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노고로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노고로섬은 일본 신화에 등장하는 섬으로, 신화 속에서 이자나기와 이자나미가 아메노누호코(천상의 창)로 바다를 휘저어 만들어졌다고 전해진다. 이 섬은 일본 국토 창조의 시발점으로 여겨지며, 두 신이 결혼하고 히루코(에비스)를 낳은 장소로 묘사된다. 고지키와 니혼쇼키 등 고대 문헌에 기록되어 있으며, 닌토쿠 천황의 노래에도 등장한다. 현대에는 아와지 섬 주변의 여러 섬들이 오노고로섬의 후보지로 거론되며, 토성의 위성과 타이탄의 섬의 이름으로도 사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신화의 섬 - 툴레
툴레는 고대 그리스 지리학자들이 언급한 북쪽의 미지의 섬 또는 지역으로, 극야와 백야 현상과 관련되어 묘사되었으며, 시대에 따라 브리타니아 북쪽, 아이슬란드, 그린란드 등으로 여겨졌고, 신비주의적 의미로도 사용되었다. - 신화의 섬 - 봉래산
봉래산은 중국 신화에 나오는 신선이 사는 영산으로, 불사신이 거주하는 곳이자 불로불사의 상징으로 여겨지며, 그 위치에 대해서는 다양한 주장이 존재한다. - 기기신화 - 고사기
《고사기》는 712년 오노 야스마로가 편찬한 일본 최초의 역사서이자 문학작품으로, 신화 시대부터 스이코 천황까지의 역사를 다루며 일본 황실의 기원과 정통성을 강조하는 내용을 담고 있지만, 역사적 사실의 신빙성에 대한 논쟁이 있다. - 기기신화 - 일본서기
《일본서기》는 720년에 사인 친왕이 편찬한 신대부터 지토 천황까지의 일본 역사를 기록한 편년체 역사서로, `帝紀`와 `旧辞` 등의 사료를 활용하여 30권으로 구성되었으나 일부 내용의 신뢰성에 대한 논란과 다양한 해석이 존재한다.
오노고로섬 | |
---|---|
지리 정보 | |
개요 | |
위치 | 일본 신화 |
관련 문헌 | 고사기(고대 기록), 일본서기(일본 연대기) |
특징 | 이자나기와 이자나미가 일본 열도를 창조하기 위해 처음으로 만든 섬 |
창조 과정 | 혼돈 속에서 떠다니는 기름과 같은 상태에서 응고되어 형성 |
신화 속 역할 | |
이자나기와 이자나미 | 섬에 내려와 아메노미하시라(천상의 기둥)를 세움 야히로도노(넓은 집)를 지음 섬을 중심으로 일본 열도 창조 활동을 시작 |
창조의 시작 | 기둥을 중심으로 반대 방향으로 돌아 서로 만나 결합하여 자식을 낳음 |
위치 비정 | |
위치 | 정확한 위치는 불명 |
유력 후보지 | 오노고로 섬(효고현) 누지마(미에현) 에지마 (히루젠)(히루젠) 도모가시마(와카야마현) 오시마 (아이오이시)(아이오이시) 구쓰나 제도(에히메현) 오가미 섬(미야자키현) |
기타 정보 | |
관련 작품 | 기동전사 건담 SEED (애니메이션) - 오노고로 섬을 모티브로 한 '오노고로 섬' 등장 |
2. 신화 속 오노고로 섬
고지키에 따르면, 오노고로 섬은 신성한 부부 이자나기와 이자나미가 아메노우키하시(천부교: 하늘과 땅을 잇는 다리)에 서서 아메노누보코(천상의 창)로 바다를 휘저어 만들어졌다('''''쿠니우미''''').[2] 그들이 바다에서 창을 들어 올리자 창에서 물방울이 떨어져 섬이 되었다.[7]
이자나기와 이자나미는 오노고로 섬에 내려와 아메노미하시라(하늘 기둥)와 야히로도노(광대한 전각)를 세우고,[8] 이 섬에서 성혼했다.[9]
2. 1. [[고지키]]와 [[니혼쇼키]] 기록
