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영귀는 늙은 거북 또는 신령스러운 거북을 의미하며, 사령(四靈) 중 하나로 여겨진다. 중국에서는 고대 문헌에서 영귀는 신성한 존재로 묘사되며, 수명과 관련된 다양한 설화가 존재한다. 일본에서는 레이키(霊亀)로 불리며, 신사나 사찰의 모티프, 연호 등으로 사용되었다. 한국 신화에서도 영귀는 등장하며, 대중문화에서는 드래곤볼의 무천도사, 라이트 노벨, 게임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물 - 봉황
봉황은 닭, 제비, 뱀, 학, 물고기, 원앙, 거북, 매의 모습을 닮고 오색 빛깔과 아름다운 울음소리를 지닌 상서로운 새로, 평화와 번영, 행복의 상징으로 여겨지며 한국에서는 하늘과 땅을 잇는 매개체로 신성시된다. - 영물 - 기린 (전설)
기린은 사슴의 몸, 소의 꼬리, 말의 발굽, 이마의 뿔을 가진 상상의 동물로, 자애롭고 덕망 높은 존재로 묘사되며, 중국, 한국 등에서 다양한 상징성을 지닌다. - 전설의 거북 - 쿠르마
쿠르마는 힌두교 신화에서 비슈누의 화신 중 하나로 우유 바다 휘젓기에서 만다라 산을 떠받친 거북을 의미하며, 굳건함, 안정성, 우주 질서 등을 상징하고 요가 자세 및 에너지 경로와도 관련이 있다. - 전설의 거북 - 갓파
갓파는 일본 민간 설화에 등장하는 물의 요괴로, 머리에 물이 담긴 접시, 등에 거북이 등껍질을 가진 아이와 비슷한 모습으로 묘사되며, 장난기가 많고 오이를 좋아하지만 때로는 사람을 해치는 존재로 전해진다. - 일본의 전설의 생물 - 봉황
봉황은 닭, 제비, 뱀, 학, 물고기, 원앙, 거북, 매의 모습을 닮고 오색 빛깔과 아름다운 울음소리를 지닌 상서로운 새로, 평화와 번영, 행복의 상징으로 여겨지며 한국에서는 하늘과 땅을 잇는 매개체로 신성시된다. - 일본의 전설의 생물 - 삼족오
삼족오는 동아시아 신화에 등장하는 세 발 달린 까마귀로, 태양을 상징하며, 중국, 한국, 일본 등 각 문화권에서 다른 의미로 나타난다.
영귀 | |
---|---|
개요 | |
유형 | 신화 속 거북 |
기원 문화 | 중국 신화 |
명칭 | |
한자 | 靈龜 (정체자), 灵龟 (간체자) |
로마자 표기 | língguī (병음) |
한국어 | 영귀 (靈龜) |
일본어 | れいき (레이키) (히라가나), 霊亀 (레이키) (간지) |
베트남어 | linh quy |
특징 | |
상징 | 장수, 지혜, 보호 |
외형 | 영적인 거북, 특별한 무늬 또는 능력 보유 |
문화적 의미 | |
관련 신화 | 사령 중 하나 현무와 연관 |
종교적 의미 | 도교에서 신성한 동물로 여겨짐 |
예술적 표현 | 그림, 조각, 공예품 등에 등장 |
기타 | |
관련 용어 | 귀부 십이지 |
2. 명칭 및 식별
거북은 사령(四靈) 중 하나로, 여러 이름으로 불린다. 단순히 "거북"(구/龜zh-hant)이라고 불리기도 하지만, "늙은 거북"(로구/老龜zh-hant) 또는 "영귀"(영귀/靈龜zh-hant)라고도 한다. 후자는 때때로 "신귀"(신귀/神龜zh-hant)와 동의어로 이해되지만, 구별되기도 한다.
이 용어는 전통적인 점술에 사용되는 거북 껍질을 지칭하는 데에도 사용된다.
