탕에서는 마사지, 손톱깎이, 문지르기 서비스, 귀 청소, 음식 및 음료를 제공했다.[66] 원나라 시대에 중국을 여행한 마르코 폴로는 중국 목욕탕에서 석탄을 사용해 목욕탕을 데운다는 사실을 기록했다.[67]
명나라 시대 목욕탕은 돌 바닥과 벽돌 돔 천장을 가졌다. 집 뒤편에는 보일러가 설치되어 터널을 통해 목욕탕 수영장과 연결되었다. 직원이 돌리는 물레방아로 물을 수영장으로 퍼 올렸다.[66]
일본 목욕의 기원은 물을 사용한 의례적인 정화 의식인 미소기(禊)이다.[69] 헤이안 시대(794~1185년)에는 유력 가문에 목욕탕이 있었다. 목욕은 종교적 의미를 잃고 오락이 되었다. 미소기는 얕은 나무 통에 목욕하는 행주이가 되었다. 17세기, 일본을 처음 방문한 유럽인들은 남녀 혼탕을 하는 습관을 기록했다.
일본어의 「衛生(위생)」이라는 단어는 메이지 시대에 나가요 센사이(장여전재)가 장자의 경상초편(庚桑楚篇)에서 가져온 것이다.[127] 나가요 센사이는 유럽 시찰 후, 생명과 생활을 보호하는 개념으로서 독일어 "Hygiene(히ュギエーネ)"를 고려했는데, 이 단어가 사회 기반 시설 정비를 포함하여 국가와 도시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養生(양생)」("건강", "보건")을 사용하지 않고 장자의 경상초편에 있는 「衛生」이라는 단어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3. 2. 유럽
로마 문명에서는 정기적인 목욕을 중요하게 여겼다.[73] 도시에는 일반 대중을 위한 목욕탕이 건설되었는데, 사람들은 개인 위생을 위해 이러한 시설을 필요로 했다. 목욕탕에는 큰 수영장, 냉탕, 온탕, 사우나, 그리고 제모, 오일 마사지 등을 받을 수 있는 스파 시설이 있었다. 물은 수도교를 통해 지속적으로 공급되었다. 도시 밖에서는 작은 목욕 시설이나 깨끗한 물을 이용했다. 로마 도시에는 클로아카 막시마(Cloaca Maxima) 같은 하수도 시설이 있어 공공 및 개인 화장실의 배수가 이루어졌다. 로마인들은 수압식 변기는 없었지만, 물이 계속 흐르는 변기는 있었다. 로마인들은 향이 나는 오일(주로 이집트산)을 사용하기도 했다.
기독교는 위생에 대해 강조해왔다.[74] 혼탕은 거부했지만,[75] 초기 기독교 성직자들은 신자들에게 목욕을 권장했으며,[74] 교부인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트와 터툴리아누스는 이것이 위생과 건강에 도움이 된다고 하였다.[76][77] 교회는 수도원과 순례지 근처에 성별로 분리된 공중 목욕탕 시설을 만들었다.
로마 제국이 멸망한 후에도 유럽에서 목욕과 위생이 사라진 것은 아니었다.[79][80] 초기 중세부터 교황들은 교회 바실리카와 수도원에 목욕탕을 설치했다.[76] 그레고리우스 1세 교황은 목욕을 신체적 필요로 보았다.[77] 많은 기독교 국가에서 물 사용이 일반적인 것은 성경의 화장실 에티켓(배변 후 세척을 권장) 때문이다.[81] 물이 항문 세척에 필수적인 지역에서는 비데와 비데 샤워가 사용되었다.[81][82] 공중 목욕탕은 중세 그리스도교 세계의 콘스탄티노플, 파리, 레겐스부르크, 로마, 나폴리와 같은 대도시에서 흔했다.[83] 콘스탄티노플과 안티오크와 같은 비잔티움 중심지에는 대규모 목욕탕이 건설되었다.[84]
11세기와 12세기에는 서유럽 상류층에게 목욕이 필수적이었다. 휴양과 은퇴의 중심지였던 클뤼니 수도원에는 항상 목욕탕이 있었다. 이 목욕탕은 수도사들이 기독교 갱신 축제 때 물에 잠기는 목욕을 할 때 의식적으로 사용되었다.[85] 아우구스티누스회와 베네딕토회의 규칙에는 의식적인 정화에 대한 언급이 있었고,[86] 베네딕투스의 영향을 받아 치료 목적의 목욕을 장려했다. 베네딕토회 수도사들은 온천의 개발과 홍보에도 기여했다.[87]
목욕은 상류층을 위한 로망스에서 에로틱한 환상을 불러일으키기도 했다. 멜루진 이야기에서 목욕은 중요한 줄거리 요소였다. 그러나 목욕과 몸단장은 몸의 매력을 드러낸다는 이유로 도덕주의자들에게 의심을 받았다. 목욕은 죄의 전조로 여겨졌고, 웜즈의 부르카르트의 참회록에는 남녀가 함께 목욕할 때 발생하는 죄의 목록이 있다. 도시들은 공중 목욕을 규제했다. 13세기 후반 파리의 26개 공중 목욕탕은 시 당국에 의해 엄격하게 감독되었고, 길드 법은 매춘부의 목욕탕 출입을 금지했다.[88]
14세기 토스카나에서는 신혼부부가 함께 목욕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며, 산지미냐노 시청의 프레스코화에서 이를 볼 수 있다.[89] 15세기 후반 유럽 목욕탕에 대한 안내서인 한스 폴츠의 ''목욕 책''[90]과 알브레히트 뒤러의 ''여인의 목욕''에서 볼 수 있듯이, 공중 목욕은 르네상스 시대에도 인기 있는 오락이었다. 영국에서는 프로테스탄티즘의 부상이 온천 문화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87]
19세기 후반까지 서구 도시의 엘리트 계층만이 실내 배설 시설을 갖추고 있었다. 가난한 사람들은 뒷마당과 안마당에 있는 정화조 위에 지어진 공동 시설을 사용했다. 존 스노 박사가 콜레라가 분변에 의한 수질 오염으로 전파된다는 것을 발견한 후 상황이 바뀌었다. 그의 연구 결과가 널리 받아들여지기까지는 수십 년이 걸렸지만, 정부와 위생 개혁가들은 인분이 수질을 오염시키는 것을 막기 위해 하수도를 사용하는 것의 건강상 이점을 인정하게 되었다. 이는 수세식 화장실의 보급과 화장실은 실내에 있어야 하고 사적인 공간이어야 한다는 도덕적 명령의 확산을 촉진했다.[91]
근대적인 위생 시설은 19세기와 20세기에 이르러서야 널리 보급되었다. 중세사학자 린 손다이크에 따르면, 중세 유럽 사람들은 19세기 사람들보다 더 자주 목욕을 했을 가능성이 높다.[92] 루이 파스퇴르의 실험이 세균 감염설을 증명하고 조지프 리스터 등이 이를 위생에 적용한 후, 위생적인 관행은 건강과 동의어로 여겨지게 되었다.
