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스즈야 (모가미급 중순양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즈야는 일본 제국 해군의 모가미급 중순양함 중 하나로, 1936년 취역했다. 태평양 전쟁 개전 당시 제7전대에 소속되어 말레이 해전, 네덜란드령 동인도 작전 등에 참전했다. 이후 솔로몬 해전, 마리아나 해전, 레이테 만 해전에 참여했으며, 1944년 10월 사마르 해전에서 미군의 공격으로 침몰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34년 선박 - MS 유틀란디아
    MS 유틀란디아는 1934년 덴마크에서 건조되어 제2차 세계 대전 중 군사적 목적으로 사용되다 6·25 전쟁에 덴마크 병원선으로 참전하여 대한민국에 의료 지원을 제공한 선박이다.
  • 1934년 선박 - 독일 장갑함 그라프슈페
    아드미랄 그라프 슈페는 막시밀리안 폰 슈페 제독의 이름을 딴 독일 해군의 장갑함으로, 강력한 무장과 방어력을 갖추고 제2차 세계 대전 초 통상 파괴 작전에 투입되었으나 라플라타 해전 후 자침되었다.
  • 요코스카 해군공창에서 건조된 선박 - 야마시로 (전함)
  • 요코스카 해군공창에서 건조된 선박 - 지하야 (통보함)
    지하야는 러일 전쟁 당시 일본 제국 해군이 노획한 러시아 함정을 개조하여 해군병학교 연습함으로 사용한 군함으로, 러일 전쟁과 제1차 세계 대전 등에 참전 후 노후화로 매각되었다.
스즈야 (모가미급 중순양함) - [배(Ship)]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스즈야 시운전 중인 모습 (다테야마 앞바다, 1937년 8월 18일)
스즈야 시운전 중인 모습 (다테야마 앞바다, 1937년 8월 18일)
함명스즈야 (鈴谷)
함명 유래스즈야 강 (가라후토)
함종2등 순양함 (경순양함 → 중순양함)
급별모가미급 순양함
건조요코스카 해군 공창
연혁
발주①계획 (1931년도)
기공1933년 12월 11일
진수1934년 11월 20일
준공1937년 10월 31일
최후1944년 10월 25일, 사마르 해전 중 침몰 45.2
제적1944년 12월 20일
원래 비용24,833,950 엔
제원 (1941년 기준)
기준 배수량12,000톤
공시 배수량13,887톤
전장200.6 m
최대 폭20.2 m
흘수5.9 m
기관로호 함본식 보일러 8기
주기관함본식 터빈 4기 4축
출력154,000 마력 (신조 시 공시 성적)
속력35.5 노트 (신조 시 공시 성적)
항속 거리14노트로 8,032 해리 (신조 시 공시 성적)
연료중유 2,243톤 (신조 시 실측치)
승무원준공 시 정원 874명
무장 (준공 시)
주포60구경 3년식 15.5cm 3연장포 5기
고각포40구경 89식 12.7cm 연장 고각포 4기
기총96식 25mm 고각기총 4기
대공기총93식 13mm 연장 기총 2기
어뢰 발사관산소 어뢰 61cm 3연장 4기
무장 (주포 환장 후)
주포50구경 20.3cm 연장포 5기
고각포40구경 89식 12.7cm 연장 고각포 4기
기총96식 25mm 고각기총 4기
대공기총93식 13mm 연장 기총 2기
어뢰 발사관산소 어뢰 61cm 3연장 4기
장갑
현측100 mm
탄약고140 mm
갑판35 - 60 mm
탑재기
항공기영식 수상 정찰기 1기
영식 관측기 2기 (1942년 6월 25일 정수)
영식 수상 정찰기 3기 (1기는 94식 수상 정찰기 12형으로 대용 가능) (1942년 6월 25일 정수-)
발진 설비캐터펄트 2기

2. 함력

일본 해군은 노후화된 구식 함선을 대체하기 위해 모가미, '''스즈야''', 미쿠마, 구마노 4척을 건조하기로 했다.[18] 제4함대 사건으로 인해 모가미급의 선체 강도에 문제가 있다는 것이 밝혀져 선체 설계가 개정되었고, 이에 따라 스즈야는 1번함, 2번함과 선체 형상에 차이가 있어 스즈야형으로 분류되기도 한다.[11] 보일러 역시 초기 2척과 달리 중유 전용 8기로 변경되었다.

1937년 준공된 스즈야태평양 전쟁 개전 시 제7전대에 소속되어 여러 해전에 참전했다. 1942년 4월, 인도양 작전에서 벵골 만 통상 파괴 작전에 참여하여 상선 격침에 기여했고, 6월 미드웨이 해전에는 지원 부대로 참가했다. 미드웨이 해전 당시 미쿠마와 모가미의 충돌 사고가 발생했으나, 스즈야는 직접적인 피해를 입지 않았다.

