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신중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신중현은 일제강점기 경성부 출생으로, 한국 록 음악의 선구자로 평가받는 음악가이다. 1950년대 미8군 무대에서 데뷔하여 1964년 대한민국 최초의 록 밴드 Add 4를 결성했다. 펄 시스터즈, 김추자 등 여러 가수의 음반 프로듀싱을 통해 '신중현 사단'을 이끌었으며, '아름다운 강산' 등 수많은 히트곡을 제작했다. 1975년 대마초 파동으로 활동이 금지되었으나, 1980년대 해금 이후에도 음악 활동을 이어갔다. 2006년 은퇴 공연을 가졌으며, 2017년 버클리 음대에서 명예 음악 박사 학위를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팝 음악가 - 신해철
    신해철은 1988년 무한궤도로 데뷔하여 독보적인 음악적 입지를 구축하고 사회 문제에 비판적 목소리를 내 '마왕'이라는 별명을 얻은 뮤지션, 방송인이자 사회 운동가였으나, 2014년 의료 과실로 사망하여 신해철법 제정으로 이어졌다.
  • 대한민국의 팝 음악가 - 엄정화
    엄정화는 1989년 MBC 합창단 입단 후 1993년 영화와 음반으로 데뷔하여, 가수와 배우로서 활발히 활동하며 다수의 히트곡과 영화 주연을 통해 대중문화에 큰 영향을 미친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여성 엔터테이너이다.
  • 일본계 한국인 - 이방자
    이방자는 일본 왕족 출신으로 대한제국 마지막 황태자비가 되어 이은과 결혼 후 한국으로 귀국하여 장애인 복지 사업에 헌신하였으며 사후 국민훈장 무궁화장이 추서되었다.
  • 일본계 한국인 - 이진 (일제강점기)
    일제강점기 이왕세자 이은과 이방자 여왕 사이에서 태어난 첫 아들인 이진은 일본에서 태어나 황족과 같은 예우를 받았으나, 조선 방문 후 급병으로 사망하여 일제강점기 조선 왕실의 비극을 상징하는 사건으로 여겨진다.
  • 팝 록 음악가 - 김장훈
    1963년 서울에서 태어난 김장훈은 1991년 데뷔 후 20개 이상의 앨범 발매와 1,000회 이상의 콘서트를 통해 활발한 음악 활동을 펼치며 폭넓은 팬층을 확보하고, '기부천사'로 불릴 만큼 사회 참여 활동에도 적극적이었으나 여러 논란에 휩싸이기도 한 대한민국의 가수 겸 배우이다.
  • 팝 록 음악가 - 이승환
    이승환은 부산 출신의 대한민국 가수 겸 음악 프로듀서로, 록 음악을 기반으로 발라드 등 다양한 장르를 소화하며 폭넓은 음악적 스펙트럼을 구축하고 수많은 히트곡과 1400회 넘는 단독 공연으로 '라이브의 황제'로 불리며 국내 공연 문화 발전에 기여하고 후진 양성에도 힘쓰는 아티스트이다.
신중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신중현
로마자 표기Sin Junghyeon
한자 표기申重鉉
별칭Jackie (Jacky/ Hicky) Shin
출생일1938년 1월 4일
출생지서울 일제강점기 경성부
거주지서울특별시
직업싱어송라이터
기타 연주자
편곡가
음악 프로듀서
활동 시기1957년 ~ 현재
배우자명정강 (1960년 ~ 2018년)
가족신익균 (아버지)
이순자 (어머니)
2남 1녀 중 장남
슬하 3남
장남: 신대철
차남: 신윤철
삼남: 신석철
종교개신교
학력서라벌고등학교 (졸업)
음악 정보
악기보컬
기타
장르사이키델릭 록
포크 록

소울

하드 록
로큰롤
블루스
레이블Jigu Records
관련 활동Add4
Pearl Sisters
Kim Chu-ja
Shin Joong Hyun & The Men
Shin Joong Hyun & Yup Juns
수상
수상 내역[[File:ROK Order of Cultural Merit Bo-gwan (3rd Class) ribbon.PNG|border|23px]] 보관문화훈장 (2010)
외부 링크
공식 웹사이트신중현의 공식 홈페이지

