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덕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심덕부는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으로, 고려 우왕 때 명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왔으며, 왜구 토벌과 위화도 회군에 참여했다. 고려 공양왕 때 문하시중을 지냈으며, 조선 개국 후 개국공신 1등에 책록되었다. 1394년에는 신도궁궐조성도감의 판사를 맡아 한양의 성곽과 경복궁, 종묘 등을 완성하는 데 기여했다. 그의 묘역은 연천군 향토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401년 사망 - 마리아 (시칠리아)
마리아 (시칠리아)는 1377년 시칠리아 여왕이 되었으나, 어린 나이와 귀족들의 권력 다툼으로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하지 못했고, 1390년 마르티노 1세와 결혼 후 1392년부터 공동 통치했으나 1401년 후계자 없이 사망하여 시칠리아는 아라곤 왕가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 1401년 사망 - 조반 (여말선초)
조반은 고려 말과 조선 초의 문신으로, 원나라에서 몽고어를 배우고 명나라에 사신으로 활동했으며, 조선 개국에 참여하여 2등공신이 되었고, 1401년에 사망하여 시호는 숙위이다. - 고려의 상원수 - 지윤
지윤은 고려 말 무녀 출신 어머니를 두었음에도 공민왕의 총애를 받아 판숭경부사에 이르렀으나, 권신 이인임의 심복으로 활동하며 친명파를 탄압하고 권력을 남용했다는 비판과 함께 북원과 심왕의 위협에 맞서기도 했으며, 이인임 제거 실패 후 처형, 조선 개국 후 왕실 외척이 되었지만 반역자로 기록되었다. - 고려의 상원수 - 나세
나세는 원나라에서 귀화하여 고려 말 홍건적과 왜구 토벌에 기여하고, 진포 해전에서 왜선을 격파하는 등 활약하다가 조선 시대에 왜적을 막다 사망한 무관이다. - 1328년 출생 - 이색
이색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자 학자로, 성리학을 공부하고 많은 제자를 양성하여 성리학 발전에 기여했으며, 격변기 속에서 관료 생활을 이어가면서 고려 시대 문학의 대가로 평가받고 《목은고》 등의 저서를 남겼다. - 1328년 출생 - 고무라카미 천황
고무라카미 천황은 일본 남북조 시대 남조의 97대 천황으로, 쇼헤이 일통 시기 북조를 통합하기도 했으나 남조의 쇠퇴를 막지 못하고 스미요시에서 사망했으며, 예술적 재능이 뛰어났다.
심덕부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청성백 심덕부 |
원어명 | 靑城伯 沈德符 |
출생일 | 1328년 |
사망일 | 1401년 (74세) |
국가 | 고려 |
국가2 | 고려 |
국가3 | 조선 |
종교 | 유교(성리학) |
가족 관계 | |
아버지 | 심용(沈龍) |
어머니 | 김씨 부인(金氏 夫人) |
배우자 | 초배 변한국대부인 청주 송씨 계배 인천 문씨 |
자녀 | 심인봉(아들) 심의귀(아들) 심계년(아들)심계년의 아명(兒名)은 심도생. 심징(아들) 심온(아들) 심종(아들) 심정(아들) |
친인척 | 송유충(장인) 문필대(장인) 심원부(동생) 태조 이성계(사돈) 왕우(사돈) 안천보(사돈) 신아(사돈) 김남일(사돈) 동양군부인 신씨(며느리) 경선공주(며느리) 심호(손자) 심구(손자) 심연(손자) 심기(손자) 심석준(손자) 심준(손자) 심회(손자) 심결(손자) 소헌왕후(손녀) 세종(손녀사위) 강석덕(손녀사위) 노물재(손녀사위) 유자해(손녀사위) 이숭지(손녀사위) 박거소(손녀사위) 우경지(손녀사위) 심실(손녀사위) 여계(손녀사위) 이명신(손녀사위) 심선(증손자) 숙용 심씨(증손녀) 심안의(고손자) 정안옹주(고손자며느리) |
정치 경력 (고려) | |
소속 정당 | 무소속 |
직책 | 삼사판사 |
군주 | 고려 창왕 왕창 |
임기 | 1388년 6월 18일 ~ 1389년 3월 2일 |
섭정 | 왕대비 죽주 안씨 문하시중 이색 수문하시중 이성계 |
군주2 | 고려 공양왕 왕요 |
직책2 | 문하시중 |
임기2 | 1389년 ~ 1390년 1391년 ~ 1392년 |
섭정2 | 문하시중 심덕부 수문하시중 이성계 수문하시중 정몽주 |
정치 경력 (조선) | |
군주3 | 조선 정종 이경 |
직책3 | 문하좌정승 |
임기3 | 1399년 12월 1일 ~ 1400년 3월 14일 |
2. 가계 및 가족 관계
문하시중에 증직된 청화부원군(靑華府院君) 심룡(沈龍)의 장남으로, 소헌왕후의 할아버지이자, 세종의 국구 영의정 청천부원군(靑川府院君) 심온(沈溫)의 아버지이다. 태조 이성계의 부마 청원군(靑原君) 심종(沈淙)과 고려의 마지막 왕 공양왕의 형인 정양부원군(定陽府院君) 왕우(王瑀)의 사위 심정도 그의 아들들이다. 조선 태조 이성계의 아들 무안대군 방번도 정양부원군 왕우의 사위이므로, 태조 이성계와는 겹사돈지간이 된다.