1942년 8월, 과달카날 전투가 시작되면서 솔로몬 제도로 이동한 스즈야는 제2차 솔로몬 해전, 남태평양 해전, 제3차 솔로몬 해전에 참가했다. 제3차 솔로몬 해전에서는 헨더슨 비행장 포격 임무를 수행했으나, 미군 항공기의 공격으로 키누가사가 침몰하고 쵸카이 등이 손상되는 피해를 입었다.

1943년에는 뉴조지아 전투와 라바울 공습에 참가했으며, 1944년 마리아나 해전에서는 미 해군 함재기의 공격을 받고 오키나와섬으로 퇴각했다. 1944년 10월, 레이테 만 해전의 사마르 해전에서 스즈야는 미 해군 호위 항공모함과 교전 중 어벤저 뇌격기의 공격을 받고 산소 어뢰가 유폭되어 침몰했다.[3]

2. 1. 건조 배경



중순양함 개조 후의 선체 일러스트


일본 제국 해군은 노후화된 경순양함들을 대체하기 위해 모가미, 미쿠마, '''스즈야''', 구마노 총 4척의 모가미급 경순양함을 건조하기로 계획하였다.[18] 이 중 스즈야는 3번함으로, 요코스카 해군 공창에서 건조되었다.[23]

1934년 11월 20일, 쇼와 천황이 직접 참석한 가운데 스즈야의 진수식이 거행되었다.[26][27][28] 이는 당시 군함 건조가 일본 제국에게 얼마나 중요한 일이었는지를 보여주는 사례이다.

하지만 건조 과정에서 제4함대 사건이 발생하여 모가미급 선체의 강도에 문제가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36] 이에 따라 선체 설계가 변경되었고, 스즈야는 1번함 모가미, 2번함 미쿠마와 선체 형태가 약간 달라져 '스즈야급'으로 분류되기도 한다.[11] 보일러 역시 중유 전소 보일러 대형 8기로 변경되어, 초기 2척과 차이를 보였다.

1933년 8월 1일에 '스즈야'로 명명되었으며,[9] 같은 날 2등 순양함 모가미형으로 분류되었다.[19] 1934년 12월 11일, 스즈야는 요코스카 해군 공창에서 기공되었다.[22][23]

스즈야 진수 후, 1935년 9월 하순에 발생한 제4함대 사건으로 인해 스즈야는 최종 장비 공사를 중단하고 성능 개선에 들어갔다.[36] 1936년 10월 31일, 스즈야는 준공되었다.[23][39] 1937년 12월 1일, 모가미급 순양함 4척으로 제7전대가 편성되었다.

1938년 12월 15일, 스즈야는 주포 교체 공사를 위해 예비함으로 지정되었다.[39] 1939년 1월, 요코스카 해군 공창에서 15.5cm 주포를 20cm포로 교체하는 공사가 시작되었고,[41] 9월 30일에 완료되었다.[42] 11월 15일, 스즈야는 다시 제7전대에 편입되었다.[39]

2. 2. 태평양 전쟁 이전

1934년 11월 20일 요코스카 해군 공창에서 진수되었으며, 히로히토 천황이 참석한 가운데 진수식이 거행되었다. 1937년 10월 31일에 정식으로 취역했지만, 현역으로 투입되는 대신 즉시 드라이 도크로 돌아가 주포를 20cm/50 3년식 함포를 장착한 중순양함 형식으로 업그레이드하는 개조 작업을 거쳤다.[3] 이 개조 작업은 1939년 9월 30일에 완료되었으며, 이후 자매함인 ''모가미'', ''미쿠마'', ''구마노''와 함께 구레 해군 구역의 제2 함대 제7 순양전대에 배속되었다.

1939년 1월 5일, 구레 해군 항에 정박해 있는 ''스즈야''. 전함 ''후소''에서 촬영.


함장 기무라 마사토미의 지휘 아래 ''스즈야''는 프랑스-태국 전쟁의 코창 해전 이후 무력 시위의 일환으로 1941년 1월 23일에 파견되었다.[4] 이후 구레로 귀환하여 정비를 받은 후, 6월까지 일본 본토 해역에서 훈련 및 연습에 참가했다. 1941년 7월부터는 하이난섬에 위치한 전진 기지에서 일본과 비시 프랑스 당국 간의 항공 시설 및 항구 사용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진 후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코친차이나 점령에 참여했다.

