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의 선거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여성의 선거권은 여성에게 투표할 권리를 부여하는 운동과 그 결과로, 18세기 프랑스 혁명 시기에 시작되어 19세기 후반부터 여러 국가에서 제한적으로 허용되었다. 뉴질랜드는 1893년 독립국 중 최초로 여성에게 투표권을 부여했으며, 이후 오스트레일리아, 핀란드 등에서 여성의 선거권과 피선거권이 동시에 인정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전후로 여러 국가에서 여성 선거권이 확대되었고, 대한민국은 1948년에 여성에게 선거권을 부여했다. 여성 참정권 운동은 다양한 사조와 인물들을 통해 발전했으며, 현재까지도 여성의 사회적 지위 향상, 차별 개선을 위한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여성선거권 - 미국 수정 헌법 제19조
미국 수정 헌법 제19조는 성별에 따른 투표권의 부정 또는 제한을 금지하는 헌법 조항으로, 여성 참정권을 보장하기 위한 노력의 결과로 1920년에 비준되어 미국 여성의 정치 참여 확대에 기여했지만, 모든 여성에게 즉각적인 투표권 확대를 가져오지는 못했다. - 여성선거권 - 노부인의 방문
억만장자가 된 노부인이 고향에 돌아와 과거의 복수를 계획하는 이야기를 그린 뒤렌마트의 희곡 《노부인의 방문》은 돈의 힘과 인간의 타락을 비판하며 정의의 의미를 묻는 작품으로, 다양한 형태로 각색되어 공연되었다. - 여성의 권리 - 올랭프 드 구주
프랑스 혁명 시대 작가이자 여성 인권 운동가인 올랭프 드 구주는 '여성과 여성 시민의 권리 선언'을 통해 여성의 권리 신장을 촉구하고 노예제 폐지 등을 주장했으나, 반혁명 혐의로 처형당했다. - 여성의 권리 - 국제 여성의 날
국제 여성의 날은 매년 3월 8일에 여성의 사회, 경제, 정치적 성취를 기념하고 권리 향상과 세계 평화를 위해 기념되는 날로, 1909년 제2인터내셔널에서 시작되어 유엔에 의해 국제적으로 확산되었으나 상업적 이용과 과거 공산주의 정권과의 연관성에 대한 비판도 있다.
여성의 선거권 |
---|
2. 역사
프랑스 혁명 당시 니콜라 드 콩도르세와 올랭프 드 구주 등이 여성의 선거권을 주장하면서 근대 여성 선거권 운동이 시작되었다.[19] 19세기 후반, 여러 나라에서 제한적으로 여성의 선거권이 허용되기 시작했다.
스웨덴의 경우, 자유 시대(1718~1771)의 영향으로 일부 여성에게 선거권이 주어졌다.[1] 그밖에 1755년에 코르시카 공화국, 1833년에 핏케언 제도, 1881년에 맨섬, 1889년에 프랑스빌 등에서도 여성에게 선거권을 부여했다. 하지만 이들 나라는 짧은 기간 동안만 존재했거나, 독립국은 아니었다.
1756년, 리디아 태프트는 식민지 북아메리카에서는 처음으로 합법적으로 투표에 참여했다.[22][23] 영국령인 메사추세츠 식민지의 뉴잉글랜드 타운미팅에서 3건 이상의 표결에 참여했다. 뉴저지주에서는 재산을 가진 미혼 여성에 대해 1776년부터 1807년까지 선거권을 인정했다.[24]
1792년 시에라리온의 선거에서는 집안의 가장은 선거에 참여할 수 있었으며, 그 중 1/3은 여성이었다.[25] 핏케언 제도의 바운티 호의 반란 여성 후손들은 1838년 이후 투표에 참여할 수 있었으며, 오스트레일리아령인 노퍽섬으로 이주한 후에도 선거권을 유지했다.[26]
1840년 하와이 왕국 헌법은 하원(House of Representatives)을 설립했지만, 누가 하원 선거에 참여할 자격이 있는지 명시하지 않았다. 일부 학자들은 여성들이 첫 선거에서 투표할 수 있었다고 주장하지만, 이 해석은 논란의 여지가 있다.[33] 1852년 두 번째 헌법은 투표권이 20세 이상 남성으로 제한된다고 명시했다.[27]
콜롬비아의 누에바 그라나다 공화국 베레즈 주의 1853년 헌법은 기혼 여성 또는 21세 이상의 여성에게 주 내에서 투표할 권리를 부여했다. 그러나 이 법은 이후 콜롬비아 최고 법원에 의해 무효화되었다.[34][35][36]
현대 민주주의의 출현은 일반적으로 여성 시민보다 남성 시민이 먼저 투표권을 얻으면서 시작되었지만, 하와이 왕국에서는 예외적으로 1840년에 성별에 대한 언급 없이 보통 선거가 도입되었다. 그러나 1852년 헌법 개정을 통해 여성 투표가 폐지되었고, 남성 투표에 재산 자격이 부여되었다.[27]
현재 존재하는 독립국 중에는 1893년 뉴질랜드에서 처음으로 투표권이 주어졌다.[26][269] 당시 뉴질랜드는 영국의 자치령이었다. 제한없는 선거권이 여성에게 주어졌으나, 처음에는 피선거권이 주어지지 않았다. 영국의 보호령이던 쿡 제도도 1893년 뉴질랜드를 따라 여성에게 선거권이 주어졌다.[38]
영국의 자치령이던 남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1894년 여성에게 선거권이 주어졌는데, 식민지 의회에 입후보할 수 있는 피선거권도 함께 주어졌다.[4][5] 1901년 오스트레일리아가 독립하면서, 일부 주에서는 여성에게 선거권과 피선거권이 주어졌다. 오스트레일리아 의회는 1902년 모든 성인 여성에게 선거권을 부여하는 법안을 통과시켰다. 최초로, 여성의 선거권과 피선거권을 동시에 도입했다. 핀란드는 1905년 총파업 이후 여러 개혁이 이루어졌고, 그 일환으로 1906년 여성에게 선거권과 피선거권을 부여했다. 여성이 의원으로 처음 선출된 것도 핀란드였다. 1907년 총선에서 19명의 여성의 핀란드 의회의 의원으로 선출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전에 1913년에 노르웨이와 1915년에 덴마크에서도 여성에게 선거권이 주어졌다. 1차 대전이 끝날 무렵, 캐나다와 러시아, 독일, 폴란드에서도 여성 선거권이 주어졌다. 1918년에는 영국에서 30세 이상의 여성에게 선거권이 주어졌다. 1919년에는 네덜란드, 1920년에는 미국에서 선거권이 주어졌다. 튀르키예에서는 1926년 선거권이 주어졌다. 1928년에는 영국에서 남성과 마찬가지로 21세 이상의 여성에게 동등한 선거권이 부여되었다.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해방 이후 실시된 첫 선거부터 각각 1948년, 1946년에 여성에게 선거권이 주어졌다.
선거권 운동은 다양한 견해를 가진 여성과 남성으로 구성된 광범위한 운동이었다. 다양성 측면에서 20세기 여성 선거권 운동의 가장 큰 성과는 매우 광범위한 계층 기반을 갖추었다는 점이다.[47] 특히 영국에서 가장 큰 분열은 헌법적으로 변화를 추구하는 선거권 옹호론자와 1903년 더욱 과격한 여성사회정치연합을 결성한 영국 정치 운동가 에멀린 팽크허스트가 이끄는 서프러제트 사이에서 발생했다.[48] 팽크허스트는 "말이 아닌 행동"을 조직의 모토로 삼아 여성 참정권 문제에 대한 행동 외에는 그 어떤 것에도 만족하지 않을 것이다.[49][50]
엘리자베스 캐디 스탠턴과 루크레시아 모트는 1848년 7월에 여성 권리 협약을 조직한 최초의 두 여성이다. 수전 B. 앤서니는 나중에 이 운동에 합류하여 1869년 5월에 전국 여성 선거권 협회(NWSA)를 결성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이들의 목표는 여성에 대해 언급하거나 포함하지 않은 제15차 수정 헌법을 변경하는 것이었고, 이 때문에 NWSA는 이에 반대했다. 동시에 제15차 수정 헌법을 지지하는 다른 여성 단체가 있었고, 이들은 미국 여성 선거권 협회(AWSA)라고 불렀다. 미국 여성 선거권 협회는 루시 스톤, 줄리아 워드 하우, 토머스 웬트워스 히긴슨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지역 수준에서 접근 권한을 얻는 데 더 집중했다.[51] 두 단체는 통합되어 전국 미국 여성 선거권 협회(NAWSA)라고 불렀다.[51]
1873년 미국에서 설립된 여성 기독교 금주 연합 (WCTU)은 매춘 여성의 처우 개선과 더불어 여성 선거권을 위해 캠페인을 벌였다.[52][53] 프랜시스 윌라드의 지도 아래 "WCTU는 당시 가장 큰 여성 단체가 되었으며 현재 미국에서 가장 오래 지속되는 여성 단체이다."[54]
또한 "여성의 지위"에 대한 다양한 견해가 있었다. 선거권 옹호론자들의 주제에는 종종 여성이 본질적으로 더 친절하고 어린이와 노인에 대해 더 관심을 가진다는 생각이 포함되었다. Kraditor가 보여주듯이, 여성 유권자가 정치에 문명화의 영향을 미쳐 가정 폭력, 술에 반대하고 청결함과 공동체를 강조할 것이라고 종종 추정되었다. Kraditor는 반대되는 주제는 여성이 동일한 도덕적 기준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들은 모든 면에서 평등해야 하며 여성의 "자연스러운 역할"과 같은 것은 없었다.[55][56]
미국 흑인 여성에게 선거권 획득은 자신의 인종 남성의 참정권 박탈에 대응하는 방법이었다.[57] 이러한 좌절에도 불구하고 흑인 선거권 운동가들은 평등한 정치적 권리를 계속 주장했다. 1890년대부터 아프리카계 미국 여성들은 자체 클럽과 선거권 단체 내에서 정치적 권리를 적극적으로 주장하기 시작했다.[58] "자연적이고 습득된 모든 이점을 가진 백인 미국 여성도 투표가 필요한데," 앨라배마주 터스키기의 아델라 헌트 로건은 주장했다. "흑인 미국인 남성과 여성은 생명, 자유, 행복 추구를 보장하는 데 투표의 강력한 방어가 얼마나 더 필요하겠는가?"[57]
thumb
- 전통적으로, 체로키[345], 호피[346], 나바호[347] 등 아메리카 원주민 여성은 남성과 마찬가지로 정치에 참여했다. 미국 남서부의 부족에서는 여성도 족장으로 선출되었다[348] . 1450년경에 성립된 이로쿼이 연맹에 이르러서는 현재에 이르기까지[349] 족장의 임면권에서 여성이 남성을 능가한다(족장 자체는 남성에 한정되지만, 족장은 다른 씨족원에 대해 권리에서 우월하지 않으며, 씨족 전체의 의사와 파면권을 가진 여성의 의사를 존중해야 한다)[350] . 와이앤도트족 여성도 남성 족장의 임면권을 쥐고 있었다[351] .
