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실업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실업팀은 기업이나 공공기관이 소속 직원들의 여가 활동 및 사기 진작, 기업 홍보 등을 목적으로 운영하는 스포츠 팀을 의미한다. 근대 스포츠의 발전과 함께 등장하여, 특히 20세기 전반 일본을 비롯한 여러 국가에서 활발하게 운영되었다. 실업팀은 선수들에게 안정적인 환경을 제공하고 비인기 종목의 발전에 기여했지만, 기업의 경영 상황에 따라 운영이 불안정해지고, 선수들의 권익 보호가 미흡하다는 한계도 지닌다. 올림픽의 상업화와 프로 스포츠의 성장과 함께 실업팀은 프로화 또는 클럽화의 과정을 겪었으며, 현재는 다양한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포츠 용어 - 무관중 경기
    무관중 경기는 질서 유지, 선수 보호, 징계, 안전 확보, 감염병 확산 방지 등의 목적으로 관중 없이 치르는 스포츠 경기를 의미하며, 특히 2020년 코로나19 범유행 이후 전 세계적으로 시행되었고, 선수 경기력에 영향과 구단 수입 감소를 야기하지만 공공 안전을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 되기도 한다.
  • 스포츠 용어 - 퇴장
    퇴장은 스포츠 경기에서 심각한 반칙 등으로 인해 선수나 코칭 스태프가 경기에서 제외되는 징계이며, 종목별로 레드카드, 옐로카드 등으로 이루어지고, 출전 정지 등의 추가 징계가 부과될 수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실업팀

2. 역사

실업팀은 민간 기업에서 조직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국가, 지방 자치 단체 등에서 조직되기도 한다. 특히 비주류 스포츠의 경우, 학교 교원이나 공익 재단 법인, 제3섹터 등이 선수의 수용처가 되기도 한다. 회사 단위가 아닌 공장이나 영업소를 단위로 팀을 꾸리는 경우도 있다.

실업팀은 기업 내부 조직이며, 보통 기업명 뒤에 종목명을 붙여 팀 이름을 짓는다. (예: "에스비 식품 육상부") 줄여서 부를 때는 기업명만 사용한다. 공장 단위 실업팀은 기업명, 공장명, 종목명을 함께 쓴다. 헤이세이 시대 이후에는 가로쓰기 팀 애칭을 사용하기도 한다.

실업팀은 여가 및 건강 증진 목적부터 일본 최고 수준의 팀까지 다양하게 존재한다. 전국 각지에서 실업팀 선수권 및 리그가 열리며, 많은 관객을 동원하는 경우도 있다.

최고 수준의 선수도 기업의 종업원으로 고용되지만, 대우는 팀마다 다르다. 업무가 거의 면제되고 스포츠 활동에만 전념하는 선수도 있고, 일반 종업원처럼 일하며 잔업 시간이나 휴일에 연습하는 선수도 있다. 선수는 아마추어 신분으로, 급여 외 스포츠 활동에 대한 보수는 받지 않는 것이 원칙이지만, 실제로는 수당이 지급되기도 한다.[52]

헤이세이 시대 이후에는 정규직 외 선수(촉탁 사원, 계약 선수 등)가 실업팀에 참가하는 경우도 늘었다. 이에 따라 "사원 선수", "계약 선수"라는 용어가 생겨났다.

방적 여공의 오락으로 발달한 여자 배구는 섬유 기업, 한랭지 노동자의 오락으로 발달한 아이스하키는 제지 기업 실업팀이 많은 것처럼, 스포츠 종류에 따라 실업팀 모체 기업의 업종에 경향이 나타나기도 한다.

2. 1. 세계의 실업팀 역사

근대 스포츠, 특히 팀 스포츠는 노동자들의 여가 활동에서 비롯된 경우가 많았다. 초기에는 노동자들이 소속된 공장이나 회사를 중심으로 실업팀이 만들어지는 것이 일반적이었다.[53] 영국의 축구에서는 런던 울리치 육군 조병창의 실업팀이 강팀으로 성장했다. 이후 유럽에서는 팀을 운영하는 회사가 선수를 고용하고, 유니폼 광고나 팀명 네이밍 라이츠, 스포츠 용품 현물 지급 등을 통해 자금을 조달하는 방식이 주를 이루게 되었다. 스폰서는 선수 고용 유지를 고려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단기 계약이나 빠른 철수가 가능했고, 운영 회사는 여러 스폰서와 계약할 수 있게 되었다. 자전거 로드 레이스에서는 시즌 중 메인 스폰서와 함께 팀명이 바뀌는 경우도 흔하다. 한편, "아스널 FC"처럼 실업팀에서 기원한 축구팀은 "아스널"(조병창)이라는 명칭을 유지하는 경우가 많다.

미국에서는 19세기 말부터 직업별 실업팀 야구(industrial league baseball)가 존재했다. 특히 20세기 전반에는 융성하여 일본의 사회인 야구처럼 프로 선수를 배출하기도 했다.

일본에서는 1911년 닛코 정동소(고가 전기 공업 닛코 사업소의 전신)에서 닛코 정동소 아이스하키부가 창설되었다. 쇼와 초기, 기업은 사원들의 오락과 복리후생을 위해 실업팀을 조직했다. (이는 대한민국, 대만 등 구 대일본 제국령 지역에도 실업팀 중심의 스포츠 문화를 가져왔다.) 다이쇼 9년에는 일본 최초의 실업팀 선수권인 전국 실업팀 야구 대회가 개최되었다.

전후 경제 부흥과 함께 실업팀은 스포츠 전반을 이끌었다. 정부의 스포츠 시설 정비가 미비한 가운데, 기업은 스포츠 시설 정비비를 복리후생 시설로 법인세 공제받을 수 있었고, 선수들은 기업의 실업팀에 모였다. 기업은 실업팀 스포츠 진흥이 기업 선전과 인재 육성에 유용하다고 판단하여 자금을 투입했다. 육상 경기에서도 초기에는 가나쿠리 시조처럼 겸업 선수가 드물지 않았지만, 연습 환경이 좋은 실업팀에 인재가 몰렸다.

