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나고야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고야성은 일본 아이치현 나고야시에 위치한 성으로, 1609년 도쿠가와 이에야스에 의해 재건되어 오와리 가문의 거성으로 사용되었다. 센고쿠 시대에는 오다 노부나가가 거주했던 곳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이후 메이지 유신을 거치며 천수각 등 주요 건물이 보존되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중 소실되었다. 현재는 재건된 천수각과 함께, 중요 문화재로 지정된 망루 등이 남아 있으며, 니시노마루에는 박물관이, 성 안에서는 다양한 축제와 전시회가 열리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와리번 - 반쇼지
    반쇼지는 오다 노부히데가 1540년에 창건한 나고야 소재 사찰로, 나고야성 축조 이후 이전, 오와리 도쿠가와가의 주인사 역할, 대공습 후 재건, 조동종 관계 폐지 후 단립사찰, 부동산 소유 및 타이틀전 개최, 오다 노부나가 및 도쿠가와 이에야스와의 관련성 등으로 특징지어진다.
  • 아이치현의 국가지정사적 - 이누야마성
    아이치현 이누야마시에 위치한 이누야마성은 기소강이 내려다보이는 언덕 위의 평산성으로, 가장 오래된 천수각을 가진 국보이자 백제성이라는 별칭을 가진 성으로, 오다 히로치카가 쌓은 도리데에서 시작되어 고마키·나가쿠테 전투와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나루세 가문이 다스리다 현재는 공익재단에서 관리하며 일본 100명성 및 국가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 아이치현의 국가지정사적 - 나가시노성
    나가시노성은 미카와국에 축성된 일본의 성으로, 1575년 나가시노 전투의 무대가 되었으며, 현재는 유적 박물관이 운영되고 1929년 국가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 기타구 (나고야시)의 건축물 - 나고야 비행장
    나고야 비행장(고마키 공항)은 아이치현 고마키시에 위치한 일본의 공항으로, 과거 나고야 공항으로 운영되다가 중부 국제공항 개항 후 국내선 중심으로 운영되며, 항공자위대 기지와 활주로를 공유하고 여러 항공 사고의 현장이기도 하다.
  • 기타구 (나고야시)의 건축물 - 오조네역
    오조네역은 아이치현 나고야시에 위치한 주요 환승역으로, JR 도카이 주오 본선, 나고야 철도 세토 선, 나고야 시 교통국 지하철 메이조 선, 나고야 가이드웨이 버스 유토리토 라인이 지나며, 과거 나고야 공습으로 전소되었다가 재건되었다.
나고야성
지도 정보
기본 정보
혼마루 궁전과 나고야 성의 두 주 천수각
혼마루 궁전(목조 복원)과 오쿠에 크고 작은 천수각(외관 복원)
일본어 명칭名古屋城 (나고야-조)
다른 이름금궐성, 금성, 유성, 거북이 성, 봉래성
유형평지성
위치나고야, 일본
역사
건설1610년-1619년
건설 주체도쿠가와 이에야스
사용 기간1620년-1945년
파괴1945년 5월 14일, 공습으로 파괴
재건1957년-1959년 (외관 복원), 2009년-2018년 (혼마루 궁전 목조 복원)
소유1620년-1870년 (오와리 번)
점령도쿠가와 가문
구조
구조제곽식 (또는 윤곽식) 평성
천수각 구조연결식 층탑형 5층 5계 지하 1층 (1612년 축조, 비현존), 1959년 (SRC조, 외관 복원)
재료화강암, 토공, 목재
보존 상태
현재 상태망루, 문, 토담, 정원, 석벽, 해자
문화재 지정
중요 문화재망루 3동, 문 3동
복원
복원외관 복원 대소 천수각, 외관 복원 정문, 불명문, 혼마루 어전

2. 역사

이마가와 우지치카는 오와리 국으로 진출하기 위해 1521년에서 1528년 사이 다이에이 시대에 아들 이마가와 우지토요를 위해 나고야에 야나기노마루라는 전신 성을 건설했다. 이 성은 후에 니노마루가 위치할 예정이었던 곳 근처에 있었다. 오다 노부히데는 1532년 3월(교로쿠 5년) 이마가와 우지토요로부터 이 성을 빼앗아 거주하며 이름을 나고야성으로 바꿨다. 그의 아들 오다 노부나가는 1534년(텐분 3년)에 그곳에서 태어났다고 전해지지만, 이는 논쟁의 여지가 있다. 그는 1555년 4월(고지 1년) 기요스성에서 오다 노부토모를 물리친 후 그곳에 거처를 정했다. 1582년경(텐쇼 10년), 나고야성은 버려졌다.

일본에서 여러 격동의 시기를 거친 후,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승리하여 1609년 11월(게이초 14년) 나고야성을 재건하기로 결정했다. 메이지 유신까지 나고야성은 도쿠가와 씨 세 가문 중 으뜸인 오와리 가문이 거주하는 성으로서 번성했다. 성 건설 기술은 오다 노부나가가 1576년에 아즈치성을 건설한 이후 광범위하게 발전하고 통합되었다. 성 건설을 설계하고 지휘한 주요 건축가 중 한 명은 나카이 마사키요였으며, 그는 이전에 니조성, 후시미성, 에도성, 슨푸성 건설에 참여했다. 그는 기존의 성 및 요새 건설 기술과 기법을 수집하고 개선하여, 궁극적으로 나고야성을 예로 들어 도쿠가와 막부의 성에 대한 표준을 정립했다.

나고야성은 오다 노부나가가 태어난 성으로 여겨지는 이마가와 씨가 축성한 나고야성(なごやじょう)의 터 주변에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천하부신으로 축성했다. 이후 메이지 유신까지 도쿠가와 고산케의 으뜸으로 여겨지는 오와리 도쿠가와 가문 17대 영주의 거성이었다.

오사카 성, 구마모토성과 함께 일본 3대 명성으로 꼽히며, 이세 오도리에서는 "이세는 츠에서도 츠는 이세에서도 오와리 나고야는 성에서도"라고 읊조리고 있다. 대천수에 올려진 금빛 샤치호코는 성뿐만 아니라 나고야의 도시의 상징이다.

16세기 전반에 이마가와 우지치카가 오와리 진출을 위해 축조한 "야나기노마루"가 나고야성의 기원이라고 여겨지며, 훗날의 나고야성 니노마루 일대에 있었다고 생각된다. 1538년 (덴분 7년), 오다 노부히데가 이마가와 우지토요로부터 탈취하여 나고야성으로 개명했다.

기요스성은 오와리의 중심지였으나, 세키가하라 전투 이후의 정치 정세와 홍수에 약한 청수의 지형 문제 등으로 인해 도쿠가와 이에야스1609년 (게이초 14년)에 9남 요시나오의 오와리 번의 거성으로서 나고야에 성을 쌓을 것을 결정했다. 1610년(게이초 15년) 윤2월, 도요토미 히데요리가 있는 가운데, 서국 여러 다이묘들의 도움으로 천하보청으로 축성이 시작되었다.

조성 및 정리는 부청 봉행으로 다키가와 다다카쓰, 사쿠마 마사자네, 마키 나가카쓰 등 5명이 임명되었다. 석벽은 여러 다이묘가 분담하여 쌓았으며, 천수대 석벽은 가토 기요마사가 쌓았다. 건축은 사사 봉행으로 오쿠보 나가야스, 고보리 마사카즈 등 9명이 담당하고, 목수장은 나카이 마사키요가 담당했다. 1612년 (게이초 17년) 6월부터 본격적인 건축 공사가 시작되어 11월 상순에 벽 칠 공사가 완료되었고, 같은 달 21일에는 상량식을 실시하여 연내에 천수가 완성되었다. 혼마루 어전은 같은 해 정월부터 시작되어 1615년(겐나 원년) 2월에 완성되었다.