- 1893년 뉴질랜드 (당시는 영국 자치령, 피선거권은 1919년부터)
- 1902년 오스트레일리아
- 1906년 핀란드 (당시는 러시아 제국령 핀란드 대공국, 처음으로 여성에게 피선거권이 인정됨)
- 1913년 노르웨이 (남성 참정권으로부터 100년 후인 6월 11일)[352]
- 1915년 덴마크, 아이슬란드
- 1918년 소비에트 연방 (당시는 러시아 사회주의 연방 소비에트 공화국, 현재의 러시아), 오스트리아, 영국 (남성에 한해 보통 선거권, 여성에게는 제한 선거권. 완전 평등은 각각 20, 19, 28년)
- 1919년 독일 (당시는 독일국), 네덜란드, 폴란드, 체코슬로바키아
- 1920년 미국 (주에 따라서는 국정 선거를 포함하여 그 이전부터 실시, 와이오밍주에서는 1869년부터 실시), 캐나다 (완전 실시)
- 1921년 스웨덴
- 1924년 몽골
- 1927년 우루과이[353]
- 1929년 에콰도르[354]
- 1930년 남아프리카 공화국 (단, 백인만)
- 1931년 포르투갈, 스리랑카 (당시는 영국령 실론)
- 1932년 스페인, 타이, 브라질[354]
- 1934년 터키, 쿠바[354]
- 1942년 도미니카 공화국[354]
- 1945년 헝가리, 일본, 베트남 (당시의 북베트남 지역), 유고슬라비아, 프랑스
- 1946년 알바니아, 시리아, 라이베리아, 파나마, 루마니아, 이탈리아
- 1947년 중화민국 (1949년 이후는 타이완 지역에 거의 한정), 아르헨티나[354], 베네수엘라[354]
- 1948년 벨기에, 이스라엘,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코스타리카[354], 칠레[354]
- 1950년 인도, 엘살바도르[354], 아이티[354], 가나 (당시는 영국령 골드코스트)
- 1951년 네팔
- 1952년 그리스, 볼리비아[354]
- 1953년 멕시코[354], 자메이카, 콜롬비아[354]
- 1955년 에티오피아, 온두라스[354], 페루[354], 니카라과[354]
- 1956년 이집트, 파키스탄, 캄보디아, 라오스, 세네갈 (당시는 프랑스령 서아프리카)
- 1957년 말레이시아, 레바논
- 1959년 싱가포르, 브루나이 (영국 자치령), 키프로스 (당시는 영국령), 모로코
- 1961년 파라과이[354]
- 1962년 알제리, 우간다
- 1963년 케냐, 이란, 리비아
- 1964년 수단, 잠비아
- 1965년 아프가니스탄, 과테말라
- 1972년 방글라데시
- 1974년 요르단
- 1977년 나이지리아
- 1979년 짐바브웨
- 1984년 리히텐슈타인
- 1991년 스위스
- 2002년 바레인, 오만
- 2003년 카타르
- 2005년 이라크, 쿠웨이트 (2007년 선거부터)
- 2006년 아랍에미리트 (제한적이었으나 2010년에 완전화)
- 2008년 부탄
- 2015년 사우디 아라비아
2. 1. 서구권의 여성 참정권 운동
프랑스 혁명 당시 니콜라 드 콩도르세와 올랭프 드 구주 등이 여성의 선거권을 주장하면서 근대 여성 선거권 운동이 시작되었다.[19] 19세기 후반, 여러 나라에서 제한적으로 여성의 선거권이 허용되기 시작했다.스웨덴의 경우, 자유 시대(1718~1771)의 영향으로 일부 여성에게 선거권이 주어졌다.[1] 그밖에 1755년에 코르시카 공화국, 1833년에 핏케언 제도, 1881년에 맨섬, 1889년에 프랑스빌 등에서도 여성에게 선거권을 부여했다. 하지만 이들 나라는 짧은 기간 동안만 존재했거나, 독립국은 아니었다.
1756년, 리디아 태프트는 식민지 북아메리카에서는 처음으로 합법적으로 투표에 참여했다.[22][23] 영국령인 메사추세츠 식민지의 뉴잉글랜드 타운미팅에서 3건 이상의 표결에 참여했다. 뉴저지주에서는 재산을 가진 미혼 여성에 대해 1776년부터 1807년까지 선거권을 인정했다.[24]
1792년 시에라리온의 선거에서는 집안의 가장은 선거에 참여할 수 있었으며, 그 중 1/3은 여성이었다.[25] 핏케언 제도의 바운티 호의 반란 여성 후손들은 1838년 이후 투표에 참여할 수 있었으며, 오스트레일리아령인 노퍽섬으로 이주한 후에도 선거권을 유지했다.[26]
1840년 하와이 왕국 헌법은 하원(House of Representatives)을 설립했지만, 누가 하원 선거에 참여할 자격이 있는지 명시하지 않았다. 일부 학자들은 여성들이 첫 선거에서 투표할 수 있었다고 주장하지만, 이 해석은 논란의 여지가 있다.[33] 1852년 두 번째 헌법은 투표권이 20세 이상 남성으로 제한된다고 명시했다.[27]
콜롬비아의 누에바 그라나다 공화국 베레즈 주의 1853년 헌법은 기혼 여성 또는 21세 이상의 여성에게 주 내에서 투표할 권리를 부여했다. 그러나 이 법은 이후 콜롬비아 최고 법원에 의해 무효화되었다.[34][35][36]
현대 민주주의의 출현은 일반적으로 여성 시민보다 남성 시민이 먼저 투표권을 얻으면서 시작되었지만, 하와이 왕국에서는 예외적으로 1840년에 성별에 대한 언급 없이 보통 선거가 도입되었다. 그러나 1852년 헌법 개정을 통해 여성 투표가 폐지되었고, 남성 투표에 재산 자격이 부여되었다.[27]
현재 존재하는 독립국 중에는 1893년 뉴질랜드에서 처음으로 투표권이 주어졌다.[26][269] 당시 뉴질랜드는 영국의 자치령이었다. 제한없는 선거권이 여성에게 주어졌으나, 처음에는 피선거권이 주어지지 않았다. 영국의 보호령이던 쿡 제도도 1893년 뉴질랜드를 따라 여성에게 선거권이 주어졌다.[38]
영국의 자치령이던 남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1894년 여성에게 선거권이 주어졌는데, 식민지 의회에 입후보할 수 있는 피선거권도 함께 주어졌다.[4][5] 1901년 오스트레일리아가 독립하면서, 일부 주에서는 여성에게 선거권과 피선거권이 주어졌다. 오스트레일리아 의회는 1902년 모든 성인 여성에게 선거권을 부여하는 법안을 통과시켰다. 최초로, 여성의 선거권과 피선거권을 동시에 도입했다. 핀란드는 1905년 총파업 이후 여러 개혁이 이루어졌고, 그 일환으로 1906년 여성에게 선거권과 피선거권을 부여했다. 여성이 의원으로 처음 선출된 것도 핀란드였다. 1907년 총선에서 19명의 여성의 핀란드 의회의 의원으로 선출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전에 1913년에 노르웨이와 1915년에 덴마크에서도 여성에게 선거권이 주어졌다. 1차 대전이 끝날 무렵, 캐나다와 러시아, 독일, 폴란드에서도 여성 선거권이 주어졌다. 1918년에는 영국에서 30세 이상의 여성에게 선거권이 주어졌다. 1919년에는 네덜란드, 1920년에는 미국에서 선거권이 주어졌다. 튀르키예에서는 1926년 선거권이 주어졌다. 1928년에는 영국에서 남성과 마찬가지로 21세 이상의 여성에게 동등한 선거권이 부여되었다.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해방 이후 실시된 첫 선거부터 각각 1948년, 1946년에 여성에게 선거권이 주어졌다.
2. 2. 한국의 여성 참정권 운동과 여성주의의 발전
대한민국에서는 1948년에 대한민국을 포함한 대한민국 여성에게 보편적인 선거권이 부여되었다.[152]일본의 여성 참정권 운동은 "부선 삼안" 혹은 이라고 불리는 다음 세 가지 권리를 중심으로 전개되었다.[335]
# 국정 참여의 권리 (중의원 의원 선거권 및 피선거권)
# 지방 정치 참여의 권리 (지방 의회 의원 선거권 및 피선거권, 공민권)
# 정당 결사 가입의 권리 (결사권)




1880년대, 유럽과 미국에서 여성 운동이 활발해지면서, 일본에서도 여성 참정권에 대한 논의가 시작되었지만, 대일본 제국 헌법에서는 여성 참정권이 인정되지 않았다.[336] 1925년 보통 선거가 실현되었지만, 남성에게만 참정권이 부여되었다.
메이지 말년부터 다이쇼 데모크라시 시기에 걸쳐 여성 참정권을 요구하는 움직임이 점차 커졌다. 사카이 토시히코, 코토쿠 슈스이 등의 헤이민샤를 시작으로, 히라츠카 라이초의 세이토샤 결성, 히라츠카 라이초, 이치카와 후사에, 오쿠 무메오 등의 신부인협회 설립(1919년),[337] 간트렛 츠네코, 쿠부시로 오치미 등의 일본 부인 참정권 협회(1921년, 후에 일본 기독교 부인 참정권 협회) 등이 여성 참정권 운동을 이끌었다. 이후 여러 단체가 연합하여 부인 참정 동맹[일본 부인 협회](1923년, 이사 야마네 키쿠), 부인 참정권 획득 기성 동맹회(1924년, 후에 부선 획득 동맹으로 개칭)를 결성하여 운동을 더욱 강화했다.
이러한 노력으로 치안 경찰법 제5조 2항 개정(1922년), 여성 변호사 제도 제정(변호사법 개정, 1933년) 등 여성의 정치적, 사회적 권리 획득에 일부 성과를 거두었다. 그러나 1925년과 1926년에 제출된 여성 참정권, 시민권, 결사권을 인정하는 법안은 의회를 통과하지 못했다.[338] 1927년부터 1929년까지 매년 관련 법안이 제출되었지만, 모두 부결되었다.
1931년, 조건부 여성 참정권을 인정하는 법안이 중의원을 통과했지만, 귀족원의 반대로 폐기되었다.[339] 이 법안은 여성에게 시정촌 선거권 및 피선거권을 부여했지만, 도부현에서는 인정하지 않았고, 의원 취임에는 남편의 동의가 필요했다.[340]
1932년 1월 22일, '부선 단체 연합 위원회'가 조직되었고, 같은 해 2월 13일, 전국적으로 제1회 부선 데이를 개최했다.[341]
이후 이치카와 후사에는 전쟁 수행에 협력하여 여성의 정치적 지위 향상을 꾀하고, 여성 참정권 운동 단체는 대일본 부인회로 통합되었으며, 이치카와 후사에는 대일본 언론 보국회 이사로 활동했다. 이는 전후 이치카와 후사에의 공직 추방 원인이 되었다.
