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스펙트럼 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펙트럼 열은 아벨 범주의 대상에 두 개의 정수 등급을 부여하여 정의되는 일련의 대상과 사상으로 구성된다. 이는 호몰로지 또는 코호몰로지 계산에 사용되며, 완전쌍이나 사슬 복합체의 여과로부터 유도된다. 스펙트럼 열은 여러 페이지로 구성되며, 각 페이지는 대상들의 행렬 형태로 표현된다. 스펙트럼 열은 수렴, 퇴화, 곱셈 구조, 변 사상 등의 개념을 갖는다. 스펙트럼 열은 세르 스펙트럼 열, 아티야-히르체브루흐 스펙트럼 열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위상수학 및 대수기하학에서 널리 사용된다. 이 개념은 장 르레에 의해 처음 도입되었으며, 이후 장피에르 세르, 알렉산더 그로텐디크 등에 의해 발전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호몰로지 대수학 - 미분 등급 대수
    미분 등급 대수는 체 위의 등급 대수와 미분의 순서쌍으로, 대수적 위상수학 및 호모토피 이론에서 활용되며, 등급 대수에 차수, 라이프니츠 규칙, 멱영성을 만족하는 미분을 추가하여 정의됩니다.
  • 호몰로지 대수학 - 가환 그림
    가환 그림은 대상, 사상, 경로 또는 합성으로 이루어진 구조로, 대수학에서 사상의 종류를 화살표 기호로 나타내고 점선 화살표로 사상의 존재성을 표시하며, 부분 다각형 그림이 가환적일 때 전체 그림이 가환적이라고 정의되고, 범주론에서 함자로 해석되며 호몰로지 대수학에서 사상의 성질 증명에 활용된다.
스펙트럼 열

2. 정의

아벨 범주 \mathcal C의 대상들이 두 개의 정수 등급(grading) (p,q) \in \mathbb Z^2을 가진다고 할 때, '''(코호몰로지) 스펙트럼 열''' E^{p,q}_r은 다음 요소들로 이루어진다.


  • 어떤 정수 r_0 \in \mathbb Z
  • 모든 r \ge r_0에 대하여, \mathcal C의 대상 E_r^{p,q}
  • 공경계 사상 d_r^{p,q} \colon E_r^{p,q} \to E_r^{p+r,q+1-r}


이들은 다음 성질을 만족한다.

  • 모든 정수 r \ge r_0에 대하여, d_r \circ d_r = 0이다.

::\cdots \to E_r^{p-2r,q-2+2r} \xrightarrow{d_r} E_r^{p-r,q-1+r} \xrightarrow{d_r} E_r^{p,q} \xrightarrow{d_r} E_r^{p+r,q+1-r} \xrightarrow{d_r} E_r^{p+2r,q+2-2r} \to \cdots

  • H(E^{p,q}_r) = \ker d_r^{p,q} / \operatorname{im} d_r^{p-r,q-1+r} \cong E^{p,q}_{r+1}이다.


'''호몰로지 스펙트럼 열'''은 E^r_{p,q}로 쓰고, 공경계 사상 대신 경계 사상 \partial_r \colon E^r_{p,q} \to E^r_{p-r,q-1+r}을 사용한다.

코호몰로지 스펙트럼 수열 E_2^{p,q}의 형상화


스펙트럼 열은 보통 주어진 r에 대한 2차원 행렬들로 표현한다. 즉, 스펙트럼 열은 "쪽"이 r_0, r_0+1, \dots인 "책"과 같으며, r \ge r_0번째 쪽에는 (p,q)로 지표화된 2차원 행렬이 있다.

아벨 범주를 고정하고, 예를 들어 위 가군 범주와 음이 아닌 정수 r_0를 고정하면, '''코호몰로지 스펙트럼 열'''은 대상 E_r과 자기 준동형사상 d_r \colon E_r \to E_r의 수열 \{E_r, d_r\}_{r \ge r_0}이며, 다음을 만족한다.

# d_r \circ d_r = 0

# E_{r+1} \cong H_*(E_r, d_r) (d_r에 대한 E_r의 호몰로지)

보통 동형사상은 생략하고 E_{r+1} = H_*(E_r, d_r)로 쓴다. E_r는 '시트', '페이지', '항' 등으로 불리고, d_r는 '경계 사상' 또는 '미분'으로 불린다. E_{r+1}E_r의 '도출된 대상'이라고도 한다.

스펙트럼 열은 주로 ''R'' 위 이중 등급 가군 범주(또는 환층 위 가군 )에서 발생하며, 모든 시트는 이중 등급 R-가군 E_r = \bigoplus_{p,q \in \mathbb{Z}^2} E_r^{p,q}이다.

이 경우 코호몰로지 스펙트럼 열은 이중 등급 R-가군 \{E_r^{p,q}\}_{p,q}의 수열 \{E_r, d_r\}_{r \ge r_0}이고, 각 가군에 대해 차수 (r, 1-r)인 엔도몰피즘 직합 d_r = (d_r^{p,q} \colon E_r^{p,q} \to E_r^{p+r,q-r+1})_{p,q \in \mathbb{Z}^2}가 존재하며, 다음이 성립한다.

# d_r^{p+r,q-r+1} \circ d_r^{p,q} = 0

# E_{r+1} \cong H_*(E_r, d_r)

''보완 차수'' 표기법에서 E_r^{d,q} (d = p + q, ''총 차수'')로 쓰기도 한다. 첫 시트 경계 사상은 ''r'' = 0, 1, 2에 해당 차수를 가질 수 있다. (예: 그로텐디크 스펙트럼 열은 ''r''0 = 2). 비등급 상황에서 ''r''0는 관련 없다.

사슬 복합체에서 감소/증가 순서로 발생하는데, 후자는 E_r^{p,q}E^r_{p,q}로, d_r^{p,q} \colon E_r^{p,q} \to E_r^{p+r,q-r+1}d^r_{p,q} \colon E^r_{p,q} \to E^r_{p-r,q+r-1} (이중 차수 (-r, r-1))로 바꿔 코호몰로지와 유사하게 '''호몰로지 스펙트럼 열'''을 정의한다.

코호몰로지 스펙트럼 열의 네 페이지


빨간색 화살표는 제1 사분면 수열(예: 스펙트럼 열#제1 사분면 시트)을 나타내며, 제1 사분면 객체만 0이 아니다. 페이지를 넘기면서 모든 미분 정의역/공역이 0이 된다.