오사카 겨울 전투 이후 1615년 4월, 요시나오와 아사노 유키나가의 딸 하루히메의 혼례가 거행되어 이에야스도 스루가에서 참석했다. 기요스 고에시는 1612년 (게이초 17년)경부터 1616년 (겐나 2년) 사이에 이루어졌을 것으로 보인다.

1626년 (간에이 3년)에 오고쇼도쿠가와 히데타다가, 1634년 (간에이 11년)에 도쿠가와 이에미쓰가 상락하는 도중에 들렀으며, 1865년 (게이오 원년)에 14대 장군 도쿠가와 이에모치가 상락하는 도중에 혼마루 어전에 숙박했다.

메이지 유신 이후 1870년 (메이지 3년), 도쿠가와 요시카쓰는 신정부에 나고야성의 파각과 금빛 샤치호코 헌상을 신청했다. 그러나 독일 공사 막스 폰 브란트와 일본 육군 제4국장 대리였던 나카무라 시게토오공병대좌의 호소로 1879년 (메이지 12년) 12월, 야마가타 아리토모가 나고야성과 히메지성 보존을 결정했다.

1872년 (메이지 5년) 도쿄 진대 제3분영이 성내에 설치되었다. 1873년 (메이지 6년)에 나고야 진대가 되었고, 1888년 (메이지 21년)에 제3사단으로 개편되어 종전까지 이어졌다.

1919년 (다이쇼 8년) 당시의 나고야 이궁.


1891년 (메이지 24년), 노비 대지진으로 혼마루 다몬 야구라 일부가 붕괴되었지만, 천수와 혼마루 어전은 큰 피해를 입지 않았다. 1893년 (메이지 26년) 혼마루는 육군성에서 궁내성으로 이관되어 나고야 이궁이라고 칭했다.

1930년 (쇼와 5년) 나고야 이궁이 폐지되어 궁내성에서 나고야시에 하사되었다.[110]。 같은 해, 건조물 (24동)이 국보보존법에 기초하여 국보 (구 국보)로 지정되었다. 성곽으로는 국보 제1호[111]。 혼마루 어전 장벽화도 1942년 국보 (구 국보)로 지정[111]

1931년 (쇼와 6년) 나고야시는 나고야성을 시민에게 일반 공개했다.[108]。「은사 원이궁」이라고도 불렸다[112]

태평양 전쟁1945년 (쇼와 20년) 5월 14일 나고야 대공습으로 혼마루 어전, 대천수, 소천수, 동북쪽 구석 야구라, 정문, 금빛 샤치호코 등이 소이탄 직격탄을 맞아 소실되었다.

전후, 나고야시 도시 계획에 의해 산노마루를 제외한 성터는 북동쪽에 있던 저습지 터와 함께 메이조 공원이 되었다. 천수는 지역 상점가 노력과 전국에서 기부를 받아 1959년(쇼와 34년)에 재건되었으며, 복원된 금빛 물고기와 함께 나고야시 상징이 되었다.

  • 1994년(헤이세이 6년) 5월 14일 - 시민 자원봉사 단체 "혼마루 어전 포럼"이 설립되었다.
  • 2002년(헤이세이 14년) - 나고야시가 혼마루 어전 복원 "나고야성 혼마루 어전 적립 기금" 기부 모집을 시작했다.
  • 2006년(헤이세이 18년) 4월 6일 - 재단법인일본성곽협회에 의해 일본 100명성 (44번)으로 선정되었다.
  • 2009년(헤이세이 21년)
  • 1월 19일 - 혼마루 어전 복원 공사에 착수.
  • 8월 10일 - 가와무라 다카시 시장은 나고야성 천수를 현재 콘크리트 구조에서 목조로 다시 짓는 것을 검토한다고 발표했다.
  • 2013년(헤이세이 25년) 1월 4일 - 나고야시는 2013년도부터 나고야성 천수를 현재 철근 콘크리트제에서 본래 목조로 다시 짓는 복원 사업에 착수한다고 발표했다.
  • 2018년(헤이세이 30년)
  • 5월 7일 - 공사에 앞서 천수각 입장을 금지한다.
  • 6월 8일 - 복원된 혼마루 어전 일반 공개를 시작.
  • 2023년(레이와 5년) 3월 - 나고야시는 목조 천수각 공사 기간을 재검토하여, 구체적인 완성 시기를 최단으로 2032년 (레이와 14)도 무렵이 될 전망을 처음으로 공표했다.

2. 1. 센고쿠 시대

16세기이마가와 우지치카오와리 진출을 위해 축성한 야나기노마루가 나고야 성의 기원이다. 이 성은 지금의 나고야 성 니노마루에 있었다고 추측된다. 1532년 오다 노부히데가 이마가와 우지토요로부터 이 성을 빼앗아 나고야 성(那古野城)이라고 개명하였다.[106]

노부히데는 잠시 동안 성에 거주하며 이 곳에서 아들 오다 노부나가를 낳았다고 한다. 후에 노부히데는 후루와타리 성으로 거처를 옮겼다. 나고야 성은 노부나가의 거성이 되었지만, 1555년 노부나가가 기요스성으로 거처를 옮겼기 때문에 폐성되었다.[107]

2. 2. 에도 시대

도쿠가와 이에야스세키가하라 전투 이후, 오와리번 초대 번주이자 자신의 아홉 번째 아들인 도쿠가와 요시나오의 거성으로 1609년 나고야성 축성을 결정했다. 이는 기요스성이 오랫동안 오와리의 중심이었지만, 정치 정세에 대한 대응과 수해에 취약한 지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함이었다.[202] 1610년 서국의 여러 다이묘에게 데쓰다이부신(천하보청)[203]으로 성을 짓기 시작했다.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성 건설을 명령했다


축성 담당은 다키가와 다다유키, 사쿠마 마사자네 외 5명, 작업 담당은 오쿠보 나가야스, 고보리 마사카즈 외 9명에게 맡겨졌다. 건물의 입지와 배치는 도도 다카토라가 담당했으며, 석벽은 여러 다이묘가 분담해서 쌓았다. 특히, 가장 고도의 기술을 요하는 천수의 석벽은 가토 기요마사가 담당했다.[107] 천수는 작업 담당인 고보리 마사카즈, 목수들의 수장인 나카이 마사키요가 담당했다고 전해지지만, 오카베 마타베에라는 설도 있다. 1612년 대천수가 완성되었다.

1612년부터 1616년까지 기요스 고에시를 통해 나고야 성하 마을을 조성했다. 가신, 마을 주민, 사찰 10사, 신사 3사, 기요스 성 소천수까지 옮기는 철저한 준비가 이루어졌다.

1634년에는 도쿠가와 이에미쓰가 교토로 가는 길에 나고야성에 들렀다. 이때 혼마루 어전은 장군 상락 시의 어성으로 사용되었다.

