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샌프란시스코 강화 조약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일본과 연합국 간의 전쟁 상태를 종식하고 일본의 주권 회복을 목표로 1951년 샌프란시스코에서 체결된 조약이다. 이 조약은 일본의 영토 포기, 배상 문제, 안전 보장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며, 미국과 영국의 의견 차이로 인해 중화민국과 중화인민공화국이 참여하지 못했고, 소련도 서명하지 않았다. 대한민국 또한 초청받지 못해, 독도 문제 등 한일 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조약 이후 일본은 자유주의 진영에 복귀하고, 미일안보조약을 통해 동맹 관계를 맺었지만, 전쟁 범죄에 대한 책임 문제, 영토 분쟁, 냉전 논리에 따른 문제점 등 비판적인 시각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남베트남-일본 관계 - 베트남에 평화를! 시민연합
베트남에 평화를! 시민연합은 1965년 미국군의 베트남 북부 폭격에 반대하며 결성된 일본의 시민 단체로, 반전 운동과 미일안보조약 반대 시위를 주도했으나 1974년 해산되었다. - 남베트남-일본 관계 - 전차 투쟁
전차 투쟁은 1972년 사가미하라시에서 베트남 전쟁에 사용될 전차 수송에 반대하는 시민들이 차량 제한령을 근거로 전차 이동을 막으며 시작된 시민 저항 운동으로, 일본 사회 운동사에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 1951년 9월 - 미일안전보장조약
미일안전보장조약은 1951년 체결되어 미국이 일본의 안보를 위해 군대를 주둔시키고 일본 방위를 돕는 것을 골자로 하며, 1960년에 새로운 조약으로 대체되었다. - 1951년 9월 - 피의 능선 전투
피의 능선 전투는 한국 전쟁 중 1951년 8월부터 9월 초까지 강원도 양구군 983고지 일대에서 유엔군과 조선인민군이 벌인 치열한 전투로, 조선인민군의 주요 관측소 제거와 대한민국 육군 전투력 향상을 목적으로 시작되어 양측에 막대한 인명 피해를 초래했다. - 1952년 4월 - 1952년 대한민국 지방 선거
한국 전쟁 중 이승만 정부는 지방자치법에 따라 지방 의회 의원 선거를 실시하여 지지 세력을 확보하고 직접 선거제 개헌을 추진했으나, 시·읍·면에서는 무소속, 도의회에서는 자유당이 다수를 차지했다. - 1952년 4월 - 미일안전보장조약
미일안전보장조약은 1951년 체결되어 미국이 일본의 안보를 위해 군대를 주둔시키고 일본 방위를 돕는 것을 골자로 하며, 1960년에 새로운 조약으로 대체되었다.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 |
---|---|
조약 정보 | |
조약 이름 |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
다른 이름 | 일본국과의 평화조약 대일강화조약 |
조약 유형 | 종전 조약 |
서명일 | 1951년 9월 8일 |
서명 장소 | 미국 캘리포니아주샌프란시스코 워 메모리얼 오페라 하우스 |
발효일 | 1952년 4월 28일 |
기탁자 | 미국 정부 |
조약 번호 | 1952년 조약 제5호 |
사용 언어 | 영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일본어 |
내용 | 제2차 세계 대전의 연합국과 일본 사이의 평화 조약 |
관련 조약 | (구)미일안보조약 |
위키소스 | 일본국과의 평화조약 |
링크 | 대일평화조약협상 전문 미국 외교 관계, 1951, 아시아 및 태평양, 문서 735 편집자 주 일본과 평화 조약 (두 개의 선언 포함). 1951년 9월 8일 샌프란시스코에서 서명됨 샌프란시스코 평화 회의 『관보』호외 "일본국과의 평화조약" - 국립국회도서관 |
서명 및 협상 | |
협상 대표 | 미국: 존 포스터 덜레스 일본: 요시다 시게루 |
당사국 | |
당사국 | 일본 및 제2차 세계 대전 연합국 48개국 |
이미지 | |
![]() |
2. 조약 체결의 배경
1951년 9월 8일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시에서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또는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이 서명되었고, 같은 날 일본국과 미국 간의 안전보장조약도 체결되었다. 이 조약은 1952년 4월 28일에 공포·발효되었다.
조약 후문에는 “천구백오십일년 구월 팔일에 샌프란시스코 시에서, 똑같이 본문인 영어, 프랑스어 및 스페인어에 의하여, 그리고 일본어에 의하여 작성한”이라는 문구가 있으며, 일본어판은 본문에 준하는 취급을 받고 있다.[48] 1945년 10월 24일에 발족한 국제연합의 공용어는 영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러시아어, 중국어 5개 국어[49]였지만, 소비에트 연방과 중국[50]은 이 조약에 가입하지 않아 러시아어와 중국어 조약 인증 등본은 작성되지 않았다.
이 조약을 비준한 연합국은 일본국의 주권을 승인하였고,[46] 국제법상 일본과 많은 연합국 간의 "전쟁 상태"가 종결되었다. 소비에트 연방은 회의에 참석했으나, 연합군 점령 종료 후 미국군 주둔에 반대하여 조약에 서명하지 않았다. 옛 영국령 인도와 미얀마는 불참했고, 옛 네덜란드령 인도네시아는 조약에 서명했으나 의회 비준은 이행하지 않았다. 이후 일본은 인도네시아, 중화민국(타이완), 인도, 미얀마와 개별 평화조약을 체결했으나, 소비에트 연방(및 그 국제적 지위를 계승한 러시아 연방)과의 평화조약은 체결되지 않았다.
2. 1. 제2차 세계 대전 종전과 냉전의 시작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엘베 강의 서약에서 악수를 나눴던 소련과 미국은 대립하게 되었고, 동서 냉전 구조가 전후 국제 사회에 형성되어 갔다. 중국 대륙에서는 국민당 정권과 공산당 정권이 대립하여 내전으로 발전했으며, 소련은 중국 공산당 정권을 지원했다. 1949년 10월, 베이징에서 공산당 정권은 중화인민공화국 건국을 선포했고, 12월 국민당 정권은 타이완으로 이동했다.연합군 군정기를 거쳐 미·소 양국에 의해 남북으로 분단된 한반도에서는 1950년에 한국 전쟁이 발발했다. 소련과 중국 공산당 정권은 북한을 지원했고, 미국, 영국 등은 대한민국을 지원했다. 이러한 배경으로 소련과 미국의 관계는 악화되었고, 연합국 구성국 간의 강화 조약 체결 협상은 혼란스러웠다. 결국 소련 대표는 강화 회의에 참석했지만 강화 조약에는 서명하지 않았다.[46] 중화민국(국민당 정권) 및 공산당 정권 대표는 초청받지 못했다.
