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직 벡터 다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직 벡터 다발은 매끄러운 다양체 M 위의 매끄러운 올다발 E가 주어졌을 때, 사영 사상의 미분 Tπ의 커널로 정의되는 E 위의 벡터 다발이다. 수직 벡터 다발은 수직 벡터장, 수평 미분 형식, 에레스만 접속 등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아티야 완전열과 같은 중요한 성질을 갖는다. 뫼비우스 띠, 자명한 올다발, 주다발, 벡터 다발 등 다양한 예시에서 수직 벡터 다발을 찾아볼 수 있으며, 틀 다발의 경우 접속 형식, 솔더 형식, 비틀림 형식 등과의 관계를 통해 레비-치비타 접속을 정의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접속 (수학) - 비틀림 텐서
비틀림 텐서는 매끄러운 다양체와 코쥘 접속에 대해 정의되며, 접속의 비대칭성을 나타내는 (1,2)차 텐서장이다. - 접속 (수학) - 스핀 접속
스핀 접속은 매끄러운 다양체에서 필바인과 코쥘 접속을 사용하여 정의되며, 스피너 다발의 접속 성분을 구성하고 일반화된 텐서에 대한 공변 미분을 정의하며, 비틀림이 없는 경우 카르탕의 구조 방정식을 통해 비틀림과 곡률을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 올다발 - 주다발
주다발은 위상 공간을 밑공간으로, 위상군을 올로 가지며, 연속적인 군 작용을 통해 정의되는 올다발로, 위상수학, 미분기하학, 게이지 이론 등에서 활용된다. - 올다발 - 단면 (올다발)
단면은 올다발의 정의를 만족하는 함수로, 함수의 그래프를 일반화한 개념이며, 매끄러운 올다발에서는 매끄러운 단면을 정의할 수 있고, 전역 단면의 존재 여부는 호모토피 이론에서 중요한 연구 대상이다. - 미분위상수학 - 벡터장
벡터장은 유클리드 공간이나 미분다양체의 각 점에 벡터를 대응시키는 사상으로, 유클리드 공간에서는 벡터값 함수로 표현되고 미분다양체에서는 접다발의 단면이나 도함수로 정의되며, 물리학, 기상, 유체역학, 전자기학, 컴퓨터 그래픽스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된다. - 미분위상수학 - 법다발
법다발은 다양체 $M$에 매장된 다양체 $N$의 접다발을 $M$의 접다발로 확장한 몫다발로, 리만 다양체에서는 법선 공간들의 모임으로 정의되며 여법선 다발과 관련이 깊다.
수직 벡터 다발 | |
---|---|
수직 벡터 다발 | |
정의 | 매끄러운 사상 π: E → M에 대한 벡터 다발의 부분다발 |
기호 | V(E) |
다른 이름 | 접벡터 다발의 수직 부분다발 |
설명 | E의 각 올버의 접공간을 취하여 얻어짐 |
관련 개념 | 수평 벡터 다발 벡터 다발 |
참고 문헌 |
2. 정의
매끄러운 다양체 위의 매끄러운 올다발
:
이 주어졌다고 하고, 및 의 각 올이 매끄러운 다양체를 이룬다고 하자. 사영 사상의 미분
:
을 정의할 수 있다. 그렇다면, 위에 다음과 같은 '''수직 벡터 다발''' 를 정의할 수 있다.
:
즉,
:
:
즉, 벡터 다발 의 에서의 올은 의 올의 접공간이다.[2]
dπe가 각 점 ''e''에서 전사적이므로, T''E''의 ''정칙'' 부분다발을 생성한다. 또한, 수직 다발 V''E''는 적분 가능하다.
위의 벡터장 에 대하여, 만약 라면 (즉, 만약 모든 에 대하여 라면) 를 '''수직 벡터장'''(垂直vector場, vertical vector field영어)이라고 한다. 마찬가지로, 위의 차 미분 형식 에 대하여, 만약
:
라면, 를 '''수평 미분 형식'''(水平微分形式, horizontal differential form영어)이라고 한다.
