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사카 메트로 이마자토스지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사카 메트로 이마자토스지선은 오사카 시영 지하철의 노선으로, 2006년 12월 24일 이타카노-이마자토 구간이 개통되었다. 이 노선은 1957년부터 운행되던 트롤리버스의 폐지 이후 시 버스의 교통 체증을 보완하기 위해 건설되었다. 1989년 운수 정책 심의회에서 노선 정비가 검토되었으며, 1999년 궤도 사업 특허를 받아 2000년 착공하여 2006년 개통했다. 이 노선은 미니 지하철 방식을 채택하여 건설되었으며, 80계 전동차가 4량 편성으로 운행된다. 이마자토스지선은 이타카노역에서 이마자토역까지 운행하며, 2017년 기준 하루 평균 약 68,000명이 이용한다. 하지만 적자를 기록하고 있으며, 남쪽 연장 계획은 재정 문제로 보류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6년 개통한 철도 노선 - 대전 도시철도 1호선
대전 도시철도 1호선은 대전광역시를 운행하는 도시철도 노선으로, 판암역부터 반석역까지 22개 역으로 구성되어 대전 시민의 주요 교통수단이며, 향후 세종시까지 노선이 확장될 계획이다. - 2006년 개통한 철도 노선 - 토리노 지하철
토리노 지하철은 2006년 동계 올림픽을 앞두고 개통된 이탈리아 토리노 시의 도시 철도 시스템으로, VAL 시스템 기반의 1호선이 운행 중이며 2호선이 계획 단계에 있다. - 오사카시 고속 전기궤도의 철도 노선 - 오사카 메트로 요쓰바시선
오사카 메트로 요쓰바시선은 니시우메다역에서 스미노에코엔역을 잇는 철도 노선으로, 미도스지선의 혼잡을 완화하기 위해 건설되어 1942년 일부 구간 개통 후 1972년 전 구간이 개통되었으며 현재 23계 전동차가 운행 중이다. - 오사카시 고속 전기궤도의 철도 노선 - 오사카 메트로 센니치마에선
오사카 메트로 센니치마에선은 오사카시를 운행하는 오사카 메트로의 지하철 노선으로, 1969년 개통을 시작해 1981년 전 구간이 개통되었으며, 25계 전동차가 14개 역을 거쳐 노다한신역과 미나미타쓰미역을 잇는다. - 오사카부의 철도 - 산요 신칸센
산요 신칸센은 신오사카역에서 하카타역까지를 잇는 JR 서일본의 신칸센 노선으로, 1972년 개통되어 1987년 JR 서일본에 계승되었으며, 현재 다양한 차량과 여러 등급의 열차가 운행된다. - 오사카부의 철도 - 한큐 고베 본선
한큐 고베 본선은 오사카와 고베를 잇는 32.3km의 복선 전철 노선으로, 다양한 등급의 열차가 운행되며 여러 노선과 환승이 가능하고, 현재 신역 설치 계획과 고베 시영 지하철 직통 운전이 검토되고 있다.
오사카 메트로 이마자토스지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 |
---|---|
노선 정보 | |
![]() | |
노선 이름 | 오사카 메트로 이마자토스지선 |
노선 번호 | 8호선 |
노선 기호 | I |
별칭 | 고속 전기 궤도 제8호선 |
노선 색상 | 황금색 오렌지 (고지이로, kōji-iro) 먼셀 코드 5YR6.5/14 |
노선 종류 | 도시 철도 |
운영 기관 | 오사카 메트로 (2018년~현재) 오사카 시 교통국 (2006년~2018년) |
노선 상태 | 운행 중 |
노선 연장 | 11.9 km |
궤간 | 1,435 mm (표준궤) |
복선 유무 | 복선 |
전기 방식 | 직류 1,500 V 가공 전차선 방식 |
차량 기지 | 쓰루미 녹지 북 차량기지 |
신호 방식 | 차내 신호 폐색식 |
안전 장치 | CS-ATC, TASC |
최대 경사 | 5.0% |
최소 곡선 반지름 | 83 m |
최고 속도 | 70 km/h |
![]() | |
운영 정보 | |
기점 | 이타카노 역 |
종점 | 이마자토 역 |
역 수 | 11개 |
개업일 | 2006년 12월 24일 |
일일 이용객 수 | 68,000명 (2017년) |
사용 차량 | |
차량 종류 | 오사카 메트로 80계 전동차 |
기술 정보 | |
전력 공급 방식 | 차상 1차 철륜식 리니어 모터 방식 |
지도 정보 |
2. 역사
2006년 12월 24일 이타카노역 ~ 이마자토역 구간이 개통되었다.[2][3] 과거 이마자토스지에는 오사카 시전차와 연계되던 트롤리버스가 운행되었으나 1969년 폐지되었고, 이후 시내버스의 잦은 지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하철 건설이 추진되었다. 1989년 처음 계획이 수립된 이후 노선 기점 변경 등을 거쳐 1999년 건설 허가를 받았고 2000년 3월 착공하여 2006년 완공되었다. 이마자토역에서 유자토 로쿠초메까지의 연장 계획은 보류된 상태이다.