손 씻기의 중요성은 19세기 중반 오스트리아 빈에서 일했던 헝가리 의사 이그나츠 제멜바이스와 영국의 "근대 간호의 창시자" 플로렌스 나이팅게일이라는 두 명의 손 위생 개척자에 의해 처음으로 인식되었다.[93] 당시 대부분의 사람들은 감염이 악취로 인해 발생한다고 믿었다.
고대 그리스와 고대 로마 시대에는 도시 배수, 관개, 목욕탕 등 위생적인 지식이 있었고, 히포크라테스와 갈레노스의 저서에도 위생에 관한 기록이 있다.[125] 중세부터 르네상스 시대에는 기독교적 사상의 영향으로 질병이 원죄에 기인한다는 사상이 강해졌지만, 자선 병원에서 환자 격리, 쥐 구제, 검역 등 감염병 대책은 시행되었다.[126] 근대 산업 혁명 이후 공장 중심의 도시 발전, 농촌 인구의 도시 유입, 교통 기관 발달 등으로 감염병 유행이 심각해지면서 공중 위생 회의, 공중위생법 제정 등 위생 관련 제도와 연구가 발전했다.[126]
3. 3. 한국
조선 시대에는 위생 개념이 명확하지 않았으나, 일부 자애적인 행정이나 공공시설(간다 상수 등) 외에 베이하라 에키켄의 『양생훈』이나 스기타 겐판의 『건전학』과 같은 서적이 있었다.[127]
메이지 유신 이후 서양 의학의 도입과 함께 종두법이 전래되면서 위생 개념이 점차 확산되었다.[127] 1874년 종두 규칙이 공포되었고, 1875년 내무성 의무국이 설치되면서 근대적인 위생 행정이 시작되었다.[127]
일제강점기에는 조선총독부 주도로 위생 사업이 추진되었으나, 식민지 통치를 위한 수단으로 활용되기도 했다. 1938년 후생성이 설치되면서 국립 공중위생원이 설립되어 위생 관련 연구와 교육이 강화되었다.[127]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에는 보건사회부(현 보건복지부)를 중심으로 위생 정책이 추진되었으며, 경제 성장과 함께 국민들의 위생 수준도 향상되었다. 특히 1988년 서울 올림픽 개최를 계기로 공중 위생 수준이 크게 향상되었으며, 이후에도 지속적인 위생 관리 노력을 통해 선진국 수준의 위생 환경을 갖추게 되었다.
4. 개인 위생
개인 위생은 청결을 통해 신체 건강과 웰빙을 관리하기 위해 개인이 수행하는 행위를 의미한다. 개인 위생 실천의 동기에는 개인 질병 감소, 질병 치유, 최적의 건강 및 웰빙 감각, 사회적 수용, 그리고 타인에게 질병이 전파되는 것을 예방하는 것이 포함된다. 적절한 개인 위생으로 간주되는 것은 문화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적절한 위생으로 간주되는 행위는 다음과 같다.
위생 관리 항목 | 내용 |
---|---|
신체 위생 | 정기적으로 샤워하거나 목욕하기, 세안, 두피 머리 감기, 머리카락 짧게 하거나 제모하기, 깨끗한 옷 입기, 손톱과 발톱 깎기 |
손 위생 | 정기적으로, 특히 음식을 취급하기 전 손 씻기 |
항문 위생 | 배변 후 항문 부위를 액체로 씻거나 화장지로 닦기, 습식 물티슈 또는 젤 물티슈 사용 |
기타 | 기침할 때 입 가리기, 더러운 티슈 적절히 처리하기, 화장실 및 식품 취급 구역 청결 유지, 접촉을 통한 세균 전파를 줄이기 위해 키스나 악수 자제 (일부 문화권) |
세면용품 파우치에는 신체 위생 및 세면 용품이 들어 있다. 개인 미용은 반드시 위생적일 필요는 없지만 좋은 개인 및 공공 외모 유지와 관련하여 개인 위생을 확장하며, 데오드란트나 향수 사용, 면도, 빗질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외이도를 과도하게 청소하면 감염이나 염증이 발생할 수 있다. 외이도는 대부분 자가 세척되기 때문에 특별한 관리가 필요하지 않다. 귀지를 제거하려는 시도는 오히려 이물질을 귀 속으로 밀어 넣을 수 있다.[38]
개인 위생 서비스 위생은 사람들에게 개인 위생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사용되는 기구의 관리 및 사용과 관련되며, 미용사, 에스테티션(esthetician) 및 기타 서비스 제공업체가 사용하는 기구의 멸균, 피어싱 및 문신에 사용되는 기구의 오토클레이브를 이용한 멸균, 손 씻기 등이 포함된다.