''E'' 위의 에레즈만 접속은 T''E''에서 V''E''에 대한 여부분다발 H''E''를 선택하는 것으로, 이 부분을 접속의 수평 다발이라고 부른다. ''E''의 각 점 ''e''에서, 두 부분 공간은 직합을 형성하여
T''e''''E'' = V''e''''E'' ⊕ H''e''''E''를 만족한다.
2. 1. 수직 벡터 다발
매끄러운 다양체 위의 매끄러운 올다발:
이 주어졌다고 하고, 및 의 각 올이 매끄러운 다양체를 이룬다고 하자. 그렇다면, 사영 사상의 미분
:
을 정의할 수 있다.
위에 다음과 같은 '''수직 벡터 다발''' 를 정의할 수 있다.[2]
:
즉,
:
:
즉, 벡터 다발 의 에서의 올은 의 올의 접공간이다.
dπe가 각 점 ''e''에서 전사적이므로, T''E''의 ''정칙'' 부분다발을 생성한다. 또한, 수직 다발 V''E''는 적분 가능하다.
위의 벡터장 에 대하여, 만약 라면 (즉, 만약 모든 에 대하여 라면) 를 '''수직 벡터장'''(垂直vector場, vertical vector field영어)이라고 한다. 마찬가지로, 위의 차 미분 형식 에 대하여, 만약
:
라면, 를 '''수평 미분 형식'''(水平微分形式, horizontal differential form영어)이라고 한다.
''E'' 위의 에레즈만 접속은 T''E''에서 V''E''에 대한 여부분다발 H''E''를 선택하는 것으로, 이 부분을 접속의 수평 다발이라고 부른다. ''E''의 각 점 ''e''에서, 두 부분 공간은 직합을 형성하여
T''e''''E'' = V''e''''E'' ⊕ H''e''''E''를 만족한다.
2. 2. 수직 벡터장
매끄러운 다양체 위의 매끄러운 올다발 가 주어졌고, 및 의 각 올이 매끄러운 다양체를 이룬다고 하자. 그렇다면, 사영 사상의 미분 을 정의할 수 있다.위에 다음과 같은 '''수직 벡터 다발''' 를 정의할 수 있다.
:
즉,
:
:
즉, 벡터 다발 의 에서의 올은 의 올의 접공간이다.
위의 벡터장 에 대하여, 만약 라면 (즉, 만약 모든 에 대하여 라면) 를 '''수직 벡터장'''(vertical vector field영어)이라고 한다.
2. 3. 수평 미분 형식
3. 성질
수직 벡터 다발의 정의에 따라, 다음과 같은 짧은 완전열이 존재한다.
:
이를 '''아티야 완전열'''(Atiyah完全列, Atiyah exact sequence영어)이라고 한다. 여기서 이다. 이는 벡터 다발의 범주이므로 분할 완전열이지만, 이러한 분할은 추가 데이터 없이는 표준적으로 주어지지 않는다. 위의 에레스만 접속은 이러한 분할을 표준적으로 제시하는 데이터이다.[2]
수직 및 수평 벡터 다발에서는 미분 기하학의 다양한 중요한 텐서와 미분 형식이 특정 속성을 가지며, 심지어 이러한 다발을 사용하여 정의될 수도 있다. 이러한 속성 중 일부는 다음과 같다.
- '''수직 벡터장'''은 수직 벡터 다발에 속하는 벡터장이다. 즉, ''E''의 각 점 ''e''에 대해 이며 는 ''e''에서의 수직 벡터 공간인 벡터 를 선택한다.
- ''E''상의 미분 가능한 r-형식 는 이며, 벡터 중 적어도 하나가 수직 벡터일 때, 이를 '''수평 형식'''이라고 한다.
- 접속 형식은 수평 벡터 다발에서는 0이고 수직 벡터 다발에서만 0이 아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접속 형식은 수평 벡터 다발을 정의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수평 벡터 다발은 접속 형식의 커널이다.
- 솔더 형식 또는 자명한 1-형식은 수직 벡터 다발에서는 0이고 수평 벡터 다발에서만 0이 아니다. 정의에 따라, 솔더 형식은 그 값을 전적으로 수평 벡터 다발에 둔다.