코호몰로지 스펙트럼 열 집합은 범주를 이룬다. 스펙트럼 열 사상 f \colon E \to E'은 미분과 호환되는 사상 f_r \colon E_r \to E'_r 모음이다. 즉, f_r \circ d_r = d'_r \circ f_r이며, ''E'', ''E' '' ''r''번째 단계 코호몰로지와 ''(r+1)''번째 시트 사이 주어진 동형 사상과 호환된다. f_{r+1}(E_{r+1}) = f_{r+1}(H(E_r)) = H(f_r(E_r)). 이중 계수 경우, 사상은 계수를 존중한다: f_r(E_r^{p,q}) \subset {E'_r}^{p,q}.

2. 1. 수렴과 퇴화

스펙트럼 열 E_r^{p,q}이 주어졌을 때, 각 (p,q)에 대해 다음 조건을 만족하는 정수 r_0(p,q)가 존재한다고 가정한다.

  • d_r^{p-r,q+r+1}=0\qquad\forall r\ge r_0(p,q)
  • d_r^{p,q}=0\qquad\forall r\ge r_0(p,q)


그러면 주어진 (p,q)에 대하여 E^{p,q}_r는 충분히 큰 r에 대하여 같아진다. 이를 E^{p,q}_\infty라고 하고, E_r^{p,q}가 '''여과 지표'''(濾過指標, filtration index영어) p에 대하여 E^{p,q}_\infty로 '''수렴'''(收斂, converge영어, abut영어)한다고 한다. 이는 기호로 다음과 같이 적는다.

:E^{p,q}_r\Rightarrow_p E^{p,q}_\infty

보통 E^{p,q}_\infty여과 F^\bullet E^n_\infty가 갖추어져 있는 대상 E^n_\infty으로부터 다음과 같이 얻어진다.

:E^{p,q}_\infty=\frac{F^p E^{p+q}_\infty}{F^{p+1}E^{p+q}_\infty}

이 경우 마찬가지로 다음과 같이 표기한다.

:E^{p,q}_r\Rightarrow_p E^n_\infty

스펙트럼 열 E_r^{p,q}이 주어졌을 때, 만약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정수 r_0가 존재한다면, E_r^{p,q}r_0에서 '''퇴화'''(退化, degenerate영어)한다고 한다.

:d_r^{p,q}=0\qquad\forall p,q\in\mathbb Z,\;r\ge r_0

스펙트럼 열이 퇴화하는 것은 스펙트럼 열이 수렴하는 것보다 더 강한 조건이다.

스펙트럼 열 E_r^{p,q}E_\infty^{p,q}에 '''수렴'''하거나, 가까워진다(abuts to)는 것은 어떤 ''r''(''p'', ''q'')가 존재하여 모든 ''r'' ≥ ''r''(''p'', ''q'')에 대해 미분 d_r^{p-r,q+r-1}d_r^{p,q}이 영 사상이라는 것을 말한다. 이 때, 큰 ''r''에 대해 필연적으로 E_r^{p,q}E_\infty^{p,q}와 동형이다.

:E_r^{p,q} \Rightarrow_p E_\infty^{p,q}

''p''는 여과 지표를 나타낸다. 보통 수렴의 좌변에 E_2^{p,q} 항을 쓰는데, 이는 대부분의 스펙트럼 열에서 가장 유용한 항이기 때문이다.

E_\infty 항은 자연스럽게 이중 차수 붙은 대상이 되지 않는다. 그 대신 E_\infty^n 항에는 자연스러운 여과 F^\bullet E_\infty^n이 있는 경우가 많다. 이 상황에서는 E_\infty^{p,q} = \mbox{gr}_p E_\infty^{p+q} = F^pE_\infty^{p+q}/F^{p+1}E_\infty^{p+q}로 설정한다. 이 경우에도 수렴을 앞서와 마찬가지로 정의하지만, 이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표기한다.

:E_r^{p,q} \Rightarrow_p E_\infty^n

위 식은 ''p'' + ''q'' = ''n''인 경우에 E_r^{p,q}E_\infty^{p,q}에 수렴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수렴을 결정할 수 있는 가장 간단한 상황은 스펙트럼 열이 퇴화할 때이다. 스펙트럼 열이 '''시트 r에서 퇴화'''한다는 것은 임의의 ''s'' ≥ ''r''에 대해 미분 ''ds''가 영 사상임을 말한다. 이것은 ''Er'' ≅ ''E''''r''+1 ≅ ''E''''r''+2 ≅ ...임을 의미한다. 특히, ''Er''는 ''E''와 동형이 된다.

2. 2. 제1 사분면 스펙트럼 열

'''제1 사분면 스펙트럼 열'''(第一四分面spectrum列, first-quadrant spectral sequence영어)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스펙트럼 열이다.

  • p<0 또는 q<0이면 E^{p,q}_r=0


즉, 모든 쪽에서 성분이 오직 제1 사분면에서만 영 대상이 아닌 스펙트럼 열이다. r번째 쪽에서 성분이 제1 사분면에만 존재한다면 그 다음에 오는 모든 쪽에서도 마찬가지이므로, 이 조건은 첫 번째 쪽에서만 확인하면 된다.

제1 사분면 스펙트럼 열은 항상 수렴한다. 구체적으로, 코호몰로지 및 호몰로지 스펙트럼 열에서 다음이 성립한다.

:E^{p,q}_\infty=E^{p,q}_{\max\{p+1,q+2\}} (코호몰로지)

:E_{p,q}^\infty=E_{p,q}^{\max\{p+1,q+2\}} (호몰로지)

이는 r>p이고 r>q+1인 모든 i\geq 0에 대해 E_{r+i}^{p,q} = E_r^{p,q}가 성립하여, E_r^{p,q}값이 일정하게 유지되기(에봇) 때문이다.

2. 2. 1. 코호몰로지 제1 사분면 스펙트럼 열

제1 사분면 코호몰로지 스펙트럼 열

:E^{p,q}_2\Rightarrow_p E_\infty^{p+q}

이 주어졌다고 하자. 셋째 쪽의 처음 몇 성분들은 다음과 같다.

