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신궁 (신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궁(神宮)은 일본의 신사(神社) 중 특별한 지위를 가진 곳을 의미하며, 주로 천황이나 황실의 조상신을 모시는 신사에 붙여진 명칭이다. 일본서기에는 이세 신궁, 이소노카미 신궁, 이즈모 오오미야만이 신궁으로 기록되었으며, 헤이안 시대에는 가시마 신궁, 가토리 신궁 등이 추가되었다. 메이지 시대 이후에는 천황이나 황실 관련 신사들이 신궁으로 명칭을 변경했지만, 모든 경우가 그런 것은 아니었다. 일제강점기에는 조선 신궁과 타이완 신궁이 세워지기도 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신사의 국가 관리가 폐지되어 칙허 없이도 신궁 칭호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으나, 현재는 특별한 유래를 가진 신사만이 신궁으로 불린다.

2. 역사

일본서기에서는 이세 신궁, 이소노카미 신궁, 이즈모 오오미야[1](이즈모타이샤를 가리킴[2][3])만이 "신궁"으로 기재되어 있었다. 헤이안 시대에 성립된 엔기시키 신묘초에서는, 오오미야(이세 신궁 내궁), 가시마 신궁, 가토리 신궁이 "신궁"으로 표기되어 있다.

메이지 시대 이후, 천황이나 황실의 조상신을 제신으로 하는 신사의 일부가, 사호를 "신사"에서 "신궁"으로 고쳤다. 그러나, 닌토쿠 천황을 모시는 나니와 신사나 고즈노미야가 신궁이 아닌 것처럼, 모든 경우가 그런 것은 아니다. 일제강점기 경기도 경성부 남산(현 서울특별시 중구)에 '조선 신궁'(조센진구/朝鮮神宮일본어)이 세워졌고[6] 타이완에도 타이완 신궁(台湾神宮일본어)이 세워졌다. 제2차 세계 대전 종전까지는, 새롭게 "신궁"의 사호를 칭하기 위해서는 칙허가 필요했다.

전후에는 신사의 국가 관리가 폐지되었기 때문에, "신궁" 호를 칭할 때 칙허는 불필요하게 되었다. 그러나 현재에도 신사본청 산하에서, "신궁"을 공식적인 사호로 칭하는 신사는 특별한 유래를 가진 곳에 한정되어 있다. 전후, 신사 본청에 속하는 신사에서 "신궁" 호를 공식적으로 칭한 것은, 모두 신사 본청의 특별한 승인을 받아 개칭한 홋카이도 신궁(구 삿포로 신사·홋카이도), 이자나기 신궁(구 이자나기 신사·효고현), 히코산 신궁(구 히코산 신사·후쿠오카현)의 3곳뿐이다. 신사 본청에 속하지 않는 단립 신사에서는, 천황을 증사함으로써 "신궁" 호로 개칭한 신히요시 신궁의 예가 있다. 이즈모 오오미야(구 이즈모 신사)도 전후의 개칭이지만, "오오미야"는 "신궁" 호와는 다르다. 또한, 통칭으로 "신궁" 호를 관하는 신사(가와지리 신궁, 니시오카 신궁, 야마베 신궁, 헤이리쓰 신궁)도 보인다. 어느 경우든 신사가 이미 국가의 관리에서 벗어난 이상, "신궁" 호를 칭할 것인지는 각 신사의 판단에 맡겨져 있다.

이세 신궁(고타이진구)의 제신 아마테라스 오오미카미를 분령하여 "오오미야", "고타이진구"라고 칭하는 신사(도쿄 오오미야, 이세야마 고타이진구, 카이세이잔 오오미야 등)는 전국 각지에 있지만, "신궁"의 사호와는 다르다. 또한, 신도계 신종교 교단의 종교 시설에 "신궁" 호를 칭하는 것이 있다(신슈쿄 "사쿠라 신궁", 천진교 "황조황태신궁" 등)가, 이들도 이 항목에서는 다루지 않는다.

