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명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명항은 조선 영조 때의 문신으로, 1705년 문과에 급제하여 관직에 진출했다. 교리, 관찰사 등을 거쳐 정미환국 이후 이조판서와 병조판서를 역임했으며, 이인좌의 난을 평정하여 분무공신 1등에 봉해졌다. 이후 우의정에 발탁되었으며, 그의 초상화와 양무공신교서는 문화재로 지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분무공신 - 박문수
조선 후기 문신 박문수는 소론 가문 출신으로 문과 급제 후 이인좌의 난 평정에 공을 세워 경상도관찰사가 되었고, 암행어사로 알려졌으나 실제로는 별견어사로 민생을 살피는 데 힘썼다. - 분무공신 - 조문명
조문명은 김창협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숙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이조참의를 역임했으며, 경종실록 편찬과 이인좌의 난 진압에 기여하여 분무공신에 책록되고 우의정, 좌의정을 거쳐 영조의 탕평책에 앞장선 조선 후기의 문신이다. - 1673년 출생 - 디미트리에 칸테미르
디미트리에 칸테미르는 몰다비아 공국의 귀족이자 공이었으며, 언어학, 역사, 철학, 음악 등 다방면에 걸쳐 학문적 업적을 남긴 계몽주의 시대의 박식가이다. - 1673년 출생 - 조지 그레이엄 (시계 제작자)
조지 그레이엄은 1673년 영국에서 태어나 런던에서 활동하며 진자 시계, 수은 진자, 천구의 등 다양한 시계와 천문 기기를 제작하고 존 해리슨의 항해용 크로노미터 제작을 지원했으며, 자신의 발명에 특허를 내지 않고 다른 제작자들이 사용하도록 한 시계 제작자이다. - 1728년 사망 - 코튼 매더
코튼 매더는 미국의 회중교회 목사이자 저술가로, 뉴잉글랜드 청교도 사회에서 중요한 인물이었으며, 『미국 그리스도의 위대한 업적』을 저술하고 세일럼 마녀 재판 당시 마녀 혐의자 처형을 옹호하기도 했다. - 1728년 사망 - 마랭 마레
마랭 마레는 프랑스의 비올 연주자이자 작곡가로, 비올을 위한 작품과 오페라를 작곡했으며, 영화 《모든 세상의 아침》을 통해 대중에게 알려졌다.
오명항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오명항 |
원어 이름 | 吳命恒 |
![]() | |
출생일 | 1673년 |
출생지 | 조선 경기도 |
사망일 | 1728년 |
별명 | 자 사상(士常)호 모암(慕庵)ㆍ영모당(永慕堂) 시호 충효(忠孝) |
본관 | 해주 |
학력 및 경력 | |
학력 | 1705년(숙종 31) 식년 문과 을과 급제 |
직업 | 문관, 정치인 |
주요 경력 | 이조 판서 병조 판서 우의정 |
작위 | 해은부원군(海恩府院君) |
가족 관계 | |
부 | 오수량(吳遂良) |
모 | 함양 여씨(咸陽呂氏) 여성제(呂聖濟)의 딸 |
배우자 | 최기창(崔起昌)의 딸 |
친척 | 고조부 : 오윤겸(吳允謙) |
2. 생애
오명항은 1705년(숙종 31) 식년 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교리(校理), 설서(說書), 사서(司書) 등을 역임하고, 부수찬(副修撰), 겸필선(兼弼善), 부응교(副應敎), 이조좌랑을 지냈다.
1716년 승지를 거쳐 경상도, 강원도, 평안도의 관찰사를 역임했다. 1724년(영조 즉위년) 소론이 실각하자 사직하였다.
1727년 정미환국으로 소론이 등용될 때 지중추부사로 기용되어 이조판서와 병조판서를 역임하였다. 이듬해 판의금부사로 4도도순무사를 겸하며 이인좌의 난을 토평하여 분무공신(奮武功臣) 1등이 되고 해은부원군(海恩府院君)에 봉해졌다. 우찬성에 올랐으나 이인좌와 같은 소론파라는 자책감에 사임을 상소하였으나 우의정에 발탁되었다.
2. 1. 관직 진출과 활동
1705년(숙종 31) 식년 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1709년 교리(校理)를 거쳐 설서(說書), 사서(司書) 등을 역임하고, 1710년 부수찬(副修撰), 1713년에 겸필선(兼弼善), 1715년 부응교(副應敎), 이조좌랑을 지냈다.1716년 승지에 이어 경상도, 강원도, 평안도의 관찰사 등을 거쳐 사직으로 있다가 1724년(영조 즉위년)에 소론이 실각하자 사직하였다.
1727년 정미환국으로 소론이 등용될 때 지중추부사로 기용되어 이조판서와 병조판서를 역임하였다.
이듬해 판의금부사로 4도도순무사를 겸하며 이인좌의 난을 토평하여 수충갈성결기효력분무공신(奮武功臣) 1등이 되고 해은부원군(海恩府院君)에 봉해졌다. 이어 우찬성에 올라 자신이 이인좌와 같은 소론파라는 자책감에서 사임을 상소하였으나 도리어 대광보국숭록대부 우의정에 발탁되었다.
2. 2. 소론의 등용과 이인좌의 난 진압
1727년 정미환국으로 소론이 등용될 때 지중추부사로 기용되어 이조판서와 병조판서를 역임하였다. 이듬해 판의금부사로 4도도순무사를 겸하며 이인좌의 난을 토평하여 수충갈성결기효력분무공신(奮武功臣) 1등이 되고 해은부원군(海恩府院君)에 봉해졌다. 이어 우찬성에 올라 자신이 이인좌와 같은 소론파라는 자책감에서 사임을 상소하였으나 도리어 대광보국숭록대부 우의정에 발탁되었다.2. 3. 우의정 임명과 사직
1728년(영조 4년) 판의금부사 겸 4도도순무사로서 이인좌의 난을 진압하여 수충갈성결기효력분무공신(奮武功臣) 1등에 책록되고, 해은부원군(海恩府院君)에 봉해졌다. 이어 우찬성에 올랐으나, 자신이 이인좌와 같은 소론이라는 자책감에 사임을 상소하였으나, 도리어 대광보국숭록대부 우의정에 발탁되었다.3.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비고 |
---|---|---|
고조부 | 오윤겸 | 영의정 |
고조모 | 경주 이씨 | 첨사 이응화의 딸 |
증조부 | 오달천 | 군수 |
증조모 | 한양 조씨 | |
종조부 | 오도일 | 병조판서 |
조부 | 오도융 | |
조모 | 함평 이씨 | 칠곡부사 이회의 딸 |
부 | 오수량 | 통덕랑 |
모 | 함양 여씨 | 영의정 여성제의 딸 |
형 | 오명준 | 병조판서 |
동생 | 오명신 | |
본인 | 오명항 | |
부인 | 해주 최씨 | 최기창의 딸 |
아들 | 오언구 | |
며느리 | 윤항의 딸 | |
손자 | 오태현 | |
딸 | 해주 오씨 | |
사위 | 한덕길 |
4. 평가 및 문화재
오명항초상 및 양무공신교서가 보물로 지정되어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