고지키와 니혼쇼키에 따르면, 이자나기노 미코토(남신)와 이자나미노 미코토(여신)가 국토를 낳을 때, 아마노우키하시에 서서 아메노누보코를 바다에 내려 휘저었다. 창을 들어 올리자 방울져 떨어진 젖은 물이 쌓여 섬이 되었는데, 이것이 오노고로 섬이다.[7]닌토쿠 천황은 기비국으로 돌아간 흑일매(黒日売)를 그리워하여 황후를 속이고 아와지섬을 보러 간다고 했다. 그는 아와지 섬에 머물면서 "오시테루야, 난바의 곶에서 출발하여, 우리나라를 바라보니, 아하 섬, '''오노고로 섬''', 아지마사 섬도 보인다, 사케츠 섬도 보인다"라고 노래했다.[11] 여기서 '우리나라를 바라보니'는 닌토쿠 천황이 그 위치에서 나라의 지세, 풍경, 백성들의 생활 등을 살펴보았다는 국견(國見)으로 해석된다.[11][12]
2. 1. 1. [[이자나기]]와 [[이자나미]]의 창세 신화
고지키에 따르면, 오노고로섬은 신성한 부부 이자나기와 이자나미가 아메노우키하시(천부교: 하늘과 땅을 잇는 허공에 떠 있는 다리. 신은 이 다리를 건너 땅으로 내려온다고 한다[6])에 서서 아메노누보코(천상의 창)로 바다를 휘저어 만들어졌다('''''쿠니우미''''').[2] 그들이 바다에서 창을 들어 올리자 창에서 물방울이 떨어져 섬이 형성되었다.[7]이자나기노 미코토(남신)와 이자나미노 미코토(여신)는 오노고로 섬에 내려와 아메노미하시라(하늘 기둥)와 야히로도노(광대한 전각)를 세웠다.[8] 이자나기와 이자나미는 아메노미하시라를 가운데 두고 야히로도노라는 궁궐을 지었다. 이자나기는 왼쪽으로, 이자나미는 오른쪽으로 천의 기둥을 돌며 만난 곳에서 서로의 매력을 칭찬하며, 이 섬에서 성혼했다.[9] 이 섬은 히루코(에비스)가 태어난 곳이며, 고지키에서 3장:3, 7장:25, 111장:32에 언급된다.[3]
2. 2. [[닌토쿠 천황]]과 오노고로 섬
오오사자키노미코토(닌토쿠 천황)는 기비국으로 가는 도중에 읊은 노래에 오노고로 섬을 언급했다.;원문
:이에 천황은 그 흑일매를 그리워하여, 황후를 속여 "아와지 섬을 보고 싶다"고 말하며 행차할 때, 아와지 섬에 머물면서 멀리 바라보며 노래했다.
:『오시테루야, 나니와의 곶에서 출발하여, 우리나라를 바라보니, 아와 섬, '''오노고로 섬''' 아지마사 섬도 보인다, 사케츠(先つ) 섬도 보인다.
:이에 그 섬에서 전해져 기비국으로 행차했다.[10]
;구어 번역
:이에 천황은 그 흑일매를 그리워하여, 황후를 속여 "아와지 섬을 보려고 한다"라고 말하며 행차할 때, 아와지 섬에 머물면서, 멀리 바라보며 노래하여 말하기를
:『오시테루야, 난바의 곶에서 출발하여, 우리나라를 바라보니, 아하 섬, '''오노고로 섬''' 아지마사 섬도 보인다, 사케츠 섬도 보인다.[11]』
:곧 그 섬에서 건너가, 기비국으로 행차했다.
"오시테루야"는 난바의 말머리이다. "우리나라를 바라보니"는 닌토쿠 천황이 현재 위치 부근에서 바라보며 국견(國見)을 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11] 국견이란 나라의 지세나 풍경, 사람들의 생활 상태 등을 지위가 높은 인물이 바라보는 것을 말한다.[12]
3. 오노고로 섬 비정지
오노고로 섬은 신화에 등장하는 섬으로, 그 위치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존재한다. 모토오리 노리나가는 고지키덴에서 아와지시마 근처의 누시마 또는 도모가시마와 같은 작은 섬들 중 하나일 것이라고 주장했다. 누시마에는 이자나기와 이자나미를 기리는 자응 신사(自凝神社|자응 신사일본어)가 있으며, 일본 최초의 섬이 창조되었다고 여겨지는 신성한 언덕이 있다.
