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브로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브로 강은 스페인 북동부를 흐르는 강으로, 고대 로마인들은 이 강을 이베르 강이라고 불렀다. 이베리아 반도와 이베리아인들의 이름의 유래가 되었으며, 1차 포에니 전쟁 이후 로마와 카르타고의 경계선으로 사용되었다. 스페인 내전 중에는 에브로 전투가 벌어지기도 했다. 폰티브레에서 발원하여 지중해로 흘러드는 에브로 강은 다양한 지류를 가지며, 에브로 삼각주를 형성한다. 에브로 강 유역은 기후와 생태계의 영향을 받으며, 댐 건설, 오염, 외래종 유입 등으로 인해 생태계에 변화가 발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에브로강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원어 이름 | 스페인어: Ebro 카탈루냐어: Ebre |
다른 이름 | 카탈루냐어: Ebre |
어원 | 알 수 없음 |
![]() | |
![]() | |
국가 | 스페인 |
지역 | 칸타브리아 주 카스티야이레온 주 바스크 지방 리오하 주 나바라 주 아라곤 주 카탈루냐 주 발렌시아 주 |
길이 | 930km |
평균 유량 | 426 m³/s |
발원지 | 폰티브레, 칸타브리아 주, 스페인 좌표: 43°2′21″N 4°24′11″W |
발원지 고도 | 1980m |
하구 | 지중해, 타라고나 주, 카탈루냐 주, 스페인 좌표: 40°43′12″N 0°51′47″E |
하구 고도 | 0m |
하천 체계 | 에브로 강 유역 |
유역 면적 | 80,093km² |
지류 (좌안) | |
지류 (우안) | |
기타 정보 |
2. 이름
고대 로마인들은 이 강을 이베르 강(Iber River)이라 불렀다. 그리스어 단어인 ''Hèvros'', ''Εβρος''에서 유래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논란의 여지가 있지만 후에 이 단어를 바탕으로 이베리아인들이 강의 명칭을 정했을 것으로 전한다.
1차 포에니 전쟁 이후 에브로강은 로마 제국과 고대 카르타고를 구분하는 경계선 역할을 했다. 이베리아반도에 한니발 장군의 영향력이 커지자 로마는 인근 지역으로 지배력을 넓히려 했다. 이에 한니발은 2차 포에니 전쟁을 일으켰다.
로마인들은 이 강을 ''Hibēr'', ''Ibēr'', 또는 ''Ibērus flūmen''이라고 불렀는데, 이것이 현재의 이름으로 이어졌다.[4] 이베리아 반도와 ''Hibērī'' 또는 ''Ibērī'' (이 지역의 사람들)은 이 강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그리스인들이 이 강에 대해 현지 원주민 이름을 사용했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또한 "''Ibēr''" 또는 "''Hibēr''"이라는 단어가 무엇을 의미하는지도 알려져 있지 않다. 현대 바스크어에서 ''ibar''는 '계곡' 또는 '관개 초지'를 의미하고, ''ibai''는 '강'을 의미하지만, 에브로 강의 어원과 이러한 바스크어 단어를 연결하는 증거는 없다. 발칸 반도에는 이바르 강(몬테네그로와 세르비아)과 에브로스 강(불가리아와 그리스)이라고 불리는 강이 있다.
3. 역사
스페인에서 가장 오래된 시토회 수도원 중 하나인 누에스트라 세뇨라 데 루에다 왕립 수도원은 아라곤 지방의 에브로강 유역에 있다. 1202년 설립된 이 수도원은 현재까지도 그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1] 이 수도원은 에브로강에서 물을 끌어들여 건물 중앙 난방 시스템을 위한 순환식 수력 시스템을 만들었다.[1] 역사적으로 에브로 강 유역에는 나바라 왕국과 아라곤 왕국이 번영했다. 16세기에는 총 길이 116km의 Canal Imperial de Aragón|아라곤 제국 운하es가 건설되었다.
