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인구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역사인구학은 과거의 인구 변동을 연구하는 학문 분야로, 18세기 토머스 맬서스 이후 앤슬리 코울, 새뮤얼 H. 프레스턴 등 주요 인구학자들이 연구해왔다. 프랑스 역사가 루이 앙리가 역사인구학을 인구학의 하위 분야로 발전시켰으며, 최근에는 방대한 인구 데이터 수집과 함께 새로운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주요 연구 자료로는 고고학적 방법, 교구 기록, 인구 조사 등이 활용되며, 모델 생명표, 시계열 분석 등의 통계적 방법이 사용된다. 일본의 경우, 근대 이전부터 다양한 학자들에 의해 인구 추정이 이루어졌으며, 종문인별개장과 같은 사료를 통해 17세기 인구 증가 등 사회 현상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8세기 일본 인구는 450~650만 명, 15세기 이후 1,000만 명을 넘었으며, 17세기에 급증하여 18~19세기에는 3,000만 명 전후로 안정화되었다고 추정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개체군 - 지리학
지리학은 지구와 천체의 특징, 현상, 그리고 공간적 요소를 체계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으로, 고대부터 현재까지 이어진다. - 개체군 - 생물
생물은 자기증식, 에너지 변환, 항상성 유지 능력을 갖추고 세포로 구성되며, 물질대사, 자극과 반응, 생식과 유전 등의 특징을 보이며 다양한 종으로 분류된다. - 인구학 - 죽음
죽음은 생명 활동의 영구적 종식으로 의학, 법, 사회, 종교, 심리, 생물학 등 다양한 관점에서 해석되며, 전통적인 심폐사 외에 뇌사도 죽음으로 인정되고, 개발도상국은 전염병, 선진국은 노화 관련 질병이 주요 사망 원인이며, 문화와 종교에 따라 다양한 이해와 관습이 존재하고, 수명 연장, 냉동 보존술, 존엄사, 안락사 등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 인구학 - 인구 밀도
인구 밀도는 특정 지역의 인구수를 면적으로 나눈 값으로, 인구 분포와 과밀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다양한 계산 방법과 함께 도시 계획, 환경 관리 등 여러 분야에서 활용되고, 높거나 낮은 밀도는 사회·경제적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역사인구학 | |
---|---|
역사인구학 정보 | |
학문 분야 | 역사학, 인구학, 사회과학 |
연구 대상 | 과거의 인구 규모, 구조, 분포 및 변동 |
연구 방법 | 문헌 연구, 통계 분석, 고고학적 증거 |
관련 학문 | 고고학, 사회사, 경제사, 의학사 |
주요 연구 주제 | 출산율, 사망률, 혼인율, 이주, 질병, 기근, 전쟁 등 인구 변동 요인 |
역사인구학의 주요 개념 | |
평균 수명 | 특정 시점의 평균적인 기대 수명 |
조출생률 | 총인구 1,000명당 연간 출생아 수 |
조사망률 | 총인구 1,000명당 연간 사망자 수 |
합계출산율 | 여성 1명이 평생 동안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 |
인구 피라미드 | 연령 및 성별에 따른 인구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 |
역사인구학 연구의 중요성 | |
과거 사회 이해 | 과거 사회의 구조와 변화 과정을 이해하는 데 기여 |
현재 사회 문제 해결 | 현재 사회의 인구 문제 해결에 대한 시사점 제공 |
미래 사회 예측 | 미래 사회의 인구 변화 추세를 예측하는 데 도움 |
역사인구학의 과제 | |
자료 부족 | 과거 자료의 부족 및 신뢰성 문제 |
방법론적 한계 | 제한된 통계 분석 방법론 |
학제 간 연구 필요 | 다양한 학문 분야와의 협력 필요 |
2. 역사인구학 기법의 발전
역사적 분석은 18세기의 토머스 맬서스에서부터 앤슬리 코울, 새뮤얼 H. 프레스턴과 같은 20세기 주요 인구학자에 이르기까지 인구 연구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해왔다. 프랑스 역사가 루이 앙리(1911-1991)는 역사인구학을 인구학의 별도 하위 분야로 발전시키는 데 주된 역할을 했다.[3] 최근 몇 년 동안, 스웨덴의 우메오에 있는 인구 통계 데이터베이스,[4] 네덜란드의 역사 표본,[5] 그리고 통합 공공 사용 마이크로데이터 시리즈(IPUMS)를 포함하여 방대한 새로운 인구 데이터 수집이 개발되면서 역사인구학 분야의 새로운 연구가 급증했다.