닌토쿠 천황이 읊은 『고사기』 하권의 노래를 참고하면, 아와 섬(아와시마 명신)을 와카야마시가타의 아와시마 신사로 하고 누시마를 오노고로 섬으로 하면 아와지시마에서 한눈에 볼 수 있다는 견해도 있다.
긴키 지방 외에도 쓰쿠바 산, 하리마나다의 이에시마, 나루토 해협의 도비시마, 심지어 지구 그 자체를 오노고로 섬으로 보는 설도 있다.
3. 1. [[긴키 지방]]의 전승
이자나기와 이자나미가 국토를 낳을 때, 천부교(하늘과 땅을 잇는 다리)에 서서 아메노누보코(하늘의 창)를 바다에 내려 휘저어 들어 올리자, 창 끝에서 떨어진 물방울이 쌓여 섬이 되었는데, 이것이 오노고로 섬이다.[7] 오노고로 섬에 내려온 두 신은 아메노미하시라와 야히로도노(광대한 전각)를 세우고,[8] 성혼한다.[9]닌토쿠 천황은 기비국으로 귀향한 흑일매(黒日売)를 그리워하며 아와지섬을 방문했을 때, "오시테루야, 난바의 곶에서 출발하여, 우리나라를 바라보니, 아하 섬, '''오노고로 섬''', 아지마사 섬도 보인다, 사케츠 섬도 보인다"라는 노래를 불렀다.[11]
오노고로 섬은 신화 속 가상의 섬이라는 설과 실재했다는 설이 있다. 헤이안 전기의 『신찬성씨록』에서는 오노고로 섬을 토모가 섬의 섬들과 동일시하는 설이 있다.[13] 『신찬귀상기』와 가마쿠라 후기에 성립된 『석일본기』에서는 오노고로 섬을 누시마로 비정하고 있으며, 근세 이후 대부분은 이 누시마 섬 설이 정설이 되었다.[13] 메이지 시대의 『대일본지명사전』에서도 누시마 섬 설을 유력하게 보고 있다.[14]
에도 중기의 국학자인 모토오리 노리나가는 『고사기전』을 통해 오노고로 섬을 아와지 섬 북단의 에지마 섬으로 보았으며,[13] 아와지 섬 주변의 작은 섬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13] 닌토쿠 천황의 노래를 참고하면, 아하 섬(아와시마 명신)을 와카야마시가타의 아와시마 신사로 하고 누시마 섬을 오노고로 섬으로 하면 아와지 섬에서 한눈에 볼 수 있다. 오노고로 섬을 하카타 만의 노코 섬(노코노 섬)으로 보는 의견도 있다.