1938년 에브로 강은 스페인 내전에서 가장 유명한 전투 중 하나인 에브로 전투가 벌어진 곳이다. 이 전투는 공화파의 패배로 끝났지만, 초기에는 성공을 거두었다. 그들은 간데사를 목표로 삼았지만 달성하지 못했다.[2]
3. 1. 고대
1차 포에니 전쟁 이후 에브로강은 로마 제국과 고대 카르타고를 구분하는 경계선 역할을 했다. 이베리아반도에 한니발 장군의 영향력이 커지자 로마는 인근 지역으로 지배력을 넓히려 했다. 이에 한니발은 2차 포에니 전쟁을 일으켰다.
스페인에서 가장 오래된 시토회 수도원 중 하나인 누에스트라 세뇨라 데 루에다 왕립 수도원은 아라곤 지방의 에브로강 유역에 있다. 1202년 설립된 이 수도원은 현재까지도 그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1] 이 수도원은 에브로강에서 물을 끌어들여 건물 중앙 난방 시스템을 위한 순환식 수력 시스템을 만들었다.[1]
3. 2. 중세 및 근대
1차 포에니 전쟁 이후 에브로 강은 로마 제국과 고대 카르타고를 구분하는 경계선 역할을 했다. 이베리아반도에서 한니발의 영향력이 커지자, 로마는 사군툼을 로마의 보호령으로 삼았다. 한니발은 이를 로마의 공격적인 행위로 간주하고 2차 포에니 전쟁을 일으켰다.
스페인에서 가장 오래된 시토회 수도원 중 하나인 누에스트라 세뇨라 데 루에다 왕립 수도원은 아라곤 지방의 에브로 강변에 있다. 1202년에 세워진 이 수도원은 현재까지 잘 보존되어 있다. 이 수도원은 에브로 강과 깊은 관련이 있는데, 스페인에서 처음으로 건설된 대형 물레방아 중 하나를 이용하여 동력을 생산했고, 강물을 끌어들여 건물의 중앙 난방 시스템을 위한 순환식 수력 시스템을 만들었다.[1] 역사적으로 에브로 강 유역에는 나바라 왕국과 아라곤 왕국이 번영했다. 16세기에는 총 길이 116km의 Canal Imperial de Aragón|아라곤 제국 운하es가 건설되었다.
1938년 에브로 강은 스페인 내전에서 가장 유명한 전투 중 하나인 에브로 전투가 벌어진 곳이다. 이 전투는 공화파의 패배로 끝났지만, 초기에는 성공을 거두었다. 그들은 간데사를 목표로 삼았지만 달성하지 못했다.[2]
3. 3. 현대
제1차 포에니 전쟁(기원전 264~241년) 이후, 에브로 강은 로마(북쪽)와 카르타고(남쪽)의 세력 확장을 구분하는 경계선으로 사용되었다. 이베리아 반도에서 한니발의 영향력이 커지는 것을 우려한 로마 공화정이 에브로 강 남쪽에 있는 사군툼을 로마의 보호령으로 삼자, 한니발은 이를 로마의 공격적인 행위로 간주하고 이 사건을 제2차 포에니 전쟁의 발단으로 삼았다.
스페인에서 가장 오래된 시토 수도회 수도원 중 하나인 누에스트라 세뇨라 데 루에다 왕립 수도원은 아라곤의 에브로 강변에 있다. 1202년에 세워진 이 건물은 온전히 보존되어 있다. 이 수도원은 에브로 강과 깊은 관련이 있는데, 스페인에서 처음으로 건설된 대형 물레방아 중 하나를 이용하여 동력을 생산했기 때문이다. 또한 수도원은 에브로 강에서 물을 끌어들여 건물의 중앙 난방 시스템을 위한 순환식 수력 시스템을 만들었다.
1938년 에브로 강은 스페인 내전에서 가장 유명한 공화파의 공세 중 하나가 시작된 곳이었다. 에브로 전투로 알려진 이 공세는 공화파의 패배로 끝났지만, 초기에는 성공을 거두었다. 그들은 간데사를 목표로 삼았지만 달성하지 못했다.
