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신 (성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申)씨는 대한민국 인구의 14번째로 많은 성씨로, 2015년 기준 741,081명이 사용한다. 신씨는 세 가지 한자로 표기되며, 각 한자별로 여러 본관이 존재한다. 주요 본관으로는 평산 신씨, 고령 신씨, 아주 신씨, 삭녕 신씨, 영산 신씨, 거창 신씨 등이 있으며, 평산 신씨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신(辛)씨는 42위, 신(愼)씨는 68위의 인구수를 기록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신씨 - 신민준
    신민준은 대한민국의 바둑 기사로, 2012년 프로 입단 후 2021년 LG배 우승, 2023년 아시안 게임 금메달 획득 등 국내외에서 활약하며 2020년 9단에 올랐다.
  • 신씨 - 신진서
    신진서는 2010년 어린이 국수전 우승을 시작으로 국내외 기전에서 우승하며 활약한 대한민국의 바둑 기사이다.
신 (성씨)

2. 신(申)씨

신(申)씨는 2015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조사에서 741,081명으로 조사되어 성씨 인구 14위이다. 평산 신씨, 고령 신씨, 아주 신씨, 삭녕 신씨 등 여러 본관이 있다. 이들은 같은 한자(申)를 사용하지만, 혈연적으로 관련이 없다.

대구 북부에 있는 신숭겸 신당


각 신씨 본관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서를 참고하면 된다.

2. 1. 평산 신씨

평산 신씨(平山 申氏)의 시조(始祖)는 태봉의 장군이었던 '''신숭겸'''(申崇謙)이다. 신숭겸배현경, 홍유, 복지겸과 함께 왕건을 황제로 추대하여 고려 개국일등공신이 되었다. 본래 이름은 '''능산'''(能山)이었으나, 태조에게 평산에서 신씨 성을 사성(賜姓)받았다. 시호는 장절(壯節)이며, 태사(太師)로 추증되었다.[1]

평산 신씨 가문의 전설에 따르면, 어느 날 태조와 장군들이 평산 근처에서 사냥을 나갔을 때, 태조가 위에서 나는 세 마리의 기러기를 보고 장군들에게 그 기러기를 쏠 수 있는지 물었다. 신숭겸이 자원하여 태조에게 어떤 기러기를 쏘아야 하는지 물었고, 태조는 왼쪽 날개에 있는 세 번째 기러기를 쏘라고 했다. 신숭겸은 성공적으로 기러기를 맞혔고, 태조는 크게 감탄하여 신숭겸에게 300결(結)의 땅을 하사하였다.

신숭겸은 10세기 초 현재의 대구 부근에서 후백제와의 전투에서 태조의 목숨을 구하기도 했다. 태조는 신숭겸의 충성심과 용기에 감탄하여 고향 이름을 따 평산 신씨라는 본관을 하사했다.

조선시대에는 문과 급제자 180명, 정승 8명을 배출하였다. 주요 인물로는 신군평, 신개, 신영, 신잡, 신립, 신흠, 신경진, 신임, 신완, 신만, 신회, 신재식, 신응조 등이 있다. 16세기 화가이자 작가, 시인이었던 신사임당과 19세기 판소리 작가 신재효도 평산 신씨이다.

매년 많은 평산 신씨 후손들이 강원도에 있는 신숭겸의 사당에 모인다. 한국 전쟁 이전에는 원래 사당이 현재 북한 황해도에 있었다.

2015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조사에 따르면 평산 신씨는 563,375명으로, 한자 申을 쓰는 신씨의 약 70%를 차지한다.

2. 2. 고령 신씨

'''고령 신씨'''(高靈 申氏) 시조 '''신성용(申成用)'''은 고려 때 호장(戶長)을 지냈고, 검교군기감(檢校軍器監)을 역임하였다. 5세손 신덕린(申德隣)이 충목왕 때 문과에 급제하여 판서를 역임하였다. 6세손 신장(申檣)은 대제학을 지냈고, 7세손 신숙주가 조선 세조 때 영의정에 올랐다.[1]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88명을 배출하였다.[1] 2015년 인구는 129,718명이다.[1]