2. 3. 태평양 전쟁

1942년 8월 22일, 제7전대는 제3함대와 합류했다.[84] 제7전대는 제11전대(전함 《히에이》, 《키리시마》)나 제8전대(토네, 치쿠마)와 함께 전위 부대로서 미군의 공격을 통보하고 급습하는 역할을 맡았다. 8월 24일 제2차 솔로몬 해전에서 기동 부대 전위는 전황에 관여하지 않았다.[85] 9월에는 솔로몬 제도에서 활동했다.[86]

10월 11일, 기동 부대 전위는 트럭 정박지를 출격했다.[87] 10월 13일, 구마노에서 기관 고장이 잇따라 10월 18일에 제7전대 기함을 스즈야로 변경했다.[88][89] 10월 26일 남태평양 해전에서 스즈야는 아베 히로키 소장(기함 히에이)을 지휘관으로 하는 기동 부대 전위에 편성되어 미군기(항공모함 엔터프라이즈, 호넷 함재기)와 교전했다.[93] 전위 부대에 도래한 미군기의 대다수는 중순양함 3척(치쿠마, 토네, 스즈야)을 집중 공격했고, 치쿠마가 대파되었다.[94] 스즈야는 어뢰 공격을 회피하는 데 성공했고,[95] 10월 30일 트럭 정박지로 귀환했다.[96]

11월 2일, 손상된 함선들은 일본 본토로 향했고,[97][98] 제7전대는 미카와 군이치 제8함대 사령장관의 외남양 부대에 편입되었다.[99] 11월 5일 쇼트랜드 제도에 진출한 니시무라 사령관은 외남양 부대 지원대(중순양함 2척(스즈야, 마야), 경순양함《텐류》, 구축함 4척)의 지휘관이 되었다.[101] 지원대는 비행장 포격 준비를 실시했고,[102] 스즈야와 마야는 쵸카이, 키누가사로부터 20cm 주포탄 0식탄을 보충받았다.[103]

제3차 솔로몬 해전에서 일본군은 과달카날 섬에 대한 대규모 수송 작전과 비행장 기지 포격을 동시에 실시하기로 했다.[104][105] 11월 13일, 지원대(스즈야, 마야, 텐류, 유구모, 카제구모, 마키구모) 및 미카와 장관 직솔의 주대는 쇼트랜드 정박지를 출격했다.[103] 같은 날 심야, 스즈야와 마야는 과달카날 섬 해역에 돌입하여 헨더슨 비행장 포격을 감행(스즈야 504발, 마야 485발 발사)했다.[107][108][103] 하지만 비행장의 기능을 완전히 빼앗을 수는 없었고,[103] 14일 낮, 뉴조지아 섬 남방 해면에서 미군 엔터프라이즈 함재기의 공습을 받아 키누가사가 침몰하고 쵸카이, 마야, 이스즈 3척이 손상되었다.[111][103][112]

11월 16일, 연합군은 파푸아뉴기니의 부나에 상륙 작전을 감행했고(부나와 고나의 전투)[113][114], 외남양 부대 각 함은 라바울・뉴기니 방면으로 전용되었다.[115][113] 12월 2일, 지원대(스즈야, 마야, 아리아케, 유구레)는 쇼트랜드 정박지에 진출하여 과달카날 섬으로 향하는 구축함 수송 작전을 지원했다.[117][118] 12월 6일, 제7전대 기함은 스즈야에서 구마노로 변경되었다.[120][118]

이후 제7전대(구마노, 스즈야)는 솔로몬 제도에서의 수송 임무나 지원 행동, 뉴아일랜드 섬의 카비엥 주변 경계 임무에 종사했다.[121][122][123] 1943년 1월 4일, 스즈야는 트럭 섬으로 이동했다가,[126][127] 1월 7일 내지로 향해[128] 12일에 구레에 도착했다.[130] 2월 4일, 다시 트럭 섬으로 출발하여[131] 2월 10일 도착했다.[132] 3월 22일, 구마노 기관 고장으로 기함은 다시 스즈야로 변경되었고,[135] 3월 24일 구레로 출발하여[136][137] 29일 도착했다.[136]

2. 3. 1. 초반

1934년 11월 20일 스즈야 진수식에는 쇼와 천황이 참석하였다.[3] 태평양 전쟁 개전 당시 스즈야는 구리타 다케오 소장의 제7전대에 소속되어 말레이 작전, 네덜란드령 동인도 작전에 참가하였다.[45][46]

1942년 2월 하순, 란령 작전에 참가 중이던 제7전대는 서부 자바 공략 부대와 제3호위대를 지원하게 되었다.[47] 2월 27일, ABDA 함대(연합군 함대)가 출현하자, 하라 겐자부로 제5수뢰전대 사령관은 남하 공격을 결의했다.[47] 그러나 구리타 사령관은 하라의 지령을 무시했고, 제7전대와 제5수뢰전대는 전문을 주고받는 일이 벌어졌다.[47] 연합 함대 사령부가 중재에 나설 정도였으며, 이후 구리타 소장은 스즈야와 구마노를 이끌고 전투 해역을 떠나 적절히 행동했고, 바타비아 해전 (3월 1일)에는 제2소대 (미쿠마, 모가미)가 참가했다.[47]