4. 1. 구강 위생
건강한 성인은 하루 두 번,[39][40] 부드럽게,[41] 올바른 방법으로 양치질하고,[42] 칫솔은 몇 달에 한 번(약 3개월) 교체하는 것이 좋다.
일반적인 구강 위생에 대한 오해가 많다. 잉글랜드 국민보건서비스(NHS)는 양치질 후 물로 입을 헹구지 말고, 과도한 치약만 뱉어내라고 권고한다. 이는 치약에 함유된 불소가 치아에 달라붙어 충치 예방 효과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된다고 주장한다.[43] 또한 탄산수를 포함한 산성 물질을 마신 직후에는 양치질하지 않는 것이 좋다.[44] 하루에 한 번 치실을 사용하는 것도 권장되며,[45] 매번 새로운 치실을 사용해야 한다. 무정형 인산칼슘 제품(예: Tooth Mousse)의 효과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46] 최소 1년에 한 번은 치과 의사를 방문하여 검진을 받는 것이 좋다.[47]
4. 2. 수면 위생
수면 위생은 더 나은 수면의 질을 증진시키는 데 도움이 되는 권장되는 행동 및 환경적 실행이다.[48] 이러한 권장 사항은 1970년대 후반에 경증에서 중등도의 불면증이 있는 사람들을 돕는 방법으로 개발되었지만, 개별 권장 사항의 효과에 대한 증거는 제한적이고 결론적이지 않다.[48] 임상의는 불면증이나 우울증과 같은 다른 질환을 호소하는 사람들의 수면 위생을 평가하고 평가를 기반으로 권장 사항을 제공한다. 수면 위생 권장 사항에는 규칙적인 수면 일정을 설정하고, 낮잠을 주의해서 이용하고, 취침 시간에 너무 가까이 신체적 또는 정신적으로 운동하지 않으며, 취침 시간 몇 시간 전에 알코올과 니코틴, 카페인, 그리고 다른 자극제를 피하는 것이 포함된다.[49] 추가 권장 사항으로는 걱정을 제한하고, 수면 몇 시간 전에 빛에 대한 노출을 제한하고, 수면이 오지 않으면 침대에서 나오고, 잠자는 것 외에는 침대를 사용하지 않으며, 평화롭고 편안하며 어두운 수면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있다.5. 가정 위생
가정 위생은 가정과 일상 환경에서 질병 확산을 예방하거나 최소화하기 위한 위생 관행이다.[9] 여기에는 손 위생, 호흡기 위생, 식품 및 수질 위생, 일반 가정 위생, 애완동물 관리, 가정 건강 관리 등이 포함된다.[10]
질병 확산을 막는다는 것은 감염 전파의 고리를 끊는 것을 의미한다. "표적 위생"은 가정 내 병원균 확산 경로를 파악하고, 감염 고리를 끊기 위해 중요한 시점에 위생 관행을 도입하는 것을 기반으로 한다.[11] 이는 위험 분석 중요 관리 지점(HACCP)을 기반으로 하는 위험 기반 접근 방식을 사용한다.[12]
가정 내 감염의 주요 원인은 사람(보균자이거나 감염된 사람), 식품(특히 날것), 물, 애완동물 및 가축이다.[26] 싱크대, 화장실, 배수관, 청소 도구, 세안용 수건처럼 고여 있는 물이 쌓이는 곳은 미생물 성장을 돕는다.[13] 병원균은 점막, 배설물, 구토, 피부 각질 등을 통해 끊임없이 배출되며, 상황이 결합되면 사람들은 직접 또는 음식이나 물을 통해 노출되어 감염될 수 있다.[13]
병원균은 주로 손, 손과 음식 접촉 표면, 청소용 천과 식기류(예: 분변-경구 전파 경로)를 통해 확산된다. 수건 같은 의류와 가정용 린넨을 통해서도 전파될 수 있다. 화장실과 세면대는 인체 배설물을 안전하게 처리하도록 설계되었지만, 여전히 위험이 따르며, 열악한 위생은 저소득층 사회에서 설사병의 주요 원인이다. 호흡기 바이러스와 곰팡이 포자는 공기를 통해 전파된다.[14]
좋은 가정 위생은 감염 고리를 끊기 위해 중요한 시점에 위생을 실천하는 것을 의미한다.[11][26] 일부 병원균의 "감염량"은 매우 적을 수 있어(일부 바이러스는 10~100개 또는 그 이하), 병원균이 표면에서 손이나 음식을 통해 입, 코 점막, 눈으로 직접 전달되어 감염될 수 있다. 따라서 중요 표면에서 병원균을 제거하기 위해 "위생적인 청소" 절차를 채택해야 한다.[15]
5. 1. 세탁 위생
세탁 위생은 오염된 의류와 수건 같은 가정용 린넨을 통해 질병이 퍼지는 것을 막는 것을 포함한다.[25] 속옷, 개인 수건, 세안 수건, 기저귀처럼 신체와 직접 닿는 물건들이 병원체에 오염될 가능성이 가장 높다. 음식을 준비하거나 화장실 청소, 배설물이나 구토 등을 닦는 데 사용되는 천이나 직물 제품도 특히 위험하다.[26]미생물학 및 역학 자료에 따르면 의류와 가정용 린넨은 가정과 일상생활 환경뿐만 아니라 기관 환경에서 감염 전파의 위험 요소이다. 그러나 가정 환경에서 오염된 의류와 감염을 연결하는 정확한 데이터가 부족하여 위험 정도를 평가하기 어렵다.[25][26][27] 의류와 가정용 린넨으로 인한 위험은 손, 손 접촉 및 식품 접촉 표면, 청소용 천과 관련된 위험보다는 다소 적지만, 효과적인 세탁을 통해 이러한 위험을 관리해야 한다. 가정에서는 손, 음식, 호흡기 및 기타 위생과 함께 다중 장벽 접근 방식의 일환으로 세탁 위생을 실천해야 한다.[25][26][27]
오염된 의류로 인한 전염병 위험은 특정 조건에서 크게 증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병원, 요양원, 설사, 구토, 피부 또는 상처 감염이 있는 사람이 있는 가정 환경과 같은 의료 환경에서 그렇다. 감염에 대한 면역력이 떨어진 경우에도 위험이 커진다.
