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안봉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안봉순은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로, 1894년 평안남도 덕천에서 출생하여 1967년 사망했다. 1940년 한국청년전지공작대에 경관으로 입대하여 선전, 정보 수집 등의 임무를 수행했으며, 1942년에는 광복군 제2지대에서 활동했다. 대한민국 임시정부 내무부와 임시 의정원 의원으로 활동했으며, 해방 후 환국 기념 서명포를 제작하기도 했다. 1963년 대통령 표창, 1977년 건국포장,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덕천시 출신 - 강우규
    강우규는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로, 3·1 운동 후 노인단을 조직하여 사이토 마코토 총독 암살을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순국하였으며, 만주와 연해주에서 독립운동 지원 및 민족 교육에 힘썼고, 그의 의거는 3·1 운동 이후 최초의 의열 투쟁으로 평가받아 건국훈장이 추서되었다.
  • 덕천시 출신 - 서영훈
    서영훈은 평양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하고 한국방송공사 사장, 대한적십자사 회장을 역임했으며 제16대 국회의원을 지낸 대한민국의 언론인, 정치인, 사회운동가이다.
  •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경찰 - 김구
    김구는 한국의 독립운동가, 정치인, 통일운동가로서, 동학 입교, 치하포 사건, 대한민국 임시정부 참여, 한인애국단 조직, 한국광복군 창설 등의 활동을 전개하다 안두희에게 암살당했다.
  •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경찰 - 나석주
    나석주는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로, 동양척식주식회사 등 일제의 식민지 수탈 기관 파괴를 위해 폭탄 투척 후 자결했으며, 건국훈장 대통령장이 추서되었다.
  • 대한독립군단 - 김인 (독립운동가)
    안동 김씨 가문 출신 독립운동가 김인은 상하이에서 대한제국 애국 관련 교육을 받고 대한독립군 감독관으로 활동하다 중국 청두에서 사망, 건국훈장 애국장이 추서되었으며 대한민국 건국에 기여했다.
  • 대한독립군단 - 김홍일 (1898년)
    김홍일은 일제강점기부터 대한민국 건국 후까지 군인, 독립운동가, 정치인, 외교관으로 활동하며 중국 국민혁명군 소장, 한국광복군 참모장, 육군사관학교 교장, 제1군단장 등을 역임했고, 6.25 전쟁 당시 한강 방어선 구축에 기여했으며, 주중화민국 대사와 야당 정치인으로도 활동했다.
안봉순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독립운동가 안봉순
본명안봉순 (安鳳淳 → 安奉舜)
직업독립운동가
경찰관
정치인
종교개신교
출생일1894년 3월 1일
출생지조선 평안도 덕천군 성양면 연풍리 651번지
사망일1967년 2월 25일
사망지대한민국 전라남도 고흥군
거주지대한민국 전라남도 순천시
정당한국독립당
본관순흥
배우자윤봉철
자녀안인건(아들)
안인선(딸)
독립운동가 안봉순 선생 서예 필체
정치 활동
대한민국 임시정부 직책내무부 총무집행위원
임기1943년 6월 30일 ~ 1945년 8월 1일
주석김구 임정 총수반
부수상김규식 임정 부수반
장관 (내무부)조완구 (1944)
신익희 (1944~1945)
차관 (내무부)김성숙 (1944)
권양무 (1944~1945)
대한민국 임시정부 직책 2군무부 총무집행위원
임기 21945년 8월 1일 ~ 1947년 3월 15일
주석 2김구 (1945~1947)
이승만 (1947)
부수상 2김규식 (1945~1947)
김구 (1947)
장관 (군무부)김원봉 (1945~1946)
조성환 (1946~1947)
차관 (군무부)김홍일
기타 경력대한민국 임정 임시 의정원 전라도 의원
한국독립당 상임고문
군사 경력
군복무광복군 군경관
가족 관계
부모안길언(부)
김길화(모)
형제형 3명
친인척안명준(친손자)
안승준(친손자)
안범준(친손자)
전태남(외손자)
전경자(외손녀)
전형석(외손자)
전준석(외손자)
서훈
훈장대한민국 대통령 표창장 수훈 (1963년)
대한민국 건국포장 추서 (1977년)
대한민국 건국훈장 애국장 추서 (1990년)
웹사이트
독립유공자 정보독립유공자