2. 1. 고대-근대

일본서기에서는 이세 신궁, 이소노카미 신궁, 이즈모 오오미야[1](이즈모타이샤를 가리킴[2][3])만이 "신궁"으로 기재되어 있었다. 헤이안 시대에 성립된 엔기시키 신묘초에서는, 오오미야(이세 신궁 내궁), 가시마 신궁, 가토리 신궁이 "신궁"으로 표기되어 있다.

메이지 이후, 천황이나 황실의 조상신을 제신으로 하는 신사의 일부가, 사호를 "신사"에서 "신궁"으로 고쳤다. 그러나, 닌토쿠 천황을 모시는 나니와 신사나 고즈노미야가 신궁이 아닌 것처럼, 모든 경우가 그런 것은 아니다. 제2차 세계 대전 종전까지는, 새롭게 "신궁"의 사호를 칭하기 위해서는 칙허가 필요했다.

전후에는 신사의 국가 관리가 폐지되었기 때문에, "신궁" 호를 칭할 때 칙허는 불필요하게 되었다. 그러나 현재에도 신사본청 산하에서, "신궁"을 공식적인 사호로 칭하는 신사는 특별한 유래를 가진 곳에 한정되어 있다. 전후, 신사 본청에 속하는 신사에서 "신궁" 호를 공식적으로 칭한 것은, 모두 신사 본청의 특별한 승인을 받아 개칭한 홋카이도 신궁(구 삿포로 신사·홋카이도), 이자나기 신궁(구 이자나기 신사·효고현), 히코산 신궁(구 히코산 신사·후쿠오카현)의 3곳뿐이다. 신사 본청에 속하지 않는 단립 신사에서는, 천황을 증사함으로써 "신궁" 호로 개칭한 신히요시 신궁의 예가 있다. 이즈모 오오미야(구 이즈모 신사)도 전후의 개칭이지만, "오오미야"는 "신궁" 호와는 다르다. 또한, 통칭으로 "신궁" 호를 관하는 신사(가와지리 신궁, 니시오카 신궁, 야마베 신궁, 헤이리쓰 신궁)도 보인다. 어느 경우든 신사가 이미 국가의 관리에서 벗어난 이상, "신궁" 호를 칭할 것인지는 각 신사의 판단에 맡겨져 있다.

이세 신궁(고타이진구)의 제신 아마테라스 오오미카미를 분령하여 "오오미야", "고타이진구"라고 칭하는 신사(도쿄 오오미야, 이세야마 고타이진구, 카이세이잔 오오미야 등)는 전국 각지에 있지만, "신궁"의 사호와는 다르다. 또한, 신도계 신종교 교단의 종교 시설에 "신궁" 호를 칭하는 것이 있다(신슈쿄 "사쿠라 신궁", 천진교 "황조황태신궁" 등)가, 이들도 이 항목에서는 다루지 않는다.

2. 2. 메이지 시대 이후

메이지 시대 이후, 일본 황실의 선조, 천황 및 야마토 평정(大和平定)에 공적이 있는 일부 신을 모신 신사 중 몇 군데가, 명칭을 '신사'에서 '신궁'으로 변경하였다. 닌토쿠 천황을 모시는 나니와 신사나 고즈노미야가 신궁이 아닌 것처럼, 모든 경우가 그런 것은 아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전까지는 신사의 명칭을 '신궁'으로 바꾸는 데에는 칙허가 필요하였으나, 전후 국가가 더 이상 신사를 관리하지 않게 되어, 현재는 특별한 규정이 존재하지는 않는다. 다만 '신궁'의 이름을 쓰기 위해서는 그만한 특별한 유래를 가지고 있어야 하는 것이 통례이다. 2차대전 이후 '신궁'이 된 곳은 세 곳으로, 이들 모두 신사본청의 특별한 승락을 받아 개칭된 것이다. (홋카이도홋카이도 신궁(구 삿포로 신사), 후쿠오카현의 히코산 신궁, 효고현의 이자나기 신궁) 신사 본청에 속하지 않는 단립 신사에서는, 천황을 증사함으로써 "신궁" 호로 개칭한 신히요시 신궁의 예가 있다. 이즈모 오오미야(구 이즈모 신사)도 전후의 개칭이지만, "오오미야"는 "신궁" 호와는 다르다. 또한, 통칭으로 "신궁" 호를 관하는 신사(가와지리 신궁, 니시오카 신궁, 야마베 신궁, 헤이리쓰 신궁)도 보인다. 어느 경우든 신사가 이미 국가의 관리에서 벗어난 이상, "신궁" 호를 칭할 것인지는 각 신사의 판단에 맡겨져 있다.