기업이 실업팀을 소유하는 목적은 다음과 같다.[54]

  • 종업원의 사기 고양
  • 종업원의 인재 육성
  • 기업의 선전


스포츠 시설을 소유한 기업이 지역 주민에게 시설을 개방하거나 대회를 주최하여 지역 사회에 공헌(기업 메세나)하는 측면도 있지만, 무토 야스아키는 1990년대 후반 이후 실업팀 존속이 위태로워지면서 나타난 주장이라고 지적한다.[55]

자전거 경기는 모터스포츠의 워크스 팀처럼 실업팀 레이스를 위한 차량 제작이 일반 제품 개발 기술에 활용되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스포츠 선수들은 선수 활동만으로 충분한 수입을 얻기 어렵고, 은퇴 후에도 지도자나 해설가 등의 직업을 얻기 힘들다는 불안감을 안고 있었다. 종신 고용 관념이 강했던 전후부터 1990년대 중반까지 종업원으로 고용되는 것은 회사가 평생을 책임진다는 의미였고, 선수들은 수입 걱정 없이 선수 활동에 전념할 수 있었다. 또한, 20세기까지 이어져 온 일본 특유의 멸사봉공을 기반으로 하는 조직 최우선주의는 실업팀 내부의 단결을 강화하고 사기를 높였다.

고도 성장기에 실업팀 선수들은 올림픽 등 국제 스포츠 무대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그러나 기업으로부터 충분한 보수를 받는 실업팀 선수는 진정한 아마추어가 아니라는 시각도 있었고, 공산주의 국가의 "스테이트 아마"에 빗대 "코퍼레이트 아마"라고 불리기도 했다.

1989년 이후 실업팀은 잇따라 사라졌고, 1991년부터 2000년까지 10년 동안 149개 팀이 폐부되었으며, 야구가 그 절반을 차지했다.[60] 특히 2000년에 신일본제철(신일철)이 모든 실업팀을 폐부한 것은 큰 충격을 주었다. 여자 배구에서는 다이에(1998년), 유니치카(2000년), 히타치(2001년), 이토요카도(2001년) 등 쇼와 시대 여자 배구를 대표하던 팀들이 잇따라 폐부되었다. 아이스하키에서는 고가 전공(1999년), 유키지루시(2001년), 세이부 철도(2003년)가 폐부되면서 일본 리그 존속이 위태로워졌고, 결국 아시아 리그로 발전적 해소되었다.

실업팀 쇠퇴의 주요 원인은 기업이 스포츠팀을 소유하는 유효성이 낮아졌기 때문이다. 통신 기술 발달로 해외 스포츠 시청이 쉬워지면서 국내 실업팀 스포츠에 대한 관심이 줄었고, 광고 효과도 떨어졌다. 거품 붕괴와 헤이세이 시대 이후 일본 기업의 축소 경향은 기업을 경영 자원 선택과 집중으로 이끌었고, 실업팀은 정리 대상이 되었다.[61] 듀프로 경식 야구부는 많은 프로 선수를 배출했지만, 불황 속에서 야구부 활동을 지속하는 것에 대한 일반 사원의 이해를 얻지 못해 해산되었다.

아마추어 스포츠에서 프로화, 클럽팀화가 진행되는 흐름은 1980년대 이후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 위원장 후안 안토니오 사마란치가 추진한 "올림픽의 상업화"에 따른 프로 선수 출전 허용이 배경이었다. 경기 인구가 많은 스포츠는 프로 리그로 전환했지만, 기존 실업팀 리그에서 형태를 바꾸는 데는 과제가 많았다. 농구는 프로 리그 구상이 좌절되고 프로 리그(bj 리그)와 실업팀 리그(JBL)가 분열되어, 2014년 이후 일본 농구 협회가 국제 농구 연맹으로부터 자격 정지를 받았다. 배구에서는 1994년에 완전 프로화를 목표로 한 프로 리그 구상이 있었지만, 실업팀 모체 기업의 찬성을 얻지 못해 동결되었다. 1994년 시작된 V 리그는 프로팀 가입을 허용했지만, 신규 클럽팀은 폐부된 실업팀 선수와 스태프를 수용하는 경우가 많았고, 경영이 불안정해 활동을 중단한 팀도 많았다. 이후에도 프로화를 모색했지만 실업팀 측의 반발로 2018년부터 시작된 V.LEAGUE는 프로화를 목표로 하는 팀도 수용하는 방식으로 시작되었다. 그러나 첫해에는 남자는 절반, 여자는 대다수가 실업팀이었다. 클럽팀도 도쿄 베르디 배구팀처럼 선수가 생계를 위한 직업을 가진 겸업 선수인 팀이 많다.

2. 1. 1. 아시아

네팔 경찰 클럽, 타이 파머스 뱅크 FC, 크룽 타이 뱅크 FC, 비엣텔 FC (구 더 콩, 베트남 인민군의 축구팀), 유나이티드 시티 FC 등이 아시아의 실업팀으로 존재한다.[57]

일본에서는 실업팀이 팀에 장기간 소속되는 것을 전제로 강한 단결력과 선수 강화력을 보여주었다. 1964년 도쿄 올림픽 배구에서는 당시 일본 최고의 실업팀이었던 니치보 카이즈카가 사실상 그대로 일본 대표팀이 되어 금메달을 획득하기도 했다.[57] 그러나 시대가 흐르면서 전 시대적인 체질과 주의가 뿌리 깊게 남아있는 실업팀에는 다양한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으며, 학교의 운동부와 함께 일본 스포츠의 악의 근원 등으로 비판받기도 한다. 국사관 대학 대학원 비상근 강사이자 스포츠 라이터인 타마키 마사유키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제기하고 있다.[57]

  • 기업의 실적에 따라 팀이 소멸된다.
  • 선수 지도의 연계가 희박해져 스포츠계 전체의 레벨업으로 이어지지 않는다.
  • 국내 실업팀 리그에서 우승만 하면 된다고 생각하여 해외 수준과 격차가 벌어진다.
  • 스포츠맨의 직업 선택의 자유를 좁힌다.


