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신상철 (1924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상철은 1924년 충청남도 공주 출생으로, 일본 육군항공사관학교를 졸업하고 일본군 전투기 조종사로 복무했다. 해방 후 대한민국 국군 소위로 임관하여 제8연대장, 군기사령부 사령관 등을 역임했으며, 한국 전쟁 중 제6사단장, 제7사단장을 지냈다. 이후 공군으로 전과하여 공군본부 작전국장, 공군사관학교 교장 등을 거쳐 소장으로 진급했다. 5.16 군사정변 이후 국방부 정훈국장, 주 베트남 대사 등을 역임하고, 1970년 정보통신부 장관을 지냈다. 1978년 유신정우회 소속으로 국회의원에 당선되었으며, 자유민주연합 고문을 지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남베트남 주재 대한민국 대사 - 박동진 (1922년)
    박동진은 대구 출신으로 주오대학을 졸업하고 국무총리 비서, 대통령 비서를 거쳐 외무부 차관, 주베트남 대사, 주브라질 대사, 주제네바 대사, 유엔 대사, 외무부 장관, 민주정의당 소속 국회의원, 국토통일원 장관, 주미 대사, 한국전력공사 사장 등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외교관이자 정치인이다.
  • 남베트남 주재 대한민국 대사 - 김영관 (1925년)
    김영관은 1925년 강원도 김화군 출생으로, 해군 대장으로 예편 후 제주도지사, 해군참모총장, 주 베트남 대사 등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군인, 정치인, 외교관, 교육자이다.
  • 일제강점기의 조선인 출신 일본 육군 탑승원 - 김정렬 (1917년)
    김정렬은 일제강점기 군인이자 대한민국 군인, 정치인, 기업인으로, 일본군 조종사로 2차대전에 참전 후 대한민국 공군 창설을 주도하여 초대 공군참모총장, 국방부 장관, 민주공화당 당의장, 주미 한국 대사, 국회의원, 삼성물산 사장, 국무총리 등을 역임했으며, 2008년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에 포함되었다.
  • 일제강점기의 조선인 출신 일본 육군 탑승원 - 이철희 (1923년)
    이철희는 대한민국의 군인, 공무원, 기업인, 정치인으로 육군 소장 예편 후 HID 부대장, 중앙정보부 차장, 대화산업 회장을 역임하고 제10대 국회의원을 지냈으나, 장영자·이철희 금융사기 사건으로 구속되어 징역 15년을 선고받는 등 가석방 후에도 여러 차례 사기 사건으로 구속 및 수감되었다.
  • 대한민국의 체신부 장관 - 이우재 (1934년)
    이우재(1934년)는 육군 준장으로 예편 후 정치, 기업, 체육 분야에서 활동하며, 제11대 국회의원, 한국전기통신공사 초대 사장, 체신부 장관, 대한사격연맹 회장 등을 역임했다.
  • 대한민국의 체신부 장관 - 장기영 (1903년)
    장기영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이자 정치인으로, 제헌 국회의원, 외무부 차관보, 체신부 장관, 서울특별시장을 역임했으며, 이승만 측근으로 활동하다 결별 후 독립운동에 참여했고, 건국포장이 추서되었다.
신상철 (1924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씨명신상철
현지어 표기申尙澈
출생1924년 7월 9일
사망2005년 9월 18일
출생지일제강점기 충청남도 공주군
사망지서울특별시
본관평산 신씨
종교천주교 (세례명: 스테파노)
군사 경력
소속[[파일:War flag of the Imperial Japanese Army.svg|23px]] 일본 제국 육군
[[파일:Flag of the Army of the Republic of Korea.svg|23px]] 대한민국 육군
대한민국 공군
복무 기간1945년 ~ 1962년
최종 계급[[파일:帝國陸軍の階級―襟章―少尉.svg|28px]] 일본군 육군 소위
[[파일:소장.JPG|28px]] 대한민국 육군 소장
주요 참전 전투/전쟁태평양 전쟁, 한국 전쟁
기타 이력
기타 이력제10대 국회의원, 제23대 체신부장관
묘소국립대전현충원 장군 제1묘역 241호

2. 생애

일제 강점기 말 경성고등보통학교와 일본 육군항공사관학교를 졸업하고 일본군 장교로 복무했다.[7][2] 해방 후 미군정 하에서 군사영어학교를 거쳐 대한민국 국군에 참여, 대한민국 육군 헌병사령관과 사단장 등을 역임하며 여순 14연대 반란사건 처리 및 숙군[3], 한국 전쟁 참전 등의 경력을 쌓았다.[8] 이후 대한민국 공군으로 소속을 옮겨 공군사관학교 교장 등을 지냈다.