4월 1일부터 스즈야는 인도양 작전의 일환으로 통상 파괴 작전에 종사했다.[50] 제7전대는 구리타 소장 직솔의 북방 부대(구마노, 스즈야, 시라구모), 미쿠마 함장 지휘의 남방 부대(미쿠마, 모가미, 아마기리)로 분할되어 벵골 만에서 활동하며[51], 중앙대(초카이, 유라, 류호, 유기리, 아사기리)와 함께 상선 다수를 격침시켰다.[52][53]

4월 1일부터 버마 메르귀에 주둔한 제7 순양전대(CruDiv 7)는 제4 순양전대와 합류하여 인도양 습격에 참여했다.[3] ''미쿠마'', ''모가미''와 구축함 天霧|아마기리일본어는 분리되어 "남부 부대"를 구성하여 벵골 만에서 상선을 사냥했고, ''스즈야'', ''구마노'' 및 구축함 潮風|시오카제일본어는 북부 지역을 담당했다. 그 후 몇 주 동안, 북부 부대는 4,986톤 미국 상선 ''익스무어'', 7,621톤 영국 화물선 ''오토클리쿠스'', 9,066톤 영국 화물선 ''말다'' 및 2,440톤 영국 화물선 ''신쿠앙''을 격침했다고 주장했다.[5] 총 20척이 넘는 선박이 벵골 만에 머무는 동안 격침되었다.

2. 3. 2. 미드웨이 해전

1942년 6월, 스즈야는 미드웨이 해전에 지원 부대로 참가했다.[193] 연합 함대 사령장관 야마모토 이소로쿠 제독은 제7 구축대에게 미드웨이 섬 포격을 명령했다. 제7 구축대와 제8 구축대는 섬에서 약 659.83km 떨어진 곳에서 35kn의 고속으로 접근했으나, 바다가 거칠어 구축함들이 뒤처지면서 21시 20분에 명령이 취소되었다. 이 과정에서 제7 구축대는 미국 잠수함 의 어뢰 사정거리 안에 들어갔고, ''구마노''가 이를 발견했다. ''구마노''는 어뢰 공격 회피를 위해 45° 동시 우현 선회를 신호했고, ''스즈야''는 정확히 수행했지만, ''미쿠마''는 90° 선회를 하는 실수를 범했다. 뒤따르던 ''모가미''는 ''미쿠마''의 움직임을 보지 못하고 45° 선회하여 ''미쿠마''의 좌현을 들이받는 충돌 사고가 발생했다. 두 척의 함선은 심각한 손상을 입었다.[193] ''스즈야''는 6월 23일 구레로 귀환했고, 제7 구축대는 일본 제국 해군 제3 함대로 전속되었다.[193]

2. 3. 3. 과달카날 전투

1942년 8월, 과달카날 전투가 시작되면서 ''스즈야''는 솔로몬 제도로 이동하여 제2차 솔로몬 해전, 산타 크루즈 해전, 제3차 솔로몬 해전 등에 참가했다.[3]

11월 초, ''스즈야''는 미카와 군이치 중장의 제8함대에 합류하여 11월 14일 과달카날 섬의 헨더슨 비행장 포격에 참여했다. ''스즈야'', 마야, 텐류, 초카이, 키누가사, 이스즈와 구축함 카자구모, 마키구모, 미치시오, 유구모, 아사시오, 아라시오는 203mm 포탄 989발을 비행장에 발사했다. 그러나 미군의 강력한 저항으로 큰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철수 중 키누가사는 격침되고 초카이와 마야는 피해를 입었다.

2. 3. 4. 뉴조지아 전투

1943년 뉴조지아 전투에 참가하여 콜롬방가라 해전에서 미국 해군과 교전하였다.[212]

2. 3. 5. 라바울 공습

1943년 11월, 부겐빌 섬 상륙을 저지하기 위해 라바울로 이동했으나, 미군의 대규모 공습을 받아 큰 피해를 입었다.[2]

2. 3. 6. 마리아나 해전

1944년 6월 13일, 연합함대 사령장관 도요다 소에무 제독은 마리아나 제도 방어를 위한 "A-Go" 작전을 발동했다. 스즈야는 구리타 다케오 제독의 "C 부대"에 배속되었는데, 이 부대에는 전함 야마토, 무사시와 항공모함 즈이호, 치요다, 치토세, 그리고 순양함 아타고, 다카오, 마야, 초카이, 구마노, 지쿠마, 도네, 노시로가 포함되어 있었다.[4]

이후, 기동부대의 항공기들은 사이판 해역에서 미국 제58기동부대를 공격했으나, "마리아나의 칠면조 사격"에서 압도적인 손실을 입었다.[4] 6월 20일 20시 30분, 미국 항공모함에서 발진한 그루먼 TBM 어벤저의 어뢰 공격을 받은 지 두 시간 후, 히요가 폭발하여 침몰했다.[4] 그날 밤, ''스즈야''는 일본 함대의 잔여 세력과 함께 오키나와섬으로 퇴각했다.[4]

