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테 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테 문은 일본의 성(城)에서 정문 역할을 하는 문을 의미하며, 방어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엄격하게 축조되었다. 오테몬은 대규모 야구라몬과 돌담으로 마스카타를 이루는 경우가 많고, 성하 마을에서 유래하여 '오테마치'라는 지명으로 남아있는 곳도 있다. 오테 문은 일본의 여러 성에 존재하며, 히로사키성, 니조성, 오사카성 등의 오테 문은 중요 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또한, 에도성, 센다이성 등은 소실되거나 재건축된 오테 문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오테 문 | |
---|---|
지도 정보 | |
개요 | |
이름 | 오테몬 (大手門) |
종류 | 문 (門) |
소재지 | 일본 후쿠오카현 후쿠오카시 주오구 오테몬 |
좌표 | 33°35′10.5″N 130°23′34.5″E |
상세 정보 | |
문화재 지정 | 후쿠오카현 지정 사적 |
건축 시기 | 에도 시대 초기 |
건축 양식 | 야구라몬 (櫓門) |
주요 건축물 | 문, 돌담 |
역사 | |
원래 위치 | 후쿠오카성 동쪽 정문 |
현재 위치 이전 | 1958년 |
이전 사유 | 도로 확장 공사 |
교통 | |
지하철 | 후쿠오카시 지하철 공항선 오호리 공원역에서 도보 10분 |
버스 | 니시테쓰 버스 오테몬 정류장에서 하차 |
관련 정보 | |
관련 항목 | 후쿠오카성 오테몬 (후쿠오카시) 후쿠오카시 |
2. 오테 문의 구조와 역할
오테 문은 성의 정문으로, 방어 기능과 더불어 성의 권위를 나타내는 상징적인 역할을 했다. 여러 성에 오테 문이 있는데, 그 예시는 다음과 같다.
- 히로사키성 오테 문: 옛 형태를 간직하고 있다.
- 센다이성 오테 문: 니노마루에 있었으나 센다이 공습으로 소실되었다.
- 니조성 오테 문: 쇼군이 상경할 때 머무는 곳으로, 국가 중요문화재이다.
- 오사카성 오테 문: 주변 망루와 담 3동을 포함해 중요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오테 문 앞 성하 마을에서 유래하여 전국 각지에 오테마치 (또는 오이테마치)라는 지명이 남아있다.
2. 1. 방어 기능
원래는 '''오테몬'''(追手門)이라고 표기하며[1], 고치성 등, 성에 따라 현재도 오테몬으로 표기하는 곳도 있다. 이에 반해 배면의 문은 카라메테몬(搦手門)이라고 불린다.오테몬은 방어를 위해 엄중하게 축조되었으며, 대규모의 야구라몬을 설치하고 돌담 등으로 마스카타(성문 밖의 방어 시설)를 이루는 경우가 많다. 외관도 크고 눈에 띄게 만들어진다. 흙으로 쌓은 성이라도 문 주변에만 돌담을 쌓는 경우도 많다. 또한 다리는 흙다리인 경우가 많다.
2. 2. 권위 상징
원래는 '''오테몬'''(追手門)이라고 표기하며[1], 고치성 등, 성에 따라 현재도 오테몬으로 표기하는 곳도 있다. 이에 반해 배면의 문은 카라메테몬(搦手門)이라고 불린다.오테몬은 방어를 위해 엄중하게 축조되었으며, 대규모의 야구라몬을 설치하고 돌담 등으로 마스카타(성문 밖의 방어 시설)를 이루는 경우가 많다. 외관도 크고 눈에 띄게 만들어진다. 흙으로 쌓은 성이라도 문 주변에만 돌담을 쌓는 경우도 많다. 또한 다리는 흙다리인 경우가 많다.
3. 한국과 일본의 성문 비교
이전 응답에서는 원문 소스가 없어 요약만으로는 내용을 작성할 수 없다고 말씀드렸습니다. 따라서 현재 요청하신 수정 작업 또한 원문 소스가 없이는 불가능합니다. 원문 소스를 제공해주시면 지시사항에 맞춰 수정 작업을 진행하겠습니다.