:\left|\underline{\begin{matrix}

\vdots&\vdots&\vdots&\vdots\\

E^{0,2}_3&E^{1,2}_3&E^{2,2}_3&E^{3,2}_3&\cdots\\

E^{0,1}_3&E^{1,1}_3&E^{2,1}_3&E^{3,1}_3&\cdots\\

E^{0,0}_3&E^{1,0}_3&E^{2,0}_3&E^{3,0}_3&\cdots

\end{matrix}}\right.

\qquad=\qquad\left|\underline{\begin{matrix}

\vdots&\vdots&\vdots&\vdots\\

\ker d_2^{0,2}&\ker d_2^{1,2}&\tfrac{\ker d_2^{2,2}}{\operatorname{im}d_2^{0,3}}&\tfrac{\ker d_2^{3,2}}{\operatorname{im}d_2^{1,3}}&\cdots\\

\ker d_2^{0,1}&\ker d_2^{1,1}&\tfrac{\ker d_2^{2,1}}{\operatorname{im}d_2^{0,2}}&\tfrac{\ker d_2^{3,1}}{\operatorname{im}d_2^{1,2}}&\cdots\\

E^{0,0}_2&E^{1,0}_2&\operatorname{coker}d_2^{0,1}&\operatorname{coker}d_2^{1,1}&\cdots

\end{matrix}}\right.



넷째 쪽의 처음 몇 성분들은 다음과 같다.

:\left|\underline{\begin{matrix}

\vdots&\vdots&\vdots&\vdots\\

E^{0,2}_4&E^{1,2}_4&E^{2,2}_4&E^{3,2}_4&\cdots\\

E^{0,1}_4&E^{1,1}_4&E^{2,1}_4&E^{3,1}_4&\cdots\\

E^{0,0}_4&E^{1,0}_4&E^{2,0}_4&E^{3,0}_4&\cdots

\end{matrix}}\right.

\qquad=\qquad\left|\underline{\begin{matrix}

\vdots&\vdots&\vdots&\vdots\\

\ker d_3^{0,2}&\ker d_3^{1,2}&\ker d_3^{2,2}&\tfrac{\ker d^{3,2}_3}{\operatorname{im}d^{0,4}_3}&\cdots\\

\ker d_2^{0,1}&\ker d_2^{1,1}&\tfrac{\ker d_2^{2,1}}{\operatorname{im}d_2^{0,2}}&\operatorname{coker}d_3^{0,3}&\cdots\\

E^{0,0}_2&E^{1,0}_2&\operatorname{coker}d_2^{0,1}&\operatorname{coker}d_3^{0,2}&\cdots

\end{matrix}}\right.



즉, 이 스펙트럼 열은 다음과 같은 성분들로 수렴한다.

:\left|\underline{\begin{matrix}

\vdots&\vdots&\vdots&\vdots\\

E^{0,2}_\infty&E^{1,2}_\infty&E^{2,2}_\infty&E^{3,2}_\infty&\cdots\\

E^{0,1}_\infty&E^{1,1}_\infty&E^{2,1}_\infty&E^{3,1}_\infty&\cdots\\

E^{0,0}_\infty&E^{1,0}_\infty&E^{2,0}_\infty&E^{3,0}_\infty&\cdots

\end{matrix}}\right.

\qquad=\qquad\left|\underline{\begin{matrix}

\vdots&\vdots&\vdots&\vdots\\

\ker d_3^{0,2}&\ker d_3^{1,2}&\ker d_3^{2,2}&\tfrac{\ker d^{3,2}_3}{\operatorname{im}d^{0,4}_3}&\cdots\\

\ker d_2^{0,1}&\ker d_2^{1,1}&\tfrac{\ker d_2^{2,1}}{\operatorname{im}d_2^{0,2}}&\operatorname{coker}d_3^{0,3}&\cdots\\

E^{0,0}_2&E^{1,0}_2&\operatorname{coker}d_2^{0,1}&\operatorname{coker}d_3^{0,2}&\cdots

\end{matrix}}\right.



수렴한 성분들이 E_\infty^\bullet여과에 의하여 주어진다고 하자.

:E_\infty^{p,q}=\frac{F^pE_\infty^{p+q}}{F^{p+1}E_\infty^{p+q}}

그렇다면 다음이 성립한다.

:E_2^{1,0}\cong E_\infty^{1,0}=\frac{F^1E_\infty^1}{F^2E_\infty^1}=F^1E_\infty^1

:\ker d_2^{0,1}\cong E_\infty^{0,2}=\frac{F^0E_\infty^1}{F^1E_\infty^1}=\frac{E_\infty^1}{F^1E_\infty^1}

:\operatorname{coker} d_2^{0,1}\cong E_\infty^{2,0}=\frac{F^2E_\infty^2}{F^3E_\infty^2}=F^2E_\infty^2

따라서, 다음과 같은 열을 적을 수 있다.

:0\to E_2^{1,0}\cong F^1E_\infty^1\hookrightarrow E_\infty^1\to \frac{E_\infty^1}{F^1E_\infty^1}

\cong \ker d_2^{0,1}\hookrightarrow E_2^{0,1}\xrightarrow{d_2^{0,1}} E_2^{2,0} \twoheadrightarrow\operatorname{coker} d_2^{0,1} \cong F^2 E^2_\infty \hookrightarrow E^2_\infty

여기서 \ker d_2^{0,1}\operatorname{coker} d_2^{0,1}을 생략하면, 다음과 같은 완전열을 얻는다.

:0\to E_2^{1,0}\to E_\infty^1\to E_2^{0,1}\xrightarrow{d_2^{0,1}} E_2^{2,0}\to E^2_\infty

이를 '''5항 완전열'''(五項完全列, five-term exact sequence영어)이라고 한다.

모든 p가 어떤 p_0보다 작고 모든 q가 어떤 q_0보다 작은 경우 E_r^{p,q}는 0이 되는 스펙트럼 열을 고려해 보자. p_0q_0를 0으로 선택할 수 있다면, 이를 '''제1사분면 스펙트럼 열'''이라고 부른다.

이 수열은 r>p이고 r>q+1인 모든 i\geq 0에 대해 E_{r+i}^{p,q} = E_r^{p,q}가 성립하므로 에봇한다. 이를 확인하려면 고려된 경우에 미분의 정의역 또는 공역이 0이라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시각적으로 보면, 시트는 커지는 직사각형 내에서 안정화된다. 그러나 미분 매핑이 한 번에 모두 0이 아닐 수 있으므로 스펙트럼 열이 퇴화될 필요는 없다. 마찬가지로, E_r^{p,q}가 모든 p가 어떤 p_0보다 크고 모든 q가 어떤 q_0보다 큰 경우 0이 되면 스펙트럼 열도 수렴한다.