2. 3. 7. 레이테 만 해전

1944년 10월, 스즈야는 레이테 만 해전에 참가하여 사마르 해전에서 미 해군과 교전했다. 브루나이에 집결한 일본 함대는 필리핀에 대한 미국의 침공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출격했다.[3] 사마르 해전에서 스즈야는 미 해군 제77.4 기동 부대의 호위 항공모함 3척과 교전했으나, 10대의 TBM 어벤저 뇌격기의 공격을 받았다. 근접 폭발로 인해 좌현 프로펠러가 파괴되었다.[3]

이후 30대의 항공모함 함재기의 추가 공격을 받았는데, 또 다른 근접 폭발로 인해 스즈야에 탑재된 롱 랜스 어뢰 1번 어뢰관이 폭발했다. 이로 인해 다른 화재가 발생하고 우현 엔진실과 7번 보일러실이 손상되었다.[3] 결국 스즈야는 11시 50분에 포기되었고, 13시 22분에 침몰했다.[3] 구축함 오키나미는 테라오카 함장과 401명의 승무원을 구조했고, 이후 미 해군 군함들이 더 많은 수병들을 구조했다.[3]

스즈야1944년 12월 20일해군 함정 목록에서 삭제되었다. 아직 발견되지는 않았지만, 스즈야의 잔해는 수심 약 8412.48m 깊이에 있는 것으로 추정되며, 이는 기록상 가장 깊은 곳에 있는 난파선 중 하나이다.[3]