3. 중국
이아는 "신령스러운 거북"(선구이/神龜zh-hant)과 "영묘한 거북"(링구이/靈龜zh-hant)에 대한 항목을 제공한다. 전자의 용어에는 "거북 중 가장 신성한 존재"(구이즈주이선밍/亀之最神明zh-hant)라는 주석이 덧붙여져 있다.[2]
임방이 편찬한 수이기(수이지/述異記zh-hant, 기이한 사건에 대한 이야기)에 따르면, 천 년을 산 거북은 털이 자라며, 오천 년 된 거북은 "신령스러운 거북"(선구이/神龜zh-hant)이라고 불리고, 만 년 이상 된 동물은 "영묘한 거북"(링구이/靈龜zh-hant)이라고 불린다.[2]
포박자는 영묘한 거북을 천 년 된 존재로 묘사하는데, 이는 수이기에서 발견되는 설명과 뚜렷한 대조를 이룬다. 이 텍스트는 거북이 오행을 나타내는 파란색, 빨간색, 노란색, 흰색, 검은색의 다섯 가지 색상을 가지고 있다고 묘사한다.
3. 1. 이아(爾雅)
이아는 "신령스러운 거북"(선구이/神龜zh-hant)과 "영묘한 거북"(링구이/靈龜zh-hant)에 대한 항목을 제공한다. 전자의 용어에는 "거북 중 가장 신성한 존재"(구이즈주이선밍/亀之最神明zh-hant)라는 주석이 덧붙여져 있다.[2]
임방이 편찬한 수이기(수이지/述異記zh-hant)에 따르면, 천 년을 산 거북은 털이 자라며, 오천 년 된 거북은 "신령스러운 거북"(선구이/神龜zh-hant)이라고 불리고, 만 년 이상 된 동물은 "영묘한 거북"(링구이/靈龜zh-hant)이라고 불린다.[2]
포박자는 영묘한 거북을 천 년 된 존재로 묘사하는데, 이는 수이기에서 발견되는 설명과 뚜렷한 대조를 이룬다. 이 텍스트는 거북이 오행을 나타내는 파란색, 빨간색, 노란색, 흰색, 검은색의 다섯 가지 색상을 가지고 있다고 묘사한다.
3. 2. 수이기(述異記)
이아는 "신령스러운 거북"(선구이/神龜zh-hant)과 "영묘한 거북"(링구이/靈龜zh-hant)에 대한 항목을 제공한다. 전자의 용어에는 "거북 중 가장 신성한 존재"(구이즈주이선밍/亀之最神明zh-hant)라는 주석이 덧붙여져 있다.[2]
임방이 편찬한 수이기(수이기/述異記zh-hant, 기이한 사건에 대한 이야기)에 따르면, 천 년을 산 거북은 털이 자라며, 오천 년 된 거북은 "신령스러운 거북"(선구이/神龜zh-hant)이라고 불리고, 만 년 이상 된 동물은 "영묘한 거북"(링구이/靈龜zh-hant)이라고 불린다.[2]
포박자는 영묘한 거북을 천 년 된 존재로 묘사하는데, 이는 수이기의 설명과 뚜렷한 대조를 이룬다. 포박자는 거북이 파란색, 빨간색, 노란색, 흰색, 검은색의 다섯 가지 색상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오행을 나타낸다고 묘사한다.[2]
3. 3. 포박자(抱朴子)
이아는 "신령스러운 거북"(신귀/神龜zh-hant)과 "영묘한 거북"(영귀/靈龜zh-hant)에 대한 항목을 제공한다. 전자의 용어에는 "거북 중 가장 신성한 존재"(구지최신명/亀之最神明zh-hant)라는 주석이 덧붙여져 있다.[2]
포박자는 영묘한 거북을 천 년 된 존재로 묘사한다. 거북이 파란색, 빨간색, 노란색, 흰색, 검은색의 다섯 가지 색상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오행을 나타낸다고 설명한다.[2]
4. 일본
일본 신화에서 이 생물은 '''레이키'''(레이키/霊亀일본어 "영적 거북")로 확인된다.[3] ''젠린쿠슈''는 "영적 거북이 꼬리를 끈다"는 뜻의 코안인 ''레이키 오 오 히쿠''(레이키 오 오 히쿠/靈龜曵尾일본어)를 제공한다. 이는 ''아토 오 하랏테 아토 쇼즈''(아토 오 하랏테 아토 쇼즈/拂跡跡生일본어 "흔적을 지우면 흔적이 생긴다")라는 구절의 변형으로 묘사된다.[3]
영적 거북은 일본의 신사와 불교 사찰에서 나타나는 고유한 모티프이다. "레이기잔"(레이기잔/霊亀山일본어 "영적 거북 산")이라는 ''산고'' 칭호는 교토의 텐류지와 린센지, 히메지의 혼토쿠지, 우와지마의 다이초지 등 전국 여러 사찰에 속한다.