- 틀 다발의 경우, 비틀림 형식은 수직 벡터 다발에서 0이며, 임의의 접속을 레비-치비타 접속으로 변환하기 위해, 즉 비틀림이 없도록 만들기 위해, 접속에 추가해야 하는 정확한 부분을 정의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실제로 솔더 형식을 θ로 표기하면, 비틀림 텐서 Θ는 Θ = D θ (D는 외미분 공변 미분)로 주어진다. 주어진 접속 ω에 대해, T''E''상에 '''컨토션 텐서'''라고 불리는, 수직 벡터 다발에서 0이 되고 ω+σ가 비틀림이 없는 다른 접속 1-형식이 되도록 하는 ''유일한'' 1-형식 σ가 존재한다. 결과적인 1-형식 ω+σ는 레비-치비타 접속과 다름없다. 이를 정의로 사용할 수 있다. 비틀림은 로 주어지므로, 비틀림의 소실은 를 갖는 것과 같으며, σ가 수직 벡터 다발에서 0이 되어야 하고 σ가 각 올에서 ''G''-불변이어야 함을 증명하는 것은 어렵지 않다(보다 정확하게는 σ가 ''G''의 수반 표현으로 변환된다는 것이다). 이는 계량 텐서에 대한 명시적인 언급 없이 레비-치비타 접속을 정의한다(계량 텐서는 솔더 형식의 특수한 경우로 이해될 수 있지만, 이는 밑공간의 접선 다발과 여접선 다발 사이, 즉 틀 다발의 수평 및 수직 부분 공간 사이에 매핑을 설정하기 때문이다).
- ''E''가 주다발인 경우, 기본 벡터장은 필연적으로 수직 벡터 다발에 존재해야 하며, 모든 수평 벡터 다발에서는 0이어야 한다.
3. 1. 아티야 완전열
수직 벡터 다발의 정의에 따라, 다음과 같은 짧은 완전열이 존재한다.:
이를 '''아티야 완전열'''(Atiyah完全列, Atiyah exact sequence영어)이라고 한다. 여기서 이다. 이는 벡터 다발의 범주이므로 분할 완전열이지만, 이러한 분할은 추가 데이터 없이는 표준적으로 주어지지 않는다. 위의 에레스만 접속은 이러한 분할을 표준적으로 제시하는 데이터이다.[2]
3. 2. 에레스만 접속과의 관계
수직 벡터 다발의 정의에 따라, 짧은 완전열:
이 존재한다. 이를 '''아티야 완전열'''(Atiyah完全列, Atiyah exact sequence영어)이라고 한다. (여기서 이다.) 이는 (벡터 다발의 범주이므로) 물론 분할 완전열이지만, 이러한 분할은 (추가 데이터 없이) 표준적으로 주어지지 않는다. 위의 에레스만 접속은 위 분할을 표준적으로 제시하는 데이터이다.