1945년 10월 10일, 히가시쿠니노미야 나루히코 내각은 GHQ의 지시보다 앞서 여성 참정권에 대한 각의 결정을 독자적으로 내렸다.[342] 종전 직후인 1945년 8월 25일, 이치카와 후사에 등은 '전후 대책 부인 위원회'를 결성하여 중의원 의원 선거법 개정 등을 요구하는 결의를 정부와 주요 정당에 제출했다. 11월 3일에는 '신일본 부인 동맹'(회장 이치카와 후사에, 후에 일본 부인 유권자 동맹으로 개칭)을 창립하여 여성 참정권 운동을 재개했다.[342]
1945년 11월 21일, 칙령으로 치안 경찰법이 폐지되어 여성의 결사권이 인정되었다. 12월 17일, 개정 중의원 의원 선거법이 공포되어 여성의 국정 참여가 허용되었고, 이듬해 9월 27일 지방 제도 개정으로 지방 참정권도 실현되었다. 1946년 4월 10일, 전후 첫 총선거(제22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일본 최초의 여성 의원 39명이 탄생했다.

1878년, 구스노세 키타는 호주로서 납세하고 있음에도 여성이라는 이유로 선거권이 없는 것에 대해 고치현에 항의했다. 현은 받아들이지 않았지만, 구스노세 키타는 내무성에 호소했다. 1880년 9월 20일, 3개월에 걸친 가미마치 정회(上町町会)의 운동 끝에 현령이 굴복하여, 여호주에 한해 일본 최초의 여성 참정권이 인정되었다. 이웃 오다카사카 촌에서도 같은 조항이 시행되었다.[344]
당시 여성 참정권이 인정된 지역은 미국 와이오밍주, 영령 남호주, 핏케언 제도 등 극히 일부였고, 유럽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실현되지 않았기 때문에, 일본의 이러한 움직임은 세계적으로도 이른 시기에 속했다. 그러나 1884년, 일본 정부는 「구정촌회법」을 개정하여 규칙 제정권을 구정촌회에서 박탈하면서, 정촌 의원 선거에서 여성이 배제되었다.
3. 여성주의의 다양한 사조
3. 1. 주요 여성주의 사조
3. 2. 기타 여성주의 사조
흑인여성주의, 치카나 여성주의, 이슬람 여성주의, 레즈비언 여성주의, 트랜스여성주의 등 다양한 여성주의 사조가 존재한다. 일부 국가의 일부 모스크에서는 여성의 이사 선거 투표를 금지하는 헌법을 가지고 있다.[329]4. 여성주의 관련 개념
4. 1. 젠더와 사회적 성
4. 2. 가부장제
4. 3. 여성 혐오
5. 여성주의의 주요 인물
5. 1. 한국의 여성주의 운동가
6. 나라별 여성주의
유럽에서 여성 참정권을 마지막으로 시행한 두 나라는 스위스와 리히텐슈타인이다. 스위스에서는 1971년에 여성에게 연방 선거에서 투표권을 부여했고,[174] 아펜첼이너로덴에서는 1991년, 칸톤이 스위스 연방 대법원의 강제 명령에 따라 지역 문제에 대한 투표권을 여성에게 부여했다.[175] 리히텐슈타인에서는 1984년 여성 참정권 국민투표를 통해 여성에게 투표권을 부여했다. 1968년, 1971년 및 1973년에 실시된 세 번의 이전 국민투표에서는 여성의 투표권을 확보하지 못했다.[176] 알바니아는 1945년에 완전한 투표권을 부여했고,[177] 안도라는 1970년에 여성 참정권을 도입했다.[178] 오스트리아는 1918년 12월 선거법 개정을 통해 모든 시민에게 일반적인 투표권을 부여했다.[74] 아제르바이잔은 1918년에 여성에게 참정권을 부여하여 최초의 무슬림 국가가 되었다.[76]
벨기에에서는 1948년 3월 27일에 여성 참정권이 도입되었다. 불가리아에서는 불가리아 인민 공화국의 공산주의 통치가 수립된 후에야 여성이 투표하고 선출될 수 있었다. 크로아티아에서는 1912년 최초의 여성 국회의원이 선출되었고, 1920년에는 여성이 평등한 투표권을 보장받았다.[186] 키프로스는 1961년 새로운 헌법에 여성 참정권을 도입했다.[187] 덴마크에서는 1915년 6월 5일에 국회 선거에서 투표할 수 있게 되었다.[189] 에스토니아에서는 1917년부터 여성이 투표권을 갖게 되었다.
핀란드는 1906년에 여성 선거권을 시행했고, 다음 해 세계 최초의 여성 국회의원을 선출했다.[8][9] 프랑스에서는 1944년 4월 21일 법령으로 여성에게 선거권을 확대했다.[195][196] 조지아에서는 1919년 선거에서 처음으로 투표권을 행사했고,[202] 독일에서는 1918년 11월 12일부터 투표권과 피선거권을 부여받았다. 그리스에서는 1952년 5월 28일에 투표하고 공직에 출마할 수 있는 법적 권리를 얻었다. 헝가리에서는 1920년 1월에 치러진 선거에서 여성이 처음으로 투표권을 행사했다. 아이슬란드는 1915년에 여성에게 완전한 선거권을 획득했다. 아일랜드 자유국은 1922년에 남녀에게 평등한 투표권을 부여했다.
이탈리아에서는 1945년 4월 임시 정부가 여성의 보편적 선거권을 법령으로 정했다.[210] 룩셈부르크에서는 1919년 새로운 민주 헌법에 여성 참정권이 포함되었다. 몰타에서는 1947년 9월 5일에 여성 참정권과 공직에 선출될 권리가 도입되었다. 모나코는 1962년에 여성 참정권을 도입했다. 네덜란드에서는 1919년 8월 9일에 투표권을 부여받았다.[220] 노르웨이에서는 1913년에 여성의 보통 선거에 대한 안건이 만장일치로 통과되었다.[217] 폴란드는 1918년 11월 28일부로 여성에게 투표권과 피선거권을 부여했다.[220] 포르투갈에서는 1976년에 완전하고 동등한 선거권을 부여받았다.[99][100] 루마니아에서는 1946년에 남성과 여성에게 하원 투표 및 피선거권을 완전히 동등하게 부여했다.[228] 러시아에서는 1917년 7월 20일 임시 정부가 여성에게 투표권을 부여했다.[231] 산마리노는 1959년에 여성 참정권을 도입했다.[99]
스페인에서는 1931년에 여성 참정권이 공식적으로 채택되었고, 1976년부터 여성들은 투표하고 공직에 선출될 권리를 완전히 행사했다. 스웨덴에서는 1919년에 전국 선거에서 투표할 권리가 다시 부여되지 않았고, 1921년 선거에서 다시 시행되었다.[190]
터키에서는 1934년 12월 5일 헌법 개정을 통해 여성의 국회의원 선거 투표권이 획득되었다.
영국에서는 1918년 2월 6일, 1918년 인민 대표법이 통과되어 30세 이상의 여성에게 참정권이 부여되었고, 1928년에는 남성과 동일한 조건으로 여성에게 투표권을 부여했다.[264]
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1902년 연방 선거법을 통과시켜 모든 비원주민 여성에게 연방 의회에서 투표하고 선거에 출마할 수 있도록 했다. 뉴질랜드는 1893년 9월 19일에 여성에게 투표권을 부여했다.[26][269]
중앙 및 남아메리카, 멕시코의 여성들은 캐나다와 미국에 비해 투표권을 얻는 데 뒤쳐졌다. 에콰도르는 1929년에, 우루과이는 1932년에, 브라질과 쿠바는 1934년에 여성에게 투표권을 부여했다.[270] 파라과이는 1961년에 여성 참정권을 부여했다.[270] 아르헨티나에서는 1947년에 남성과 여성의 동등한 정치적 권리와 보편적 참정권을 확립했다.
thumb
사브카 다브체비치-쿠차르는 크로아티아의 봄참가자로 유럽 최초의 여성 총리였다.
6. 1. 주요 국가의 여성주의 운동
대한민국에서는 1948년에 여성에게 보편적인 선거권이 부여되었다.[152]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피트케언 제도에 거주하는 바운티 호 반란의 여성 후손들이 1838년부터 투표할 수 있었으며, 이 권리는 1856년 노퍽 섬으로 재정착하면서 이전되었다.[26] 1861년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 식민지에서 재산을 소유한 여성은 지방 선거에서 투표권을 부여받았다. 헨리에타 더그데일은 1884년 멜버른에서 최초의 오스트레일리아 여성 참정권 협회를 결성했고, 뉴사우스웨일스 여성 참정권 연맹은 1891년 시드니에서 설립되었다. 1895년, 여성은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 의회에서 투표할 자격을 얻었고, 원주민 남성과 여성도 마찬가지였다.[21] 캐서린 헬렌 스펜스는 1897년 오스트레일리아 연방 회의 대표로 출마했지만 실패하면서, 여성 최초로 공직 후보가 되었다.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는 1899년에 여성에게 투표권을 부여했다.[266] 1902년, 연방 의회는 연방 선거법을 통과시켜 모든 비원주민 여성에게 연방 의회에서 투표하고 선거에 출마할 수 있도록 했다. 넬리 마르텔, 메리 무어-벤틀리, 비다 골드스타인, 셀리나 시긴스가 선거에 출마했다.[266] 1949년, 연방 선거에서 투표할 권리는 무장 부대에서 복무했거나 주 선거에 등록된 모든 원주민에게 확대되었고, 나머지 제한 사항은 1962년 연방 선거법에 의해 폐지되었다.[267] 에디스 코완은 1921년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 입법부에 선출되어 오스트레일리아 최초의 여성 국회의원이 되었다. 에니드 라이언스는 오스트레일리아 하원에서, 도로시 탕니는 상원 의원으로 1943년 연방 의회 최초의 여성이 되었다. 로즈메리 폴렛은 1989년 오스트레일리아 수도 특별구의 수석 장관으로 선출되어 주 또는 준주를 이끄는 최초의 여성이 되었다.