2. 3. 메이지 시대 이후

메이지 유신 후, 오와리 번 제14대 번주 도쿠가와 요시카쓰는 신정부에 나고야 성을 해체하고 긴샤치를 헌납하겠다고 요청했다. 그러나 주일 독일 공사 막스 폰 프란트와 육군 제4국장대리 나카무라 시게토 대령의 상소로 야마가타 아리토모가 성곽 보존을 결정했다. 이때 천수는 혼마루 어전과 함께 보존되었다.[204]

1872년 성 안에 도쿄 진다이가 설치되었다. 1873년 나고야 성의 도쿄 진다이가 나고야 진다이로 바뀌었고, 1888년 제3사단으로 변경되어 종전까지 주둔했다.

1891년 노비 지진으로 혼마루의 세이난 망루(西南隅櫓)와 다몬 망루(多聞櫓) 일부가 파손되었지만, 천수와 혼마루 어전은 큰 피해가 없었다. 1893년 혼마루는 육군성에서 궁내성으로 이관되어 나고야 이궁(名古屋離宮)으로 불렸다. 1930년 나고야 이궁은 폐지되고 궁내성에서 나고야시로 이관되었다.

나고야 시는 나고야 성을 일반에 공개했고, 이때 건축물과 장벽화는 국보(구 국보)로 지정되었다. 그러나 1945년 5월 14일 나고야 대공습으로 혼마루 어전, 대천수, 소천수, 도호쿠 망루(東北隅櫓), 정문, 긴샤치 등이 소실되었다.

전후, 산노마루를 제외한 성터는 메이조 공원으로 조성되었다. 공원 안에는 전쟁을 피한 3개의 망루와 3개의 문, 니노마루, 정원 일부가 보존되어 있다. 흙으로 쌓은 보루, 해자, 문 등은 산노마루를 포함하여 비교적 온전히 남아있다.

1959년 천수는 재건되어 복원된 긴샤치와 함께 나고야 시의 상징이 되었다.

혼마루 어전 복원은 1994년 시민봉사단체인 혼마루 어전 포럼 설립을 시작으로 2002년부터 재건기금을 모았다. 2009년 복원공사를 시작하여 2013년 제1기 현관과 표서원 공개를 시작했고, 2016년 제2기 대면소와 하어선소가 공개되었으며 장벽화도 복원되어 2018년 6월 8일 혼마루 어전 복원이 완료되었다.

나고야 성 천수각은 2018년 5월부터 목조복원을 진행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천수각 입장을 금지하고 있다.

3. 구조

나고야 성은 전형적인 제곽식 평성으로, 혼마루를 중심으로 남동쪽에 니노마루, 남서쪽에 니시노마루, 북서쪽에 오후케마루가 배치되어 있으며, 남쪽에서 동쪽으로는 산노마루가 이들을 감싸고 있다.

혼마루에는 남쪽의 오테 문과 니노마루의 2개 가라메테 문 등 3개의 출입구가 있다. 해자 안쪽에는 2중 성문인 마스가타[205]가 있고, 해자 바깥쪽에는 우마다시[206]가 있어 성 입구를 이중으로 방어한다. 마스가타 내 통로는 굴곡져 있고, 주위는 다몬 망루로 둘러싸여 적의 진입을 어렵게 한다. 외성곽에서 토교(土橋)를 통해 우마다시로 들어오는 통로에는 직선 형태의 작은 석벽이 있어 혼마루 뒤쪽으로 바로 갈 수 없게 되어 있다. 우마다시 배치도 정교하여 일부 성곽을 점령해도 혼마루에 쉽게 진입할 수 없는 구조이다.

서쪽과 북쪽은 해자와 저습지로 막혀 있고, 남쪽과 동쪽은 산노마루가 니노마루와 니시노마루를 둘러싸고 있다. 그 바깥쪽에는 폭이 넓은 빈 해자와 해자가 있는 외성곽이 있다. 더 바깥쪽에는 소가마에 또는 소쿠루와라고 불리는 외성과 성하 마을이 자리 잡을 계획이었으나, 오사카 전투 이후 건설이 중지되었다.

나고야 성의 방어 라인은 각각의 성곽이 곧게 뻗은 직사각형태인 성벽을 많이 가지고 있다. 각 모퉁이는 직각으로 단순하게 되어 있다.

혼마루는 대부분 정사각형 형태로, 북서쪽 구석에 천수가 있고, 그 밖의 3곳의 구석진 부분에는 스미 망루(隅櫓)가 있다. 문은 남쪽에 정문인 미나미 문(南御門), 동쪽에는 히가시 문(東御門), 북쪽에는 아카즈 문(不明御門)이 있다. 그리고, 다몬 망루(多聞櫓)가 혼마루 주위를 둘러싸고 있다.

세이난 망루(앞)와 대천수(뒤)


스미 망루는 모두 2층 3계의 구조로, 그 규모는 다른 지역의 천수와 비교될 만하다. 현존하는 망루는 남동쪽의 도난 망루(東南隅櫓), 남서쪽의 세이난 망루(西南隅櫓)이며, 북동쪽의 도호쿠 망루(東北隅櫓)는 전화로 소실되어 망루대만 남아 있다.

미나미 문과 히가시 문은 마스가타를 가진 2중 성문 구조를 채용했다. 아카즈 문은 암문(闇門)[207] 형식의 비상구였으나, 전화로 소실되었다. 현존하는 성문은 미나미 니노 문(南二之門: 미나미 문의 두 번째 문)이다.

다몬 망루는 하나의 연결된 망루로, 스미 망루(점)와 달리 선의 형태로 방어를 한다. 다몬 망루는 내부에 병장기를 보관하거나 비상식량을 수납했으며, 노비 지진 때 모두 파손되거나 철거되었다.

이 망루들은 평시에는 무기와 갑옷을 보관하고, 비상시에는 공격 거점 역할을 했다. 성곽 모서리에 세워 전략적 망루 역할을 했기 때문에 모서리 망루라고도 불린다. 나고야성은 원래 최소 11개의 모서리 망루를 가지고 있었다. 혼마루에는 동남쪽, 서남쪽, 북서쪽 모서리 망루 3개가 남아 있으며, 중요 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이 망루들은 바닥에 덮개가 달린 틈새를 가지고 있는데, 이 구멍들은 "돌 미끄럼틀"이라고 불렸지만 단순히 돌을 떨어뜨리는 용도는 아니었다. 총을 더 넓은 지역으로 아래를 향해 발사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고, 외부에서 위치를 알아볼 수 없도록 만들어졌다. 혼마루의 동남쪽 및 서남쪽 모서리 망루에는 2층 돌출창이 설치되어 있다.

건축학적으로 이 망루는 두 개의 지붕을 가지고 있어 2층 건물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3층 구조(二重三階, 니주-산카이)이다. 1층과 2층은 크기가 같고, 3층은 한 변이 2 (3.6미터) 작다. 태평양 전쟁 중 소실된 북동쪽 모서리 망루도 돌출창(出窓, 데-마도)의 디자인이 다르다는 점을 제외하면 유사한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세이난 망루(西南隅櫓, ''Seinan-sumi Yagura'')[30]는 십이지에서 염소와 원숭이에 해당하는 방위에 위치해 있어 "히츠지사루(未申) 망루"라고도 불린다. 3층 건물에 2층 지붕으로 이루어져 있다. 서쪽과 남쪽 면에는 낮은 층 지붕 아래로 함정 문이 돌출되어 있는데, 이는 성을 방어하기 위해 공격자에게 돌을 떨어뜨리도록 설계되었다. 일본 황실 문장인 국화 문장이 지붕 용마루 끝 타일에 새겨져 있다.[15]

도난 망루(東南隅櫓)


"타츠미" 망루라고 불리는 도난 망루(東南隅櫓 ''Tōnan-sumi Yagura'')는 2층 구조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3층 구조이다. 진흙 벽에 칠해진 흰색 코팅은 건물을 방수 및 방화 기능을 갖게 했다. 도난 망루는 세이난 망루와 유사하다. 도쿠가와 가문의 문장인 고케 문양이 지붕의 마루 끝 타일에 새겨져 있다.[15]

혼마루의 남쪽 두 번째 문


나고야성의 많은 문들은 사각형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석벽에는 성의 방어 능력을 과시하기 위해 여러 개의 큰 돌이 포함되어 있다.