수직 및 수평 벡터 다발에서는 미분 기하학의 다양한 중요한 텐서와 미분 형식이 특정 속성을 가지며, 심지어 이러한 다발을 사용하여 정의될 수도 있다. 이러한 속성 중 일부는 다음과 같다.[2]
- '''수직 벡터장'''은 수직 벡터 다발에 속하는 벡터장이다. 즉, ''E''의 각 점 ''e''에 대해 이며 는 ''e''에서의 수직 벡터 공간인 벡터 를 선택한다.[2]
- ''E''상의 미분 가능한 r-형식 는 이며, 벡터 중 적어도 하나가 수직 벡터일 때, 이를 '''수평 형식'''이라고 한다.[2]
- 접속 형식은 수평 벡터 다발에서는 0이고 수직 벡터 다발에서만 0이 아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접속 형식은 수평 벡터 다발을 정의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수평 벡터 다발은 접속 형식의 커널이다.[2]
- 솔더 형식 또는 자명한 1-형식은 수직 벡터 다발에서는 0이고 수평 벡터 다발에서만 0이 아니다. 정의에 따라, 솔더 형식은 그 값을 전적으로 수평 벡터 다발에 둔다.[2]
- 틀 다발의 경우, 비틀림 형식은 수직 벡터 다발에서 0이며, 임의의 접속을 레비-치비타 접속으로 변환하기 위해, 즉 비틀림이 없도록 만들기 위해, 접속에 추가해야 하는 정확한 부분을 정의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2] 실제로 솔더 형식을 θ로 표기하면, 비틀림 텐서 Θ는 Θ = D θ (D는 외미분 공변 미분)로 주어진다. 주어진 접속 ω에 대해, T''E''상에 '''컨토션 텐서'''라고 불리는, 수직 벡터 다발에서 0이 되고 ω+σ가 비틀림이 없는 다른 접속 1-형식이 되도록 하는 ''유일한'' 1-형식 σ가 존재한다. 결과적인 1-형식 ω+σ는 레비-치비타 접속과 다름없다. 이를 정의로 사용할 수 있다. 비틀림은 로 주어지므로, 비틀림의 소실은 를 갖는 것과 같으며, σ가 수직 벡터 다발에서 0이 되어야 하고 σ가 각 올에서 ''G''-불변이어야 함을 증명하는 것은 어렵지 않다(보다 정확하게는 σ가 ''G''의 수반 표현으로 변환된다는 것이다). 이는 계량 텐서에 대한 명시적인 언급 없이 레비-치비타 접속을 정의한다(계량 텐서는 솔더 형식의 특수한 경우로 이해될 수 있지만, 이는 밑공간의 접선 다발과 여접선 다발 사이, 즉 틀 다발의 수평 및 수직 부분 공간 사이에 매핑을 설정하기 때문이다).[2]
- ''E''가 주다발인 경우, 기본 벡터장은 필연적으로 수직 벡터 다발에 존재해야 하며, 모든 수평 벡터 다발에서는 0이어야 한다.[2]
4. 예시
뫼비우스 띠는 원 위의 선 다발이며, 원은 띠의 중간 고리로 묘사될 수 있다. 띠의 각 점 에서, 사영 사상은 중간 고리로 투영되며, 올은 중간 고리에 수직이다. 이 점에서의 수직 다발 는 올에 대한 접 공간이다.
매끄러운 올 다발의 간단한 예는 두 다양체의 데카르트 곱이다. 다발 사영 pr1 : ''M'' × ''N'' → ''M'' : (''x'', ''y'') → ''x''를 갖는 다발 ''B''1 := (''M'' × ''N'', pr1)을 고려할 때, ''M'' × ''N''의 점 (m,n)을 pr1 아래에서 보면 m이고 m의 역상은 {m} × ''N''이므로 T(m,n) ({m} × ''N'') = {m} × T''N''이다. 수직 다발은 V''B''1 = ''M'' × T''N''이며, 이는 T(''M'' ×''N'')의 부분 다발이다. 다른 사영 pr2 : ''M'' × ''N'' → ''N'' : (''x'', ''y'') → ''y''를 사용하여 올 다발 ''B''2 := (''M'' × ''N'', pr2)를 정의하면 수직 다발은 V''B''2 = T''M'' × ''N''이 된다.
두 경우 모두, 곱 구조는 수평 다발에 대한 자연스러운 선택을 제공하며, 따라서 Ehresmann 연결을 제공한다. ''B''1의 수평 다발은 ''B''2의 수직 다발과 같으며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4. 1. 자명한 올다발
두 매끄러운 다양체 과 가 주어졌고, 를 위의 올다발로 여기면,:
이다. 이 경우,
:
이며, 수직 벡터 다발 는 다음과 같다.
:
이 경우, "수평 벡터 다발" 역시 존재한다. 그러나 이는 임의의 올다발에 대하여 성립하지 않는다.