여섯째 아들 심종(沈淙)은 태조의 딸 경선공주(慶善公主)와 혼인하였고, 다섯째 아들 심온(沈溫)의 딸은 세종의 왕비 소헌왕후(昭憲王后)가 되어 문종, 세조, 광평대군 등을 낳았다. 넷째 아들 심징(沈澄)의 고손자 심안의(沈安義)는 세종의 딸 정안옹주(貞安翁主)와 혼인하였으며, 일곱째 아들 심정(沈泟)은 정양부원군(공양왕의 형)의 사위가 되었고, 그의 증손녀는 성종의 후궁 숙용 심씨(淑容沈氏)가 되었다.
동생 악은(岳隱) 심원부(沈元符)는 고려의 전리판서로 고려말 목은 이색, 포은 정몽주, 야은 길재, 농은 민안부와 더불어 고려 5은으로 불리는 고려의 충신이다. 두문동 72현의 한 사람으로, 선훈불사(先訓不仕)란 유훈을 남겨 후손은 대대로 조선에서 벼슬하지 말라는 유언을 남기고 두문동으로 들어갔다.
2. 1. 가계
문하시중에 증직된 청화부원군(靑華府院君) 심룡(沈龍)의 장남으로, 소헌왕후의 할아버지이자, 세종의 국구 영의정 청천부원군(靑川府院君) 심온(沈溫)의 아버지이다. 태조 이성계의 부마 청원군(靑原君) 심종(沈淙)과 고려의 마지막 왕 공양왕의 형인 정양부원군(定陽府院君) 왕우(王瑀)의 사위 심정도 그의 아들들이다. 조선 태조 이성계의 아들 무안대군 방번도 정양부원군 왕우의 사위이므로, 태조 이성계와는 겹사돈지간이 된다.여섯째 아들 심종(沈淙)은 태조의 딸 경선공주(慶善公主)와 혼인하였고, 다섯째 아들 심온(沈溫)의 딸은 세종의 왕비 소헌왕후(昭憲王后)가 되어 문종, 세조, 광평대군 등을 낳았다. 넷째 아들 심징(沈澄)의 고손자 심안의(沈安義)는 세종의 딸 정안옹주(貞安翁主)와 혼인하였으며, 일곱째 아들 심정(沈泟)은 정양부원군(공양왕의 형)의 사위가 되었고, 그의 증손녀는 성종의 후궁 숙용 심씨(淑容沈氏)가 되었다.
동생 악은(岳隱) 심원부(沈元符)는 고려의 전리판서로 고려말 목은 이색, 포은 정몽주, 야은 길재, 농은 민안부와 더불어 고려 5은으로 불리는 고려의 충신이다. 두문동 72현의 한 사람으로, 선훈불사(先訓不仕)란 유훈을 남겨 후손은 대대로 조선에서 벼슬하지 말라는 유언을 남기고 두문동으로 들어갔다.