2. 1. 건설 배경
1957년부터 이마자토스지에는 트롤리버스가 운행되었다. 이 노선은 오사카 시전차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오사카 시내 중심부로 운행되었으며, 오사카 동부 지역의 중요한 교통축 역할을 했다. 그러나 자동차 이용이 늘어나면서 1969년 트롤리버스 운행은 중단되었다.이후 시내 버스가 같은 구간을 계속 운행했지만, 교통 체증 때문에 자주 지연되는 문제가 발생했다.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기존 철도 네트워크와 연계되는 지하철 노선 건설이 계획되었다.
1989년, 교통 정책 위원회의 제10차 보고서에서 이 계획은 가미신조와 유자토 로쿠초메 사이를 "향후 건설을 고려해야 할 노선"으로 목록에 올렸다. 이후 계획 노선 경로에서 지하 장애물이 발견되면서, 1996년 노선 기점이 가미신조에서 주택 개발로 인구가 증가하고 있던 이타카노로 변경되었다.
1999년, 이타카노에서 이마자토까지 노선 건설이 허가되었고, 2000년 3월에 공사가 시작되었다. 이마자토스지선은 2006년 12월 24일 정오에 개통되었다. 이마자토에서 유자토 로쿠초메까지의 나머지 구간 건설은 현재 보류 상태이다.
2. 2. 건설 과정
2006년 7월 6일, 노선명과 역명이 공식적으로 발표되었다.[1] 2006년 12월 24일에 이타카노역에서 이마자토역까지 11.9km 구간이 정식 개통되었다.[2][3]이마자토스지선은 나가호리 쓰루미료쿠치선과 마찬가지로 표준궤를 채택했지만, 기존 차량보다 단면적이 약 20% 작은 철륜식 리니어 모터 방식의 미니 지하철로 건설되어 원맨 운전을 실시하고 있다.[3] 건설 비용을 줄이기 위해 역 설계 등을 최대한 공통화했으며, 이는 각 역마다 다른 장식을 한 나가호리 쓰루미료쿠치선과 대조적이다.[3]
노선은 국도 제479호선 (오사카 내환상선), 국도 제163호선, 국도 제1호선 (게이한 국도), 이마자토스지 (시도 오사카 환상선)의 지하를 지나며, 오사카시 동부를 남북으로 연결한다. 이를 통해 방사형으로 뻗은 다른 지하철 노선이나 게이한 본선, 가타마치선 (학연도시선) 등과 환승이 가능하다.[3] 요도가와를 지하 터널로 통과하는 두 번째 철도 노선이며(개통 당시 오사카 시영 지하철로서는 최초), 오사카 순환선 안쪽을 지나지 않는 최초의 지하철 노선이기도 하다.[3] 또한, 미도스지선, 요츠바시선, 사카이스지선과는 직접 환승역이 없다.[3] 다른 지하 노선과의 교차 지점에서는 항상 이마자토스지선이 아래쪽으로 통과한다.[3] 노선은 오사카 시내에서만 운행하는 것이 아니라, 다이시바시 이마이치역 부근에서는 모리구치시를 지나기도 한다.[3]
개통 당시 오사카 시영 지하철 최초로 모든 역 승강장에 높이 약 1.3m의 가동식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었다.[3] 승강장 바닥은 미세 조정이 가능하여 차량과의 틈새를 최소화했다.[3] 또한, 오스토메이트 대응 화장실을 남녀 각각 1개소씩 설치하고, 응급 환자 이송이 가능한 대형 엘리베이터도 대부분의 역에 2개소씩 설치하는 등[3] 이용객 편의 시설을 확충했다. 많은 역에는 지하 자전거 주차장이 역 구내와 통합되어 있으며, 새로 만들어진 역 출입구에는 눈에 잘 띄도록 오렌지색 게이트를 설치한 곳이 많다.[3]