2. 2. 국공 내전과 한국 전쟁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엘베 강의 서약에서 악수를 나눴던 소련과 미국은 대립하게 되었고, 동서 냉전 구조가 전후 국제 사회에서 형성되어 갔다. 중국 대륙에서는 국민당 정권과 공산당 정권이 대립하여 국공내전으로 발전했다. 내전 중 소련은 중국 공산당 정권을 지원했다. 1949년 9월 말 시점에서 공산당 정권은 중화민국(국민당 정권)이 주장하는 영역 중 티베트와 신장 위구르 자치구를 제외한 대륙부를 점령했다. 1949년 10월 베이징에서 공산당 정권은 중화인민공화국 건국을 선포했고, 12월 국민당 정권은 타이완으로 이동했다.그 후, 연합군 군정기를 거쳐 미·소 양국에 의해 남북으로 분단된 한반도에서 1950년에 한국 전쟁이 발발했다. 소련과 중국 공산당 정권은 북한을 지원했고, 미국, 영국 등은 대한민국을 지원했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소련과 미국의 관계는 악화되었고, 연합국 구성국 간의 강화 조약 체결을 위한 협상은 혼란스러웠다. 최종적으로 소련 대표는 강화 회의에 참석했지만 강화 조약에는 서명하지 않았다. 중화민국(국민당 정권) 및 공산당 정권의 대표는 초청받지 못했다.[46]
2. 3. 단독 강화론과 전면 강화론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일본 국내에서는 미국, 영국 등 서방 국가와의 '''단독 강화'''론과 소비에트 연방(소련), 중화민국(타이완)을 포함한 '''전면 강화'''론이 대립했다.[61]단독 강화론은 자유주의 진영에 속하며, 연합군에 의한 점령 종료 후에도 미국과의 군사 동맹을 통해 주일미군 주둔을 유지하려는 입장이었다. 실제로는 52개국이 강화 조약에 참여했기 때문에 '''다수 강화''' 또는 '''부분 강화'''라고도 불렸다.[68]
반면, 전면 강화론은 냉전 상황에서 중립적인 입장을 취하려는 것으로, 소련과 중국을 포함할지 여부가 쟁점이 되었다.[63] 전면 강화론자인 도류 시게토는 단독 강화가 공산주의 진영을 가상 적국으로 한 미일 군사 협정과 다름없다고 주장했다.[63]
내각총리대신 요시다 시게루는 단독 강화를 추진했고, 1946년 미나미하라 시게루 (도쿄제국대학교 교수)가 소련 등을 포함하는 전면 강화론을 제기하며 논쟁이 벌어졌다. 일본 공산당, 노동자농민당 등은 전면강화애국운동협의회를 결성했고, 사회당도 전면 강화 입장을 취했다.
1950년, 평화문제담화회는 잡지 『세계』 등을 통해 전면 강화론을 펼쳤다.[64][65] 그러나 아사히 신문 여론조사 결과, 단독 강화 지지가 전면 강화 지지의 2배를 넘었고, 사회당 지지자 사이에서도 단독 강화 지지가 더 높았다.[71]
요시다 시게루는 한국 전쟁 발발을 강화의 기회로 보고, 이케다 하야토를 미국에 파견하여 강화 조약안을 전달하는 등 단독 강화를 추진했다.[74] 결국 1951년 9월 8일,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과 함께 일본국과 미국합중국 간의 안전보장조약이 체결되었다.
전면 강화론은 이후에도 야마카와 히토시 등의 무장 중립론으로 이어져 일본 사회당의 당 강령이 되었고, 안보 및 미일 동맹 논의에 영향을 주었다.[99] 1960년 안보투쟁으로 이어진 안보 조약 반대 운동에도 영향을 미쳤다.
3. 샌프란시스코 강화 회의
1951년 9월 4일부터 9월 8일까지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샌프란시스코 강화 회의가 열렸다. 이 회의는 제2차 세계 대전의 연합국과 일본 간의 평화 조약을 체결하기 위한 국제회의였다. 총 52개국이 초청되었으나, 인도, 미얀마, 유고슬라비아는 불참했다. 인도는 조약의 일부 조항이 일본의 주권과 독립을 제한한다고 판단했다.[110][111]
중화인민공화국과 중화민국은 영국과 미국의 의견 차이로,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어느 쪽이 한국 전체를 대표하는지에 대한 문제와 일본의 식민지였다는 점 때문에 초청받지 못했다.[9][113] 이탈리아는 1945년 7월 14일 일본에 선전포고를 했지만 초청받지 못했고,[114] 포르투갈은 전쟁 중 중립을 유지했기 때문에 초청받지 못했다.[15]
소련은 안드레이 그로미코 외무부 차관보를 대표로 협상단을 파견했지만, 미국과 영국이 준비한 조약 초안에 반대하며 서명하지 않았다.[115][116][117] 중화인민공화국 역시 조약이 불법이며 승인되어서는 안 된다고 비난했다.[118] 주은래 외상은 조약 내용이 여러 국제 협정을 위반하고 있다고 주장하며, 중화인민공화국이 강화 회의에 참가할 권리가 있다고 주장했다.[76]
대한민국은 "서명국"으로 참여하고자 노력했으나,[78] 한국 전쟁 발발 후, 1951년 5월 미영 협의 등에서 영국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한국이 존재하지 않았고 일본과 전쟁을 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반대했다. 미국 역시 한국 임시정부를 승인한 적이 없다는 점을 들어 동의했다. 1951년 8월 10일 러스크 서한을 통해 한국의 요구가 대부분 거부되었고, 1951년 8월 22일 덜레스는 한국 대사의 서명 요구와 옵서버 자격도 거부했다.[79][80]
1951년 9월 8일, 51개국 중 체코슬로바키아, 폴란드, 소련을 제외한 48개국이 조약에 서명했다.[121][122] 조약은 1952년 4월 28일 일본 표준시 22시 30분에 발효되었다.[86]
3. 1. 참가국과 불참국
샌프란시스코 강화 회의에는 미국, 영국, 일본 등 총 52개국이 초청되었다.[109] 그러나 인도, 미얀마, 유고슬라비아는 회의에 불참했다.[110] 인도는 조약의 일부 조항이 일본의 주권과 자국의 독립을 제한한다고 판단했다.[111]중화인민공화국과 중화민국은 영국과 미국의 의견 차이로 초청받지 못했다.[9] 미국은 중화민국을, 영국은 중화인민공화국을 중국의 대표로 인정하려 했기 때문이다.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어느 쪽이 한국 전체를 대표하는지에 대한 문제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일본의 식민지였다는 점 때문에 초청 대상에서 제외되었다.[113]
이탈리아는 1945년 7월 14일 일본에 선전포고를 했지만 초청받지 못했고,[114] 포르투갈은 전쟁 중 중립을 유지했기 때문에 초청받지 못했다.[15]
3. 2. 소련의 반대
소련은 안드레이 그로미코 외무부 차관보가 이끄는 협상단을 샌프란시스코 회담에 파견했지만, 회담 시작부터 미국과 영국이 준비한 조약 초안에 반대했다. 소련 협상단은 회담 진행을 지연시키려 했지만 실패했다.[115]1951년 9월 8일, 그로미코는 연설을 통해 소련의 반대 이유를 구체적으로 밝혔다.[116]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조약이 일본의 군대 창설을 막을 장치가 없다.
- 공산당 정권의 중화인민공화국이 일본 침략의 주요 피해자임에도 회담에 초대받지 못했다.
- 조약 준비 과정에서 소련과 적절한 상의가 없었다.
- 조약이 일본을 미군 기지로 만들고, 소련에 대항하는 미국의 동맹국으로 삼는다.
- 조약이 별개의 평화 조약이다.
- 조약이 대만을 비롯한 여러 섬에 대한 중화인민공화국의 권리를 침해한다.
- 미국이 정당한 권리 없이 일본의 여러 섬을 할양받는다.