2. 생애

신중현은 1938년 일제강점기 경성부에서 태어났다.[3] 어린 시절 어머니를 여읜 그는 아버지와 함께 만주와 일본에서 유년 시절을 보냈다. 광복 이후 한국으로 돌아왔으나, 1952년 아버지, 이듬해에는 새어머니가 사망하였다.[7] 이후 신중현은 서울로 이주하여 제약 공장에서 일하며 야간학교에 다녔고, 기타 연주를 독학하였다.[5]

2. 1. 초기 생애 (1938년 ~ 1956년)

일제강점기 경성부에서 이발사 신익균의 아들로 태어났다. 3세 때였던 1941년에 아버지를 따라 만주국 신징으로 건너가 잠시 유아기를 보냈고, 1945년 8.15 광복 후 귀국하였다. 1950년 한국 전쟁 때는 충청북도 진천군, 경상북도 문경군, 경북 상주군으로 거듭 이주하면서 잠시 유년기를 보냈다.[3] 어린 시절 어머니를 여의었고, 아버지는 나중에 일본 여성과 재혼하였다. 신중현은 아버지와 새어머니와 함께 만주와 일본에서 유년 시절을 보냈다. 한국으로 돌아온 후, 신중현의 아버지는 1952년에, 새어머니는 그 다음 해에 사망하였다.[7] 새어머니가 사망한 후, 신중현은 서울로 이주하여 제약 공장에서 일하며 야간학교에 다녔다. 이 기간 동안 그는 바이올린을 배우려는 시도가 실패한 후 기타 연주를 독학하였다.[5]

2. 2. 미8군 데뷔와 Add 4 결성 (1957년 ~ 1964년)

신중현은 1956년 경북 김천 소재 미8군 예속 연예단에 들어가 처음엔 단원들의 심부름과 보조일을 하다가 점차 기타 실력을 인정받아 1957년에 연예단의 악단 기타리스트로 데뷔하였다. 미8군 공연 무대를 통해 실력을 쌓아가던 그는 1964년 대한민국 최초의 록 밴드 에드 포(Add 4)를 결성하고 1집 《빗속의 여인》을 발표했다[24]. 이들이 만든 음악은 한국 최초의 창작 락 음악으로 기록되어 있다. 트로트 일색이던 1960년대 한국 가요계에 〈커피 한 잔〉 같은 곡을 만들어 큰 파장을 일으키기도 했다.

1957년, 19세의 신중현은 당시 한국 음악인들이 정기적으로 공연할 수 있는 몇 안 되는 곳 중 하나였던 한국의 미군 기지에서 데뷔했다. 신중현은 주한미군방송(AFKN)을 통해 접한 미국 로큰롤, 재즈, 그리고 후에 사이키델릭록의 영향을 받았다.[6] 무대 이름 재키 신(Jackie Shin)으로 활동하며 기지에서 엄청난 인기를 얻었고, 한때는 한 달에 40회까지 공연하기도 했다.[5] 신중현은 나중에 한국 록 음악이 미군 기지에서 탄생했다고 말했다.[7]

2. 3. 프로듀서로서의 성공과 '신중현 사단' (1968년 ~ 1975년)

1968년 펄시스터즈(The Pearl Sisters)의 앨범 《나의 사랑》(My Dear)을 프로듀싱하기 전까지는 한국에서 주류적인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10] 이 앨범은 "나의 사랑"과 "커피 한 잔"을 포함하여 장 이상 팔리는 엄청난 성공을 거두었다.[11] 이후 몇 년 동안 신중현은 김추자를 비롯한 젊은 음악가들을 위해 곡을 쓰고 히트 레코드를 제작했는데, 김추자와 함께 《늦기 전에》(Before It's Too Late) 앨범을 만들기도 했다. 이러한 녹음들 중 상당수는 신중현의 상징적인 사이키델릭 소울 사운드를 특징으로 하고 있었다.[12]

2. 4. '아름다운 강산'과 대마초 파동 (1972년 ~ 1979년)

1972년 박정희 대통령은 신중현에게 대통령을 찬양하는 노래를 작곡해 달라고 요청했다. 신중현은 이를 거절하고 대신 대한민국의 아름다움을 노래한 10분 길이의 〈아름다운 강산〉을 작곡하여 당시 그의 밴드인 '신중현과 멘(Shin Joong Hyun & The Men)'과 함께 녹음했다.[13] 노래 발표 후 경찰은 신중현의 기타를 압수하고 당시 한국 정부에 의해 금지되었던 그의 긴 머리를 잘랐다.[5] 그러나 1974년 그의 새로운 밴드인 신중현과 엽전들은 100만 장 이상 판매된 자작곡 앨범을 발매했고, 이 앨범에는 히트곡 '아름다운 여자'가 수록되어 있었다.[14]