4. 지리
에브로강은 이베리아 반도에서 타호강(테주강) 다음으로 두 번째로 긴 강으로, 전장은 930km이다. 유량은 426km3, 유역 면적은 80,093km2이며, 이베리아 반도에서 두에로강(도우로강) 다음으로 두 번째로 큰 강이다.[1] 타호강과 두에로강은 스페인과 포르투갈을 흐르는 국제 하천이며, 스페인 국내만을 흐르는 강 중에서는 유량이 가장 많다.
칸타브리아주에서 발원하여 카스티야 이 레온주, 나바라주, 아라곤주, 카탈루냐주의 5개 자치주를 거쳐 에브로 삼각주영어에서 지중해로 흘러든다. 지류는 바스크주에도 흐른다. 에브로강 본류 연안의 주요 도시로는 로그로뇨와 사라고사 등이 있으며, 지류 연안의 주요 도시로는 비토리아-가스테이스, 팜플로나, 리에이다 등이 있다.
아라곤 주에 들어서면 계곡의 폭이 넓어지고 수량이 증가하면서 에브로 강의 흐름은 느려진다. 피레네 산맥 중앙부와 이베리아 산맥에서 큰 지류를 모으지만, 특히 산맥에 쌓인 눈이 녹는 계절인 봄에는 많은 양의 물이 에브로 강으로 유입되어, 유역 최대 도시인 사라고사에서는 상당한 수량을 기록한다. 사라고사 하류 유역 일대에는 람사르 협약 등록지인 사스타고-부하랄로스 염류 평원es과 치프라나 염호es가 있다.[8][9]
카탈루냐 주에 들어서면 에브로 강 계곡은 좁아지고, 산지의 존재로 인해 곡류를 하게 된다. 이 지역에는 메키넨사 댐, 리바 로하 댐, 프리슈 댐 등 대규모 댐이 여러 개 건설되어 있다. 하류에 가까워지면 남쪽으로 방향을 바꿔 장대한 협곡을 흐른다. 칼보 산지에 있는 거대한 석회암 절벽 사이를 흐르며, 이 협곡은 에브로 강 계곡과 지중해 연안 지역을 분리하고 있다. 협곡을 빠져나오면 토르토사 근처에서 동쪽으로 방향을 바꿔 암포스타에서 에브로 삼각주에 들어선다.
카르스트 지형의 지질학적 형성 과정은 고대 해저에서 형성된 대규모 석회암 암반의 용해성 탄산염암층이라는 경관을 만들었다. 아라곤 지방(Aragón)에 따라 명명된 광물인 아라고나이트는 에브로 강 유역 중앙부에 탄산염이 풍부함을 증명한다. 유역의 대부분 토양은 원래 척박하며, 석회질이고 자갈과 돌이 많으며, 흔히 염분 농도가 높은 내륙호의 존재로 인해 염분을 함유하고 있다.
로그로뇨 근처에 있는 람사르 협약 등록지인 "라스 카냐스 저수지"와 염호인 라구아르디아 호수군영어에는 검은댕기흰죽지, 붉은왜가리, 쇠백로, 황새, 가마우지, 뿔가마우지 등의 조류가 서식하고 있다.[6][7]
; 에브로강 본류와 지류에 위치한 주요 도시
강 종류 | 도시명 | 주 |
---|---|---|
본류 | 레오사 | 칸타브리아주 |
본류 | 프리아스영어 | 카스티야 이 레온주 |
본류 | 미란다 데 에브로 | 카스티야 이 레온주 |
본류 | 아로 | 라 리오하주 |
본류 | 로그로뇨 | 라 리오하주 |
본류 | 칼라오라 | 라 리오하주 |
본류 | 알파로영어 | 라 리오하주 |
본류 | 투델라 | 나바라주 |
본류 | 알라곤영어 | 아라곤주 |
본류 | 우테보영어 | 아라곤주 |
본류 | 사라고사 | 아라곤주 |
본류 | 카스페영어 | 아라곤주 |
본류 | 플릭스영어 | 카탈루냐주 |
본류 | 토르토사 | 카탈루냐주 |
본류 | 암포스타 | 카탈루냐주 |
지류 | 비토리아-가스테이스 | 바스크주, 사도라강 연안 |
지류 | 에스테야 | 나바라주, 에가강 연안 |
지류 | 팜플로나 | 나바라주, 알가강 연안 |
지류 | 타파야 | 나바라주, 알가강 연안 |
지류 | 칼라타유드 | 아라곤주, 할론강 연안 |
지류 | 하카 | 아라곤주, 아라곤강 연안 |
지류 | 리에이다 | 카탈루냐주, 세그레강 연안 |
4. 1. 발원 및 상류


에브로 강의 발원지는 칸타브리아 산맥의 폰티브레(칸타브리아)이다. (폰티브레는 라틴어 Fontes Iberisla에서 유래했으며, '에브로 강의 발원지'를 의미한다.) 근처에는 댐 건설로 만들어진 큰 인공 호수인 에브로 댐(Embalse del Ebro)이 있다.