육상이나 무도 등의 개인 경기에서는 팀에 소속되지 않고 개인적으로 활동하는 것도 가능하며, 대부분의 공식 대회에서도 개인 선수의 참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그러나 일본에서는 본격적으로 경기에 임하는 아마추어 선수는 실업팀 소속이 상식화되어 있으며, 다른 직업을 가진 겸업 선수나 독립적인 전업 선수는 특이한 존재로 여겨졌다.[57] 육상 경기에서 고등학교 교사인 사이타니 요시아키나 현청 직원인 가와우치 유키는 "시민 러너", 남자 마라톤계의 톱 선수로 실업팀에서 독립하여 활동하는 후지와라 아라타는 "무직 러너"로 평가받았다[58](본인은 '프로 러너'의 직함을 사용).

펜싱에서는 실업팀이 주류이지만, 유력 선수나 감독이 클럽팀을 설립하는 경우도 있다. 베이징 올림픽에서 은메달을 획득한 오타 유키는 대학 졸업 후에도 취업하지 않고 자신만이 소속된 클럽팀을 설립하여 연습에 전념했기 때문에, 언론에서는 "니트 검사"라고 불렸다(이후 실업팀으로 이적).[59]

검도에서는 많은 대회가 도장이나 실업팀 단위를 상정하여 5인조 단체전 형식을 취하고 있지만, 무소속 개인도 참가 가능한 "오픈 대회"도 있다. 수련을 목적으로 하는 연성회도 오픈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57]

일본 이외의 국가에서는 팀에 소속되지 않고 상금이 걸린 대회를 전전하는 개인의 전업 선수도 있으며, 개인 스폰서가 붙는 선수도 존재한다. 이러한 해외 마라톤 선수가 상금을 노리고 일본 대회에 참가하는 경우도 있다.[57]

2. 1. 2. 유럽

과거 유럽의 실업팀으로 시작하여 이후 유명 프로 구단이 된 팀으로는 PSV 에인트호번(필립스), FC 소쇼(푸조), 바이어 레버쿠젠(바이엘), VfL 볼프스부르크(폭스바겐), FC 카를 차이스 예나(카를 차이스) 등이 있다. 이들 중 대부분은 스포츠 클럽을 설립한 회사가 소유한 실업팀으로 남아있다. 21세기 초에는 레드불 GmbH가 설립, 후원 및 소유한 RB 라이프치히FC 레드불 잘츠부르크가 유럽 실업팀의 주목할 만한 예가 되었다. 레드불 GmbH는 스포츠 팀을 제품 마케팅 전략의 일부로 활용한다.

2. 1. 3. 아메리카

베들레헴 스틸 FC는 US 오픈컵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으며, 펜실베이니아주 베들레헴 스틸의 공장 팀이었다. 뉴욕 레드불스는 미국에서 잘 알려진 기업 팀이다.

2. 1. 4. 아프리카

아프리카의 과거 및 현재 실업팀으로는 이집트의 아랍 콘트랙터스 SC(스포츠 클럽)와 AS 폴리스 (베냉) 등이 있다. 호르시드 FC는 소말리아 호르시드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소말리아 리그에서 7회 우승을 차지한 바 있는 육군 팀 출신이다. 소말리아 축구 리그에서 활동했던 다른 실업팀으로는 바나디르 텔레콤, 항만청, 소말리아 경찰 등이 있다.

과거 포르투갈령 모잠비크에 설립된 다수의 실업팀들은 현재 그 포르투갈어 사용 아프리카 국가에서 주요 팀으로 활동하고 있다(1975년 독립). 그루포 데스포르티부 다 콤파니아 텍스틸 도 푼구에와 텍스타프리카 도 치모이오는 두 개의 섬유 회사의 팀이었던 실업팀의 예시이다. 또한, 철도 네트워크의 두 주요 팀인 클루비 페호비아리우 드 마푸투와 클루비 페호비아리우 다 베이라도 명성을 얻었다.

2. 2. 한국의 실업팀 역사

한국에서 실업팀은 근대 스포츠 도입 초기부터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일제강점기에는 기업의 사원 복지 및 오락을 목적으로 실업팀이 조직되었으며, 이는 대한민국 스포츠 문화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54] 해방 이후 경제 발전과 함께 실업팀은 스포츠계를 이끄는 주역이 되었다. 기업들은 스포츠 시설 정비에 투자하고 선수들의 훈련 환경을 지원하면서, 실업팀은 우수한 선수들을 배출하는 중심지가 되었다.[54]

1964년 도쿄 올림픽에서는 여자 배구 대표팀이 실업팀 '니치보 카이즈카' 선수들로 구성되어 금메달을 획득하는 등, 실업팀은 국제 대회에서도 좋은 성과를 거두었다.[57]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실업팀 중심의 스포츠 운영 방식에 대한 문제점도 제기되었다. 기업 실적에 따른 팀 해체, 스포츠계 전체의 발전 저해, 선수들의 직업 선택 제한 등이 문제로 지적되었다.[57]

1990년대 이후, 일본 프로 축구 리그(J리그)의 '지역 밀착' 정책 성공은 한국 스포츠계에도 영향을 주었다. 기업명을 팀명에서 제외하고 지역 사회와의 협력을 강조하는 클럽팀 형태로의 전환이 이루어졌다.

하지만, 여전히 많은 실업팀들이 존재하며, 특히 축구에서는 K리그 구단들이 기업 소유 구조를 유지하면서도 다양한 방식으로 변화를 모색하고 있다.

3. 종목별 실업팀 현황

실업팀은 민간 기업뿐만 아니라 국가, 지방 자치 단체 및 각종 단체에서도 조직한다. 특히 기업 실업팀이 없는 비주류 스포츠의 경우, 학교 교원이나 "스포츠 재단"과 같은 공익 재단 법인 또는 제3섹터가 선수들을 지원하여 실업팀을 조직하기도 한다. 실업팀은 사람이 모이는 곳에서 조직되므로, 회사 단위가 아닌 공장이나 영업소를 단위로 팀이 구성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니치보 카이즈카"는 다이닛폰 방적 카이즈카 공장을 기반으로 한 실업팀이다.