1975년 신중현은 대통령 아들의 친구에게 대마초를 건넨 후 소지 혐의로 체포되었다.[15] 체포 당시 마리화나는 아직 불법이 아니었음에도 불구하고 그는 투옥되어 고문을 당했다. 이후 정신병원에 수감되기도 했다.[5] 석방 후 신중현은 1979년 박정희 암살 이후까지 대한민국에서 공연이 금지되었다. 암살에 대해 신중현은 "하나님이 박정희를 데려가고 나를 구하셨다"고 말했다.[15] 그러나 그 사이 대중음악의 취향이 바뀌었다고 신중현은 말했다. 그는 "모두 '열심히 일하자', '행복하자' 식이었죠. 정신도, 사상도, 인간성도 없는, 완전히 육체적인 것이었어요."라고 회상했다.[7] 공연을 할 수 없었던 그는 프로듀싱과 작곡 등 다른 직업에 종사했다.

2. 5. 해금 이후 활동과 은퇴 (1980년 ~ 2006년)

1975년 대마초 사건에 연루되어 구속되었는데, 이는 정부의 사회정화를 빙자한 독재 강화를 위한 대중음악 탄압과 연관된 일이라고 알려진다. 신중현 자신도 후에 억울한 면이 있었음을 밝혔다. 그는 신군부 집권 후 해금되었으나 그의 노래는 1987년까지 금지곡이 되는 등의 수난을 겪었다.[24] 긴 세월이 흐르며 그의 곡들도 해금 조치되면서 다시 활동할 수 있었다. 그러나 다시 음악계로 나왔을 때는, 이미 대중음악계의 판도는 통기타음악, 댄스음악 쪽으로 자리를 잡아가던 중이었고 록 음악 세계에서도 이미 기나긴 세월 동안 큰 변화가 있었기에 다시 음악의 중심에 서지는 못하였다. 2006년 7월 15일 은퇴 공연을 가졌다.[25]

1980년대에 신중현은 외국인 관광객과 주한미군에게 인기 있는 서울의 이태원 지역에서 음악 클럽을 운영했다.[7] 1986년에는 서울 남동쪽에 또 다른 음악 클럽인 우드스톡을 열어 20년 동안 운영하고 가르쳤다.[7] 1990년대에는 신중현의 음악이 한국에서 인기를 되찾았다.[6] 조권우, 신효범, 봄여름가을겨울김종진이 그의 노래를 새롭게 편곡하여 발표했고, 그의 아들 신대철도 마찬가지였다.[15]

신중현은 2006년 은퇴를 발표했다. 그의 "고별" 콘서트는 그해 12월 한국 교육방송(EBS)에서 10일 동안 방송되었다.[16]

2. 6. 은퇴 이후 (2006년 ~ 현재)

2006년 7월 15일, 신중현은 은퇴 공연을 가졌다.[24] 그러나 2008년 할리우드 보울에서 열린 한국 음악 축제에서 미국 첫 콘서트를 통해 무대로 돌아왔다.[6]

2009년 12월 15일, 신중현은 악기 제조업체 펜더로부터 세계에서 6번째이자 아시아 뮤지션으로는 처음으로 Custom Shop Tribute Guitar를 헌정받았다.[26] 2010년에는 에릭 클랩튼, 제프 벡, 에디 반 헤일런, 잉베이 말름스틴, 스티비 레이 본에 이어 펜더 커스텀 샵 트리뷰트 시리즈 기타를 받은 최초의 아시아인이자 세계에서 여섯 번째 음악가가 되었다. 신중현은 그의 경력 대부분 동안 펜더 기타를 사용했다.[17]

2011년, 시애틀에 기반을 둔 라이트 인 디 애틱 레코드에서 신중현의 음악을 미국에서 처음으로 발매했다.[18] 그는 2017년 버클리 음대로부터 명예 음악 박사 학위를 받았다.[19]

2017년에는 신중현 데뷔 60주년을 맞아 후배들이 그의 노래를 부르며 존경을 표하는 트리뷰트 무대가 KBS 2TV '불후의 명곡'을 통해 방송되기도 했다.[25]