상류 에브로 강은 부르고스 주의 험준한 협곡을 급류를 이루며 흐른다. 대략 동쪽으로 흐르는 강은 하로(하로)의 콩차스(las conchas de Haro)es를 지나 라 리오하와 나바라에 이르면서 석회암 지대 사이로 더 넓은 강 계곡을 형성하기 시작한다. 남쪽 지류는 스페인 중부 산맥 중 하나인 이베리아 산맥의 인근 분수계에서 발원한다. 발원지 북쪽에는 빌바오와 산탄데르 남쪽에 있는 칸타브리아 산맥이 있다. 에브로 강의 총 유량의 상당 부분은 프랑스와의 국경을 따라 뻗어 있는 피레네 산맥 남쪽 사면의 약 2/3을 배수하는 북쪽 지류에서 온다.
4. 2. 지류
- 오카강
- 오하강
- 티론강
- 나헤릴라강
- 이레구아강
- 시다코스강
- 알라마강
- 할론강
- 우에르바강
- 마르틴강
- 과달로페강
- 마타라냐강
- 네라강
- 헤레아강
- 바야스강
- 사도라강
- 우리바리-감보아 저수지
- 에가강
- 아라곤강
- * 알가강
- ** 울르차마강
- * 이라티강
- * 예사 저수지
- * 베랄강
- 갈리에고강
- 세그레강
- * 그란 발리라강 : 안도라를 유역으로 한다.
- * 노게라 리바고르사나강
- * 신카강
4. 3. 하류 및 삼각주
에브로 강 삼각주는 지중해 연안 습지 중 가장 큰 규모로, 총면적은 320km2이다. 4세기경 항구도시였던 암포스타가 현재는 내륙에 위치한 것으로 보아, 삼각주는 오랜 시간에 걸쳐 지속적으로 확장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내륙에서 유입되는 토사와 파도의 침식 작용이 균형을 이루었기 때문이다.[13]

오늘날 에브로 삼각주는 쌀, 과일, 채소 재배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쌀과 감귤류 재배가 활발하다. 또한, 수많은 해변, 늪지, 소금 호수가 있어 300여 종의 조류가 서식하는 생태학적 보고이기도 하다.[2] 1983년, 스페인 정부는 이러한 자연환경을 보호하기 위해 삼각주 일대를 에브로 자연공원으로 지정하였다.[13]
지중해성 기후대의 생물군계는 다양하며, 지중해 삼림, 관목림 및 관목지가 포함된다. 내륙 지역은 마키(Maquis shrubland) 또는 가리그(garrigues)로 알려진 광대한 경엽(sclerophyll) 관목지로 인해 특히 독특하다. 건조 지역에서는 ''코르크참나무(Quercus coccifera)'', ''홀름오크(Quercus ilex)''가 우점종이다. 이 나무들은 단일종 군집 또는 ''소나무속(Pinus)'', 지중해 보리수나무속류, ''유칼립투스속(Myrtus)'', ''에스파르토(Chamaerops humilis)'', 측백나무속(juniper)류, ''피스타치아속(Pistacia)'', ''로즈마리(Rosmarinus)'', ''백리향속(Thymus)'' 등과 통합된 군집을 형성한다.
