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엠바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엠바 강은 카자흐스탄 서부를 흐르는 강으로, 아크토베주와 아티라우주를 지난다. 무고자르 언덕에서 발원하여 카스피해로 흘러들어가지만, 수량이 적은 시기에는 염습지에서 소멸되기도 하며, 11월부터 3월까지는 결빙된다. 엠바 강 하류 유역에는 엠바 유전이 있어 석유와 천연 가스를 산출하며, 과거에는 유럽과 아시아의 지리적 경계로 여겨지기도 했다. 엠바 유전 개발과 관련하여 알겜바 철도 및 파이프라인 건설이 시도되었으나 실패했고, 엠비와 젬이 엠바 강변에 위치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카스피해 수계 - 볼가강
    볼가강은 유럽에서 가장 긴 강이자 러시아의 주요 수계로서, 다양한 민족의 역사와 풍부한 자원을 품고 있으며, 소련 시대 댐 건설로 수력 발전과 수운이 발달했지만 환경 오염이라는 문제도 안고 있는 러시아의 중요한 상징이다.
  • 카스피해 수계 - 테레크강
    조지아 카즈베크산에서 발원하여 카스피해로 흘러드는 테레크강은 북코카서스 지역의 주요 도시를 거쳐 흐르며, 수위 상승과 역사적 부침, 그리고 현대의 에너지 개발 및 환경 문제와 관련된 특징을 지닌다.
  • 카자흐스탄의 강 - 시르다리야강
    시르다리야강은 톈산산맥에서 발원하여 아랄해로 흘러드는 중앙아시아의 주요 강으로, 농업 관개에 중요한 역할을 했지만 과도한 물 사용으로 아랄해 축소에 영향을 미쳤다.
  • 카자흐스탄의 강 - 일리강
엠바강
지리 정보
위치카자흐스탄 서부
하구카스피해
일반 정보
다른 이름옘비 (예전 이름)
젬 (카자흐어)
엠바 강 (영어)
레카 엠바 (러시아어)
길이712 km
유역 면적40,400 제곱킬로미터
수문학적 정보
발원지무고자르 언덕
하구 좌표좌표: 46°37′42″N 53°19′02″E
국가
국가카자흐스탄

2. 지리

엠바 강(р. Эмба)의 위치


카자흐스탄 서부, 아크토베주에 위치한 무고자르 언덕 서쪽 사면에서 발원하여 남서쪽으로 흐르며, 아티라우주로 이어진다. 강의 길이는 712km에 달한다.[4] 4월부터 5월까지 수량이 많은 시기에는 카스피해로 유입되지만, 그 외 수량이 적은 시기에는 카스피해 연안 저지대의 염습지에서 소멸된다. 또한 11월부터 3월까지는 강물이 얼어붙는다. 연간 총 유량의 75%가 봄철에 흐르며, 봄철 이외에는 거의 건천이 되거나, 염분 농도가 높아진다.[4][6]

상류 연안에는 엠비 시가 있다.[7] 상류에서 중류 유역은 스텝 식생 지대이며, 하류부는 소론차크질 토양이 된다.[6]

하류 유역의 엠바 분지에는 암염 돔이 풍부하게 존재하며, 석유와 천연 가스를 산출하는 엠바 유전이 있다. 이 유전은 동쪽의 무고자르 언덕과 서쪽의 볼가강 사이에 위치해 있다. 이 지역은 옛날부터 "마일리 키안"으로 알려져 왔는데, 이는 '기적의 기름이 축복받은 땅'을 의미한다. 17세기 중반에는 영국 상인 고크가 여행 중 엠바강 근처에서 물 대신 기름이 솟아나는 샘을 발견했다고 기록하기도 했다.[2] 엠바 유전의 본격적인 채굴은 1911년에 시작되었으며, 이곳에서 생산되는 석유는 유황 성분이 적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1979년 이후에는 카라톤(Qaraton) 주변에서 새로운 유층이 발견되어 텡기스 유전이 개발되고 있다. 채굴된 석유는 아티라우에서 석유 정제 과정을 거치며, 파이프라인 수송을 통해 러시아오르스크중화인민공화국으로 보내진다.[4][8][7] 한편, 1919년에서 1921년 사이 볼셰비키 정권은 새로 점령한 유전의 석유를 러시아 중심부로 운송하기 위해 알렉산드로프 가이에서 알겜바까지 철도 및 파이프라인 건설을 시도했으나, 물류 문제로 인해 실패하고 많은 사상자를 냈다.[3]