2. 1. 주요 연구 자료
윌리건과 린치에 따르면 인구 통계 역사학자들이 사용하는 주요 자료는 다음과 같다.[6]자료 종류 | 설명 |
---|---|
고고학적 방법 | |
교구 기록 | 유럽에서 약 1500년부터 시작됨 |
민간 등록 기록 | |
인구 조사 | |
국가 인구 조사 | 약 1800년부터 시작됨 |
계보 및 가족 재구성 연구 | |
인구 등록 | |
조직 및 기관 기록 |
통계적 방법으로는 모델 생명표, 시계열 분석, 사건 이력 분석, 인과 모델 구축 및 가설 검증, 인구 변천 이론 및 역학적 변천 이론 등이 사용되었다.[7][8]
2. 2. 주요 통계적 방법
모델 생명표, 시계열 분석, 사건 이력 분석, 인과 모델 구축 및 가설 검증, 인구 변천 이론, 역학적 변천 이론 등이 사용되었다.[7][8]3. 역사인구학의 확립
이 학문은 프랑스의 역사학자 루이 앙리Louis Henry (démographe)|프랑스어에 의해 확립된 것으로 여겨진다.[9]
3. 1. 루이 앙리의 업적
루이 앙리는 가족 복원법을 확립하여, 프랑스 북서부 오른주 크룰레(:fr:Crulai)의 기독교 교구 대장(1670년-1829년)을 분석하여 개인의 출생, 결혼, 사망을 조사하고, 이를 모아 인구의 미시적인 변천을 기술했다.[10]3. 2. 피에르 구베르의 선구적 역할
최초로 교구 대장을 인구학적으로 활용한 것은 프랑스의 역사가 피에르 구베르로 여겨진다.[9]4. 일본의 역사인구학
일본의 역사인구학은 근대 이전부터 니시도 지, 아라이 하쿠세키 등의 천문학자, 유학자, 국학자들에 의해 연구가 시작되었다. 현대의 연구에 따르면, 일본 인구는 8세기에 450~650만 명 수준이었으며, 15세기 이후 중세 후기에 1,000만 명을 넘어섰다. 17세기에 인구가 급증한 후, 18세기부터 19세기에는 3,000만 명 전후로 안정화되었다.
- 선사 시대부터 에도 시대 이전의 일본의 인구 통계에 대해서는 근대 이전 일본의 인구 통계를 참조.
- 에도 시대 이후의 인구 통계에 대해서는 에도 시대의 일본 인구 통계를 참조.
- 세이난 전쟁 전의 일본의 '''도시 인구'''의 조사와 추정 인구에 관해서는 근대 이전 일본의 도시 인구 통계를 참조.
4. 1. 근대 이전의 인구 추정
근대 이전 일본의 인구 추정은 니시도 지나 아라이 하쿠세키 등 천문학자, 유학자, 국학자에서 시작되었으며, 메이지 시대 이후에는 이노에 에이소쿠, 요코야마 요시키요, 개릿 드로퍼스(Garrett Droppers), 요시다 도고 등이 연구를 진행했다. 쇼와 초기에는 수학자 사와다 고이치(澤田吾一)가 고문서를 면밀하게 조사하여 나라 시대부터 헤이안 시대에 걸친 율령 시대의 추정 인구를 정리했다. 이후 혼조 에이지로, 다카하시 본센, 세키야마 나오타로 등의 연구가 있었으며, 최근에는 선사 시대에 대해서는 코야마 슈조, 율령 시대에 대해서는 가마다 모토카즈, 가마쿠라·무로마치 시대에 대해서는 윌리엄 웨인 패리스(William Wayne Farris), 에도 시대에 대해서는 하야미 아키라나 키토 히로시 등이 연구하고 있다.추정 인구는 호수, 군향수, 전적수, 과정수(『율서잔편』, 『와묘루이쥬쇼』, 『습개초』, 『송사일본전』, 『대전문』), 이고(『덴쇼기』『당대기』기재의 태합검지 총 이고), 출거이나수(홍인식·엔기시키 정세장), 또는 유적의 수 등을 바탕으로 모델 계산되었다. 일본의 경우에는 종문인별개장이라는 양질의 사료가 있었기 때문에 그 연구를 통해 많은 성과를 얻었다. 예를 들어 17세기의 폭발적인 인구 증가나 출가봉공에 따른 도시와 농촌의 관계성 등이 있다. 이것들은 근세 사회사에 새로운 시점을 가져다주고 있다.
