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엘렉트리오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엘렉트리오네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인물로, 헬리오스와 로도스 사이에서 태어났다. 헬리오스는 헬리아데스의 아버지이며, 엘렉트리오네는 그리스 바다의 신들 가계도에 포함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로도스 신화 - 틀레폴레모스
    헤라클레스의 아들 틀레폴레모스는 외삼촌 살해 후 로도스로 도망쳐 세 도시 국가를 건설하고 트로이 전쟁에 참전했다가 사르페돈에게 죽임당했으며, 로도스인들은 그를 기리기 위한 신전을 세웠다.
  • 로도스 신화 - 텔키네스
    텔키네스는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로도스 섬 출신의 아홉 정령으로, 물갈퀴 달린 손과 개의 머리를 가진 모습으로 묘사되거나 야금술과 마법 능력이 뛰어나 신들의 무기를 만들고 날씨를 조종하기도 하지만, 신들과 갈등을 겪어 몰락했다는 설화도 존재한다.
  • 그리스 신화의 처녀신 - 아르테미스
    아르테미스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사냥, 야생, 순결, 달, 출산의 여신이며, 아폴론의 쌍둥이 자매로 님프들과 함께 사냥을 즐겼고, 고대 그리스 전역에서 숭배되었으며, 예술 작품에서는 사냥개, 사슴, 활과 화살을 든 모습으로 묘사된다.
  • 그리스 신화의 처녀신 - 아테나
    아테나는 그리스 신화에서 지혜, 전략적 전투, 공예의 여신이자 아테네의 수호신으로, 제우스의 머리에서 탄생했으며 그리스 문화와 역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예술과 문학에서 상징으로 남아있다.
  • 헬리오스의 자식 - 파시파에
    파시파에는 그리스 신화에서 태양신 헬리오스와 페르세의 딸이자 미노스 왕의 아내로, 흰 소에 대한 욕망으로 미노타우로스를 낳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달 또는 태양 여신으로 숭배받기도 하고 현대 문화에서 다양한 영감을 주는 존재로 재해석된다.
  • 헬리오스의 자식 - 파에톤
    파에톤은 그리스 신화에서 태양신 아폴론의 아들로, 태양 마차를 몰다 재앙을 일으켜 제우스의 벼락에 맞아 죽는 비극적인 인물이며, 그의 이야기는 자연 현상에 대한 설명과 인간의 오만함에 대한 경고를 담고 있다.
엘렉트리오네
기본 정보
이름엘렉트리오네
그리스어Ἠλεκτρύωνη
로마자 표기Ēlektrúōnē
성별여성
가족 관계
아버지헬리오스 또는 라오메돈
어머니로도페 또는 칼리안드라
배우자펠롭스
자녀알크메네
아르게이오스
알카토오스
디아스
코린토스
히파르케스
리시디케
니키페
형제자매람포스
부콜리온
트라가소스
클리티오스
신화
관련 신화펠롭스의 아내
알크메네의 어머니
기타
특징태양신의 딸, 아름다운 여인

2. 가계도

그리스 바다의 신들
가이아우라노스
오케아노스테티스폰토스탈라사
포타모이오케아니데스colspan="2" style="border-top: 1px solid black;" |네레우스타우마스포르키스~|~|케토에우리비아할리아포세이돈아프로디테[4]
colspan="24" style="border-top: 1px solid black;" |에키드나고르곤그라이아이라돈헤스페리데스토오사[5]로도스텔킨헬리오스엘렉트리오네
colspan="27" style="border-top: 1px solid black;" |스테노데이노헬리아데스
colspan="27" style="border-top: 1px solid black;" |에우리알레에니오
colspan="27" style="border-top: 1px solid black;" |메두사[6]펨프레도


2. 1. 개요

2. 2. 상세 가계도



엘렉트리오네는 헬리오스와 로도스사이에서 태어났다.[5] 헬리오스는 헬리아데스의 아버지이다.[5]

스테노, 에우리알레, 메두사[6]는 고르곤이다. 데이노, 에니오, 펨프레도는 그라이아이이다.

포세이돈은 할리아와 관계를 가졌다. 아프로디테[4], 케토, 에우리비아, 네레우스, 포르키스, 텔킨, 타우마스폰토스의 자식들이다.

에키드나, 고르곤, 그라이아이, 라돈, 헤스페리데스, 토오사[5], 세이렌은 포르키스케토의 자식들이다.

오케아노스는 오케아니데스와 포타모이의 아버지이다. 탈라사는 폰토스와 관계를 가졌다. 테티스는 오케아노스의 아내이다.

3. 숭배

4. 어원

5. 한국과의 관계

6. 같이 보기

참조

[1] 문서 Scholia on Pindar, Olympian Odes 7.24
[2] 문서 Diodorus Siculus https://penelope.uch[...]
[3] 웹사이트 Regulations for Visitors to the Temple of Alectrona at Ialysus http://clas-pages.un[...]
[4] 인용 There are two major conflicting stories for Aphrodite's origins: Hesiod (Theogony) claims that she was "born" from the foam of the sea after Cronus castrated Uranus, thus making her Uranus' daughter; but Homer (Iliad, book V) has Aphrodite as daughter of Zeus and Dione. According to Plato (Symposium 180e), the two were entirely separate entities: Aphrodite#Forms of Aphrodite|''Aphrodite Ourania'' and ''Aphrodite Pandemos''.
[5] 문서 Homer, Odyssey http://data.perseus.[...]
[6] 문서 Most sources describe Medusa as the daughter of Phorcys and Ceto, though the author Hyginus (Fabulae Preface) makes Medusa the daughter of Gorgon and Ceto.
[7] 서적 The Library of History http://penelope.uch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