향후 이마자토역에서 유사토 6초메까지 노선을 연장하는 계획이 있다.[3]
2. 3. 연장 계획 및 논란
당초 이마자토역에서 히가시스미요시구의 유자토 로쿠초메까지 노선을 연장하는 2단계 계획이 있었으나, 막대한 비용 문제로 인해 무기한 연기되었다. 1단계 구간인 이타카노역과 이마자토역 사이 건설에만 2.718조엔이 소요되었으며, 유자토 로쿠초메까지 연장할 경우 추가로 1.32조엔의 비용이 예상되어 오사카시의 재정 부담이 매우 커질 상황이었다.이러한 재정적 부담 때문에 당시 오사카 시장이었던 세키 준이치는 2005년 시장 선거에서 연장 계획 재검토를 공약으로 내걸었다. 재선에 성공한 세키 시장은 같은 해 11월 28일, 당초 2006년 착공하여 2016년 개통 예정이었던 이마자토 - 유자토 로쿠초메 구간 연장 계획을 오사카시의 어려운 재정 상황을 이유로 무기한 동결한다고 발표했다. 이에 따라 철도 사업 허가 신청도 연기되었다.
2006년 개통된 북쪽 구간(이타카노-이마자토)의 이용 실적이 저조할 것이라는 예측도 연장 계획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비슷한 시기에 개통된 나가호리 쓰루미료쿠치선조차 도심을 통과함에도 불구하고 개통 후 10년이 지나도 예상 수익에 미치지 못하는 상황(2005년도 하루 평균 약 88,000명 이용)이었기 때문에, 도심을 통과하지 않는 이마자토스지선의 수익성은 더욱 낮게 평가되었다. 여기에 오사카시가 시영 교통 사업의 '완전 민영화' 방침을 내세우면서 연장 가능성은 더욱 희박해졌다.
2007년 히라마쓰 구니오가 시장으로 당선되면서 잠시 공영 체제를 유지하는 방향으로 선회했으나, 2011년 하시모토 토루가 시장으로 취임하면서 다시 민영화가 추진되었다. 결국 2018년 4월, 오사카시 교통국의 지하철 사업은 오사카시 고속 전기 궤도(Osaka Metro)로 이관되어 민영화되었고, 2014년 8월 28일에는 유자토 로쿠초메까지의 연장 계획이 공식적으로 중단되었다. 오사카시는 높은 지하철 건설 비용과 민영화를 이유로 들며, 경전철이나 간선 급행 버스(BRT) 도입을 대안으로 검토했다.
한편, 이타카노역에서 북쪽으로 한큐 교토 본선의 쇼자쿠역이나 JR 교토선의 기시베역, 센리오카역 방면으로 연장하는 방안도 제안되었으나, 재정 문제와 더불어 해당 구간이 오사카 시외 지역이라는 점 때문에 실현 가능성은 낮게 평가되고 있다.
결국 지하철 연장의 대안으로 2019년 4월 1일부터 '이마자토 라이너'라는 이름의 BRT 노선 운행이 시작되었다.[7] 이는 이마자토스지선 연장 구간의 수요를 확인하고 철도 대체 가능성을 검증하기 위한 5년간의 사회 실험으로 계획되었다.[5] 이마자토 라이너는 이마자토역을 기점으로 하여 다니마치선이 운행하지 않는 시 남동부의 구마타, 유자토 로쿠초메 지역과 도부시조마에역, 나가이역, 텐노지역 등을 연결한다.[8] 운영은 오사카시 고속 전기 궤도가 맡고 있으며, 실제 운행은 오사카 시티 버스에 위탁하고 있다.[24][25][26][27][28]
3. 노선 특징
나가호리 쓰루미료쿠치선과 마찬가지로 철륜식 리니어 모터를 사용하는 미니 지하철이다.