실업팀의 명칭은 일반적으로 기업명 뒤에 종목명을 붙이는 방식이다. (예: "에스비 식품 육상부", "유키지루시 유업 스키부"). 약칭으로는 "에스비", "유키지루시"와 같이 기업명만 사용한다. 공장 단위 실업팀의 경우 기업명, 공장명, 종목명을 함께 표기한다. (예: "도시바 후추 럭비부", "전전공사 구마모토 축구부"). 하지만 헤이세이 시대 이후에는 이러한 명명 방식이 진부하다는 이유로 가로쓰기 팀 애칭을 사용하는 경우도 많다. 예를 들어, "오지 제지 아이스하키부"는 "오지 이글스"로, "파나소닉 아메리칸 풋볼부"는 "파나소닉 임펄스"로 불린다.

실업팀은 여가 및 건강 증진 목적부터 일본 최고 수준의 팀까지 다양한 선수층을 지원한다. 지역 및 전국 레벨에서 다양한 실업팀 선수권 대회와 리그가 열리며, 많은 관객을 동원하기도 한다. 최고 수준의 실업팀 리그로는 SV리그, 재팬 럭비 리그 원, 일본 핸드볼 리그, X리그, 일본 탁구 리그, 하키 일본 리그 등이 있다. 과거에는 일본 축구 리그, 일본 아이스하키 리그, 농구 일본 리그와 같은 실업팀 리그도 존재했다. 사회인 야구는 프로 선수 배출의 통로 역할을 한다.

최고 수준의 선수들도 기업의 종업원으로 고용되지만, 그 대우는 실업팀에 따라 다르다. 스포츠 활동에만 전념할 수 있도록 업무가 면제되는 경우도 있고, 일반 종업원과 동일하게 근무하며 잔업 시간이나 휴일에 연습하는 경우도 있다. 선수들은 아마추어 신분으로 급여 외 스포츠 활동에 대한 보수를 받지 않는 것이 원칙이지만, 실제로는 실력과 성적에 따라 "스포츠 수당" 등이 지급되기도 한다.[52]

헤이세이 시대 이후에는 정규직 종업원 외 선수들이 실업팀에 참가하는 경우가 늘었다. 촉탁 사원이나 계약 선수 형태로 고용되거나, 스포츠 선수로서의 계약만 맺는 경우도 있다. 이에 따라 기존 실업팀 선수와 프로 계약 선수를 구분하기 위해 "사원 선수", "계약 선수"라는 용어가 사용되기도 한다.

스포츠 종목에 따라 실업팀의 모체 기업 업종에 일정한 경향이 나타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방적 여공들의 오락으로 발전한 여자 배구는 섬유 기업 실업팀이 많고, 추운 지역 노동자들의 오락으로 발전한 아이스하키는 제지 기업 실업팀이 많다. 유도, 검도, 레슬링은 직무상 체술을 필요로 하는 경비 회사 실업팀이나 경찰관 선수가 많다. 자전거 경기는 경기와 관련된 제조업체 실업팀이 많고, 사격 경기바이애슬론 등 실총을 사용하는 경기는 대부분 자위관과 경찰관이다.

3. 1. 축구

대한민국에서 실업 축구팀은 과거 실업축구 리그를 통해 운영되었으며, 이는 K리그의 전신이 되었다. K리그 초창기에는 기업이 구단을 직접 운영하는 방식이 주를 이루었으나, 점차 일본 프로 축구 리그(J리그)처럼 "지역 밀착"을 강조하며 클럽명에서 기업명을 제외하는 방식으로 변화하였다.

하지만 K리그 외에도 여전히 실업팀 형태로 운영되는 축구팀들이 존재한다. 특히 미디어 노출이 적은 KFA 주관 하위리그나 지역 리그에는 기업의 후원을 받는 실업팀들이 다수 존재한다. 예를 들어 중국 리그 소속의 미쓰비시 자동차 미즈시마 FC는 유니폼 스폰서를 받고 있으며, 노지마 스텔라 가나가와 사가미하라는 창단부터 나데시코 리그에 소속될 때까지 실업팀 형태로 운영되었다.

다른 나라의 경우, 일본의 X-리그는 미식축구 실업팀 리그의 예시이며, IBM 빅 블루나 후지쯔 프론티어스 등이 대표적이다.[14] 아프리카에도 아랍 콘트랙터스 SC나 AS 폴리스 (베냉) 등 여러 실업팀들이 존재한다. 유럽에서는 PSV 에인트호번(필립스), FC 소쇼 (푸조), 바이어 레버쿠젠 (바이엘) 등 과거 실업팀으로 시작하여 현재는 프로 구단으로 성장한 사례들이 있다.

3. 2. 야구

한국에서 실업 야구는 프로 야구(KBO 리그)가 출범하기 전까지 한국 야구의 주류를 이루었다. 초창기 야구는 대부분 아마추어 선수들로 구성되었으며, 많은 팀들이 공장이나 철도 기지와 같은 사업체에서 일하는 선수들로 구성되었다. 스포츠의 위상이 높아지면서 프로 팀들이 지배하기 시작했고, 공장 팀들은 쇠퇴했다.[38]

KBO 리그 출범 이후 실업 야구는 아마추어 야구의 일부로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실업 야구 팀들은 전국체육대회나 전국 규모의 실업 야구 대회에 참가하며, 프로 야구 선수가 되기 위한 발판 역할을 하기도 한다.

3. 3. 농구

한국에서 실업 농구는 프로 농구(KBL) 출범 이전까지 한국 농구의 주류를 이루었다. 실업 농구 팀들은 기업의 지원을 받으며 운영되었고, 농구대잔치와 같은 대회를 통해 팬들에게 많은 인기를 얻었다.