2. 생애



독립운동가 안봉순(安奉舜)[1]1894년 3월 1일 평안도 덕천 성양면 연풍리 651번지에서 아버지 안길언(安吉彦)과 어머니 김길화 사이의 4남 중 막내 아들로 태어났다.[2]

1940년 한국청년전지공작대에 경관으로 입대하여 초모, 선전, 정보 수집 등의 임무를 수행하였고, 1942년 중국 중앙전시간부훈련단에서 군사훈련을 받았다. 이후 광복군 제2지대에서 활동하다 충칭으로 이동, 광복군 총사령부에서 복무하였다. 1943년 토교대 대원으로 보충대 양성과 군사 훈련을 시켰으며, 임시정부 내무부에서 활동하였다.

1943년 10월 임시 의정원 전라도 의원으로 여러 안건을 심의하고 의결하였다. 1944년 임시의정원 의원으로 중경 한국독립당 소속이었다.

1967년 2월 25일에 사망했으며, 영령은 순천 천주교 묘지에 안장되었다가 1990년 국립대전현충원에 배우자인 윤봉철과 합장 이장되었다(애국지사 묘 제219호). 1963년 대통령 표창을, 1977년에 건국포장을, 1990년에 건국훈장 애국장이 추서되었다.[2]

2. 1. 한국청년전지공작대 활동 (1940년 ~ 1942년)

1937년 중일 전쟁 발발 직후, 나월환, 김동수, 박기성 등이 중화민국 산시성 시안에서 조직한 한국청년전지공작대1940년 경관으로 입대하였다. 안봉순은 이곳에서 초모(招募), 선전, 정보 수집 등의 임무를 수행하였다.[3] 1942년에는 중국 중앙전시간부훈련 제4단 특과총대학원대 한청반(中國 中央戰時幹部訓練 第4團 特科總大學員隊 韓靑班)에서 문응국과 함께 군사 훈련을 받았다.

2. 2. 한국 광복군 활동 (1942년 ~ 1945년)

1937년 중일 전쟁 발발 직후, 나월환, 김동수, 박기성 등이 중화민국 산시성 시안에서 조직한 한국청년전지공작대(韓國靑年戰地工作隊)에 1940년 경관으로 입대하여 초모, 선전 공작, 정보 수집 등의 임무를 수행하였다.[3] 1942년에는 중국 중앙전시간부훈련 제4단 특과총대학원대 한청반(中國 中央戰時幹部訓練 第4團 特科總大學員隊 韓靑班)에서 문응국과 함께 군사 훈련 교육을 받았다.

1942년 5월, 광복군 제5지대가 해체되고 제2지대로 재편되면서 시안을 중심으로 철기 이범석과 함께 광복군 제2지대에서 활동하였다.[4] 같은 해 10월 충칭으로 이동하여 광복군 총사령부에서 복무하였다. 1943년에는 한국광복군 총사령부 소속 토교대 대원으로 보충대 양성 및 군사 훈련을 담당하였다. 중경경찰국의 「重慶警察局韓僑調査表」에 따르면, 당시 토교정가 146호에 거주하던 49세의 안봉순은 제2지대 소속으로 이상만, 민병길과 함께 토교대 대원으로 주로 임정 내무부 산하 경위대와 배치되어 활동하였다.[5] 이후 안봉순은 신익희와 함께 임시정부 내무부(총무과)에서 활동하였다.[6]

2. 3. 대한민국 임시정부 활동 (1943년 ~ 1945년)

