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송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송시는 알프레드 랄프스의 셉투아진타(그리스판)에 제시된, 모세의 노래, 안나의 기도, 하박국의 기도, 이사야의 기도, 요나의 기도, 아자리아의 기도, 마니피캇, 베네딕토의 노래 등 구약, 외경/제2경전, 신약성경에 수록된 찬가들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초기 기독교 시대부터 존재했으며, 알렉산드리아 사본 등에서 그 모음집이 발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5세기 책 - 불가타
    불가타는 히에로니무스가 그리스어와 히브리어 원전을 참고하여 옛 라틴어 성경을 수정 및 번역하고, 이후 여러 학자들의 개정을 거쳐 트렌트 공의회에서 가톨릭 교회의 공식 성경으로 인정받았으며, 서구 기독교와 여러 언어에 큰 영향을 미친 라틴어 성경이다.
  • 5세기 책 - 신국론
    신국론은 아우구스티누스가 서고트족의 로마 약탈 이후 기독교를 옹호하고 기독교인들을 위로하기 위해 쓴 22권의 책으로, 세속 도시와 신의 도시 간의 갈등을 제시하며 신의 도시의 승리를 주장하고 로마의 종교와 철학을 비판하며 두 나라의 관계와 종말론을 논하는 역사철학적 저서이다.
  • 구약 외경 - 집회서
    집회서는 벤 시라가 히브리어로 저술한 지혜 문헌으로, 다양한 사상의 영향을 받아 하나님 경외, 윤리적 삶, 사회적 책임을 다루며, 가톨릭과 동방정교회에서는 정경, 유대교와 개신교에서는 외경으로 분류된다.
  • 구약 외경 - 에스드라스 1서
    에스드라스 1서는 기원전 2세기경 디아스포라 유대인이 그리스어로 쓴 70인역 목록의 문헌으로, 동방정교회에서는 2정경으로 인정하나 로마 가톨릭교회에서는 외경으로 분류되며, 역대기 하와 에즈라기 요약본에 '세 위병 이야기'를 더해 야훼의 전능함과 율법 준수를 강조한다.
송시

2. 내용

알프레드 랄프스의 셉투아진타에 포함된 찬가(송가) 목록과 그 출처는 다음과 같다.[3]

제목출처
모세의 첫 번째 송가출애굽기 15:1~19
모세의 두 번째 송가신명기 32:1~43
사무엘의 어머니 안나의 기도사무엘상 2:1~10
하박국의 기도하박국 3:2~19
이사야의 기도이사야 26:9~20
요나의 기도요나 2:3~10
아자리아 기도다니엘 3:26~45 (제2경전 부분)
아자리아의 기도와 세 청년의 노래다니엘 3:52~90 (제2경전 부분)
마니피캇: 하느님의 어머니 마리아의 기도루카 1:46~55
즈가리야의 송가루카 1:68~79
포도원의 노래: 이사야의 가곡이사야 5:1~7
히스기야의 기도이사야 38:10~20
므나쎄의 기도역대하 33:11~13 (제2경전의 별도 책으로도 등장)
눈크 디미티스 (시므온의 기도)루카 2:29~32
대영광송루카 2:14, 시편 35:10-11, 118:12, 144:2


2. 1. 구약성경

알프레드 랄프스가 제시한 구약성경의 송가(찬가)는 다음과 같다.[3]

2. 1. 1. 모세의 노래

출애굽기 15장 1절에서 19절에는 모세의 첫 번째 찬가가 나온다.[3] 신명기 32장 1절에서 43절에는 모세의 두 번째 찬가가 나온다.[3]

2. 1. 2. 사무엘의 어머니 안나의 기도 (사무엘기 상 2:1-10)

자녀를 얻지 못하던 안나가 사무엘을 낳은 후 드린 감사의 기도이다.[3] 사무엘상 2장 1절부터 10절까지에 해당한다.

2. 1. 3. 하박국의 기도 (하박국 3:2-19)

하박국의 기도 (하박국 3:2-19)는 불의한 세상 속에서도 하나님을 신뢰하며 구원을 간구하는 하박국 선지자의 기도를 담고 있다.[3]

2. 1. 4. 이사야의 기도 (이사야 26:9-20)

이사야의 기도는 이사야 26장 9절에서 20절에 해당하며, 하나님의 구원과 심판을 기다리는 선지자의 간절한 마음을 담고 있다.[3]

2. 1. 5. 요나의 기도 (요나 2:3-10)

요나의 기도(요나 2:3-10)는 요나가 큰 물고기 뱃속에서 하나님께 회개하며 구원을 요청하는 내용이다.[3]

2. 1. 6. 포도원의 노래 (이사야 5:1-7)

이사야 5장 1절부터 7절까지의 내용을 담고 있으며, 이사야의 노래이다.[3] 하나님께서 이스라엘을 포도원에 비유하여 그들의 죄악을 책망하시는 내용을 담고 있다.