- 초기 조약 초안은 얄타 회담을 위반하여 남 사할린과 쿠릴 열도에 대한 소련의 주권을 인정하지 않았다.
결국 소련은 조약에 서명하지 않았고, 1956년 10월 19일 일소공동선언을 통해서야 종전과 외교 관계 복원에 합의했다.[117]
3. 3. 중화인민공화국의 반대
1951년 8월 15일과 9월 18일 중화인민공화국은 이 조약이 불법이며, 승인되어서는 안 된다고 비난하였다.[118] 협상에서 완전히 배제된 것 외에도, 중화인민공화국은 남중국해에 있는 파라셀 제도와 스프래틀리 군도, 둥사 군도가 자국의 영토라고 주장했다.[118] 조약에는 이러한 섬들이 아예 언급되지 않았거나, 둥사 군도의 경우에는 유엔에 넘기는 내용이 있었다.1951년 8월 15일, 중국 공산당 정권의 주은래 외상은 샌프란시스코 강화 회의 개최에 대해 비판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주은래는 대일 평화 조약의 내용이 연합국 선언, 카이로 선언, 얄타 협정, 포츠담 선언 등 국제 협정을 심각하게 위반하고 있다고 주장하며, 해당 조약이 소련을 배제하고 미영 측에서 결정되었고, 중국 공산당 정권 또한 강화 회의에 참가할 권리가 있다고 주장했다.[76]
3. 4. 한국의 불참과 그 영향
대한민국은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에 "서명국"으로 참여하고자 여러 차례 노력했다.[78] 1949년 12월, 주한 미국 대사 존 조셉 무치오는 한국의 참여를 미국 국무부에 요청했고, 조약 초안에 한국이 체결국 목록에 추가되기도 했다.[77] 그러나 일본 정부는 재일 조선인을 연합국으로 다루지 않는다는 조건으로 한국의 서명에 반대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혔다.1950년 한국 전쟁 발발 후, 1951년 5월 미영 협의 등에서 영국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한국이 존재하지 않았고 일본과 전쟁을 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한국의 조약 서명에 반대했다. 미국 역시 한국 임시정부를 승인한 적이 없다는 점을 들어 영국의 방침에 동의했다.
1951년 7월, 덜레스 국무장관 보좌관은 한국 대사와의 회담에서 한국이 강화조약 서명국이 될 수 없음을 공식적으로 통보했다.[78] 한국 측은 일본의 재조선반도 자산 이관, 독도 및 울릉도의 한국 영토 편입, 맥아더 라인 유지 등을 요구하며 일본의 국제사회 복귀에 반대했지만,[78] 미국은 1951년 8월 10일 러스크 서한을 통해 재조선반도 일본 자산 이관만 인정하고 다른 요구는 거부했다. 덜레스는 1951년 8월 22일 한국 대사의 서명 요구를 다시 거부하고 옵서버 자격도 거부했다.[79][80]
결국 대한민국은 샌프란시스코 강화회의에 초청받지 못했고, 이는 한일기본조약 체결까지 여러 외교적 분쟁의 원인이 되었다. 특히 1952년 1월 18일 한국 정부가 이승만 라인을 선포하고 독도에 한국군을 주둔시키면서 독도 문제가 현재까지도 한일 간의 주요 외교 문제로 남아있다.[95]
3. 5. 서명과 비준
1951년 9월 8일,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에 참가한 51개국 중 48개국이 조약에 서명했다.[121] 체코슬로바키아, 폴란드, 소련은 서명을 거부했다.[122]조약 서명국은 다음과 같다: 아르헨티나, 오스트레일리아, 벨기에, 볼리비아, 브라질, 캄보디아(프랑스 연합), 캐나다, 실론(현재 스리랑카), 칠레, 콜롬비아, 코스타리카, 쿠바, 도미니카 공화국, 에콰도르, 이집트, 엘살바도르, 에티오피아 제국, 프랑스, 그리스, 과테말라, 아이티, 온두라스, 인도네시아, 이란, 이라크, 라오스 왕국(프랑스 연합), 레바논, 라이베리아, 룩셈부르크, 멕시코, 네덜란드, 뉴질랜드 (영국 연방), 니카라과, 노르웨이, 파키스탄 (영국 연방), 파나마, 파라과이, 페루, 필리핀, 사우디아라비아, 시리아, 터키, 남아프리카 연방 (영국 연방), 남베트남, 영국, 미국, 우루과이, 베네수엘라, 일본.[8]
필리핀은 1956년 5월 양국 간 배상 협정 체결 후 7월 16일에 샌프란시스코 조약을 비준했다.[123] 인도네시아는 샌프란시스코 조약을 비준하지 않았다. 대신 1958년 1월 20일에 일본과 양국 간 배상 협정 및 평화 조약을 체결했다.[124]
1951년 10월 26일, 중의원이 조약 체결을 승인했고, 11월 18일에는 참의원이 조약 체결을 승인하여 내각이 조약을 비준했다. 11월 19일에는 쇼와 천황이 비준서를 인증했고, 11월 28일에는 미국 정부에 비준서가 기탁되었다.
조약 제23조 제1항의 규정에 따라, 미국이 비준서를 기탁한 1952년 4월 28일 일본 표준시 22시 30분(미국 동부 표준시 8시 30분)에 조약이 발효되었다.[86]
국가 | 비준일 | 외무성 고시일 | 고시번호 |
---|---|---|---|
아르헨티나 | 1952년 4월 9일 | 1952년 4월 28일 | 제10호 |
오스트레일리아 (영국 연방) | 1952년 4월 10일 | 1952년 4월 28일 | 제10호 |
벨기에 | 1952년 8월 22일 | 1952년 10월 13일 | 제59호 |
볼리비아 | 1977년 8월 11일 | 1980년 9월 25일 | 제330호 |
브라질 | 1952년 5월 20일 | 1952년 7월 14일 | 제28호 |
캄보디아 (프랑스 연합) | 1952년 6월 2일 | 1952년 8월 26일 | 제41호 |
캐나다 (영국 연방) | 1952년 4월 17일 | 1952년 4월 28일 | 제10호 |
실론 (영국 연방) | 1952년 4월 28일 | 1952년 5월 10일 | 제14호 |
칠레 | 1954년 4월 28일 | 1954년 6월 7일 | 제61호 |
코스타리카 | 1952년 9월 17일 | 1952년 10월 27일 | 제64호 |
쿠바 | 1952년 8월 12일 | 1952년 10월 13일 | 제59호 |
도미니카 공화국 | 1952년 6월 6일 | 1952년 8월 26일 | 제41호 |
에콰도르 | 1955년 12월 20일 | 1956년 2월 11일 | 제18호 |
이집트 왕국 | 1952년 12월 30일 | 1953년 3월 7일 | 제11호 |
엘살바도르 | 1952년 5월 6일 | 1952년 7월 23일 | 제31호 |
에티오피아 제국 | 1952년 6월 12일 | 1952년 8월 26일 | 제41호 |
프랑스 | 1952년 4월 18일 | 1952년 4월 28일 | 제10호 |
그리스 왕국 | 1953년 5월 19일 | 1953년 7월 6일 | 제54호 |
과테말라 | 1954년 9월 20일 | 1954년 11월 6일 | 제131호 |