KBL 출범 이후에도 실업 농구 팀들은 존재하며, 프로 리그에 참여하지 않는 선수들에게 활동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프로 농구에 비해 관심과 지원이 부족한 상황이며, 선수 수급 및 운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3. 4. 기타 종목

일본에서는 배구, 핸드볼, 럭비, 탁구, 아이스하키 등 다양한 종목에서 실업팀이 운영되고 있다.

일본의 럭비 톱 리그에는 산토리 썬골리아스, 토요타 베르블리츠, IBM 빅 블루와 같은 기업팀들이 존재한다.[43] 삼성도 한국 리그에 럭비팀을 운영하고 있다. 영국의 럭비 유니온 역시 실업팀 전통을 가지고 있으며, 웨일스의 타타 스틸 럭비팀은 2부 리그에서 활동 중이다. 영국 육군도 여전히 럭비 클럽을 운영하며, 2000년대에는 미들섹스 세븐스에서 우승하기도 했다.

도호쿠 프리 블레이즈는 운영 회사에서 지역 기업에 선수를 정사원이나 계약 사원으로 파견하여, 시합이나 연습이 없는 날에는 근무하면서 팀 활동을 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요코하마 GRITS는 선수들이 프로 계약과 함께 지역 기업에서 근무하는 "듀얼 커리어"를 추구한다.

프레스티지 인터내셔널은 지역 공헌을 위해 지방에 농구, 배구, 핸드볼 여자 실업팀을 창설했다.

일본의 펜싱은 실업팀 선수나 공무원 등의 겸업 선수가 많으며[63], NEXUS는 2009년에 펜싱 실업팀을 창설했다.[64]

3. 5. 긍정적 측면

실업팀은 선수들에게 안정적인 고용 환경과 훈련 시설을 제공한다. 선수들은 기업의 정규직 사원으로 고용되어 일반 사원과 마찬가지로 급여를 받고 은퇴 후에도 회사에 남아 일할 수 있다.[51] 이는 선수들이 운동에 전념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며, 특히 비인기 종목 선수들에게는 더욱 중요하다.

또한 실업팀은 비인기 종목 스포츠를 지원하는 역할을 한다. 기업 실업팀이 없는 비주류 스포츠의 경우, 학교 교원이나 공익 재단 법인, 제3섹터 등이 선수들의 활동 기반을 마련해준다.[51]

실업팀은 스포츠 저변 확대에도 기여한다. 여가 및 건강 증진 목적부터 일본 최고 수준의 팀까지, 폭넓은 스포츠 경기자층을 지원하며, 지역 및 전국 레벨에서 다양한 실업팀 선수권 대회와 리그가 개최되어 많은 관객을 동원한다. 최고 수준의 실업팀 리그로는 SV리그, 재팬 럭비 리그 원, 일본 핸드볼 리그, X리그, 일본 탁구 리그, 하키 일본 리그 등이 있다.

3. 6. 한계

실업팀은 기업의 경영 상황에 따라 팀 운영이 불안정해질 수 있고,[51] 기업의 홍보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프로 스포츠에 비해 선수들의 권익 보호가 미흡할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52]

3. 7. 프로화

쇼와 시대에는 기업이 실업팀을 소유하고 팀 이름에 회사 이름을 붙이는 것이 홍보 효과가 있었지만, 시대가 바뀌면서 이러한 방식은 더 이상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게 되었다. 특히 1990년대 이후 축구에서 "지역 밀착"을 내세워 클럽 이름에서 기업 이름을 뺀 일본 프로 축구 리그(J리그)의 비즈니스 모델이 성공하면서, 축구 외 다른 스포츠에서도 실업팀이 지역 사회와 협력하는 클럽팀으로 전환하는 흐름이 나타났다. 신일본제철은 실업팀을 폐지하면서 클럽팀으로 전환하도록 지원했고(신일본제철 사카이 배구부 → 사카이 블레이저스), 계속해서 스폰서로서 지원을 이어갔다.

한편, 기존 형태를 유지하면서 다른 기업의 후원을 받는 실업팀도 등장했다. 최고 등급 리그가 프로 리그인 축구에서도, 미디어 노출이 적은 JFL 이하 리그에는 이러한 실업팀이 많이 존재한다. 유니폼 스폰서를 받는 지역 리그·중국 리그 소속의 미쓰비시 자동차 미즈시마 FC나 나데시코 리그 소속이었던 노지마 스텔라 가나가와 사가미하라가 대표적인 예이다. JFL 소속의 소니 센다이 FC·FC 마루야스 오카자키·혼다 록 SC처럼 '법인 서포터'라는 이름으로 다른 기업의 후원을 받는 실업팀도 있다. 축구 외에는 럭비 톱 리그 소속의 무나카타 사니쿠스 블루스가 있으며, 요시노야, JVC 켄우드, 미셸 에르블랑 등 유명 기업이 유니폼 스폰서로 참여하고 있다.

오타 유키나 가와우치 유키처럼, 회사가 반드시 자사 실업팀에 소속되도록 강제하지 않고 다른 클럽팀에서 활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경우도 있다. 고용 자체가 안정적인 수입을 제공하는 스폰서 지원의 일환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표시등 주식회사는 창업자가 하키 경험자여서 남자 하키부를 운영했으나, 2006년에 운영 주체를 특정 비영리 활동 법인으로 하는 클럽팀으로 전환했다. 선수들은 다른 지역 기업에 고용되는 형태이며, 2019년부터 표시등 주식회사가 메인 스폰서가 되었다.

도호쿠 프리 블레이즈는 운영 회사에서 지역 기업에 선수를 정사원이나 계약 사원으로 파견하여, 경기나 연습이 없는 날에는 그곳에서 근무하며 팀 활동을 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요코하마 GRITS는 선수들이 운영 회사와 프로 계약을 맺고 지역 기업에서 근무하는 "듀얼 커리어"를 내세우고 있다.

일본에서는 로드 레이스 팀이 실업팀 중심이었지만, 우츠노미야 블리첸, 빅트와르 히로시마, 키난 사이클링 팀처럼 팀 운영 회사에 스폰서가 출자하는, 해외에서 주류를 이루는 방식도 등장하고 있다. 한편, 아이산 공업 레이싱 팀이나 팀 브리지스톤 사이클링과 같은 실업팀도 여전히 활동하고 있다.

