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알렉산드르 베일린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렉산드르 베일린손은 1957년 소련에서 태어난 러시아계 미국인 수학자이다. 모스크바 대학교에서 유리 마닌의 지도하에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이후 시카고 대학교 교수로 재직했다. 주요 업적으로는 조셉 번스타인과 함께 카즈단-루슈티히 가설과 얀첸 가설을 증명한 것과 베일린손-술레 추측, 그리고 고차 조절자와 L-함수의 값에 대한 연구가 있다. 특히 1990년대 초부터 블라디미르 드린펠트와 함께 꼭짓점 대수 이론을 재구성하는 연구를 진행하여 등각장론, 끈 이론, 기하학적 랭글런즈 프로그램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수기하학자 - 고다이라 구니히코
    고다이라 구니히코는 일본의 수학자로, 대수기하학 분야에서 변형 이론, 대수곡면 분류, 고다이라 차원, 고다이라 소멸 정리 등의 업적을 남겨 1954년 필즈상을 수상했고 프린스턴 고등연구소와 여러 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수학 대중화에도 기여했다.
  • 대수기하학자 - 라울 보트
    라울 보트는 1923년 헝가리에서 태어나 전기 공학을 전공하고 수학자로서 모스 이론을 활용하여 보트 주기성 정리를 증명했으며, K-이론 연구에 기여하고, 베블런상, 스틸상, 울프상을 수상했다.
  • 러시아의 수학자 - 그리고리 페렐만
    러시아 수학자 그리고리 페렐만은 푸앵카레 추측과 기하화 추측을 증명했음에도 불구하고 필즈상과 밀레니엄 문제 상금을 거부하며 은둔 생활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러시아의 수학자 - 게오르크 칸토어
    게오르크 칸토어는 집합론의 기초를 다지고 무한에 대한 연구를 통해 집합의 크기가 다를 수 있음을 증명했으며, 대각선 논법과 초한수 이론을 제시한 독일계 수학자이다.
  • 울프 수학상 수상자 - 고다이라 구니히코
    고다이라 구니히코는 일본의 수학자로, 대수기하학 분야에서 변형 이론, 대수곡면 분류, 고다이라 차원, 고다이라 소멸 정리 등의 업적을 남겨 1954년 필즈상을 수상했고 프린스턴 고등연구소와 여러 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수학 대중화에도 기여했다.
  • 울프 수학상 수상자 - 라울 보트
    라울 보트는 1923년 헝가리에서 태어나 전기 공학을 전공하고 수학자로서 모스 이론을 활용하여 보트 주기성 정리를 증명했으며, K-이론 연구에 기여하고, 베블런상, 스틸상, 울프상을 수상했다.
알렉산드르 베일린손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베일린손 (왼쪽)과 그의 학생들
이름알렉산더 베일린손
출생일1957년 6월 13일
출생지모스크바, 소비에트 연방
국적러시아
분야수학
직장시카고 대학교
박사 지도교수유리 마닌
박사 졸업생로렌초 라메로
자녀Helen; Vera
업적
주요 업적베일린손 추측
베일린손 원소
베일린손 조절기
베일린손-번스타인 지역화
베일린손-리히텐바움 추측
베일린손-파르신 추측
키랄 대수
키랄 호몰로지
분해 정리
리-* 대수
편극층
t-구조
테이트 벡터 공간
기여 분야표현론
대수기하학
수리물리학
편극층 (Perverse sheaves)
오퍼 (Oper (mathematics))
리-* 대수 (Lie-* algebra)
수상
수상 내역오스트로프스키 상 (1999년)
울프상 (2018년)
쇼 상 (2020년)

2. 생애

1957년 6월 13일 소비에트 연방에서 태어났다. 모스크바 대학교에서 유리 마닌의 지도를 받아 박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이후 미국으로 이민하여 시카고 대학교의 교수가 되었다.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1957년 6월 13일 소비에트 연방 모스크바에서 태어났다. 주로 러시아 혈통이었으나, 그의 부계 조부는 유대인이었다. 유대인 성씨 때문에 차별을 받아 모스크바 국립 대학교 입학을 거부당했다.[4] 이 때문에 처음에는 교육학 연구소에 입학했으나, 3학년 때 모스크바 국립 대학교로 편입할 수 있었다.[4] 이후 모스크바 대학교에서 유리 마닌의 지도를 받아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2. 2. 학문적 경력

1978년, 베일린손은 가환층과 선형대수학의 여러 문제에 관한 논문을 발표했다. 기능 분석 및 응용 저널에 게재된 그의 2페이지짜리 노트는 가환층의 유도 범주 연구에 관한 초기 작업 중 하나였다.