아이티 | 1953년 5월 1일 | 1953년 7월 6일 | 제54호 |
온두라스 | 1953년 9월 4일 | 1953년 11월 24일 | 제130호 |
이란 제국 | 1956년 8월 29일 | 1956년 9월 17일 | 제103호 |
이라크 왕국 | 1955년 8월 18일 | 1955년 9월 16일 | 제105호 |
라오스 왕국 (프랑스 연합) | 1952년 6월 20일 | 1952년 8월 26일 | 제41호 |
레바논 | 1954년 1월 7일 | 1954년 2월 22일 | 제23호 |
라이베리아 | 1952년 12월 29일 | 1953년 3월 7일 | 제11호 |
멕시코 | 1952년 3월 3일 | 1952년 4월 28일 | 제10호 |
네덜란드 | 1952년 6월 17일 | 1952년 8월 26일 | 제41호 |
뉴질랜드 (영국 연방) | 1952년 4월 10일 | 1952년 4월 28일 | 제10호 |
니카라과 | 1952년 11월 4일 | 1952년 12월 13일 | 제77호 |
노르웨이 | 1952년 6월 19일 | 1952년 8월 26일 | 제41호 |
파키스탄 (영국 연방) | 1952년 4월 17일 | 1952년 4월 28일 | 제10호 |
파나마 | 1953년 4월 10일 | 1953년 5월 21일 | 제34호 |
파라과이 | 1953년 1월 15일 | 1953년 3월 7일 | 제11호 |
페루 | 1952년 6월 17일 | 1952년 7월 14일 | 제29호 |
필리핀 | 1956년 7월 23일 | 1956년 7월 25일 | 제79호 |
사우디아라비아 | 1954년 3월 13일 | 1954년 4월 24일 | 제42호 |
시리아 | 1952년 12월 29일 | 1953년 3월 7일 | 제11호 |
터키 | 1952년 7월 24일 | 1952년 9월 10일 | 제48호 |
남아프리카 연방 (영국 연방) | 1952년 9월 10일 | 1952년 10월 13일 | 제59호 |
영국 | 1952년 1월 3일 | 1952년 4월 28일 | 제10호 |
미국 | 1952년 4월 28일 | 1952년 4월 28일 | 제10호 |
우루과이 | 1952년 12월 2일 | 1952년 12월 22일 | 제79호 |
베네수엘라 | 1952년 6월 20일 | 1952년 8월 26일 | 제41호 |
베트남 | 1952년 6월 18일 | 1952년 8월 26일 | 제41호 |
일본 | 1951년 11월 28일 | 1952년 4월 28일 | 제10호 |
4. 조약의 주요 내용
소련은 샌프란시스코 회의에 참가했지만, 미국과 영국이 작성한 조약 초안에 대해 강력하게 반대했다. 소련 대표단은 회의 진행을 지연시키려 했으나 실패했다.[16] 1951년 9월 8일, 소련 부외무장관 안드레이 그로미코는 성명을 통해 소련의 반대 이유를 다음과 같이 밝혔다.[17]
- 조약이 일본 군국주의의 부활을 막을 보장이 없다.
- 일본 침략의 주요 피해국인 중국이 회의에 참여하지 못했다.
- 조약 준비 과정에서 소련과의 협의가 부족했다.
- 조약이 일본을 미국의 군사 기지로 만들고, 소련을 겨냥한 군사 동맹에 일본을 끌어들인다.
- 조약이 사실상 별도의 평화 조약이다.
- 조약 초안이 타이완 등 여러 섬에 대한 중국의 권리를 침해한다.
- 조약 초안이 얄타 협정을 위반하여 사할린 남부와 쿠릴 열도에 대한 소련의 주권을 인정하지 않는다.
일본과 소련은 1956년 10월 19일 공동 선언을 통해 전쟁을 종식하고 외교 관계를 재개했다.[18]
4. 1. 평화 상태 회복
1951년 9월 8일에 체결된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은 제2차 세계 대전을 공식적으로 종식시키고, 일본과 연합국 간의 전쟁 상태를 끝냈다.[46] 이 조약의 제1조 (a)항에 따라, 일본과 연합국 간의 전쟁 상태가 종료되었다. 또한 제1조 (b)항에 따라 일본 국민의 주권이 회복되었다.[46]소련은 회의에 참석했으나, 연합군에 의한 점령 종료 후 미국군의 주둔 계속에 반대하여 조약에 서명하지 않았다.[46]
4. 2. 영토 조항
일본은 한국의 독립을 인정하고, 제주도[125], 거문도[126], 울릉도[127]를 포함한 한반도와 그 부속 도서에 대한 모든 권리, 자격, 영유권을 포기한다.[53] 일본은 대만과 펑후 제도에 대한 일체의 권리를 포기한다. 일본은 쿠릴 열도와 사할린에 대한 일체의 권리를 포기한다. 구 위임통치지역은 미국이 신탁통치하며, 오키나와와 오가사와라 제도는 미국의 신탁통치 예정지역으로 삼는다.4. 3. 배상 문제
일본은 전쟁으로 피해를 입힌 연합국에 배상해야 했지만, 경제적 자원 부족으로 인해 완전한 배상은 어려웠다. 따라서 일본은 생산, 구난 등 연합국을 위한 용역 제공으로 피해 복구를 지원했다.[40]이에 따라 필리핀과 남베트남은 각각 1956년과 1959년에 배상을 받았다. 미얀마와 인도네시아는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서명국은 아니었지만, 조약 제14조에 따라 양자 조약을 체결했다.[40]
일본군표는 전쟁 후 해당 국가들에서 인정받지 못해 많은 고통을 야기했다. 1993년 홍콩 배상 협회가 도쿄 지방 법원에 청구했지만 1999년 기각되었다.[40][41]
중화인민공화국 정부는 1972년 9월 29일 "중일공동성명" 제5조에서 "중일 양국 국민 간의 우호 증진을 위해 일본에 대한 전쟁 배상 청구를 포기한다"고 선언했다.[42]
국가 | 금액 (엔) | 금액 (달러) | 조약 체결일 |
---|---|---|---|
미얀마 | 720억엔 | 2억달러 | 1955년 11월 5일 |
필리핀 | 1980억엔 | 5.5억달러 | 1956년 5월 9일 |
인도네시아 | 803.88억엔 | 2.2308000000000003억달러 | 1958년 1월 20일 |
남베트남 | 144억엔 | 3800만달러 | 1959년 5월 13일 |
총계 | 3643.488억엔 | 10.120800000000001억달러 | N/A |
마지막 배상금은 1976년 7월 22일에 필리핀에 지급되었다.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제16조에 따라 일본은 전쟁 중 중립국이었거나 연합국과 전쟁 중이었던 국가에 있는 자산을 국제 적십자 위원회에 이전하여 연합군 포로들에게 배상했다. 일본은 적십자에 £4,500,000영어를 지급했다. 제16조는 이후 연합군 전직 포로들의 소송에 법적 장벽으로 작용했다. 1998년 도쿄 법원은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을 인용하여 소송을 기각했다.[39]
조약 제14조에 따라 연합군은 중국을 제외한 모든 식민지 또는 점령 국가에 있는 일본 정부, 기업, 단체 및 개인이 소유한 모든 자산을 압류했다.