4. 주요 성의 오테 문
일본 성곽의 오테 문(大手門)은 성의 정문 역할을 하는 중요한 건축물이다. 히로사키성, 센다이성, 니조성, 오사카성 등 많은 성에 오테 문이 있었거나 현재도 남아있다.[2][3] 이 중 오사카성 오테 문은 다몬 망루, 센간 망루, 담 3동을 포함하여 중요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2][3]
4. 1. 현존하는 오테 문
다음은 현존하는 오테 문의 예시이다.[2][3]성 이름 | 형식 | 건축/재건 연도 | 비고 |
---|---|---|---|
에도성 서노마루 오테몬 | 와타리야구라 형식의 야구라문과 고려문으로 이루어진 마스카타문 | 1889년(메이지 22년) 고려문 철거, 와타리야구라문 이전 | 현재 황거 정문, 궁내청 관리 |
오사카성 오테몬 | 와타리야구라 형식의 야구라문과 고려문으로 이루어진 현존하는 가장 큰 마스카타문 | 1783년(덴메이 3년) 소실, 1848년(가에이 원년) 재건 | 다몬야구라, 센간야구라, 담 3동 포함 국가지정 중요문화재 |
고치성 오테몬 | 와타리야구라 형식의 야구라문 | 1801년(교와 원년) 재건 | 국가지정 중요문화재 |
고모로성 오테몬 | 2층 문 형식의 야구라문 | 2008년(헤이세이 20년) 수리 | 기와문, 국가지정 중요문화재 |
나고야성 니노마루 오테 니노몬 (니시테쓰몬) | 와타리야구라 형식의 야구라문과 고려문으로 이루어진 마스카타문 | 메이지 초기에 야구라문 철거 | 고려문 형식의 니노몬만 현존, 국가지정 중요문화재 |
니조성 기타 오테몬 | 와타리야구라 형식의 야구라문 | 1626년(간에이 3년) 건축 | 국가지정 중요문화재 |
니조성 히가시 오테몬 | 와타리야구라 형식의 야구라문 | 1662년(간분 2년) 개조 | 국가지정 중요문화재 |
히로사키성 산노마루 오테몬 | 2층 문 형식의 야구라문 | 외벽 마감에 마카베 구조, 국가지정 중요문화재 | |
후쿠오카성 시모노하시고몬 | 와타리야구라 형식의 야구라문 | 2000년(헤이세이 12년) 소실, 2007년(헤이세이 19년) 복원 | 후쿠오카현 지정 중요문화재 |
마루가메성 오테몬 | 와타리야구라 형식의 야구라문과 고려문으로 이루어진 마스카타문 | 1670년(간분 10년) 재건 | 국가지정 중요문화재 |
마츠마에성 혼마루 고몬 | 국가지정 중요문화재 |
4. 2. 소실된 오테 문

- 센다이성 오테 문은 니노마루(현재 도호쿠 대학 가와우치 미나미 캠퍼스) 와키야구라 부근에 있었으며, 외벽 마감에 마카베즈쿠리가 채용되었다. 1931년(쇼와 6년)에 옛 국보로 지정되었으나, 1945년(쇼와 20년) 7월 10일 센다이 공습으로 소실되었다. 2038년을 목표로 목조 복원될 예정이다.[2][3]
- 우와지마성 추수문은 와타리야구라 형식의 야구라 문으로, 외벽 마감에 마카베즈쿠리가 채용되었다. 1664년(간분 4년)에 재건되었으며, 1934년(쇼와 9년) 천수와 함께 국보보존법에 따른 국보(옛 국보)로 지정되었으나, 1945년(쇼와 20년) 7월 12일 공습으로 소실되었다. 전후 석축이 도로 공사로 철거되어 현재는 유구도 남아 있지 않으며, 장소 관계상 목조 복원 계획은 없다.[2][3]
- 후쿠시마성 오테 문은 2층 문 형식의 야구라 문으로, 문 야구라 위에 샤치를 얹었다. 보존 상태가 좋지 않아 1873년(메이지 6년) 육군 진대 분영 설치 시 파각되었다.[2][3]
- 히코네성 오테 문은 와타리야구라 형식의 야구라 문과 고려 문으로 이루어진 마스카타 문이었다. 문 옆에는 하시즈메 칸기 미몬노 우에 오야구라가 있었고, 와타리야구라 문에서도 다몬 야구라가 연결되어 2중 야구라인 고용미구치 오테포 야구라로 이어졌다. 메이지 초기에 철거되었다.[2][3]
4. 3. 재건축된 오테 문

재건축된 오테 문은 다음과 같다.
- 에도성 오테 문: 와타리야구라(渡櫓) 형식의 야구라 문(櫓門)과 고려문으로 이루어진 마스카타 문(枡形門)이다. 와타리야구라는 관동 대지진으로 붕괴된 후 수리되었지만, 1945년 5월 25일 도쿄 대공습으로 소실되었다. 1963년에 목조로 복원되었다. 에도성의 정문이자 오슈 가도의 기점이다(오슈 가도의 또 다른 기점은 니혼바시이다).[2][3]
- 오이타성 오테 문: 와타리야구라 형식의 야구라 문으로, 다몬 야구라 위에 종루를 얹어 놓았다. 1945년 7월 17일 오이타 대공습으로 소실되었으나, 1966년에 외관이 복원되었다.[2][3]
- 구마모토성 미나미 오테 문: 와타리야구라 형식의 야구라 문이다. 구마모토성에 있던 3개의 오테 문(서·남·북) 중 가장 규모가 컸다. 메이지 시대 초기에 철거되어 2002년에 목조로 복원되었다.[2][3]
- 구마모토성 니시 오테 문: 와타리야구라 형식의 야구라 문이다. 구마모토성에 있던 3개의 오테 문 중 가장 격식이 높은 문이었다. 1871년에 철거되어 1981년에 세이난 전쟁 100주년 기념으로 목조 복원되었지만, 1999년 태풍으로 붕괴되어 2003년에 다시 목조로 복원되었다.[2][3]
- 미토성 오테 문: 도쿄 진대의 제4분영이 설치된[4] 후에도 남아 있었지만, 노후화로 인해 메이지 시대에 철거되었다[5]. 헤이세이 시대 말에 재건 계획이 시작되어[5], 2020년 2월에 목조로 복원되었다.[6]
참조
[1]
서적
城郭の見方・調べ方ハンドブック
https://ci.nii.ac.jp[...]
東京堂出版
[2]
서적
日本の城
山川出版社
[3]
서적
図説国宝の城 : 決定版 : 現国宝・旧国宝全25城完全収録
https://ci.nii.ac.jp[...]
学研パブリッシング ; 学研マーケティング(発売)
[4]
문서
東京鎮台第四分営ヲ常陸国元水戸城ニ置ク
https://www.digital.[...]
『太政類典』第2篇第205巻(兵制4・武官職制4)
[5]
웹사이트
"「水戸城」大手門、復活へ着々 来秋 完成予定"
https://www.tokyo-np[...]
東京新聞 수도권
2019-06-10
[6]
웹사이트
復元・水戸城大手門
https://www.city.mit[...]
수戸시
2024-10-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