호염성생물(Halophile)은 내륙 석호와 그 지류 지역에 풍부하다. 갯질경이속(Tamarix)이 덮인 이 지역에는 선태식물(bryophyte)의 고유종, 명아주과 식물, 갯질경이과(plumbaginaceae) 식물, 수생식물, ''사초속(Carex)'', 부처꽃과 식물, 국화과 식물 등이 있다. 이러한 식물들의 존재는 계곡의 해양 기원과 광범위한 해양 퇴적물과 관련이 있다.
5. 기후
칸타브리아 지방 아래쪽 에브로 강 유역은 주변 산맥에 의해 해양 기단으로부터 고립되어 지중해성 기후/대서양성 기후와 대륙성 기후의 영향을 받는다. 이는 여름과 겨울의 계절적 대조와 다소 건조한 기후를 의미한다. 에브로 계곡의 여름은 대부분 반건조 기후와 유사하며, 폭풍이나 소나기가 자주 발생하는 해도 있고, 고급 관개 시설이 사용되는 지역을 제외하고는 건조 기후에 가까워 가뭄이 발생하는 해도 있다.
계곡의 범람원은 연간 300and(-)의 강수량을 경험하며, 가을과 봄에 최대 강수량을 보인다. 이 지역은 종종 차파랄 식생으로 덮여 있다. 여름은 덥고 겨울은 춥다. 건조한 여름철에는 기온이 35°C를 넘고, 때로는 40°C를 넘기도 한다. 겨울에는 기온이 0°C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가 많다. 일부 지역에서는 식생이 응결 안개에 의해 생성된 수분에 크게 의존한다. 극심한 기온 변화를 보이는 대륙성 지중해 기후이다. 맑은 밤에는 많은 서리가 내리고, 산발적인 눈이 내린다.
라 리오하 주(La Rioja)나 나바라 주(Navarra)와 같은 상류 지역은 대서양이나 지중해에서 멀리 떨어져 있으며, 해풍은 주변 산지에 의해 차단되기 때문에 기후는 점차 대륙성 기후가 된다. 여름의 극단적인 기온과 건조한 공기를 특징으로 하므로, 여름에는 건조하고 고온이 되며, 건조 기후나 반건조 기후 지역에서 볼 수 있는 여름과 비슷하다.
반건조성 에브로 강 유역 내륙부의 여름은 건조하며, 연 강수량은 400and(-)이고, 봄과 가을에 강수량이 가장 많은 반사막성 기후이다. 식생은 관목으로 뒤덮여 있다. 여름은 덥고 겨울은 춥다. 건조한 여름에는 최고 기온이 35°C 이상이 되며, 때때로 40°C를 넘는다. 겨울에는 최저 기온이 영하가 된다. 일부 지역에서는 식생이 짙은 안개에 의해 생성된 습도에 크게 의존한다. 밤에는 지면에 서리가 내리는 경우가 많고, 산발적으로 눈이 내리기도 한다.
6. 생태
에브로 강 유역은 다양한 지중해성 기후대의 생물군계를 보이며, 지중해 삼림, 관목림 및 관목지가 발달해 있다. 특히 내륙 지역은 마키(Maquis shrubland) 또는 가리그(garrigues)라고 불리는 경엽(sclerophyll) 관목지가 특징적이다. 건조한 지역에서는 코르크참나무(Quercus coccifera)와 홀름오크(Quercus ilex)가 우점종을 이루며, 소나무속(Pinus), 지중해 보리수나무속류, 유칼립투스속(Myrtus), 에스파르토(Chamaerops humilis), 측백나무속(juniper)류, 피스타치아속(Pistacia), 로즈마리(Rosmarinus), 백리향속(Thymus) 등과 함께 다양한 식물 군집을 형성한다.
내륙으로 갈수록 대륙성 기후가 강해지면서 식생도 변화한다. 느리게 자라는 왜성 주니퍼 종에서부터 "벨치테 평원(llanos de Belchite)"이나 "칼란다 사막(Calanda desert)"과 같이 식물이 거의 없는 사막 스텝까지 나타난다. 산악 지역에는 가뭄에 적응한 침엽수림과 더 습한 고지대에 주로 분포하는 참나무속(''참나무속(Quercus)'')이 우세하다.
