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순경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심순경은 조선 중기의 무신으로, 세조 때 영의정을 지낸 심회의 손자이며, 연산군 시대에 선전관을 거쳐 내승을 지냈다. 1506년 박원종, 성희안, 유순정 등과 함께 중종반정에 참여하여 연산군을 폐위시키고 중종을 옹립하는 데 기여했다. 정국공신 2등에 책록되었으며, 청성군에 봉해졌다. 이후 충청도 수군절도사, 함경도 길주목사, 전라도·경상도 병마절도사, 한성부 좌윤 등을 역임하고 명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오기도 했다. 사후 병조판서에 추증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462년 출생 - 정현왕후
정현왕후는 조선 성종의 계비로서 중종의 어머니이며, 1462년에 태어나 1480년 왕비가 되었고, 연산군 즉위 후에는 왕대비, 중종반정 이후에는 자순화혜왕대비로 불리다가 1530년에 사망하여 선정릉에 안장되었다. - 1462년 출생 - 후아나 라 벨트라네하
후아나 라 벨트라네하는 카스티야 왕위 계승 분쟁의 중심인물로, 엔리케 4세의 딸로 인정받았으나 사생아 의혹 속에 이사벨 1세와 왕위를 다투다 왕위 계승권을 잃고 자신을 여왕으로 여기며 수도원에서 여생을 보냈다. - 1542년 사망 - 캐서린 하워드
헨리 8세의 다섯 번째 왕비 캐서린 하워드는 자유분방한 성격과 과거 행실, 간통 혐의로 런던탑에서 참수당한 잉글랜드 귀족 여성으로, 그녀의 삶은 권력 다툼과 여성의 불안정한 지위를 보여주는 비극적인 사례이며 초상화에 대한 논쟁이 있다. - 1542년 사망 - 라푸라푸
라푸라푸는 1521년 막탄 전투에서 페르디난드 마젤란을 물리치고 스페인 제국주의에 저항한 막탄 섬의 추장으로, 필리핀의 영웅으로 추앙받으며 그의 이름을 딴 라푸라푸 시와 기념비가 세워졌다. - 정국공신 - 윤여필
윤여필은 중종반정 공신이자 장경왕후의 아버지로서 국구의 지위에 올라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했으나, 탄핵과 비판에 직면하여 몰락 후 복권된 인물로, 그의 가계는 조선시대 유력 가문으로서 왕실과 밀접한 관계를 맺었다. - 정국공신 - 김개 (조선 중기의 문신)
김개는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연산군 시절 언관으로 활동하다 중종반정에 참여하여 정국 안정에 기여했으며 사후 수산사에 제향되었다.
심순경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심순경 |
한자 표기 | 沈順徑 |
작위 | 청성군 |
작위 (한자) | 靑城君 |
출생일 | 1462년 |
출생지 | 조선 |
사망일 | 1542년 |
사망지 | 조선 |
국적 | 조선 |
종교 | 유교(성리학) |
배우자 | 정부인 고령 신씨 |
2. 가계
세조 때 영의정을 지낸 청송부원군(靑松府院君) 심회의 손자이자, 내자시 판관 심원의 아들이다. 한성부 우윤 청천군(靑川君) 심한에게 입양되었으며, 연산군에 의해 참수된 심순문의 형이다.
심순경은 1492년(성종 23년) 무과에 급제하여 관직 생활을 시작했다. 연산군 때 선전관과 내승을 지냈으며, 1506년 중종반정에 가담하여 정국공신 2등에 책록되고 청성군에 봉해졌다. 이후 충청도 수군절도사[1], 1512년 함경도 길주목사, 전라도 절도사, 1514년 경상도 병마절도사[2], 1520년 지변사(知邊事)[3], 1521년 한성부 좌윤 겸 성절사(聖節使)[4], 1525년 경연특진관 겸 포도대장[5], 1526년 정조사(正朝使)로 명나라 북경에 다녀오는 등 여러 관직을 거쳤다. 1527년 한성부 좌윤[6], 1528년 한성부 좌윤 겸 포도대장[7][8], 1534년 원유사 제조(苑囿司提調)[9]를 역임하였고, 사후에는 병조판서에 추증되었다.
3. 생애
3. 1. 초기 생애 및 관직
1492년(성종 23년) 무과에 급제하여, 연산군 때 선전관을 거쳐 내승(內乘)을 지냈다. 1506년 박원종, 성희안, 유순정 등과 함께 중종반정에 가담하여, 연산군을 폐위시키고 진성대군을 호위하여 중종으로 옹립시켰다. 그리고 연산군을 잡아 강화의 교동도로 압송하였다. 이 공으로 정국공신 2등에 책록되고, 경상우도 절도사를 거쳐, 1508년(중종 3년) 청성군(靑城君)에 봉해졌다.