5·16 군사정변 이후 예편하고 외교관으로 전직하여 주 베트남 대사, 주 스페인 대사 등을 역임했으며, 박정희 정부에서 체신부 장관을 지내며 10월 유신 당시 비상국무회의에 참여했다. 이후 유신정우회 소속으로 제10대 국회의원을 지냈고, 말년에는 자유민주연합 고문을 역임했다.[3]

2. 1. 일제 강점기 및 해방 직후

1924년 7월 충청남도 공주시에서 태어났다.[3] 1943년 경성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하고[7] 육군항공사관학교에 진학하여 1945년 제58기로 졸업했다.[2] 정래혁, 안광수와 일본육사 동기이다.[7]

1945년 7월 1일 일본군 육군 항공대 소위로 임관하여[2] 소련의 침공에 대비하기 위해 전투기 조종사로 남만주에서 복무하던 중[3] 태평양 전쟁 종전(8.15 광복)을 맞이했다.[7]

미군정 하에서 1946년 2월 28일 군사영어학교를 졸업하고 대한민국 육군 소위로 임관(군번 10058번)하였다. 이후 대한민국 국군 창설 과정에 참여하여 제2연대 창설에 기여했다.

1947년 1월에는 제5연대 대대장을 맡았고, 같은 해 2월 1일에는 제5연대 부연대장, 3월 15일에는 수도경비사령부 참모장을 역임했다.

2. 2. 대한민국 국군 복무

미군정 하에서 창설된 대한민국 국군에 참여하였다. 1946년 2월 28일자로 군사영어학교를 졸업하고 대한민국 육군 소위로 임관(군번 10058번)하여 제2연대 창설에 참여했다.

1947년 1월 제5연대 대대장, 2월 1일 제5연대 부연대장을 지냈고, 3월 15일에는 수도경비사령부 참모장이 되었다. 1948년 6월 18일 중령 계급으로 제8연대장에 임명되었으며, 같은 해 8월 8일에는 제3여단 참모장, 11월 3일에는 제15연대장을 역임했다. 11월 25일, 군기사령부(헌병) 사령관에 임명되었다[4]. 헌병사령관 재직 중 여수·순천 사건이 발생하자 사건 처리를 담당했으며, 이후 남조선로동당 계열의 장교를 숙청하는 숙군 작업에도 참여했다[3].

1949년 10월 육군본부 정보국장을 거쳐, 1950년 1월 15일 제6사단장에 임명되었다. 한국 전쟁 발발 직후인 6월 10일 육군본부 인사국장으로 자리를 옮겼다가, 8월 21일 제7사단장으로 다시 전선에 복귀했다. 1950년 10월, 당시 육군 준장 계급으로 백선엽제1사단과 함께 평양 점령 작전에 참여하여 시가 행진을 벌였다[3][8]. 그러나 이후 중국 인민지원군의 공세로 제7사단이 포위되어 전멸 위기에 처하자, 지휘 책임을 다하지 못하고 도주했다는 혐의로 군사재판에 회부되어 사형을 선고받았다[5].

1951년 대한민국 공군으로 소속을 옮겨 공군본부 작전국장(대령)이 되었으나[5], 장지량에 따르면 공군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여 작전 지휘에 어려움을 겪었다고 한다[5]. 같은 해 미국 공군대학을 졸업했다. 1953년에는 제1훈련비행단 참모장을 거쳐 같은 해 12월 공군사관학교 교장을 역임했다. 1959년 공군본부 참모차장을 지냈고, 1960년 국방대학원을 졸업한 뒤 같은 해 10월 소장으로 진급했다.