세탁 위생을 포함한 위생 조치는 항생제 내성 감염성 미생물의 확산을 줄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28][29][30] 건강한 사람들이 MRSA의 지속적인 피부 보균자가 되거나, 다중 항생제 내성 인자(예: NDM-1, ESBL 생성 균주)를 옮기는 장내 세균 균주의 분변 보균자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위험은 수술 후 자신의 내성 미생물에 의해 "자가 감염"될 수 있는 병원에 입원할 때까지 명확하지 않을 수 있다. 건강한 인구에서 지속적인 비강, 피부 또는 장 내 운반이 전 세계적으로 확산됨에 따라 병원과 지역 사회 모두에서 내성 균주로 인한 위험이 증가한다.[29] 특히, 의류와 가정용 린넨은 ''S. aureus'' (MRSA 및 PVL 생성 MRSA 균주 포함) 확산의 위험 요소이며, 세탁 과정의 효과는 이러한 균주의 지역 사회 확산 속도를 결정하는 데 중요한 요소일 수 있다.[25][31] 미국의 경험에 따르면 이러한 균주는 가족 내부와 교도소, 학교, 스포츠 팀과 같은 지역 사회 환경에서 전염될 수 있다. 피부 접촉(마찰되지 않은 피부 포함)과 수건, 시트, 스포츠 장비와 같은 오염된 물체와의 간접 접촉이 전염 방식인 것으로 보인다.[25]
세탁 과정에서 온도와 세제는 직물의 미생물 오염 수준을 줄이는 역할을 한다. 직물의 오염 물질과 미생물은 분리되어 세척수에 떠다니게 된다. 그런 다음 헹굼 및 탈수 과정에서 씻겨 나간다. 물리적 제거 외에도 미생물은 열 불활성화에 의해 죽을 수 있으며, 온도가 높아질수록 열 불활성화는 증가한다. 세제에 사용되는 계면활성제와 활성 산소계 표백제에 의한 미생물의 화학적 불활성화는 세탁의 위생 효과에 기여한다. 세척 과정에 차아염소산염 표백제를 첨가하면 미생물을 불활성화시킬 수 있다. 건조와 다림질을 포함한 여러 다른 요인도 영향을 줄 수 있다.
직사광선 아래에서 빨래를 말리면 병원균을 줄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2]
2013년, 국제 가정 위생 과학 포럼은 다양한 조건에서 상온부터 70°C까지의 온도에서 세탁의 위생 효과에 대한 30건의 연구를 검토했다.[33] 주요 발견은 연구 내 표준화 및 통제 부족, 세탁 주기 시간, 헹굼 횟수 등 연구 간 시험 조건의 변동성이었다. 이로 인한 데이터 변동성(직물의 오염 감소) 때문에 신뢰할 수 있는 세탁 지침을 제안하기가 매우 어렵다. 결과적으로 여러 기관에서 제시하는 위생적인 세탁에 대한 권장 사항에는 상당한 차이가 있다.[34]
5. 2. 소독제 및 항균제
화학 소독제[36]는 병원균을 죽이는 제품이다. 제품이 소독제라면 제품 라벨에 "소독제" 또는 병원균을 "죽인다"라고 표시되어야 한다. 표백제와 같이 일부 상업용 제품은 기술적으로 소독제이지만 "병원균을 죽인다"라고만 표시되어 있을 뿐, 실제로 "소독제"로 표시되어 있지는 않다. 모든 소독제가 모든 종류의 병원균을 죽이는 것은 아니다. 모든 소독제는 박테리아(살균제)를 죽이며, 일부는 곰팡이(살균제), 세균 포자(살포자제) 또는 바이러스(살바이러스제)도 죽인다.항균 제품은 특정되지 않은 방식으로 박테리아에 작용한다. "항균"으로 표시된 일부 제품은 박테리아를 죽이지만, 다른 제품은 박테리아의 증식만을 막는 농도의 활성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품 라벨에 "박테리아를 죽인다"라고 명시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항균 제품은 라벨에 별도로 명시되어 있지 않는 한, 반드시 항진균성 또는 항바이러스성을 보장하지는 않는다.
6. 의료 위생
의료 위생은 질병의 확산을 예방하거나 최소화하는 의학 및 의료 관리와 관련된 위생 관행을 의미한다.[35]
의료 위생 관행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 감염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감염자 또는 감염 물질의 격리
- 수술 과정에서 사용되는 기구의 멸균
- 적절한 붕대 및 드레싱
- 의료 폐기물의 안전한 처리
- 재사용 가능한 물품(린넨, 패드, 유니폼 등)의 소독
- 손 씻기 및 세척 (질병이 전파될 수 있는 일반적인 의료 환경에서 필수적)
- 에탄올 기반 소독제 사용
이러한 관행의 대부분은 19세기에 개발되었으며 20세기 중반까지 확립되었다. 일부 절차(예: 의료 폐기물 처리)는 20세기 후반의 질병 발생, 특히 AIDS와 에볼라에 대한 대응으로 개선되었다.