3. 음악 스타일 및 영향

신중현은 1968년 펄시스터즈의 앨범 《나의 사랑》을 프로듀싱하기 전까지는 한국에서 주류적인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10] "나의 사랑"과 "커피 한 잔"을 포함한 이 앨범은 100만 장 이상 팔리는 엄청난 성공을 거두었다.[11] 이후 몇 년 동안 신중현은 김추자 등 젊은 음악가들을 위해 곡을 쓰고 히트 레코드를 제작했는데, 김추자와 함께 《늦기 전에》 앨범을 만들기도 했다. 이러한 녹음들 중 상당수는 신중현의 상징적인 사이키델릭 소울 사운드를 특징으로 하고 있었다.[12]

4. 신중현 사단

1960년대 에드 포(Add 4)를 결성하여 대한민국 최초의 록 음악을 선보였고, 1970년대에는 신중현과 엽전들을 통해 〈미인〉을 발표했다.[24] 김추자의 〈님은 먼 곳에〉, 〈월남에서 돌아온 김상사〉 등 많은 히트곡을 제작하며 이른바 '신중현 사단'을 이끌었다.[24]

1968년 펄시스터즈(The Pearl Sisters)의 앨범 《나의 사랑》(My Dear)을 프로듀싱하여 〈커피 한 잔〉을 포함, 100만 장 이상 판매되는 큰 성공을 거두었다.[10][11] 이후 김추자와 함께 《늦기 전에》(Before It's Too Late) 앨범을 제작하는 등, 젊은 음악가들을 위해 곡을 쓰고 히트 레코드를 제작했다. 이 시기 녹음된 곡들은 신중현 특유의 사이키델릭 소울 사운드를 특징으로 한다.[12]

그의 세 아들 역시 음악 활동을 하고 있다. 장남 신대철록 밴드 시나위의 기타리스트이며, 차남 신윤철서울전자음악단의 보컬 및 기타리스트로 활동했다. 삼남 신석철은 세션 드러머로 활동하고 있다.

5. 가족 관계

신중현은 1938년 일제강점기 서울에서 태어났다.[3] 어린 시절 어머니를 여의었고, 아버지는 이후 일본 여성과 재혼하였다. 신중현은 아버지와 새어머니와 함께 만주일본에서 유년 시절을 보냈다. 아버지와 새어머니는 신중현이 한국으로 돌아온 후, 각각 1952년과 그 다음 해에 사망하였다.[7]

신중현은 한국 최초의 여성 드러머이자 블루 리본(Blue Ribbons) 멤버였던 명정강과 결혼하여 2018년 3월 23일 그녀가 사망할 때까지 함께 살았다.[3][20] 슬하에 시나위의 기타리스트 신대철, 가수이자 기타리스트 신윤철, 세션 드러머 신석철 등 세 아들을 두었다.[2]

6. 평가 및 수상

신중현은 1960년대 당시 트로트 음악 일색이었고 록 음악의 불모지였던 대한민국에 록 음악을 본격적으로 도입한, 시대를 앞서간 음악인으로 평가받고 있다. 또한 '신중현 사단'으로 일컬어지는 후배 가수들을 통해서 흑인음악(소울)을 본격적으로 도입한 인물이기도 하다. 현존하는 많은 대한민국의 록 뮤지션들은 신중현을 한국 록 음악의 대부로 인정하며 존경을 보내고 있다.

2009년 펜더는 신중현에게 아시아 최초로 헌정 기타를 선물하였고,[28] 2017년에는 버클리 음악 대학에서 한국인 최초로 명예박사 학위를 수여하였다. 신중현은 헌정 앨범 ‘신중현 THE ORIGIN’ 발매 기념 기자간담회에서 명예박사 학위에 대해 "더 이상 바랄 것이 없을 정도로 좋은 결실을 주셨다"는 소회를 밝히기도 하였다.[29]

연도내용
2008년한국대중음악상 평생공로상[21]
2011년보관문화훈장(3등급)[22][23]
2017년버클리 음악 대학 명예 박사 학위[4]


7. 음반 목록

신중현은 다양한 음반을 발표하고 여러 가수들의 음반 제작에 참여했다. 1960년대에는 《히키신 기타 멜로디》, 에드포의 《빗속의 여인》을 발표했고, 1970년대에는 《시원한 기타 경음악》, 《신중현 SOUND》 등을 발표했다. 1980년대 이후에는 솔로 음반과 세나그네 등의 밴드 활동을 통해 꾸준히 음악 활동을 이어갔다.