아마테라스 오오미카미를 분령하여 "오오미야", "고타이진구"라고 칭하는 신사(도쿄 오오미야, 이세야마 고타이진구, 카이세이잔 오오미야 등)는 전국 각지에 있지만, "신궁"의 사호와는 다르다. 또한, 신도계 신종교 교단의 종교 시설에 "신궁" 호를 칭하는 것이 있다(신슈쿄 "사쿠라 신궁", 천진교 "황조황태신궁" 등)가, 이들은 여기서 다루지 않는다.

2. 3. 일제강점기와 현대

일제강점기 경기도 경성부 남산(현 서울특별시 중구)에 '조선 신궁'(조센진구/朝鮮神宮일본어)이 세워졌고[6] 타이완에도 타이완 신궁(台湾神宮일본어)이 세워졌다. 제2차 세계 대전 종전까지, 새롭게 "신궁"의 칭호를 얻기 위해서는 칙허가 필요했다.

제2차 세계 대전 후에는 신사의 국가 관리가 폐지되면서, "신궁" 호를 칭할 때 칙허는 불필요하게 되었다. 그러나 현재에도 신사본청 산하에서 "신궁"을 공식적인 칭호로 사용하는 신사는 특별한 유래를 가진 곳으로 한정되어 있다. 전후, 신사 본청에 속하는 신사에서 "신궁" 호를 공식적으로 칭한 것은, 모두 신사 본청의 특별한 승인을 받아 개칭한 홋카이도 신궁(구 삿포로 신사·홋카이도), 이자나기 신궁(구 이자나기 신사·효고현), 히코산 신궁(구 히코산 신사·후쿠오카현)의 3곳뿐이다. 신사 본청에 속하지 않는 단립 신사에서는, 천황을 제사함으로써 "신궁" 호로 개칭한 신히요시 신궁의 예가 있다.

3. 신궁 목록

다음 목록은 헤이안 시대의 ''니주니샤''(22사) 신사 중 일부만을 포함하며, 메이지 유신 이후에 설립된 현대 신사는 제외하지 않는다. 아래 목록에서 해당 신사는 "''''''"로 표시되어 있다.



이세 신궁은 공식 명칭인 ''징구''(Jingū)로도 알려져 있으며, 추가적인 지칭은 없다.