과거에는 우랄 산맥에서 엠바 강을 거쳐 카스피해까지 이어지는 선이 유럽아시아의 지리적 경계로 간주되어 엠바 강 서쪽을 유럽으로 여기기도 했으나, 현재 이 구분은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9] 오늘날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유럽과 아시아의 경계선은 우랄강 또는 카자흐스탄과 러시아의 국경이다.[10][11]

3. 엠바 유전



엠바 유전은 동쪽의 무고자르 언덕과 서쪽의 볼가강 사이에 위치해 있다. 이 지역은 오래전부터 "마일리 키안"으로 알려져 왔는데, 이는 기적의 기름이 나는 축복받은 땅이라는 뜻이다. 17세기 중반 영국의 상인 고크는 여행 중 엠바강 근처에서 물 대신 기름이 솟아나는 샘을 발견했다고 기록했다.[2]

엠바강 하류 유역의 엠바 분지에는 암염 돔이 풍부하게 존재하며, 이곳에서는 석유와 천연 가스가 생산된다. 엠바 유전에서 석유 채굴은 1911년에 시작되었으며, 생산되는 석유는 유황 성분이 적은 것으로 알려졌다. 1979년 이후에는 카라톤(Qaraton) 주변에서 새로운 유층이 발견되어 텡기스 유전이 개발되고 있다. 채굴된 석유는 아티라우에서 석유 정제 과정을 거쳐, 파이프라인 수송을 통해 러시아오르스크중화인민공화국으로 보내진다.[4][8][7]

러시아 내전 중인 1919년, 미하일 프룬제가 이끄는 적군이 엠바 유전을 점령하고 대량의 원유를 확보했으나, 이를 러시아 중심부로 수송할 마땅한 방법이 없었다. 이에 볼셰비키 정부는 같은 해 12월, 당시 알렉산드로프 가이(Александров Гай|알렉산드로프 가이ru)까지 연결되어 있던 철도 노선을 엠바강까지 연장하기로 결정했다. 이듬해인 1920년에는 철도를 따라 파이프라인을 설치하는 계획도 추가되었다. 이 계획은 두 지명의 머리글자를 따 Алгемба|알겜바ru 프로젝트로 불렸다.[3][12]

건설 공사에는 사라토프사마라 등지에서 약 4만 5천 명의 주민이 강제 동원되어 대부분 수작업으로 이루어졌다. 하지만 식량과 물이 부족한 황무지에서 전염병까지 유행하는 등 열악한 환경 탓에 공사는 큰 어려움을 겪었다. 파이프라인 건설에 필요한 기술과 자재도 부족했고, 공사 시작 4개월 만인 1920년 4월, 바쿠그로즈니 유전이 적군에게 넘어가면서 엠바 유전의 석유 수송 필요성도 줄어들었다. 그럼에도 블라디미르 레닌은 이 무모한 공사를 계속 추진하라고 주장했다. 현장에서는 추위와 굶주림, 콜레라 등으로 매일 수백 명이 목숨을 잃는 비극이 이어졌다.[12][13]

결국 1921년 10월 레닌의 지시로 공사는 중단되었고, 철도와 파이프라인 모두 미완성 상태로 남겨졌다. 1년 반 동안 진행된 알겜바 프로젝트의 희생자는 약 3만 5천 명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정부가 투입한 건설 자금 10억러시아 루블의 행방도 불분명하여 일부는 국외로 유출되었을 것이라는 의혹도 제기되었다.[12][13]