미나미 니노몬(本丸南二之門)은 니시노마루에서 내부 혼마루로 이어지는 외부 구조이다. 이 문은 튼튼한 목재 기둥과 두꺼운 강철판으로 덮인 가로대를 가지고 있다. 문의 양쪽에는 방화 석고 벽의 희귀한 사례가 있다. 박공형 타일 지붕을 가지고 있으며, 문은 보강을 위해 격자 구조로 되어 있다.

혼마루의 남쪽 첫 번째 문


미나미 이치노몬(本丸南一之門)은 망루 문(櫓門, 야구라 몬)이었다. 바비칸 망루가 북쪽과 서쪽의 석벽 위에 건설되었다. 이 구조는 공격하는 적군에게 세 방향에서 화살을 발사할 수 있게 했다. 미나미 이치노몬과 더 작은 미나미 니노몬은 바비칸과 함께 '마스-가타 코구치'(枡形虎ロ)라고 불리는 사각형 벽으로 둘러싸인 성문 구조를 형성했다. 첫 번째 문 앞 부분 아래의 벽 부분은 나무 타일로 덮여 있었고, 문 자체는 철판으로 덮여 있었다. 두 번째 층의 기계에서 돌을 떨어뜨릴 수 있었다.

혼마루의 동쪽 첫 번째 문


히가시 문은 배치와 외관에서 남문과 유사한 구조였다. 니노마루에서 혼마루로 이어지는 곳에 위치해 있었다. 이 또한 1612년경에 건설되었다. 히가시 이치노몬은 오른쪽에 있는 작고 바깥쪽에 위치한 두 번째 문과 함께 사각형을 이루는 튼튼한 문이었다. 작은 문과 함께 박공 형태의 기와 지붕도 있었다. 사각형의 길이를 이루는 보루는 1891년 지진으로 심하게 손상된 후 철거되었다. 나머지 구조물은 1945년 공습으로 파괴되었다.

가토 기요마사 돌


히가시 문에는 벽에 설치된 매우 큰 돌이 있다. 전설에 따르면, 장군이자 성 기술자인 가토 기요마사가 이 큰 돌을 성으로 운반했다고 한다.[15] 그러나 이 성의 기초 부분은 구로다 나가마사에 의해 건설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석벽을 건설하라는 명령을 받은 영주들은 다른 영주들의 돌과 구별하기 위해 돌에 자신의 표시를 새겼다.

도호쿠 망루(東北隅櫓)


도호쿠 망루(東北隅櫓 ''Tōhoku-sumi Yagura'')는 십이지 방위에 따라 '우시토라'(丑寅) 망루라고도 불리며, 2층 구조였다. 히가시 문 근처에 위치해 있었다. 흙벽에 칠해진 흰색 코팅은 구조물을 방수 및 방화 기능하게 했다. 도호쿠 망루는 도난 망루 및 세이난 망루와 유사했으며, 돌출된 창문(出窓 ''de-mado'')의 디자인이 다르다는 점을 제외하면 구조도 비슷했다. 태평양 전쟁 중 파괴되었다.

혼마루는 북서쪽 모퉁이에 천수각이 있고, 나머지 세 모퉁이에는 스미야구라(隅櫓)가 설치되었으며, 다몬 야구라(多聞櫓)가 혼마루의 외주를 둘러싸고 있었다. 문은 남쪽에 남어문(표문), 동쪽에 동어문(카라메테몬), 북쪽에 불명(아카즈)어문의 3개가 있었다. 대부분의 야구라와 담장은 흰 회반죽을 칠한 벽면이었지만, 혼마루의 북면만은 시타미이타가 덧대어져 있었다.

남어문·동어문은 해자 안쪽에 고라이몬과 야구라몬의 이중 성문으로 구성된 마스카타몬[120]이 있었고, 해자 바깥쪽에는 오테 우마다시와 카라메테 우마다시의 큰 우마다시를 갖추고 입구를 이중 삼중으로 굳게 지켰다. 바깥 곽에서 우마다시를 거쳐 혼마루로 들어가는 경우, 다음 경로를 거치도록 되어 있다.

# 우마다시로 가는 토교를 건너 돌담에 부딪혀 옆으로 꺾이고,

# 혼마루를 등지고 우마다시의 문을 통과하고,

# 우마다시 안에서 U턴하듯 나아가 혼마루로 가는 토교를 건너고,

# 이노몬(고라이몬)을 지나 마스카타로 들어가 옆으로 꺾이고,

# 이치노몬(야구라몬·총 철판 덮개)을 통과한다.

오테 우마다시는 삼면을 다몬 야구라로 구성하고 있는 반면, 카라메테 우마다시는 초기 계획에서는 남쪽과 서쪽을 다몬 야구라가 돌고, 북동쪽에 스미야구라대가 있지만, 결국 담장조차 없는 미완의 상태였다. 현재 오테 우마다시의 서쪽 면은 매립되어 평지가 되었고, 카라메테 우마다시는 석축 수복 공사가 진행 중이다.

현재, 문은 표니노몬(남니노몬)만이 현존한다. 불명어문은 우즈미몬 형식이었지만, 전쟁으로 소실되었다.

스미야구라는 총 2층 3계 건물로, 다른 성의 천수각에 필적하는 규모이다. 외관은 각각 의장을 달리하여 외관을 중시한 설계이다. 남동쪽의 타츠미 스미야구라, 남서쪽의 히츠지사루 스미야구라가 현존하고, 북동쪽의 우시토라 스미야구라는 전쟁으로 잃고 야구라대만 남았다. 다몬 야구라는 노비 지진으로 모두 파손되어 철거되어 현존하지 않지만, 깊이는 5m 정도로, 내부에 무구류나 비상 식량을 수납하는 등 충분한 방어 능력이 있었다.

현재, 해자로 된 혼마루를 둘러싼 내호에는 사슴이 방목되고 있다.

평상시 성주가 거처하는 혼마루 어전이었으나, 1620년 쇼군 상경 시에 황족이나 쇼군, 고위 관료 전용 거처로 결정되면서 이후 번주는 니노마루에서 기거하였다. 실제로 혼마루 어전을 사용했던 쇼군은 도쿠가와 히데타다도쿠가와 이에미쓰뿐이었다. 그 후에는 전혀 사용되지 않고 경비와 관리만 이루어졌다.

황족, 고위 관료, 쇼군 전용이었기 때문에 혼마루 어전은 니조 성에 필적할 만큼 호화로운 건물로 알려져 있다. 미나미 문으로 들어서면 입구인 시키다이(式台)[208]가 있고, 그 안쪽에 현관이 지어져 있다. 그 밖에도 히로마(広間)[209], 번주의 침실이 있는 쇼인(書院), 부엌인 가미다이도코로(上台所)와 시모다이도코로(下台所) 등의 건물이 나란히 지어져 있으며, 각종 창고와 반쇼(番所)[210]도 있었다.