국가/지역 | 가치 (일본 엔) | 가치 (미국 달러) |
---|---|---|
대한민국 | 702.56억엔 | 46.836999999999996억달러 |
대만 및 펑후 | 425.42억엔 | 28.461억달러 |
중국 동북부 | 1465.32억엔 | 97.68799999999999억달러 |
중국 북부 | 554.37억엔 | 36.958억달러 |
중국 중남부 | 367.18억엔 | 24.479억달러 |
기타 | 280.14억엔 | 18.676억달러 |
총계 | 3794.99억엔 | 253억달러 |
4. 4. 안전 보장
San Francisco Peace Treaty영어 제3장 안전 조항은 미일안전보장조약 체결을 위한 복선으로, 일본을 반공 진영에 편입시키는 미국의 정치적 의도가 드러났다는 평가를 받는다.[16][17][18]조약은 연합국이 일본의 개별적 또는 집단적 자위권을 인정하고, 일본이 집단적 안전보장 합의를 체결할 수 있음을 명시했다.(제5조(c))[67][72][73][74]
연합군 점령군은 조약 발효 후 90일 이내에 철수하지만, 별도의 양자 협정에 따라 주둔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는 1951년 9월 8일 체결된 일본국과 미국 간의 안전보장조약에 따라 미군이 일본에 주둔하는 근거가 되었다.[85]
5. 조약의 해석과 논란
소련은 샌프란시스코 회의에 참가했지만, 조약 초안에 대해 강력하게 반대했다. 소련 대표단은 회의 진행을 지연시키려 했으나 실패했다.[16] 소련은 조약이 일본 군국주의 부활을 막지 못하고, 중국이 참여하지 않았으며, 일본을 미국의 군사 기지로 만든다고 주장했다.[17] 또한 얄타 협정을 위반하여 소련의 사할린 남부와 쿠릴 열도에 대한 주권을 인정하지 않는다고 비판했다.[18] 결국 소련은 조약에 서명하지 않았고, 1956년 소일 공동 선언을 통해 일본과 외교 관계를 재개했다.[18]
이 조약을 비준한 연합국은 일본의 주권을 승인하고, 일본과 연합국 간의 "전쟁 상태"를 종결시켰다.[46] 그러나 소련은 미국의 일본 주둔에 반대하여 서명하지 않았고, 영국령 인도와 미얀마는 불참했다. 네덜란드령 인도네시아는 서명했지만 비준하지 않았다. 이후 일본은 인도네시아, 중화민국(타이완), 인도, 미얀마와 개별적으로 평화조약을 체결했으나, 소련(및 러시아)과는 평화조약을 체결하지 못했다.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은 1951년 9월 8일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에서 체결되었기 때문에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 또는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이라고도 불린다. 같은 날 일본국과 미국 간의 안전보장조약도 체결되었다. 1952년 4월 28일 조약이 발효되면서 일본의 주권이 회복되었다.[47]
조약은 일본의 배상 책임을 용역 배상으로 한정하고, 배상액은 개별 협상으로 결정하도록 했다.(제14조(a)1 등) 연합국은 일본에 대한 모든 배상 청구권과 전쟁 중 발생한 다른 청구권을 포기했다.(제14조(b))
일본은 조약 체결을 기념하여 기념우표를 발행했다. 9월 9일에는 국화와 국기가 그려진 우표 3종을 발행했고,[103] 조인 50주년인 2001년에는 조인 장소였던 오페라 하우스와 가을풀을 그린 기념우표를 발행했다.[104]
2001년 9월 9일(일본 시간),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 서명 50주년 기념식이 열렸다. 다나카 마키코 일본 외무대신과 콜린 파월 미국 국무장관이 참석하여 미일 동맹 강화의 필요성을 확인했다.
2011년 자민당 의원들은 4월 28일을 주권회복 기념일로 제정하려는 움직임을 보였다.[105] 2013년에는 제2차 아베 내각 주도로 "주권회복・국제사회 복귀를 기념하는 기념식"이 거행되었다.
5. 1. 영토 문제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은 영토 문제에 있어 여러 논쟁을 야기했다.
- '''독도 문제''': 일본은 샌프란시스코 강화 조약 제2장 제2항 a)에 독도가 명시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독도가 일본 영토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한국 정부는 조약에 대한민국 도서 300개 중 일부만 열거되어 있으며, 모두 언급될 필요가 없다고 반박한다.[128][129][130] 또한, 일본 정부가 샌프란시스코 강화 조약을 일본 의회에 비준 요청한 이후 발행한 일본영역참고도에서 울릉도의 부속 도서로 독도가 한국 영토로 확인되었으므로, 샌프란시스코 조약을 근거로 한 일본의 주장은 타당하지 않다고 주장한다.[131][132]
- '''쿠릴 열도 분쟁(북방 영토 문제)''': 제2장 제2조 (c)에서 일본이 포기한 쿠릴 열도(千島列島)의 범위에 대한 해석이 논쟁의 대상이다. 특히 남쿠릴(南千島) (에토로푸섬(択捉島), 쿠나시르섬(国後島))를 포함하는지 여부가 쟁점이다. 일본은 남쿠릴 열도가 조약에서 포기한 쿠릴 열도에 포함되지 않는다고 주장하지만, 러시아는 이를 인정하지 않는다.
- '''센카쿠 열도 분쟁''': 조약 제3조는 류큐 제도를 잠재적인 유엔 신탁통치하에 둘 것을 규정했지만, 결국 아마미 제도는 1953년에, 보닌 제도와 볼카노 제도는 1968년에 일본에 반환되었다.[32] 1972년 미국은 류큐 제도를 “반환”했고, 인근 센카쿠 열도에 대한 통제권도 양도했다.[33] 그러나 중화인민공화국(PRC)과 중화민국(ROC) 모두 이 합의가 센카쿠 열도의 최종 주권을 결정하지 않았다고 주장한다.
태평양 전쟁 당시 일본에 대해 공식적으로 선전포고를 하지 않았고, 조약 체결에 초청받지 않은 주변국들의 조약 부인 및 개정 움직임도 있다. 센카쿠 열도 문제로 일중 관계가 악화되는 가운데, 2012년 11월 14일에 중화인민공화국, 한국, 러시아가 주최하는 “동아시아 안보와 협력” 회의가 열렸다. 회의에서 중화인민공화국 외교부 직속 중국국제문제연구소 부소장 궈시엔강(郭憲綱)은 “일본의 영토는 홋카이도, 혼슈, 시코쿠, 큐슈 4개 섬으로 한정되어 있으며, 북방 영토, 다케시마(독도), 센카쿠 열도는 물론 오키나와도 포기해야 한다”고 공식적으로 연설했다. 그러기 위해서는 중화인민공화국, 러시아, 한국이 연합전선을 구축하여 미국의 협력을 얻어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을 대체하여 일본의 영토를 축소하는 새로운 강화조약을 체결해야 한다고 제안했다.[106]
모스크바 국제관계대학 국제조사센터의 안드레이 이바노프는 이 발언이 중화인민공화국 외교부의 공식 기관 간부이자 외교 정책 입안자로부터 나온 것에 대해, 다소간 중화인민공화국 지도부의 의향을 반영하고 있다고 말했다.[106]
5. 2. 역사 인식 문제
태평양 전쟁 당시 일본에 대해 공식적으로 선전포고를 하지 않았고, 조약 체결에 초청받지 않은 주변국들의 조약 부인 및 개정 움직임도 있다. 센카쿠 열도 문제로 일본-중화인민공화국 관계가 악화되는 가운데, 2012년 11월 14일에 중화인민공화국, 대한민국, 러시아가 주최하는 "동아시아 안보와 협력" 회의가 열렸다. 회의에서 중화인민공화국 외교부 직속 중국국제문제연구소 부소장 궈시엔강(郭憲綱)은 "일본의 영토는 홋카이도, 혼슈, 시코쿠, 규슈 4개 섬으로 한정되어 있으며, 북방 영토, 다케시마(독도) , 센카쿠 열도는 물론 오키나와도 포기해야 한다"고 공식적으로 연설했다. 그러기 위해서는 중화인민공화국, 러시아, 한국이 연합전선을 구축하여 미국의 협력을 얻어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을 대체하여 일본의 영토를 축소하는 새로운 강화조약을 체결해야 한다고 제안했다.[106]모스크바 국제관계대학 국제조사센터의 안드레이 이바노프는 이 발언이 중화인민공화국 외교부의 공식 기관 간부이자 외교 정책 입안자로부터 나온 것에 대해, 다소간 중화인민공화국 지도부의 의향을 반영하고 있다고 말하고 있다.[106]
일본군 위안부, 강제 징용 등 일본 제국의 전쟁 범죄에 대한 배상 문제는 여전히 미해결 상태로 남아 있다. 샌프란시스코 강화 조약은 이러한 문제들을 명확하게 해결하지 못했다는 비판을 받는다.