1943년 광복군 총사령부 소속으로 보충대 양성 및 군사 훈련을 담당했던 토교대 대원으로 활동하였다. 중경경찰국 작성 「重慶警察局韓僑調査表」에 따르면, 당시 토교정가 146호에 있던 49세의 안봉순은 제2지대 소속으로 이상만(한국 독립당, 61세), 민병길(한국독립당, 60세)과 함께 토교대 대원으로 주로 임정 내무부 산하 경위대에 배치되어 활동하였다.[5] 이후 안봉순은 신익희와 함께 대한민국 임시정부 내무부(총무과)에서 활동하였다.[6] 1943년 10월 임시 의정원 전라도 의원으로 여러 안건을 심의하고 의결하였다.[7]

1944년 임시의정원 의원으로, 소속 정당은 중경 한국독립당이었다.[8] 1944년 4월 15일 당시 의원 명단에는 김구, 이시영, 지청천 등 25명이 있었다.[9]

1945년 해방 후 김구, 이시영, 조소앙, 신익희 등 임시정부 요인들이 대한민국으로 입국하기 전, 해방의 감격을 기념하며 환국 기념 서명포를 제작하였다. 이 서명포는 아들 안인건에 의해 독립기념관에 기증되어 제6전시관(나라세우기)에 전시되고 있다.[10][11] --

2. 4. 해방 이후

1945년 해방이 되자 김구, 이시영, 조소앙, 신익희 등 모든 요인들이 대한민국으로 입국하기 전, 해방의 감격을 기념하여 환국 기념 서명포를 만들었다.[10][11] 이 서명포는 아들 안인건에 의해 독립기념관에 기증되었으며, 제6전시관(나라 세우기)에 전시되어 있다.

1967년 2월 25일에 사망했으며, 영령은 순천 천주교 묘지에 안장되었다가 1990년 국립대전현충원에 배우자인 윤봉철과 합장 이장되었다 (애국지사 묘 제219호).[2] 1963년 대통령 표창을, 1977년에 건국포장을, 1990년에 건국훈장 애국장이 추서되었다.[2] 아들 안인건은 대한무역진흥공사(현재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Kotra)에 근무하면서 1978년부터 1981년까지 일본 삿포로 무역관장을 역임했다.

3. 상훈

수여 년도훈격
1990년 12월 26일건국훈장 애국장
1977년건국포장
1963년 8월 13일대통령표창


4. 가족 관계

관계이름출생사망기타
아들안인건1927년 4월 5일
자부배은희1931년 6월 26일
손자안명준평택대학교 교수
손자안승준교장, RTC 우간다
손자안범준상명대학교 교수
손부노혜선
손부엄옥희
손부이형남
증손자안필주
증손자안성주처 이예랑
증손자안덕주
증손자안찬주
증손자안혁주
고손자안준서안성주의 자녀
고손자안이서안성주의 자녀
증손녀안영주
증손녀안윤주
손녀안원숙
손녀안현숙
손서정병철자 정동재
손서신형삼자 신한준
안인선
사위전중길
외손자전태남
외손자전형석2024년
외손자전준석
외손녀전경자


참조

[1] 문서 兒名은 安鳳淳
[2] 두산백과 안봉순 https://terms.naver.[...]
[3] 백과사전 안봉순 네이버
[4]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안봉순 http://encykorea.aks[...]
[5] 국외 독립운동 사적지 한국광복군 토교대 거주지 http://oversea.i815.[...]
[6] 서적 한국독립운동사 국사편찬위원회 1970
[7] 서적 한국독립운동사 국사편찬위원회 1970
[8] 대한민국임시정부자료집 대한민국임시정부자료집, 34권 한국독립당 명단 II http://db.history.go[...] 국사편찬위원회 1944-03-15
[9] 간행물 독립운동사 4(임시정부사)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0] 서적 A Sheet of Cloth Containing Autographs of Leaders of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on the Occasion of Returning Home to Korea/1945 Shin Saeng Printing Association 2010
[11] 서적 제6관 새 나라 세우기:항일 운동, 대한민국 임시 정부 독립기념관 20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