미국에서는 1776년 뉴저지 헌법은 특정 액수의 재산을 소유한 모든 성인 거주자에게 선거권을 부여했지만, 1807년 법률은 여성의 투표를 배제했다.[302] 리디아 태프트(Lydia Taft)는 1756년부터 매사추세츠주 욱스브리지에서 세 번의 뉴잉글랜드 타운 회의에서 투표할 수 있었다.[303] 1848년 세네카 폴스 회의(Seneca Falls Convention)에서 엘리자베스 캐디 스탠턴과 수잔 B. 앤서니를 포함한 활동가들은 여성의 투표권을 확보하기 위한 투쟁을 시작했다.[117] 전국 여성 권리 협약(National Women's Rights Convention)은 1850년 매사추세츠주 우스터에서 루시 스톤에 의해 조직되었다. 와이오밍 준주(Wyoming) (1869)[306]와 유타 준주(Utah) (1870)에서 초기 승리가 있었다. 존 앨런 캠벨(John Allen Campbell) 와이오밍 준주 초대 주지사는 1869년 12월 10일, 여성에게 투표권과 공직을 보유할 권리를 부여하는 법안을 승인했다.[117] 1911년 캘리포니아 여성 참정권이 통과되었다.[310] 20세기 초, 전국 여성당(National Woman's Party)의 앨리스 폴과 루시 번스는 백악관 앞에서 시위를 벌였다.[311] 우드로 윌슨 대통령은 1918년에 여성의 참정권을 전쟁 조치로 옹호하도록 입장을 바꿨다.[314] 미국 헌법 수정 제19조(Nineteenth Amendment to the United States Constitution)는 1920년에 비준되었다.[317] 1965년 투표권법(Voting Rights Act of 1965)은 투표에서 인종 차별을 금지하고 미국 전역의 소수 인종의 투표권을 확보했다.[318]




전통적으로, 체로키[345], 호피[346], 나바호[347] 등 아메리카 원주민 여성은 남성과 마찬가지로 정치에 참여했다. 이로쿼이 연맹에서는 족장의 임면권에서 여성이 남성을 능가한다.[350]
6. 2. 기타 국가의 여성주의 운동
이집트에서 여성 참정권을 위한 투쟁은 1919년 이집트 혁명에서 시작되었으며, 가말 압델 나세르 대통령은 1956년에 여성 참정권을 지지했다.[124] 라이베리아에서는 1946년에 특권층 여성에게 제한적인 참정권이 도입되었고, 1951년에 보편적인 여성 참정권으로 확대되었다.[125] 프리타운에서는 1792년 선거에서 모든 가구주가 투표할 수 있었으며, 그 중 3분의 1이 아프리카계 여성이었다.[126] 시에라리온에서는 1930년에 여성이 투표권을 얻었다.[127]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는 1930년 여성 참정권법에 의해 21세 이상의 백인 여성에게 선거권이 확대되었고,[128] 1994년에 모든 성인 시민에게 투표권이 부여되었다.
아프가니스탄에서는 여성이 1919년에 선거권을 부여받았지만 1929년에 폐지되었다.[129] 1964년에 다시 선거권을 부여받았으며,[130][131][132] 1965년부터 투표할 수 있게 되었다.[220] 그러나 2021년 이후 아프가니스탄에서는 정부 선거가 치러지지 않았으며, 2023년부터 모든 정당이 금지되었다.[137][138] 방글라데시는 1947년부터 평등한 선거권을 가졌으며, 셰이크 하시나와 칼레다 지아 두 여성이 총리직을 연임했다. 중국의 여성 참정권 투쟁은 탕췬잉이 여성 참정권 동맹회를 설립하면서 조직되었으며,[140] 여성 참정권은 중국 국민당 정부에 의해 1947년에 도입되었다.
인도 여성은 1947년 독립 후 최초의 총선거에서부터 투표할 수 있었다.[143] 인도네시아는 1905년 여성에게 시 의회 선거권을 부여했고, 1941년 11월에 모든 여성에게 시 의회 투표권이 부여되었다.[147] 이란에서는 1963년 1월 국민투표를 통해 여성에게 투표권이 주어졌다.[220] 이스라엘에서는 1948년 독립 이후 여성이 완전한 선거권을 갖게 되었고, 골다 메이어가 1969년에 총리로 선출되었다. 일본에서는 1880년 일부 현에서 투표가 허용되었지만, 여성 참정권은 1945년에 전국적으로 제정되었다.[149] 쿠웨이트에서는 1985년에 처음 투표가 도입되었을 때 여성들이 투표권을 가지고 있었지만,[153] 이후 철회되었다가 2005년 5월에 재부여되었다.[154] 레바논에서는 1952년에 여성 참정권 운동이 성공했다.[155]
파키스탄에서는 1947년에 여성이 완전한 선거권을 얻었고, 베나지르 부토가 1988년 11월에 총리로 선출되었다.[156] 필리핀은 1937년 특별 국민투표를 통해 여성 참정권을 획득했다.[159][157] 사우디아라비아에서는 2015년 12월에 여성이 처음으로 투표하고 공직에 출마했다.[163] 살마 빈트 히잡 알 오타이비는 사우디아라비아 최초의 여성 정치인이 되었다.[164] 스리랑카는 1931년에 여성에게 투표권을 허용했으며,[171] 시리마보 반다라나이케는 세계 최초의 여성 총리가 되었다. 태국에서는 1932년 시암 혁명 이후 여성에게 투표 및 공직 출마 권한이 부여되었다.[173]
유럽에서 여성 참정권을 마지막으로 시행한 두 나라는 스위스와 리히텐슈타인이다. 스위스에서는 1971년에 여성에게 연방 선거에서 투표권을 부여했고,[174] 리히텐슈타인에서는 1984년 국민투표를 통해 여성에게 투표권을 부여했다.[176] 알바니아는 1945년에 완전한 투표권을 부여했고,[177] 안도라는 1970년에 여성 참정권을 도입했다.[178] 오스트리아는 1918년 12월 선거법 개정을 통해 모든 시민에게 일반적인 투표권을 부여했다.[74] 아제르바이잔은 1918년에 여성에게 참정권을 부여하여 최초의 무슬림 국가가 되었다.[76]
벨기에에서는 1948년 3월 27일에 여성 참정권이 도입되었다. 불가리아에서는 불가리아 인민 공화국의 공산주의 통치가 수립된 후에야 여성이 투표하고 선출될 수 있었다. 크로아티아에서는 1912년 최초의 여성 국회의원이 선출되었고, 1920년에는 여성이 평등한 투표권을 보장받았다.[186] 키프로스는 1961년 새로운 헌법에 여성 참정권을 도입했다.[187] 덴마크에서는 1915년 6월 5일에 국회 선거에서 투표할 수 있게 되었다.[189] 에스토니아에서는 1917년부터 여성이 투표권을 갖게 되었다.
[[File:Women_in_Finnish_Parliament_(1907).jpg|thumb|1907년 핀란드의 1907년 의회 선거에서 선출된 세계 최초의 여성 국회의원 19명 중 13명.
핀란드는 1906년에 여성 선거권을 시행했고, 다음 해 세계 최초의 여성 국회의원을 선출했다.[8][9] 프랑스에서는 1944년 4월 21일 법령으로 여성에게 선거권을 확대했다.[195][196] 조지아에서는 1919년 선거에서 처음으로 투표권을 행사했고,[202] 독일에서는 1918년 11월 12일부터 투표권과 피선거권을 부여받았다. 그리스에서는 1952년 5월 28일에 투표하고 공직에 출마할 수 있는 법적 권리를 얻었다. 헝가리에서는 1920년 1월에 치러진 선거에서 여성이 처음으로 투표권을 행사했다. 아이슬란드는 1915년에 여성에게 완전한 선거권을 획득했다. 아일랜드 자유국은 1922년에 남녀에게 평등한 투표권을 부여했다.
이탈리아에서는 1945년 4월 임시 정부가 여성의 보편적 선거권을 법령으로 정했다.[210] 룩셈부르크에서는 1919년 새로운 민주 헌법에 여성 참정권이 포함되었다. 몰타에서는 1947년 9월 5일에 여성 참정권과 공직에 선출될 권리가 도입되었다. 모나코는 1962년에 여성 참정권을 도입했다. 네덜란드에서는 1919년 8월 9일에 투표권을 부여받았다.[220] 노르웨이에서는 1913년에 여성의 보통 선거에 대한 안건이 만장일치로 통과되었다.[217] 폴란드는 1918년 11월 28일부로 여성에게 투표권과 피선거권을 부여했다.[220] 포르투갈에서는 1976년에 완전하고 동등한 선거권을 부여받았다.[99][100] 루마니아에서는 1946년에 남성과 여성에게 하원 투표 및 피선거권을 완전히 동등하게 부여했다.[228] 러시아에서는 1917년 7월 20일 임시 정부가 여성에게 투표권을 부여했다.[231] 산마리노는 1959년에 여성 참정권을 도입했다.[99]
스페인에서는 1931년에 여성 참정권이 공식적으로 채택되었고, 1976년부터 여성들은 투표하고 공직에 선출될 권리를 완전히 행사했다. 스웨덴에서는 1919년에 전국 선거에서 투표할 권리가 다시 부여되지 않았고, 1921년 선거에서 다시 시행되었다.[190]
|thumb|1935년 터키 의회에 입성한 18명의 여성 국회의원]]
터키에서는 1934년 12월 5일 헌법 개정을 통해 여성의 국회의원 선거 투표권이 획득되었다.
|thumb|투옥된 서프러제트들이 감옥에서 음식을 거부한 이유에 대한 영국의 만평]]
|thumb|콘스턴스 마르키에비츠는 1918년 영국 하원에 선출된 최초의 여성 의원이지만, 아일랜드 민족주의자였기에 의석을 차지하지 않고 제1차 다일에 합류했다. 1919년 그녀는 노동부 장관으로 임명되었으며, 이는 민주적인 정부 내각에서 최초의 여성 장관이었다.]]
영국에서는 1918년 2월 6일, 1918년 인민 대표법이 통과되어 30세 이상의 여성에게 참정권이 부여되었고, 1928년에는 남성과 동일한 조건으로 여성에게 투표권을 부여했다.[264]
|thumb|1887년 멜버른 펀치(Melbourne Punch) 만평에서 호주 여성의 권리를 풍자했다: 한 가상의 여성 국회의원이 아기의 양육을 국회의장에게 떠넘기고 있다.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 여성들은 1895년에 투표권을 얻었다.[21]
|thumb|에디스 코완(1861–1932)은 1921년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 입법부에 선출되었으며, 오스트레일리아 최초의 여성 국회의원이 되었다(오스트레일리아 여성은 이미 20년 전에 투표권을 획득했다).]]