노선은 국도 제479호선 (오사카 내환상선), 국도 제163호선, 국도 제1호선 (게이한 국도), 이마자토스지 (시도 오사카 환상선)의 지하를 따라 오사카시 동부를 남북으로 관통한다. 이를 통해 시 중심부에서 방사형으로 뻗어 나가는 다른 지하철 노선이나 게이한 본선, 가타마치선(학연도시선) 등 주요 노선과 연결된다.
이마자토스지선은 몇 가지 독특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요도가와를 지하 터널로 통과하는 노선으로는 JR 도자이선에 이어 두 번째이며, 개업 당시 오사카 시영 지하철 중에서는 최초였다. 또한, 오사카 순환선 안쪽 구간을 전혀 지나지 않는 첫 지하철 노선이며, Osaka Metro 노선 중 미도스지선, 요츠바시선, 사카이스지선과 직접 환승할 수 있는 역이 없는 유일한 노선이기도 하다. 다른 지하 노선과 교차하는 지점에서는 모두 이마자토스지선이 아래쪽으로 통과한다.
노선 대부분은 오사카 시내를 지나지만, 다이시바시 이마이치역 부근에서는 모리구치시 구간을 잠시 경유한다. 노선 주변은 주로 주택지가 많은 편이다. 원래 계획되었던 이마자토역에서 유자토 6초메까지의 남쪽 연장 구간 건설은 현재 연기된 상태이다.
3. 1. 기술적 특징
나가호리 쓰루미료쿠치선과 마찬가지로 표준궤를 채택하면서도 기존 차량보다 단면적이 20% 정도 작은 철륜식 리니어 모터미니 지하철을 사용하여 원맨 운전을 실시하고 있다.건설 비용 절감을 위해 역 설계는 최대한 공통화되었으며, 플랫폼 디자인도 많은 부분이 동일하다. 이는 각 역마다 주변 지역을 반영한 독특한 디자인을 적용했던 나가호리 쓰루미료쿠치선과는 대조적인 모습이다.
역 플랫폼에는 오사카 시영 지하철 최초로 자동 플랫폼 게이트(높이 약 1.3m)가 설치되었다. 이 스크린도어는 열차 출입문과 연동되어 개폐되며, 플랫폼 가장자리는 1mm 단위로 상하 전후 조정이 가능하여 플랫폼과 열차 사이의 간격이 다른 노선에 비해 매우 좁다.
=== 노선 제원 ===
항목 | 내용 |
---|---|
노선 거리 | 11.9km |
궤간 | 1435mm (표준궤) |
역 수 | 11개 (기종점역 포함) |
복선 구간 | 전 구간 |
전철화 구간 | 전 구간 (직류 1500V, 가공 전차선 방식) |
폐색 방식 | 차내 신호 방식 (CS-ATC, TASC) |
최고 속도 | 70km/h |
편성 차량 수 | 4량 (2006년 ~ 현재) |
홈 최대 편성 차량 수 | 6량 |
=== 건설 상의 특징 및 난점 ===
건설 과정에서 여러 기술적 어려움이 있었다. 기존 지하철 노선이나 지하 매설물을 피하기 위해 노선 대부분이 지하 10m 이상의 깊이로 건설되었으며, 특히 네야가와와 제2 네야가와를 통과하는 지점에서는 지하 30m 이상, 최대 지하 37m(시기노역-미도리바시역 간) 깊이까지 내려갔다. 이는 Osaka Metro 노선 중 가장 깊은 지점이지만, 역 자체의 깊이는 오사카 비즈니스 파크역(나가호리 쓰루미료쿠치선)만큼 깊지는 않다. 이 때문에 기존 노선에 비해 급경사 구간이 많다.
노선이 통과하는 지반은 수분 함량이 높은 부드러운 "초연약 점토층"이어서 불도저 작업이 어려운 경우가 많았다. 지반 안정을 위해 석회 말뚝을 박았으나 효과는 제한적이었다.
또한, 일부 구간은 폭이 좁은 도로 아래를 지나간다. 특히 다이도토요사토역과 즈이코욘초메역 사이 구간은 도로 폭이 8m 미만이어서, 오사카 지하철에서는 드물게 터널을 상하로 겹쳐 건설하는 공법이 사용되었다. 시미즈역과 신모리후루이치역 사이(미도리 1초메 교차로 지하)에는 곡선 반경 83m의 급커브가 존재하는데, 이는 일본 지하철 본선 구간 중 가장 급격한 커브 구간(차량기지 및 연결선 제외)이다. 해당 구간에서는 열차가 30km/h로 감속 운행한다.