7. 식품 위생
조리 위생(또는 식품 위생)은 식품 오염을 예방하고, 식중독을 예방하며, 다른 식품, 사람 또는 동물에게 질병이 전파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식품 관리 및 조리 관행과 관련이 있다. 조리 위생 관행은 식품을 취급, 보관, 준비, 제공 및 섭취하는 안전한 방법을 명시한다.[16]
8. 위생 관련 학문
위생과 관련된 학문 분야는 다음과 같다.
- 위생학: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위험 요인을 추정하고 예방하는 활동과 연결하는 학문이다.[124] 감염병 퇴치와 영양 상태 개선뿐만 아니라, 현대에는 생활 습관병, 노인 보건, 환경 문제 등도 다룬다.[124] 유전자와 분자생물학을 응용하기도 한다.[124]
- 위생공학: 세계보건기구는 위생공학을 "인간의 신체적·정신적 및 사회적으로 양호한 상태, 즉 social well-being을 증진하기 위해 인간의 자연 환경을 공학적 수단으로 제어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공기조화공학, 건축환경공학, 도시공학과 관련이 깊다. 공기조화·위생공학회가 대표적인 관련 학회이다.
8. 1. 위생학
위생학은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위험 요인을 추정하고 예방 활동과 연결하는 학문이다. 감염병 퇴치와 영양 상태 개선을 주요 목적으로 했던 과거와 달리, 현대에는 생활 습관병, 노인 보건, 환경 문제 등으로 대상을 확대하고 있다. 또한, 유전자와 분자생물학을 응용하는 등 연구 방법도 발전하고 있다.[124]일본위생학회는 일본에서 위생학을 대표하는 학회이다. 일본위생학회 총회 발표 주제 분류에 따르면, 위생학의 대상은 다음과 같다.
위험 요인 | 환경생리학·물리적 환경, 감염병, 무기 및 유기 유해 물질, 생활습관병, 골 대사, 건강 증진·체력·운동, 건강 관리·피로, 정신 보건·스트레스, 난치병·특정 질환, 면역, 유전자 |
---|---|
목적·방법 | 환경 위생, 생물학적 모니터링·바이오마커, 영양·식품 위생, 모자 보건·모성 보건·영유아 보건, 학교 보건, 노인 보건·복지, 건강 교육·흡연 문제, 산업 보건, 지역 보건·의료 경제·의료 윤리, 위생 통계·인구 문제, 국제 보건 |
8. 2. 위생공학
세계보건기구는 "위생공학이란 인간의 신체적·정신적 및 사회적으로 양호한 상태, 즉 social well-being을 증진하기 위해 인간의 자연 환경을 공학적 수단으로 제어하는 것으로 이해된다"고 정의하고 있으며, 따라서 위생공학은 공학적 수단으로 인간의 건강을 증진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고 있다.관련 학문으로 공기조화공학, 건축환경공학 및 도시공학이 있다.
일본의 학회로는 공기조화·위생공학회가 있다. 관련 자격으로는 공기조화·위생공학회 설비사, 위생공학 위생관리자, 상하수도 기술관리자, 폐기물처리시설 기술관리자, 특별관리산업폐기물 관리책임자, 건축물 환경위생관리기술자, 제해시설 등 관리책임자, 건축설비사, 정화조 설비사 등이 있으며, 이들은 대학 등에서 이학, 약학, 공학, 농학 과정 중 위생공학 또는 화학공학 관련 과목을 이수하고 졸업하거나 위생공학, 상하수도공학을 전공으로 실무 경험이 있어야 응시할 수 있다. 기술사에는 기술사 위생공학 부문이 있으며, 노동위생 컨설턴트에는 노동위생공학 분야가 있다.
에코테크놀로지는 위생공학 분야에서 자연의 기능을 활용한 정화 기술이라는 의미에서 파생된 용어이다.
9. 사회와 문화
Hygiene hypothesis|위생 가설영어에 대한 언론 보도는 줄었지만, 흙은 건강에 좋고 위생은 불자연스럽다는 속설이 여전히 유행하고 있다. 이로 인해 공중 보건의 기반인 위생 행위가 훼손될 수 있다는 우려가 보건 전문가들 사이에서 제기되고 있다.[11] 국제 가정 위생 과학 포럼은 가정과 일상 생활 환경에서 효과적인 위생을 위해 감염 전파에 가장 중요한 장소와 시간에 위생 조치를 집중시키는 "위험 기반" 또는 표적화된 가정 위생 접근 방식을 개발했다.[11] 표적화된 위생은 효과적인 위생 실천 방식이자, 균형 잡힌 면역 체계를 구축하는 데 중요한 우리 환경의 미생물 군집에 대한 "정상적인" 수준의 노출을 유지하기 위해 노력한다.