2. 2. 2. 호몰로지 제1 사분면 스펙트럼 열

수렴하는 제1 사분면 호몰로지 스펙트럼 열

:E^2_{p,q}\Rightarrow_p E^\infty_{p+q}

이 주어졌다고 하고, 수렴한 성분들이 E^\infty_\bullet여과에 의하여 주어진다고 하자.

:E^\infty_{p,q}=\frac{F_pE^\infty_{p+q}}{F_{p-1}E^\infty_{p+q}}

그렇다면, 스펙트럼 열의 처음 몇 성분은 다음과 같다.

:E^2_{1,0}\cong E^\infty_{1,0}=\frac{F_1E_1^\infty}{F_0E_1^\infty}=\frac{E_1^\infty}{F_0E_1^\infty}

:\ker\partial^2_{2,0}\cong E_{2,0}^\infty =\frac{F_2E^\infty_2}{F_1E^\infty_2} =\frac{E^\infty_2}{F_1E^\infty_2}

:\operatorname{coker}\partial^2_{2,0}\cong E_{0,1}^\infty=\frac{F_0E_\infty^2}{F_{-1}E_\infty^2}=F_0E_\infty^2

따라서, 다음과 같은 열을 적을 수 있다.

:E_2^\infty \twoheadrightarrow \frac{E^\infty_2}{F_1E^\infty_2}\cong\ker\partial^2_{2,0}

\hookrightarrow E_{2,0}^2\xrightarrow{\partial^2_{2,0}} E_{0,1}^2\twoheadrightarrow\operatorname{coker}\partial^2_{2,0}\cong F_0E_1^\infty\hookrightarrow E_1^\infty \twoheadrightarrow\frac{E_1^\infty}{F_0E_1^\infty}\cong E_{1,0}^2\to 0

여기서 \ker\partial^2_{2,0}\operatorname{coker}\partial^2_{2,0}을 생략하면, 다음과 같은 5항 완전열을 얻는다.

:E_2^\infty \to E_{2,0}^2\xrightarrow{\partial^2_{2,0}} E_{0,1}^2\to E_1^\infty \to E_{1,0}^2\to 0

모든 p가 어떤 p_0보다 작고 모든 q가 어떤 q_0보다 작은 경우 E_r^{p,q}는 0이 되는 스펙트럼 열을 고려해 보자. p_0q_0를 0으로 선택할 수 있다면, 이를 제1사분면 스펙트럼 열이라고 부른다.

이 수열은 r>p이고 r>q+1인 모든 i\geq 0에 대해 E_{r+i}^{p,q} = E_r^{p,q}가 성립하므로 에봇한다. 이를 확인하려면 고려된 경우에 미분의 정의역 또는 공역이 0이라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3. 구성

어떤 아벨 범주 \mathcal C의 대상들이 두 개의 정수 등급(grading) (p,q)\in\mathbb Z^2을 가진다고 할 때, '''(코호몰로지) 스펙트럼 열''' E^{p,q}_r은 다음과 같은 대상들로 이루어진다.


  • 어떤 정수 r_0\in\mathbb Z
  • 모든 r\ge r_0에 대하여, \mathcal C의 대상 E_r^{p,q}
  • 공경계 사상 d_r^{p,q}\colon E_r^{p,q}\to E_r^{p+r,q+1-r}


이들은 다음을 만족시킨다.

  • 모든 정수 r\ge r_0에 대하여, d_r\circ d_r=0이다.

::\cdots\to E_r^{p-2r,q-2+2r}\xrightarrow{d_r}E_r^{p-r,q-1+r}\xrightarrow{d_r}E_r^{p,q}\xrightarrow{d_r}E_r^{p+r,q+1-r}\xrightarrow{d_r}E_r^{p+2r,q+2-2r}\to\cdots

  • H(E^{p,q}_r) = \ker d_r^{p,q} / \operatorname{im}d_r^{p-r,q-1+r}\cong E^{p,q}_{r+1}이다.


'''호몰로지 스펙트럼 열'''의 경우 대신 E^r_{p,q}로 쓰고, 이 경우 공경계 사상 대신 경계 사상 \partial_r\colon E^r_{p,q}\to E^r_{p-r,q-1+r}을 사용한다.

보통 스펙트럼 열은 주어진 r에 대한 일련의 2차원 행렬들로 형상화한다. 즉, 스펙트럼 열은 "쪽"이 r_0,r_0+1,\dots인 "책"을 이루며, 책의 r\ge r_0번째 쪽에는 (p,q)에 의하여 지표화된 2차원 행렬이 수록되어 있다.

스펙트럼 열은 보통 완전쌍이나 사슬 복합체의 여과로부터 발생한다.

3. 1. 완전쌍

스펙트럼 열을 구성하는 방법 중 윌리엄 매시의 완전쌍을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완전쌍은 특히 대수적 위상수학에서 자주 사용된다.

완전쌍은 아벨 범주를 사용하여 정의한다. 여기서 아벨 범주는 환상의 2중 차수 가군 범주이다. '''완전쌍'''은 대상 ''A''와 ''C''의 쌍과, 이 대상들 사이의 세 개의 준동형사상: ''f'' : ''A'' → ''A'', ''g'' : ''A'' → ''C'', ''h'' : ''C'' → ''A''로 구성되며, 다음의 완전성 조건을 만족한다.

  • ''f'' = 핵 ''g''
  • 상 ''g'' = 핵 ''h''
  • 상 ''h'' = 핵 ''f''


이 데이터는 (''A'', ''C'', ''f'', ''g'', ''h'')로 표기한다. 완전쌍은 보통 삼각형 그림으로 표현된다. 여기서 ''A''는 보조적인 데이터를 나타내고, ''C''는 스펙트럼 열의 ''E''0 항에 해당한다.

스펙트럼 열의 다음 항을 얻기 위해, '''도출된 쌍'''(derived couple)을 만든다.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 ''d'' = ''g'' o ''h''
  • ''A''' = ''f''(''A'')
  • ''C''' = Ker ''d'' / Im ''d''
  • ''f''' = ''f''|''A''', 즉 ''f''의 ''A'''로의 제한
  • ''h''' : ''C''' → ''A''', ''h''로부터 유도됨.
  • ''g''' : ''A''' → ''C''는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A'''의 원소 ''a''에 대해, ''A''의 원소 ''b''가 존재하여 ''a'' = ''f''(''b'')로 쓸 수 있다. 이때, ''g'''(''a'')는 ''C'''에서 ''g''(''b'')의 상으로 정의한다.