연도음반명비고
1960년대《히키신 기타 멜로디》한때 일부 매체에서 1958년작으로 소개되기도 했지만, 1960년대에 발표된 외국곡의 번안곡들이 수록된 점 등으로 보아 1964년 에드포 데뷔 직전 혹은 데뷔 후에 다시 미 8군으로 돌아가 활동하던 시절에 발표된 레코드로 보는게 맞다.
1964《빗속의 여인》에드포
1970《시원한 기타 경음악》
1971《신중현 SOUND》
1973《1973》지연
1973《내곁에 있어주오》윤용균
1973박광수박광수
1983《세나그네》
1987《신중현 87》
1988《그동안》
1994《무위자연》
1997《김삿갓》
2005《도시학》


7. 1. 신중현 4인조 시대

1959년 기타 멜로디 컴필레이션 앨범을 냈다.[7] 1964년, 대한민국 최초의 록 밴드로 평가받는 에드포(Add4)를 결성하여 1집 《빗속의 여인》을 발표했다.[9][5] 1966년에는 '한국의 벤처스, 신중현과 4인조: 신중현 악기 편곡 컴필레이션 Vol.1'을, 1967년에는 '블루스 텟(Blooz Tet)' 명의로 '빗속의 여자'를, 1968년에는 '기타 악기 트위스트를 즐겨라'를 냈다.

7. 2. 프로듀서, 싱어송라이터, 기타리스트

신중현은 프로듀서, 싱어송라이터, 기타리스트로서 다양한 음반을 발표하고 여러 가수들의 음반 제작에 참여했다. 1960년대 초, 미8군 무대에서 활동하며 쌓은 경험을 바탕으로 1964년 한국 최초의 록 밴드 에드포(Add4)를 결성하여 《빗속의 여인》을 발표했다.[9][5] 1968년에는 펄 시스터즈의 《펄시스터 특선집》을 프로듀싱하여 〈나의 사랑〉, 〈커피 한 잔〉 등의 히트곡을 탄생시키며 대중적인 성공을 거두었다.[10][11] 이 앨범은 100만 장 이상 판매되는 큰 성공을 기록했다.[11]

이후 김추자의 《늦기 전에》(1969), 《후회》(1974), 이정화의 《꽃잎 봄비 마음》(1969) 등 여러 가수들의 앨범을 프로듀싱하며 사이키델릭 소울 사운드를 선보였다.[12] 1970년대에는 자신의 밴드 '신중현과 엽전들'을 결성하여 《신중현과 엽전들 1집》(1974), 《신중현과 엽전들 2집》(1974) 등을 발표했다. 1980년대에는 '신중현과 뮤직파워'를 결성하여 활동했으며, 인순이(1981), 이문세(1984), 김완선(1987) 등의 앨범 작업에도 참여했다.

다음은 신중현이 프로듀서, 싱어송라이터, 기타리스트로서 참여한 주요 음반 목록이다.

연도음반명가수비고
1968《펄시스터 특선집》펄 시스터즈
1969《꽃잎 봄비 마음》이정화
1969《늦기 전에》김추자
1969영화 《푸른사과》 배경음악
1971《아니야》김정미
1972장현 and 더 맨》장현
1973《간다고 하지 마오》김정미
1973《now》김정미
1973서유석서유석
1973양희은양희은
1974《후회》김추자
1974《바람》김정미
1974신중현과 엽전들 1집신중현과 엽전들
1974신중현과 엽전들 2집신중현과 엽전들
1975영화 《아이 러브 마마》 배경음악
1975《신중현과 엽전들 경음악》신중현과 엽전들
1980《저무는 바닷가》김추자
1980《김추자 80》김추자
1980영화 《연인들》 배경음악 〈날 보러와요〉
1981인순이인순이
1984이문세이문세
1987《김완선 리듬속의 그 춤을》김완선
1989이경화이경화
1990《빗속의 여인》