초기 유년기에 일부 미생물에 노출되는 것이 알레르기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는 증거는 상당하지만, 인간이 유해한 미생물(감염)에 노출될 필요가 있거나 임상 감염을 일으켜야 한다는 증거는 없다.[50] 손 씻기, 식품 위생 등의 위생 조치가 아토피성 질환의 민감성 증가와 관련이 있다는 증거도 없다. 감염 예방과 알레르기 최소화라는 목표 사이에는 갈등이 없으며, 어떤 생활 방식 요인이 관련되어 있는지에 대해서는 여전히 많은 불확실성이 남아 있다.[51]
9. 1. 종교와 위생
많은 종교에서 물을 사용한 의례적 정화를 요구하거나 권장한다. 이슬람교에서는 기도를 하기 위해 wudu|우두ar 또는 ghusl|구슬ar을 통한 세정이 필요하다.[119] 이슬람 전통에는 화장실 사용 후 적절한 위생에 관한 다양한 규칙도 나와 있다. 바하이교는 의무적인 바하이 기도 전에 손과 얼굴을 씻는 것을 규정한다. 정통 유대교는 월경과 출산 후 mikveh|미크베he 목욕을 요구하며, 손 씻기는 일어나서 빵을 먹기 전에 행한다. 물은 기독교 의식에서도 역할을 하며, 기독교의 특정 교파인 에티오피아 정교회 테와헤도 교회와 같이 화장실, 세면실 또는 목욕탕을 나온 후, 기도 전, 식사 후 또는 의례적 손씻기와 같이 여러 종류의 손씻기를 규정한다.[119][120]9. 2. 위생 가설과 알레르기
위생 가설에 대한 언론 보도는 줄었지만, 흙은 건강에 좋고 위생은 불자연스럽다는 속설이 여전히 유행하고 있다. 이로 인해 공중 보건의 기반인 위생 행위가 훼손될 수 있다는 우려가 보건 전문가들 사이에서 제기되고 있다.[11] 가정과 일상 생활 환경에서 효과적인 위생을 위한 필요성에 따라, 국제 가정 위생 과학 포럼은 감염 전파에 가장 중요한 장소와 시간에 위생 조치를 집중시키는 "위험 기반" 또는 표적화된 가정 위생 접근 방식을 개발했다.[11] 표적화된 위생은 원래 효과적인 위생 실천 방식으로 개발되었지만, 균형 잡힌 면역 체계를 구축하는 데 중요한 정도로 우리 환경의 미생물 군집에 대한 "정상적인" 수준의 노출을 유지하기 위해 노력한다.초기 유년기에 일부 미생물에 노출되는 것이 어떤 방식으로 알레르기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는 상당한 증거가 있지만, 인간이 유해한 미생물(감염)에 노출될 필요가 있거나 임상 감염을 일으키는 것이 필요하다는 증거는 없다.[50] 손 씻기, 식품 위생 등의 위생 조치가 아토피성 질환의 민감성 증가와 관련이 있다는 증거도 없다. 만약 이것이 사실이라면 감염 예방과 알레르기 최소화라는 목표 사이에는 갈등이 없다. 어떤 생활 방식 요인이 관련되어 있는지에 대해서는 여전히 많은 불확실성이 남아 있다.[51]
참조
[1]
웹사이트
Hygiene: Overview
https://www.afro.who[...]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2020-01-29
[2]
서적
Hygiene and its role in health
Nova Science Publishers
[3]
학술지
Effect of Hand Hygiene on Infectious Disease Risk in the Community Setting: A Meta-Analysis
2008
[4]
서적
WHO guidelines on hand hygiene in health care: first global patient safety challenge clean care is safer care
World Health Organization
[5]
서적
Hygiene in food processing: principles and practice
Woodhead
[6]
서적
Containment in the pharmaceutical industry
CRC Press
[7]
서적
Cosmetic microbiology: a practical approach
CRC Press
[8]
간행물
State of the World's Hand Hygiene: A global call to action to make hand hygiene a priority in policy and practice
UNICEF
[9]
웹사이트
The global burden of hygiene-related diseases in relation to the home and community
https://www.ifh-home[...]
International Scientific Forum on Home Hygiene
[10]
웹사이트
Surface Hygiene {{!}} HARTMANN SCIENCE CENTER
https://www.hartmann[...]
2024-07-23
[11]
웹사이트
Developing and promoting hygiene in home and everyday life to meet 21st Century needs
https://www.ifh-home[...]
the International Scientific Forum on Home Hygiene
2021-07
[12]
웹사이트
Environmental hygiene in healthcare
https://www.sahealth[...]
2024-07-23
[13]
웹사이트
environmental hygiene — European Environment Agency
https://www.eea.euro[...]
2024-07-23
[14]
웹사이트
Environmental health
https://www.who.int/[...]
2024-07-23
[15]
웹사이트
Around home – household hygiene – Hygiene for Health
https://hygieneforhe[...]
2024-07-23
[16]
웹사이트
Hygiene procedures in the home and their effectiveness: a review of the scientific evidence base
https://www.ifh-home[...]
International Scientific Forum on Home Hygiene
[17]
웹사이트
Hygiene in the Kitchen
https://www.hansgroh[...]
2024-07-23
[18]
웹사이트
10 Important Bathroom Rules – With Printable Toilet Rules!
https://www.cushelle[...]
2024-07-23
[19]
웹사이트
Proper use of the toilet
https://lessonotes.c[...]
2024-07-23
[20]
웹사이트
Personal hygiene
https://www.healthdi[...]
2024-07-25
[21]
학술지
Allergen control through routine cleaning of pollutant reservoirs in the home environment
[22]
학술지
Health Impact of Airborne Fungi
https://doi.org/10.1[...]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2024-07-23
[23]
웹사이트
Types of Hygiene – Humanitarian Global
https://humanitarian[...]
2024-07-23
[24]
웹사이트
Hygiene cleaning
https://www.thejanit[...]
[25]
웹사이트
The infection risks associated with clothing and household linens in home and everyday life settings, and the role of laundry
https://ifh-homehygi[...]
International Scientific Forum on Home Hygiene
[26]
웹사이트
The chain of infection transmission in the home and everyday life settings, and the role of hygiene in reducing the risk of infection
https://ifh-homehygi[...]
International Scientific Forum on Home Hygiene
[27]
학술지
Predictors of infectious disease symptoms in inner city households
[28]
웹사이트
Recommendations for future collaboration between the U.S. and EU
http://ecdc.europa.e[...]
