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스프래틀리 군도 분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프래틀리 군도 분쟁은 남중국해에 위치한 섬과 해역에 대한 여러 국가 간의 영유권 다툼이다. 프랑스의 점령, 일본의 점거를 거쳐 현재는 중화인민공화국, 중화민국(타이완), 베트남, 필리핀, 말레이시아, 브루나이 등이 영유권을 주장하며, 각기 섬들을 점령하거나 배타적 경제 수역을 주장하고 있다. 이 분쟁은 역사적 근거, 지리적 위치, 자원 및 경제적 중요성, 국제법 등을 배경으로 하며, 특히 1930년대 이후 프랑스, 일본, 중화민국, 베트남, 필리핀 등 여러 국가가 이 지역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하면서 복잡하게 전개되었다. 1968년 석유 발견 이후 자원 확보 경쟁이 심화되었고, 2016년 상설중재재판소의 판결로 중국의 주장이 일부 무력화되었으나, 인공섬 건설, 해상 충돌 등으로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브루나이의 영토 분쟁 - 스프래틀리 군도
    스프래틀리 군도는 남중국해에 위치하여 풍부한 자원을 보유하고 중요한 해상 교통로에 위치해 여러 국가 간 영유권 분쟁이 지속되는 지역으로, 인공섬 건설과 군사화로 갈등이 심화되고 있으며, 국제 사회의 관심과 외교적 노력이 필요한 곳이다.
  • 스프래틀리 군도 - 이투아바섬
    남중국해 스프래틀리 군도에 위치한 이투아바섬은 중화민국이 실효 지배하며 태평도라고 명명하고 가오슝시 치진구에 편입시켰으나, 베트남과 필리핀 또한 각기 다른 이름으로 부르며 영유권을 주장하는 군사적 요충지이다.
  • 스프래틀리 군도 - 스프래틀리 군도 해전
    스프래틀리 군도 해전은 1988년 3월 14일 남중국해에서 중국과 베트남 간에 스프래틀리 군도 영유권을 두고 발생한 무력 충돌로, 중국이 존슨 남암초 등 6개의 암초와 환초를 점령하고 베트남은 다수의 사상자를 냈다.
  • 말레이시아의 영토 분쟁 - 남중국해
    남중국해는 서태평양의 일부로 중국 남쪽, 베트남 동쪽, 필리핀 서쪽에 위치하며, 주요 무역로이자 전략적 요충지 및 풍부한 천연자원의 보고이지만, 영유권 분쟁이 끊이지 않는 해역이다.
  • 말레이시아의 영토 분쟁 - 북보르네오 분쟁
    북보르네오 분쟁은 말레이시아 사바 지역에 대한 영유권을 두고 필리핀과 말레이시아 간에 지속되는 영토 분쟁이며, 1878년 술루 술탄국과 영국 북보르네오 회사 간의 협정에서 기원하여, 필리핀이 술루 술탄국을 계승하여 영유권을 주장하고 말레이시아는 주권을 확고히 주장하며 국제사법재판소에서의 분쟁 해결 시도를 거부한다.
스프래틀리 군도 분쟁
개요
스프래틀리 군도 군사 점령 지도
스프래틀리 군도 군사 점령 지도
분쟁 명칭스프래틀리 군도 분쟁
다른 명칭난사 군도 분쟁
위치남중국해
관련 분쟁남중국해 영유권 분쟁
분쟁 당사국
주장국중화민국
중화인민공화국
베트남
필리핀
말레이시아
브루나이
점령국중화인민공화국
베트남
필리핀
말레이시아
중화민국
역사적 배경
1930년대 이전프랑스와 중국 간의 영유권 주장 시작
1930년대일본의 진출 및 점령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중국 국민당 정부의 남해 제도 접수
1950년대 이후필리핀, 말레이시아, 베트남의 영유권 주장 본격화
남중국해 분쟁의 주요 쟁점으로 부상
주요 사건
1975년남서 암초 사건
1988년존슨 남 암초 교전
분쟁 지역
주요 섬 및 암초스프래틀리 군도 (난사 군도) 내 여러 섬, 암초, 해역
위험 지대
군사 기지화모래 만리장성 건설 및 군사 시설 확충
국제법적 쟁점
유엔 해양법 협약 (UNCLOS)교수의 유엔 해양법 협약 해양 분쟁 역할에 대한 로버트 베크먼
영해, 배타적 경제 수역 (EEZ)각국의 해양 권리 주장 및 충돌
국제 재판필리핀의 중화인민공화국 상대 소송 (중재 재판)
관련 문서
관련 문서필리핀과 스프래틀리 군도
스프래틀리 군도의 역사
스프래틀리 군도의 해양 지형 목록
스프래틀리 군도의 공항 목록
베트남의 DK1 리그
말레이시아 왕립 해군 해상 기지
모락송라티미즈 공화국
자유지 자유 영토
기타
관련 링크en

2. 역사

스프래틀리 군도1930년대 프랑스에 의해 점령되었으며, 태평양 전쟁 중에는 일본이 점거하여 해군 기지로 활용했다. 일본 패망 후 1949년 12월, 중화민국은 군함 두 척을 동원하여 군도에서 가장 큰 섬인 이투아바섬(타이핑섬)을 점령하고 여러 섬에 경계석을 설치하며 영유권 주장의 기반을 마련했다.

1950년대 중반부터 베트남, 필리핀, 말레이시아 등 주변국들이 본격적으로 영유권을 주장하기 시작했다. 이후 중화인민공화국까지 분쟁에 가세하면서, 현재는 이들 국가와 중화민국이 각각 일부 섬과 암초를 점령하고 군사 시설을 설치하며 수비대를 주둔시키는 등 첨예한 대립 구도를 형성하고 있다. 브루나이 역시 자국의 배타적 경제 수역 내에 스프래틀리 군도 주변 해역 일부가 포함된다고 주장하며 분쟁 당사국으로 참여하고 있다.

1968년 이 지역에서 석유가 발견되면서[5] 영유권 분쟁은 경제적 이해관계까지 얽히며 더욱 복잡한 양상으로 전개되었다. 1976년 필리핀이 인근 해역에서 대규모 유전을 발견했고,[6] 1992년에는 중국과 베트남이 각각 미국 석유 회사와 탐사 계약을 체결하는 등[7][8] 자원 확보 경쟁이 벌어졌다. 비록 이후 분쟁 해역 내 실제 매장량에 대한 평가는 다소 유보적으로 변했지만,[9][10] 잠재적 자원과 지정학적 중요성 때문에 스프래틀리 군도를 둘러싼 각국의 갈등은 현재까지도 지속되고 있다.

2. 1. 고대 및 중세

기원전 500년경부터 서기 100년경까지 사후인-칼라나이 교역망의 해상 교역로가 남중국해를 가로질렀다. 이 교역로는 타이완, 필리핀, 보르네오를 거쳐 도자기와 보석(예: 옥)을 교환하는 데 사용되었다.[81][82]

1734년, 스페인 식민 정부는 카르타 히드로그라피카 이 코로그라피카 데 라스 이슬라스 필리피나스(일반적으로 벨라르데 지도로 알려짐)를 발간했다. 필리핀 판사 안토니오 카르피오에 따르면, 이 지도는 스프래틀리 군도(Los Bajos de Paragua로 표기됨)에 대한 필리핀의 주권을 보여주는 가장 오래된 지도이며, 해당 영토에 대한 주권을 보여주는 최초의 지도라고 한다.[83][84][85] 필리핀 관리들과 작가들은 또한 스페인 식민 정부가 발간한 1808년과 1875년판 카리타 헤네랄 델 아르키펠라고 필리피노에도 스프래틀리 군도가 필리핀의 주권 영토로 포함되어 있었고 국제 사회에서 인정받았다고 주장한다.[86][87][88]

19세기에 유럽인들은 하이난 출신 중국 어부들이 무역을 위해 매년 일정 기간 스프래틀리 군도에 머물렀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이는 베트남의 참족과 필리핀의 팔라완, 술루, 루손 주민과 같은 다른 민족들에게도 흔한 일이었다. 1877년, 영국은 스프래틀리 군도의 두 섬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하고, 영국령 보르네오의 현지 주민들로부터 구아노(Guano)의 존재를 알게 된 후 탐험대를 파견했다.[27][28] 그러나 백인 사업가들과 그들의 중국인 직원들 간의 분쟁으로 영국 국기 게양을 잊어버렸다.[89]

1883년 독일이 스프래틀리 군도와 파라셀 군도를 측량하자 중국은 항의했다.[18]

스페인-미국 전쟁 후, 스페인은 1898년 파리 조약을 통해 필리핀 영토를 미국에 할양했다. 조약에서 그어진 경계선은 부정확하여 스페인은 스프래틀리 군도, 스카보로 섬, 타위타위 일부에 대한 주권을 유지하게 되었다. 필리핀 정부에 따르면, 이는 나중에 1900년 워싱턴 조약에서 수정되었는데, 이 조약에서 언급된 나머지 영토들이 공식적으로 미국에 할양되었고, 필리핀 정부는 이것이 필리핀의 독립 당시 필리핀 영토의 일부였다고 해석한다.[87]

2. 2. 근대

1734년 스페인 식민 정부는 벨라르데 지도(Carta Hydrographica y Chorographica de las Islas Filipinas)를 발간했다. 필리핀 판사 안토니오 카르피오에 따르면, 이 지도는 스프래틀리 군도(당시 Los Bajos de Paragua로 표기)를 필리핀 영토로 표시한 가장 오래된 지도이며, 해당 지역에 대한 주권을 보여주는 최초의 지도라고 한다.[83][84][85] 필리핀 측은 스페인 식민 정부가 발간한 1808년과 1875년판 지도(Carta General del Archipielago Filipino)에도 스프래틀리 군도가 필리핀 주권 영토로 포함되었고 국제적으로 인정받았다고 주장한다.[86][87][88]

19세기에 유럽인들은 하이난 출신 중국 어부들이 교역을 위해 매년 일정 기간 스프래틀리 군도에 머문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이는 베트남참족이나 필리핀팔라완, 술루, 루손 주민들에게도 흔한 일이었다. 1877년 영국은 영국령 보르네오 현지 주민들로부터 구아노(새 배설물이 퇴적되어 생성된 인산질 비료)의 존재를 알게 된 후, 스프래틀리 군도의 두 섬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하며 탐험대를 파견했다.[27][28] 그러나 영국인 사업가와 중국인 직원 간의 분쟁으로 인해 영국 국기를 게양하는 것을 잊었다.[89]

