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정 (1418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심정은 1418년(세종 즉위년) 의흥삼군부 중군 동지총제를 지낸 인물이다. 형 심온이 명나라에 사은사로 가 있는 동안 강상인의 옥사에 연루되어 의금부에서 심문을 받고 좌의정 박은 등의 무고로 심온이 귀국하기도 전에 처형되었다. 심정은 내금위 절제사였기에 강상인과 시위의 허술함을 논했을 뿐, 군사가 두 곳으로 갈라져 있다는 말은 하지 않았다고 주장했으나 형벌을 받고 복죄했다. 심정은 심덕부의 아들이자 심온의 동생이며, 소헌왕후, 심회, 심결의 숙부이며, 성종의 후궁 숙용 심씨의 할아버지이다.
1407년(태종 7년) 대호군, 1409년 상호군, 1414년 의흥삼군부 첨지총제, 1417년 의흥삼군부 좌군 동지총제를 거쳐,[1] 1418년(세종 즉위년) 의흥삼군부 중군 동지총제에 이르렀다. 그러나, 형 영의정 심온이 사은사(謝恩使)의 수장(사은주문사)으로, 명나라에 가 있는 동안, 〈강상인의 옥〉에 연루되어, 의금부에서 심한 심문을 받고, 좌의정 박은 등의 무고로 인해, 심온이 귀국하기도 전에, 대질심문도 못 받고 처형당한다.[2]
심덕부의 막내 아들로, 의흥삼군부 도총제 심인봉, 영의정 심온, 태조 이성계의 부마 청원군 심종의 동생이다. 소헌왕후, 영의정 심회, 영중추부사 심결의 숙부이며, 성종의 후궁 숙용 심씨의 할아버지이다. 고려의 마지막 왕 공양왕의 형인 정양부원군(定陽府院君) 왕우(王瑀)의 사위이다.
2. 생애
의금부에서 강상인을 신문하니, 강상인은 심정이 "내금(內禁) 안에 시위(侍衛)하는 사람의 결원이 많아서 시위가 허술한데, 어째서 시기에 미쳐 보충하지 않느냐"고 자신에게 말했으며, 자신이 "군사가 만약 한 곳에 모인다면 허술하지는 않을 것이다"라고 답하자, 심정은 "만약 한 곳에 모인다면 어찌 많고 적은 것을 의논할 것이 있으랴"라고 말했다고 진술하였다. 또한 강상인은 이조참판 이관의 집에서 이관에게 "양전(兩殿)에 진퇴(進退)하므로 인하여 여가가 없기 때문이다"라고 말했고, 이관은 "두 곳에 사진(仕進)하니 어떠한가. 대개 모든 처사는 한 곳에서 나와야만 마땅한 것이다"라고 답했다고 진술했다. 강상인은 조흡에게 "군사(軍事)는 마땅히 우리 상위(上位)에서 나와야 될 것이다"라는 말을 들었다고도 진술하였다.
의금부는 이관과 심정, 조흡을 잡아 대질 심문하였는데, 심정은 자신이 내금위의 절제사였기 때문에 강상인과 시위의 허술함을 의논했을 뿐, '군사가 두 곳으로 갈라져 있다'는 말은 하지 않았다고 변명하였으나, 형벌을 받고 나서야 복죄하였다. 강상인은 심온에게 "군사를 나누어 소속시키는데 갑사(甲士)는 수효가 적으니, 마땅히 3천 명으로 해야 되겠다"고 건의했고, 심온이 옳다고 답했으며, 후에 다시 심온의 집에서 "군사(軍事)는 마땅히 한 곳으로 돌아가야 된다"고 말하자, 심온이 동의했다고 진술했다.
상왕(태종)은 박은, 조말생, 이명덕, 원숙에게 강상인과 이관은 죄가 무거워 죽이는 것이 마땅하나, 심정과 박습은 강상인에 비하면 죄가 가볍다고 언급하며, 심온이 돌아오면 대질시키는 것에 대한 의견을 물었다. 박은은 심온의 죄가 명백하므로 대질할 필요가 없으며, 반역을 함께 모의한 자는 차등을 두지 않는 법이라고 주장했다. 결국 의금부의 요청에 따라 강상인은 형률대로 시행하고, 박습과 이관, 심정은 모두 참형에 처해졌다.
2. 1. 강상인의 옥사
1418년(세종 즉위년) 의흥삼군부 중군 동지총제에 이르렀으나, 형 영의정 심온이 사은사(謝恩使)의 수장(사은주문사)으로 명나라에 가 있는 동안, 〈강상인의 옥〉에 연루되었다.[1][2] 의금부에서 심한 심문을 받고, 좌의정 박은 등의 무고로 인해, 심온이 귀국하기도 전에, 대질심문도 못 받고 처형당한다.[2]
의금부에서 강상인을 신문하니, 강상인은 심정이 "내금(內禁) 안에 시위(侍衛)하는 사람의 결원이 많아서 시위가 허술한데, 어째서 시기에 미쳐 보충하지 않느냐"고 자신에게 말했으며, 자신이 "군사가 만약 한 곳에 모인다면 허술하지는 않을 것이다"라고 답하자, 심정은 "만약 한 곳에 모인다면 어찌 많고 적은 것을 의논할 것이 있으랴"라고 말했다고 진술하였다.[1] 또한 강상인은 이조참판 이관의 집에서 이관에게 "양전(兩殿)에 진퇴(進退)하므로 인하여 여가가 없기 때문이다"라고 말했고, 이관은 "두 곳에 사진(仕進)하니 어떠한가. 대개 모든 처사는 한 곳에서 나와야만 마땅한 것이다"라고 답했다고 진술했다.[1] 강상인은 조흡에게 "군사(軍事)는 마땅히 우리 상위(上位)에서 나와야 될 것이다"라는 말을 들었다고도 진술하였다.[1]
의금부는 이관과 심정, 조흡을 잡아 대질 심문하였는데, 심정은 자신이 내금위의 절제사였기 때문에 강상인과 시위의 허술함을 의논했을 뿐, '군사가 두 곳으로 갈라져 있다'는 말은 하지 않았다고 변명하였으나, 형벌을 받고 나서야 복죄하였다.[1] 강상인은 심온에게 "군사를 나누어 소속시키는데 갑사(甲士)는 수효가 적으니, 마땅히 3천 명으로 해야 되겠다"고 건의했고, 심온이 옳다고 답했으며, 후에 다시 심온의 집에서 "군사(軍事)는 마땅히 한 곳으로 돌아가야 된다"고 말하자, 심온이 동의했다고 진술했다.[1]
상왕(태종)은 박은, 조말생, 이명덕, 원숙에게 강상인과 이관은 죄가 무거워 죽이는 것이 마땅하나, 심정과 박습은 강상인에 비하면 죄가 가볍다고 언급하며, 심온이 돌아오면 대질시키는 것에 대한 의견을 물었다.[1] 박은은 심온의 죄가 명백하므로 대질할 필요가 없으며, 반역을 함께 모의한 자는 차등을 두지 않는 법이라고 주장했다.[1] 결국 의금부의 요청에 따라 강상인은 형률대로 시행하고, 박습과 이관, 심정은 모두 참형에 처해졌다.[1]
3. 가계 및 가족 관계
4. 기타
4. 1. 등장 작품
2011년 SBS에서 방영한 드라마 뿌리깊은 나무에서 배우 김승욱이 심정 역을 맡았다.참조
[1]
서적
태종실록
[2]
서적
세종실록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