아크 커뮤니케이션즈는 신흥 IT 기업이지만, 2011년에 결성한 스키부 선수들은 오전에 연습, 오후에 근무하며, 은퇴 후에는 정사원으로 계속 고용되는 전통적인 실업팀 형태를 유지하고 있다.

프레스티지 인터내셔널은 지역 공헌을 위해 지방에 농구, 배구, 핸드볼 여자 실업팀을 창설했다.

메르카리는 장애인 운동 선수들이 연습하기 쉬운 근무 형태로 고용하는 "운동 선수 계약"을 맺고 있다[62]

딸기는 스포츠 지원으로 역도부를, CSR 활동으로 사격부와 육상부를 창설했다.

일본 펜싱은 실업팀 선수나 공무원 등 겸업 선수가 많고[63], 클럽팀을 만들어 스폰서십으로 자금을 조달하는 전업 선수는 미야케 료와 같은 메달리스트라도 경제적으로 어려운 상황이다[64]。최근에는 2009년 4월에 NEXUS가 실업팀을 창설했는데, 이는 회사 대표 호시노 사토시가 펜싱 경험자이며, 홍보보다는 펜싱 발전을 위한 목적이었다.

홍보 효과를 노린 예로는 2016년 코토부키야가 대학 역전 선수를 고용하여 육상부를 새로 만들었지만, 회사 측에서는 '홍보 러너'로 명확히 하여 자사 제품 홍보 유니폼을 입고 대회에 참가시키는 등 광고탑으로서의 활동을 강조했다[65]。2021년에는 더 높은 수준을 원하는 선수가 코모디 이이다 역전부로 이적했다.

코모디 이이다 육상부는 1973년에 육상 경기 경험자들이 만든 동호회였지만, 한때 활동을 축소했다가 2009년에 실업팀으로 등록했다.

한편, 장거리 달리기처럼 헤이세이 시대 이후 실업팀과 실업팀 대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스포츠도 있다. 이 경기는 일본 국내 대회를 활성화하는 데는 성공했지만, 역전 경주라는 갈라파고스화된 경기 형태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지면서, 쇼와 시대에 일본이 강했던 마라톤은 국제 대회에서 약세를 보이게 되었다. 코모디 이이다 육상부는 역전을 중심으로 하는 선수들이 소속된 "역전부"와 그 외 경기 및 선수들로 구성된 "애슬리트 클럽"으로 나뉘어 있다.

3. 8. 클럽화

실업팀이 독립적인 클럽 형태로 전환되는 것은 1990년대 이후 일본 프로 축구 리그(J리그)의 영향이 컸다. J리그는 "지역 밀착"을 강조하며 클럽명에서 기업명을 없애는 방식을 채택했고, 이는 다른 스포츠에도 영향을 주었다. 신일본제철의 실업팀 폐지 당시, 회사는 클럽팀으로의 전환을 유도하고 스폰서로서 지원을 계속했다.(신일본제철 사카이 배구부 → 사카이 블레이저스)[62]

이러한 변화에는 장단점이 존재한다. 기업명을 사용하는 실업팀은 기업의 선전 효과를 얻을 수 있었지만, 시대가 변하면서 이러한 방식은 더 이상 효과를 발휘하기 어려워졌다. 특히 축구에서는 JFL 이하의 카테고리에서 미디어 노출이 적은 실업팀이 여전히 존재하며, 미쓰비시 자동차 미즈시마 FC나 노지마 스텔라 가나가와 사가미하라처럼 유니폼 스폰서를 받는 경우도 있다. 소니 센다이 FC, FC 마루야스 오카자키, 혼다 록 SC와 같이 '법인 서포터'라는 명목으로 다른 기업의 지원을 받는 실업팀도 있다.[62]

클럽화는 선수들에게도 영향을 미쳤다. 오타 유키나 가와우치 유키처럼, 회사가 반드시 자사 실업팀 소속을 강제하지 않고 다른 클럽에서 활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사례도 나타났다. 고용 자체가 안정적인 수입을 제공하는 스폰서 지원의 일환으로 간주되기도 한다. 표시등 주식회사는 2006년 남자 하키부를 클럽팀으로 전환하고, 소속 선수들은 다른 지역 기업에 고용되는 형태를 취했다. 2019년부터는 표시등 주식회사가 메인 스폰서가 되었다.[62]

도호쿠 프리 블레이즈는 운영 회사에서 지역 기업에 선수를 파견하여 근무와 팀 활동을 병행하는 방식을, 요코하마 GRITS는 선수와 프로 계약을 맺고 지역 기업에서 근무하는 "듀얼 커리어"를 추구한다. 로드 레이스 팀에서도 우츠노미야 블리첸, 빅트와르 히로시마, 키난 사이클링 팀처럼 운영 회사에 스폰서가 출자하는 방식이 등장하고 있다.[62]

아크 커뮤니케이션즈는 스키부 선수들에게 오전 연습, 오후 근무, 은퇴 후 정사원 고용을 제공하는 구형 실업팀 형태를 유지하고 있다. 프레스티지 인터내셔널은 지역 공헌을 위해 여자 실업팀(농구, 배구, 핸드볼)을 창설했다. 메르카리는 장애인 운동 선수들을 위한 "운동 선수 계약"을 맺고 있다.[62]

딸기는 스포츠 지원으로 역도부를, CSR로 사격부와 육상부를 창설했다. 일본 펜싱은 실업팀이나 공무원 선수 등 겸업 선수가 많고, 클럽팀을 만들어 스폰서십으로 자금을 조달하는 전업 선수는 경제적으로 어려운 상황이다.[63][64] NEXUS는 2009년 펜싱 실업팀을 창설했는데, 이는 회사 대표의 펜싱 경험과 진흥 목적에 따른 것이다.[62]