3. 동형함

모가미, 미쿠마, 스즈야, 구마노

참조

[1] 서적 Japanese Warships of World War II
[2] 서적 Naval Weapons of World War Two
[3] 서적 Cruisers of World War Two
[4] 서적 Japanese Heavy Cruisers of World War Two
[5] 웹사이트 Allied Merchant Ship Losses in the Pacific and Southeast Asia https://warfare.gq/d[...] 1999–2000
[6] 문서 捷号詳報(比島方面決戦)(6)
[7] 문서
[8] 문서 6月25日
[9] 문서 達昭和8年8月(1)
[10] 문서 海軍制度沿革(巻8、1940)
[11] 문서 艦艇類別等級表(昭和15年12月25日)
[12] 문서 幕末以降帝国軍艦写真と史実
[13] 문서 ハンディ判艦艇写真集12
[14] 문서 海軍制度沿革(巻8、1940)
[15] 문서 幕末以降帝国軍艦写真と史実
[16] 문서 海軍制度沿革(巻8、1940)
[17] 문서 ポケット海軍年鑑(1937)
[18] 문서 昭和9年度海軍予算査定資料
[19] 문서 海軍制度沿革(巻8、1940)
[20] 문서 日本空母物語
[21] 문서 日本空母物語
[22] 문서 ハンディ判艦艇写真集12
[23] 문서 艦船要目(昭和15年12月25日)
[24] 간행물 昭和9年11月20日(火)海軍公報 第2326号 아시아역사자료센터
[25] 간행물 昭和9年11月21日(水)海軍公報 第2327号 아시아역사자료센터
[26] 문서 我等の横須賀
[27] 문서 軍艦進水の件 昭和9年11月20日
[28] 뉴스 昭和9年11月22日官報第2369号 https://dl.ndl.go.jp[...] 국립국회도서관 디지털컬렉션 1934-11-22
[29] 문서 昭和天皇実録六巻
[30] 문서 ハンディ判艦艇写真集12
[31] 문서 ハンディ判艦艇写真集12
[32] 뉴스 昭和9年11月21日(水)官報第2368号 https://dl.ndl.go.jp[...] 국립국회도서관 디지털컬렉션 1934-11-21
[33] 문서 日本空母物語
[34] 문서 艦船要目公表範囲(昭和17年6月30日)
[35] 간행물 昭和9年12月8日(土)海軍公報 第2341号 아시아역사자료센터
[36] 문서 ハンディ判艦艇写真集12
[37] 간행물 昭和10年10月11日(金)官報第2634号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38] 간행물 昭和11年3月7日(土)官報第2752号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39] 문서 ハンディ判艦艇写真集12
[40] 문서 寄贈物品受納に関する件
[41] 문서 ハンディ判艦艇写真集12
[42] 문서 ハンディ判艦艇写真集12
[43] 문서 紀元二千六百年特別観艦式・第三章
[44] 문서 熊野 (重巡洋艦)#戦隊行動調書
[45] 문서 戦場の将器
[46] 문서 十人提督(下)
[47] 문서 太平洋戦争の提督たち
[48] 문서 戦場の将器
[49] 문서 戦場の将器
[50] 문서 S1704七戦隊日誌(1)
[51] 문서 戦隊行動調書
[52] 문서 十人提督(下)
[53] 문서 戦場の将器
[54] 문서 S1704七戦隊日誌(1)
[55] 문서 戦場の将器
[56] 문서 戦隊行動調書
[57] 문서 太平洋戦争の提督たち
[58] 문서 十人提督(上)
[59] 문서 太平洋の試練(下)
[60] 문서 重巡洋艦戦記
[61] 문서 重巡洋艦戦記
[62] 문서 重巡最上出撃せよ
[63] 문서 太平洋戦争の提督たち
[64] 문서 太平洋の試練(下)
[65] 문서 ニミッツの太平洋海戦史
[66] 문서 戦場の将器
[67] 문서 戦場の将器
[68] 문서 重巡洋艦戦記
[69] 문서 証言ミッドウェー海戦(文庫)
[70] 문서 戦場の将器
[71] 서적 木村艦長あえて軍律違反を犯す
[72] 문서
[73] 문서
[74] 문서
[75] 간행물 昭和17年6月25日(発令6月25日付)海軍辞令公報(部内限)第889号 C13072085900
[76] 문서
[77] 서적 機動部隊(3F)の進出
[78] 문서
[79] 문서
[80] 문서
[81] 문서
[82] 문서
[83] 문서
[84] 문서
[85] 서적 第二次ソロモン海戦
[86] 문서
[87] 문서
[88] 문서
[89] 서적
[90] 문서
[91] 서적
[92] 문서
[93] 서적 支援部隊の編制
[94] 서적 筑摩」の損傷」
[95] 서적
[96] 문서
[97] 서적 兵力の再編制
[98] 문서
[99] 문서
[100] 문서
[101] 서적 七日の輸送
[102] 문서
[103] 서적 鈴谷、摩耶」のガ島飛行場砲撃と「衣笠」の喪失
[104] 서적
[105] 서적
[106] 문서 ニミッツの太平洋海戦史
[107] 문서 S1709十八戦隊日誌(6)
[108] 문서 S1704七戦隊日誌(5)
[109] 문서 叢書83ガ島戦
[110] 문서 ニミッツの太平洋海戦史
[111] 문서 戦場の将器
[112] 문서 S1704七戦隊日誌(5)
[113] 문서 叢書83ガ島戦
[114] 문서 ニミッツの太平洋海戦史
[115] 문서 S1704七戦隊日誌(5)
[116] 문서 S1704七戦隊日誌(5)
[117] 문서 叢書83ガ島戦
[118] 문서 S1704七戦隊日誌(5)
[119] 문서 叢書83ガ島戦
[120] 문서 戦隊行動調書
[121] 문서 S1704七戦隊日誌(5)
[122] 문서 S1704七戦隊日誌(5)
[123] 문서 S1704七戦隊日誌(5)