매끄러운 올 다발의 간단한 예는 두 다양체의 데카르트 곱이다. 다발 사영 pr1 : ''M'' × ''N'' → ''M'' : (''x'', ''y'') → ''x''를 갖는 다발 ''B''1 := (''M'' × ''N'', pr1)을 생각하면, ''M'' × ''N''의 점 (m,n)에서 pr1 아래에서 이 점의 이미지는 m이다. pr1 아래에서 m의 역상은 {m} × ''N''이므로 T(m,n) ({m} × ''N'') = {m} × T''N''이다. 수직 다발은 V''B''1 = ''M'' × T''N''이며, 이는 T(''M'' ×''N'')의 부분 다발이다. 다른 사영 pr2 : ''M'' × ''N'' → ''N'' : (''x'', ''y'') → ''y''를 사용하여 올 다발 ''B''2 := (''M'' × ''N'', pr2)를 정의하면 수직 다발은 V''B''2 = T''M'' × ''N''이 된다.
두 경우 모두, 곱 구조는 수평 다발에 대한 자연스러운 선택을 제공하며, 따라서 Ehresmann 연결을 제공한다. ''B''1의 수평 다발은 ''B''2의 수직 다발과 같으며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4. 2. 주다발
리 군 에 대하여, 가 -주다발이라고 하자. 이 경우, 수직 벡터 다발 는 리 대수 에 대한 자명한 벡터 다발과 동형이다.:
구체적으로, 우선, 임의의 에 대하여, 의 오른쪽 작용을 생성하는 벡터장의 족을
:
:
로 표기하자. 그렇다면, 위 작용이 정추이적 작용이므로, 의 상은 의 수직 벡터 다발 과 같으며, 이는 벡터 다발의 표준적인 동형 사상
:
를 정의한다. (좌변은 올이 인 자명한 벡터 다발이다.)
뫼비우스 띠는 원 위의 선 다발이며, 원은 띠의 중간 고리로 묘사될 수 있다. 띠의 각 점 에서, 사영 사상은 중간 고리로 투영되며, 올은 중간 고리에 수직이다. 이 점에서의 수직 다발 는 올에 대한 접 공간이다.
매끄러운 올 다발의 간단한 예는 두 다양체의 데카르트 곱이다. 다발 사영 pr1 : ''M'' × ''N'' → ''M'' : (''x'', ''y'') → ''x''를 갖는 다발 ''B''1 := (''M'' × ''N'', pr1)을 고려하면, 수직 다발은 V''B''1 = ''M'' × T''N''이며, 이는 T(''M'' ×''N'')의 부분 다발이다. 다른 사영 pr2 : ''M'' × ''N'' → ''N'' : (''x'', ''y'') → ''y''를 사용하여 올 다발 ''B''2 := (''M'' × ''N'', pr2)를 정의하면 수직 다발은 V''B''2 = T''M'' × ''N''이 된다.
두 경우 모두, 곱 구조는 수평 다발에 대한 자연스러운 선택을 제공하며, 따라서 Ehresmann 연결을 제공한다. ''B''1의 수평 다발은 ''B''2의 수직 다발과 같으며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4. 3. 벡터 다발
매끄러운 다양체 위의 매끄러운 벡터 다발 이 주어졌을 때, 의 수직 벡터 다발은 스스로의 당김 와 표준적으로 동형이다.[3]:
뫼비우스 띠는 원 위의 선 다발이며, 원은 띠의 중간 고리로 묘사될 수 있다. 띠의 각 점 에서, 사영 사상은 중간 고리로 투영되며, 올은 중간 고리에 수직이다.
매끄러운 올 다발의 간단한 예는 두 다양체의 데카르트 곱이다. 다발 사영 pr1 : ''M'' × ''N'' → ''M'' : (''x'', ''y'') → ''x''를 갖는 다발 ''B''1 := (''M'' × ''N'', pr1)을 고려하면, 수직 다발은 V''B''1 = ''M'' × T''N''이며, 이는 T(''M'' ×''N'')의 부분 다발이다. 다른 사영 pr2 : ''M'' × ''N'' → ''N'' : (''x'', ''y'') → ''y''를 사용하여 올 다발 ''B''2 := (''M'' × ''N'', pr2)를 정의하면 수직 다발은 V''B''2 = T''M'' × ''N''이 된다.