호염성생물(Halophile)은 내륙 석호와 그 지류 지역에 풍부하게 나타난다. 갯질경이속(Tamarix)으로 덮인 이 지역에는 선태식물(bryophyte) 고유종, 명아주과 식물, 갯질경이과(plumbaginaceae) 식물, 수생식물, ''사초속(Carex)'', 부처꽃과 식물, 국화과 식물 등이 서식한다. 이러한 식물들은 에브로 강 유역의 해양 기원과 광범위한 해양 퇴적물과 관련이 있다.
카탈루냐에 진입하면서 에브로 강은 계곡이 좁아지고 산맥에 의해 제한되어 넓은 굽이를 형성한다. 이 지역에는 메키넨사 댐(Mequinenza Dam), 리바로자 데브레(Riba-roja d'Ebre) 댐, 플릭스(Flix, Spain) 댐 등 3개의 거대한 댐이 건설되었다. 강의 마지막 구간에서는 남쪽으로 굽어 장관을 이루는 협곡을 통과하며, 카르도 산맥(Serra de Cardó)의 석회암 절벽과 험준한 언덕이 지중해 연안 지역을 분리한다. 협곡을 지나면 에브로 강은 토르토사(Tortosa) 근처에서 다시 동쪽으로 굽어 강 삼각주(river delta)에 이르러 암포스타(Amposta) 근처의 타라고나 주(Tarragona (province))에서 지중해로 유입된다.
6. 1. 생태계 특징
에브로 강 삼각주는 지중해 연안 습지 중 가장 큰 규모로, 320km2에 달한다. 4세기경 항구도시 암포스타 건설 이후, 내륙 유입물과 파도의 침식 작용으로 삼각주 규모는 계속 커졌다.[13] 현재는 쌀, 과일, 채소 재배지로 활용되며, 다양한 해변과 염전, 300여 종의 조류가 서식한다. 스페인 정부는 1983년 이 일대를 에브로 자연공원으로 지정했다.[13]지중해성 기후대의 생물군계는 다양하며, 특히 경엽(sclerophyll) 관목지인 마키(Maquis shrubland) 또는 가리그(garrigues)가 특징적이다. 건조 지역에서는 코르크참나무(Quercus coccifera)와 홀름오크(Quercus ilex)가 우점종이며, 소나무속(Pinus), 지중해 보리수나무속류, 유칼립투스속(Myrtus), 에스파르토(Chamaerops humilis), 측백나무속(juniper)류 등과 군집을 이루기도 한다.
내륙으로 갈수록 대륙성 기후가 강해지면서 식생도 변화한다. 느리게 자라는 왜성 주니퍼 종부터 식물이 거의 없는 사막 스텝까지 나타난다. 산악 지역에는 가뭄에 강한 침엽수림과 습한 고지대의 참나무속(''참나무속(Quercus)'')이 주로 분포한다.
호염성생물(Halophile)은 내륙 석호와 지류 지역에 풍부하다. 갯질경이속(Tamarix)이 덮인 이 지역에는 선태식물(bryophyte) 고유종, 명아주과 식물, 갯질경이과(plumbaginaceae) 식물, 수생식물, ''사초속(Carex)'', 부처꽃과 식물, 국화과 식물 등이 서식한다.
학계와 지방 정부는 댐 건설, 인구, 공장, 농업 폐기물로 인한 오염, 침입종 유입으로 인한 토착종 멸종 등 생태계 영향을 우려하고 있다.
과거에는 많은 석호, 염수 연못, 담수 늪과 습지가 사라지고 하안림이 개간되었다. 이로 인해 많은 동식물 종이 사라졌고, 댐과 수력 운하 건설로 강의 역동성이 바뀌었다. 7802ha 규모의 에브로 삼각주 자연 공원은 8종의 식물과 69종의 척추동물에게 중요한 서식지이다. 95종의 번식 조류, 월동 조류, 철새의 중간 기착지 역할을 하며, 세계 최대 오두앵 갈매기 서식지 중 하나이다.
미국 가재 ''Procambarus clarkii'' 도입은 경제적 손실을 초래했고, 뉴트리아는 농작물과 국립공원에 피해를 주고 있다. 에브로 하류 물고기는 수은 함량이 높아 판매가 금지되기도 한다.