1883년 독일이 스프래틀리 군도와 파라셀 군도를 측량하자 중국은 이에 항의했다.[18] 1887년 청불 전쟁 이후 프랑스와 청나라 사이에 체결된 청불 조약에 대해, 중국 측은 이 조약이 중국이 스프래틀리 군도와 파라셀 군도의 소유주임을 인정한 것이라고 주장한다.[18]

스페인-미국 전쟁 이후, 스페인1898년 파리 조약을 통해 필리핀 영토를 미국에 할양했다. 이 조약에서 그어진 경계선이 부정확하여 스프래틀리 군도, 스카버러 암초, 타위타위 일부에 대한 스페인의 주권이 유지되는 결과가 발생했다. 필리핀 정부는 이것이 나중에 1900년 워싱턴 조약에서 수정되어 언급된 나머지 영토들이 공식적으로 미국에 할양되었으며, 필리핀 독립 당시 필리핀 영토의 일부였다고 해석한다.[87] 1928년 팔라스 섬 사건 당시 필리핀 영토의 대표였던 미국은 각서에서 1875년 지도가 "미국과 스페인의 공식 지도"이며, 미국이 스카보로 섬과 스프래틀리 군도를 필리핀 영토로 인정하는 데 구속력이 있다고 주장했다는 필리핀 측의 주장이 있다.[90][91] 남중국해 중재 판정에 따르면, 1875년부터 1933년 초까지 필리핀 영토를 제외하고는 다른 어떤 국가도 스프래틀리 군도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하지 않았다는 주장이 있다.[92]

1930년대에 인도차이나 반도를 식민지화하고 있던 프랑스는 스프래틀리 군도를 점령했다. 1930년 프랑스 선박은 1898년에 정의된 필리핀 영토와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특정 섬을 지명하지 않고 스프래틀리 군도 일부 지역에 대한 영유권을 공식적으로 주장했다. 프랑스는 영국의 이전 주장을 알지 못했다. 영국 관리들은 스프래틀리 군도의 중요성에 대한 내부 의견 불일치, 1877년 이후 후속 조치를 취하지 않아 주장이 약화되었다는 인식, 그리고 일본의 위협에 맞서 프랑스가 남중국해에서 완충 역할을 해주기를 바라는 마음 때문에 영유권 주장을 강하게 밀어붙이지 않기로 결정했다.[94] 1933년 4월 7일부터 13일까지 프랑스는 스프래틀리 군도를 점령했고, 같은 해 7월 26일 공식 관보에 점령 사실을 게재했다. 프랑스는 이 섬들을 프랑스령 인도차이나(그리고 그 후계국인 베트남)의 일부가 아닌 프랑스 연방의 영토로 주장했다. 중국은 이에 항의했다.[93][94][95][55]

1939년 태평양 전쟁 발발 직전, 일본은 스프래틀리 군도와 파라셀 군도를 점령했다. 일본은 1939년 3월 30일, 타이완 총독부를 통해 스프래틀리 군도를 가오슝의 일부로 병합했다. 프랑스[96]와 영국은 이에 항의하며 프랑스의 주권을 재확인했다.[97] 일본은 전쟁 중 이곳을 해군 기지로 활용했다.

중화민국이 1943년에 발행한 간행물에는 중국의 최남단 영토가 "파라셀 군도의 트리톤 섬"이라고 명시되어 있었다.[98] 제2차 중일 전쟁 전체를 다룬 개정판에서는 스프래틀리 군도가 중국, 필리핀, 인도차이나 사이에서 분쟁 중이라고 언급했다.[99]

1945년 일본이 패망하자, 연합국은 중화민국에 해당 지역에서 일본의 항복을 받도록 지정했고, 이에 따라 파라셀 군도와 스프래틀리 군도는 중화민국의 통제하에 들어갔다.[32] 1946년 중화민국은 군대를 파견하여 군도에서 가장 큰 섬인 이투아바섬(중국명 타이핑섬)을 점령하고 중국 국기와 표식을 설치했으며, 파라셀 군도의 우디 섬에도 같은 조치를 취했다. 프랑스는 우디 섬에서 중화민국 군대를 철수시키려 했으나 실패했다.[27] 중화민국의 이러한 조치는 프랑스의 영유권 주장을 막으려는 목표를 가지고 있었다.[30][33] 1947년 중화민국 정부는 남중국해 전체에 대한 U자형의 11단선(이후 9단선으로 수정) 영유권을 표시한 지도를 제작하여 스프래틀리 군도와 파라셀 군도를 자국 영토로 포함시켰고,[30] 해당 지역의 159개 섬 이름을 중국식으로 바꾸고 "남중국해 도서 지도"를 발간했다.

2. 3. 현대의 영유권 분쟁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스프래틀리 군도의 영유권 문제는 더욱 복잡해졌다. 전쟁 중 일본이 점령했던 이 군도는 일본 패망 후 1949년 12월 중화민국이 가장 큰 섬인 이투아바섬(타이핑섬)을 포함한 일부 섬을 점령하면서 새로운 국면을 맞았다.[32] 중화민국은 여러 섬에 경계석을 설치하며 영유권을 주장했다. 1950년대 중반부터는 베트남, 필리핀, 말레이시아 등 주변국들이 본격적으로 영유권을 주장하기 시작했다. 이들 국가와 중화인민공화국, 중화민국은 각각 일부 섬을 점령하고 수비대를 주둔시켰으며, 브루나이는 자국의 배타적 경제 수역(EEZ) 내에 스프래틀리 군도 주변 해역을 포함시키며 분쟁에 가담했다.

1968년 이 지역에서 석유가 발견되면서[5] 경제적 이해관계가 분쟁의 핵심 요인으로 떠올랐다. 1976년 3월 11일, 필리핀은 팔라완 해안 근처에서 대규모 유전을 발견했는데, 이는 2010년 기준 필리핀 전체 석유 소비량의 15%를 공급할 정도였다.[6] 1992년에는 중국베트남이 각각 미국의 석유 회사와 탐사 계약을 체결하며 경쟁적으로 자원 개발에 나섰다. 중국해양석유총공사(CNOOC)는 미국 크레스트온 에너지와 남중국해 남서부 25155km2 면적의 공동 탐사 계약을 맺었다.[7][8] 그러나 2012년~2013년 미국 에너지 정보청(EIA)은 스프래틀리 군도와 파라셀 군도 등 분쟁 지역의 석유 및 천연가스 매장량이 예상보다 적으며, 확인된 매장량 대부분은 분쟁이 없는 연안 지역에 존재한다고 평가했다.[9][10]

2013년부터 중국은 스프래틀리 군도 내 여러 암초에서 대규모 준설과 매립 공사를 통해 인공섬을 건설하기 시작했다. 이는 만조 시 수면 아래에 잠기는 암초를 군사 기지화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었으며, 2015년 당시 미 태평양 함대 사령관 해리 해리스는 이를 "모래의 만리장성"이라고 비판했다.[124] 2015년 4월에는 파이어 크로스 환초에 활주로 건설이 확인되었고,[125] 9월에는 길이 3125m의 활주로가 완공되었다.[126] 2016년2018년에는 각각 HQ-9 지대공 미사일과 YJ-12 대함 순항 미사일 등 첨단 무기 시스템을 배치한 사실이 드러나면서 군사화에 대한 국제 사회의 우려가 커졌다.[144][146] 이는 과거 중국이 섬들을 군사화하지 않겠다고 한 약속과 배치되는 행보였다.

수비 환초를 인공 섬으로 건설하는 모습, 2015년


필리핀2013년 중화인민공화국을 상설중재재판소(PCA)에 제소했다. 2016년 7월 12일, PCA는 중화민국(타이완)이 실효 지배 중인 이투아바섬을 포함한 스프래틀리 군도의 주요 지형물들이 법적으로 섬이 아닌 암초간조노출지에 해당한다고 판결했다. 이는 이 지형물들이 배타적 경제 수역(EEZ)이나 대륙붕을 생성할 수 없음을 의미하며, 중국이 주장하는 구단선의 법적 근거를 부정하는 결과였다. 또한 재판소는 중국의 인공섬 건설과 조업 활동이 필리핀의 주권을 침해하고 해양 환경을 파괴했다며 불법으로 규정했다.[155][156] 중국은 이 판결을 인정하지 않고 있다.

중화민국(타이완)은 1956년부터 스프래틀리 군도에서 가장 큰 이투아바섬(타이핑섬)을 실효 지배하고 있다.[100] 타이완은 남중국해 전체와 스프래틀리 군도 전체가 자국 영토라고 주장하며,[105] 이는 중화인민공화국의 주장과 거의 일치한다. 이 때문에 양측은 스프래틀리 군도 문제에서 전략적으로 협력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34][106] 타이완은 2012년 타이핑섬의 활주로를 확장하고 실사격 훈련을 실시하는 등 군사력을 강화했는데,[107] 이는 특히 베트남과의 긴장을 고조시켰다.[115][109]

말레이시아1983년 스왈로우 암초(라양라양)를 점령하고 매립하여 다이빙 리조트와 해군 기지를 건설했으며,[43] 아르다시어 암초와 마리벨레스 암초도 점령하고 있다. 말레이시아는 한때 베트남과 분쟁 해역 공동 개발에 합의하고[113] 중국과의 경제 협력을 강조하며 유화적인 태도를 보이기도 했으나,[116][117] 중국 선박의 영해 침범이 잦아지자 점차 비판적인 입장으로 선회하고 있다.[121][122][123]

최근 몇 년간 중국과 필리핀 간의 해상 충돌이 격화되고 있다. 2021년 3월, 중국은 휘트선 암초(줄리안 펠리페 암초) 인근에 200척 이상의 어선을 집결시켜 필리핀의 항의를 받았다.[147] 같은 해 11월에는 중국 해경선이 필리핀 보급선에 물대포를 사용하여 세컨드 토마스 암초(아융인 암초) 주둔 필리핀 해병대에 대한 보급을 방해했다.[148] 2023년에는 중국 해경선이 필리핀 함정에 군용 레이저를 조준하거나[150] 물대포를 발사하고[151], 선박 간 충돌을 유발하는 등[152] 더욱 공세적인 행동을 보였다. 2024년 3월에는 중국의 물대포 공격으로 필리핀 수병들이 부상당하는 사건이 발생했으며,[152] 6월에는 중국 해경이 필리핀 해군 고무보트에 승선하여 필리핀 군인들을 공격하고 장비를 파손시키는 등 매우 위험한 수준으로 긴장이 고조되었다.[154]

다음은 스프래틀리 군도 영유권 분쟁과 관련된 주요 사건들의 연표이다.