센다이에 있는 카메오카 하치만구 신사는 건설 당시 영적 거북이 나타났기 때문에 그렇게 불린다고 한다. 이 생물의 석상은 마시코, 도치기의 제뇨미츠지와 카메오카 하치만구에서 찾아볼 수 있다.
''레이키''는 또한 나라 시대의 첫 번째 연호의 이름이기도 하다.
4. 1. 선림구집(禪林句集)
일본 신화에서 이 생물은 '''레이키'''(레이키/霊亀일본어 "영적 거북")로 확인된다.[3] ''젠린쿠슈''는 "영적 거북이 꼬리를 끈다"는 뜻의 코안인 ''레이키 오 오 히쿠''(레이키 오 오 히쿠/靈龜曵尾일본어)를 제공한다. 이는 ''아토 오 하랏테 아토 쇼즈''(拂跡跡生|아토 오 하랏테 아토 쇼즈일본어 "흔적을 지우면 흔적이 생긴다")라는 구절의 변형으로 묘사된다.[3]영적 거북은 일본의 신사와 불교 사찰에서 나타나는 고유한 모티프이다. "레이기잔"(레이기잔/霊亀山일본어 "영적 거북 산")이라는 ''산고'' 칭호는 교토의 텐류지와 린센지, 히메지의 혼토쿠지, 우와지마의 다이초지 등 전국 여러 사찰에 속한다.
센다이에 있는 카메오카 하치만구 신사는 건설 당시 영적 거북이 나타났기 때문에 그렇게 불린다고 한다. 이 생물의 석상은 마시코, 도치기의 제뇨미츠지와 카메오카 하치만구에서 찾아볼 수 있다.
''레이키''는 또한 나라 시대의 첫 번째 연호의 이름이기도 하다.
5. 한국
한국 신화에서, '''영귀'''(靈龜/영귀한국어)로 알려져 있다.[4]
6. 대중문화
드래곤볼 프랜차이즈의 무천도사는 "거북이 선인"(亀仙人일본어 lit. "거북이 선인")으로도 알려져 있다. 이 칭호는 선인과 거북이의 관계에서 영감을 받았다. 영귀는 일본 라이트 노벨 시리즈 ''방패 용사 성공담''에 등장하는 캐릭터이다. 링구이(霊亀일본어)는 일본 라이트 노벨 시리즈 ''인피니트 덴드로그램''에 등장하는 캐릭터 '''그레이 α 센타우리'''의 별명이다. 퍼즐 비디오 게임 ''퍼즐 & 드래곤''에는 각각 ''오각형 - 영귀 댄스''와 ''삼중 방어 - 영귀 댄스''라는 두 개의 기술이 등장한다. 이들은 몬스터 '''어둠의 길을 지키는 현무, 메이메이'''와 '''각성 메이메이'''에게 각각 귀속된다. 전자의 캐릭터 명칭은 중국 점성술의 현무의 일본어 이름에서 유래했다. 대국 쇼기의 게임 말 이름이기도 하다.
참조
[1]
서적
SHINKIGENSHA Co Ltd
1997
[2]
서적
Zhongguo Shenhua Chuanshuo Cidian
Shanghai Cishu Chubanshe
1985
[3]
서적
Zen Classics: Formative Texts in the History of Zen Buddhism
Oxford University Press
2006
[4]
웹사이트
http://premium.brita[...]
2019-04-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