( ''A''', ''C''', ''f''', ''g''', ''h''')가 완전쌍이 됨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C'''는 스펙트럼 열의 ''E1'' 항에 해당한다.

이 과정을 반복하여 완전쌍의 열 (''A''(''n''), ''C''(''n''), ''f''(''n''), ''g''(''n''), ''h''(''n''))을 얻는다. 그리고 ''C''(''n'')을 ''En'' 항으로 하고, ''dn''을 ''g''(''n'') o ''h''(''n'')으로 놓으면 스펙트럼 열이 구성된다.

3. 2. 여과 복합체의 스펙트럼 열

어떤 아벨 범주의 대상들이 두 개의 정수 등급(grading)을 가진다고 할 때, 이 경우, '''(코호몰로지) 스펙트럼 열'''은 다음과 같은 대상들로 이루어진다.

  • 어떤 정수
  • 모든 에 대하여, 아벨 범주의 대상
  • 공경계 사상


이들은 다음을 만족시킨다.

  • 모든 정수 에 대하여, 이다.



  • 이다.


사슬 복합체 에 증가하는 여과 가 주어졌다고 하자. 즉,

라고 하자. 또한, 경계 가 여과와 호환된다고 하자. 즉,

이라고 하자. 그렇다면, 다음과 같은 완전 그림이 존재한다.

여기에

를 정의한다면,






를 정의할 수 있다. 이는 완전쌍을 이루며, 이로부터 스펙트럼 열을 정의할 수 있다.

4. 곱셈 구조

컵 곱은 환 구조를 코호몰로지군에 제공하여 이를 코호몰로지 환으로 만든다. 따라서 환 구조를 가진 스펙트럼 열을 고려하는 것이 자연스럽다. E^{p, q}_r을 코호몰로지 유형의 스펙트럼 열이라고 하자. (i) E_r이 (이중 등급) 미분 등급 대수이고 (ii) E_{r+1}의 곱셈이 코호몰로지로의 이동을 통해 E_r의 곱셈에 의해 유도되는 경우, 이를 곱셈 구조를 갖는다고 말한다.

전형적인 예는 계수군이 환 ''R''일 때, 올 공간 F \to E \to B에 대한 코호몰로지 세르 스펙트럼 열이다. 이는 E_{2}-페이지에서 올과 기저의 컵 곱에 의해 유도되는 곱셈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극한 항 E_{\infty}은 H(''E''; ''R'')과 등급 대수로서 동형이 아니다. 곱셈 구조는 시퀀스에서 미분을 계산하는 데 매우 유용할 수 있다.

5. 예

스펙트럼 열의 몇 가지 예를 살펴보자.


  • CW 복합체


XCW 복합체이고, X_p가 그 p차원 뼈대라고 하면, 다음과 같은 완전 도형이 존재한다.[1]

:\begin{matrix}

&\vdots&&\vdots&&\vdots&&\vdots\\

&\downarrow\scriptstyle f&&\downarrow&&\downarrow\scriptstyle f&&\downarrow\\

\cdots\to&H_{n+1}(X_p)&\xrightarrow g&H_{n+1}(X_p,X_{p-1})&\xrightarrow h&H_n(X_{p-1})&\xrightarrow g&H_n(X_{p-1},X_{p-2})&\to\cdots\\

&\downarrow\scriptstyle f&&\downarrow&&\downarrow\scriptstyle f&&\downarrow\\

\cdots\to&H_{n+1}(X_{p+1})&\xrightarrow g&H_{n+1}(X_{p+1},X_p)&\xrightarrow h&H_n(X_p)&\xrightarrow g&H_n(X_p,X_{p-1})&\to\cdots\\

&\downarrow\scriptstyle f&&\downarrow&&\downarrow\scriptstyle f&&\downarrow\\

&\vdots&&\vdots&&\vdots&&\vdots

\end{matrix}

여기서,

:A=\bigoplus_{p,q} H_q(X_p)

:E=\bigoplus_{p,q} H_q(X_p, X_{p-1})

로 놓으면,

  • f\colon A\to A
  • g\colon A\to E
  • h\colon E\to A


를 정의할 수 있다. 이는 완전쌍을 이루며, 이로부터 유도되는 스펙트럼 열은 E^2_{p,q}에서 끝난다. 이를 통해, 세포 코호몰로지가 특이 코호몰로지와 동형임을 보일 수 있다.

  • 층 코호몰로지


장 르레이는 대수적 위상수학 문제의 동기로 개념을 도입했고, 층 코호몰로지를 계산해야 했다. 르레이는 층 코호몰로지를 계산하기 위해 현재 르레이 스펙트럼 열로 알려진 계산 기법을 도입했다. 이는 층의 코호몰로지 군과 층의 밀어내기의 코호몰로지 군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다.

  • 사슬 복합체


가장 기본적인 예는 사슬 복합체 ''C''이다. ''E''0을 ''C''로 두면, ''E''1은 복합체 ''H''(''C'')가 된다. 즉, ''i''번째 위치에서 ''C''의 ''i''번째 호몰로지 군이다. 이 새로운 복합체에 대한 유일한 자연 미분은 영 사상이므로, ''d''1 = 0으로 둔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항을 가진 스펙트럼 열을 얻는다.

  • ''E''0 = ''C''
  • 모든 ''r'' ≥ 1에 대해 ''Er'' = ''H''(''C'')


이 스펙트럼 열은 첫 번째 시트에서 안정화된다.

  • 정확한 쌍

윌리엄 매시의 정확한 쌍 방법을 이용하여 스펙트럼 열을 구성할 수 있다.

정확한 쌍은 객체 (''A'', ''C'')의 쌍과 세 개의 준동형사상 ''f'' : ''A'' → ''A'', ''g'' : ''A'' → ''C'', ''h'' : ''C'' → ''A''로 구성되며, 다음 조건을 만족한다.