이 건물들은 모두 태평양 전쟁에서 소실되었지만, 내부에 있던 장벽화 일부는 스미 망루 등에 보관되어 있었기 때문에 무사했다. 장벽화는 중요문화재로 지정되었으며, 오랜 복원 공사를 마치고 2018년 6월 완전히 개방되었다.

니노마루는 혼마루 남동쪽에 위치하며, 그 면적은 혼마루, 니시노마루, 오후케마루를 합친 것과 맞먹는다. 성이 건축될 당시 번주는 혼마루에 거주했고, 니노마루에는 쇼군의 거처로 고자쇼(御座所)가 건립되었다. 도쿠가와 이에야스와 초기 쇼군 히데타다는 상경이나 오사카 전투 때 이곳에 머물렀다. 그러나 혼마루 어전이 쇼군 전용이 되면서, 니노마루에 있던 히라이와 지카요시의 저택을 개수하여 1618년 니노마루 어전으로 삼았다. 이후 니노마루 어전은 오시로(御城)로 불리며 번주의 거처 및 오와리 번의 번청 기능을 담당했다.[211]

니노마루의 방어 시설로는 북동, 남서, 남동쪽에 L자형 스미 망루를 세웠고, 남쪽 변 중앙에 다이코 망루(太鼓櫓)가 있었다. 북쪽 변과 북서쪽에는 방어 시설로 보기 어려운 누각을 배치했는데, 이는 니노마루 정원에서 보이는 경관을 고려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서쪽과 동쪽에는 구로가네 문(鉄御門)을 배치했으며, 이 문도 2중 문으로 되어 있고 다몬 망루가 감싸고 있다. 니노마루 주위는 토담으로 막혀 있었다.

니노마루 어전은 니노마루 북쪽에 위치했고, 남쪽에는 승마장이 있었다. 현재 승마장 터에는 아이치 현 체육관이 들어서 있다.

현존하는 것은 동, 서에 각각 구로가네 문의 두 번째 문인 구로가네 니노 문(鉄御門二之門)이 2동 있지만, 동쪽에 있는 히가시쿠로가네 니노 문(동쪽 구로가네 문의 두 번째 문)은 혼마루의 히가시 니노 문터(동문의 두 번째 문)터에 이축되었다. 그 밖에도 니노마루 내 건물은 모두 철거되었지만, 현재 정원의 일부로 복원 정비되고 있다. 또, 니노마루에는 현재 나고야 성의 전신이라 할 수 있는 나고야 성(那古野城)이 있었고, 이를 알리는 석비가 있다. 덧붙여 옛 나고야 성은 오다 노부나가의 첫 번째 거성이었다고 알려져 있다.

나고야성 니시노마루는 정문 부근에 위치한다. 남쪽에는 에노키다 문(榎多御門)이 있으며, 마스가타(桝形)[205]와 2중 성문 구조로 되어 있다. 이 문은 산노마루와 연결되어 있다. 남쪽 면은 다몬 망루(多聞櫓)가 설치되어 있고, 그 밖의 주변은 토담으로 둘러싸여 있다. 남서쪽 구석에는 고간조 다몬 망루, 서쪽 면 중앙에는 쓰키미 망루(달맞이 망루)가 세워져 있다. 성곽 안에는 많은 미곡 창고가 건설되어 보급 기지로서의 성격이 강했다.

메이지 시대에 니시노마루에 있던 구조물은 모두 철거되었고, 1910년(메이지 43년)에 에도성의 하스이케 문(蓮池門)을 옮겨와 세이몬(正門: 정문)이라고 이름을 바꾸었다. 안타깝게도 태평양 전쟁 때 소실되었다. 현재 세이몬은 복원된 것이다. 현재 니시노마루에는 나고야 성 관리사무소와 천연기념물비자나무가 자라고 있다.

오후케마루는 혼마루의 북서쪽에 위치해 있으며, 혼마루와는 아카즈 문으로 연결되어 있고, 혼마루 북쪽의 오시오구라가마에(御塩蔵構: 소금 창고) 터 및 니시노마루와도 좁은 통로로 연결되어 있었다.

망루는 북서쪽과 북동쪽 부근에 2동이 있었고, 그중 북서쪽에 있는 세이호쿠 망루가 현존한다. 세이호쿠 망루는 3층 3계 구조로, 히로사키성 천수 및 마루가메성 천수보다 규모가 크다. 1611년 기요스성의 소천수를 이축했다고 전해져 기요스 망루라고도 불린다. 실제 해체 수리 시 이축한 흔적이 발견되어, 기요스 성의 소천수일 가능성이 크다.

혼마루의 후방을 담당하는 성곽으로, 당초 성곽 외측을 모두 다몬 망루로 지을 예정이었으나, 도중에 계획이 변경되어 망루 이외에는 토담만 쌓았다. 이는 겐나엔부(元和偃武)에 따라 공사가 중단되었기 때문이다. 이 성곽 안에는 각종 창고가 지어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노기 창고


오후케마루에는 메이지 시대 초기에 노기 창고(乃木倉庫)라고 불리는 옛 일본 제국 육군의 탄약고가 지어졌다. 이 탄약고는 오후케마루에 현존한다. 이 건물의 벽돌은 나고야 시내에서 가장 오래된 벽돌 건물로, 태평양 전쟁 중에는 혼마루 어전의 장벽화 등이 이곳에 보관되었다. 노기 마레스케가 나고야 진다이에 근무할 때 지어져 노기 창고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전해진다. 1997년 국가 등록유형문화재로 등록되었다.

그 밖에 오후케마루 동쪽에는 천수 재건 공사 때 철거된 천수각 초석들이 놓여 있으며, 나고야 대공습 때 불에 그을린 자국도 볼 수 있다.

산노마루는 현재 나고야시 나카구 산노마루 1정목(一丁目) ~ 4정목(四丁目)까지의 지역과 거의 일치한다. 성곽 내에는 중신들의 저택과 각종 신사가 건립되었다. 문은 5개였으며, 서쪽에는 암문(闇門)인 하바시다 문(巾下御門), 남쪽 면의 서쪽에는 미조노 문(御園御門), 남쪽 면 중앙에는 혼초 문(本町御門), 동쪽에는 히가시 문, 북쪽 면 니노마루에는 시미즈 문(清水御門)이 있었다. 각각 마스가타를 가지고 있었다.[82][83] 단, 문이 있는 주변은 석벽으로 이루어졌지만, 그 외에는 흙으로 되어있다.

산노마루에 있던 구조물은 모두 철거되었지만, 이치노미야시 묘코지의 정문인 소몬(総門)은 시미즈 문을 이축한 것이다. 나고야 도쇼궁은 산노마루 남쪽(나고야 시 나카 구 마루노우치)으로 이축되었고, 덴노 신사는 나고야 신사(那古野神社)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메이지 시대 이후 관청가로 변모하였으며, 나고야성의 바깥 해자 일부는 메이지 후기 ~ 쇼와 후기에 걸쳐 메이테츠 세토선의 선로가 놓였다.

현재 산노마루에는 아이치현청, 나고야 시청, 아이치 현 경찰 본부, 각종 청사가 건립되어 아이치현의 행정 중심 지역이 되었다.