4. 2. 근대 이후의 주요 연구
메이지 시대 이후에는 이노에 에이소쿠, 요코야마 요시키요, 개릿 드로퍼스(Garrett Droppers), 요시다 도고 등이 인구 추산을 시도했다. 쇼와 시대 초기에는 수학자 사와다 고이치(澤田吾一)가 고문서를 면밀히 고찰하여 나라 시대부터 헤이안 시대에 걸친 율령 시대의 추정 인구를 정리했다. 이후 혼조 에이지로, 다카하시 본센, 세키야마 나오타로 등의 연구가 있었다. 최근에는 선사 시대에 대해서는 코야마 슈조, 율령 시대에 대해서는 가마다 모토카즈, 가마쿠라 시대·무로마치 시대에 대해서는 윌리엄 웨인 패리스(William Wayne Farris), 에도 시대에 대해서는 하야미 아키라나 키토 히로시 등의 연구가 있다.4. 3. 연구 방법 및 성과
종문인별개장이라는 양질의 사료를 바탕으로, 호수, 군향수, 전적수, 과정수(『율서잔편』, 『와묘루이쥬쇼』, 『습개초』, 『송사일본전』, 『대전문』), 이고(『덴쇼기』, 『당대기』 기재의 태합검지 총 이고), 출거이나수(홍인식·엔기시키 정세장), 유적의 수 등을 모델로 계산하여 많은 연구 성과를 얻었다.[1] 이를 통해 17세기의 폭발적인 인구 증가, 출가봉공에 따른 도시와 농촌의 관계성 등 근세 사회사에 대한 새로운 시각이 제시되었다.[1]4. 4. 일본의 인구 추이
현대 역사인구학 연구자들의 추정에 따르면, 일본의 인구는 8세기에 450~650만 명이었다. 1,000만 명을 넘은 것은 중세 후기, 적어도 15세기 이후로 생각되고 있다. 에도 시대 전반의 17세기에 급증하여, 18세기부터 19세기는 3,000만 명 전후로 안정화되었다.5. 유라시아 역사인구학
1995년, 하야미 아키라를 중심으로 "유라시아 사회의 인구·가족 구조 비교사 연구" (유라시아 인구·가족사 프로젝트)가 진행되었다.[1] 이는 대한민국, 중화인민공화국, 일본, 이탈리아, 벨기에, 스웨덴 등이 참여하는 국제 공동 연구 프로젝트이다.[1]
참조
[1]
백과사전
Historical Demography
http://www.answers.c[...]
Encyclopedia of Public Health
2005-05-03
[2]
논문
Public User Microdata Samples (PUMS): Do-lt-Yourself Census Data.
https://journals.iup[...]
2014
[3]
논문
The Novelty of an Old Genre: Louis Henry and the Founding of Historical Demography
http://www.cairn.inf[...]
2003
[4]
웹사이트
https://web.archive.[...]
2009-06-03
[5]
웹사이트
The Historical Sample of the Netherlands (HSN) - Blog | IISG
http://www.iisg.nl/h[...]
2009-06-03
[6]
논문
Methodological issues in the use of population registers for fertility analysis.
1983
[7]
서적
Sources and methods of historical demography
1982
[8]
서적
Old and new methods in historical demography
Clarendon Press
1993
[9]
서적
歴史学との出会い
慶應義塾大学出版会
2010
[10]
서적
歴史人口学の世界 -「第1章 歴史人口学の成立と展開」より
[11]
간행물
역사인구학
통계청
20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