2. 2. 가족 관계
심덕부의 조부는 고려조 합문지후 심연(沈淵)이다. 아버지는 고려조 전리정랑을 지내고 증 문하시중 청화부원군(靑華府院君)에 추증된 심룡(沈龍)이며, 어머니는 김씨(金氏)이다. 동생 심원부(沈元符)는 고려조 전리판서를 지내고 악은(岳隱) 고려 5은(隱)으로 불렸으며, 두문동칠십이현의 한 사람이다.심덕부는 두 명의 부인을 두었다. 초취 부인은 청원군 송유충(淸原君 宋有忠)의 딸 변한국대부인 청주 송씨(卞韓國大夫人 淸州 宋氏)이며, 슬하에 심인봉(沈仁鳳), 심의귀(沈義龜), 심도생(沈道生), 심징(沈澄)을 두었다. 장자 심인봉(沈仁鳳)은 의흥삼군부 도총제를 지냈으며, 동양군부인 신씨(東陽郡夫人 申氏)와 혼인하여 아들 심호(沈灝)와 두 딸을 두었다. 차자 심의귀(沈義龜)는 상주 김씨와 혼인하여 아들 심구(沈溝)와 딸 한 명을 두었다. 삼자 심도생(沈道生)은 본명이 심계년(沈繼年)으로 성주 지사(成州 知事)를 지냈고, 강진 최씨와 혼인하여 심연(沈涓), 심기(沈沂) 두 아들을 두었다. 사자 심징(沈澄)은 인수부윤, 경창부윤을 역임하였고, 여산 송씨와 혼인하여 아들 심석준(沈石雋)을 두었다. 심석준의 아들은 심선(沈璿)이며, 심선의 아들이 조선 제4대 세종의 사위인 심안의(沈安義)이다.
후취 부인은 감문위 낭장 문필대(監門衛 郞將 門必大)의 딸 인천 문씨(仁川 門氏)이다. 슬하에 심온(沈溫), 심종(沈淙), 심정(沈泟)을 두었다. 오자 심온(沈溫)은 조선 제4대 세종의 장인으로 청천부원군(靑川府院君)에 봉해졌으며, 영의정을 지냈다. 순흥 안씨와 혼인하여 소헌왕후 심씨를 포함한 4명의 딸과 심준(沈濬), 심회(沈澮), 심결(沈決) 세 아들을 두었다. 육자 심종(沈淙)은 조선 태조 이성계의 사위로 청원군(靑原君)에 봉해졌으며, 경상도 절도사를 지냈다. 경선공주와 혼인하여 딸 한 명을 두었다. 칠자 심정(沈泟)은 의흥삼군부 동지총제를 지냈으며, 개성 왕씨와 혼인하여 심견(沈堅), 심말동(沈末同), 심동(沈童) 세 아들을 두었다. 심말동의 딸은 조선 제9대 성종의 후궁인 숙용 심씨(淑容 沈氏)이다.
심덕부는 태조, 왕우, 안천보(安天保)와 사돈 관계를 맺었다.
2. 3. 조선 왕실과의 관계
심덕부는 고려조에 관직을 역임한 심룡(沈龍)의 아들이며, 조선 건국 후에는 왕실과 중첩된 혼인 관계를 맺었다.심덕부의 가문은 다음과 같다.
- 조부 심연(沈淵)은 고려조 합문지후를 역임했다.
- 부친 심룡(沈龍)은 고려조 전리정랑과 증 문하시중 청화부원군(靑華府院君)을 역임했다.
- 동생 심원부(沈元符)는 고려조 전리판서를 역임하고, 고려 5은(隱)으로 불린 고려 충신이자 두문동칠십이현의 한 사람이다.
심덕부는 두 명의 부인을 두었다.
- 초취 부인은 청원군 송유충(淸原君 宋有忠)의 딸 변한국대부인 청주 송씨(卞韓國大夫人 淸州 宋氏)이다.
- 후취 부인은 감문위 낭장 문필대(監門衛 郞將 門必大)의 딸 인천 문씨(仁川 門氏)이다.
심덕부는 여러 자녀를 두었는데, 이들은 조선 왕실 및 유력 가문과 혼인하였다.
- 장남 심인봉(沈仁鳳)은 의흥삼군부 도총제를 역임했다.