이러한 건설상의 어려움으로 인해 미니 지하철 채택을 통한 비용 절감 효과에도 불구하고, 총 건설비는 약 2.718조엔에 달했다.
3. 2. 디자인 및 시설
건설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역 설계가 최대한 공통화되었다. 역 플랫폼 디자인도 공통화된 부분이 많으며, 이는 각 역마다 다른 장식을 하고 있는 나가호리 쓰루미료쿠치선과는 대조적이다.역 플랫폼에는 개업 당시 오사카 시영 지하철 최초로 가동식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었다. 이 스크린도어는 높이가 약 1.3m이며, 차량 출입문과 연동하여 작동한다. 플랫폼의 승강 부분은 1mm 단위로 상하 전후로 조정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어, 플랫폼과 차량의 틈새는 다른 역에 비해 매우 작다.
역 구내에는 오스토메이트 대응 화장실을 남녀 각각 1개소씩 설치하고 있으며, 응급 환자 이송에도 대응하는 대형 엘리베이터도 다이시바시 이마이치역을 제외하고 2개소 설치하고 있다.
이마자토스지선 단독역의 개찰구, 또는 기존역에서 이마자토스지선 관련 신설된 개찰구에는 상부에 현재 시각·출발 시각·열차 접근을 안내하는 모니터가 설치되어 있다. 플랫폼에도 동일한 것이 있지만, 출발 시각은 표시되지 않는다.
많은 역에서 역 구내와 일체화된 지하 자전거 주차장이 병설되어 있다. 또한, 이마자토스지선 단독역 또는 미도리바시역을 제외한 Osaka Metro의 기존역에서 이마자토스지선 개통과 관련하여 신설된 역 출입구는, 멀리서도 눈에 띄도록 오렌지색 게이트를 설치한 곳이 많다.
4. 운행 형태
모든 열차는 노선상의 모든 역에 정차한다. 대부분의 열차는 이타카노역과 이마자토역 사이를 운행하며, 아침과 저녁 시간대에는 이타카노역과 시미즈역 사이를 운행하는 구간 열차도 설정되어 있다.
2013년 3월 23일 개정 기준 운행 횟수는 다음과 같다.
- 평일: 러시아워에는 시간당 11~15회, 그 외 시간대에는 시간당 7~8회 운행한다. 이타카노역 - 시미즈역 구간 열차는 아침에 7편, 저녁에 5편 운행된다. 또한 평일 아침에는 시미즈역에서 출발하여 이마자토역에서 종착하는 열차가 2편 있다.
- 주말 및 공휴일: 아침과 저녁 시간대에는 시간당 9~10회, 그 외 시간대에는 시간당 7~8회(약 8분 간격) 운행한다. 이타카노역 - 시미즈역 구간 열차는 아침에 3편, 저녁에 2편 운행된다.
이 외에도 막차 시간대에 이마자토역에서 출발하여 시미즈역으로 가는 열차가 매일 1회 운행된다.
시미즈역과 신모리후루이치역 사이에서 꽃박람회 기념공원 쓰루미 녹지 방면으로 약 1km 굴착하여 차량 기지인 쓰루미 녹지 북차고를 건설했다. 이곳은 나가호리 쓰루미료쿠치선의 쓰루미료쿠치역 근처에 있는 쓰루미 검차장과 연결되어 시설을 공동으로 사용하고 있다.[12] 이는 전용 차량 공장이 없는 센니치마에선 차량을 주오선의 모리노미야 검차장에 배치하는 것과 유사한 사례이다. 모든 열차는 원맨 운전으로 운행된다.
5. 차량
80계 전동차가 2006년부터 4량 편성으로 운행되고 있다.[2]
차량 사업소는 시미즈역과 신모리후루이치역 사이의 지선에 위치하며, 이 선로는 나가호리 쓰루미료쿠치 선의 쓰루미료쿠치 방면으로 연결되어 두 노선이 같은 사업소(쓰루미 검차장)를 공유한다.[3]
6. 역 목록
이마자토스지선의 모든 역은 오사카부 오사카시 내에 위치한다. 노선은 이타카노역(I11)부터 이마자토역(I21)까지 총 11개의 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 연장은 11.9km이다.