Transatlantic Taskforce on Antimicrobial Resistance
[29]
웹사이트
Spread of Antibiotic Resistant Strains in the Home and Community
http://www.ifh-homeh[...]
International Scientific Forum on Home Hygiene
[30]
학술지
Reducing antibiotic prescribing and addressing the global problem of antibiotic resistance by targeted hygiene in the home and everyday life settings: A position paper
2020-09
[31]
웹사이트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Clostridium difficile and ESBL-producing Escherichia coli in the home and community: assessing the problem, controlling the spread
https://ifh-homehygi[...]
International Scientific Forum on Home Hygiene
[32]
웹사이트
Hanging your clothes under sun OR using laundry dryer
https://sites.psu.ed[...]
2020-10-04
[33]
웹사이트
Effectiveness of laundering processes used in domestic (home) settings
https://www.ifh-home[...]
International Scientific Forum on Home Hygiene
[34]
웹사이트
Clothing, household linens, laundry and hygiene Factsheet
https://www.ifh-home[...]
International Scientific Forum on Home Hygiene
[34]
웹사이트
Laundry treatments at high and low temperatures
https://www.hse.gov.[...]
UK health and Safety Executive
[35]
웹사이트
Home Hygiene: Prevention of infection at home and in everyday life: a learning and training resource
https://ifh-homehygi[...]
[36]
multiref
Russell, Hugo & Ayliffe's principles and practice of disinfection, preservation and sterilization
https://www.ifh-home[...]
Wiley-Blackwell
[37]
학술지
Efficacy of alcohol-based hand sanitizer on hands soiled with dirt and cooking oil
https://iwaponline.c[...]
2011-09-01
[38]
웹사이트
How to Remove Ear Wax
https://www.medicine[...]
[39]
웹사이트
Brushing & Flossing: Technique & Choosing Dental Products
http://www.colgate.c[...]
2018-04-15
[40]
웹사이트
Oral Hygiene
https://www.nidcr.ni[...]
2023-09-18
[41]
웹사이트
Are you brushing your teeth too hard?
https://www.abc.net.[...]
2019-06-03
[42]
웹사이트
Brushing Your Teeth
https://www.mouthhea[...]
American Dental Association
[43]
웹사이트
How to keep your teeth clean
https://www.nhs.uk/L[...]
2018-04-26
[44]
웹사이트
Wait, Before You Brush — Why Brushing your Teeth After Eating Could be Bad for You
https://napervillema[...]
2013-04-01
[45]
웹사이트
The Medical Benefit of Daily Flossing Called Into Question
http://www.ada.org/e[...]
[46]
학술지
Is there a place for Tooth Mousse® in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early dental caries? A systematic review
2015-09-25
[47]
웹사이트
How often do you need to see a dentist?
https://www.bbc.com/[...]
2014-09-26
[48]
학술지
The role of sleep hygiene in promoting public health: A review of empirical evidence
2014-10-01
[49]
웹사이트
Healthy Sleep
https://medlineplus.[...]
2023-09-20
[50]
multiref
Too clean, or not too clean: the Hygiene Hypothesis and home hygiene
https://researchonli[...]
International Scientific Forum on Home Hygiene
2006-04-01
[51]
학술지
99th Dahlem Conference on Infection, Inflammation and Chronic Inflammatory Disorders: Darwinian medicine and the 'hygiene' or 'old friends' hypothesis
2010-03-11
[52]
multiref
Sustainable Development Goal 6: Ensure access to water and sanitation for all
https://ourworldinda[...]
[53]
웹사이트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2004 update
https://www.who.int/[...]
[54]
multiref
Water, sanitation, and hygiene interventions to reduce diarrhea in less developed countrie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https://issuelab.org[...]
2008-08-01
[55]
multiref
Physical interventions to interrupt or reduce the spread of respiratory viruses: systematic review
http://www.lboro.ac.[...]
WELL
[56]
multiref
The effect of antibacterial soap on impetigo incidence, Karachi, Pakistan
[57]
웹사이트
Use of ash and mud for hand-washing in low income communities
https://ifh-homehygi[...]
International Scientific Forum on Home Hygiene
[58]
웹사이트
Guidelines for the prevention of infection and cross-infection in the domestic environment: focus on home hygiene issues in developing countries
https://www.ifh-home[...]
International Scientific Forum on Home Hygiene
[59]
간행물
Self-supply for safely managed water: To promote or to deter?
https://www.unicef.o[...]
2022-02-01
[60]
웹사이트
Combating waterborne disease at the household level
https://www.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7-01-01
[61]
웹사이트
Household water storage, handling and point-of-use treatment
https://ifh-homehygi[...]
International Scientific Forum on Home Hygiene
[62]
웹사이트
Water quality interventions to prevent diarrhoea: Cost and cost-effectiveness
https://www.who.int/[...]
2008-01-01
[63]
웹사이트
Household Water Treatment and Safe Storage Following Emergencies and Disasters
https://www.who.int/[...]
2005-01-01
[64]
웹사이트
Managing water in the home
https://www.who.int/[...]
2002-01-01
[65]
웹사이트
Bathing in Ancient Times
https://www.theworld[...]
2021-07-01
[66]
웹사이트
Ancient Chinese Bath Culture
https://www.viewofch[...]
2019-04-30
[67]
서적
Science and Civilisation in China
Cambridge University Press
[68]
multiref
Marco Polo's World
https://www.dianewol[...]
[69]
서적
Japan: A View from the Bath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70]
웹사이트
Aryan Code of Toilets (2nd Century AD)
https://www.sulabhto[...]