연도사건 내용
1734벨라르데 지도가 발표됨. 안토니오 카르피오 판사에 따르면 스프래틀리 군도와 스카버러 암초가 필리핀 영토의 일부로 표시됨.[85]
1870영국 해군 함장 제임스 조지 미드가 소국 모락-송그라티-미드 공화국을 수립함.
1883독일이 스프래틀리 군도와 파라셀 군도를 측량하자 중국이 항의함.[18]
1887청불 전쟁 이후 체결된 청불 조약에서 중국 측 주장에 따르면 중국이 스프래틀리 군도와 파라셀 군도의 소유주임을 인정함.[18]
1900식민지 프랑스령 인도차이나는 박하이 회사가 18세기부터 스프래틀리 군도에서 베트남의 주권을 행사했다고 주장함.[127]
1927프랑스 선박 드 라네산호가 스프래틀리 군도의 과학 조사를 실시함.
1930프랑스는 라 말리시외즈호로 두 번째 탐험을 실시하고, 일 드 라 탕페트 섬에 프랑스 국기를 게양함.
1933세 척의 프랑스 함선이 가장 큰 섬 아홉 곳을 장악하고 스프래틀리 군도 전체에 대한 프랑스의 주권을 선포함. 프랑스는 코친차이나의 일부로 이 지역을 관리함. 일본 기업들은 코친차이나의 프랑스 당국에 인산염 채굴 허가를 신청함.
1939일본 제국은 이 섬들에 대한 프랑스의 주권에 이의를 제기하며 자국 관할하에 두겠다고 표명함. 프랑스와 영국은 항의하며 프랑스의 주권 주장을 재확인함.
1941일본은 이 섬들을 무력 점령하고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날 때까지 타이완의 일부로 관리하며 통제권을 유지함. 이투아바 섬(타이핑 섬)에 잠수함 기지를 건설함.
1945제2차 세계 대전 후 일본이 항복하자 중화민국은 파라셀 군도와 스프래틀리 군도를 자국 영토라고 주장함. 이투 아바 섬에 군대를 파병하고 주권 표지를 세움.
1946프랑스는 여러 차례 군함을 섬으로 파견했지만 중국군을 몰아내려는 시도는 하지 않음.
1947중국은 구단선(9단선)의 기초가 되는 U자형 점선 지도를 제작하여 그 안의 모든 섬을 자국 영토라고 주장함.[128] 프랑스는 중국군 철수를 요구함.
1948프랑스는 섬 근처 해상 순찰을 중단했고 중국은 대부분의 군대를 철수함.
1951샌프란시스코 강화 조약 체결을 위한 회의에서 소련은 스프래틀리 군도가 중국에 속한다고 주장했으나 부결됨. 당시 프랑스 보호령이었던 베트남 대표는 파라셀 군도와 스프래틀리 군도에 대한 주권을 선포했고, 반대는 없었음. 중국은 회의에 불참.
1956북베트남 부외무장관은 중국 측에 "베트남 자료에 따르면 시사 군도(파라셀)와 난사 군도(스프래틀리)는 역사적으로 중국 영토의 일부"라고 언급함.[129] 필리핀인 토마스 클로마는 스프래틀리 군도 북서부 3분의 2에 대한 주권을 주장하며 칼라얀("자유의 땅")이라 명명함. 중화인민공화국, 중화민국, 프랑스, 남베트남 등이 항의함. 중화민국과 남베트남은 군함을 보냈고, 남베트남은 스프래틀리 군도를 프억뚜이성의 일부로 편입한다고 선언함.
1958중화인민공화국은 스프래틀리 군도를 포함하는 자국의 영해를 정의하는 선언을 발표함. 북베트남 총리 팜반동저우언라이에게 서한을 보내 12해리 영해 결정을 존중한다고 밝힘.
1961–63남베트남은 여러 섬에 주권 표지를 설치함.
1968필리핀은 칼라얀 시민 보호 명분으로 세 개의 섬에 군대를 파병하고 칼라얀 제도 편입을 발표함. 이 지역에서 석유가 발견됨.[5]
1971말레이시아가 스프래틀리 군도 일부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함. 필리핀이 마르코스 대통령 시절 영유권을 공식 주장함.[34]
1972필리핀은 칼라얀 제도를 팔라완 주에 편입함.
1973베트남군이 다섯 개 섬에 주둔함.[130]
1975통일된 베트남이 스프래틀리 군도에 대한 영유권을 선포함.
1978필리핀 대통령령으로 칼라얀 지역에 대한 영토 주장을 명시함.
1979말레이시아는 스프래틀리 군도의 12개 섬을 포함하는 대륙붕 주장 지도를 발표함. 베트남은 백서를 발표하여 자국 주장을 명시하고 타국 주장에 이의를 제기함.
1982베트남은 또 다른 백서를 발표하고 여러 섬을 점령하여 군사 시설을 건설함. 필리핀도 여러 섬을 더 점령하고 활주로를 건설함.
1983말레이시아는 스프래틀리 군도 남쪽의 스왈로우 암초(라양라양)를 점령하고, 이후 매립지에 해군 기지와 다이빙 리조트를 건설함.[43]
1984브루나이는 스프래틀리 군도 남동부의 루이사 암초와 인근 지역을 포함하는 배타적 어업 구역을 설정함.
1986첫 필리핀-베트남 합동 해양 과학 연구 탐사가 실시됨.
1987중화인민공화국(PRC)은 스프래틀리 군도에서 해상 순찰을 실시하고 상주 기지를 설치함.
1988존슨 남초 해전: 중국과 베트남 간의 해전 발생.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PLAN)이 승리하여 6개 지형에 대한 통제권을 확립함.[131]
1994중화인민공화국, 말레이시아, 필리핀은 유엔 해양법 협약(UNCLOS)에 서명함. 역사적 근거는 더 이상 법적 근거로 인정되지 않음.
1995필리핀 정부는 미스치프 환초에 중국군 시설 건설을 확인함. 필리핀 순찰 강화 및 중국 어부 체포, 중국 해군 함정과의 충돌 발생.
1999필리핀은 세컨드 토마스 암초(아융인 암초)에 제2차 세계 대전 시대의 상륙함(LT 57 시에라 마드레)을 의도적으로 좌초시킴. 이 선박은 현재까지 남아 있으며 분쟁의 잠재적 발화점이 됨.[132][133]
2008타이완 총통이 영유권 주장국 정상으로는 처음으로 스프래틀리 군도를 방문하여 다른 주장국들의 비판을 받음.
2009필리핀은 "2009년 필리핀 기선법(RA 9522)"을 제정하여 칼라얀 제도와 스카보로 암초를 "필리핀 공화국 하의 섬 체제"로 분류함.[134] 말레이시아와 베트남이 유엔 대륙붕 한계위원회(CLCS)에 공동 및 개별 제출을 하자 중국과 필리핀이 항의함.[135][136]
2011차이나 모바일이 스프래틀리 군도까지 휴대전화 서비스를 확장했다고 발표함.[137] 중국 순찰선이 스프래틀리 군도 근처 베트남 석유 탐사선의 케이블을 절단하여 베트남에서 반중 시위가 발생함.
2012중국 호위함 동관함이 미스치프 환초에서 좌초됨.[138] 미국 상원은 중국의 싼사시 설치를 비난하는 결의안을 통과시킴.[139] 타이완이 타이핑 섬에서 베트남을 가상 적국으로 설정한 실사격 훈련을 실시하여 베트남이 항의함.[115]
2014필리핀 경찰이 반달 암초 근처에서 중국 어선 꽁치옹하이호와 선원 11명을 거북이 밀렵 혐의로 체포함.[140] 중국이 스프래틀리 군도 세 곳에서 준설과 매립을 시작함.[124]
2015중국 해군이 파이어 크로스 환초 상공을 비행 중이던 미국 P-8 포세이돈 정찰기에 경고함.[141][142][143]
2016중국이 분쟁 중인 섬 중 하나에 HQ-9 지대공 미사일 시스템을 배치한 것이 확인됨.[144] 상설중재재판소(PCA)가 필리핀의 제소 건에 대해 중국의 구단선 주장이 법적 근거가 없다고 판결함.[155][156]
2017베트남이 파라셀 군도 근처에서 미국 엑손모빌과 가스 탐사 및 채굴 계약을 체결함.[145]
2018중국이 파이어 크로스 암초, 수비 환초, 미스치프 환초에 YJ-12 대함 순항 미사일과 HQ-9B 지대공 미사일 시스템을 설치한 것으로 보도됨.[146]
2021중국이 휘트선 암초(줄리안 펠리페 암초) 근처에 200척 이상의 어선을 집결시켜 필리핀이 항의함.[147] 중국 해경선이 물대포를 사용하여 필리핀 보급선의 세컨드 토마스 암초 접근을 막음.[148]
2022중국이 필리핀군이 예인하던 중국 로켓 파편을 압수함.[149]
2023중국 해경 함정이 필리핀 함정에 군용 레이저를 조준함.[150] 중국 해경 함정이 필리핀 보급 임무 함정에 물대포를 발사하고 충돌을 일으켜 선박 손상 및 필리핀군 참모총장 탑승으로 긴장 고조.[151][152][153]
2024중국의 물대포 공격으로 필리핀 민간 선박 앞 유리가 파손되어 필리핀 수병 4명이 부상당함.[152] 중국 해경이 필리핀 해군 고무보트에 승선하여 칼과 곡괭이로 해군 인원을 공격하고 장비를 파괴함. 필리핀 군인 1명이 엄지손가락을 잃는 등 부상 발생.[154]


3. 지리적 특징

2015년 기준 중국, 말레이시아, 필리핀, 타이완, 베트남의 스프래틀리 군도 점령 현황


스프래틀리 군도남중국해에 위치하며, 다수의 섬, 암초, 환초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주요 섬들이 광범위하게 분포하며, 특히 동쪽의 위험지역(Dangerous Ground)에는 수많은 암초들이 밀집해 있다. 현재 중국, 말레이시아, 필리핀, 타이완, 베트남 등 여러 국가가 군도 내의 다양한 섬과 암초를 점령하고 있다.

스프래틀리 군도의 겹치는 영유권 주장


1881년 처음 발행되어 1935년까지 수정된 북부 보르네오 해역의 대형 흑백 영국 해도.


중국, 필리핀, 타이완, 베트남은 스프래틀리 군도 전체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으며, 브루나이말레이시아는 군도의 일부 지역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어 주장이 서로 겹치는 복잡한 양상을 보인다.