7. 3. 신중현 밴드 시대

1974년 신중현과 엽전들을 결성하여 〈미인〉, 〈아름다운 강산〉 등을 발표했다.[1] 1980년에는 신중현과 뮤직파워를 결성하여 〈아무도 없어요〉, 〈그대 দেখলে〉 등을 발표했고, 1982년에는 2집에서 〈내가 쏜 위성〉, 〈누군가를 기다리며〉 등을 발표했다.[1] 1983년에는 신중현과 세나그네를 결성, 〈떠나자〉, 〈행복〉 등을 발표했다.[1]

연도음반명비고
1974미인/당신을 생각하며신중현과 엽전들
1975아름다운 한국/산과 강신중현과 엽전들
1975악기 베스트신중현과 엽전들
1980여기엔 아무도 없어/당신을 볼 때마다신중현과 뮤직파워
1982내가 쏜 위성/누군가를 기다리며신중현과 뮤직파워
1983떠나자/행복신중현과 세나그네


7. 4. 솔로


  • 1988년 《그동안》
  • 1994년 《무위자연》
  • 1997년 《김삿갓》
  • 2006년 《도시학》

참조

[1] 웹사이트 신중현 https://100.daum.net[...] 2002-06-26
[2] 웹사이트 신중현 http://www.mnet.com/[...]
[3] 뉴스 Korea's Godfather of Rock Makes a Comeback https://www.nytimes.[...] 2006-11-04
[4] 웹사이트 'Godfather of Rock' given honorary degree http://koreajoongang[...] 2017-05-16
[5] 뉴스 'Godfather of rock' unplugged http://nwww.koreaher[...] 2012-11-08
[6] 뉴스 Shin Joong Hyun: South Korea's psychedelic mimic turned master https://www.theguard[...] 2011-09-15
[7] 서적 Pop Goes Korea; Behind the Revolution in Movies, Music, and Internet Culture Stone Bridge Press
[8] 뉴스 LP 가격이 놀라워 http://www.hankookil[...] 2016-02-06
[9] 웹사이트 비속의 여인 – 에드 훠 http://www.mnet.com/[...]
[10] 뉴스 김형찬의 대중음악 이야기 <17> 가요 흐름 바꾼 펄시스터즈 http://www.kookje.co[...] 2016-05-16
[11] 서적 K-Pop: Korea's Musical Explosion https://archive.org/[...] Twenty-First Century Books
[12] 서적 Korea: The Impossible Country https://books.google[...] Tuttle Publishing
[13] 뉴스 [Why] 록의 시인 신중현이 선물한 최고의 '애국가' http://news.chosun.c[...] 2016-12-03
[14] 뉴스 [대중음악 100대 명반]7위 신중현과 엽전들 '신중현과 엽전들' http://news.khan.co.[...] 2007-09-13
[15] 간행물 Seoul Music: Rockin' in Korea https://www.american[...] 1996-04-20
[16] 웹사이트 록의 대부 신중현, 마지막 발길 http://news.hankooki[...] 2012-02-12
[17] 웹사이트 Rocker Shin honored by celebrated guitar maker http://www.koreahera[...] 2010-03-30
[18] 웹사이트 Shin Joong Hyun https://lightintheat[...]
[19] 웹사이트 South Korean Rock Legend Shin Joong Hyun to Receive Honorary Degree from Berklee https://www.berklee.[...] 2016-10-16
[20] 웹사이트 신중현 부인상…한국 최초 여성 드러머 명정강 별세 https://www.yna.co.k[...] 2018-03-23
[21] 웹사이트 5회 시상식 수상결과 http://koreanmusicaw[...]
[22] 웹사이트 2011 Winners http://www.xn--vk1bx[...]
[23] 웹사이트 [사진]두팔 번쩍 신중현,'보관문화훈장 수상' http://photo.chosun.[...] 2011-11-21
[24] 서적 법문사
[25] 뉴스 '불후의 명곡' 신중현 "데뷔 60주년, 음악은 저의 전부" https://entertain.na[...] 엑스포츠뉴스 2017-12-09
[26] 뉴스 신중현 "우리의 록음악 해외가 인정했다"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09-12-15
[27] 웹인용 SBS '코리아게이트' 타이틀 영상 링크 http://www.blog.nave[...] 2015-01-31
[28] 뉴스 ‘록의 대부’ 신중현,亞 뮤지션 최초 펜더 기타 헌정 받다… “우리 록음악 세계가 인정” http://news.kmib.co.[...]
[29] 뉴스 신중현 “버클리음대 명예박사 학위…더 이상 바랄 것 없다“ http://star.mk.co.kr[...]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