지브라 담치는 침입종으로 항만, 댐, 수력 발전소 기계류에 악영향을 미치고 토착종과 경쟁한다. 월가 메기 도입 후, 많은 어종의 개체 수가 감소했다. 특히 1990년경 중간 수로 에브로에서 ''Barbus'' 속의 일부 고유종은 완전히 사라졌다. 강의 생태계는 수생 식물, 해조류, 조류의 급격한 증가 문제도 안고 있다.
6. 2. 외래종 및 문제점
학계와 지방 정부는 에브로 강의 생태계에 대한 여러 문제점을 지적하고 있다. 주요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댐 건설
- 인구 증가로 인한 오염
- 공장 폐수
- 농업 폐기물
- 외래종 유입으로 인한 토착 생태계 파괴 및 생물 다양성 감소
과거에는 수많은 석호, 염수 연못, 담수 늪, 습지가 농경지나 펄프재 생산을 위한 조림지로 전환되면서 많은 동식물이 서식지를 잃었다. 댐과 수력 운하 건설은 강의 흐름을 변화시켜 새로운 사행천 형성을 막고, 기존 습지는 퇴적물로 메워지게 했다. 이러한 습지 중 일부는 보호되고 있지만, 여전히 많은 지역이 훼손된 상태이다.
에브로 삼각주 자연 공원은 7802ha 면적에 8종의 식물과 69종의 척추동물이 서식하는 국제적으로 중요한 지역이다. 약 95종의 번식 조류와 다양한 철새들이 이곳을 찾으며, 특히 세계 최대 규모의 오두앵갈매기 서식지 중 하나이다. 2006년에는 15,000쌍 이상의 오두앵갈매기가 관찰되기도 했다.
하지만 외래종 유입은 심각한 문제이다. 미국가재(''Procambarus clarkii'')는 토착종인 이베리아 가재를 몰아내고 생태계를 교란시키고 있다. 뉴트리아는 농작물과 보호 구역에 피해를 주고 있으며, 월가메기는 수은 함량이 높아 유럽 연합에서 판매가 금지되었다.[1] 지브라담치는 빠른 번식력으로 수중 시설물에 피해를 주고 토착종과 경쟁한다. 월가메기의 유입 이후, 특히 잉어과에 속하는 토착 어종인 ''Barbus'' 속 물고기들은 1990년대에 에브로 강 중간 수역에서 거의 사라졌다.[1] 월가메기가 서식하지 않는 상류 지역의 잉어과 어류는 영향을 받지 않았지만, 강의 생태계는 수생 식물, 해조류, 조류의 급격한 증가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1]
7. 유량
계곡이 넓어지면서 에브로 강의 흐름은 느려지고 수량은 증가하여 아라곤 지방을 가로질러 흐른다. 이곳에서는 피레네 산맥 중앙부와 이베리아 산맥에서 흘러드는 큰 지류들이 많은 양의 물을 방출하는데, 특히 봄철 산악지대의 눈이 녹는 계절에 그 양이 많다.
에브로 강은 길이 928km, 유역 면적 85550km2로 스페인에서 가장 중요한 강이다. 그러나 20세기 동안 평균 연간 유량은 댐 건설, 관개 수요 증가, 유역 저수지의 증발(낮은 강우량, 높은 일사량, 강하고 건조한 바람으로 인해 강우량보다 높음) 등 여러 원인으로 약 29% 감소했다. 이는 하천 방류량에 의해 주로 제어되는 수문 역학적 특성 때문에 강 하구의 삼각주 시스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하천 방류량 감소는 염수 쐐기가 강 상류로 더 진입하게 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평균 연간 하천 유량은 염수 쐐기의 형성과 분리를 결정하는 임계 유량과 거의 같다. 따라서 하천 방류량이 300m3/s~400m3/s인 경우 염수 쐐기는 하구의 마지막 5km를 차지할 수 있지만, 방류량이 100m3/s~300m3/s인 경우 염수 쐐기는 하구에서 최대 18km까지 진입할 수 있다. 100m3/s 미만인 경우 염수 쐐기는 빠르게 최대 범위까지 진입하여 하구에서 32km에 이른다. 평균 연간 유량 감소 외에도 에브로 유역의 강 규제 강화로 인해 유량 패턴의 일일 및 계절적 변화가 발생했다.