4. 영유권 주장 및 근거

스프래틀리 군도1930년대 프랑스가 점령했으며, 태평양 전쟁 중에는 일본 제국이 점거하여 해군 기지로 사용했다. 일본 패망 후 중화민국은 1949년 군함을 동원해 군도에서 가장 큰 섬인 이투아바섬(타이핑섬)을 점령하고 여러 섬에 경계석을 세웠다. 1950년대 중반부터 베트남, 필리핀, 말레이시아가 영유권을 주장하기 시작하면서, 현재는 이들 국가와 중화인민공화국, 중화민국(타이완)이 각각 일부 섬을 점령하고 수비대를 주둔시키고 있다. 브루나이 역시 자국의 배타적 경제 수역(EEZ) 내에 스프래틀리 군도 주변 해역 일부가 포함된다고 주장한다.

분쟁의 주요 원인 중 하나는 풍부한 천연자원이다. 1968년 이 지역에서 석유가 발견되었고,[5] 1976년에는 필리핀이 팔라완 인근 해역에서 대규모 유전을 발견했다.[6] 이후 1992년 중국과 베트남은 각각 미국 석유 회사와 탐사 계약을 체결하기도 했다.[7][8] 그러나 2012~2013년 미국 에너지 정보청은 분쟁 지역 내 석유 및 천연가스 매장량은 예상보다 적으며, 대부분의 매장량은 분쟁이 없는 연안 지역에 존재한다고 평가했다.[9][10]

2016년 7월 12일, 필리핀중국을 상대로 제기한 중재 소송에서 상설중재재판소(PCA)는 중화민국(타이완)이 점유 중인 이투아바섬을 포함한 스프래틀리 군도의 주요 지형들이 법적으로 이 아닌 암초간조노출지라고 판결했다. 이는 해당 지형들이 배타적 경제 수역(EEZ)이나 대륙붕을 생성할 수 없다는 의미이다. 또한 재판소는 중국이 주장하는 구단선의 법적 근거가 없으며, 중국의 인공섬 건설은 불법이라고 판결했다.[155] 중국의 역사적 조업 사실은 인정되었으나, 다른 나라 어민들 역시 해당 수역에서 역사적으로 조업해왔다고 판단하여 중국의 배타적 역사적 권리 주장은 인정되지 않았다.[156] 이 판결로 중국의 영유권 주장은 국제법적으로 큰 타격을 입었으나, 중국과 타이완 양측 모두 판결을 수용하지 않고 있다.

각 영유권 주장 국가는 역사적 권원, 지리적 인접성, 유엔 해양법 협약(UNCLOS) 등 다양한 근거를 제시하며 자국의 주장을 펼치고 있으며, 이는 각국의 하위 문단에서 더 자세히 설명된다.

4. 1. 중화인민공화국과 중화민국(타이완)

중화인민공화국(PRC)과 중화민국(ROC, 타이완)은 모두 스프래틀리 군도 전체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한다. 이들의 주장은 유엔 해양법 협약(UNCLOS)보다는 역사적 권원에 근거하고 있다.[17] 양측 모두 1947년 중화민국 정부가 제작한 구단선(U자형 선) 지도를 주장의 근거 중 하나로 삼고 있다.[30]
역사적 주장과 점유중국은 고대부터 중국 어민들이 스프래틀리 군도 해역에서 활동했으며, 한나라, 원나라, 명나라, 청나라 시기 지도와 문헌에 해당 도서가 중국 영토로 기록되었다고 주장한다.[18][19][20][21][22] 19세기에 유럽인들은 하이난 출신 중국 어부들이 매년 일정 기간 스프래틀리 군도에 머물렀다는 사실을 기록했다.[25][26] 20세기 초, 청나라와 중화민국 정부는 파라셀 군도와 스프래틀리 군도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고 영유권을 주장했다.[29][30]

제2차 세계 대전일본 제국이 점령했던 스프래틀리 군도는[31] 일본 패망 후 연합국은 해당 지역의 일본군 항복 접수를 중화민국에 맡겼다.[30][32] 중화민국은 1946년 군대를 파견하여 가장 큰 섬인 이투아바섬(타이핑섬, 太平島)을 점령하고 중국 국기를 게양했으며,[27] 1947년에는 스프래틀리 군도를 포함한 남중국해 대부분 지역에 U자형의 영유권 주장선을 표시한 지도를 공식 발표했다.[30] 1950년 국공 내전으로 중화민국 정부가 타이완으로 이전하면서 잠시 철수했으나, 1956년 필리핀 민간인의 점유 시도 이후 다시 이투아바섬에 군대를 주둔시켜 현재까지 실효 지배하고 있다.[101][34][35] 이투아바섬에 대한 중화민국(타이완)의 지속적인 주둔은 스프래틀리 군도에 대한 실효 지배의 중요한 근거로 여겨진다.[34][35]

1947년 중화민국 내무부가 제작한 남중국해 도서 지도. U자형 선(현재의 구단선)의 초기 형태로 평가된다.

중화인민공화국의 주장과 활동1949년 건국된 중화인민공화국은 중화민국의 영유권 주장을 계승하여 스프래틀리 군도 전체를 자국 영토라고 주장한다. 중국은 1994년 유엔 해양법 협약(UNCLOS)에 서명했지만,[17] 역사적 권리를 우선시하는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1996년에는 파라셀 군도 등을 포함한 자국의 영해 기선을 유엔에 제출했으나, 스프래틀리 군도는 포함하지 않았다.[36][37][38]

1992년 중국은 미국의 석유 회사 크레스톤 에너지와 스프래틀리 군도 해역을 포함하는 25155km2 면적의 '완안 베이-21' 구역에 대한 공동 석유 탐사 계약을 체결하기도 했다.[7][8] 그러나 미국 에너지 정보청은 2012-2013년 보고서에서 스프래틀리 군도와 같은 분쟁 지역의 석유 및 천연가스 매장량은 매우 적으며, 대부분의 확인된 매장량은 분쟁이 없는 연안 지역에 존재한다고 평가했다.[9][10]

2013년부터 중국은 스프래틀리 군도의 여러 암초에서 대규모 준설 및 매립 공사를 시작하여 인공섬을 건설하고 군사 시설을 구축하고 있다.[124] 특히 파이어크로스 암초, 수비 암초, 미스치프 암초 등에서 활주로, 항만, 레이더 시설 등을 건설하여 군사 거점화를 추진하고 있으며, 이는 주변국 및 국제사회의 큰 우려를 낳고 있다.[125][126]
상설중재재판소 판결과 양안의 반응2016년 7월 12일, 필리핀이 제기한 남중국해 중재에서 상설중재재판소(PCA)는 중화민국(타이완)이 실효 지배 중인 이투아바섬을 포함한 스프래틀리 군도의 주요 지형들이 법적으로 이 아닌 암초간조노출지라고 판결했다. 이는 해당 지형들이 배타적 경제 수역(EEZ)이나 대륙붕을 생성할 수 없음을 의미한다. 또한 재판소는 중국의 구단선 주장이 법적 근거가 없으며, 인공섬 건설은 불법이라고 판결했다.[155][156]

그러나 중화인민공화국과 중화민국(타이완)은 모두 이 판결을 수용하지 않았다. 중국은 재판 자체를 인정하지 않았으며, 타이완 정부 역시 이투아바섬이 섬이라는 기존 입장을 고수하며 판결이 구속력이 없다고 주장했다.[39][40][41]
양안 관계와 협력스프래틀리 군도 문제에 있어 중화인민공화국과 중화민국(타이완)은 동일한 영유권 주장을 공유하며 전략적으로 협력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양측 모두 군도 전체를 자국 영토로 주장하는 반면, 다른 국가들은 일부 지역만을 주장한다.[18] 중국은 타이완의 이투아바섬 통제를 자국 주장의 연장선으로 간주하며,[18] 다른 영유권 주장국들에 맞서 타이완과의 협력을 제안하기도 했다.[34][106] 타이완 내에서도 중국과의 협력을 통해 영유권을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며, 특히 베트남 등 다른 주장국들에 대한 견제 심리가 작용하고 있다.[107][108] 2012년 타이완이 이투아바섬의 활주로를 확장한 것은 이러한 맥락에서 이루어졌으며, 중국은 이를 긍정적으로 평가했다.[107][35]

4. 2. 베트남

1950년대 중반부터 베트남필리핀, 말레이시아와 함께 스프래틀리 군도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하기 시작했다. 현재 베트남은 여러 섬과 암초를 점령하고 수비대를 주둔시키고 있다.

베트남 공화국(남베트남)의 영토 표석. 스프래틀리 군도의 사우스웨스트 케이(Southwest Cay)에 세워져 베트남 영토(푸억투이성)임을 나타낸다. 1956년 8월 22일부터 1975년까지 사용되었으며, 사이공 함락 이후 후신 국가인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에 의해 교체되었다.


1994년 7월 25일, 베트남은 유엔 해양법 협약(UNCLOS)을 비준하며 다음과 같은 입장을 밝혔다.

: 국회는 파라셀 군도(베트남명: Hoàng Sa, 황사) 및 스프래틀리 군도(베트남명: Trường Sa, 쯔엉사)에 대한 베트남의 주권과 동해(베트남의 남중국해 명칭)에서의 영토 주장 및 기타 분쟁을 평등, 상호 존중 및 이해의 정신으로, 특히 1982년 유엔 해양법 협약과 연안국의 대륙붕 및 배타적 경제 수역에 대한 주권적 권리 및 관할권을 존중하여 평화적인 협상을 통해 해결하려는 베트남의 입장을 재확인한다.[48]

베트남은 중국의 역사적 영유권 주장에 대해, 중국 고대 문헌에 등장하는 '천리장사'(千里長沙|첸리창사zho)와 '만리석당'(萬里石塘|완리시탕zho)은 중국 영토가 아닌 교지(현재 베트남 북부 지역) 해역에 대한 기록이라고 반박한다.[49] 예를 들어, 고대 중국 문헌인 《영외대답》(嶺外代答)[50]과 《제번지》(諸蕃志)[51]에는 이 지명들이 교지 해역에 있다고 언급되어 있다. 베트남은 이를 근거로 해당 기록이 중국의 주권 선포나 행사를 의미하지 않으며, 중국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까지 스프래틀리 군도에 대한 주권을 명시적으로 주장하지 않았다고 본다.