  • 이미지 ''f'' = 커널 ''g''
  • 이미지 ''g'' = 커널 ''h''
  • 이미지 ''h'' = 커널 ''f''

  • 기타 스펙트럼 열

  • 세르 스펙트럼 열: 올다발의 (코)호몰로지를 계산하는 데 사용된다.
  • 아티야-히르체브루흐 스펙트럼 열: K-이론과 같은 특이 코호몰로지 이론의 (코)호몰로지를 계산하는 데 사용된다.
  • 복스테인 스펙트럼 열
  • 여과 복합체의 스펙트럼 열

  • 여과 복합체, Tor 함자, 제1사분면 스펙트럼 열, 구 위의 올다발, 다섯 항 완전 시퀀스


이들은 각각 여과 복합체의 스펙트럼 열, 긴 완전열 유도, Tor 함자 계산, 제1사분면 스펙트럼 열, 구 위의 올다발을 이용한 Gysin 수열 유도, 다섯 항 완전 시퀀스 유도 등에 사용되는 개념들이다.

스펙트럼 열을 처음 접할 때는 간단한 예시를 통해 직접 계산해 보는 것이 좋다.

5. 1. 인접한 두 열만 0이 아닌 경우

E^r_{p, q}호몰로지적인 스펙트럼 열이라고 하고, 0, 1 이외의 ''p''에 대해 E^2_{p, q} = 0이라고 하자. 시각적으로, 이 스펙트럼 열의 E^2 페이지는 다음과 같다.

\vdots\vdots\vdots\vdots
\cdots0E^2_{0,2}E^2_{1,2}0\cdots
\cdots0E^2_{0,1}E^2_{1,1}0\cdots
\cdots0E^2_{0,0}E^2_{1,0}0\cdots
\cdots0E^2_{0,-1}E^2_{1,-1}0\cdots
\vdots\vdots\vdots\vdots



이 두 번째 페이지의 미분의 차수는 (-2, 1)이므로, 미분은

:d^2_{p,q}:E^2_{p,q} \to E^2_{p-2,q+1}

의 형태이며,

:d^2_{0,q}:E^2_{0,q} \to 0, d^2_{1,q}:E^2_{1,q} \to 0

이므로, 미분은 모두 영사상이다. 따라서 E^{\infty} = E^2이 성립하고, 이 스펙트럼 열은 "퇴화"된다.

이 스펙트럼 열이 H_*에 수렴하고, 그 여과

:0 = F_{-1} H_n \subset F_0 H_n \subset \dots \subset F_n H_n = H_n

로 주어지고, E^{\infty}_{p, q} = F_p H_{p+q}/F_{p-1} H_{p+q}가 성립한다고 하자. 이 때, F_0 H_n = E^2_{0, n}, F_1 H_n / F_0 H_n = E^2_{1, n -1}, F_2 H_n / F_1 H_n = 0, F_3 H_n / F_2 H_n = 0 등이 성립한다. 여기에서 다음의 완전열을 얻는다.

:0 \to E^2_{0, n} \to H_n \to E^2_{1, n - 1} \to 0[8]

스펙트럼 열 E^r_{p, q}에서 두 번째 페이지에서 ''q'' = 0, 1의 두 행 이외에는 0인 것을 생각한다. 이 스펙트럼 열은 두 번째 페이지에서 퇴화한다고는 할 수 없지만, 세 번째 페이지에서는 미분의 차수가 (-3, 2)이므로 그 페이지에서 퇴화한다. 분모가 0이라는 것에 주의하면, E^3_{p, 0} = \operatorname{ker} (d: E^2_{p, 0} \to E^2_{p - 2, 1})임을 알 수 있다. 마찬가지로, E^3_{p, 1} = \operatorname{coker}(d: E^2_{p+2, 0} \to E^2_{p, 1})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다음이 성립한다.

:0 \to E^{\infty}_{p, 0} \to E^2_{p, 0} \overset{d}\to E^2_{p-2, 1} \to E^{\infty}_{p-2, 1} \to 0

앞선 예와 마찬가지로, 스펙트럼 열이 여과 ''F''를 갖는 ''H''에 수렴한다고 하자. F_{p-2} H_{p} / F_{p-3} H_{p} = E^{\infty}_{p-2, 2} = 0, F_{p-3} H_p / F_{p-4} H_p = 0 등이 성립하므로, 0 \to E^{\infty}_{p - 1, 1} \to H_p \to E^{\infty}_{p, 0} \to 0이 성립한다. 이것들을 모두 합하면, 다음의 완전열을 얻는다.

:\cdots \to H_{p+1} \to E^2_{p + 1, 0} \overset{d}\to E^2_{p - 1, 1} \to H_p \to E^2_{p, 0} \overset{d}\to E^2_{p - 2, 1} \to H_{p-1} \to \dots[9]

5. 2. Wang 열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Wang 열'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이나 내용이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Wang 열' 섹션에 작성할 내용이 없습니다. 섹션 제목과 관련된 내용을 찾을 수 없으므로, 빈 문자열을 반환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5. 3. 낮은 차수의 항

E_r^{p, q}를 감소하는 여과를 가진 ''H''로 수렴하는 제1사분면 스펙트럼 열이라고 하자.

:0 = F^{n+1} H^n \subset F^n H^n \subset \dots \subset F^0 H^n = H^n

따라서 E_{\infty}^{p,q} = F^p H^{p+q}/F^{p+1} H^{p+q}이다.

''p'' 또는 ''q''가 음수이면 E_2^{p, q}는 0이므로 다음과 같다.

:0 \to E^{0, 1}_{\infty} \to E^{0, 1}_2 \overset{d}\to E^{2, 0}_2 \to E^{2, 0}_{\infty} \to 0.

같은 이유로 E_{\infty}^{1, 0} = E_2^{1, 0}이고 F^2 H^1 = 0이므로,

:0 \to E_2^{1, 0} \to H^1 \to E^{0, 1}_{\infty} \to 0이다.

F^3 H^2 = 0이므로 E^{2, 0}_{\infty} \subset H^2이다. 시퀀스를 쌓아 올리면 소위 다섯 항 완전 시퀀스를 얻는다.

:0 \to E^{1, 0}_2 \to H^1 \to E^{0, 1}_2 \overset{d}\to E^{2, 0}_2 \to H^2.