신숙주는 세종대왕과 함께 한글 개발에 참여한 주요 학자이며, 정승(政丞)에 속하는 고위 정부 관리를 지냈다. 고령 신씨(高靈 申氏)는 한자(申중국어)를 쓰는 신(申)씨 전체의 약 17%를 차지한다.[1] 이 씨족의 저명한 인물로는 19세기 민족주의 역사가 단재(丹齋) 신채호가 있다.[1]

2. 3. 아주 신씨

'''아주 신씨'''(鵝洲 申氏) 시조 '''신영미'''(申英美)는 고려 때 아주현의 권지호장(權知戶長)을 지냈다. 아주는 경상남도 거제시 아주동 일대의 지명이다.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9명을 배출하였다. 2015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조사에서 33,710명으로 조사되었다.

2. 4. 삭녕 신씨

삭녕 신씨(朔寧 申氏) 시조 신윤려(申允麗)의 외손녀 안변 한씨(安邊 韓氏)가 이성계에게 출가하여 신의왕후(神懿王后)가 되자 신윤려는 찬성사(贊成事)로 증직(贈職)되었다.

3. 신(辛)씨

신(辛)씨는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조사에서 2015년 기준 192,877명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어, 한국 성씨 인구 순위 42위를 기록했다.

하나라 2대 왕인 계왕(啓王)의 다섯 형제 중 둘째인 사원강(姒元康)이 신진(莘鎭)에 봉해지면서 신(辛)씨가 시작되었다. 신진(莘鎭)의 171대손인 신경(辛鏡)이 고려 인종 16년(1138년)에 문과에 급제하여 신(辛)씨의 시조가 되었다고 한다.

영산 신씨, 영월 신씨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서를 참고하라.

1871년(고종 8년) 음력 9월 19일에 강세한 강증산의 종도였던 신원일과 신경현이 모두 신(辛)씨였다.

3. 1. 영산 신씨, 영월 신씨

'''영산 신씨'''(靈山 辛氏)의 시조(始祖) 신경(辛鏡)은 1138년(고려 인종 16년)에 문과에 급제하여 금자광록대부 문하시랑평장사(金紫光錄大夫 門下侍郞平章事)에 이르렀다고 한다. 9세손에서 영월 신씨(寧越 辛氏)가 분관되었다.

9세손 신천(辛蕆)은 1294년(고려 충렬왕 20년) 과거에 급제하여 판밀직사사(判密直司事)에 이르렀고, 신천의 동생 신혁(辛革)은 도첨의찬성사(都僉議贊成事)가 되었다. 신혁의 손자 신예(辛裔)는 충목왕 때 취성부원군(鷲城府院君)에 봉해졌다.[2] 공민왕 때 신예의 동생 신부(辛富)는 취산군(鷲山君)에 봉해지고, 신돈(辛旽)은 영도첨의사사(領都僉議使司)로 집권하여 개혁을 추진했다.[3]

조선시대에는 문과 급제자 50명, 공신 7명을 배출하였다. 신부의 손자인 신인손(辛引孫)은 세종 때 대제학에 올랐고, 신인손의 아들 신석조(辛碩祖)는 세조 때 이조참판을 역임하였다.

현대 인물로는 롯데그룹 회장 신격호, 신동빈 등이 있다.

4. 신(愼)씨

신(愼)씨는 거창 신씨를 포함하여 여러 본관이 있으며, 2015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조사에서 51,865명으로 조사되어 성씨 인구 68위이다.

4. 1. 거창 신씨

'''거창 신씨'''(居昌 愼氏)의 시조(始祖) '''신수'''(愼修)는 송나라 개봉부(開封府) 출신 진사(進士)로 고려에 귀화하여 1075년(문종 29) 시어사(侍御史)가 되었고, 숙종 때 수사공(守司空) 우복야(右僕射) 참지정사(參知政事)를 역임하였으며, 1101년 사망하자 공헌(恭獻)의 시호를 받았다. 신수의 아들 신안지(愼安之)는 병부상서(兵部尙書)를 역임하였다.[4]