그 뒤, 충청도 수군절도사[1]를 거쳐, 1512년 함경도 길주목사, 전라도 절도사, 1514년 경상도 병마절도사[2], 1520년 지변사(知邊事)[3], 1521년 한성부 좌윤 겸 성절사(聖節使)[4], 1525년 경연특진관 겸 포도대장[5], 1526년 정조사(正朝使)로 명나라 북경에 다녀온 후, 1527년 한성부 좌윤[6], 1528년 한성부 좌윤 겸 포도대장[7][8], 1534년 원유사 제조(苑囿司提調)[9]가 되었다.
사후 병조판서에 추증되었다.
3. 2. 중종반정 참여 및 공신 책록
1506년 박원종, 성희안, 유순정 등과 함께 중종반정에 가담하여 연산군을 폐위시키고 진성대군을 호위하여 중종으로 옹립시켰다. 그리고 연산군을 잡아 강화의 교동도로 압송하였다.
이 공으로 정국공신 2등에 책록되고, 경상우도 절도사를 거쳐, 1508년(중종 3년) 청성군(靑城君)에 봉해졌다.
3. 3. 관직 역임
1492년(성종 23년) 무과에 급제하여 연산군 때 선전관, 내승(內乘)을 역임하였다. 1506년 박원종, 성희안, 유순정 등과 함께 중종반정에 가담하여 정국공신 2등에 책록되었고, 경상우도 절도사를 거쳐 1508년(중종 3년) 청성군(靑城君)에 봉해졌다.
이후 충청도 수군절도사[1], 1512년 함경도 길주목사, 전라도 절도사, 1514년 경상도 병마절도사[2], 1520년 지변사(知邊事)[3], 1521년 한성부 좌윤 겸 성절사(聖節使)[4], 1525년 경연특진관 겸 포도대장[5]을 역임하였다. 1526년 정조사(正朝使)로 명나라 북경에 다녀왔으며, 1527년 한성부 좌윤[6], 1528년 한성부 좌윤 겸 포도대장[7][8], 1534년 원유사 제조(苑囿司提調)[9]를 역임하였다. 사후 병조판서에 추증되었다.
3. 4. 사후
사후에 병조판서로 추증되었다.
4. 가족 관계
구 분 | 내용 |
---|---|
증조부 | 심온 - 세종의 국구, 청천부원군, 안효공, 영의정 |
조 부 | 심회 - 익대공신, 좌리공신, 청송부원군, 공숙공, 영의정 |
양 부 | 심한 - 좌리공신, 청천군, 이경공, 한성부 우윤 |
양 모 | 정부인 성주 이씨 - 참판 이사순(李師純)의 딸, 영의정 성산부원군 문경공 이직의 손녀 |
친 부 | 심원 - 내자시 판관, 증 좌찬성 |
친 모 | 증 정경부인 전주 이씨 |
친 형 | 심순도 - 돈녕부 도정 |
친동생 | 심순문 - 사헌부 장령, 증 영의정 |
부 인 | 정부인 고령 신씨 |
아 들 | 심희원 - 금산군수, 증 이조참의 |
아 들 | 심흥원 - 진사 |
아 들 | 심인원 - 좌랑 |
아 들 | 심장원 |
딸 | 양천 허씨 제양군 동지중추부사 허순에게 출가 |
딸 | 평양 조씨 현감 조욱에게 출가 |
딸 | 연안 김씨 참봉 김달사에게 출가 |
참조
[1]
간행물
중종실록 18년 6월 26일 5번째 기사
1523-06-26
[2]
간행물
중종실록 9년 7월 8일 3번째 기사
1514-07-08
[3]
간행물
중종실록 15년 11월 21일 1번째 기사
1520-11-21
[4]
간행물
중종실록 16년 8월 10일 1번째 기사
1521-08-10
[5]
간행물
중종실록 20년 12월 14일 3번째 기사
1525-12-14
[6]
간행물
중종실록 22년 5월 6일 5번째 기사
1527-05-06
[7]
간행물
중종실록 23년 7월 3일 5번째 기사
1528-07-03
[8]
간행물
중종실록 23년 7월 3일 7번째 기사
1528-07-03
[9]
간행물
중종실록 29년 10월 10일 1번째 기사
1534-10-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