베트남 전쟁 당시 북베트남은 중국으로부터 군사적 지원을 받는 대가로 파라셀 군도와 스프래틀리 군도에 대한 중국의 주장을 잠정적으로 인정한 바 있다. 그러나 전쟁에서 승리하고 통일을 이룬 후, 북베트남은 이러한 인정을 철회하며 당시 미국의 위협에 맞서기 위해 중국의 지원을 확보하려는 전략적 판단이었음을 인정했다.[104]

1992년 이후 베트남은 말레이시아와 분쟁 도서 주변 해역의 공동 개발에 합의하기도 했다.[113]

2012년 9월, 타이완이 이투아바섬(타이핑섬)에서 실사격 군사 훈련을 실시하자, 베트남은 이를 자국 영토 침해로 간주하고 "분노를 표출"하며 훈련 중단을 요구하는 등 강하게 항의했다.[115] 타이완 군이 훈련에서 베트남을 명시적으로 "가상의 적"으로 설정했다는 보도가 나오면서 양측 간 긴장이 고조되었다.[115] 타이완의 국영 석유 회사 CPC Corp의 이사회 이사 치우 이는 베트남을 "타이완에 대한 가장 큰 위협"이라고 언급하기도 했다.[107]

베트남이 점령하고 있는 스프래틀리 군도 내 주요 섬과 암초는 다음과 같다.

베트남이 점령 중인 스프래틀리 군도 내 주요 지형
번호명칭 (한국어)다른 명칭베트남어 명칭
21사우스웨스트 케이푸가드 섬, 南子島|난쯔다오zhoĐảo Song Tử Tây|다오 송뜨떠이vie
22샌드 케이손카 섬, 바일란 섬, 敦謙沙洲|둔첸사저우zhoĐảo Sơn Ca|다오선까vie
23남짓 섬비나고 섬, 鴻庥島|훙슈다오zhoĐảo Nam Yết|다오남이엣vie
24신코우 섬싱톤 섬, 루록 섬, 景宏島|징훙다오zhoĐảo Sinh Tồn|다오신똔vie
25스프래틀리 섬스톰 섬, 라고스 섬, 南威島|난웨이다오zhoĐảo Trường Sa|다오쯔엉사vie 또는 Đảo Trường Sa Lớn|다오쯔엉사런vie
26암보이나 케이다투 칼란티아우 섬, 安波沙洲|안보사저우zho, Pulau Amboyna Kecil|풀라우 암보이나 케칠msaĐảo An Bang|다오안방vie
27그리어슨 암초신코우 이스트 섬, 줄리안 펠리페 암초, 染青沙洲|란칭사저우zhoĐảo Sinh Tồn Đông|다오신똔동vie
28센트럴 런던 암초센트럴 케손 암초, 中礁|중자오zhoĐảo Trường Sa Đông|다오쯔엉사동vie
29피어슨 암초판빈 섬, 히존 암초, 畢生礁|비성자오zhoĐảo Phan Vinh|다오판빈vie
30바크 캐나다 암초리지 웨버 암초, 마스카라도/맥세이 암초, 柏礁|바이자오zho, Terumbu Perahu|테룸부 페라후msaBãi Thuyền Chài|바이투옌차이vie
31웨스트 런던 암초웨스트 암초, 웨스트 케손 암초, 西礁|시자오zhoĐá Tây|다떠이vie
32래드 암초日積礁|르지자오zhoĐá Lát|다랏vie
33디스커버리 그레이트 암초파레데스 암초, 大現礁|다셴자오zhoĐá Lớn|다런vie
34테넌트 암초피전 암초, 로페즈-하에나 암초, 無乜礁|우메자오zhoĐá Tiên Nữ|다띠엔느vie
35이스트 런던 암초이스트 암초, 이스트 케손 암초, 東礁|둥자오zhoĐá Đông|다동vie
36앨리슨 암초데 헤수스 암초, 六門礁|류먼자오zhoĐá Tốc Tan|다똑딴vie
37콘월리스 사우스 암초난화 암초, 오스메냐 암초, 南華礁|난화자오zhoĐá Núi Le|다누이레vie
38페틀리 암초후안 루나 암초, 舶蘭礁|보란자오zhoĐá Núi Thị|다누이티vie
39사우스 암초남 암초, 티모그 암초, 奈羅礁|나이뤄자오zhoĐá Nam|다남vie
40콜린스 암초존슨 노스 암초, 록사스 암초, 鬼喊礁|구이한자오zhoĐá Cô Lin|다꼬린vie
42봄베이 성蓬勃堡|펑보바오zhoBãi Phúc Nguyên|바이푹응우옌vie
43프린스 오브 웨일스 뱅크廣雅灘|광야탄zhoBãi Phúc Tần|바이푹떤vie
44뱅가드 뱅크萬安灘|완안탄zhoBãi Tư Chính|바이뜨찐vie
45프린스 콘소트 뱅크西衛灘|시웨이탄zhoBãi Phúc Nguyên|바이푹응우옌vie
46그레인저 뱅크李準灘|리준탄zhoBãi Quế Đường|바이꾸에드엉vie
47알렉산드라 뱅크人駿灘|런쥔탄zhoBãi Huyền Trân|바이후옌쩐vie
48오를레아나 암초奧南暗沙|아오난안사zhoBãi/Đá Ôn Lai|바이/다온라이vie
49킹스턴 암초金盾暗沙|진둔안사zhoBãi/Đá Chim Biển|바이/다침비엔vie




4. 3. 필리핀

1801년 동인도 제도 지도로 스프래틀리 군도의 위치를 보여준다. 대부분의 이름은 그 이후로 변경되었다.


필리핀이 주장하는 영토 지도. 내수, 영해, 국제 조약 한계 및 배타적 경제 수역을 보여준다.


필리핀 공화국은 스프래틀리 군도에 대한 주권을 ''무주지''(res nullius|레스 눌리우스la) 원칙과 지리적 근접성을 근거로 주장한다.

1946년 필리핀 독립 당시, 필리핀 민족주의자들은 스프래틀리 군도를 자국 영토에 포함시키려 했으나, 미국 측 자문관들은 1898년 파리 조약에서 정한 필리핀 제도의 서쪽 경계에 스프래틀리 군도가 명시적으로 포함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이를 만류했다. 당시 미국은 중화민국장제스 정권과의 불필요한 마찰을 피하고자 했다.[27]

필리핀은 1930년대 프랑스와 일본이 점령하기 전까지 어떤 국가도 이 군도에 대해 실효적인 주권을 행사하지 않았으므로, 이곳이 주인 없는 땅, 즉 ''무주지''(res nullius|레스 눌리우스la) 상태였다고 주장한다. 또한 샌프란시스코 강화 조약에 따라 일본이 군도에 대한 주권을 포기했을 때 특정 수혜국이 지정되지 않았으므로, 이곳은 다시 ''무주지''(res nullius|레스 눌리우스la)가 되어 합법적인 편입이 가능해졌다고 본다.

1956년, 필리핀 국적의 토마스 클로마는 남중국해에 위치한 53개의 지형물에 대해 일방적으로 "자유의 땅(칼라얀)"이라는 이름의 독립체를 선포했다. 그러나 1974년 12월, 클로마는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정권에 의해 체포되었고, 단 1페소라는 상징적인 금액에 해당 영토에 대한 모든 권리를 필리핀 정부에 양도하는 문서에 서명하도록 강요받았다.[46] 이를 근거로 필리핀 정부는 1978년 6월 11일, 마르코스 대통령 명의의 대통령령 1596호를 통해 스프래틀리 군도의 일부를 팔라완주 칼라얀으로 공식 편입하며 필리핀 영토로 선포했다.[47]

지리적 근거로 필리핀은 칼라얀 군도가 남중국해의 다른 군도들과 구별되며, 특히 군도 내 가장 큰 섬의 존재 등을 들어 자국 영토와의 연관성을 강조한다. 또한, 필리핀이 영유권을 주장하는 모든 섬이 1982년 유엔 해양법 협약(UNCLOS)에 따른 자국의 200해리 배타적 경제 수역(EEZ) 내에 위치한다고 주장한다. 이 주장은 해당 섬들이 본래 ''무주지''(res nullius|레스 눌리우스la)였다는 전제에 기반한다.[45] 필리핀은 해상법중화인민공화국이 군도 국가가 아니므로 스프래틀리 군도 전체에 대한 직선 기선 주장을 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역사적 근거로는 1734년 스페인 식민 정부가 발간한 벨라르데 지도(Carta Hydrographica y Chorographica de las Islas Filipinas)를 제시한다. 필리핀의 안토니오 카르피오 전 대법관 등은 이 지도에 스프래틀리 군도가 'Los Bajos de Paragua'로 표기되어 있으며, 이것이 필리핀의 주권을 보여주는 가장 오래된 지도이자 해당 영토에 대한 최초의 주권 표명이라고 주장한다.[83][84][85] 필리핀 측은 1808년과 1875년에 발행된 스페인 식민 정부의 다른 지도(Carta General del Archipielago Filipino)에도 스프래틀리 군도가 필리핀 영토로 포함되어 국제적으로 인정받았다고 주장한다.[86][87][88]

스페인-미국 전쟁 이후 스페인은 1898년 파리 조약을 통해 필리핀을 미국에 할양했다. 당시 조약의 경계선 설정이 불명확하여 스프래틀리 군도, 스카버러 암초 등 일부 지역이 스페인 주권 하에 남게 되었다. 필리핀 정부는 이후 1900년 워싱턴 조약을 통해 이 나머지 영토들이 미국에 공식적으로 할양되었으며, 따라서 필리핀 독립 시점에 이 지역들이 필리핀 영토의 일부가 되었다고 해석한다.[87] 필리핀 측은 1928년 팔라스 섬 사건 당시 미국이 1875년 지도를 "미국과 스페인의 공식 지도"로 인정하며 스프래틀리 군도 등을 필리핀 영토로 간주했다고 주장한다.[90][91]

필리핀이 스프래틀리 군도에 대한 영유권 주장을 본격화한 계기 중 하나는 1971년 타이완(중화민국) 군대가 이투 아바(타이핑) 섬에서 필리핀 어선에 총격을 가한 사건 이후였다.[34]

한편, 스프래틀리 군도 주변 해역은 경제적으로도 중요하다. 1976년 3월, 필리핀은 팔라완 해안 근처에서 자국 최초의 대규모 유전을 발견했다. 2010년 기준으로 이 유전들은 필리핀 전체 석유 소비량의 약 15%를 공급했다.[6]

4. 4. 말레이시아

1950년대 중반부터 스프래틀리 군도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하기 시작했다. 말레이시아의 주장은 유엔 해양법 협약에 따른 200해리 배타적 경제 수역(EEZ)과 대륙붕 원칙에 근거한다.[42][43][44] 1979년에 정의된 자국의 EEZ 내에 있으며,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으로 일본이 권리를 포기한 뒤 주인이 없는 땅(무주지, res nullius)이 되었다고 간주하는 섬들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한다.[45]

말레이시아는 자국 대륙붕에 속한다고 여기는 5개의 지형을 군사적으로 점령하고 있다.[43] 대표적으로 레이앙 레이앙 섬(스왈로우 환초)은 1983년 점령 후 매립하여 섬으로 만들었으며, 현재 다이빙 리조트도 운영 중이다.[43] 또한 아르다시어 환초와 마리벨레스 환초 등도 점령하고 있다.