[71]
논문
Adverse drug reaction and concepts of drug safety in Ayurveda: An overview
2013-10-23
[72]
논문
El baño temascal novohispano, de Moctezuma a Revillagigedo. Reflexiones sobre prácticas de higiene y expresiones de sociabilidad
http://148.206.53.23[...]
2012-12-18
[73]
웹사이트
Roman bath houses
http://www.channel4.[...]
Channel Four Television Corporation
[74]
서적
Children's Health Issues in Historical Perspective
Wilfrid Laurier Univ. Press
[75]
서적
The Didascalia Apostolorum in English
C.J. Clay
1903-01-01
[76]
서적
Sacred Scents in Early Christianity and Islam: Studies in Body and Religion
Rowman & Littlefield
[77]
서적
Water and Society in Early Medieval Italy, AD 400-1000, Parti 400–1000
Cambridge University Press
[78]
웹사이트
Middle Ages Weddings and Hygiene
https://www.thoughtc[...]
2008-03-05
[79]
웹사이트
The Great Famine and the Black Death – 1315–1317, 1346–1351
http://www.vlib.us/m[...]
[80]
웹사이트
Middle Ages Hygiene
http://www.middle-ag[...]
[81]
서적
Contemporary Biology: Concepts and Implications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82]
서적
Made in Naples: Come Napoli ha civilizzato l'Europa (e come continua a farlo)
Addictions-Magenes Editoriale
2013-01-01
[83]
서적
Perception and Action in Medieval Europe
Boydell & Brewer
[84]
서적
Wandering in Byzantine Thessaloniki
Kapon Editions
2023-08-01
[85]
서적
A History of Private Life
[86]
서적
The English Spa, 1560–1815: A Social History
Fairleigh Dickinson Univ. Press
[87]
서적
Water: A Spiritual History
Bloomsbury Publishing
[88]
서적
Women's Lives in Medieval Europe: A Sourcebook
Routledge
[89]
서적
A History of Private Life
[90]
서적
Bodily and Spiritual Hygiene in Medieval and Early Modern Literature: Explorations of Textual Presentations of Filth and Water
de Gruyter
[91]
웹사이트
Water Sanitation and Hygiene
https://www.gatesfou[...]
2020-10-04
[92]
웹사이트
Daily Life
http://www.godecooke[...]
2017-02-22
[93]
웹사이트
History
https://globalhandwa[...]
2015-04-18
[94]
논문
How Islam changed medicine
2005-12-22
[95]
웹사이트
Ṭahāra | Islam
https://www.britanni[...]
[96]
서적
Muslims in America
https://books.google[...]
AuthorHouse
[97]
서적
Life in Medieval Times
https://books.google[...]
Heinemann
[98]
서적
Pre-Industrial Cities and Technology
https://books.google[...]
Routledge
[99]
서적
Encyclopedia of the Black Death
https://books.google[...]
ABC-CLIO
[100]
서적
Law and Piety in Medieval Islam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1]
서적
The Literature of Al-Andalu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2]
서적
The Golden Age of the Moor
https://archive.org/[...]
Transaction Publishers
[103]
논문
Flight of the Blackbird
http://www.islamicsp[...]
2008-01-28
[104]
논문
Comparative studies on the effect of locally made black soap and conventional medicated soaps on isolated human skin microflora
https://www.research[...]
2012-01-01
[105]
웹사이트
99 Zulu Indigenous Practices in Water and Sanitation: Preliminary Field Research on Indigenous Practices in Water and Sanitation Conducted at Ulundi
https://www.academia[...]
[106]
서적
Science and Technology in Islam: Technology and applied sciences
UNESCO
[107]
서적
The Ox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Science, and Technology in Islam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08]
서적
Anionic Surfactants: Organic Chemistry
CRC Press
[109]
서적
King Charles I
https://books.google[...]
Dent
[110]
서적
An Encyclopaedia of the History of Technology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111]
서적
International Encyclopaedia of Tribal Religion: Christianity and tribal religions
Ohio University Press
[112]
서적
Healing Henan: Canadian Nurses at the North China Mission, 1888–1947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Press
[113]
서적
Securing the City: Neoliberalism, Space, and Insecurity in Postwar Guatemala
Duke University Press
[114]
서적
Between Ethnography and Fiction: Verrier Elwin and the Tribal Question in India
North Eastern Hill University Press
[115]
서적
Cleanliness and Culture: Indonesian Histories
Royal Netherlands Institute of Southeast Asian and Caribbean Studies
[116]
서적
Gender and Mission Encounters in Korea: New Women, Old Ways: Seoul-California Series in Korean Studie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17]
서적
The Forger's Tale: The Search for Odeziaku
Indiana University Press
[118]
서적
Evangelising the Nation: Religion and the Formation of Naga Political Identity
Routledge
[119]
서적
The Hand Book: Surviving in a Germ-Filled World
University Press of New England
[120]
학술지
Is the Church of Ethiopia a Judaic Church?
http://pwtw.pl/wp-co[...]
2020-05-29
[121]
서적
A Greek-English Lexicon
Perseus
[122]
서적
A Greek-English Lexicon
Perseus
[123]
서적
A Greek-English Lexicon
Perseus
[124]
서적
衛生・公衆衛生学 第3版
[125]
서적
衛生・公衆衛生学 第3版
[126]
서적
衛生・公衆衛生学 第3版
[127]
서적
衛生・公衆衛生学 第3版
[128]
웹사이트
Hygiene
http://www.who.int/t[...]
[129]
웹사이트
ὑγιεινός
http://www.perseus.t[...]
A Greek-English Lexicon, Perseus
[130]
웹사이트
Sulabh International Museum of Toilets
http://www.sulabhtoi[...]
[131]
웹사이트
Roman bath houses
http://www.channel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