7세손 신집평(愼執平)은 대장군(大將軍)을 거쳐 1258년(고종 45) 동북면병마사(東北面兵馬使)로서 몽골에 항전하였다.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35명을 배출하였다. 15세손 신승선(愼丞善)은 세종의 넷째 아들인 임영대군(臨瀛大君)의 사위이자 연산군 정비 폐비 신씨의 아버지로서 영의정에 오르고 거창부원군(居昌府院君)에 봉군되었다. 신승선의 아들인 신수근(愼守勤)의 딸도 중종비 단경왕후(端敬王后)가 되어 신수근좌의정에 오르고 익창부원군(益昌府院君)에 봉해졌다. 17세손 신희복(愼希復)이 명종 때 우참찬에 오르고, 18세손 신거관(愼居寬)은 호조판서를 역임하였다. 영조 때 신이의(愼爾儀)가 세자시강원시직(世子侍講院侍直)에 제수되었으며, 신후담(愼後聃)은 실학자로서 《서학변(西學辨)》을 저술했다.

대한민국 통계청의 2015년 인구조사에 따르면 거창 신씨는 51,865명으로 조사되어 성씨 인구 68위를 차지한다.

5. 신씨 인물 목록

2015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조사에 따르면 신(申)씨는 741,081명으로 성씨 인구 14위, 신(辛)씨는 192,877명으로 42위, 신(愼)씨는 51,865명으로 68위를 기록했다.

신(申)씨 본관별 인구 (2015년)
본관인구
평산563,375명
고령129,718명
아주33,710명



영산 신씨(辛)는 영월 신씨로 분관되기도 하였다. 거창 신씨(愼)는 송나라 개봉부 출신 진사(進士) 신수고려에 귀화하며 시작되었다.