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1902년 연방 선거법을 통과시켜 모든 비원주민 여성에게 연방 의회에서 투표하고 선거에 출마할 수 있도록 했다. 뉴질랜드는 1893년 9월 19일에 여성에게 투표권을 부여했다.[26][269]
중앙 및 남아메리카, 멕시코의 여성들은 캐나다와 미국에 비해 투표권을 얻는 데 뒤쳐졌다. 에콰도르는 1929년에, 우루과이는 1932년에, 브라질과 쿠바는 1934년에 여성에게 투표권을 부여했다.[270] 파라과이는 1961년에 여성 참정권을 부여했다.[270] 아르헨티나에서는 1947년에 남성과 여성의 동등한 정치적 권리와 보편적 참정권을 확립했다.
|thumb|보편적 참정권을 위한 법에 따라 1947년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열린 여성 시위]]
|thumb|에바 페론이 1951년 병원에서 투표하는 모습. 이는 아르헨티나에서 여성에게 전국 선거 투표가 허용된 최초의 사례였다.]]
thumb
7. 여성주의의 영향과 과제
학자들은 여성의 선거권이 이후의 경제 성장,[61] 복지 국가의 부상,[62][63][64] 그리고 국가 간 분쟁 감소와 관련이 있다고 보고 있다.[65] 여성의 교육 기회 확대, 경제적 지위 향상, 정치 참여 확대 등 여성주의 운동의 성과를 볼수 있다. 여성에 대한 폭력과 차별을 줄이기 위한 사회적 인식 개선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7. 1. 여성주의의 영향
학자들은 여성의 선거권이 이후의 경제 성장,[61] 복지 국가의 부상,[62][63][64] 그리고 국가 간 분쟁 감소와 관련이 있다고 보고 있다.[65] 여성의 교육 기회 확대, 경제적 지위 향상, 정치 참여 확대 등 여성주의 운동의 성과를 볼수 있다. 여성에 대한 폭력과 차별을 줄이기 위한 사회적 인식 개선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7. 2. 여성주의의 과제
참조
[1]
서적
"Männen, kvinnorna och rösträtten: medborgarskap och representation 1723–1866"
Carlsson
2006
[2]
웹사이트
How Did the Vote Expand? New Jersey's Revolutionary Decade
https://www.amrevmus[...]
2024-08-16
[3]
웹사이트
New Zealand women and the vote – Women and the vote | NZHistory, New Zealand history online
https://nzhistory.go[...]
[4]
웹사이트
Constitution (Female Suffrage) Act 1895 (SA)
https://www.founding[...]
2024-08-26
[5]
서적
Government Politics in Australia
https://books.google[...]
Pearson Higher Education AU
2013-09-05
[6]
웹사이트
Documenting Democracy: Constitution (Female Suffrage) Act 1895 (SA)
https://web.archive.[...]
National Archives of Australia
[7]
서적
Australia and New Zealand
Oxford University Press
2008
[8]
웹사이트
Brief history of the Finnish Parliament
https://web.archive.[...]
eduskunta.fi
[9]
웹사이트
Centenary of women's full political rights in Finland
https://web.archive.[...]
2011-07-20
[10]
웹사이트
Finland's parliament: pioneer of gender equality
https://finland.fi/l[...]
Finland.fi
2021-10-07
[11]
논문
The New Suffrage History: Voting Rights in International Perspective
[12]
웹사이트
Essential Elements for Turning a Cause into a Movement : Lessons from the Suffrage Struggle for Today's Activists
https://commonslibra[...]
2024-02-24
[13]
뉴스
Naked Swiss hikers must cover up
http://news.bbc.co.u[...]
2009-04-27
[14]
웹사이트
Women's suffrage in Switzerland: 100 years of struggle
https://www.parlamen[...]
Federal Assembly (Switzerland)
[15]
웹사이트
Appenzell Inner Rhodes: The last Swiss canton to give women the vote
https://www.swissinf[...]
2021-02-02
[16]
웹사이트
The Landsgemeinde and Direct Democracy – the Swiss Spectator
https://www.swiss-sp[...]
[17]
서적
The National Union of Women's Suffrage Societies 1897–1914
https://books.google[...]
Routledge
[18]
문서
"Women's National Anti-Suffrage League Manifesto"
Forgotten Books
[19]
간행물
Abbess
https://web.archive.[...]
2012-12-26
[20]
서적
Women Mystics Confront the Modern World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1998
[21]
웹사이트
Women's Suffrage Petition 1894
https://web.archive.[...]
parliament.sa.gov.au
2016-01-08
[22]
서적
Address Delivered at the Unitarian Church in Uxbridge; 1864
https://archive.org/[...]
Worcester, Press of C. Hamilton
[23]
웹사이트
Uxbridge Breaks Tradition and Makes History: Lydia Taft by Carol Masiello
https://web.archive.[...]
The Blackstone Daily
2011-01-21
[24]
뉴스
More than a century before the 19th Amendment, women were voting in New Jersey
https://www.washingt[...]
Washington Post
[25]
서적
Rough Crossings
[26]
웹사이트
First in the World
http://www.elections[...]
New Zealand Electoral Commission
2016-06-18
[27]
서적
Paradoxes of Hawaiian Sovereignty: Land, Sex, and the Colonial Politics of State Nationalism
https://books.google[...]
Duke University Press Books
2018
[28]
웹사이트
Biography of Susan B. Anthony at
http://susanbanthony[...]
Susanbanthonyhouse.org
2011-09-02
[29]
웹사이트
An Act to Grant to the Women of Wyoming Territory the Right of Suffrage and to Hold Office
http://memory.loc.go[...]
Library of Congress
2007-12-09
[30]
웹사이트
National Woman's Party: a year-by-year history 1913–1922
http://depts.washing[...]
[31]
간행물
The School of Voters
http://www.oldmagazi[...]
Vogue
1917-09-15
[32]
웹사이트
The campaign finance of women's suffrage
https://www.marketpl[...]
Marketplace
2024-05-10
[33]
웹사이트
Memorandum—Re: Suffrage of Female Subjects
https://www.hawaiian[...]
Acting Council of Regency
2019-12-14
[34]
웹사이트
Santander: el primer intento del voto femenino en Colombia
https://www.radionac[...]
2019
[35]
웹사이트
Primer paso en la lucha por el sufragio femenino en Colombia: historia de un intento de construcción de escenarios de inclusión política
https://web.archive.[...]
2021-08-24
[36]
웹사이트
El voto femenino
https://www.rtvc.gov[...]
2019-10-23
[37]
간행물
Wee, Small Republics: A Few Examples of Popular Government
Hawaiian Gazette
1895-11-01
[38]
웹사이트
Elections.org.nz
http://www.elections[...]
Elections.org.nz
2005-04-01
[39]
웹사이트
South Australian women gain the vote: Overview
https://www.parliame[...]
2024-09-05
[40]
웹사이트
Indigenous Australians' right to vote
https://www.nma.gov.[...]
National Museum of Australia
2023-11-14
[41]
웹사이트
Right to Vote in Canada | the Canadian Encyclopedia
https://www.thecanad[...]
[42]
웹사이트
21 avril 1944 : les Françaises ont (enfin) le droit de voter
https://information.[...]
2014-12-24
[43]
웹사이트
La conquête de la citoyenneté politique des femmes
http://www2.assemble[...]
[44]
학술지
Bhutan makes it official: it's a democracy.
http://www.csmonitor[...]
2008-03-25
[45]
웹사이트
In a Historic Election, Saudi Women Cast First-Ever Ballots
http://news.national[...]
null
[46]
웹사이트
Women win seats in the Saudi election for the first time in history
http://i100.independ[...]
2015-12-14
[47]
문서
Dubois, Dumneil 2012, p. 474.
[48]
웹사이트
Newstatesman.com
http://www.newstates[...]
Newstatesman.com
2008-07-01
[49]
웹사이트
The women's suffrage movement: new feminist perspectives
https://books.google[...]
[50]
서적
The women's suffrage movement in Britain, 1866–1928
Palgrave
1999
[51]
웹사이트
Woman Suffrage and the 19th Amendment
https://www.archives[...]
2022-03-28
[52]
서적
Drugs in American Society: An Encyclopedia of History, Politics, Culture, and the Law
ABC-CLIO
2014
[53]
서적
Alcohol and Temperance in Modern History: An International Encyclopedia
ABC-CLIO
2003
[54]
서적
Philanthropy in America: A Comprehensive Historical Encyclopedia
https://archive.org/[...]
ABC-CLIO
2004
[55]
문서
The Ideas of the Woman Suffrage Movement: 1890–1920
1965
[56]
문서
The Women's Movements in the United States and Britain from the 1790s to the 1920s
2014
[57]
문서
Dubois, Dumneil 2012, p. 475.
[58]
서적
African American women in the struggle for the vote, 1850–1920
https://archive.org/[...]
Indiana University Press
1998
[59]
학술지
Conquered or Granted? A History of Suffrage Extensions
https://www.cambridg[...]
2009
[60]
학술지
The Changing Logic of Political Citizenship: Cross-National Acquisition of Women's Suffrage Rights, 1890 to 1990
https://www.jstor.or[...]
1997
[61]
학술지
Women's political empowerment and economic growth
2022
[62]
학술지
Women's Political Representation and Welfare State Spending in 12 Capitalist Democracies
https://academic.oup[...]
2007
[63]
학술지
Women's Suffrage and the Growth of the Welfare State
https://www.jstor.or[...]
1999
[64]
학술지
Municipal Housekeeping: The Impact of Women's Suffrage on Public Education
https://muse.jhu.edu[...]
2015
[65]
학술지
The Suffragist Peace
https://www.cambridg[...]
2020
[66]
웹사이트
The Fight For Women's Voting Rights
https://centralasiai[...]
2024-10-19
[67]
웹사이트
Gratë në politikën shqiptare: Nga Ahmet Zogu te Edi Rama – ja emrat më të spikatur {{!}} Te Sheshi
http://tesheshi.com/[...]
2020-03-08
[68]
서적
The Women's Suffrage Movement and Feminism in Argentina From Roca to Peron
University of New Mexico Press
2011
[69]
서적
Hayastani Hanrapetutyun
Yerevan
1993
[70]
웹사이트
Women's Suffrage: The Armenian Formula
https://chai-khana.o[...]
Chai Khana
2018-11-30
[71]
웹사이트
hy:Առաջին խորհրդարանի (1919–1920) երեք կին պատգամավորները
https://www.aniarc.a[...]
Armenian Research Center for Anteriology
2019-01-11
[72]
웹사이트
Electoral milestones for Indigenous Australians
https://www.aec.gov.[...]
Australian Electoral Commission
2019-06-11
[73]
뉴스
On this day: SA gives women the vote
https://web.archive.[...]
2012-12-18
[74]
웹사이트
Frauenwahlrecht – Demokratiezentrum Wien
https://web.archive.[...]
2019-06-14
[75]
웹사이트
85 Jahre allgemeines Frauenwahlrecht in Österreich
http://www.onb.ac.at[...]
2019-06-14
[76]
서적
Russian Azerbaijan 1905–1920: The Shaping of a National Identity in a Muslim Commun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77]
웹사이트
Central & South America
https://web.archive.[...]
2015-04-12
[78]
서적
The Struggle for Female Suffrage in Europe: Voting to Become Citizens
https://books.google[...]
BRILL
[79]
백과사전
Women's Suffrage
https://web.archive.[...]
2012-03-08
[80]
웹사이트
Canada in the Making – Aboriginals: Treaties & Relations
https://web.archive.[...]
[81]
웹사이트
Františka Plamínková: the feminist suffragette who ensured Czechoslovakia's Constitution of 1920 lived up to the principle of equality
https://english.radi[...]