각 역의 상세 정보는 아래 문서를 참조하라.
6. 1. 오사카부 오사카시
역 번호 | 역명 | 역간 거리 (km) | 누적 거리 (km) | 접속 노선 | 소재지 (오사카시) |
---|---|---|---|---|---|
I11 | 이타카노역 | - | 0.0 | 히가시요도가와구 | |
I12 | 즈이코 4초메 | 0.9 | 0.9 | ||
I13 | 다이도토요사토역 | 1.0 | 1.9 | ||
I14 | 다이시바시이마이치역 | 1.8 | 3.7 | 오사카 메트로 다니마치선 (T13) | 아사히구 |
I15 | 시미즈 | 1.2 | 4.9 | ||
I16 | 신모리후루이치역 | 0.9 | 5.8 | ||
I17 | 세키메세이이쿠역 | 1.3 | 7.1 | 게이한 전기 철도 게이한 본선 (세키메역 KH06) | 조토구 |
I18 | 가모 4초메 | 1.4 | 8.5 | 오사카 메트로 나가호리쓰루미료쿠치선 (N23) | |
I19 | 시기노역 | 0.9 | 9.4 | 서일본 여객철도 가타마치선 (학연도시선) (JR-H40), 오사카 히가시선 (JR-F07) | |
I20 | 미도리바시역 | 1.2 | 10.6 | 오사카 메트로 주오선 (C20) | 히가시나리구 |
I21 | 이마자토 | 1.3 | 11.9 | 오사카 메트로 센니치마에선 (S20) |
7. 이용 현황 및 평가
2007년 3월 1일 자료에 따르면, 개통 2개월 후 이마자토스지선의 하루 이용객(환승객 포함)은 37,000명으로, 당초 예상했던 120,000명의 3분의 1에도 미치지 못했다. 같은 해 4월 말 조사에서는 다른 지하철 노선과 연결되지 않은 7개 역의 승객 수가 하루 약 45,000명으로 집계되었다. 2010 회계연도 말에는 하루 이용객 수가 약 56,800명으로 다소 증가했다.[4]
이마자토스지선 개통으로 이마자토-세키메세이이쿠 간 시내버스 운행 횟수가 시간당 2~3회로 줄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많은 시민들은 버스를 선호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는 버스 정류장의 접근성이 지하철역보다 좋고, 상대적으로 깊은 곳에 위치한 지하철역까지 이동해야 하는 불편함 때문으로 분석된다. 또한 기존 노선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역이 더 깊은 지하에 건설되어 환승역에서의 이동 시간이 평균보다 길다는 단점도 이용객 증가를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당초 오사카 경제 대학교(가장 가까운 역은 즈이코욘초메역) 통학 수요가 많을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우메다 방면으로 가기 위해 다니마치선으로 환승하는 과정이 길고 번거로워, 많은 학생들이 기존처럼 한큐 교토 본선의 가미신조역(대학에서는 더 멀리 떨어져 있음)을 계속 이용하면서 이용객 수가 기대만큼 늘지 않았다. 운행 횟수가 줄었음에도 불구하고 균일 요금과 더 많은 정류장을 갖춘 버스와의 경쟁도 계속되고 있다. 열차는 비교적 짧은 4량으로 편성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만차가 되는 경우는 드물다.
2015년에는 하루 이용객이 65,000명에 가까워졌지만, 여전히 예상치의 3분의 2 수준에 머물렀다. 이러한 문제들로 인해 2018년 기준으로도 이 노선은 만성적인 적자 상태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5] 2017년도 결산 기준으로 경상 수지는 약 38억 엔 적자, 영업 수지는 약 44억 엔 적자를 기록했으며, 영업 계수는 231.0에 달했다. 이는 당시 오사카 시영 지하철 전체 노선 중 가장 큰 경상 손실이었으며, 영업 계수 역시 유일하게 200을 넘는 수치였다.
2017년 기준 하루 평균 수송 인원은 68,000명으로, 개통 이후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는 있으나, 여전히 오사카 시영 지하철 노선 중 가장 적은 수송 인원을 기록하고 있다. 이는 두 번째로 적은 나가호리 쓰루미료쿠치선(174,000명)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다.