1981년, 베일린손은 조셉 번스타인과 함께 카즈단-루스틱 추측과 얀젠 추측의 증명을 발표했다. 이들과 별개로 브린스키와 카시와라도 카즈단-루스틱 추측을 증명했지만[5], 베일린손과 번스타인의 증명은 국소화라는 새로운 방법을 도입했다는 점에서 중요했다. 이 방법은 리 대수 표현의 전체 범주를 기하학적으로 설명하는 길을 열었는데, 표현들을 깃발 다양체 위에 존재하는 기하학적 객체, 즉 D-가군으로 "확산"시키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이 D-가군들은 자연스럽게 평행 이동에 대한 내재적 개념을 가진다.

1982년, 베일린손은 스키마에 대한 동기 코호몰로지 군의 존재에 대한 추측을 발표했다. 이 추측은 아벨 군의 복합체의 초코호몰로지 군으로 주어지며, 대수적 K-이론과 대수적 위상수학의 아티야-히르체브루흐 스펙트럼 열과 유사한 동기 스펙트럼 열에 의해 관련된다고 주장했다. 이 추측들은 나중에 베일린손-술레 추측으로 알려지게 되었고, 블라디미르 보예보드스키가 스키마에 대한 호모토피 이론을 개발하는 프로그램과 깊이 연관되었다.

1984년에는 "고차 조절자와 L-함수의 값"이라는 중요한 논문을 발표했다. 이 논문에서 그는 K-이론에 대한 고차 조절자를 정의하고, 이들이 L-함수의 값과 어떻게 관련되는지를 설명했다. 또한 이 논문은 수 환의 K-군에 대한 리히텐바움 추측, 호지 추측, 대수적 사이클에 대한 테이트 추측, 타원 곡선에 대한 비르치와 스윈너턴-다이어 추측, 그리고 타원 곡선의 ''K''2에 대한 블로흐의 추측을 산술 다양체로 일반화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베일린손은 1980년대 중반 내내 대수적 K-이론 연구를 계속했으며, 피에르 들리뉴와 협력하여 돈 자기에의 다중로그 추측에 대한 동기적 해석을 개발하기도 했다.

1990년대 초부터 베일린손은 블라디미르 드린펠트와 함께 꼭짓점 대수 이론을 재구성하는 중요한 작업을 시작했다. 이 연구는 비공식적으로 유통되다가 2004년에 키랄 대수라는 제목의 모노그래프로 출판되었다. 이 작업은 등각장론, 끈 이론, 그리고 기하학적 랑글란즈 프로그램 분야에서 새로운 발전을 이끌었다.

그는 1994년 가을과 1996년부터 1998년까지 고등연구소의 방문 학자였으며,[7] 2008년에는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의 회원으로 선출되었다.[6]

3. 주요 업적

베일린손(왼쪽)과 그의 제자들


알렉산드르 베일린손은 현대 수학의 여러 분야, 특히 대수기하학, 수론, 수리물리학 등에서 중요한 업적을 남겼다.

그의 초기 연구 중 하나는 1978년 발표된 가환층과 선형대수학 문제에 관한 논문으로, 이는 유도 범주 연구에 기여했다.

1981년에는 조셉 번스타인과 함께 카즈단-루슈티히 가설과 얀첸 가설을 증명하며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다.[5] 이 증명 과정에서 도입된 범주 국소화 기법은 리 대수 표현론 연구에 새로운 기하학적 접근법을 제시했다.

1982년에는 스킴에 대한 모티브 코호몰로지 군의 존재와 그 성질에 관한 깊이 있는 추측들을 발표했다. 이 추측들은 이후 베일린손-술레 가설 등으로 불리며, 대수적 K이론블라디미르 보예보츠키의 호모토피 이론 연구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1984년에는 "Higher regulators and values of L-functions|고차 조절자와 L-함수의 값영어"이라는 기념비적인 논문을 통해, 대수적 K이론레귤레이터 개념을 일반화하고 이를 L-함수의 값과 연결시키는 중요한 가설들을 제시했다. 이 가설들은 리히텐바움 추측, 호지 추측, 테이트 추측, 버치-스위너턴다이어 추측, 블록 가설 등 정수론의 여러 중요한 문제들을 포괄하고 일반화하는 것으로 평가받는다.

1980년대 중반 동안 베일린손은 대수적 K이론 연구를 지속했으며, 피에르 들리뉴와 협력하여 돈 자기에의 다중로그 추측에 대한 동기적 해석을 발전시키기도 했다.