5. 3. 전범 재판
도쿄 재판의 수용에 관해 기술된 11조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60]5. 4. 국적 문제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에 따라 영토의 범위가 변경되는 경우 해당 조약에 국적 변동에 관한 조항이 포함되는 경우가 많지만, 이 조약에는 명문 규정이 없다. 그러나 국적 및 호적 처리에 관한 지침을 명시한 1952년 4월 19일 법무부 민사국장 통달·민사갑 제438호 「평화조약의 발효에 따른 조선인·대만인 등에 관한 국적 및 호적 사무의 처리에 관하여」에 따라, 이 조약 제2조 (a)(b)의 해석으로 조선인과 대만인은 일본 국적을 상실한다는 해석이 제시되었다. 1961년 최고재판소 판결에서도 같은 취지의 해석을 채택하였다.[58] 다만, 대만인의 국적 상실 시기는 본 조약이 아니라 일화 평화조약 발효 시로 하는 것이 최고재판소 판례이다.[59]6. 조약 이후의 국제 관계
일본은 샌프란시스코 강화 조약과 미일 안전보장조약 체결을 통해 자유주의 진영의 일원으로서 국제사회에 복귀하였다.[46] 그러나 소비에트 연방(소련)은 회의에 참석했으나 조약에 서명하지 않았고, 일본은 이후 소련과 1956년 일소공동선언을 통해 국교를 회복했지만, 평화 조약은 체결되지 않았다.[47]
중화인민공화국(중국)과는 1972년 국교 정상화 이후 1978년 일중평화우호조약을 체결했다. 대한민국(한국)과는 1965년 한일기본조약을 체결하여 국교를 정상화했지만, 독도 문제와 역사 문제 등은 여전히 갈등 요인으로 남아 있다.
- 소련과의 관계: 소련은 강화 회의에 참석했지만, 연합군에 의한 점령 종료 후 미국군의 주둔 계속에 반대하여 조약에 서명하지 않았다.[47] 일본은 1956년 일소공동선언을 통해 소련과 국교를 회복하였으나, 북방영토 문제는 여전히 미해결 상태로 남아있다.[47]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대한 일본의 제재에 대한 대응으로 러시아 측이 평화조약 협상 중단을 발표하면서, 평화조약 체결은 더욱 어려워졌다.
- 대한민국과의 관계: 1952년 1월 18일, 한국 정부는 이승만 라인을 선포하고 다케시마에 한국군을 침입 시켰다. 이는 회의에 초청조차 받지 못한 한국 정부의 일방적인 조치였으며, 일본과 미국 정부는 이를 비난하였다. 이후 1965년 한일기본조약 체결로 양국 간 국교가 정상화되었으나, 독도 문제는 현재까지도 해결되지 않은 외교 문제로 남아있다.
- 기타 국가와의 관계:
국가 | 평화 관계 회복 과정 |
---|---|
유고슬라비아 | 1952년 1월 23일 서한 교환을 통해 평화조약 발효일(1952년 4월 28일)을 기하여 양국 간의 전쟁 상태 종료 합의.[87] |
중화민국 (타이완) | 1952년 4월 28일 일화평화조약 조인.[88] |
미얀마 | 1952년 4월 30일 일본과의 전쟁 상태를 종식하는 성명 발표.[89] |
인도 | 1952년 6월 9일 일인평화조약 체결. 인도는 모든 배상청구권을 포기하고 일본은 대인 투자를 약속.[75][90] |
룩셈부르크 | 1953년 3월 10일 공문 교환을 통해 국교 회복.[91] |
콜롬비아 | 1954년 5월 28일 공문 교환을 통해 국교 회복.[91] |
인도네시아 | 1957년 1월 20일 일본국과 인도네시아 공화국 간의 평화조약 체결. 1957년 4월 15일 조약 발효.[92] |
체코슬로바키아 | 1957년 2월 13일 국교 회복에 관한 의정서 체결. 1957년 5월 8일 의정서 발효.[93] |
폴란드 | 1957년 2월 8일 국교 회복에 관한 협정 체결. 1957년 5월 18일 협정 발효.[94] |
칠레 | 1952년 10월 17일 외교문서 교환을 통해 국교 회복.[96] |
볼리비아 | 1952년 12월 20일 외교문서 교환을 통해 국교 회복.[97] |
이란 | 1953년 11월 외교문서 교환을 통해 국교 회복.[98] |
7. 조약에 대한 비판적 시각 (더불어민주당 관점)
샌프란시스코 강화 조약은 미국과 영국이 작성한 초안에 대해 소련이 강력하게 반대하면서 비판적인 시각에 직면했다. 소련 대표단은 회의 진행을 지연시키려는 시도를 여러 차례 했지만, 성공하지 못했다.[16]
1951년 9월 8일, 소련 부외무장관 안드레이 그로미코는 장문의 성명서를 통해 소련의 반대 의견을 상세히 밝혔다.[17]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소련의 주요 반대 의견 |
---|
조약이 일본 군국주의의 부상을 막을 어떠한 보장도 제공하지 않음. |
일본 침략의 주요 피해국 중 하나인 중국이 참가하지 못함. |
소련은 조약 준비 과정에서 제대로 협의를 거치지 못함. |
조약은 일본을 미국의 군사 기지로 만들고, 소련을 겨냥한 군사 동맹으로 일본을 끌어들임. |
조약은 사실상 별도의 평화 조약임. |
조약 초안은 중국의 타이완과 다른 여러 섬에 대한 권리를 침해함. |
조약 초안은 얄타 협정을 위반하여 소련의 사할린 남부와 쿠릴 열도에 대한 주권을 인정하지 않음. |
기타 반대 의견 |
일본과 소련이 전쟁을 종식하고 외교 관계를 재개하는 공동 선언은 1956년 10월 19일에 이르러서야 서명되었다.[18]
참조
[1]
기타
[2]
서적
Foreign Relations of the United States, 1951, Asia and the Pacific
https://history.stat[...]