지금 예에서 수행한 계산은 코호몰로지적인 스펙트럼 열에도 쉽게 적용할 수 있다. E_r^{p, q}를 제1사분면 스펙트럼 열로 하고, 감소 필터링

:0 = F^{n+1} H^n \subset F^n H^n \subset \dots \subset F^0 H^n = H^n

을 갖는 ''H''에 수렴한다고 하자. 즉, E_{\infty}^{p,q} = F^p H^{p+q}/F^{p+1} H^{p+q}가 성립한다고 하자. ''p'' 또는 ''q''가 음수이면 E_2^{p, q}는 0이므로

:0 \to E^{0, 1}_{\infty} \to E^{0, 1}_2 \overset{d}\to E^{2, 0}_2 \to E^{2, 0}_{\infty} \to 0.

이 성립한다. 같은 이유로 E_{\infty}^{1, 0} = E_2^{1, 0}이고, F^2 H^1 = 0이므로

:0 \to E_2^{1, 0} \to H^1 \to E^{0, 1}_{\infty} \to 0

이 된다. F^3 H^2 = 0이므로, E^{2, 0}_{\infty} \subset H^2이다. 열을 연결하여

:0 \to E^{1, 0}_2 \to H^1 \to E^{0, 1}_2 \overset{d}\to E^{2, 0}_2 \to H^2

을 얻는다.

6. 변 사상과 전입

E^r_{p, q}를 스펙트럼 열이라고 하자. 모든 ''q'' < 0에 대해 E^r_{p, q} = 0이면, 단사 사상의 수열 E^{r}_{p, 0} \to E^{r-1}_{p, 0} \to \dots \to E^3_{p, 0} \to E^2_{p, 0}이 존재한다. 마찬가지로, 모든 ''p'' < 0에 대해 E^r_{p, q} = 0이면, 전사 사상의 수열 E^2_{0, q} \to E^3_{0, q} \to \dots \to E^{r-1}_{0, q} \to E^r_{0, q}이 존재한다. 이들은 모두 변 사상이라고 부른다.

전이는 부분적으로 정의된 사상 \tau: E^2_{p, 0} \to E^2_{0, p - 1}으로, E^2_{p, 0} \to E^p_{p, 0} \overset{d}\to E^p_{0, p-1} \to E^2_{0, p - 1}의 합성으로 주어지며, 처음과 마지막 사상은 변 사상의 역이다.

코호몰로지형 스펙트럼 열의 경우에도 유사하게, 모든 ''q'' < 0에 대해 E_r^{p, q} = 0이면 전사 사상의 수열이, 모든 ''p'' < 0에 대해 E_r^{p, q} = 0이면 단사 사상의 수열이 존재한다. 전이는 d: E_q^{0, q-1} \to E_q^{q, 0}에 의해 유도되는 사상 \tau: E_2^{0, q-1} \to E_2^{q, 0}으로 나타난다.

6. 1. 호몰로지 스펙트럼 열

E^r_{p, q}를 스펙트럼 열이라고 하자. 모든 ''q'' < 0에 대해 E^r_{p, q} = 0이면, ''r'' ≥ 2에 대해,

:E^{r+1}_{p, 0} = \operatorname{ker}(d: E^r_{p, 0} \to E^r_{p-r, r-1})

이다. 분모가 0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단사 사상의 수열이 존재한다.

:E^{r}_{p, 0} \to E^{r-1}_{p, 0} \to \dots \to E^3_{p, 0} \to E^2_{p, 0}.

이것들을 변 사상이라고 부른다.

마찬가지로, 모든 ''p'' < 0에 대해 E^r_{p, q} = 0이면, 전사 사상의 수열(변 사상이라고도 부름)이 존재한다.

:E^2_{0, q} \to E^3_{0, q} \to \dots \to E^{r-1}_{0, q} \to E^r_{0, q}.

전이는 부분적으로 정의된 사상(더 정확히는, 부분 대상에서 몫으로의 사상)으로 주어진다.

:\tau: E^2_{p, 0} \to E^2_{0, p - 1}

이것은 E^2_{p, 0} \to E^p_{p, 0} \overset{d}\to E^p_{0, p-1} \to E^2_{0, p - 1}의 합성으로 주어지며, 처음과 마지막 사상은 변 사상의 역이다.

E^r_{p, q}를 스펙트럼 열이라고 할때, 만약 모든 ''q'' < 0에 대해 E^r_{p, q} = 0이라면, ''r'' ≥ 2에 대해

:E^{r+1}_{p, 0} = \operatorname{ker}(d: E^r_{p, 0} \to E^r_{p-r, r-1})

이다(분모가 0이 되기 때문). 따라서 단사 준동형의 열

:E^{r}_{p, 0} \to E^{r-1}_{p, 0} \to \dots \to E^3_{p, 0} \to E^2_{p, 0}

이 존재한다. 이것은 에지 사상(edge map)이라고 불린다. 마찬가지로, 모든 ''p'' < 0에 대해 E^r_{p, q} = 0이라면 전사 준동형의 열

:E^2_{0, q} \to E^3_{0, q} \to \dots \to E^{r-1}_{0, q} \to E^r_{0, q}.

이 존재한다. 이것 또한 에지 사상이라고 불린다.

전입 사상은 일부분만 정의되어 있는 사상(더 정확히는, 부분 대상에서 몫으로의 사상)

:\tau: E^2_{p, 0} \to E^2_{0, p - 1}

으로, 합성 E^2_{p, 0} \to E^p_{p, 0} \overset{d}\to E^p_{0, p-1} \to E^2_{0, p - 1}에 의해 정의된다. 여기서, 처음과 마지막 사상은 에지 사상의 역사상이다.

6. 2. 코호몰로지 스펙트럼 열

코호몰로지형 스펙트럼 열 E_r^{p, q}에 대해서도 유사한 명제가 성립한다. 만약 모든 ''q'' < 0에 대해 E_r^{p, q} = 0이면, 다음과 같은 전사 사상의 수열이 존재한다.

:E_{2}^{p, 0} \to E_{3}^{p, 0} \to \dots \to E_{r-1}^{p, 0} \to E_r^{p, 0}.

그리고 만약 모든 ''p'' < 0에 대해 E_r^{p, q} = 0이면, 다음과 같은 단사 사상의 수열이 존재한다.

:E_{r}^{0, q} \to E_{r-1}^{0, q} \to \dots \to E_{3}^{0, q} \to E_2^{0, q}.

전이는 반드시 잘 정의된 함수는 아니지만, 다음의 사상으로 유도된다.

:\tau: E_2^{0, q-1} \to E_2^{q, 0}

이것은 d: E_q^{0, q-1} \to E_q^{q, 0}에 의해 유도된다.