'''주요 경력'''

연도주요 보직 및 활동계급
1946군사영어학교 졸업 및 임관 (군번 10058번), 제2연대 창설 참여소위
1947제5연대 대대장, 제5연대 부연대장, 수도경비사령부 참모장
1948제8연대장, 제3여단 참모장, 제15연대장, 헌병사령관중령
1948여수·순천 사건 처리 담당, 숙군 작업 참여중령
1949육군본부 정보국장
1950제6사단장, 육군본부 인사국장, 제7사단장준장
1950한국 전쟁 중 평양 점령 작전 참여준장
1950제7사단 포위 후 도주 혐의로 군사재판 회부, 사형 선고준장
1951대한민국 공군 전과, 공군본부 작전국장, 미국 공군대학 졸업대령
1953제1훈련비행단 참모장, 공군사관학교 교장대령
1959공군본부 참모차장
1960국방대학원 졸업, 소장 진급소장


2. 3. 5.16 군사정변 이후

1961년 5·16 군사정변 직후 국방부 정훈국장을 맡았다.[3] 1962년에는 군사정전위원회 대표를 역임했다. 같은 해 12월, 육군 소장으로 예비역에 편입되었고, 이후 외교관으로 전직하여 베트남 주재 특명전권대사(주 베트남 대사)로 임명되었다.

박정희 정부가 1965년 베트남 전쟁 파병을 결정했을 당시 주 베트남 대사로서 파병 관련 실무를 담당했다. 베트남에서 8년 이상 대사로 근무한 후, 1970년 12월에는 체신부 장관에 임명되었다. 1972년 10월 유신 선포 당시에는 비상국무회의 구성원으로 참여했다.

1973년 12월 장관직에서 물러난 뒤, 1974년 스페인 주재 대사(주 스페인 대사)로 임명되었다. 이후 정계에 입문하여 1978년 제1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유신정우회 소속 전국구 국회의원으로 선출되었다. 정계 은퇴 후에는 1995년 자유민주연합에 입당하여 고문을 맡기도 했다.[3]

2. 4. 정치 활동

5·16 군사 정변 직후인 1961년에는 국방부 정훈국장을 지냈고[3], 1962년에는 군사 정전 위원 대표를 맡았다. 같은 해 12월, 육군 소장으로 예편한 뒤 외교관으로 활동을 시작하여 주 베트남 대사로 임명되었다. 박정희 정부가 1965년 월남 파병을 추진할 당시 주월대사로서 관련 업무를 수행했다.

베트남에서 8년 이상 대사로 근무한 후, 1970년 체신부 장관에 임명되었다. 1972년 10월 유신 선포 당시에는 비상국무회의의 일원으로 참여하여 유신 체제 성립에 기여했으며[3], 같은 해 12월에는 정보통신부 장관으로 자리를 옮겼다. 1973년 장관직에서 물러난 뒤 1974년스페인 대사로 임명되어 다시 외교관으로 활동했다.

1978년에는 유신정우회 소속으로 제10대 국회의원(전국구)에 선출되어 정계에 진출했다. 이후 1995년 김종필이 창당한 자유민주연합에 입당하여 당 고문을 지냈다[3].

3. 평가

(내용 없음)

4. 상훈

5. 역대 선거 결과

wikitext

연도선거 종류대수직책선거구소속 정당득표수 및 득표율결과비고
1978총선10대국회의원통일주체국민회의유신정우회지명당선초선


참조

[1] 웹사이트 대한민국헌정회 https://www.rokps.or[...] 2022-03-13
[2] 웹사이트 第145号 昭和20年7月1日 陸軍異動通報 https://www.jacar.ar[...]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2019-03-29
[3] 웹사이트 신상철(申尙澈) https://encykorea.ak[...] 2023-08-15
[4] 웹사이트 헌병소개 > 역대지휘관 (憲兵紹介 >歴代指揮官) http://www.mp.mil.kr[...] 大韓民国陸軍憲兵 2016-02-23
[5] 뉴스 "<292>제3話 빨간 마후라 -42-사천 비행장으로 옮기다" http://kookbang.dema[...] 2005-05-25
[6] 웹사이트 Shin Sang Chul http://valor.militar[...] Military Times 2016-01-04
[7] 서적 내가 겪은 해방과 분단 선인 2001-06-01
[8] 서적 내 무덤에 침을 뱉어라 3 조선일보사 1998-10-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