3. 1. 입지

쇼나이 강이 만들어낸 노비 평야 서북단에 위치해 있으며, 북쪽에서 노비 평야를 한눈에 조망할 수 있는 군사적 요충지에 해당한다.[106]

축성 전, 나고야 성이 위치하고 있는 대지(臺地)는 서쪽과 북쪽 면이 깎아지른 절벽이었다. 절벽 밑에는 저습지가 있어 천연 방어선을 형성했다. 또한, 대지의 서쪽 끝에 접해있는 호리가와 강 주위를 파, 이세 만에 인접한 항구(아쓰타 신궁 앞마을)로부터 축성 물자 수송과 나고야 성하 마을의 서쪽을 지키는 역할도 겸하고 있다.

이러한 나고야 성의 입지는 오사카성의 도요토미 가문 등 서국 다이묘도카이도를 지나 에도로 진격하는 것을 고려해 지어졌다고 생각된다.

3. 2. 기본 배치

나고야성은 전형적인 제곽식 평성으로, 혼마루를 중심으로 남동쪽에 니노마루, 남서쪽에 니시노마루, 북서쪽에 오후케마루가 배치되어 있다. 남쪽에서 동쪽으로는 산노마루가 이들을 감싸고 있다.

혼마루에는 3개의 출입구가 있는데, 남쪽의 오테 문과 니노마루의 2개 가라메테 문이 있다. 해자 안쪽에는 2중 성문인 마스가타[205]가 있고, 해자 바깥쪽에는 우마다시[206]가 있어 성 입구를 이중으로 방어한다. 마스가타 내 통로는 굴곡져 있고, 주위는 다몬 망루로 둘러싸여 적의 진입을 어렵게 한다. 외성곽에서 토교(土橋)를 통해 우마다시로 들어오는 통로에는 직선 형태의 작은 석벽이 있어 혼마루 뒤쪽으로 바로 갈 수 없게 되어 있다. 우마다시 배치도 정교하여 일부 성곽을 점령해도 혼마루에 쉽게 진입할 수 없는 구조이다.

서쪽과 북쪽은 해자와 저습지로 막혀 있고, 남쪽과 동쪽은 산노마루가 니노마루와 니시노마루를 둘러싸고 있다. 그 바깥쪽에는 폭이 넓은 빈 해자와 해자가 있는 외성곽이 있다.

더 바깥쪽에는 소가마에 또는 소쿠루와라고 불리는 외성과 성하 마을이 자리 잡을 계획이었으나, 오사카 전투 이후 건설이 중지되었다.

3. 3. 천수

메이지 유신 이후, 오와리 번 제14대 번주 도쿠가와 요시카쓰는 나고야 성을 해체하고 긴샤치를 헌납하겠다고 했으나, 독일 공사와 육군 관계자의 상소로 야마가타 아리토모가 성곽 보존을 결정하여 천수는 혼마루 어전과 함께 보존되었다.[204]

1872년 성 안에 도쿄 진다이가 설치되었고, 1873년 나고야 진다이로 변경, 1888년 제3사단으로 개편되어 종전까지 주둔했다. 1891년 노비 지진으로 일부 시설이 파손되었으나 천수와 혼마루 어전은 큰 피해가 없었다. 1893년 혼마루는 궁내성으로 이관되어 나고야 이궁(名古屋離宮)으로 불렸으며, 1930년 나고야 시에 이관되어 일반에 공개되었다. 이 시기 건축물과 장벽화는 국보로 지정되었다.

1945년 5월 14일 나고야 대공습으로 혼마루 어전, 대천수, 소천수, 도호쿠 망루(東北隅櫓), 정문, 긴샤치 등이 소실되었다. 전후 성터는 메이조 공원으로 정비되었고, 1959년 천수가 재건되어 긴샤치와 함께 나고야 시의 상징이 되었다.

혼마루 어전 복원은 1994년 시민봉사단체 설립을 시작으로 2009년 복원공사를 착공하여 2013년 현관과 표서원, 2016년 대면소와 하어선소가 공개되었고, 2018년 6월 8일 복원이 완료되었다.

혼마루 어전과 대천수


천수는 혼마루 북서쪽 구석에 위치하며, 에도 시대 초기 성곽을 대표하는 건축물 중 하나이다. 대천수와 소천수가 연결된 형태이며, 대천수 지붕 위에는 도쿠가와 가문의 영화를 상징하는 긴샤치로 장식되어 있다.

대천수는 5층 5계, 지하 1층 건물로 높이 55.6m(석축 19.5m, 본체 36.1m)이다. 면적은 4424.5m2로 에도 성과 도쿠가와 가문이 재축성한 오사카 성 천수를 능가한다. 소천수는 2층 2계, 지하 1층으로 대천수의 현관 역할을 한다.

천수는 1612년에 완성되어 333년간 존속했다. 노비 지진도 견뎌냈지만, 1945년 공습으로 소실되었다. 1957년 나고야 시 제정 70주년 기념사업으로 재건이 시작되었으며, 철골철근콘크리트 구조로 대천수를 짓게 되었다. 1959년 10월 1일 준공되었으며, 대천수 내부에는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었다.

1610년 1월, 도쿠가와 이에야스는 여러 ''다이묘''에게 성 건설을 돕도록 명령했다. 가토 기요마사, 후쿠시마 마사노리, 마에다 도시미쓰 등 20명의 다이묘가 이 프로젝트를 지원했다. 1610년 8월에 주 천수각의 석조 기초가 완성되었고, 12월까지 혼마루, 니노마루, 니시노마루, 오후케마루 건물의 석벽 공사가 거의 완료되었다. 1611년 6월에는 호리 강인 운하가 건설되었다. 기요스 성의 자재가 많이 사용되었으며, ''천수각''도 서북쪽 망루로 재건되었다. 1612년 중반에 혼마루 궁전 건설이 시작되었고, 그 해 12월에 주 천수각이 완성되었다.

가노 사다노부를 비롯한 예술가들이 1614년 혼마루 궁전의 벽, 천장, 미닫이 문에 그림을 그렸다. 1615년 2월 혼마루 궁전이, 1617년에는 니노마루 궁전이 완성되었다. 1619년 산노마루 성곽에 도쇼구 신사가 설립되었고, 오후케마루의 서북쪽 망루가 완성되었다. 1620년 도쿠가와 요시나오가 니노마루 궁전으로 이사했고, 1627년에는 사당도 건설되었다.

1633년 5월 혼마루 궁전에서 전반적인 개조 공사가 시작되었으며, 교토 방문 예정인 쇼군 도쿠가와 이에미쓰를 맞이하기 위한 것이었다. 가노 탄유 등 예술가들이 1634년 새로운 증축 공간에 그림을 그렸다.

1669년에는 주 천수각 벽과 지붕에 수리가 이루어졌다. 1685년 11월에는 주 천수각 지붕, 1709년 3월에는 주 천수각 1층과 2층, 1720년 8월에는 주 천수각 3층과 4층의 ''치도리하후'' 박공, 1726년 12월에는 3층 지붕, ''카라하후'' 박공, 4층 지붕 및 주 천수각 5층 지붕의 구리 타일에 수리가 이루어졌다. 1728년 8월에는 혼마루 궁전의 너와 지붕에 추가 작업이 수행되었다.

1730년 11월에는 황금 ''샤치''가 처음으로 다시 주조되었고 철망으로 덮였다. 1752년 대규모 "호레키의 복원" 공사로 천수각의 기울기를 수정하고 2층 이상의 지붕에 구리 타일을 덮었다. 1788년까지 오와리 지파의 누적 부채는 215000료 (일본 화폐)에 달했다. 황금 ''샤치''는 1827년에 녹여서 금 함량이 적은 것으로 다시 주조되었고, 1846년에는 다시 녹여 세 번째로 다시 주조했다.