사명소재지제신 등개칭 연도구사격
황실 조상신
신궁(이세 신궁)미에현이세시제신: 내궁・아마테라스 오미카미, 외궁・도요우케 오미카미----
이자나기 신궁효고현아와지시제신: 이자나기노 미코토, 이자나미노 미코토1954년 (쇼와 29년)관폐대사
기리시마 신궁가고시마현기리시마시주제신: 아메노니기시쿠니니기시 아마츠히코히코호노니니기노 미코토1874년 (메이지 7년)관폐대사
가고시마 신궁가고시마현 기리시마시주제신: 아마츠히코히코호노호데미노 미코토1874년 (메이지 7년)관폐대사
우도 신궁미야자키현니치난시제신: 히코나기사타케우가야후키아에즈노 미코토1874년 (메이지 7년)관폐대사
히코산 신궁후쿠오카현다카와군소에다마치제신: 마사야아마야카츠하야히아마노오시호미미노 미코토1975년 (쇼와 50년)관폐중사
(타이완 신궁)타이완타이베이주타이페이시(폐사)제신: 아마테라스 오미카미1944년 (쇼와 19년)관폐대사
(조선 신궁)조선 경기 경성부(폐사)제신: 아마테라스 오미카미메이지 천황1925년 (다이쇼 14년)(창건 시)관폐대사
(관동 신궁)관동주뤼순시(폐사)제신: 아마테라스 오미카미메이지 천황1944년 (쇼와 19년)(창건 시)관폐대사
천황
가시하라 신궁나라현가시하라시제신: 진무 천황1890년 (메이지 23년)(창건 시)관폐대사
미야자키 신궁미야자키현미야자키시제신: 진무 천황1913년 (다이쇼 2년)관폐대사
게히 신궁후쿠이현쓰루가시주제신: 이사사와케노 미코토, 부제신: 주아이 천황1895년 (메이지 28년)관폐대사
우사 신궁오이타현우사시주제신: 오진 천황, 진구 황후1871년 (메이지 4년)관폐대사
(부여 신궁)조선 충청남도부여군(미진좌)제신: 오진 천황, 진구 황후, 사이메이 천황, 덴지 천황1939년 (쇼와 14년)(창립 시)관폐대사
오미 신궁시가현오쓰시제신: 덴지 천황1940년 (쇼와 15년)(창건 시)관폐대사
시라미네 신궁교토부교토시가미교구제신: 스토쿠 천황, 주닌 천황1940년 (쇼와 15년)관폐대사
헤이안 신궁교토부 교토시 사쿄구제신: 간무 천황, 고메이 천황1895년 (메이지 28년)(창건 시)관폐대사
신히요시 신궁교토부 교토시 히가시야마구제신: 고시라카와 천황1959년 (쇼와 34년)부사
아카마 신궁야마구치현시모노세키시제신: 안토쿠 천황1940년 (쇼와 15년)관폐대사
미나세 신궁오사카부미시마군시마모토정제신: 고토바 천황, 쓰치미카도 천황, 준토쿠 천황1939년 (쇼와 14년)관폐대사
요시노 신궁나라현요시노군요시노정제신: 고다이고 천황1918년 (다이쇼 7년)관폐대사
홋카이도 신궁홋카이도삿포로시주오구부제신: 메이지 천황1964년 (쇼와 39년)관폐대사
메이지 신궁도쿄도시부야구제신: 메이지 천황1920년 (다이쇼 9년)(창건 시)관폐대사
기타
아쓰타 신궁아이치현나고야시아쓰타구고신체: 삼종신기 중 하나인 구사나기 검1868년 (메이지 원년)관폐대사
이소노카미 신궁나라현덴리시고신체: 후토노미타마1883년 (메이지 16년)관폐대사
히노쿠마 신궁와카야마현와카야마시고신체: 히노미카가미--관폐대사
구니카카스 신궁와카야마현와카야마시고신체: 히조노카가미--관폐대사
가시마 신궁이바라키현가시마시제신: 다케미카즈치노카미--관폐대사
가토리 신궁지바현가토리시제신: 후쓰누시--관폐대사


3. 1. 황실 조상신 배향

미에현 이세시에 위치한 이세 신궁아마테라스 오미카미를 내궁에, 도요우케 오미카미를 외궁에 모시고 있으며, 공식 명칭은 '징구'이다. 효고현 아와지시의 이잣나기 신궁은 이자나기노 미코토이자나미노 미코토를 제신으로 모시며, 1954년에 관폐대사로 승격되었다.

가고시마현 기리시마시에는 기리시마 신궁과 가고시마 신궁이 있다. 기리시마 신궁은 아메노니기시쿠니니기시 아마츠히코히코호노니니기노 미코토를 주제신으로, 가고시마 신궁은 아마츠히코히코호노호데미노 미코토를 주제신으로 모시며, 두 신궁 모두 1874년에 관폐대사로 지정되었다. 미야자키현 니치난시우도 신궁히코나기사타케우가야후키아에즈노 미코토를 제신으로 하며, 1874년에 관폐대사가 되었다.