Czech Radio
2021-10-07
[82]
학위논문
Women in Ecuador: Exercise of political power since the return to democracy
http://dspace.uazuay[...]
[83]
웹사이트
Situacion de la mujer rural en El Salvador
http://pdf.usaid.gov[...]
1994-11
[84]
웹사이트
Swaziland: Results of Swaziland Election Not Published One Month After Poll Questioning Kingdom's Claim to Democracy
https://allafrica.co[...]
[85]
웹사이트
Kvindernes internationale kampdag (Government of Greenland, 2015)
https://web.archive.[...]
2020-10-28
[86]
웹사이트
Publications – International IDEA
https://web.archive.[...]
2016-06-12
[87]
웹사이트
Testbook.com – India's No.1 Govt Exam Preparation Site {{!}} Online Course {{!}} Mock Test
https://testbook.com[...]
2023-11-23
[88]
웹사이트
International Woman Suffrage: A Timeline of Winning the Vote for Women
https://www.thoughtc[...]
2021-06-27
[89]
뉴스
On this day 100 years ago, Irish women got the vote
http://www.thejourna[...]
2018-10-08
[90]
문서
Loi sur les Droits Electoraux
1919
[91]
뉴스
Women's Suffrage
http://www.ipu.org/w[...]
Ipu.org
2013-05-06
[92]
뉴스
Kuwait Grants Political Rights to Its Women
https://www.nytimes.[...]
2005-05-17
[93]
뉴스
Kuwait
https://www.cia.gov/[...]
The World Factbook
2021-09-27
[94]
뉴스
Women's spring: Is Lebanon ready for a feminist political party?
https://web.archive.[...]
2015-08-02
[95]
웹사이트
Lebanese Women and the Right to Vote
https://lebanesestud[...]
2014-12-03
[96]
서적
Elections in Asia and the Pacific: A Data Handbook : Volume I: Middle East, Central Asia, and South Asia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97]
문서
Le elezioni politiche del 1952 in Libia
"Oriente Moderno" Nuova serie
1998
[98]
웹사이트
Summary: Rights to Vote in Romania
https://web.archive.[...]
impowr.org
2015-09-01
[99]
웹사이트
Women and the Vote in Western Europe
http://www.idea.int/[...]
2015-07-08
[100]
웹사이트
BBC – Radio 4 Woman's Hour – Timeline: When women got the vote
http://www.bbc.co.uk[...]
[101]
웹사이트
Legislative elections in Qatar postponed until at least 2019
https://dohanews.co/[...]
2017-10-02
[102]
웹사이트
IPU PARLINE database: SAMOA (Fono ), Electoral system
http://archive.ipu.o[...]
2021-06-29
[103]
뉴스
Life on 70 cents a day
https://www.economis[...]
2008-12-01
[104]
웹사이트
Documentos Elecciones 12 de septiembre de 1927
http://www.congreso.[...]
2019-02-24
[105]
웹사이트
La mujer y el voto en España
https://www.eldiario[...]
2019-02-25
[106]
간행물
Los orígenes del sufragismo en España
https://www.ucm.es/d[...]
UNED
2004
[107]
웹사이트
75 años del sufragio femenino en España
https://www.20minuto[...]
2006-10-01
[108]
웹사이트
85 años del voto femenino en España: el triunfo de Clara Campoamor que acabó con ella
https://www.elespano[...]
2018-11-19
[109]
뉴스
BBC ON THIS DAY – 7 – 1971: Swiss women get the vote
http://news.bbc.co.u[...]
[110]
뉴스
Women dominate new Swiss cabinet
https://www.bbc.com/[...]
2010-09-02
[111]
서적
Politics in a 'Half-Made Society': Trinidad and Tobago, 1925–2001
James Curry, Oxford
[112]
웹사이트
World suffrage timeline – Women and the vote
http://www.nzhistory[...]
[113]
웹사이트
Constituent Assembly of Ukraine
http://www.encyclope[...]
2021-09-02
[114]
문서
2011 United Arab Emirates parliamentary election
[115]
웹사이트
UAE's second election has low turnout
http://www.realclear[...]
2011-09-27
[116]
웹사이트
Timeline and Map of Woman Suffrage Legislation State by State 1838–1919
http://depts.washing[...]
depts.washington.edu
[117]
웹사이트
Sex, Suffrage, and State Constitutional Law: Women's Legal Right to Hold Public Office
https://papers.ssrn.[...]
2021-07-30
[118]
웹사이트
El voto femenino cumple ochenta años en Uruguay – Noticias Uruguay LARED21
http://www.lr21.com.[...]
Lr21.com.uy
2015-10-25
[119]
웹사이트
Ley N° 8927
https://www.impo.com[...]
[120]
서적
Latin American Women and the Search for Social Justice
https://books.google[...]
UPNE
[121]
웹사이트
WIPO Lex
https://wipolex.wipo[...]
[122]
웹사이트
Country Profil: Zambia
http://www.actsa.org[...]
2015-11-08
[123]
웹사이트
Women's right to voting
http://www.sis.gov.e[...]
Egypt State Information Service
2021-07-23
[124]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Women in Sub-Saharan Africa
Rowman & Littlefield
2016
[125]
서적
Global Norms and Local Action: The Campaigns to End Violence Against Women in Africa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22-12-07
[126]
서적
Rough Crossings
2006
[127]
서적
Sierra Leone: 1787–1987; Two Centuries of Intellectual Life
Manchester University Press
1988-01-27
[128]
문서
Women's Suffrage in the British Empire: Citizenship, Nation and Race
https://books.google[...]
[129]
웹사이트
The Fight For Women's Voting Rights
https://centralasiai[...]
2024-10-20
[130]
서적
Women's Suffrage: The Complete Guide to the Nineteenth Amendment
https://books.google[...]
ABC-CLIO
2020
[131]
서적
Women and War in the 21st Century: A Country-by-Country Guide
https://books.google[...]
ABC-CLIO
2018
[132]
서적
The Palgrave Handbook of Women's Political Rights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8
[133]
문서
Fewer Women Cast Votes In Afghanistan.
2009
[134]
뉴스
Afghanistan's President-Elect Promises Prominent Role, Equal Rights For Country's Women.
[135]
뉴스
Finding Afghanistan’s exiled women MPs
https://www.bbc.co.u[...]
BBC website
2021-12-10
[136]
웹사이트
Countries Where Women Cannot Vote 2024
https://worldpopulat[...]
World Population Review website
2024-12-05
[137]
뉴스
Taliban Ban Afghan Political Parties, Citing Sharia Violations
https://www.voanews.[...]
Voice of America website
2023-08-16
[138]
웹사이트
Afghanistan
https://www.freedomh[...]
Freedom House website
[139]
간행물
Political Decision-Making in Bangladesh and the Role of Women
1997-02
[140]
서적
Women and Gender in Twentieth-Century China
https://books.google[...]
Macmillan International Higher Education
[141]
서적
Women, Activism and Social Change: Stretching Boundari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142]
서적
Women and Gender in Chinese Studies
https://books.google[...]
LIT Verlag Münster
[143]
뉴스
Did the Empire resist women's suffrage in India?
https://www.bbc.com/[...]
2018-02-02
[144]
간행물
Women's Struggle for the Vote: 1917-1937
[145]
간행물
Writingstri dharma: International feminism, nationalist politics, and women's press advocacy in late colonial India
[146]
간행물
Colonial Politics and Women's Rights: Woman Suffrage Campaigns in Bengal, British India in the 1920s
[147]
간행물
Winning the Vote for Women in Indonesia
[148]
문서
'FEMINIST MOVEMENTS iii. IN THE PAHLAVI PERIOD'
http://www.iranicaon[...]
[149]
웹사이트
The Fusae Ichikawa Memorial Association
http://www.ichikawa-[...]
Ichikawa-fusae.or.jp
2011-01-08
[150]
서적
Women and Women's Issues in Post World War II Japan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1998
[151]
문서
Suffrage and Beyond: International Feminist Perspectives.
NYU Press
1994
[152]
뉴스
The Empowerment of Women in South Korea
https://jia.sipa.col[...]
2014-03-01
[153]
서적
African Women and Children: Crisis and Response
https://archive.org/[...]
Greenwood Publishing Group
[154]
뉴스
Kuwaiti women win right to vote
http://news.bbc.co.u[...]
2005-05-01
[155]
서적
Mapping Arab Women's Movements: A Century of Transformations from Within
https://books.google[...]
American University in Cairo Press
2012-05-01
[156]
간행물
Indian Muslim Women's Suffrage Campaign: Personal Dilemma and Communal Identity 1919–47
1999-04
[157]
서적
Women's Political Participation and Representation in Asia: Obstacles and Challenges
https://books.google[...]
NIAS Press
2008
[158]
문서
Women's Roles in Asia
https://books.google[...]
[159]
서적
Encyclopedia of Women Social Reformers
https://books.google[...]
ABC-CLIO
2001
[160]
웹사이트
In Saudi Arabia, a Quiet Step Forward for Women
https://www.theatlan[...]
2011-10-26
[161]
뉴스
UPDATE 2-Saudi king gives women right to vote
https://www.reuters.[...]
2011-09-25
[162]
뉴스
Saudi monarch grants kingdom's women right to vote, but driving ban remains in force
https://www.washingt[...]
[163]
웹사이트
Saudi women vote for the first time, testing boundaries
https://www.usnews.c[...]
[164]
뉴스
Saudi Arabia: First women councillors elected
https://www.bbc.com/[...]
2015-12-01
[165]
웹사이트
Saudi voters elect 20 women candidates for the first time
https://www.foxnews.[...]
[166]
뉴스
Women in Saudi Arabia to vote and run in elections
https://www.bbc.co.u[...]
BBC
2011-09-25
[167]
뉴스
Saudi king grants women seats on advisory council for 1st time
https://www.foxnews.[...]
2012-05-14
[168]
뉴스
Women on 3 Shoura panels
http://www.saudigaze[...]
2013-02-25
[169]
뉴스
Saudi Stability and Royal Succession
http://www.grc.net/?[...]
2013-02-23
[170]
뉴스
Breakthrough in Saudi Arabia: women allowed in parliament
http://www.alarabiya[...]
2013-01-11
[171]
문서
Women & the Nation's Narrative: Gender and Nationalism in Twentieth Century
https://books.google[...]
[172]
간행물
Women's Suffrage in Thailand: A Southeast Asian Historiographical Challenge
[173]
서적
Subject Siam: Family, Law, and Colonial Modernity in Thailand
https://books.google[...]
Cornell University Press
2006
[174]
웹사이트
The Long Way to Women's Right to Vote in Switzerland: a Chronology
http://history-switz[...]
History of Switzerland
2011-01-08
[175]
간행물
Experts in Women's Anti-Discrimination Committee Raise Questions Concerning Reports of Switzerland on Compliance with Convention
https://www.un.org/p[...]