퇴적물 부하와 관련하여 여러 저자들은 지난 세기 동안 퇴적물 부하가 99% 이상 감소했다고 결론지었다. 퇴적물 수송의 급격한 감소는 삼각주의 퇴적물 부족을 의미하며, 이는 해안선 침식과 퇴적물 보충 부족을 야기한다. 불안정한 지표면은 기후 변화와 조석 폭풍 때문이다. 에브로 강은 때때로 홍수가 발생하지만, 유역 내 모니터링 결과 이제 사전 경고가 가능해졌다.
19세기 말 이후 홍수 시 사라고사의 강 유량은 다음과 같다.
연도 | 월 | 유량 |
---|---|---|
1888 | 3 | 3760m3/s |
1891 | 1 | 3250m3/s |
1892 | 2 | 3790m3/s |
1895 | 1 | 3118m3/s |
1930 | 3 | 3600m3/s |
1930 | 12 | 3000m3/s |
1937 | 10 | 3000m3/s |
1941 | 1 | 4000m3/s |
1952 | 2 | 3260m3/s |
1961 | 1 | 4130m3/s |
1966 | 11 | 3154m3/s |
1981 | 1 | 2940m3/s |
2003 | 2 | 2988m3/s |
2003 | 3 | 2220m3/s |
2007 | 4 | 2282m3/s |
2007년 3월 27일부터 4월 11일까지 에브로 강은 1874Mm3의 물을 삼각주로 방류했으며, 일일 평균 117Mm3였다.
8. 문화
어니스트 헤밍웨이의 단편 소설 『흰 코끼리 같은 언덕』은 에브로강 계곡을 무대로 하고 있다.[1]
Hills Like White Elephants|힐스 라이크 화이트 엘리펀츠영어의 머리말 부분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나온다.[1]
> 에브로 강 계곡 건너편 언덕은 오랫동안 하얗게 빛나고 있었다. 이쪽에는 그늘도, 나무도 없이, 역사 햇볕을 받으며 두 개의 선로 사이에 있었다. 역사의 측면에 바싹 붙어서, 건물의 그림자가 따스하게 드리워져 있었다. 대나무를 엮어 만든 발이 술집으로 통하는 활짝 열린 문간에 걸려 파리를 막고 있었다.
참조
[1]
웹사이트
Andorra
https://www.fao.org/[...]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2022-03-14
[2]
웹사이트
Ebro River Delta, Northeastern Spain
https://web.archive.[...]
NASA Earth Observatory
2006-05-24
[3]
웹사이트
Ebro Delta Natural Park
http://www.audouinbi[...]
[4]
서적
The Hereford Map: A Transcription and Translation of the Legends With Commentary
Brepols
2001
[5]
서적
The Hereford Map: A Transcription and Translation of the Legends With Commentary
Brepols
2001
[6]
웹사이트
Embalse de las Cañas Ramsar Sites Information Service
https://rsis.ramsar.[...]
2023-03-18
[7]
웹사이트
Lagunas de Laguardia Ramsar Sites Information Service
https://rsis.ramsar.[...]
2023-03-18
[8]
웹사이트
Saladas de Sástago-Bujaraloz Ramsar Sites Information Service
https://rsis.ramsar.[...]
2023-03-18
[9]
웹사이트
Laguna de Chiprana Ramsar Sites Information Service
https://rsis.ramsar.[...]
2023-03-18
[10]
웹사이트
Terres de l’Ebre Biosphere Reserve, Spain
https://en.unesco.or[...]
2019-02-26
[11]
웹사이트
Ebro Delta Natural Park
http://www.audouinbi[...]
[12]
웹사이트
Delta del Ebro Ramsar Sites Information Service
https://rsis.ramsar.[...]
2023-03-18
[13]
웹인용
Audouin Birding Tours: Birdwatching in the Ebro Delta, Spain - an excellent wetland birding site
https://web.archive.[...]
2008-02-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