1990년대 초부터는 블라디미르 드린펠트와 함께 꼭짓점 연산자 대수 이론을 재구성하는 중요한 연구를 수행했다. 이 연구 결과는 2004년 chiral algebra|키랄 대수영어에 관한 저서로 출판되었으며, 등각장론, 초끈 이론, 기하학적 랭글런즈 프로그램 등 다양한 분야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학문적 기여를 인정받아 베일린손은 2008년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 회원으로 선출되었고,[10] 2018년 울프상 수학 부문[12], 2020년 쇼상 수학 부문[13] 등을 수상했다. 또한 1994년 가을과 1996년부터 1998년까지 프린스턴 고등연구소의 방문 연구원으로 활동했다.[11]

3. 1. 카즈단-루슈티히 가설과 얀첸 가설 증명 (1981)

1981년, 베일린손은 조셉 번스타인과 함께 카즈단-루슈티히 가설과 얀첸 가설을 증명하며 세계적인 수학자로 인정받기 시작했다. 베일린손과 번스타인과는 별개로, 장-뤽 브린스키와 마사키 카시와라 역시 같은 시기에 독자적으로 카즈단-루슈티히 가설의 증명을 발표했다.[5]

그러나 베일린손과 번스타인의 증명은 범주 국소화라는 독창적인 방법을 도입했다는 점에서 주목받았다. 이 방법은 리 대수 표현론의 전체 범주를 기하학적으로 설명하는 새로운 길을 열었다. 구체적으로는, 대수적 표현들을 깃발 다양체 위에 존재하는 기하학적 대상, 즉 D-가군으로 변환하여 다루는 방식이었다. 이러한 기하학적 대상들은 자연스럽게 평행 이동에 대한 내재적인 성질을 가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3. 2. 베일린손 추측 (1982)

1982년 베일린손은 스킴에 대한 모티브 코호몰로지 군의 존재에 관한 매우 깊이 있는 추측들을 발표했다. 이 추측들은 대수적 K이론과 관련이 있으며, 대수적 위상수학에서의 아티야-히르체브루흐 스펙트럼 열과 유사한 방식으로 작동할 것으로 예상된다. 구체적으로, 베일린손은 대수다양체스킴에 대해 대수 사이클로 만들어진 아벨 군 복합체의 하이퍼 코호몰로지 군으로서 모티브 코호몰로지 군이 존재하며, 이 군들이 대니얼 퀼런대수적 K이론으로 수렴하는 '모티브 스펙트럼 열'을 가진다고 추측했다.

이 추측들 중 일부는 이후 베일린손-술레 가설로 불리게 되었다. 베일린손의 모티브 코호몰로지 개념은 알렉산더 그로텐디크가 제안한 모티브 이론이 증명하기 매우 어렵다는 문제에 대한 대안적인 접근법을 제시했다. 즉, 모티브 코호몰로지는 여러 수학적 문제를 해결하는 데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으며, 블라디미르 보예보츠키가 개발한 스킴에 대한 호모토피 이론 프로그램과도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3. 3. 고차 조절자와 L-함수의 값 (1984)

1984년 베일린손은 "Higher regulators and values of L-functions|고차 조절자와 L-함수의 값eng"이라는 중요한 논문을 발표했다. 이 논문은 기존 대수적 정수론에서 알려진 레귤레이터 개념을 대수적 K이론을 이용하여 크게 일반화할 수 있음을 보였고, 정수론의 많은 정보가 사실상 대수적 K이론 안에 담겨 있다는 놀라운 가설을 제시했다. 베일린손의 이 가설들은 L-함수의 값과 고차 조절자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며, 리만 가설과도 깊은 관련이 있다.

특히 이 가설들은 다음과 같은 수많은 정수론의 주요 미해결 문제들을 산술 다양체로 일반화하고 있다:

이 가설들은 여러 어려운 추측들을 더욱 일반화한 것이기 때문에, 현재 수학에서 가장 증명하기 어려운 문제들 가운데 하나로 여겨진다.

3. 4. 대수적 K-이론 연구 (1980년대 중반)

1984년, 베일린손은 ''상위 레귤레이터들과 L-함수의 값''(Higher regulators and values of L-functionseng)이라는 중요한 논문을 발표했다.[5][9] 이 논문은 기존의 대수적 정수론에서 널리 알려진 레귤레이터 개념이 사실은 대수적 K이론을 이용하면 더욱 폭넓게 일반화될 수 있음을 보였다. 나아가 베일린손은 정수론의 많은 데이터가 대수적 K이론 안에 담겨 있다는 혁신적인 가설을 제시했다.