19세기에 촬영된 배경의 주요 천수각과 함께 있는 니노마루 궁전


아오마츠바 사건은 1868년 2월 니노마루 궁전에서 발생했다. 막부가 끝난 후, 오와리 지부는 천황에게 복종하기로 결정했다. 1870년 도쿠가와 요시카츠는 성의 일부를 해체하고 황실에 황금 ''샤치''를 기증했다. 1871년 4월 천수각에서 제거된 ''샤치''는 도쿄로 운송되어 순회 전시되었다. 수컷 ''샤치''는 1872년 유시마 세이도 박람회에서, 암컷은 1873년 빈 만국 박람회에서 전시되었다.

년에 촬영된 성의 두 개의 주요 천수각과 주변 혼마루 궁전 구조물


1872년 5월, 도쿄 수비대의 제3사단 (일본 제국 육군)이 성에 주둔했다. 1879년 12월, 육군 대신 야마가타 아리토모는 나카무라 시게토 대령의 조언에 따라 성을 보존하기로 결정했다.

1891년 지진 전의 남서쪽 망루와 천수각 연결 회랑


1891년 10월 1891년 미노-오와리 지진으로 남서쪽과 ''타몬'' 망루 및 기타 구조물에 심각한 피해가 발생했다. 1893년 성은 궁내성으로 이관되었고, "나고야 별궁"으로 변경되었다.[3] 1906년 5월 20일, 국철 5천 마일 기념 행사를 위해 부지가 하루 동안 일반에 공개되었다. 1910년 3월, 에도성에서 가져온 청동 ''샤치''가 추가되었다. 1911년 2월, 에도성의 옛 하스이케 문이 현재 정문으로 사용되는 니시노마루-에노키 문의 유적에 재건되었다. 1923년에는 남서쪽 망루가 수리되었다.

1930년 12월 11일, 성의 소유권이 궁내성에서 나고야 시로 이전되어 황실 별장으로서의 지위가 폐지되었다. 같은 달, 성 부지 내 24개의 구조물이 일본의 국보로 지정되었다. 1931년 2월 11일 부지가 일반에 공개되었다. 1932년 5월에는 성에 대한 현장 조사 및 측량이 실시되었다. 1936년에는 니노마루의 사루멘 다실(猿面)이 국보로 지정되었다. 1942년 6월에는 혼마루 궁전의 일부 그림이 국보로 지정되었다.

미 육군 항공대의 태평양 전쟁 폭격으로 1945년 나고야성이 파괴되었다


태평양 전쟁 중 성은 도카이 지구 육군 본부 및 나고야 포로 수용소의 행정 사무소로 사용되었다.[4] 1945년 1월에는 사루멘 다실이 공습으로 파괴되었다. 5월 14일에는 천수각, 작은 천수각, 황금 ''샤치'', 혼마루 궁전, 북동쪽 망루 및 기타 건물들이 공습으로 완전히 파괴되었다.

성에서 살아남은 이전 국보들은 일본의 중요 문화재로 재지정되었다. 1953년에는 동남쪽 망루가 수리를 위해 해체되었다. 니노마루 정원은 경승지로 지정되었다. 1955년 6월에는 혼마루 궁전의 대부분의 그림과 천장 패널 그림이 국가 중요 문화재로 지정되었다. 1957년에는 성의 천수각 재건이 시작되었다. 2세대 황금 ''샤치''가 오사카 조폐국에서 주조되어 성으로 운송되었다. 1959년 10월 3일, 두 개의 천수각 재건이 완료되었고, 건물은 일반에 공개되었다.

혼마루 궁전의 조라쿠덴(上洛殿)에 복원된 조단노마(上段之間)(2018년)


2005년 엑스포를 준비하면서 대부분의 전시물에 영어 설명판이 추가되었다. 파괴된 혼마루 궁전의 재건 공사는 2009년에 시작되어 2018년에 완료되었다.[5] 가와무라 다카시 나고야시 시장은 2009년에 본관을 나무로 완전히 재건할 계획을 발표했다.[6][7] 2017년 7월 시는 공식적으로 모금 캠페인을 시작했다. 국제 온라인 기부 플랫폼은 2020년에 개설되었다.[8] 2019년에는 기후현의 숲에서 ''히노키'' 목재 수집이 시작되었다.[12]

시는 사진 증거와 건축 도면이 있는 ''혼마루''와 ''니노마루'' 구조, 즉 다양한 망루, 문, 방어벽을 추가로 복원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13]

부채꼴 모양의 돌 기단을 가진 본관


두 개의 망루를 연결하는 칼날 벽


나고야성은 "연결된 망루" 스타일의 건축으로 유명하며, 본관과 작은 망루가 부벽 다리로 연결되어 있다. 본관 서쪽에 또 다른 작은 망루가 계획되었던 증거는 그쪽 돌담 기초 상단에서 입구 흔적을 통해 찾아볼 수 있다.

작은 망루와 본관 모두 태평양 전쟁 중에 불탔고, 1959년에 철골 빔과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재건되었다.[15] 2017년, 시는 나무로 망루를 완전히 재건하기 위한 기부 운동을 발표했다.[9][10][11] 온라인 기부 웹페이지는 2020년에 개설되었다.[32]

성벽 건설 작업은 가토 기요마사(加藤清正)를 포함한 20명의 봉건 영주에게 분담되었다. 망루의 벽은 가토 가문이 건설했으며, 건물의 초석에는 건설을 담당한 가문의 구성원들의 비문이 새겨져 있다. 성의 돌담에는 원 안에 삼각형 모양의 표식과 부채, 전쟁 부채 및 기타 물체의 대략적인 윤곽이 새겨져 있다. 이것들은 "코쿠몬"(刻紋, 새겨진 문장)이라고 불리며, 건설 과정에서 구획을 할당받은 다양한 "다이묘"(大名, 영주)와 그들의 가신들을 나타낸다. 1959년 재건축 과정에서 본관의 기초석 중 일부는 화재의 엄청난 열로 인한 손상과 그로 인한 망루 붕괴로 인해 북쪽 잔디밭으로 옮겨졌다.

망루를 지탱하는 돌담은 "오기 코바이"(扇勾配, 부채 경사)라는 기법으로 건설되었는데, 이 기법은 벽의 윗부분이 부채처럼 바깥쪽으로 곡선을 이루게 한다. 이 벽은 또한 '기요마사 스타일 초승달 돌담'이라고도 불린다.

본관과 작은 망루 사이에는 지붕이 없는 복도가 있다. 서쪽 외벽에는 처마를 기어오르는 적군을 막기 위해 30cm 길이의 창날이 많이 부착되어 있다.[15]

나고야성은 오다 노부나가가 태어난 성으로 여겨지는 이마가와 씨가 축성한 나고야성(なごやじょう)의 터 주변에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천하부신으로 축성했다. 이후 메이지 유신까지 오와리 도쿠가와 가문 17대 영주의 거성이었다.

오사카성, 구마모토성과 함께 일본 3대 명성으로 꼽히며, 이세 오도리에서는 "이세는 츠에서도 츠는 이세에서도 오와리 나고야는 성에서도"라고 읊조리고 있다. 대천수에 올려진 금빛 샤치호코는 성뿐만 아니라 나고야의 도시의 상징이다. 혼마루 어전은 구 리큐 니조성의 국보・니노마루 어전과 함께 무가풍 쇼인즈쿠리 성곽 어전의 쌍벽으로 평가받았다.[102]

대소 천수, 혼마루 어전의 일부는 쇼와 전기까지 잔존했지만, 1945년나고야 대공습으로 대부분 소실되었다(서남 우거루 등 6채는 소실을 면하고 현존하고 있다[103]). 전후에 천수, 문이 철근 콘크리트로 외관 복원되었고, 성터는 메이조 공원의 남원으로서 정비되고 있다.