1992년 이후 베트남과 분쟁 도서 주변 해역 공동 개발에 합의했으며,[113] 분쟁 관련국들의 동향을 주시하고 있다고 밝혔다.[114] 한편, 중화민국(타이완)은 1999년 말레이시아의 스프래틀리 군도 내 활동을 비판한 바 있다.[105]

과거 마하티르 모하마드 총리 시절에는 중국과의 협력을 통해 경제적 이익을 얻으려 했으며, 중국이 위협적이지 않다고 발언하며 미국이 중국을 견제하려 한다고 비판하기도 했다.[116][117] 2013년 중국의 제임스 암초 군사 훈련에도 별다른 우려를 표하지 않았다.[118][119] 그러나 이후 중국 선박의 영해 침범이 발생하자[121] 점차 중국을 비판하는 입장으로 선회했다.[120][122][123]

4. 5. 브루나이

브루나이는 자국과 가장 가까운 남중국해 지역을 자국의 대륙붕 및 배타적경제수역(EEZ)으로 주장한다. 1984년 브루나이는 루이사 암초에 있는 수면 위에 떠 있는 섬들을 자국 영토로 주장하며 이를 포함하는 EEZ를 선포했다.[12] 그러나 브루나이는 해당 지역에 대한 군사적 통제는 행사하지 않고 있다.

5. 자원 및 경제적 중요성

1968년 이 지역에서 석유가 발견된 이후[5] 자원 확보 경쟁이 시작되었다. 1976년 3월 11일, 스프래틀리 군도 인근 팔라완 해안에서 필리핀 최초의 대규모 유전이 발견되었으며, 2010년 기준으로 필리핀 전체 석유 소비량의 15%를 공급했다.[6] 1992년, 중국과 베트남은 각기 미국의 석유 회사들과 스프래틀리 군도의 중첩된 영유권 주장 지역에서 석유 탐사 계약을 승인하였다.[7] 특히 1992년 5월, 중국해양석유총공사(CNOOC)는 미국 콜로라도주 덴버에 본사를 둔 크레스트온 에너지와 남중국해 남서부의 25155km2에 달하는 '완안 베이-21' 구역에 대한 공동 탐사 계약을 체결했는데, 이 구역에는 스프래틀리 군도 일부 지역이 포함된다.[8]

그러나 2012년부터 2013년 사이 미국 에너지 정보청(EIA)은 파라셀 군도와 스프래틀리 군도 등 분쟁 해역 자체의 석유 및 천연가스 매장량은 상대적으로 적을 것으로 추산했다. 남중국해 전체의 확인 또는 추정 매장량(석유 110억 배럴, 천연가스 190조 세제곱피트) 대부분은 영유권 분쟁이 없는 연안 지역에 집중되어 있다는 분석이다.[9][10]

스프래틀리 군도가 위치한 서중태평양 해역은 풍부한 어족 자원으로도 중요하다. 2010년 이 지역의 어획량은 1,170만 톤으로 전 세계 총 어획량의 14%에 달했으며, 이는 1970년의 400만 톤 미만에서 크게 증가한 수치이다.[11] 이러한 경제적 가치 때문에 1984년 브루나이는 스프래틀리 군도 남동쪽의 루이사 환초를 포함하는 배타적 경제 수역(EEZ) 내 어업 구역을 선포하기도 했다.[12]

또한, 스프래틀리 군도 해역은 전 세계 해상 물동량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주요 항로가 통과하는 길목이다. 2016년 기준으로 연간 3.4조달러 규모의 해상 무역이 이 지역을 통과하며, 이는 전 세계 해상 무역액 16조달러의 상당 부분을 차지한다.[13]

6. 국제법 및 중재

필리핀중국을 제소한 사건과 관련하여, 2016년 7월 12일 상설중재재판소(PCA)는 판결을 내렸다. 재판소는 중화민국(타이완)이 점유 중인 이투아바섬을 포함한 9개의 지형이 법적으로 암초간조노출지라고 판단했다. 이는 가장 큰 섬조차 암초로 분류됨에 따라, 스프래틀리 군도의 어떤 지형이나 스카버러 암초영해EEZ를 설정하는 기준이 될 수 없음을 의미한다. 또한, 재판소는 중국의 인공섬 건설 활동을 국제법상 불법으로 규정했다.[155] 중국 측이 주장한 남중국해 수역에서의 역사적 조업 권리는 인정되었으나, 다른 나라 어민들 역시 해당 수역에서 역사적으로 조업해왔다는 점이 지적되었다. 이 판결은 중국이 주장하는 구단선을 포함한 포괄적인 영유권 주장의 법적 근거를 약화시켰다.[156]

남중국해 영유권 주장과 관련 협정 현황


영유권 분쟁 해결과 관련된 주요 국제법 원칙은 다음과 같다.

  • 시간적 법리 (Doctrine of intertemporal law): 팔마스섬 사건 판결에서 확립된 원칙으로, 특정 권리의 유효성은 분쟁 발생 시점이 아닌, 해당 권리가 설정된 시점의 법률에 따라 판단해야 한다는 내용이다.[65][66]
  • 영토 점유 및 주권 행사 기준:
  • 유인도: 팔마스섬 사건(1928년) 판결에서는 유인도에 대한 주권 행사는 지속적이어야 하지만 모든 지점에서 매 순간 행사될 필요는 없으며, 간헐적이거나 불연속적인 행사도 인정된다.[67]
  • 무인도: 클리퍼턴섬 사건(1931년) 판결에서는 무인도의 경우, 국가가 처음 점유를 선언하고 실효적으로 지배하기 시작한 시점부터 점유가 완성된 것으로 간주하며, 이후 적극적인 권한 행사가 없었다는 사실만으로 이미 확립된 권리가 상실되지는 않는다고 판결했다.[68] 이 원칙은 동그린란드 사건(1933년)에서도 확인되었다.[69]
  • 중요일 원칙: 동그린란드 사건에서 확립된 원칙으로, 분쟁 관련 법적 평가의 기준 시점이 되는 '결정적 날짜'(critical date)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동그린란드 사건에서는 노르웨이의 병합 선언일이 중요일로 간주되었다.[70]
  • 우티 포시데티스 유리스: 부르키나파소와 말리 간의 국경 분쟁 사건 판결을 통해 확인된 국제법의 일반 원칙으로, 식민 통치로부터 독립한 신생 국가들이 기존의 행정 경계를 국경으로 존중해야 한다는 원칙이다. 이는 독립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국경 분쟁과 불안정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71]
  • 지도의 증거력: 지도는 그 자체만으로 영토에 대한 권리를 확립할 수 없으며, 조약에 첨부된 경우에만 법적 효력을 갖는다. 다만, 국가가 스스로 제작하여 배포한 지도는 해당 국가에게 불리한 내용을 담고 있더라도, 지리적 사실에 대한 진술로서 증거가 될 수 있다. 이는 에리트레아와 에티오피아 간 국경 획정 사건(2002년) 및 페드라 블랑카 중재(2008년) 판결 등에서 확인되었다.[72]


UNCLOS에 따라, 연안국은 자국 해안선에서 200해리를 초과하는 대륙붕 확장에 대한 주장을 유엔 대륙붕 한계위원회(CLCS)에 제출할 수 있다.[73] 2009년 5월까지 베트남은 남중국해 북부(파라셀 군도 포함)에 대한 단독 청구 및 남중국해 중앙부(스프래틀리 군도 일부 포함)에 대해 말레이시아와의 공동 청구를 제출했다. 브루나이 또한 200해리 이상 대륙붕을 주장할 의사를 통지하는 예비 제출을 했다.[74][75] 이에 대해 중국(PRC)은 즉각 항의하며 유엔에 해당 청구들을 고려하지 말 것을 요구하는 한편, 다른 국가들에게 자국이 영유권을 주장하는 섬들에 대한 주장을 제기하지 말라고 경고했다.[74][76]

7. 외교적 노력 및 분쟁 해결 전망



스프래틀리 군도를 둘러싼 영유권 분쟁 해결을 위해 여러 외교적 노력이 시도되었으나, 관련국 간의 입장 차이와 군사적 긴장으로 인해 뚜렷한 진전을 보지 못하고 있다.

1992년 7월 22일, 아세안(ASEAN)은 남중국해에 관한 선언을 통해 분쟁의 평화적 해결 원칙을 강조했다.[78] 같은 해 말레이시아베트남은 분쟁 도서 주변 해역의 공동 개발에 합의하기도 했다.[113] 2002년 11월 4일에는 아세안 10개국과 중국프놈펜에서 남중국해 당사국 행위 선언(Declaration on the Conduct of Parties in the South China Sea, DOC)[79]에 서명하며, 무력 사용 없이 우호적 협의와 협상을 통해 분쟁을 해결할 것을 약속했다.[79]

그러나 이러한 선언에도 불구하고 긴장은 계속되었다. 2011년 5월, 필리핀베니그노 아키노 3세 대통령은 중국 순찰선이 자국 석유 탐사선을 위협한 사건 이후[77] 방필한 중국 국방장관에게 군비 경쟁 가능성을 경고하고 국제해양법재판소(ITLOS)에 항의했다.[77] 2012년 7월, 중국은 구속력 있는 남중국해 행동 규범(Code of Conduct, COC) 논의 시작에 동의한다는 입장을 밝혔으나,[80] 당시 스카보로 암초에서 군사력을 통해 실효 지배를 강화하던 상황이었기에 주변국들로부터 진정성을 의심받으며 비판을 받았다.