5. 1. 역사적 인물


  • 신숭겸(申崇謙, ? ~ 927년): 후삼국 시대 태봉의 장군으로, 배현경, 홍유, 복지겸과 함께 왕건을 황제로 추대하여 고려 개국일등공신이 되었다. 본래 이름은 능산(能山)이었으나, 태조에게 평산에서 신씨 성을 받았다. 시호는 장절(壯節)이며, 태사(太師)로 추증되었다.[1]
  • 신군평: 평산 신씨 인물이다.
  • 신개: 평산 신씨 인물이다.
  • 신영: 평산 신씨 인물이다.
  • 신잡: 평산 신씨 인물이다.
  • 신립: 평산 신씨 인물이다.
  • 신흠(申欽): 평산 신씨 인물이다.
  • 신경진(申景禛): 평산 신씨 인물이다.
  • 신임: 평산 신씨 인물이다.
  • 신완: 평산 신씨 인물이다.
  • 신만(申晩): 평산 신씨 인물이다.
  • 신회(申晦): 평산 신씨 인물이다.
  • 신재식: 평산 신씨 인물이다.
  • 신응조: 평산 신씨 인물이다.
  • 신성용(申成用): 고령 신씨 시조. 고려 때 호장(戶長)을 지냈고, 검교군기감(檢校軍器監)을 역임하였다.
  • 신덕린(申德隣): 고령 신씨 시조 신성용의 5세손. 충목왕 때 문과에 급제하여 판서를 역임하였다.
  • 신장(申檣): 고령 신씨 시조 신성용의 6세손. 대제학을 지냈다.
  • 신숙주(申叔舟, 1417년 ~ 1475년): 고령 신씨 시조 신성용의 7세손. 조선 세조 때 영의정에 올랐다. 학자이자 정치가.
  • 신영미(申英美): 아주 신씨 시조. 고려 때 아주현의 권지호장(權知戶長)을 지냈다.
  • 신윤려(申允麗): 삭녕 신씨 시조. 외손녀 안변 한씨가 이성계에게 출가하여 신의왕후로 승격되자 찬성사(贊成事)로 증직(贈職)되었다.
  • 신경(辛鏡): 영산 신씨 시조. 1138년(고려 인종 16년)에 문과에 급제하여 금자광록대부 문하시랑평장사(金紫光錄大夫 門下侍郞平章事)에 이르렀다고 한다.
  • 신천(辛蕆): 영산 신씨 9세손. 1294년(고려 충렬왕 20년) 과거에 급제하여 판밀직사사(判密直司事)에 이르렀다.
  • 신혁(辛革): 영산 신씨 9세손. 신천의 동생. 도첨의찬성사(都僉議贊成事)가 되었다.
  • 신예(辛裔): 영산 신씨 시조 신경의 후손. 신혁의 손자. 충목왕 때 취성부원군(鷲城府院君)에 봉해졌다.[2]
  • 신부(辛富): 영산 신씨 시조 신경의 후손. 신예의 동생. 공민왕 때 취산군(鷲山君)에 봉해졌다.[3]
  • 신돈(辛旽, ? ~ 1371년): 영산 신씨 시조 신경의 후손. 고려 공민왕 시대의 승려이자 섭정. 영도첨의사사(領都僉議使司)로 집권하여 개혁을 추진했다.[3]
  • 신인손(辛引孫): 영산 신씨 시조 신경의 후손. 신부의 손자. 세종 때 대제학에 올랐다.
  • 신석조(辛碩祖): 영산 신씨 시조 신경의 후손. 신인손의 아들. 세조 때 이조참판을 역임하였다.
  • 신수(愼修): 거창 신씨 시조. 송나라 개봉부(開封府) 출신 진사(進士)로서 고려에 귀화하여 1075년(고려 문종 29) 시어사(侍御史)가 되었고, 숙종 때 수사공(守司空) 우복야(右僕射) 참지정사(參知政事)를 역임하였으며, 1101년 사망하자 공헌(恭獻)의 시호를 받았다.
  • 신안지(愼安之): 거창 신씨 시조 신수의 아들. 병부상서(兵部尙書)를 역임하였다.[4]
  • 신집평(愼執平): 거창 신씨 시조 신수의 7세손. 대장군(大將軍)을 거쳐 1258년(고종 45) 동북면병마사(東北面兵馬使)로서 몽골에 항전하였다.
  • 신승선(愼丞善): 거창 신씨 시조 신수의 15세손. 세종의 넷째 아들인 임영대군(臨瀛大君)의 사위이자 연산군 정비 폐비 신씨의 아버지로서 영의정에 오르고 거창부원군(居昌府院君)에 봉군되었다.
  • 신수근(愼守勤): 거창 신씨 시조 신수의 15세손. 신승선의 아들. 중종비 단경왕후(端敬王后)의 아버지. 좌의정에 오르고 익창부원군(益昌府院君)에 봉해졌다.
  • 신희복(愼希復): 거창 신씨 시조 신수의 17세손. 명종 때 우참찬에 올랐다.
  • 신거관(愼居寬): 거창 신씨 시조 신수의 18세손. 호조판서를 역임하였다.
  • 신이의(愼爾儀): 거창 신씨 시조 신수의 후손. 영조 때 세자시강원시직(世子侍講院侍直)에 제수되었다.
  • 신후담(愼後聃): 거창 신씨 시조 신수의 후손. 실학자로서 《서학변(西學辨)》을 저술했다.
  • 신사임당(申師任堂, 1504년 ~ 1551년): 화가, 서예가, 이율곡의 어머니.
  • 신계암(申繼암, 1620년대 ~ 1630년대 활동): 여진족 및 만주어 통역관.
  • 신광수(申光洙, 1712년 ~ 1775년): 시인.
  • 신윤복(申潤福, 1758년 ~ ?): 혜원으로도 알려진 화가.
  • 신규식(申圭植, 1880년 ~ 1936년): 독립 운동가.
  • 신채호(申采浩, 1880년 ~ 1936년): 독립 운동가, 역사가, 민족주의자이자 한국 민족주의 역사학의 창시자.
  • 신성모(申性模, 1891년 ~ 1960년): 정치인.
  • 신현준(申鉉俊, 1915년 ~ 2007년): 군인이자 외교관.
  • 신익희(申翼熙): 정치인 (대한민국 제1, 2대 국회의장, 야당 대표, 대통령 후보).
  • 신격호(辛格浩, 1922년 ~ 2020년): 롯데그룹 회장 겸 창업자.
  • 신원일: 증산교 종도
  • 신경현: 증산교 종도