3. 1. 1. [[아와지시마]] 주변 섬
모토오리 노리나가는 고지키덴에서 오노고로섬이 아와지시마 근처의 누시마 또는 도모가시마와 같은 작은 섬들 중 하나일 것이라고 주장했다.[13] 누시마에는 이자나기와 이자나미를 기리는 자생신사(일본어: 自凝神社)가 있으며, 신성한 언덕 꼭대기에 일본 최초의 섬이 창조되었다고 전해진다.[13]- '''누시마(沼島)'''

누시마는 아와지시마 남쪽 4.6km 해상에 위치한 곡옥 모양의 섬이다.[15] 1994년에는 약 1억 년 전에 생성된 "칼집형 습곡"이라는 희귀한 암석이 발견되었다.[15]
누시마 해안에는 기암과 암초가 많으며, 남동쪽 해안에는 높이 약 30m의 가미타테가미이와가 있는데, 이는 국생신화의 상징적인 존재로 아메노미하시라(하늘의 기둥)라고도 불리며, 이자나기와 이자나미가 내려온 곳이라고 전해진다.[16]
누시마에는 이자나기와 이자나미를 모시는 오노고로 신사가 있다.[17] 지역에서는 산 전체를 "오노고로 씨"라고 부르며 신성한 산으로 여긴다.[17]
- '''도모가시마(友が島)'''

기탄 해협에 있는 도모가시마의 오키노시마는 아와시마 신사의 발상지로 알려져 있다.[18] 닌토쿠 천황 시대에 스쿠나비코나와 오쿠니누시를 모시던 곳을 섬에서 와카야마시 가다로 옮겼다는 이야기가 전해지며, 이 때문에 도모가시마가 오노고로 섬이라는 추측이 있었다.[19]
- '''에지마(絵島)'''
아와지시 이와야항 근처의 에지마는 약 2000만 년 전의 사암층이 노출된 작은 섬이다. 산가슈와 헤이케 이야기에도 등장하며, 달맞이 명소로 알려져 있다.[20]
근처 이와야 성터 언덕 아래 동굴에는 이자나기, 이자나미, 히루코를 모시는 이와쿠스 신사가 있다.[21] 전승에 따르면, 히루코는 이와야에서 니시노미야 신사로 흘러가 신이 되었다고 한다.[21]
아와지시마 내의 작은 언덕에는 오노고로지마 신사가 있으며, 이자나기와 이자나미, 기쿠리히메를 모신다.[22] 높이 약 21m의 붉은 도리이가 상징이다. 신사 서쪽에는 아메노누보코에서 떨어진 소금으로 만들어졌다는 순산을 위한 모래밭이 있다.[22] 조몬 시대에는 이 언덕이 바다에 떠 있는 작은 섬이었다는 설이 있다.[22]
3. 1. 2. [[오노고로지마 신사]] (아와지시마)
아와지시마 내의 작은 언덕에 있는 오노고로지마 신사는 이자나기노미코토와 이자나미노미코토 두 신을 제신으로 모시고, 국분희명를 합사하고 있다.[22] 높이 약 21m의 주홍색 큰 도리이가 상징이다.
오노고로지마 신사가 현재 육지에 있지만, '오노고로 섬'이라고 불리는 이유는 수천 년 전 조몬 시대에는 언덕 부근이 바다에 떠 있는 작은 섬이었다는 설 때문이다.[22] 신사 서쪽에는 "아메노누보코(天の沼矛)"에서 떨어진 소금이라고 전해지는 순산을 위한 모래밭이 있으며, 산궁 신사가 있다.[22]
국생 신화에 따르면, 아와지시마는 이자나기노미코토와 이자나미노미코토가 낳은 섬들에 포함되어 있다.
3. 2. 기타 비정지
긴키 지방 외에도 오노고로 섬으로 비정되는 장소는 다음과 같다.모토오리 노리나가는 고지키 해설서인 고지키덴(古事記伝|고지키덴일본어)에서 오노고로섬이 아와지시마 근처의 누시마 또는 토모가시마와 같은 작은 섬들 중 하나를 가리킨다고 주장했다. 누시마섬(沼島|누시마일본어)에는 이자나기와 이자나미를 기리는 자응 신사(自凝神社|자응 신사일본어)가 있으며, 일본 최초의 섬이 창조되었다고 여겨지는 신성한 언덕이 있다.[4]
3. 2. 1. [[시마네현]] [[도카미 산]]
도카미 산은 이자나기, 이자나미 두 신을 제외한 신세 7대의 신들을 모신 것에서 이름이 붙여졌다. 이곳은 한때 도카미 섬이라는, 본토에서 분리된 섬이었다는 것이 문헌학(이즈모국 풍토기) 및 지질학적으로 확인되고 있다. 또한 고사기에 나오는 이자나미 신이 매장되었다는 "호키와 이즈모의 경계, 히바 산"(히바 산 구메 신사)이 근처에 있다는 점과 스사노오의 궁이라고 하는 스가 신사(도다 팔만궁) 또는 황천 평언이라고 하는 이야 신사(마쓰에시) 등 신세에서 신대로 바뀌는 이야기가 사전에 남아있는 지역이기도 하다.[15][16][17][18][19][20][21][22]3. 2. 2. 기타 지역
모토오리 노리나가는 고지키(고사기) 해설서인 고지키덴(古事記伝|고지키덴일본어)에서 오노고로섬이 아와지시마 근처의 누시마 또는 토모가시마와 같은 작은 섬들 중 하나를 가리킨다고 주장했다. 누시마섬(沼島|누시마일본어)에는 이자나기와 이자나미를 기리는 자생신사(自凝神社|자생신사일본어)가 있으며, 일본 최초의 섬이 창조되었다고 여겨지는 신성한 언덕이 있다.[4] 즉, 누시마 다음으로 다른 섬들이 창조되었다는 것이다.[4]4. 오노고로 섬의 현대적 의미
오노고로 섬은 현대 일본 사회와 문화에서 다양한 상징적 의미를 지닌다.