각국의 입장도 복잡하게 얽혀 있다. 말레이시아는 초기에는 중국과의 경제 협력을 중시하며 비교적 유화적인 태도를 보였으나,[116][117][118][119] 중국의 공세적인 해양 활동과 영해 침범이 증가하자[121] 점차 비판의 목소리를 높이며 대응 수위를 조절하고 있다.[120][122][123]

중화민국(타이완)은 중국과 동일하게 군도 전체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하며[105] 국제 무대에서 중국과 보조를 맞추기도 한다.[34][106] 타이완은 실효 지배 중인 이투 아바 섬(타이핑 섬)의 군사력을 강화하면서 특히 베트남을 주요 경쟁 상대로 간주하고 있으며,[108][107] 2012년에는 베트남을 가상 적국으로 한 군사 훈련을 실시해 베트남의 강한 반발을 사기도 했다.[115]

분쟁 해결의 전망은 여전히 불투명하다. 아세안을 중심으로 한 외교적 노력은 계속되고 있지만, 중국의 인공섬 건설과 군사 기지화[124][125][126] 등 현상 변경 시도는 긴장을 고조시키고 신뢰를 저해하는 주요 요인이다. 한편, 2012-2013년 미국 에너지 정보청(EIA)은 스프래틀리 군도 등 핵심 분쟁 지역의 석유 및 천연가스 매장량이 예상보다 적을 수 있으며, 대부분의 자원은 분쟁이 없는 연안 지역에 분포할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을 내놓았다.[9][10] 이는 자원 확보라는 경제적 동기를 일부 약화시킬 수 있으나, 영유권 문제 자체에 대한 각국의 강경한 입장은 쉽게 변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8. 대한민국의 입장 및 정책

(내용 없음 -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대한민국의 입장 및 정책'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참조