두 경우 모두, 곱 구조는 수평 다발에 대한 자연스러운 선택을 제공하며, 따라서 Ehresmann 연결을 제공한다. ''B''1의 수평 다발은 ''B''2의 수직 다발과 같으며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4. 4. 뫼비우스 띠
뫼비우스 띠는 원 위의 선 다발이며, 원은 띠의 중간 고리로 묘사될 수 있다. 띠의 각 점 에서, 사영 사상은 중간 고리로 투영되며, 올은 중간 고리에 수직이다. 이 점에서의 수직 다발 는 올에 대한 접 공간이다.
매끄러운 올 다발의 간단한 예는 두 다양체의 데카르트 곱이다. 다발 사영 pr1 : ''M'' × ''N'' → ''M'' : (''x'', ''y'') → ''x''를 갖는 다발 ''B''1 := (''M'' × ''N'', pr1)을 고려할 때, ''M'' × ''N''의 점 (m,n)을 pr1 아래에서 보면 m이고 m의 역상은 {m} × ''N''이므로 T(m,n) ({m} × ''N'') = {m} × T''N''이다. 수직 다발은 V''B''1 = ''M'' × T''N''이며, 이는 T(''M'' ×''N'')의 부분 다발이다. 다른 사영 pr2 : ''M'' × ''N'' → ''N'' : (''x'', ''y'') → ''y''를 사용하여 올 다발 ''B''2 := (''M'' × ''N'', pr2)를 정의하면 수직 다발은 V''B''2 = T''M'' × ''N''이 된다.
두 경우 모두, 곱 구조는 수평 다발에 대한 자연스러운 선택을 제공하며, 따라서 Ehresmann 연결을 제공한다. ''B''1의 수평 다발은 ''B''2의 수직 다발과 같으며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5. 추가 성질 (틀 다발)
접속 형식은 수평 벡터 다발에서는 0이고 수직 벡터 다발에서만 0이 아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접속 형식은 수평 벡터 다발을 정의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수평 벡터 다발은 접속 형식의 커널이다.[2] 솔더 형식은 수직 벡터 다발에서는 0이고 수평 벡터 다발에서만 0이 아니다. 솔더 형식은 그 값을 전적으로 수평 벡터 다발에 둔다.[2]
틀 다발의 경우, 비틀림 형식은 수직 벡터 다발에서 0이며, 임의의 접속을 레비-치비타 접속으로 변환하기 위해, 즉 비틀림이 없도록 만들기 위해, 접속에 추가해야 하는 부분을 정의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2] 솔더 형식을 θ로 표기하면, 비틀림 텐서 Θ는 Θ = D θ (D는 외미분 공변 미분)로 주어진다.[2] 주어진 접속 ω에 대해, ''TE''상에 컨토션 텐서라고 불리는, 수직 벡터 다발에서 0이 되고 ω+σ가 비틀림이 없는 다른 접속 1-형식이 되도록 하는 유일한 1-형식 σ가 존재한다.[2] 결과적인 1-형식 ω+σ는 레비-치비타 접속과 다름없다.[2] 비틀림은 \( \Theta = D\theta = d\theta + \omega \wedge \theta \)로 주어지므로, 비틀림의 소실은 \( d\theta = - (\omega +\sigma) \wedge \theta \)를 갖는 것과 같다.[2]
리 군 \(G\)에 대하여, \( \pi\colon E\twoheadrightarrow M \)가 \(G\)-주다발인 경우, 기본 벡터장은 수직 벡터 다발에 존재하며, 모든 수평 벡터 다발에서는 0이어야 한다.[2]
5. 1. 접속 형식과의 관계