코토부키야는 2016년 육상부를 창설하여 선수들을 '선전 러너'로 활용, 자사 제품 광고탑으로 활동하게 했으나,[65] 2021년 더 높은 수준을 원하는 선수가 코모디 이이다 역전부로 이적했다. 코모디 이이다 육상부는 1973년 애호회로 시작하여 2009년 실업팀으로 등록되었으며, 역전 중심의 "역전부"와 그 외 경기의 "애슬리트 클럽"으로 나뉜다.[62]

장거리 달리기는 실업팀과 대회 지향이 강화된 스포츠로, 국내 대회 활성화에는 성공했지만 역전 경주라는 갈라파고스화된 경기 형태에 의존하면서 마라톤은 국제 대회에서 쇠퇴했다.[62]

4. 공공기관 스포츠 팀

자위대경찰의 스포츠팀은 뜻있는 사람들이 클럽 활동으로 활동하고 있기 때문에 급여는 발생하지 않아 민간 기업의 실업팀과는 구별된다. 자금 제공은 없지만 무도장 사용이나 경기 시 외출 허가 등의 배려가 있다. 방위대학교나 해상보안대학교에 재적하는 학생은 공무원이지만, 클럽 활동은 대체로 대학의 대회에 참가하고 있다.[1]

4. 1. 대한민국 국군체육부대

징병제가 있는 대한민국에서는 스포츠 선수를 경기 전문 대원으로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국군체육부대가 그 예이다. 군대에서는 재능 있는 대원을 경기에 전념시키고, 외부의 경기 대회에 출전시켜 선전 담당으로 하는 제도가 널리 퍼져 있다. 선발된 대원은 결과가 좋지 못한 경우에도 통상적인 임무를 수행하는 일반 부대로 이동하며 해고는 되지 않는다.[1]

4. 2. 경찰청 스포츠단

경찰은 재능 있는 대원을 경기에 전념시키고, 외부 경기 대회에 출전시켜 선전 담당으로 하는 제도를 널리 퍼뜨리고 있다. 이들은 민간 실업팀과 마찬가지로 사회인 리그에 참가한다. 선발된 대원은 결과가 좋지 않더라도 통상적인 임무를 수행하는 일반 부대로 이동하며 해고되지 않는다. 징병제가 있는 국가에서는 스포츠 선수를 경기 전문 대원으로 선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국의 국군체육부대가 이러한 사례에 해당한다.

4. 3. 기타 공공기관 팀

동구권·공산주의 국가에서는 전용 시설 건설과 선수 육성을 국가 사업으로 추진했다. 선수들은 신분이 보장되어 훈련에 전념할 수 있었고, 서방 측에서는 이들을 "스테이트 아마"라고 불렀다. 또한 군이나 정부 부서를 단위로 스포츠 팀이 만들어졌다. 특히 소련군 육군 "CSKA"(체스카), 공군의 "VVC"는 각 스포츠에서 강호로 유명했다. 소련 국가보안위원회의 "디나모", 소련 철도부의 "로코모티프"도 강호였다.

군대에서는 재능 있는 대원을 경기에 전념시키고, 외부 경기 대회에 출전시켜 선전 담당으로 하는 제도가 널리 퍼져 있다. 선발된 대원은 결과가 좋지 않아도 일반 부대로 이동할 뿐 해고는 되지 않는다. 징병제가 있는 국가에서는 스포츠 선수를 경기 전문 대원으로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로 일본의 자위대 체육학교, 한국의 대한민국국군체육부대가 있다.[1]