5. 2. 현대 인물


  • 신격호(1921~2020), 롯데그룹 창립자 겸 명예회장[1]
  • 신동빈(1955년생), 롯데그룹 회장, 신격호의 차남[1]
  • 신아람(1986년생), 대한민국 에페 펜싱 선수
  • 신아영(1987년생), 대한민국 방송인
  • 신애(1982년생), 대한민국 배우
  • 신애라(1969년생), 대한민국 배우
  • 신백철(1989년생), 대한민국 배드민턴 선수
  • 신보라(1987년생), 대한민국 코미디언, 가수, 배우
  • 신봉식(1992년생), 대한민국 스노보더
  • 신봉선(1980년생), 대한민국 코미디언
  • 신철진(1956년생), 대한민국 배우
  • 신다은(1985년생), 대한민국 배우
  • 신대철(1967년생), 대한민국 록/헤비메탈 기타리스트, 시나위 리더
  • 신동갑(1985년생), 대한민국 래퍼, 작곡가, 작사가, 음반 프로듀서 (독립힙합 레이블 일리네어 레코즈 공동 설립자)
  • 신동호(1994년생), 대한민국 가수, 보이 밴드 유키스 전 멤버
  • 신동희(1985년생), 가수, 댄서, 보이 밴드 슈퍼주니어 멤버
  • 신동혁(1982년생), 탈북자이자 인권 운동가
  • 신동미(1977년생), 대한민국 배우
  • 신동우(1991년생), 대한민국 가수, 배우, 보이 그룹 비원에이포 멤버
  • 신동욱(1982년생), 대한민국 배우
  • 신동열(1980년생), 대한민국 래퍼
  • 신동엽(1971년생), 대한민국 코미디언 및 진행자
  • 에디 신(1976년생), 미국 배우
  • 신은정(1974년생), 대한민국 배우
  • 신은경(1973년생), 대한민국 배우
  • 신은수(2002년생), 대한민국 배우
  • 신가비(1993년생), 대한민국 댄서 및 안무가
  • 신구(1936년생), 대한민국 배우
  • 신하은, 대한민국 텔레비전 작가
  • 신하균(1974년생), 대한민국 배우
  • 신하영(1993년생), 대한민국 배우
  • 신해철(1968년~2014년), 대한민국 가수
  • 신혜숙(1957년생), 대한민국 피겨 스케이터
  • 신홍기(1968년생), 대한민국 전 축구 선수
  • 신화용(1983년생), 대한민국 축구 선수
  • 신혜정(1993년생), 대한민국 가수, 배우, 걸 그룹 AOA 전 멤버
  • 신혜선(1989년생), 대한민국 배우
  • 신혜성(1979년생), 대한민국 가수, 작곡가, 보이 밴드 신화 멤버
  • 신효섭(1992년생), 대한민국 가수, 작곡가
  • 신현빈(1986년생), 대한민국 배우
  • 신현지(1996년생), 대한민국 패션 모델
  • 신현준(1968년생), 대한민국 배우
  • 신현수(1989년생), 대한민국 배우
  • 신형민(1986년생), 대한민국 축구 선수
  • 신재철(1936년~2012년), 대한민국 무술가
  • 신재하(1993년생), 대한민국 배우
  • 신재호(1993년생), 대한민국-뉴질랜드 래퍼, 가수
  • 신재민(1986년생), 대한민국-뉴질랜드 래퍼, 가수
  • 지나 신(1973년생), 뉴질랜드 아티스트
  • 신지원(1996년생), 대한민국 배우, 가수, 걸 그룹 베리굿 전 멤버
  • 신정아(1972년생), 삼풍백화점 붕괴 생존자, 이후 학력 위조
  • 신지훈(1998년생), 대한민국 가수, 배우
  • 신지민(1991년생), 대한민국 전 가수, 래퍼, 걸 그룹 AOA 전 멤버
  • 신지수(1994년생), 대한민국 가수, 배우, 걸 그룹 D.Heaven 전 멤버
  • 신진서(2000년생), 대한민국 프로 바둑 기사
  • 지아이 신(1988년생), 대한민국 프로 골퍼
  • 신준식(1980년생), 대한민국 태권도 선수, 올림픽 은메달리스트
  • 신준섭(1963년생), 대한민국 미들급 아마추어 복서, 올림픽 금메달리스트
  • 신정근(1966년생), 대한민국 배우
  • 신정환(1974년생), 대한민국 가수, 연예인
  • 신중현(1938년생), 대한민국 록 기타리스트, 가수, 작곡가
  • 신기준(2001년생), 대한민국 배우
  • 신건(辛한국어), 전 국정원 원장
  • 신광호(1983년생), 대한민국 아티스트
  • 신광훈(1987년생), 대한민국 축구 수비수
  • 신경림(1936년~2024년), 대한민국 작가
  • 신민아(1984년생), 대한민국 배우, 모델
  • 신명철(1978년생), 한국 야구 2루수
  • 넬리 신(1972년생), 최초의 한국계 캐나다인 국회의원
  • 넬슨 신(1939년생), 아콤 프로덕션 유한회사 설립자 겸 사장
  • 신옥철(1983년생), 대한민국 래퍼
  • 올렉산드르 신(1961년생), 우크라이나 정치인, 전 자포리자 시장
  • 폴 신(1935년~2021년), 한국계 미국인 정치인, 워싱턴주 상원 의원
  • 프니엘 신(1993년생), 한국계 미국인 가수, 래퍼, 보이 밴드 비투비 멤버
  • 피터 신, 미국의 애니메이션 감독, 프로듀서, 특히 "패밀리 가이"로 유명
  • 신류진(2001년생), 대한민국 래퍼, 가수, 걸 그룹 있지 멤버
  • 신세경(1990년생), 대한민국 배우
  • 신설기(1998년생), 대한민국 배우
  • 신승호(1995년생), 대한민국 배우
  • 신승훈(1966년생), 대한민국 발라드 가수
  • 신승환(1978년생), 대한민국 배우
  • 신선호(辛한국어, 1948년생), 북한 외교관, 유엔 상임대표
  • 신수란(1986년생), 대한민국 가수
  • 신숙자(申한국어, 1942년생), 북한 정치범 수용소에 수감되었던 대한민국 정치범
  • 신성록(1982년생), 대한민국 배우
  • 신태용(1970년생), 대한민국 전 프로 축구 선수, 현 인도네시아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 신원호(1975년생), 대한민국 감독, 텔레비전 프로듀서
  • 신원호(1991년생), 대한민국 배우, 다국적 보이 밴드 크로스진 멤버
  • 신원호(2001년생), 대한민국 축구 선수
  • 신우철, 대한민국 텔레비전 감독
  • 신우현(2004년생), 대한민국 레이싱 드라이버
  • 신예은(1998년생), 대한민국 배우
  • 신연서(1993년생), 배우, 가수, 걸 그룹 구구단 전 멤버이자 리더
  • 신영옥(1961년생), 대한민국 클래식 소프라노 가수
  • 신영록(辛한국어, 1987년생), 대한민국 축구 선수