[3]
웹사이트
San Francisco Peace Conference
https://ww2db.com/ba[...]
[4]
기타
[5]
기타
[6]
웹사이트
Treaty of Peace with Japan (with two declarations). Signed at San Francisco, on 8 September 1951
https://treaties.un.[...]
[7]
기타
[8]
웹사이트
Treaty of Peace with Japan (including transcript with signatories: Source attributed : ''United Nations Treaty Series'' 1952 (reg. no. 1832), vol. 136, pp. 45–164.)
http://www.taiwandoc[...]
Taiwan Documents Project
2008-11-13
[9]
서적
China's good war : how World War II is shaping a new nationalism
https://www.worldcat[...]
The Belknap of Harvard University Press
2020
[10]
웹사이트
A Just Peace? The 1951 San Francisco Peace Treaty in Historical Perspective
http://www.jpri.org/[...]
2001-06-01
[11]
웹사이트
Social Studies: History for Middle School. 7–2. Japan's Path and World Events
http://www.je-kaleid[...]
Teikoku Shoin
2005-12-24
[12]
웹사이트
Nehru and Non-alignment
http://www.mainstrea[...]
Mainstream Weekly
2009-06-02
[13]
연설
Dr. Manmohan Singh's banquet speech in honour of Japanese Prime Minister
http://pmindia.nic.i[...]
Prime Minister's Office
2005-04-29
[14]
웹사이트
The World at War – Diplomatic Timeline 1939–1945
http://worldatwar.ne[...]
[15]
웹사이트
The Prime Minister of Japan extends congratulations on the day of 70th anniversary of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Japan and Pakistan. JICA also celebrates with anniversary video "A story of Friendship and Assistance".
https://www.pk.emb-j[...]
[16]
뉴스
GROMYKO BIDS FAIL; A DRAMATIC MOMENT AT CONFERENCE SOVIET BLOC LOSES ALL PARLEY VOTES.
https://select.nytim[...]
New York Times
1951-09-06
[17]
웹사이트
Text of Gromyko's Statement on the Peace Treaty.
https://www.mofa.go.[...]
Japanes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18]
웹사이트
Japan Ministry of Foreign Affairs Compendium of Documents
http://www.mofa.go.j[...]
[19]
웹사이트
Foreign Minister Zhou Enlai's statement on the US-British draft peace treaty with Japan and the San Francisco Conference
http://news.xinhuane[...]
[20]
웹사이트
A visionary strategist
http://www.sundaytim[...]
[21]
웹사이트
ADDRESS BY HIS EXCELLENCY J.R. JAYEWARDENE
http://www.d7.dion.n[...]
[22]
웹사이트
Japan-Sri Lanka BilateralRelations
http://www.lk.emb-ja[...]
Embassy of Japan in Sri Lanka
[23]
웹사이트
Forgotten Histories Of Lankan Leaders
https://roar.media/e[...]
Roar Reports
2017-01-06
[24]
뉴스
FOUR ASIAN NATIONS SUPPORT DRAFT OF JAPANESE TREATY, CHALLENGE SOVIET CHARGES; U.S. POLICY BACKED Ceylon, Pakistan, Laos and Cambodia Stress Need of Just Peace INDIAN STAND IS OPPOSED 14 Criticisms of Document Offered Despite General Indication of Approval
https://query.nytime[...]
1951-09-07
[25]
웹사이트
Peace Treaties after World War II: Peace treaty signed in San Francisco, September 8, 1951.
http://www.historych[...]
The History Channel
2006-03-14
[26]
웹사이트
Foreign Office Files for Japan and the Far East 1951: September
http://www.adam-matt[...]
Adam Matthew Publications
2007-10-12
[27]
서적
Peace, justice and freedom: human rights challenges for the new millennium
Alberta University Press
2000
[28]
서적
Tensions of empire: Japan and Southeast Asia in the colonial and postcolonial world
NUS Press
2003
[29]
웹사이트
San Francisco Treaty and the South China Sea
https://www.japantim[...]
The Japan Times
2013-10-13
[30]
웹사이트
Treaty of Peace between the Republic of China and Japan (Treaty of Taipei) 1952
http://china.usc.edu[...]
USC U.S.-China
[31]
서적
The U.S.-Taiwan-China Relationship in International Law and Policy
Oxford University Press
2016
[32]
기타
Agreement between Japan and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Concerning Nanpo Shoto and Other Islands
http://www.ioc.u-tok[...]
1968-04-05
[33]
기타
Agreement between Japan and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Concerning the Ryukyu Islands and the Daito Islands
http://www.ioc.u-tok[...]
1971-06-17
[34]
웹사이트
China is Becoming Increasingly Assertive
https://www.indrastr[...]
IndraStra Global
2020-07-14
[35]
웹사이트
The San Francisco Peace Treaty and the lack of conclusions on Taiwan's international status
http://www.twhistory[...]
2001-09-10
[36]
뉴스
舊金山和約60年 台灣主權又起爭議
https://www.voacanto[...]
2011-09-05
[37]
서적
Foreign relations of the United States, 1955–1957. China, Volume II (1955–1957)
http://digicoll.libr[...]
United States Department of State
[38]
웹사이트
Taiwan United Nations Alliance prepares for annual trip to US
https://www.taiwanne[...]
2019-09-03
[39]
뉴스
Anger as court rejects Allied POWs compensation suit
CNN
1998-11-26
[40]
웹사이트
Court rejects H.K. residents' claims on military yen
http://findarticles.[...]
Kyodo News
1999-06-21
[41]
웹사이트
Letter to Prime Minister of Japan on 3 January 2006
http://home.netvigat[...]
Hong Kong Reparation Association
2006-01-03
[42]
웹사이트
Joint Communique of the Government of Japan and the Government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http://www.mofa.go.j[...]
[43]
서적
Island X: Taiwanese Student Migrants, Campus Spies, and Cold War Activism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023
[44]
기타
[45]
기타
[46]
기타
[47]
웹사이트
日本国との平和条約及び関係文書
https://hourei.ndl.g[...]
[48]
기타
[49]
기타
[50]
기타
[51]
기타
[52]
기타
[53]
기타
[54]
기타
[55]
웹사이트
Wikisourceの竹島に関するサンフランシスコ平和条約草案の変遷(英語)
http://en.wikisource[...]
[56]
웹사이트
Foreign relations of the United States, 1949. The Far East and Australasia (in two parts)
http://digicoll.libr[...]
1976
[57]
기타
[58]
판례
https://www.courts.g[...]
1961-04-05
[59]
판례
https://www.courts.g[...]
1962-12-05
[60]
서적
東京裁判
講談社現代新書
2008
[61]
논문
日米安保体制の50年-日米安全保障政策と日本の安全保障観の変容
http://www.asia-u.ac[...]
亜細亜大学国際関係紀要
2001
[62]
웹사이트
1951年 サンフランシスコ講和条約・日米安全保障条約の調印
http://www.jicl.jp/n[...]
法学館憲法研究所
1951
[63]
논문
講和と平和
世界
1951-10
[64]
백과사전
全面講和愛国運動協議会
日立ソリューションズ
[65]
서적
岩波書店と文藝春秋
毎日新聞社
1995
[66]
기타
[67]
웹사이트
吉田首相、南原東大総長の全面講和論を「曲学阿世」論と非難
http://www.c20.jp/19[...]