후쿠오카현 다카와군 소에다마치의 히코산 신궁은 마사야아마야카츠하야히아마노오시호미미노 미코토를 제신으로 모시며, 1975년에 관폐중사로 지정되었다.

일제강점기에는 타이완 타이베이주 타이페이시(현재의 타이완 타이베이시)에 타이완 신궁이, 조선 경기 경성부(현재의 대한민국 서울특별시)에 조선 신궁이, 관동주 뤼순시(현재의 중화인민공화국 랴오닝성 다롄시 뤼순커우구)에 간토 신궁이 설치되어 아마테라스 오미카미를 모셨으나, 모두 폐사되었다.

3. 2. 천황 배향

가시하라 신궁진무 천황을, 미야자키 신궁도 진무 천황을 모시고 있다. 게히 신궁은 주아이 천황을, 우사 신궁오진 천황을, 오미 신궁은 덴지 천황을, 시라미네 신궁은 스토쿠 천황준닌 천황을, 헤이안 신궁간무 천황고메이 천황을, 아카마 신궁안토쿠 천황을, 미나세 신궁은 고토바 천황, 쓰치미카도 천황, 준토쿠 천황을, 요시노 신궁은 고다이고 천황을, 홋카이도 신궁메이지 천황을, 메이지 신궁도 메이지 천황을 배향하고 있다. 부여 신궁(미진좌)은 오진 천황, 진구 황후, 사이메이 천황, 덴지 천황을 모신다.

3. 3. 기타 신 배향

가시마 신궁(가시마 신궁/鹿島神宮일본어)은 다케미카즈치를, 가토리 신궁(가토리 신궁/香取神宮일본어)은 후쓰누시를 배향한다. 구니카카스 신궁( 구니카카스 신궁/國懸神宮일본어)과 히노쿠마 신궁( 히노쿠마 신궁/日前神宮일본어)은 히노미카가미와 히조노카가미를 각각 배향한다. 아쓰다 신궁( 아쓰다 신궁/熱田神宮일본어)은 천황의 3가지 보물(산슈노신기/三種の神器일본어) 중 구사나기 검( 구사나기노쓰루기/草薙剣일본어)을, 이소노카미 신궁( 이소노카미 신궁/石上神宮일본어)은 후토노미타마를 배향한다.

다음은 헤이안 시대의 ''니주니샤''(22사) 신사 중 일부이다. 메이지 유신 이후에 설립된 현대 신사는 아래 목록에서 "''''''"로 표시되어 있다.

3. 4. 폐쇄된 신궁

간토 신궁(간토 신궁/関東神宮일본어), 조선 신궁(조선 신궁/朝鮮神宮일본어), 타이완 신궁(타이완 신궁/台湾神宮일본어)은 폐쇄된 신궁이다. 조선신궁은 일제강점기에 건설되었던 신사이다. 관동신궁(폐지)은 뤼순 시에 있었다. 부여신궁/扶余神宮일본어은 미진좌 상태였다. 대만신궁은 타이완 타이베이 시에 있었던 신사이다.

참조

[1] 서적 日本書紀 null
[2] 서적 新編日本古典文学全集 2 日本書紀 (1) 小学館 2002
[3] 간행물 出雲大社 吉川弘文館
[4] 사전 신궁 국립국어원
[5] 웹사이트 神宮(じんぐう)
[6] 문서 아마테라스오미카미({{lang|ja|天照大神}}) 및 [[메이지 천황]]을 모셨었다. 조선 신궁은 1945년 폐쇄되고, 현재는 그 자리에 남산 공원, [[안중근]]의사 기념관, [[서울 타워]]등이 조성되어 있다. 1925-10-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