[1] 웹사이트 Before and after satellite images: What has been built on disputed islands in the West Philippine sea http://www.straitsti[...] 2016-02-29
[2] 웹사이트 China goes all out with major island-building project in Spratlys – IHS Jane's 360 http://www.janes.com[...] 2014-06-20
[3] 웹사이트 Professor Robert Beckman on the Role of UNCLOS in Maritime Disputes https://gjia.georget[...] 2021-05-06
[4] 뉴스 China Is Getting Help in a Grab at the Sea https://www.nytimes.[...] 1994-05-06
[5] 웹사이트 South China Sea http://www.eia.gov/c[...] US Energy Information Administration (eia) 2013-02-07
[6] 웹사이트 Spratly Islands Dispute http://www1.american[...] American University 1997-12-01
[7] 서적 Chian and the South China Sea dialogues https://books.google[...] Praeger Publishers
[8] 뉴스 South China Sea Oil Rush Risks Clashes as U.S. Emboldens Vietnam on Claim https://www.bloomber[...] 2011-05-27
[9] 웹사이트 Contested areas of South China Sea likely have few conventional oil and gas resources – Today in Energy – U.S. Energy Information Administration (EIA) http://www.eia.gov/t[...]
[10] 웹사이트 All those oil and gas deposits everyone wants in the South China Sea may not even be there https://foreignpolic[...] 2013-04-05
[11] 간행물 World review of fisheries and aquaculture http://www.fao.org/d[...] Food and Agriculture Organisation
[12] 웹사이트 When All Else Has Failed, Diplomacy Sets In http://www.icriforum[...] 2003-06-13
[13] 웹사이트 How Much Trade Transits the South China Sea? https://chinapower.c[...] 2017-08-02
[14] 웹사이트 Oceans & Law of the Sea https://www.un.org/D[...]
[15] 웹사이트 Overview https://www.un.org/D[...] United Nations 2013-08-22
[16] 웹사이트 Spratly Island Dispute (SPRATLY Case) https://web.archive.[...] 1996-04-30
[17] 논문 The UN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 and the Maritime Disputes in the South China Sea American Society of International Law
[18] 서적 Dictionary of Contemporary Chinese Military History https://books.google[...] ABC-CLIO
[19] 웹사이트 Identity History: Austronesian Asia? https://archive-yale[...] Yale University 2019-07-02
[20] 문서 《元史》地理志;《元代疆域图叙》
[21] 문서 《海南卫指挥佥事柴公墓志铬》
[22] 문서 《清直省分图》天下总舆图
[23] 문서 《大清一统天下全图》
[24] 뉴스 Undersea Treasure Chest Stirs up Tensions http://news.bbc.co.u[...] 1999-04-29
[25] 논문 Reconstructing Austronesian population history in Island Southeast Asia 2014-08-19
[26] 논문 The dispersal of Austronesian languages in Island South East Asia: Current findings and debates 2019-04-01
[27] 서적 War Or Peace in the South China Sea? https://books.google[...] NIAS Press
[28] 서적 Security and International Politics in the South China Sea: Towards a co-operative management regime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9] 논문 Geopolitics of Scarborough Shoal http://www.irasec.co[...] Institut de Recherche sur l'Asie du Sud-Est Contemporaine – Research Institute on Contemporary Southeast Asia 2012-11-01
[30] 서적 Where in the World is the Philippines?: Debating Its National Territory https://books.google[...] Institute of Southeast Asian Studies
[31] 논문 La question de Hai-nan et des Paracels 1939-01-01
[32] 서적 Vietnam Joins the World https://books.google[...] M.E. Sharpe 1997-01-01
[33] 백과사전 Spratly Islands http://www.britannic[...]
[34] 서적 The Law of the Sea and Northeast Asia: A Challenge for Cooperation https://books.google[...] Martinus Nijhoff Publishers
[35] 뉴스 Buffer benefits in Spratly initiative http://www.atimes.co[...] 2008-02-22
[36] 웹사이트 Baselines of the Territorial Sea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that claimed in 1996 http://iilss.net/bas[...] 2023-05-05
[37] 웹사이트 Declaration of the Government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on the Baseline of the Territorial Sea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https://www.un.org/D[...] 2023-05-05
[38] 웹사이트 Submission with the Compliance of the Deposit Obligations Pursuant to the UNCLOS https://www.un.org/d[...] 2023-05-05
[39] 웹사이트 Eleventh Press Release 12072016 (English) https://pcacases.com[...] Permanent Court of Arbitration 2022-01-30
[40] 웹사이트 Beijing rejects tribunal's ruling in South China Sea case https://www.theguard[...] 2016-07-26
[41] 웹사이트 Taiwan rejects ruling on South China Sea with Taiping Island defined as 'rocks' http://www.theonline[...] The Online Citizen 2016-07-26
[42] 웹사이트 Malaysia Archives https://amti.csis.or[...] 2021-12-01
[43] 서적 Southeast Asia: A Historical Encyclopedia, from Angkor Wat to East Timor https://books.google[...] ABC-CLIO 2016-07-12
[44] 서적 Southeast Asia Transformed: A Geography of Change https://books.google[...] Institute of Southeast Asian Studies 2016-07-12
[45] 논문 International Law and the Dispute over the Spratly Islands: Whither UNCLOS? 1999-12
[46] 서적 China and Vietnam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6-07-12
[47] 웹사이트 Presidential Decree No. 1596 – Declaring certain area part of the Philippine Territory and providing for their government and Administration http://www.chanroble[...] Chan Robles Law Library 2012-05-28
[48] 웹사이트 UNCLOS. Declarations upon ratification: Viet Nam https://www.un.org/d[...] United Nations 2017-06-29
[49] 간행물 The Sino-Vietnamese difference on the Hoang Sa and Truong Sa archipelagos http://paracels.info[...] The Gioi publisher
[50] 서적 Ling Wai Dai Da (Information on Things Beyond the Passes)
[51] 서적 Zhu Fan Zhi (Notes on Foreign Countries)
[52] 서적 The Spratly Islands dispute: who's on first? https://books.google[...] IBRU
[53] 웹사이트 The Vietnamese state's long standing and uninterrupted sovereignty over the Hoang Sa and Truong Sa archipelagoes https://web.archive.[...] Authority of Foreign Information Service (Vietnam) 2012-10-28
[54] 뉴스 Cairo Communiquè, December 1, 1943 http://www.ndl.go.jp[...] Japan National Diet Library 2012-08-24
[55] 서적 The Spratly Islands and International Law https://brill.com/di[...] Brill Nijhoff 2024-09-20
[56] 웹사이트 San Francisco Peace Treaty http://www.taiwandoc[...] 2015-05-12
[57] 웹사이트 Agreement on the Cessation of Hostilities in Vietnam https://history.stat[...] Office of the Historian, Bureau of Public Affairs, United States Department of State 2016-05-05
[58] 뉴스 Late Vietnam PM's letter gives no legal basis to China's island claim https://web.archive.[...] 2016-05-04
[59] 웹사이트 The 2009 Vietnam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Completed results http://www.gso.gov.v[...] General Statistics Office of Vietnam 2012-12-20
[60] 뉴스 China gets tough as Vietnam claims disputed islands http://www.smh.com.a[...] 2012-06-23
[61] 뉴스 China Criticizes Vietnam in Dispute Over Islands – Pittsburgh Post-Gazette http://www.post-gaze[...] 2012-06-25
[62] 서적 Southeast Asia: From Prehistory to History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2016-07-12
[62] 서적 The South China Sea: The Struggle for Power in Asia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2016-07-12
[62] 서적 Asia's Cauldron: The South China Sea and the End of a Stable Pacific https://books.google[...] Random House Publishing Group 2016-07-12
[62] 서적 Charting the Shape of Early Modern Southeast Asia https://books.google[...] Silkworm Books 2016-07-12
[63] 뉴스 The Cham: Descendants of Ancient Rulers of South China Sea Watch Maritime Dispute From Sidelines https://web.archive.[...] National Geographic 2014-09-03
[64] 뉴스 Vietnam must honor Pham's note
[65] 법률자료 Island of Palmas Case United Nations
[66] 서적 The Evolutionary Interpretation of Treaties Oxford
[67] 법률자료 Island of Palmas Case United Nations
[68] 법률자료 Arbitral Award on the Subject of the Difference Relative to the Sovereignty over Clipperton Island 1931-04
[69] 법률자료 Legal Status of Eastern Greenland (Norway v. Denmark) Permanent Court of International Justice
[70] 법률자료 Legal Status of Eastern Greenland (Norway v. Denmark) Permanent Court of International Justice
[71] 웹사이트 uti possidetis juris https://www.law.corn[...] 2024-06-19
[72] 법원판결 Case Concerning Sovereignty over Pedra Blanca/Pulau Batu Puteh, Middle Rocks and South Ledge, Malaysia v.Singapore 2008-05-23
[73] 웹사이트 Commission on the Limits of the Continental Shelf https://www.un.org/D[...]
[74] 뉴스 China asserts sea border claims http://news.bbc.co.u[...] BBC 2009-05-13
[75] 웹사이트 CLCS website https://www.un.org/D[...]
[76] 웹사이트 Foreign Ministry Spokesperson Ma Zhaoxu's remarks on Vietnam's Submission on Outer Limits of the Continental Shelf in South China Sea http://www.fmprc.gov[...] Ministry of Foreign Affairs, People's Republic of China 2009-05-10
[77] 뉴스 Philippines warns of arms race in South China Sea http://globalnation.[...] Inquirer Global Nation 2011-05-24
[78] 웹사이트 1992 Asean Declaration on the South China Sea http://cil.nus.edu.s[...] 1992-07-22
[79] 웹사이트 Declaration on the Conduct of Parties in the South China Sea http://www.aseansec.[...] Association of Southeast Asian Nations 2002-11-04
[80] 뉴스 China open to discussion on South China Sea code http://www.chinadail[...] 2012-07-13
[81] 간행물 Birthplace of Austronesians is Taiwan, capital was Taitung: Scholar Taiwan News 2017
[82] 논문 Taiwan Jade in the Philippines: 3,000 Years of Trade and Long-distance Interaction Semantic Scholar 2011
[83] Youtube Philippine Island Territories in the West Philippine Sea https://www.youtube.[...] 2024-05-24
[84] 뉴스 'Amplifying the true narrative of the West Philippine Sea' https://mb.com.ph/20[...] 2024-02-10
[85] 뉴스 Murillo Velarde Map refutes 'false history', China's claims – Carpio https://www.gmanetwo[...] GMA News 2017-09-11
[86] 웹사이트 Panatag is proven PH territory; China claims it by bogus history https://www.philstar[...]
[87] 웹사이트 'Amplifying the true narrative of the West Philippine Sea' https://mb.com.ph/20[...]
[88] 문서 The Historical Facts in the WPS https://www.imoa.ph/[...]
[89] 학술지 The South China Sea in the Age of European Decline 2006-02
[90] 웹사이트 ANALYSIS: The most complicated dispute in the world https://www.rappler.[...] 2023-11-11
[91] 웹사이트 Carpio debunks China lie about owning Spratlys https://www.philstar[...]
[92] 법원판결 Award of July 12, 2016, South China Sea Arbitration
[93] 웹사이트 Journal officiel de la République française. Lois et décrets https://gallica.bnf.[...] 1933-07-24
[94] 학술지 The South China Sea in the Age of European Decline 2006-02
[95] 간행물 China's Claim to the Spratly Islands is Just a Mistake CIMSEC 2018-05-16
[96] 서적 Documents diplomatiques français 1932–1939. 2e série, 1936–1939 https://gallica.bnf.[...] Ministère des affaires étrangères, Commission de publication des documents relatifs aux origines de la guerre 1939–1945. 1981
[97] 서적 Documents diplomatiques français 1932–1939. 2e série, 1936–1939 https://gallica.bnf.[...] Ministère des affaires étrangères, Commission de publication des documents relatifs aux origines de la guerre 1939–1945 1974
[98] 서적 China Handbook 1937-1943 戰時中華志 A Comprehensive Survey of Major Developments in China in Six Years of War https://archive.org/[...] The Macmillan Company
[99] 서적 China Handbook 1937–1945, New Edition with 1946 Supplement Macmillan Co.
[100] 서적 Cooperative monitoring in the South China Sea: satellite imagery, confidence-building measures, and the Spratly Islands disputes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101] 서적 Morley, James William; Nishihara, Masashi (1997).
[102] 서적 Pak, C. (2000).
[103] 간행물 Record of Proceedings of the Conference for the Conclusion and Signature of the Treaty of Peace with Japan US Department of State Publication
[104] 서적 Morley, James William; Nishihara, Masashi (1997).
[105] 뉴스 Taiwan sticks to its guns, to U.S. chagrin https://archive.toda[...] Asia Times 1999-07-14
[106] 뉴스 US toe-dipping muddies South China Sea http://www.atimes.co[...] 2014-05-14
[107] 뉴스 Taiwan pours cement on maritime dispute http://www.atimes.co[...] 2014-03-10
[108] 뉴스 Taiwan circling South China Sea bait http://www.atimes.co[...] 2014-05-14
[109] 뉴스 US goes fishing for trouble http://www.atimes.co[...] 2014-05-14
[110] 서적 An Atlas of Ancient Maps in China Cultural Relics Publishing House 1990
[111] 서적 An Atlas of Ancient Maps in China Cultural Relics Publishing House 1994
[112] 서적 An Atlas of Ancient Maps in China Cultural Relics Publishing House 1997
[113] 서적 Asian Yearbook of International Law: 1992 https://books.google[...] Martinus Nijhoff Publishers 2016-07-12
[114] 웹사이트 Resolve South China Sea Disputes Diplomatically – Ahmad Zahid https://www.kln.gov.[...] Ministry of Foreign Affairs, Malaysia 2014-05-17
[115] 뉴스 Taiwan Challenges Its Neighbors http://www.cato.org/[...] Cato Institute 2014-03-10
[116] 웹사이트 Mahathir: China no threat to Malaysia http://biz.thestar.c[...] 2014-05-14
[117] 뉴스 Malaysia's Mahathir says China is no threat http://ajw.asahi.com[...] 2014-05-14
[118] 웹사이트 Why Malaysia isn't afraid of China (for now) http://www.aspistrat[...] The Strategist: The Australian Strategic Policy Institute Blog 2014-05-14
[119] 웹사이트 Malaysia splits with ASEAN on China Sea threat http://www.businessm[...] Business Mirror 2014-05-14
[120] 뉴스 Why Malaysia, unlike Philippines, keeps quiet on sea row http://www.philstar.[...] 2014-06-25
[121] 뉴스 Presence of China Coast Guard ship at Luconia Shoals spooks local fishermen http://www.theborneo[...] 2015-09-28
[122] 웹사이트 Malaysia lodges diplomatic protest against intrusion at Beting Patinggi Ali http://www.therakyat[...] The Rakyat Post 2015-08-16
[123] 웹사이트 Malaysia slams China's 'provocation' in South China Sea http://www.channelne[...] Channel News Asia 2015-10-20
[124] 웹사이트 Speech delivered to the Australian Strategic Policy Institute http://www.cpf.navy.[...] U.S. Navy 2015-05-29
[125] 웹사이트 Island building in the South China Sea http://www.stuff.co.[...] Stuff.co.nz 2015-05-12
[126] 웹사이트 China completes runway on Fiery Cross Reef http://www.janes.com[...] 2015-09-28
[127] 서적 Sovereignty Over the Paracel and Spratly Islands https://books.google[...] Kluwer Law International 2016-07-12
[128] 웹사이트 International Claims in Spratly and Oil Claims http://www.paracelsp[...] paracelspratly.com
[129] 웹사이트 China 's Claim of Sovereignty over Spratly and Paracel Islands: A Historical and Legal Perspective http://scholarlycomm[...] 2016-05-30
[130] 서적 Territorial Disputes and Resource Management
[131] 서적 The Art of State Persuasion: China's Strategic Use of Media in Interstate Disputes Oxford University Press
[132] 뉴스 Second Thomas Shoal Tensions Intensify https://thediplomat.[...] 2014-03-17
[133] 뉴스 A game of shark and minnow https://www.nytimes.[...] 2014-03-17
[134] 웹사이트 Philippine Baselines Law of 2009 signed http://www.gmanews.t[...] GMA News 2009-03-11
[135] 웹사이트 Joint submission by Malaysia and the Socialist Republic of Viet Nam https://www.un.org/D[...] United Nations Commission on the Limits of the Continental Shelf 2009-09-18
[136] 웹사이트 Submission by the Socialist Republic of Viet Nam https://www.un.org/D[...] United Nations Commission on the Limits of the Continental Shelf 2009-09-18
[137] 웹사이트 China Mobile expands coverage to the Spratly Islands http://www.cellular-[...] Cellular News 2011-05-18
[138] 웹사이트 Chinese frigate runs aground in disputed part of South China Sea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5-05-12
[139] 웹사이트 US voices concern over South China Sea rows http://www.aljazeera[...] Al Jazeera 2013-02-03
[140] 뉴스 Tensions surge in S. China Sea as Philippines seizes Chinese boat http://in.reuters.co[...] 2014-05-07
[141] 웹사이트 Exclusive: China warns U.S. surveillance plane http://www.cnn.com/2[...] CNN.com 2015-05-20
[142] 웹사이트 Why China's island-building is raising eyebrows http://www.cnn.com/2[...] 2015-05-21
[143] 웹사이트 US May Use Military to Confront China in Spratly Island Dispute http://www.manilaliv[...] Manila Livewire Digital Media Group
[144] 뉴스 Exclusive: China sends surface-to-air missiles to contested island in provocative move https://www.foxnews.[...]
[145] 뉴스 China Cancels Military Meeting With Vietnam Over Territorial Dispute https://www.nytimes.[...] 2017-06-21
[146] 뉴스 China quietly installed missile systems on strategic Spratly Islands in hotly contested South China Sea https://www.nytimes.[...] 2018-05-02
[147] 뉴스 South China Sea: alarm in Philippines as 200 Chinese vessels gather at disputed reef https://www.theguard[...] 2021-03-21
[148] 웹사이트 Chinese vessels use water cannon to block Philippines vessels from disputed shoal https://www.theguard[...] 2021-11-18
[149] 뉴스 China accused of seizing rocket debris from Philippines navy in South China Sea dispute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22-11-20
[150] 뉴스 Chinese ship accused of using ‘military-grade laser’ against Philippine vessel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23-02-13
[151] 웹사이트 Philippines tells China it will not abandon post in disputed reef https://www.channeln[...]
[152] 뉴스 Timeline of Chinese Harassment of Second Thomas Shoal Resupply Missions https://news.usni.or[...] US Naval Institute 2024-04-04
[153] 뉴스 Philippines says a coast guard ship and supply boat were rammed by Chinese vessels at disputed shoal https://apnews.com/a[...] 2023-10-22
[154] 뉴스 Philippines faces 'barbaric' knife, axe wielding Chinese sailors in WPS https://www.philstar[...] The Philippine Star 2024-06-20
[155] 웹사이트 판결내용은 中완패…"남중국해에 '섬' 없다·영유권·EEZ 불가" http://www.yonhapnew[...]
[156] 웹사이트 중국, 남중국해 영유권 분쟁 패소... 강력 반발 http://www.ohmynew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