4. 알겜바 (Алгемба)

러시아 내전1919년 미하일 프룬제가 이끄는 적군은 엠바 유전을 점령하여 대량의 원유를 확보했지만, 이를 러시아 중심부로 운송할 방법이 없었다.[3] 같은 해 12월, 볼셰비키는 알렉산드로프 가이까지 연결된 기존 철도 노선을 엠바강까지 연장하기로 결정했다. 이듬해인 1920년에는 철도를 따라 파이프라인 설치 계획도 추가되었다. 이 계획은 Александров Гай|알렉산드로프 가이rus의 머리글자('''Ал'''ександров '''Г'''ай)와 엠바강('''Эмба''')의 이름을 합쳐 "Алгемба|알겜바rus" (Алгемба)라고 불렸다.

건설 공사에는 사라토프사마라 등지에서 강제로 동원된 주민 4만 5천 명이 투입되어 대부분 수작업으로 진행되었다. 그러나 식량과 물이 부족한 황무지에서 콜레라와 같은 감염병이 유행하는 등 매우 열악한 환경 속에서 공사는 어려움을 겪었다. 파이프라인 건설에 필요한 기술과 자재도 부족했다. 공사가 시작된 지 4개월 후인 1920년 4월, 적군이 바쿠그로즈니 유전을 점령하면서 엠바 유전의 석유 수송 필요성은 크게 줄어들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블라디미르 레닌은 이 무모한 공사를 계속 추진할 것을 주장했고, 현장에서는 추위와 굶주림, 질병으로 매일 수백 명의 노동자가 사망하는 비극이 발생했다.

결국 1921년 10월, 레닌의 지시로 공사는 중단되었고, 철도와 파이프라인 모두 완성되지 못한 채 남겨졌다. 1년 반 동안 진행된 알겜바 건설 과정에서 약 3만 5천 명에 달하는 희생자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정부가 건설 자금으로 투입한 10억러시아 루블의 정확한 사용처는 밝혀지지 않았으며, 일부 자금이 국외로 빼돌려졌다는 의혹도 제기되었다.[12][13]

5. 유럽-아시아 경계 논란

과거에는 우랄 산맥에서 엠바 강을 잇는 선이 카스피해까지 이어지는 선을 유럽아시아의 지리적인 경계선으로 간주하기도 했다. 이 기준에 따르면 엠바 강 서쪽은 유럽으로 여겨졌으나, 현재 이러한 구분은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9]。 오늘날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유럽과 아시아의 경계선은 우랄강 또는 카자흐스탄러시아의 국경이다[10][11]

6. 엠바 강변의 장소


  • 엠비: 엠바강 상류 연안에 위치한 마을이다.[7]

참조

[1] 백과사전 Эмба (река) http://bse.sci-lib.c[...]
[2] 서적 The Caspian Sea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3-07-26
[3] 웹사이트 Кровавые стройки века http://www.historylo[...] 2015-08-17
[4] 서적 世界地名大事典 2017
[5] 웹사이트 カザフスタン共和国とは http://www.embassyin[...] 2020-11-03
[6] 서적 日本大百科全書 1985
[7] 서적 ブリタニカ 1991
[8] 서적 コンサイス 外国地名事典 1998
[9] 웹사이트 ヨーロッパ https://kotobank.jp/[...] 2020-11-03
[10] 웹사이트 北海道大学グローバルCOEプログラム 中央アジア http://src-h.slav.ho[...] 2020-11-04
[11] 논문 中央アジア及びカフカス地域の自然景観と石油資源(その1) https://libir.josai.[...] 1998-09
[12] 뉴스 ЗАГАДКА АЛГЕМБЫ https://archive.is/2[...] Родина 2008-10
[13] 웹사이트 Кровавые стройки века http://www.historylo[...] 2009-07-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