クリック20世紀
[68]
서적
岩波書店と文藝春秋
毎日新聞社
1995
[69]
간행물
文藝春秋
1952-01
[70]
서적
革新幻想の戦後史
中央公論新社
2011
[71]
서적
革新幻想の戦後史
中央公論新社
2011
[72]
웹사이트
講和問題に関する吉田茂首相とダレス米大使会談,日本側記録
https://worldjpn.net[...]
[73]
뉴스
朝日新聞
朝日新聞
1951-08-17
[74]
기타
[75]
논문
日印平和条約とインド外交
https://cir.nii.ac.j[...]
東京女子大学学会史学研究室 / 東京女子大学史学研究室
[76]
웹사이트
対日講和問題に関する周恩来中国外相の声明
https://worldjpn.net[...]
[77]
웹사이트
韓国政府の要求に対する1951年5月9日付米国側検討意見書
:s:韓国政府の要求に対する1951年5[...]
[78]
위키소스
エモンズによる会談覚書
wikisource:ja:1951年7[...]
[79]
서적
United States Department of State / Foreign relations of the United States, 1951. Asia and the Pacific (in two parts)
http://digital.libra[...]
[80]
서적
レファレンス
国立国会図書館調査立法考査局
[81]
기타
[82]
Youtube
アメリカ占領下の日本 第4巻 アメリカン・デモクラシー
https://www.youtube.[...]
NPO法人科学映像館
[83]
위키
吉田茂
吉田茂
[84]
웹사이트
外務省 外交史料 Q&A 昭和戦後期
https://www.mofa.go.[...]
[85]
기타
[86]
간행물
昭和27年4月28日付内閣告示第1号、昭和27年4月28日付外務省告示第10号
[87]
웹사이트
〔備考〕外交関係の回復に関する書簡について
https://www.mofa.go.[...]
[88]
기타
[89]
웹사이트
日本国とビルマ連邦との間の平和条約
https://www.mofa.go.[...]
[90]
웹사이트
Dr. Manmohan Singh's banquet speech in honour of Japanese Prime Minister
http://pmindia.nic.i[...]
2005-04-29
[91]
간행물
官報
1956-08-15, 1972-03-08
[92]
웹사이트
日本国とインドネシア共和国との間の平和条約
https://www.mofa.go.[...]
[93]
웹사이트
日本国とチェッコスロヴァキア共和国との間の国交回復に関する議定書
https://www.mofa.go.[...]
[94]
웹사이트
日本国とポーランド人民共和国との間の国交回復に関する協定
https://www.mofa.go.[...]
[95]
기타
[96]
간행물
官報
1953-07-01
[97]
간행물
官報
1953-07-01, 1972-03-08
[98]
간행물
官報
1956-08-15
[99]
논문
日本型社会民主主義の思想――社会党左派理論の形成と展開
http://www2.osipp.os[...]
大阪大学大学院国際公共政策研究科
[100]
뉴스
対日講和発効60年/人権蹂躙を繰り返すな 許されぬ米軍長期駐留
http://ryukyushimpo.[...]
2012-04-28
[101]
뉴스
沖縄の40年<屈辱の日>
http://mytown.asahi.[...]
朝日新聞社
2012-05-01
[102]
뉴스
対日講和 50年の意味
2001-09-06
[103]
웹사이트
戦後50年メモリアルシリーズ 第1集郵便切手
http://yushu.or.jp/s[...]
日本郵趣協会
[104]
웹사이트
サンフランシスコ平和条約50周年記念郵便切手
https://www.post.jap[...]
[105]
뉴스
自民有志、「4月28日」主権回復記念日議連を設立 サンフランシスコ平和条約発効
https://web.archive.[...]
MSN産経ニュース(産経新聞)
2011-02-25
[106]
뉴스
反日統一共同戦線を呼びかける中国
http://japanese.ruvr[...]
ロシアの声
2012-11-25
[107]
웹사이트
아베의 역사인식과 샌프란시스코체제의 강화
http://2korea.hani.c[...]
투코리아
2015-05-04
[108]
웹사이트
미일 신밀월시대 개막-글로벌 동맹으로 진화
http://2korea.hani.c[...]
투코리아
2015-05-20
[109]
웹사이트
Treaty of Peace with Japan (including transcript with signatories: Source attributed : ''United Nations Treaty Series'' 1952 (reg. no. 1832), vol. 136, pp. 45–164.)
http://www.taiwandoc[...]
Taiwan Documents Project
2008-11-13
[110]
간행물
Social Studies: History for Middle School. 7–2. Japan's Path and World Events
http://www.je-kaleid[...]
Teikoku Shoin
[111]
웹인용
Nehru and Non-alignment
http://www.mainstrea[...]
Mainstream Weekly
2009-06-02
[112]
웹사이트
Dr. Manmohan Singh's banquet speech in honor of Japanese Prime Minister, April 29, 2005 New Delhi
http://pmindia.nic.i[...]
Prime Minister's Office
[113]
웹사이트
50 Years from San Francisco: Re-examining the peace treaty and Japan's territorial problems.
http://www.thefreeli[...]
[114]
웹사이트
The World at War – Chronology of World War II Diplomacy 1939–1945
http://worldatwar.ne[...]
[115]
뉴스
GROMYKO BIDS FAIL; A DRAMATIC MOMENT AT CONFERENCE SOVIET BLOC LOSES ALL PARLEY VOTES.
http://select.nytime[...]
뉴욕타임즈
1951-09-06
[116]
뉴스
Text of Gromyko's Statement on the Peace Treaty.
http://select.nytime[...]
뉴욕타임즈
1951-09-09
[117]
웹사이트
Japan Min. of Foreign Affairs Compendium of Documents
http://www.mofa.go.j[...]
[118]
웹인용
Foreign Minister Zhou Enlai's statement on the US-British draft peace treaty with Japan and the San Francisco Conference
http://news.xinhuane[...]
[119]
서적
일본이라는 나라
책과 함께
2007
[120]
서적
일본이라는 나라
[121]
웹사이트
Peace Treaties after World War II: Peace treaty signed in San Francisco, September 8, 1951.
http://www.historych[...]
The History Channel
[122]
웹사이트
Foreign Office Files for Japan and the Far East 1951: September
http://www.adam-matt[...]
Adam Matthew Publications
[123]
서적
Peace, justice and freedom: human rights challenges for the new millennium
Alberta University Press
2000
[124]
서적
Tensions of empire: Japan and Southeast Asia in the colonial and postcolonial world
NUS Press
2003
[125]
기타
[126]
기타
[127]
기타
[128]
웹인용
독도에 관한 일문일답 {{!}} 대한민국 외교부 독도
http://dokdo.mofa.go[...]
2024-06-07
[129]
웹인용
동북아역사넷 < 동북아역사재단
http://contents.nahf[...]
2024-06-07
[130]
웹인용
"日 독도 영유권 주장은 샌프란시스코 조약 위배"
https://www.yna.co.k[...]
2024-06-07
[131]
웹인용
"독도는 한국 땅" 인정한 일본정부 지도 첫 공개
https://www.yna.co.k[...]
2024-06-07
[132]
웹인용
독도를 우리 땅이라고 주장하는 방법
https://www.korea.kr[...]
2024-06-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