참조

[1] 웹사이트 A history of work teams: The famous clubs with roots in industry https://thesetpieces[...] 2023-08-29
[2] 웹사이트 42 Football Teams With Sponsor Names - Update With 15 New Teams & Sponsors Industry https://www.footyhea[...] 2023-08-29
[3] 웹사이트 Where Aston fits in the great F1 'works team' debate https://the-race.com[...] 2023-08-29
[4] 웹사이트 The 8 Biggest Brand Sponsors in Sports https://www.sporting[...] 2024-03-06
[5] 웹사이트 What Football Teams Are Named After a Sponsor? {{!}} Football Betting Sites https://www.football[...] 2024-03-06
[6] 웹사이트 Why are there soccer teams with company names? https://latinamerica[...] 2024-03-06
[7] 웹사이트 Red Bull soccer teams around the world https://www.insidesp[...] 2024-03-06
[8] 웹사이트 The issues with multi-club ownership: City Football Group, Red Bull, more https://www.espn.co.[...] 2024-03-06
[9] 뉴스 Who owns your Premier League club? https://www.bbc.com/[...] 2024-03-06
[10] 웹사이트 RB Leipzig and Red Bull Salzburg to compete in Champions League after UEFA ruling https://www.skysport[...] 2024-04-16
[11] 웹사이트 In Europe, you don't play high school or college sports. Some think U.S. should follow suit. https://www.postandc[...] 2024-04-15
[12] 웹사이트 Do European colleges have sports? https://beyondthesta[...] 2024-04-15
[13] 뉴스 The history of works teams: from Atlético Madrid to British Airways FC https://www.theguard[...] 2023-11-15
[14] 뉴스 State players find pro football opportunities in a new frontier: Japan https://www.detroitn[...] 2020-04-08
[15] 웹사이트 Kazuyoshi Miura extends Portuguese second-division stint at 56 https://www.japantim[...] 2024-01-24
[16] 웹사이트 How Red Bull Reinvented Soccer https://www.gq.com/s[...] 2024-01-24
[17] 웹사이트 From Cliff Diving To Formula One and Football: How Red Bull Built A World-Class Sporting Empire https://www.forbes.c[...] 2024-01-24
[18] 웹사이트 Europe's richest person is about to buy a soccer club with Paris FC deal https://www.business[...] 2024-10-13
[19] 웹사이트 Factories, Mines, Cars, and German football https://medium.com/h[...] 2016-06-08
[20] 문서 V.R. Distillery Cricket Club http://blue.srv2.com[...]
[21] 뉴스 Parmalat Prepares to Sell Soccer Team https://www.nytimes.[...] 2003-12-30
[22] 웹사이트 Billionaire family that controls Ferrari denies 'groundless' rumors that Italian soccer giants Juventus are up for sale https://fortune.com/[...] 2023-09-16
[23] 웹사이트 Executive Team https://www.feralpig[...] 2024-04-14
[24] 웹사이트 A complete histor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SV and Philips https://ryanferguson[...] 2024-10-28
[25] 웹사이트 GD Fabril: "Um clube operário que deixou de ser fortemente operário, após o 25 de abril. Tornou-se meio burguês, a coberto de ser popular" https://24.sapo.pt/d[...] 2023-09-07
[26] 웹사이트 "Quando demos por ela, estávamos na primeira divisão" https://www.publico.[...] 2023-09-06
[27] 웹사이트 Florgrade. A lei da rolha é outra num futebol que vê a floresta além das árvores https://www.bancada.[...] 2024-03-06
[28] 웹사이트 Florgrade FC: quando o futebol nasce da cortiça https://www.record.p[...] 2024-03-06
[29] 웹사이트 Florgrade FC :: Portugal :: Perfil da Equipa :: zerozero.pt https://www.zerozero[...] 2024-03-06
[30] 웹사이트 Nadie es profeta en su tierra: W. A. Mackay {{pipe}} Huelva Buenas Noticias, Periódico digital de Huelva y provincia centrado en informaciones positivas http://huelvabuenasn[...] Huelvabuenasnoticias.com 2015-01-30
[31] 뉴스 Osnivanje kluba – FKZ http://fkzeljeznicar[...] fkzeljeznicar.ba 2015-08-14
[32] 문서 Otkud ime "Plavi golubovi" i BLUE MARINES http://www.gradsubot[...]
[33] 문서 ИСТОРИЈА http://www.fkrabotni[...]
[34] 웹사이트 80 letnica društva http://www.navdih.ne[...] Železničarsko Športno Društvo 2012-12-27
[35] 문서 Milorad Sijić: "Football in the Kingdom of Yugoslavia" http://www.ofkbeogra[...]
[36] 웹사이트 Historie http://www.fcfastavz[...] 2016-03-04
[37] 서적 Fudbal u Kraljevini Jugoslaviji
[38] 웹사이트 1860s: Dawn of Professional Baseball Teams Era https://historicbase[...] 2024-11-13
[39] 웹사이트 Softbank's baseball team in Japan replaced fans with robots in the stands as the season starts without crowds https://www.business[...] 2023-08-29
[40] 웹사이트 Primeiro título da Portugal Telecom https://www.record.p[...] 2024-04-06
[41] 웹사이트 O «adeus» da Portugal Telecom numa final com história garantida https://maisfutebol.[...] 2024-04-06
[42] 웹사이트 PT acaba com equipas profissionais de basquetebol https://www.publico.[...] 2024-04-06
[43] 웹사이트 list of cycling team sponsors, old and new https://bikeraceinfo[...] 2023-09-20
[44] 웹사이트 All-time Team Ranking https://www.cyclingr[...]
[45] 웹사이트 Where are Formula 1 teams based? Mercedes, Ferrari, Red Bull and more https://www.autospor[...] 2023-08-29
[46] 웹사이트 Mille Miglia Archives https://ferriscars.c[...] 2023-08-29
[47] 웹사이트 Horner Shares Secrets To Red Bull's Success https://www.forbes.c[...] 2024-01-24
[48] 웹사이트 Cassidy ends Formula E season by clinching team championship for Envision https://www.independ[...] 2023-08-29
[49] 웹사이트 London E-Prix: Envision defeats Jaguar to claim Formula E teams' title https://www.autocari[...] 2023-08-29
[50] 웹사이트 Formula E launches Manufacturers' Trophy in Season 10 https://www.fiaformu[...] 2024-04-16
[51] 간행물 企業スポーツの現状と展望 笹川スポーツ財団 2016
[52] 서적 現代スポーツ産業論 同友館
[53] 문서 ヨーロッパにおけるサッカークラブで企業の実業団が母体となった事例には、アーセナルFCの他にも、[[バイエル・レバークーゼン]]([[サッカー・ブンデスリーガ (ドイツ)|ドイツ]]、[[バイエル (企業)|バイエル]]のチームとして設立)、[[FCソショー]]([[リーグ・アン|フランス]]、[[プジョー]]の企業チームが母体)、PSVアイントホーフェン([[エールディヴィジ|オランダ]]、[[フィリップス]]のスポーツクラブの一つ)などの例がある。
[54] 서적 スポーツ集団と選手づくりの社会学 同和書院
[55] 간행물 企業スポーツの現状と展望
[56] 서적 スポーツ解体新書 日本放送出版協会
[57] 문서 厳密には、東京オリンピックの女子バレーボール日本代表チームにはニチボー貝塚からの10名の他、他社の実業団のメンバーが2名加わっている。なお、[[1962年バレーボール世界選手権|1962年の世界選手権]]の日本代表はニチボー貝塚からの10名以外はその後ニチボー貝塚に入社することになる高校生2名だった。詳細は[[東洋の魔女]]の項を参照。
[58] 웹사이트 「無職ランナー」藤原新でわかった実業団の弊害(1)拠点は1泊3食6000円 https://www.asagei.c[...] アサヒ芸能 2012-05-28
[59] 뉴스 フェンシング銀の太田 1日8時間練習でニートなのか https://www.j-cast.c[...] J-CASTニュース
[60] 뉴스 毎日新聞 2000-12-07
[61] 논문 企業スポーツにおける運営論理の変化に関する史的考察:日本的経営・アマチュアリズム・マスメディアの発達を分析視座として 2010
[62] 웹사이트 mercari ATHLETES(メルカリアスリーツ) https://athletes.mer[...]
[63] 웹사이트 https://twitter.com/[...]
[64] 뉴스 フェンシング三宅諒がアルバイト決意 五輪メダリストが配達員になる https://www.sponichi[...] スポニチ
[65] 웹사이트 実業団チーム【コトブキヤ陸上部】を設立 https://www.kotobuki[...] 2021-12-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