이 가설들은 리만 가설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수 의 K-군에 대한 리히텐바움 추측, 호지 추측, 대수적 사이클에 관한 테이트 추측, 타원 곡선에 대한 버치-스위너턴다이어 추측, 그리고 타원 곡선의 ''K''2에 관한 블록 가설 등 수많은 정수론의 중요한 가설들을 산술 다양체로 일반화하는 내용을 포함한다. (이 가운데, 리히텐바움 추측과 블록 추측은 2009년 증명되었다.) 이처럼 베일린손의 가설은 여러 어려운 난제들을 포괄하고 일반화한 것이므로, 현재 수학계에서 가장 증명하기 어려운 가설 가운데 하나로 여겨진다.

베일린손은 1980년대 중반 동안 대수적 K이론 분야의 연구를 지속했다. 그는 피에르 들리뉴와 협력하여 돈 자기에의 다중로그 추측에 대한 동기적 해석을 개발하기도 했다.

3. 5. 꼭짓점 연산자 대수와 키랄 대수 (1990년대 ~ 2004)

1990년대 초부터 베일린손은 블라디미르 드린펠트와 공동으로 vertex operator algebra|꼭짓점 연산자 대수eng 이론을 재구성하는 작업을 시작했다. 이 연구는 비공식적인 형태로 공유되다가 2004년 chiral algebra|키랄 대수eng에 관한 전문 서적 형태로 출판되었다. 이 이론은 공형장론, 현 이론, 그리고 기하학적 랭글랜즈 프로그램과 같은 여러 현대 물리학 및 수학 분야의 발전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4. 수상

베일린손은 2008년에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의 펠로우로 선출되었다[10]. 2018년에는 울프상 수학 부문을[12], 2020년에는 쇼상 수학 부문을[13] 수상했다.

5. 저서

연도제목공동 저자출판 정보
1978Pn 위의 가환층과 선형 대수 문제Funktsional. Anal. I Prilozhen., 12(3), pp. 68–69
1980잉여와 아델Funktsional. Anal. I Prilozhen., 14(1), pp. 44–45
1982괴층 (Faisceaux pervers)요세프 번스타인, 피에르 들리뉴Astèrisque 100, Soc. Math. France, pp. 5–171
1984고차 조절자와 L-함수의 값Itogi Nauki i Tekhniki, Current problems in mathematics 24, Akad. Nauk SSSR Vsesoyuz. Inst. Nauchn. i Tekhn. Inform., pp. 181–238
1986절대 호지 코호몰로지에 관한 노트Contemporary Mathematics 55, 미국 수학회, pp. 35–68
1987괴층의 유도된 범주에 관하여Lecture Notes in Math. 1289, 슈프링거 출판사, pp. 27–41
1987층의 접착 방법Lecture Notes in Math. 1289, 슈프링거 출판사, pp. 42–51
1987동기 코호몰로지에 관한 노트로버트 맥퍼슨, 블라디미르 셰흐트만Duke Mathematical Journal, 54(2), pp. 679–710
1988코줄 쌍대성빅토르 긴즈버그, 블라디미르 셰흐트만Journal of Geometry and Physics, 5(3), pp. 317–350
1990GLn의 양자 변형을 위한 기하학적 설정조지 러스티그, 로버트 맥퍼슨Duke Mathematical Journal, 61(2), pp. 655–677
1996표현론에서의 코줄 쌍대성 패턴빅토르 긴즈버그, 볼프강 쇠르게Journal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9(2), pp. 473–527
2004카이랄 대수 (Chiral Algebras)블라디미르 드린펠트미국 수학회


참조

[1] 뉴스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Members and Foreign Associates Elected http://www.nasonlin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2017-05-02
[2] 웹사이트 Paul McCartney among 9 Wolf Prize recipients https://www.jpost.co[...] 2020-05-21
[3] 웹사이트 The Shaw Prize http://www.shawprize[...] 2020-05-21
[4] 웹사이트 On Soviet Mathematics of the 1950s and 1960s http://math.uchicago[...]
[5] 간행물 Kazhdan-Lusztig conjecture and holonomic systems Springer-Verlag 1981-10
[6] 웹사이트 Book of Members, 1780–2010: Chapter B http://www.amacad.or[...] American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2011-05-30
[7] 웹사이트 Institute for Advanced Study: A Community of Scholars https://web.archive.[...] 2020-05-21
[8] 뉴스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Members and Foreign Associates Elected http://www.nasonlin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2017-05-02
[9] 간행물 Kazhdan-Lusztig conjecture and holonomic systems Springer-Verlag 1981-10
[10] 웹사이트 Book of Members, 1780-2010: Chapter B http://www.amacad.or[...] American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2011-05-30
[11] 웹사이트 Institute for Advanced Study: A Community of Scholars https://web.archive.[...] 2020-05-21
[12] 웹사이트 Paul McCartney among 9 Wolf Prize recipients https://www.jpost.co[...] 2020-05-21
[13] 웹사이트 The Shaw Prize http://www.shawprize[...] 2020-05-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