접속 형식은 수평 벡터 다발에서는 0이고 수직 벡터 다발에서만 0이 아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접속 형식은 수평 벡터 다발을 정의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수평 벡터 다발은 접속 형식의 커널이다.[2] 솔더 형식은 수직 벡터 다발에서는 0이고 수평 벡터 다발에서만 0이 아니다. 솔더 형식은 그 값을 전적으로 수평 벡터 다발에 둔다.[2]틀 다발의 경우, 비틀림 형식은 수직 벡터 다발에서 0이며, 임의의 접속을 레비-치비타 접속으로 변환하기 위해, 즉 비틀림이 없도록 만들기 위해, 접속에 추가해야 하는 부분을 정의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2] 솔더 형식을 θ로 표기하면, 비틀림 텐서 Θ는 Θ = D θ (D는 외미분 공변 미분)로 주어진다.[2] 주어진 접속 ω에 대해, ''TE''상에 컨토션 텐서라고 불리는, 수직 벡터 다발에서 0이 되고 ω+σ가 비틀림이 없는 다른 접속 1-형식이 되도록 하는 유일한 1-형식 σ가 존재한다.[2] 결과적인 1-형식 ω+σ는 레비-치비타 접속과 다름없다.[2] 비틀림은 로 주어지므로, 비틀림의 소실은 를 갖는 것과 같다.[2]
5. 2. 솔더 형식과의 관계
솔더 형식은 수직 벡터 다발에서는 0이고 수평 벡터 다발에서만 0이 아니다.[2] 정의에 따라, 솔더 형식은 그 값을 전적으로 수평 벡터 다발에 둔다.틀 다발의 경우, 비틀림 형식은 수직 벡터 다발에서 0이다.[2] 비틀림 텐서 Θ는 외미분 공변 미분 D를 사용하여 Θ = Dθ (여기서 θ는 솔더 형식)로 주어진다. 주어진 접속 ω에 대해, 컨토션 텐서라고 불리는 유일한 1-형식 σ가 존재한다. 이 텐서는 수직 벡터 다발에서 0이 되고, ω + σ가 비틀림이 없는 또 다른 접속 1-형식이 되도록 한다.[2] 이 1-형식 ω + σ는 레비-치비타 접속과 같다. 비틀림은 \(\Theta = D\theta = d\theta + \omega \wedge \theta\)로 주어지므로, 비틀림이 없다는 것은 \(d\theta = - (\omega +\sigma) \wedge \theta\)를 만족하는 것과 같다.[2]
5. 3. 레비-치비타 접속과의 관계
틀 다발의 경우, 비틀림 형식은 수직 벡터 다발에서 0이며, 임의의 접속을 레비-치비타 접속으로 변환하기 위해, 즉 비틀림이 없도록 만들기 위해, 접속에 추가해야 하는 정확한 부분을 정의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2] 실제로 솔더 형식을 θ로 표기하면, 비틀림 텐서 Θ는 Θ = D θ (D는 외미분 공변 미분)로 주어진다. 주어진 접속 ω에 대해, T''E''상에 '''컨토션 텐서'''라고 불리는, 수직 벡터 다발에서 0이 되고 ω+σ가 비틀림이 없는 다른 접속 1-형식이 되도록 하는 ''유일한'' 1-형식 σ가 존재한다. 결과적인 1-형식 ω+σ는 레비-치비타 접속과 다름없다. 비틀림은 로 주어지므로, 비틀림의 소실은 를 갖는 것과 같으며, σ가 수직 벡터 다발에서 0이 되어야 하고 σ가 각 올에서 ''G''-불변이어야 함을 증명하는 것은 어렵지 않다(보다 정확하게는 σ가 ''G''의 수반 표현으로 변환된다는 것이다). 이는 계량 텐서에 대한 명시적인 언급 없이 레비-치비타 접속을 정의한다.[2]5. 4. 기본 벡터장과의 관계 (주다발)
리 군 에 대하여, 가 -주다발인 경우, 기본 벡터장은 수직 벡터 다발에 존재하며, 모든 수평 벡터 다발에서는 0이어야 한다.[2]참조
[1]
서적
Gauge Theory and Variational Principles
https://zulfahmed.fi[...]
Addison-Wesely Publishing Company
1981
[2]
서적
Natural Operations in Differential Geometry
http://www.emis.de/m[...]
Springer-Verlag
1993
[3]
서적
Natural operations in differential geometry
http://www.emis.de/m[...]
Springer-Verlag
199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