- 5남 심온(沈溫)은 조선 제4대 세종의 장인으로, 영의정을 지내고 청천부원군(靑川府院君)에 봉해졌다. 심온의 딸은 소헌왕후 심씨로 세종의 비이다.
- 6남 심종(沈淙)은 조선 태조 이성계의 사위로, 경선공주와 혼인하여 청원군(靑原君)에 봉해지고 경상도 절도사를 역임했다.
- 7남 심정(沈泟)은 정양부원군(定陽府院君) 왕우(王瑀)의 사위이며, 의흥삼군부 동지총제를 역임했다.
이 외에도 심덕부의 자손들은 세종의 서차녀 정안옹주와 혼인한 심안의(沈安義), 성종의 후궁인 숙용 심씨(淑容 沈氏) 등이 있다. 또한 공양왕의 사위 강석덕(姜碩德), 우의정 공숙공 노한(恭肅公 盧閈)의 아들 노물재(盧物栽), 중종반정 1등공신 영의정 유순정의 할아버지 유자해(柳子偕)등과 사돈 관계를 맺었다.
3. 고려 시대 활동
1338년 음서로 관직에 진출하여 좌우위녹사, 참군 등을 거쳤다.[3] 고려 우왕 때 밀직사에 올라 정조사(正朝使)로 명나라에 다녀왔다.[3] 1380년 지문하부사가 되었을 때 왜구가 진포에 침략하자, 도원수(都元帥)가 되어 최무선이 발명한 화포를 처음 사용하여 왜구를 방어하는 데 큰 공을 세웠으며, 이 해전이 진포대첩이다.[3][4] 1385년 문하찬성사로서 동북면 상원수를 겸하여 이성계와 함께 동북면에 침략한 왜구를 토벌하는 데 큰 공을 세웠다.[3] 그해 겨울 하정사(賀正使)로 명나라에 다녀온 후 청성부원군(靑城府院君)에 봉해졌다.[3] 1388년 서경도원수(西京都元帥, 요동정벌군 서열 3위)로서, 좌군도통사(요동정벌군 서열 1위) 조민수, 우군도통사(요동정벌군 서열 2위) 이성계와 함께 위화도 회군에 참여한 후, 우왕을 폐하고 고려 창왕을 세웠다.[3] 창왕 때 위화도 회군공신 2등에 책록되고 삼사판사가 되었으며, 이성계, 정몽주, 지용기, 설장수, 성석린, 조준, 박위, 정도전과 함께 창왕을 폐하고 공양왕을 세웠다.[3] 공양왕 때 중흥9공신으로서 삼한벽상공신에 책록되고 문하시중이 되어 청성군충의백(靑城郡忠義伯)에 봉해졌다.[5] 1391년 이성계, 정몽주와 함께 안사공신에 책록되었다.[3]
3. 1. 왜구 토벌
3. 2. 위화도 회군
이성계, 심덕부, 이지란이 위화도 회군 직전 서로 의형제를 맺고 회군을 결의한 기록화인 '''장수군도'''가 새로 발견되었다.[7]3. 3. 고려 말 정치 활동
고려 충숙왕 말기인 1338년에 음보(음서)로 출사하여 좌우위녹사, 참군이 되고 여러 관직을 거쳤다.[3] 고려 우왕 때 밀직사에 올라 정조사(正朝使)로 명나라에 다녀온 후, 1380년 지문하부사가 되었을 때, 진포에 왜구가 침략하자, 도원수(都元帥)가 되어, 최무선이 발명한 화포를 처음 사용하여 왜구 방어에 큰 공을 세웠다. 이 해전이 진포대첩이다.[3][4] 1385년 문하찬성사로써, 동북면 상원수를 겸하여, 이성계와 함께 동북면에 침략한 왜구를 토벌하는데 큰 공을 세웠다. 그 해 겨울, 하정사(賀正使)로 명나라에 다녀온 후, 청성부원군(靑城府院君)에 봉해졌다.[3] 1388년 서경도원수(西京都元帥)로서, 좌군도통사 조민수, 우군도통사 이성계와 함께 위화도 회군에 참여한 후, 우왕을 폐하고, 고려 창왕을 세웠다. 창왕 때, 위화도 회군공신 2등에 책록되고, 삼사판사가 되었다.[5] 이성계, 정몽주, 지용기, 설장수, 성석린, 조준, 박위, 정도전과 함께 창왕을 폐하고, 공양왕을 세웠다. 공양왕 때, 중흥9공신으로서, 삼한벽상공신에 책록되고, 문하시중이 되어, 청성군충의백(靑城郡忠義伯)에 봉해졌다.[5] 1391년 이성계, 정몽주와 함께 안사공신에 책록되었다.[5]4. 조선 시대 활동