2003-01-14
[176]
뉴스
Women's Suffrage in Switzerland
http://ohrh.law.ox.a[...]
2018-02-01
[177]
웹사이트
Albanian Women Participation in Politics and Decision-Making
http://www.swedenabr[...]
Gender Alliance for Development
2015-11
[178]
서적
Andorra
https://books.google[...]
Cavendish Square Publishing, LLC
2021-12-15
[179]
웹사이트
Mercè Bonell: "Vaig entrar al Consell General espantada"
https://www.ara.ad/p[...]
2017-03-07
[180]
웹사이트
85 Jahre allgemeines Frauenwahlrecht in Österreich
http://www.onb.ac.at[...]
Österreichische Nationalbibliothek
2011-09-01
[181]
웹사이트
Azerbaijani women who wrote history
https://euneighbours[...]
EU Neighbours East
2024-05-10
[182]
웹사이트
Verfassung des Königreichs Belgien (1831)
http://www.verfassun[...]
[183]
문서
this 2/3 majority had been fixed in 1921 when Art. 47 was changed as mentioned above
[184]
서적
Political Institutions: Democracy and Social Choic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185]
간행물
Woman Suffrage in Foreign Countries
2013
[186]
간행물
The constitution of the Czechoslovak Republic
Édition de la Société l'effort de la tchécoslovaquie
1920
[187]
문서
Vassiliadou, Myria (1997) Herstory: The Missing Woman of Cyprus, The Cyprus. Review, Vol.9, Spring No.1, pp. 95–120.
[188]
문서
Dansk Kvindebiografisk Leksikon
[189]
문서
Report from Denmark
http://www.db-decisi[...]
[190]
문서
'* Åsa Karlsson-Sjögren: ''Männen, kvinnorna och rösträtten : medborgarskap och representation 1723–1866'' ("Men, women and the vote: citizenship and representation 1723–1866") (in Swedish)'
[191]
문서
Heinonen, Jarna and Vainio-Korhonen, Kirsi (2018) ''[https://books.google.com/books?id=tnlTDwAAQBAJ&dq=civil+code+1734+sweden+women&pg=PT153 Women in Business Families: From Past to Present]''. Routledge.
[192]
문서
Aura Korppi-Tommola (toim.): Tavoitteena tasa-arvo. Suomen Naisyhdistys 125 vuotta. SKS, 2009. ISBN 978-952-222-110-0
[193]
웹사이트
Suomalainen Naisliitto – Historia
https://naisliittohe[...]
2020-01-18
[194]
웹사이트
Real bridge-builder became Finland's first female government minister
https://finland.fi/l[...]
Finland.fi
2021-10-07
[195]
웹사이트
Ordonnance du 21 avril 1944 relative à l'organisation des pouvoirs publics en France après la Libération
http://mjp.univ-perp[...]
Mjp.univ-perp.fr
2011-01-08
[196]
웹사이트
La citoyenneté politique des femmes – La décision du Général de Gaulle
http://www.assemblee[...]
2007-12-19
[197]
웹사이트
Le statut des musulmans en Algérie coloniale. Une nationalité française dénaturée
http://www.patrick-w[...]
in La Justice en Algérie 1830–1962, La Documentation française, Collection Histoire de la Justice, Paris, 2005, pp. 95–109
2007-12-19
[198]
간행물
1945–1958 : un million et demi de citoyennes interdites de vote !
http://clio.revues.o[...]
2007-12-19
[199]
웹사이트
LE SAVIEZ-VOUS ? La France est l'un des derniers pays d'Europe à avoir autorisé le droit de vote des femmes
https://www.europe1.[...]
2020-03-07
[200]
웹사이트
Les Françaises obtiennent le droit de vote
https://www.gouverne[...]
[201]
뉴스
TimesMachine: Tuesday January 14, 1913 - NYTimes.com
https://timesmachine[...]
2024-11-04
[202]
뉴스
Georgian archive showcases women in politics in 1919–1921
http://agenda.ge/new[...]
2015-03-16
[203]
간행물
Ἑλλάς – Ἑλληνισμὸς
http://anemi.lib.uoc[...]
Pyrsos Co. Ltd.
1934
[204]
웹사이트
Όταν οι Ελληνίδες δεν μπορούσαν να ψηφίσουν με το επιχείρημα ότι είχαν περίοδο και η ψήφος τους ήταν "επικίνδυνη και αποκρουστέα"!
http://www.mixanitou[...]
2018-09-08
[205]
서적
Right-wing Women: From Conservatives to Extremists Around the World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2002
[206]
웹사이트
electronic Irish Statute Book (eISB)
http://www.irishstat[...]
2019-07-10
[207]
문서
Walshe, Sadhbh (March 16, 2016) [https://www.nytimes.com/2016/03/17/opinion/the-sisterhood-of-the-easter-rising.html The Sisterhood of the Easter Rising]. ''New York Times''.
[208]
웹사이트
Votes for women!
http://www.tynwald.o[...]
Tynwald, Isle of Man
2018-02-06
[209]
서적
Women, Gender and Fascism
Manchester University Press
[210]
웹사이트
donna di azione e di fede
http://www.voceevang[...]
Voce Evangelica
[211]
논문
Il debutto delle pari opportunità in Costituzione: la modifica dell'articolo 51
https://web.archive.[...]
2016-03-28
[212]
뉴스
Around the World – Liechtenstein Women Win Right to Vote
https://www.nytimes.[...]
2011-01-08
[213]
서적
The Struggle for Female Suffrage in Europe: Voting to Become Citizens
Brill
2012
[214]
웹사이트
Droit de vote des femmes : " Pas un combat féministe " – Monaco Hebdo
https://monaco-hebdo[...]
2013-01-23
[215]
서적
Monaco Offshore Tax Guide - Strategic, Practical Information, Regulations
https://books.google[...]
Lulu.com
2017-11-28
[216]
논문
Female voting power: the contribution of women's suffrage to the growth of social spending in Western Europe (1869–1960)
2008-03-01
[217]
웹사이트
"Mandsstemmer har vi saa evigt nok af fra før": perspektiver på stemmerettsdebatt for kvinner i Norge 1898–1913
http://www3.hf.uio.n[...]
University of Oslo
2013-03-15
[218]
웹사이트
Women's suffrage centenary
http://stemmerettsju[...]
Ministry of Children, Equality and Social Inclusion
2013-06-03
[219]
서적
Heart of Europe: The Past in Poland's Present
Oxford University Press
[220]
웹사이트
The Women Suffrage Timeline
https://web.archive.[...]
2015-08-07
[221]
웹사이트
Biblioteka Sejmowa /Parlamentarzyści polscy ("The Sejm Library / Polish deputies"): bs.gov.pl
https://archive.toda[...]
2012-08-27
[222]
웹사이트
Opening of the exhibition "Women in Parliament"
https://web.archive.[...]
The Government Plenipotentiary for Equal Treatment, Otwarcie wystawy "Kobiety w Parlamencie"
2012-08-27
[223]
서적
Modern Portugal
https://books.google[...]
Society for the Promotion of Science and Scholarship
1998
[224]
웹사이트
Comenius 1 History Project – A History of the right to vote in Romania
https://web.archive.[...]
[225]
웹사이트
Constitutia Romaniei, monitorul oficial, constitutiunea din 1866, constitutia din 1866, Principatele Unite Romane, Carol I
http://www.constitut[...]
2000-01-02
[226]
웹사이트
Summary: Rights to Vote in Romania
https://web.archive.[...]
2015-07-18
[227]
웹사이트
LEGEA ELECTORALA
https://web.archive.[...]
kross.ro
2016-02-09
[228]
웹사이트
LEGEA Nr. 560
https://web.archive.[...]
kross.ro
2016-02-09
[229]
웹사이트
Constitutia Romaniei, monitorul oficial, constitutia din 1948, constitutia Republicii Populare Romane 1948, Republica Populara Romana
http://www.constitut[...]
2000-01-04
[230]
웹사이트
A History of the Right to Vote in Romania
https://web.archive.[...]
[231]
서적
The Russian Revolution, 1917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04-21
[232]
웹사이트
Ley de Referéndum de 1945
https://web.archive.[...]
www.cervantesvirtual.com
2015-09-29
[233]
문서
Kvinnors entreprenörskap: under 400 år
Dialogos
2013
[234]
문서
Kvinnorösträttens historia i de nordiska länderna
1920
[235]
서적
Millenium. Samhällskunska
Bonniers
[236]
문서
Emilie Rathou
2015-05-30
[237]
서적
Vår rättmätiga plats. Om kvinnornas kamp för rösträtt.
Förlag Bonnier
2011
[238]
웹사이트
Runeberg.org
https://runeberg.org[...]
Runeberg.org
2011-01-08
[239]
문서
Nordisk familjebok / Uggleupplagan. 15. Kromat – Ledvätska
[240]
Article
Article about Emilia Broomé on the webpage of Gothenburg University Library
http://www.ub.gu.se/[...]
[241]
문서
Statsrådet och genusordningen – Ulla Lindström 1954–1966
[242]
웹사이트
The Long Way to Women's Right to Vote in Switzerland: a Chronology
http://history-switz[...]
History-switzerland.geschichte-schweiz.ch
2011-01-08
[243]
뉴스
Die Wegbereiterin aller Bundesrätinnen
http://www.tagesanze[...]
2010-07-23
[244]
official site
Frauen und Wahlen
https://www.bfs.admi[...]
Federal Statistical Office FSO
2018-04-29
[245]
뉴스
Turkey holds first election that allows women to vote
http://blog.oup.com/[...]
2012-02-06
[246]
서적
Literature of the women's suffrage campaign in England
Broadview Press
2012-02-29
[247]
서적
Citizenship in Britain: A History
https://books.google[...]
Edinburgh University Press
2006
[248]
간행물
The History of the Parliamentary Franchise
House of Commons Library
2013-03-01
[249]
서적
Citizenship in Britain: A History
https://books.google[...]
Edinburgh University Press
2006
[250]
웹사이트
Women's rights
http://www.nationala[...]
The National Archives
2015-02-11
[251]
웹사이트
Which Act Gave Women the Right to Vote in Britain?
http://classroom.syn[...]
2015-02-11
[252]
웹사이트
Tynwald – Parliament of the Isle of Man
https://web.archive.[...]
2018-02-06
[253]
서적
The Routledge companion to Britain in the nineteenth century, 1815–1914
Taylor & Francis
2005
[254]
서적
The British women's suffrage campaign, 1866–1928
Pearson/Longman
2007
[255]
서적
Gender in modernism: new geographies, complex intersections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2007
[256]
서적
Votes for women
Routledge
2000
[257]
뉴스
Suppression of the W.S.P.U.
http://www.britishne[...]
British Newspaper Archive
2015-02-24
[258]
문서
Twentieth-century Britain: an encyclopedia
2002
[259]
서적
The First World War
Routledge
2001
[260]
웹사이트
Representation of the People Act 1918
https://web.archive.[...]