4. 1. 지명 유래
토성의 위성 레아의 연쇄 크레이터 중 하나는 오노고로섬에서 유래하여 오노코로 연쇄 크레이터(Onokoro Catenae)로 명명되었다.[23] 토성의 위성 타이탄의 섬 중 하나는 오노고로섬(Onogoro Insula)으로 명명되었다.[24]참조
[1]
웹사이트
Nihon Kokugo Daijiten
https://kotobank.jp/[...]
[2]
서적
Kojiki
[3]
문서
Philippi's translation
[4]
웹사이트
大辞林 第三版(おのごろじま)
https://kotobank.jp/[...]
2013-06-23
[5]
간행물
Juntendo Medical Journal
http://dx.doi.org/10[...]
1889
[6]
웹사이트
大辞林 第三版(天の浮き橋)
https://kotobank.jp/[...]
2013-06-23
[7]
웹사이트
世界大百科事典 第2版(おのごろじま)
https://kotobank.jp/[...]
2013-06-23
[8]
웹사이트
大辞林 第三版(八尋殿)
https://kotobank.jp/[...]
2013-06-23
[9]
서적
知ってるようで知らない 日本人の謎20
PHP研究所
2012
[10]
서적
稜威言別
冨山房
1941
[11]
서적
上代歌謡対比集成 記紀から万葉へ
文芸社
2001
[12]
웹사이트
デジタル大辞泉 小学館(国見)
http://dictionary.go[...]
2013-09-04
[13]
서적
淡路地方史 郷土史家の考察
文芸社
2003
[14]
서적
第二巻 えびす信仰事典
戎光祥出版
1999
[15]
웹사이트
淡路島観光ガイド・あわじナビ(沼島)
http://www.awaji-nav[...]
淡路島観光協会
2013-09-07
[16]
웹사이트
淡路島観光ガイド・あわじナビ(上立神岩)
http://www.awaji-nav[...]
淡路島観光協会
2013-09-07
[17]
웹사이트
淡路島観光ガイド・あわじナビ(おのころ神社)
http://www.awaji-nav[...]
淡路島観光協会
2013-09-07
[18]
웹사이트
市報わかやま 平成25年 7月号(特集 Color of 友ヶ島)
http://www.city.waka[...]
和歌山市公式HP 広報広聴
2013-09-07
[19]
웹사이트
淡嶋神社(淡嶋神社の起こり1)
http://www.kada.jp/a[...]
2013-09-07
[20]
웹사이트
淡路島観光ガイド・あわじナビ(絵島)
http://www.awaji-nav[...]
淡路島観光協会
2013-09-07
[21]
웹사이트
淡路島観光ガイド・あわじナビ(岩樟神社)
http://awajishima-ka[...]
淡路島観光協会
2013-09-07
[22]
웹사이트
南あわじ市公式HP 商工観光(おのころ島神社)
http://www.city.mina[...]
2013-09-07
[23]
웹사이트
국제천문학연합
https://planetarynam[...]
2010-08-06
[24]
웹사이트
국제천문학연합
https://planetarynam[...]
2020-12-14
[25]
웹사이트
大辞林 第三版(おのごろじま)
http://kotobank.jp/w[...]
2013-06-23
[26]
웹사이트
大辞林 第三版(天の浮き橋)
http://kotobank.jp/w[...]
2013-06-23
[27]
서적
知ってるようで知らない 日本人の謎20
PHP研究所
20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