참조
[1]
논문
Linear motors cut costs
[2]
서적
私鉄車両編成表2021
Kotsu Shimbunsha
2021-07-16
[3]
웹사이트
大阪の地下を走る「あなたの知らない線路」の秘密
https://toyokeizai.n[...]
2024-09-23
[4]
웹사이트
Osaka Municipal Transportation Bureau: Current Accounts Balance by Line for FY 2010
http://www.kotsu.cit[...]
2011-09-22
[5]
웹사이트
大阪メトロ今里筋線延伸 来年4月から社会実験
https://www.sankei.c[...]
2024-09-23
[6]
뉴스
http://www.yomiuri.c[...]
2014-09-01
[7]
웹사이트
大阪メトロ、いまざとライナーのバス車両公開 4月から運行
https://www.nikkei.c[...]
2024-09-23
[8]
웹사이트
バスは「地下鉄新線の代わり」になり得たか 大阪「いまざとライナー」2年でどう変化
https://trafficnews.[...]
2024-09-23
[9]
서적
日本縦断! 地下鉄の謎
[10]
웹사이트
地下鉄第8号線の路線カラー及び車両のデザイン決定
http://www.kotsu.cit[...]
大阪市交通局
2015-05-10
[11]
웹사이트
混雑率データ(平成29年度)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2018-11-11
[12]
웹사이트
大阪の地下を走る「あなたの知らない線路」の秘密
https://toyokeizai.n[...]
東洋経済ONLINE
2021-07-18
[13]
웹사이트
大阪市交通局|地下鉄 路線別収支
www.kotsu.city.osaka[...]
2018-02-10
[14]
간행물
平成元年5月31日運輸政策審議会答申第10号 大阪圏における高速鉄道を中心とする交通網の整備に関する基本計画について(抄)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15]
서적
大阪市交通局百年史(本編)
大阪市交通局
2005
[16]
보도자료
地下鉄第8号線の路線愛称及び駅名が決定しました
http://www.kotsu.cit[...]
大阪市交通局
2016-12-27
[17]
웹사이트
大阪市の地下鉄新線整備計画
http://www.kotsu.cit[...]
大阪市交通局
2016-12-27
[18]
웹사이트
「地下鉄今里筋線」の開業日が決定しました!~平成18年12月24日(日)に 開業(予定)します~
https://web.archive.[...]
大阪市交通局
[19]
웹사이트
地下鉄今里筋線 井高野~今里間の運輸開始の認可について
https://web.archive.[...]
大阪市交通局
[20]
웹사이트
地下鉄今里筋線が開業いたします!
https://web.archive.[...]
大阪市交通局
[21]
서적
鉄道要覧
電気車研究会・鉄道図書刊行会
[22]
웹사이트
大阪市 交通局 【報道発表資料】今里筋線
www.city.osaka.lg.jp[...]
2015-11-15
[23]
웹사이트
Osaka Metro|BRTの愛称・ロゴマーク、バス車両デザインが決定しました!
http://www.osakametr[...]
2018-06-30
[24]
웹사이트
いまざとライナー(BRT)の運行による社会実験を2019年4月1日から開始します
https://subway.osaka[...]
大阪市高速電気軌道
2019-03-17
[25]
웹사이트
大阪初のBRT『いまざとライナー』、4月1日から社会実験 3月29・30日に体験乗車会
https://response.jp/[...]
Response
2019-03-17
[26]
웹사이트
大阪メトロ、いまざとライナーのバス車両公開 4月から運行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9-03-17
[27]
웹사이트
ヒョウ柄座席の車も いまざとライナー導入車両公開
https://www.nnn.co.j[...]
大阪日日新聞
2019-03-17
[28]
웹사이트
大阪市:「いまざとライナー」(BRT)の運行による社会実験を平成31年4月1日から開始します (…>交通政策>いまざとライナー(BRT)の運行による社会実験)
www.city.osaka.lg.jp[...]
2020-02-06
[29]
문서
太子橋今市駅の位置
[30]
문서
関目成育駅の位置と名称
[31]
문서
谷町線
[32]
문서
長堀鶴見緑地線
[33]
문서
中央線
[34]
문서
千日前線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