2016-05-24
[261]
문서
A history of the modern British Isles, 1914–1999: circumstances, events and outcomes
Wiley-Blackwell
2000
[262]
서적
The Women's Victory – and After: Personal Reminiscences, 1911–1918
https://books.google[...]
Cambridge UP
2011
[263]
문서
The Women's Victory – and After
Cambridge University Press
[264]
문서
The Oxford encyclopedia of the modern world
Oxford University Press
2008
[265]
간행물
Emmeline Pankhurst – Time 100 People of the Century
https://web.archive.[...]
[266]
웹사이트
AEC.gov.au
http://www.aec.gov.a[...]
AEC.gov.au
2011-01-08
[267]
웹사이트
AEC.gov.au
http://www.aec.gov.a[...]
AEC.gov.au
2011-01-08
[268]
논문
'Margins, Centers, and Democracy: The Paradigmatic History of Women's Suffrage'
2003
[269]
웹사이트
Why New Zealand was the first country where women won the right to vote
https://theconversat[...]
2024-10-11
[270]
논문
Women's Suffrage, the Anti-Chinese Campaigns, and Gendered Ideals in Sonora, Mexico, 1917–1925
2017
[271]
웹사이트
Timeline « Women Suffrage and Beyond
https://web.archive.[...]
2015-08-07
[272]
서적
Sufragio feminino: Prácticas y debates políticos, religiosos, y culturales en la Argentina y América Latina
Editorial de la Universidad Nacional de Tres de Febrero
2011
[273]
웹사이트
The women's suffrage in The Bahamas
http://www.thebahama[...]
2012-05-16
[274]
서적
From Colony to Nation: Women Activists and the Gendering of Politics in Belize, 1912–1982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2007
[275]
웹사이트
Women and the Vote
https://www.thebermu[...]
2020-10
[276]
서적
Women and Revolution in Africa, Asia, and the New World
Univ of South Carolina Press
1994
[277]
서적
Emancipating the Female Sex: The Struggle for Women's Rights in Brazil, 1850–1940
Duke University Press
1990
[278]
웹사이트
Women's suffrage in Brazil (official page in Portuguese)
https://web.archive.[...]
2016-03-06
[279]
논문
"Transcendent Citizenship: Suffrage, the National Council of Women of Canada, and the Politics of Organized Womanhood"
2008
[280]
문서
"The Woman Candidate for the Ontario Legislative Assembly 1919–1929,"
2012
[281]
백과사전
Women's Suffrage
https://web.archive.[...]
2014-12-02
[282]
논문
"'The Beginning of Our Regeneration': The Great War and Western Canadian Reform Movements"
[283]
논문
"'The \"Votes For Women' Movement"
[284]
뉴스
Women & The Right To Vote In Canada: An Important Clarification
https://www.cbc.ca/s[...]
2019-10-18
[285]
서적
The woman suffrage movement in Canada: The Start of Liberation, 1900–20
[286]
간행물
Elecciones, sufragio y democracia en Chile (1810–2012): Voto femenino
http://www.memoriach[...]
2013-06-30
[287]
간행물
Las administraciones municipales en la historia de Valdivia
Editorial Dokumenta Comunicaciones
[288]
간행물
Crónica del sufragio femenino en Chile
Servicio Nacional de la Mujer
[289]
서적
The Palgrave Handbook of Women's Political Rights
https://books.google[...]
[290]
서적
The Oxford Encyclopedia of Women in World Histor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91]
학위논문
"De maestras normalistas a 'damas trujillistas': El feminismo Dominicano, 1915–1946"
[292]
서적
Mujeres latinoamericanas en cifras: Ecuador
Editorial FLACSO
[293]
서적
Women in Politics: Voices from the Commonwealth
Commonwealth Secretariat
[294]
서적
Gender, Ethnicity and Place: Women and Identity in Guyana
Taylor & Francis
[295]
웹사이트
Women and the Vote
http://islandluminou[...]
2021-07-23
[296]
서적
Jamaican Women and the World Wars: On the Front Lines of Change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297]
서적
Contextualizing Jamaica's Relationship with the IMF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298]
서적
Woman Suffrage in Mexico
University of Florida Press
[299]
서적
The Oxford Encyclopedia of Women in World History
https://books.google[...]
[300]
웹사이트
A Simple Partisan Calculus of Women's Suffrage
http://www.fflch.usp[...]
Universidade de São Paulo
2013-09-26
[301]
웹사이트
Timeline and Map of Woman Suffrage Legislation State by State 1838–1919
http://depts.washing[...]
[302]
서적
The Road to Seneca Falls: Elizabeth Cady Stanton and the First Woman's Rights Conventio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303]
문서
Address Delivered at the Unitarian Church in Uxbridge, 1864
Charles Hamilton Press
[304]
서적
Women's Rights Changing Attitudes 1900–2000
[305]
웹사이트
Women's Suffrage: The Early Leaders
http://memory.loc.go[...]
The Library of Congress
2014-04-06
[306]
웹사이트
An Act to Grant to the Women of Wyoming Territory the Right of Suffrage and to Hold Office
http://memory.loc.go[...]
Library of Congress
1869-12-10
[307]
웹사이트
Today in History
http://memory.loc.go[...]
The Library of Congress
2012-07-20
[308]
파일
An Act Conferring upon Women the Elective Franchise
[309]
서적
Sister-Wives and Suffragists: Polygamy and the Politics of Woman Suffrage 1870–1896
BYU Studies
[310]
웹사이트
California Women Suffrage Centennial {{!}} California Secretary of State
https://www.sos.ca.g[...]
2020-03-30
[311]
서적
Alice Paul: Claiming Power
Oxford University Press
[312]
서적
The home front encyclopedia: United States, Britain, and Canada in World Wars I and II
ABC-CLIO
[313]
웹사이트
National Woman's Party 1912–1922: Timeline Story Map
http://depts.washing[...]
depts.washington.edu
[314]
서적
The woman citizen: social feminism in the 1920s
University of Virginia Press
[315]
뉴스
The first picket line – College day in the picket line
https://www.loc.gov/[...]
2017-03-02
[316]
웹사이트
Our Documents – 19th Amendment to the U.S. Constitution: Women's Right to Vote (1920)
http://www.ourdocume[...]
2021-04-09
[317]
뉴스
Suffrage Wins in Senate; Now Goes to States
http://www.fordham.e[...]
2011-11-17
[318]
웹사이트
Introduction to Federal Voting Rights Laws: The Effect of the Voting Rights Act
https://www.justice.[...]
U.S. Department of Justice
2009-06-19
[319]
서적
African American women in the struggle for the vote, 1850–1920
https://archive.org/[...]
Indiana University Press
1998
[320]
서적
Literacy, Class, and Sexuality in the Debate on Women's Suffrage in Puerto Rico during the 1920s
M. E. Sharpe
1998
[321]
웹사이트
NAD History; National Association of the Deaf
http://nad.org/nad-h[...]
Nad.org
2015-10-29
[322]
웹사이트
How is the Pope elected?
http://www.catholic-[...]
Catholic-Pages.com
2011-09-02
[323]
웹사이트
Women and the Priesthood
http://www.catholic.[...]
Catholic.com
2011-09-02
[324]
웹사이트
CATHOLIC ENCYCLOPEDIA: Abbess
https://www.newadven[...]
[325]
간행물
Resignations and Appointments, 06.02.2021
https://press.vatica[...]
Holy See Press Office
2021-02-06
[326]
뉴스
Nathalie Becquart, première femme à avoir le droit de vote au synode des évêques
https://www.lemonde.[...]
2021-02-06
[327]
뉴스
Pope Will Allow Women to Vote at Meeting of Bishops
https://www.nytimes.[...]
2023-04-26
[328]
웹사이트
Pope allows women to vote at bishops meeting for first time
https://www.reuters.[...]
2023-04-26
[329]
뉴스
Muslim Women Seeking a Place in the Mosque
https://www.nytimes.[...]
2004-07-22
[330]
웹사이트
Manhattan, NY – Rabbi Keeps Off Women from Board of LES Orthodox Synagogue
http://www.vosizneia[...]
VosIzNeias.com
2011-09-02
[331]
웹사이트
JUDGE DISMISSES LAWSUIT AGAINST SYNAGOGUE
http://www.nysun.com[...]
2011-09-02
[332]
웹사이트
The Key to Marital Harmony: One Vote Per Couple?
http://www.crownheig[...]
CrownHeights.info
2011-09-02
[333]
웹사이트
Suffrage in the United States
https://jwa.org/ency[...]
2021-06-23
[334]
문서
スイスの女性参政権
[335]
문서
武者小路実世#エピソード
[336]
웹사이트
大正14年(1925)3月|普通選挙法が制定される:日本のあゆみ
https://www.archives[...]
국립공문서관
2024-08-29
[337]
뉴스
ウーマン・リブ
朝日新聞
1970-11-05
[338]
웹사이트
近代日本女性の政治的権利獲得運動
https://law.meijo-u.[...]
명성대학 법학부
2024-08-31
[339]
웹사이트
女性が参政権を得るまで
https://kango-renmei[...]
일본간호연맹
2024-08-31
[340]
웹사이트
近代日本女性の政治的権利獲得運動
https://law.meijo-u.[...]
명성대학 법학부
2024-08-31
[341]
서적
決定版 昭和史 第6巻
毎日新聞社
1984-02-29
[342]
논문
婦人参政権獲得運動から戦後初の女性議員誕生まで ――女性の政治活動について
https://opac.ll.chib[...]
지바대학
[343]
웹사이트
(2) 女性議員数の推移、「平成13年度女性の政策・方針決定参画状況調べ」内
https://www.gender.g[...]
내각부남녀공동참여국
2018-05-20
[344]
뉴스
「民権ばあさん」没後100年 高知の記念館で企画展:朝日新聞デジタル
https://www.asahi.co[...]
아사히신문사
2024-08-29
[345]
논문
寡頭制か民主制か――強制移住直前のチェロキー族の政治体制に関する評価をめぐって
법정대학사학회
1998-03
[346]
서적
Women in Search of Utopia: Mavericks and Mythmakers
Schocken
[347]
웹사이트
Navajo Women's Story 1868 to 1960: Separation of the Sexes
https://repository.l[...]
Georgetown Law Library
2023-06-30
[348]
논문
Feminist Nations? A Study of Native American Women in Southwestern Tribal Politics
Sage Publications
[349]
웹사이트
How Native American Women Inspired the Women’s Rights Movement
https://www.nps.gov/[...]
2023-06-30
[350]
서적
母権と父権
弘文堂
[351]
서적
民主主義の人類史――何が独裁と民主を分けるのか?
みすず書房
[352]
웹사이트
Stemmerett for kvinner – Grunnloven § 50 - stortinget.no:
https://www.storting[...]
Stortinget
2012-11-06
[353]
문서
See also
[354]
서적
ラテンアメリカ新しい社会と女性
新評論
2000-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