[124] 문서 叢書83ガ島戦
[125] 문서 S1704七戦隊日誌(5)
[126] 문서 S1801七戦隊日誌(1)
[127] 문서 S1801七戦隊日誌(1)
[128] 문서 S1801七戦隊日誌(1)
[129] 문서 S1801佐伯防備隊日誌(2)
[130] 문서 S1801七戦隊日誌(1)
[131] 문서 S1801七戦隊日誌(1)
[132] 문서 S1801七戦隊日誌(1)
[133] 문서 S1801七戦隊日誌(1)
[134] 문서 S1801七戦隊日誌(2)
[135] 문서 S1801七戦隊日誌(2)
[136] 문서 S1801七戦隊日誌(2)
[137] 문서 S1801七戦隊日誌(2)
[138] 문서 S1801七戦隊日誌(2)
[139] 문서 ニミッツの太平洋海戦史
[140] 문서 S1704七戦隊日誌(6)
[141] 書적 ニミッツの太平洋海戦史
[142] 書적 戦隊行動調書
[143] 서적 S1704七戦隊日誌(6)
[144] 서적 S1704七戦隊日誌(6)
[145] 서적 S1704七戦隊日誌(6)
[146] 서적 S1805四水戦日誌(2)
[147] 서적 S1704七戦隊日誌(7)
[148] 서적 S1704七戦隊日誌(7)
[149] 서적 ニミッツの太平洋海戦史
[150] 서적 S1709第八艦隊日誌(8)
[151] 서적 S1704七戦隊日誌(7)
[152] 서적 S1704七戦隊日誌(7)
[153] 서적 戦隊行動調書
[154] 서적 S1704七戦隊日誌(7)
[155] 서적 S1704七戦隊日誌(7)
[156] 서적 S1704七戦隊日誌(7)
[157] 서적 S1704七戦隊日誌(7)
[158] 서적 ニミッツの太平洋海戦史
[159] 서적 S1709第八艦隊日誌(8)
[160] 서적 S1704七戦隊日誌(7)
[161] 서적 戦隊行動調書
[162] 서적 S1704七戦隊日誌(7)
[163] 서적 S1704七戦隊日誌(7)
[164] 서적 S1704七戦隊日誌(7)
[165] 서적 戦隊行動調書
[166] 서적 ニミッツの太平洋海戦史
[167] 서적 第八戦隊日誌(7)
[168] 서적 第八戦隊日誌(7)
[169] 서적 第八戦隊日誌(7)
[170] 서적 第八戦隊日誌(8)
[171] 서적 第八戦隊日誌(7)
[172] 서적 S1806二水戦日誌(5)
[173] 서적 第八戦隊日誌(8)
[174] 서적 第八戦隊日誌(8)
[175] 서적 S1712五戦隊日誌(3)
[176] 서적 重巡洋艦戦記
[177] 서적 ニミッツの太平洋海戦史
[178] 문서 S1806二水戦日誌(6)
[179] 문서 S1806二水戦日誌(5)
[180] 문서 S1806二水戦日誌(5)
[181] 문서 第八戦隊日誌(7)
[182] 서적 ニミッツの太平洋海戦史
[183] 문서 第八戦隊日誌(7)
[184] 서적 重巡洋艦戦記
[185] 문서 第八戦隊日誌(8)
[186] 문서 S1812熊野日誌(1)
[187] 문서 S1812熊野日誌(1)
[188] 문서 戦隊行動調書
[189] 문서 S1812熊野日誌(1)
[190] 문서 S1812熊野日誌(1)
[191] 문서 S1812熊野日誌(1)
[192] 문서 S1812熊野日誌(2)
[193] 문서 戦隊行動調書
[194] 문서 第八戦隊日誌(8)
[195] 문서 S1812熊野日誌(2)
[196] 문서 S1812熊野日誌(2)
[197] 문서 戦隊行動調書
[198] 문서 S1812熊野日誌(3)
[199] 문서 S1812熊野日誌(3)
[200] 간행물 昭和19年3月25日(発令3月25日付)海軍辞令公報(部内限)第1388号 p.1 https://www.jacar.ar[...]
[201] 문서 戦隊行動調書
[202] 서적 重巡洋艦戦記
[203] 서적 重巡洋艦戦記
[204] 문서 S1905熊野日誌(2)
[205] 서적 重巡最上出撃せよ
[206] 문서 S1905熊野日誌(2)
[207] 문서 S1905熊野日誌(2)
[208] 서적 重巡洋艦戦記
[209] 서적 佐藤 艦長続編(文庫)
[210] 문서 S1905熊野日誌(3)
[211] 문서 捷号日誌(3)第七戦隊
[212] 문서 鈴谷 (重巡洋艦)#捷号詳報(比島方面決戦)(6)
[213] 문서 捷号日誌(3)第七戦隊
[214] 서적 重巡十八隻
[215] 문서 S1910鈴谷詳報
[216] 문서 捷号日誌(3)第七戦隊
[217] 문서 捷号詳報(比島方面決戦)(6)
[218] 문서 捷号詳報(比島方面決戦)(6)
[219] 문서 S1910利根詳報(1)
[220] 서적 重巡洋艦戦記
[221] 서적 重巡洋艦戦記
[222] 서적 ニミッツの太平洋海戦史
[223] 문서 捷号詳報(比島方面決戦)(6)
[224] 문서 重巡最上出撃せよ
[225] 문서 捷号詳報(比島方面決戦)(6)
[226] 서적 重巡洋艦戦記
[227] 문서 S1910鈴谷詳報
[228] 서적 重巡十八隻
[229] 문서 捷号詳報(比島方面決戦)(6)
[230] 문서 S士官の手記続編
[231] 문서 重巡最上出撃せよ
[232] 문서 捷号詳報(比島方面決戦)(6)
[233] 문서 捷号詳報(比島方面決戦)(6)
[234] 서적 重巡洋艦戦記
[235] 문서 捷号詳報(比島方面決戦)(6)
[236] 문서 捷号詳報(比島方面決戦)(6)
[237] 문서 S1910鈴谷詳報
[238] 문서 捷号詳報(比島方面決戦)(6)
[239] 문서 S1910鈴谷詳報
[240] 서적 重巡十八隻
[241] 문서 S1910鈴谷詳報
[242] 문서 捷号詳報(比島方面決戦)(6)
[243] 서적 重巡洋艦戦記
[244] 문서 捷号詳報(比島方面決戦)(6)
[245] 서적 サイパン・レイテ海戦記
[246] 문서 p.30『1105|鈴谷舟首方向ニテ發射管室爆發 野分警戒ニ當ル』〔註:野分は誤認〕