5. 3. 가상 인물


  • 스티븐 신, DC 코믹스 시리즈 ''아쿠아맨''의 등장인물
  • 신경수, 2003년 한국 드라마 ''로즈마리''의 두 여주인공 중 한 명
  • 신지현, 2011년 한국 드라마 ''49일''의 주인공
  • 신석기, 2004년 한국 영화 ''신석기 블루스''의 주인공
  • 신지훈, 2012년 한국 드라마 ''로맨스가 필요해 2012''의 주요 등장인물 중 한 명
  • 신주연, 2014년 한국 드라마 ''로맨스가 필요해 3''의 여주인공
  • 신지민 (송이경), 2011년 한국 드라마 ''49일''의 주요 등장인물의 실제 이름
  • 신채경, 2017년 한국 드라마 ''7일의 왕비''의 여주인공
  • 신세기, 2015년 한국 드라마 ''킬미, 힐미''의 주인공 차도현의 다중인격장애 환자의 또 다른 인격
  • 신하경, 2014년 한국 드라마 ''펀치''의 여주인공
  • 신석호, 2016년 한국 드라마 ''딴따라''의 주인공
  • 신우여, 2021년 한국 드라마 ''간 떨어지는 동거''의 주인공
  • 신영주, 2017년 한국 드라마 ''귓속말''의 여주인공
  • 신상, 2021년 한국 드라마 ''마우스''의 남성 등장인물
  • 신아리, 2021년 한국 드라마 ''어떻게든 살아간다''의 여주인공 중 한 명

참조

[1] 웹사이트 『고려사』 권92, 열전5 https://terms.naver.[...]
[2] 웹사이트 『고려사』 권125, 열전38 https://terms.naver.[...]
[3] 웹사이트 『고려사』 권132, 열전45 https://terms.naver.[...]
[4] 웹사이트 『고려사』 권97, 열전10 https://terms.nav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