코호몰로지적 스펙트럼 열 E_r^{p, q}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성립한다. 모든 ''q'' < 0에 대해 E_r^{p, q} = 0이라면, 전사 준동형의 열

:E_{2}^{p, 0} \to E_{3}^{p, 0} \to \dots \to E_{r-1}^{p, 0} \to E_r^{p, 0}

이 존재한다. 또한, 모든 ''p'' < 0에 대해 E_r^{p, q} = 0이라면, 단사 준동형의 열

:E_{r}^{0, q} \to E_{r-1}^{0, q} \to \dots \to E_{3}^{0, q} \to E_2^{0, q}

이 존재한다. d: E_q^{0, q-1} \to E_q^{q, 0}에서 유도되는 전입 사상

:\tau: E_2^{0, q-1} \to E_2^{q, 0}

은 반드시 well-defined 사상은 아니다.

6. 3. 응용

이러한 맵을 결정하는 것은 세르 스펙트럼 열에서 많은 미분을 계산하는 데 필수적이다. 예를 들어, 추월 맵은 호몰로지 스펙트럼 열에 대한 미분

:d_n:E_{n,0}^n \to E_{0,n-1}^n

을 결정하며, 따라서 섬유화 F \to E \to B에 대한 세르 스펙트럼 열에서 다음 맵을 제공한다.

:d_n:H_n(B) \to H_{n-1}(F).

이러한 사상의 결정을 바탕으로, Serre spectral sequence|세르 스펙트럼 계열영어에서의 많은 미분을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입 사상은 호몰로지 스펙트럼 열에 대한 미분

:d_n:E_{n,0}^n \to E_{0,n-1}^n

을 결정하며, 이를 파이버레이션 F \to E \to B에 대한 세르 스펙트럼 계열에 적용하면

:d_n:H_n(B) \to H_{n-1}(F)

을 얻을 수 있다.

7. 역사

장 르레가 1946년 층 코호몰로지를 계산하기 위하여 도입하였다.[14][15] 이는 오늘날 '''르레 스펙트럼 열'''로 불리며, 유도 함자에 대한 그로텐디크 스펙트럼 열의 특수한 경우다. 1951년에 장피에르 세르는 르레 스펙트럼 열 가운데, 층 코호몰로지가 특이 코호몰로지가 되는 특수한 경우인 세르 스펙트럼 열에 대하여 연구하였다.[16]

르레는 원래 "스펙트럼 열"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지 않았으나, 1949년 논문에서 최초로 "스펙트럼 환"(anneau spectral프랑스어)라는 용어를 사용하였고,[17][18][19] 이듬해 장피에르 세르가 이를 "스펙트럼 열"(suite spectrale프랑스어)으로 개량하였다.[18][20] 존 매클리어리(John McCleary영어)에 따르면, 아마 이 이름은 스펙트럼 열의 각 성분을 어떤 미분 연산자스펙트럼을 구성하는 고윳값에 비유하여 붙인 것이라고 한다.[19] 라비 바킬(Ravi Vakil영어)은 스펙트럼 열(spectral sequence|스펙트럴 시퀀스영어)이 이런 이름이 붙은 것은 마치 귀신(specter|스펙터영어)처럼 "무시무시하고 사악하고 위험한"(terrifying, evil, and dangerous영어) 대상이기 때문이라고 농으로 비유하였다.[21]

1952년에 윌리엄 슈마허 매시(William Schumacher Massey영어)는 스펙트럼 열을 정의하는 완전쌍의 개념을 발견하였다.[22][23] 1957년에 알렉산더 그로텐디크층 코호몰로지르레 스펙트럼 열군 코호몰로지의 린던-호흐실트-세르 스펙트럼 열을 그로텐디크 스펙트럼 열로 일반화하였다.

곧 애덤스 스펙트럼 열, 아티야-히르체브루흐 스펙트럼 열, 복시테인 스펙트럼 열 등 스펙트럼 열의 수많은 예들이 발견되었다.

대수적 위상수학 연구 과정에서 장 르레이는 의 개념을 도입했고, 층 계수 코호몰로지를 계산하는 문제에 직면하게 되었다. 층 계수 코호몰로지를 계산하기 위해 르레이는 현재 르레이 스펙트럼 열이라고 불리는 계산 기법을 고안했다. 이는 층의 코호몰로지 군과 그 층의 순상(밀어내기라고도 불린다)의 코호몰로지 군을 무한히 반복되는 계산 과정을 통해 연결하는 것이다.

르레이의 계산 기법이 광범위한 상황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은 곧 명백해졌다. 파이버묶음과 같은 기하학적인 상황이나, 유도관수가 관계하는 대수적인 상황에서, 여러 (코)호몰로지 군을 우회적으로나마 연결해주는 스펙트럼 열이 많이 발견되었다. 유도 범주의 도입으로 그 이론적인 중요성은 줄었지만, 지금도 스펙트럼 열은 가장 유효한 계산 도구로 남아있다.

참조

[1] 간행물 Algebra Springer Science+Business Media 2002
[2] arXiv Mixed Hodge Structures 2013-02-23
[3] harvnb
[4] harvnb
[5] harvnb
[6] 저널 Differentials in the homological homotopy fixed point spectral sequence 2005
[7] harvs
[8] harvnb
[9] harvnb
[10] harvnb
[11] arXiv Mixed Hodge Structures 2013-02-23
[12] 저널 Differentials in the homological homotopy fixed point spectral sequence 2005
[13] 서적 Differential forms in algebraic topology
[14] 저널 L’anneau d’homologie d’une représentation
[15] 저널 Structure de l’anneau d’homologie d’une représentation
[16] 저널 Homologie singulière des espaces fibrés
[17] 서적 Topologie algébraique
[18] 서적 Jean Leray (1906–1998) http://smf4.emath.fr[...] 2014-11-13
[19] 저널 You could have invented spectral sequences http://www.ams.org/n[...]
[20] 저널 Homologie singulière des espaces fibrés I. La suite spectrale http://gallica.bnf.f[...]
[21] 웹인용 Spectral sequences: friend or foe? http://math.stanford[...]
[22] 저널 Exact couples in algebraic topology (parts I and II) 1952-09
[23] 저널 Exact couples in algebraic topology (parts III, IV, and V) https://archive.org/[...] 1953-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