[247] 문서 p.35『1110|鈴谷魚雷誘爆スルヲ認ム、鈴谷警戒ノ為同艦ニ近寄ル』
[248] 문서 p.5『1102|鈴谷左二〇度ニテ爆発ス』
[249] 문서 p.55『二五1105(司令官)10S(宛略)雪風ハ鈴谷ノ救助ニ當レ』
[250] 문서 p.5『1102|(司令官)10S|雪風|鈴谷ノ救助ニ當レ』
[251] 문서 p.32『一一三〇|沖波→鈴谷通報利根「我貴船ノ周リヲ警戒ス」』
[252] 문서 p.36『1150|(司令官)7S乗艦(旗艦変更)』
[253] 문서 ".43『(二)鈴谷ハ旗艦任務中至近弾ニヨル火災ノ為魚雷大誘爆後航行不能トナリ火災擴大被害累増シ一三二二沈没 艦長以下四一五名ハ沖波ニ収容セラレ「マニラ」ニ到着セリ』"
[254] 문서 p.32『一一四〇|鈴谷左舷魚雷誘爆大火災沖波救助ニ當ル (司令官)7S→鈴谷「速ニ総員退去セヨ」』
[255] 문서 p.36『1214|(司令官)7S→沖波雪風 發光「利根ノ短艇ヲ使用シ極力人員ヲ救助シタル後「カッター」艇員ヲ収容シ來レ』
[256] 문서 p.56『二五1140(司令官)10S→雪風|皈レ』
[257] 서적 『静かなる最期』
[258] 문서 p.33『一二一四|(司令官)利根→沖波「沈ミサウデナイトキハ最後ニ魚雷ヲ以テ處分シ来レ」』
[259] 문서 p.7『一三二〇|沈没生存者ノ大部沖波ニ救助セラル』
[260] 문서 p.16『(二)被害 (1)被銃撃被爆撃並ニ沈没ニ依ル人員ノ被害 戰死 准士官以上三、下士官兵八七 戦傷准士官以上一、下士官兵六八 行方不明准士官以上三四、下士官兵五三〇』
[261] 문서 p.18『…尚、此ノ時炎上中ノdヲ更ニ砲撃セントシアリシ鈴谷ハ敵fb三機ノ攻撃ヲ受ケ發射管附近至近弾ノ為火災、魚雷誘爆シ航行不能沖波ハ鈴谷警戒ヲ命ゼラレシ竝ニ艦隊ト分離單艦行動トナル(艦隊ハ燃料不足、敵KDBノ南北ヨリ協議、「レイテ」突入時機失等ノ理由及GF長官ヨリノ命ニ依リ反轉「パラワン」経由昭南ニ向フ)鈴谷沈没後約六時間ニ亘ル救助作業ヲナス』
[262] 문서 p.20『沖波機銃員ノ被害多ク鈴谷、利根ノ乗員ノ積極協力勇戰ニ依リ難関突破成功』
[263] 문서 p.20『(利根乗員十一名中戰死四名(田中大尉述)』
[264] 문서 p.45『(五)基地派遣水偵隊「ラグマン」基地皈投後ノ現状(十月二十八日)』
[265] 문서 p.18『(イ)艦隊ニハ上空直衛ヲ必ズ配スルヲ要シ水上艦艇ハ水上戦斗機ヲ搭載スルヲ可ト認ム』
[266] 서적 400頁
[267] 문서 p.3『(方面)北比|(地區)マニラ|(所轄)鈴谷|(進出期日)(編制期日)一九四四.一〇.二五|(員數)二〇五』
[268] 문서 p.33『内令第一三六九號(軍極秘)|横須賀鎮守府在籍 軍艦 愛宕 軍艦 鳥海 軍艦 摩耶 軍艦 多摩 軍艦 能代 軍艦 千代田|呉鎮守府在籍 軍艦 鬼怒 軍艦 最上 軍艦 鈴谷|佐世保鎮守府在籍 軍艦 阿武隈 軍艦 瑞鳳 軍艦 千歳|右帝國軍艦籍ヨリ除カル|昭和十九年十二月二十日 海軍大臣』
[269] 간행물 昭和11年12月2日(水)官報第2976号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1936-12-02
[270] 간행물 昭和12年7月12日(月)官報第3156号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1937-07-12
[271] 간행물 昭和12年12月1日(発令12月1日付)海軍辞令公報(号外)第99号 https://www.jacar.ar[...]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937-12-01
[272] 간행물 昭和13年11月15日(発令11月15日付)海軍辞令公報(部内限)号外第261号 https://www.jacar.ar[...]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938-11-15
[273] 간행물 昭和14年11月15日(発令11月15日付)海軍辞令公報(部内限)第402号 https://www.jacar.ar[...]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939-11-15
[274] 간행물 昭和15年10月15日(発令10月15日付)海軍辞令公報(部内限)第543号 https://www.jacar.ar[...]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940-10-15
[275] 간행물 昭和17年11月25日(発令11月24日付)海軍辞令公報(部内限)第996号 https://www.jacar.ar[...]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942-11-25
[276] 간행물 昭和18年9月6日(発令9月4日付)海軍辞令公報(部内限)第1208号 https://www.jacar.ar[...]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943-09-06
[277] 간행물 昭和19年9月1日(発令8月29日付)海軍辞令公報(甲)第1581号 https://www.jacar.ar[...]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944-09-01
[278] 간행물 昭和19年11月15日(発令11月6日付)海軍辞令公報(甲)第1644号 https://www.jacar.ar[...]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944-11-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