2. 1. 7. 히스기야의 기도 (이사야 38:10-20)

히스기야가 죽을 병에 걸렸다가 하나님의 은혜로 치유받은 후 드린 감사 기도이다.[3]

2. 2. 외경/제2경전

알프레드 랄프스의 셉투아진타(그리스어판)에는 다음과 같은 외경/제2경전에 속하는 찬가들이 포함되어 있다.[3]

  • 아자리아 기도 (다니엘 3:26–45): 풀무불 속에 던져진 아자리아가 드린 기도로, 개신교에서는 외경으로, 가톨릭에서는 제2경전으로 분류한다.
  • 아자리아의 기도와 세 청년의 노래 (다니엘 3:52~90): 풀무불 속에서 아자리아와 세 친구가 하나님을 찬양하는 노래로, 개신교에서는 외경으로, 가톨릭에서는 제2경전으로 분류한다.
  • 므나쎄의 기도: 유다 왕 므나쎄가 바빌론에 포로로 잡혀갔을 때 드린 회개의 기도로, 개신교에서는 외경으로, 가톨릭에서는 제2경전으로 분류된다.

2. 2. 1. 아자리아 기도 (다니엘 3:26-45)

다니엘 3장 26-45절에 나오는 기도로, 풀무불 속에 던져진 아자리아가 드린 기도이다. 개신교에서는 외경으로, 가톨릭에서는 제2경전으로 분류한다.[3]

2. 2. 2. 아자리아의 기도와 세 청년의 노래 (다니엘 3:52-90)

Ὠιδὴ τῶν τριῶν παίδων|오-데 톤- 트리온- 파이돈-grc은 풀무불 속에서 아자리아와 세 친구가 하나님을 찬양하는 노래이다.[3] 개신교에서는 외경으로, 가톨릭에서는 제2경전으로 분류한다. 다니엘 3장 52~90절에 해당한다.[3]

2. 2. 3. 므나쎄의 기도

므나쎄의 기도는 유다 왕 므나쎄가 바빌론에 포로로 잡혀갔을 때 드린 회개의 기도로, 개신교에서는 외경으로, 가톨릭에서는 제2경전으로 분류된다.[3] 이 기도는 역대하 33장 11~13절에 언급되며 별도의 제2경전 책으로도 등장한다.[3]

2. 3. 신약성경

신약성경에는 하느님을 찬양하는 노래들이 나온다. 주요 찬가들은 다음과 같다.[3]

  • 마니피캇 (Magnificatla, 누가복음 1:46–55): 성모 마리아의 기도
  • 즈가리야의 송가 (Benedictusla, 누가복음 1:68-79)
  • 눈크 디미티스 (Nunc dimittisla, 누가복음 2:29–32): 시메온의 기도
  • 대영광송 (Gloria in excelsis Deola, 누가복음 2:14, 시편 35:10-11, 118:12, 144:2)


이 찬가들은 마리아, 즈가리야, 시메온이 하느님을 찬양하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대영광송예수 탄생을 축하하며 천사들이 부른 노래와 구약 시편 구절들을 조합한 것이다.[3]

2. 3. 1. 마니피캇 (누가복음 1:46-55)

성모 마리아가 천사 가브리엘에게 수태 고지를 받은 후 부른 찬가이다.[3] 마니피캇은 하느님의 어머니 마리아의 기도(누가복음 1:46-55)를 의미한다.[3]

2. 3. 2. 베네딕토의 노래 (누가복음 1:68-79)

Benedictusla는 세례 요한의 아버지 즈가리야가 성령의 감동을 받아 부른 찬가이다.

2. 3. 3. 눈크 디미티스 (누가복음 2:29-32)

눈크 디미티스는 누가복음 2장 29절부터 32절에 나오는 내용으로, 시메온이 아기 예수를 보고 하느님께 드린 감사 기도이다.[3] 시메온의 기도라고도 불린다.

2. 3. 4. 대영광송 (누가복음 2:14, 시편 35:10-11, 118:12, 144:2)

예수 탄생을 축하하며 천사들이 부른 노래와 구약 시편 구절들을 조합한 것이다.[3]

3. 배경

시편들은 목록으로 편찬되기 전에 독립적으로 존재했던 것으로 여겨진다. 가장 오래된 기존의 모음집은 5세기 알렉산드리아 사본에서 발견된다.[2]

3. 1. 초기 기독교의 찬가

3세기 초 로마의 히폴리토스는 세 성자의 노래와 모세의 노래에 대한 설교를 썼다.[1] 4세기에는 유세비우스가 많은 찬송가와 노래가 쓰였다고 보고했다.[1]

3. 2. 알렉산드리아 사본

5세기 알렉산드리아 사본에는 시편 뒤에 14개의 찬가가 덧붙여져 있다. 6세기까지 처음 9개의 찬가 모음집이 주로 유통되었다.[2]

참조

[1] 논문 The Biblical Odes and the Text of the Christian Bible: A Reconsideration of the Impact of Liturgical Singing on the Transmission of the Gospel of Luke http://muse.jhu.edu/[...] 2014
[2] 논문 16 Appendix: the Odes http://dx.doi.org/10[...] 2023-10-25
[3] 서적 Septuagint (Greek Edition) Deutsche Bibelgesellschaft 197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