1392년 조선 개국 후, 위화도 회군 공로를 인정받아 개국공신 1등에 책록되고 청성백(靑城伯)에 봉해졌다. 청성백(靑城伯)은 청성부원군(靑城府院君)으로 호칭되기도 하였다.[6]
4. 1. 조선 초기 국가 기틀 마련
고려 충숙왕 말기인 1338년에 음보(음서)로 출사하여 좌우위녹사, 참군이 되고 여러 관직을 거쳐, 고려 우왕 때 밀직사에 올라 정조사(正朝使)로 명나라에 다녀왔다.[3] 1380년 지문하부사가 되었을 때, 진포에 왜구가 침략하자, 도원수(都元帥)가 되어, 최무선이 발명한 화포를 처음 사용하여 왜구를 방어하는데 큰 공을 세웠다. 이 해전이 진포대첩이다.[3][4] 1385년 문하찬성사로써, 동북면 상원수를 겸하여, 이성계와 함께 동북면에 침략한 왜구를 토벌하는데 큰 공을 세웠다. 그 해 겨울, 하정사(賀正使)로 명나라에 다녀온 후, 청성부원군(靑城府院君)에 봉해졌다. 1388년 서경도원수(西京都元帥, 요동정벌군 서열 3위)로서, 좌군도통사(요동정벌군 서열 1위) 조민수, 우군도통사(요동정벌군 서열 2위) 이성계와 함께 위화도 회군에 참여한 후, 우왕을 폐하고 고려 창왕을 세웠다.[5] 창왕 때, 위화도 회군공신 2등에 책록되고, 삼사판사가 되었으며, 이성계, 정몽주, 지용기, 설장수, 성석린, 조준, 박위, 정도전과 함께, 창왕을 폐하고, 공양왕을 세웠다. 공양왕 때, 중흥9공신으로서, 삼한벽상공신에 책록되고, 문하시중이 되어, 청성군충의백(靑城郡忠義伯)에 봉해졌다.[5] 1391년 이성계, 정몽주와 함께 안사공신에 책록되었다. 1392년 조선 개국 후에는, 조선 개국공신으로서, 위화도 회군공신 1등에 책록되고, 청성백(靑城伯)에 봉해졌다. 청성백(靑城伯)은 청성부원군(靑城府院君)으로 호칭되기도 하였다.[6] 1394년 신도궁궐조성도감의 판사 겸 수장도감제조가 되어, 1년동안에, 수도 한양의 성곽, 경복궁 등의 궁궐들과 종묘를 모두 완성시켰다. 1397년 판문하부사, 1398년 영삼사사, 1399년 좌정승에 올랐다.[3]5. 심덕부가 등장한 작품
6. 묘역
경기도 연천군 미산면 아미리 553번지(경기 연천군 미산면 숭의전로 39-1번지)에 청성백 심덕부 묘역이 있으며, 연천군 향토문화재 제29호로 지정되어 있다.[8]
참조
[1]
문서
심계년의 아명(兒名)은 심도생.
[2]
웹사이트
월간중앙 - <김영수의 조선왕조 창업 秘錄(21)> 신하를 왕처럼 찬양한 고려 마지막 왕
http://jmagazine.joi[...]
[3]
웹인용
성씨정보 - 심덕부, 청송심씨
https://web.archive.[...]
2008-07-27
[4]
문헌
《태조실록》4년(1395) 4월 19일 1번째 기사
[5]
웹사이트
국역 고려사
https://terms.naver.[...]
[6]
문헌
《태조실록》2년(1393) 10월 10일 1번째 기사
[7]
뉴스
이성계 ‘위화도 회군’ 결의 현장, 14세기 그림 나왔다
https://news.naver.c[...]
뉴시스
[8]
웹사이트
야초의 역사문화유적 답사
https://yacho2040.t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