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게돔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얼게돔과는 극기류에 속하는 물고기 과이다. 얼게돔과는 얼게돔아과와 적투어아과로 나뉘며, 각 아과에는 여러 속이 포함된다. 얼게돔류는 신생대 초기에 처음 등장했으며, 이리도프리스티스는 고신세에, 베리볼켄시스, 에오홀로센트룸, 테누이센트룸은 에오세에, 홀로센트리테스는 에오세에 살았다. 사르곤센트론과 네오니폰은 올리고세부터, 홀로켄트루스, 오스티크티스, 프리스틸레피스, 미리프리스티스, 플렉트리포프스, 코르니거는 마이오세부터 현재까지 생존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얼게돔목 - 도화돔
얼게돔과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Holocentridae |
명명자 | J. 리처드슨, 1846 |
한국어 이름 | 얼게돔과 |
일본어 이름 | 멘파치 (メンパチ) |
하와이어 이름 | haw |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아문 | 척추동물아문 |
강 | 조기어강 |
아강 | 신기어아강 |
하강 | 진골어하강 |
상목 | 극기상목 |
목 | 얼게돔목 (Holocentriformes) |
목 명명 | Betancur-R et al., 2014 |
과 | 얼게돔과 (Holocentridae) |
과 명명 | Bonaparte, 1832 |
아과 및 속 | |
아과 및 속 | Holocentrinae Holocentrus Neoniphon Sargocentron Myripristinae Corniger Myripristis Ostichthys Plectrypops Pristilepis |
특징 | |
크기 | 15 (일반적인 크기) |
몸길이 | 8 (가장 작은 종) |
최대 크기 | 50 (가장 큰 종) |
분포 | |
서식지 | 100 깊이의 열대 해양 |
화석 기록 | |
화석 범위 | 후기 백악기 |
2. 하위 분류
얼게돔과는 크게 두 개의 아과로 나뉜다.
- 얼게돔류/다람쥐고기류 또는 얼게돔아과 (Holocentrinae)
- ''Holocentrus''
- ''Neoniphon''
- 얼게돔속 (''Sargocentron'')
- 적투어류/군인고기류 또는 적투어아과 (Myripristinae)
- ''Corniger''
- 적투어속 (''Myripristis'')
- 도화돔속 (''Ostichthys'')
- ''Plectrypops''
- ''Pristilepis''
3. 계통 분류
2016년 기준, 극기류의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8]
{| class="wikitable"
|-
| 페르코모르파
|-
|
{| class="wikitable"
|-
| 극기류
|-
|
{| class="wikitable"
|-
|
|-
|
{| class="wikitable"
|-
| 얼게돔목
|-
|
{| class="wikitable"
|-
| 첨치목
|-
|
{| class="wikitable"
|-
| 두꺼비고기목
|-
|
{| class="wikitable"
|-
|
|-
|
{| class="wikitable"
|-
| 망둑어류
|-
|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등목어류
|-
|
4. 진화 역사
얼게돔과는 신생대 초기에 처음 등장했으며, 화석 기록은 미미한 편이다.[7] 가장 오래된 얼게돔과 화석은 고신세(팔레오세)에서 발견된 이리도프리스티스이다. 에오세에는 베리볼켄시스, 에오홀로센트룸, 테누이센트룸, 홀로센트리테스 등의 화석이 발견되었다. 올리고세 이후에는 현존하는 속인 사르곤센트론, 네오니폰 등의 화석이 발견되기 시작했으며, 마이오세에는 현존하는 속 대부분의 화석이 발견되었다.
4. 1. 주요 속의 진화 시기
확실한 얼게돔류는 신생대의 초기에 처음 등장하며, 미미한 화석 기록을 자랑한다.[7]속 | 시기 | 기간(백만 년 전) |
---|---|---|
이리도프리스티스 | 고신세 | 66 ~ 61.6 |
베리볼켄시스 | 에오세 | 55.8 ~ 33.9 |
에오홀로센트룸 | 에오세 | 55.8 ~ 33.9 |
테누이센트룸 | 에오세 | 55.8 ~ 33.9 |
홀로센트리테스 | 에오세 | 37.2 ~ 28.4 |
사르곤센트론 | 올리고세 | 27 ~ 현재 |
네오니폰 | 올리고세 | 24.2 ~ 현재 |
홀로켄트루스 | 마이오세 | 8.55 ~ 현재 |
오스티크티스 | 마이오세 | 19.48 ~ 현재 |
프리스틸레피스 | 마이오세 | 19.48 ~ 현재 |
미리프리스티스 | 마이오세 | 15.5 ~ 현재 |
플렉트리포프스 | 마이오세 | 11.66 ~ 현재 |
코르니거 | 마이오세 | 11.66 ~ 현재 |
참조
[1]
FishBase family
[2]
서적
Coral Reef Fishes - Caribbean, Indian Ocean, and Pacific Ocean including the Red Sea
[3]
서적
Encyclopedia of Fishes
Academic Press
[4]
서적
Indian Ocean Tropical Fish Guide
[5]
서적
Reef and Shore Fishes of the South Pacific.
[6]
서적
Marine Fishes of Tropical Australia and south-east Asia.
[7]
논문
An earliest Paleocene squirrelfish (Teleostei: Beryciformes: Holocentroidea) and its bearing on the timescale of holocentroid evolution
[8]
웹인용
Phylogenetic Classification of Bony Fishes Version 4
https://sites.google[...]
2020-03-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