현재 나고야성의 전체 정비 계획이 있으며, 정비 계획에서는 사적으로서의 나고야성의 보존 활용과 가치를 높이고자 한다. 2023년 현재 계획되고 있는 정비 계획으로는 천수각의 목조 복원 정비, 동북 우거루의 복원 정비, 혼마루 표 이치노몬과 혼마루 동 이치노몬과 혼마루 동 니노몬과 니노마루의 문, 니노마루 오테 니노몬 와타리야구라의 복원, 말 출입구의 복원, 혼마루 다몬 야구라의 복원, 니노마루 정원의 보존 정비와 니노마루 어전 및 무코야시키의 복원 정비, 오테몬・동문, 우메고몬과 니노마루의 야구라의 복원 정비, 전시 수장 시설의 정비, 미소노 어문, 시미즈 어문, 히가시 어문의 복원 정비, 돌담 보수 등이다.[104][105]

메이지 유신 이후 1870년, 도쿠가와 요시카쓰는 신정부에 대해 나고야성의 파각과 금빛 샤치호코의 헌상을 신청했다. 금빛 샤치호코는 녹여서 무사의 귀농 수당이나 성지 정비 비용으로 충당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독일 공사 막스 폰 브란트와 일본 육군 제4국장 대리였던 나카무라 시게토오공병대좌의 호소에 의해, 1879년 12월, 야마가타 아리토모가 나고야성과 히메지성의 성곽 보존을 결정했다. 이때 천수는 혼마루 어전과 함께 보존되었다.

1872년 도쿄 진대 제3분영이 성내에 설치되었다. 1873년에 나고야 진대가 되었고, 1888년에 제3사단으로 개편되어 종전까지 이어졌다.

보존된 혼마루는 1891년, 노비 대지진으로 혼마루의 다몬 야구라 일부가 붕괴되었지만, 천수와 혼마루 어전은 큰 피해를 입지 않았다.

1893년 혼마루는 육군성에서 궁내성으로 이관되어 나고야 이궁이라고 칭했다.

1906년 나고야 이궁, 하루 동안 특별 공개했다.

1910년 소천수각, 구석 야구라에 구 에도성의 청동 샤치호코를 이전했다.

1923년 궁내성이 서남쪽 구석 야구라를 수리[108]했다.

1928년 쇼와 천황의 즉위례 대전이 교토 고쇼에서 거행됨에 따라, 어전 열차 (현소 승어차 포함)를 이용한 도쿄의 궁성 ~ 교토 간의 왕복 노선에서 쇼와 천황 및 고준 황후가 나고야에서 도중에 하차하여 숙박하기 위해, 나고야 이궁에 체재했다.[109]

1930년 이궁, 어용 저택의 정리 계획 속에서 나고야 이궁이 폐지되어, 궁내성에서 나고야시에 하사되었다.[110] 같은 1930년, 건조물 (24동)이 당시의 국보보존법에 기초하여 국보 (구 국보)로 지정되었다. 성곽으로는 국보 제1호[111] 혼마루 어전의 장벽화도 1942년 국보 (구 국보)로 지정[111]

1931년 나고야시는 나고야성을 시민에게 일반 공개했다.[108]

1937년 1월 7일, 천수각의 금 샤치호코의 비늘 58개가 도난당했다. 이 비늘의 금의 가격은 당시 가격으로 400000JPY 정도였다. 범인은 오사카의 귀금속점에 이 비늘을 매각하려다 발각되어 1월 28일에 경찰에 체포되었다.

1945년 2월, 도카이 군관구 사령부 및 제13방면군을 설치.

태평양 전쟁 때는 공습으로부터 금빛 샤치호코를 지키기 위해 지상으로 내리거나, 장벽화를 피난시키는 등 했지만, 1945년 5월 14일의 나고야 대공습으로, 혼마루 어전, 대천수, 소천수, 동북쪽 구석 야구라, 정문, 금빛 샤치호코 등이 소이탄의 직격탄을 맞아 소실되었다.

전후, 나고야시의 도시 계획에 의해 산노마루를 제외한 성터는 북동쪽에 있던 저습지 터와 함께 메이조 공원이 되었다. 원내에는 전화를 면한 3개의 망루와 3개의 문, 니노마루 정원의 일부가 보존되어, 일부 해자는 매립되는 등 개변되었지만, 토루, 해자, 문의 마스카타 등은 산노마루를 포함하여 비교적 잘 남아 있다. 천수는 지역 상점가의 노력과 전국에서 기부를 받아 1959년에 재건되었으며, 복원된 금빛 물고기와 함께 나고야시의 상징이 되었다. 천수에 이어 혼마루 어전의 복원이 계획되었지만, 자금난으로 중단도 검토되었다.

  • 1994년 5월 14일 - 시민 자원봉사 단체 "혼마루 어전 포럼"이 설립되었다.
  • 2002년 - 나고야시가 혼마루 어전 복원의 "나고야성 혼마루 어전 적립 기금" 기부 모집을 시작했다.
  • 2007년 - 혼마루 어전의 복원 공사를 문화청이 허가.
  • 2006년 4월 6일 - 재단법인일본성곽협회에 의해 일본 100명성 (44번)으로 선정되었다.
  • 2009년
  • 1월 19일 - 혼마루 어전 복원 공사에 착수.
  • 8월 10일 - 가와무라 다카시 시장은 정례 기자 회견에서, 나고야성 천수를 현재의 콘크리트 구조에서 목조로 다시 짓는 것을 본격적으로 검토한다고 발표했다. 계획 프로젝트 팀을 8월 24일에 발족시키고 2010년도 예산안에 조사비를 계상한다.
  • 2011년 - 서남쪽 망루와 옛 니노마루 동이노 문이 수리되었다.
  • 2013년 1월 4일 - 나고야시는, 2013년도부터 나고야성 천수를 현재의 철근 콘크리트제에서 본래의 목조로 다시 짓는 복원 사업에 착수한다고 발표했다. 지금까지 2010년도 예산안에 조사비 1500만을 계상하고, 2012년 3월에 시민 검토회를 개최했다. 복원 비용의 추산은 300억으로, 기부금을 포함하여 조달 방법을 검토한다.[113][114]
  • 2016년
  • 6월 27일 - 시장과 시의회가, 천수의 재건에 대해 완성 예정일을 2027년으로 합의했다.[115] 후에 준공 예정은 2022년으로 변경되었다. 공사비는 추산으로 약 500억[116]이지만 압축을 검토한다.[115]
  • 10월 12일 - 시장이 천수각은 내진 성능이 낮다며 입장을 금지할 의향을 보였다.[117][138]
  • 2017년 4월 24일 - 목조 복원의 찬반 등을 초점으로 한 시장 선거에서 가와무라 시장이 재선된다.

  • 2018년
  • 5월 7일 - 공사에 앞서 천수각의 입장을 금지한다.
  • 6월 8일 - 복원된 혼마루 어전의 일반 공개를 시작.
  • 2019년
  • 6월 21일 - 2022년 12월에 목조 천수각의 복원이 준공될 예정이었지만, 문화청의 문화 심의회에 자문했던 콘크리트제 현 천수의 해체 신청이 허가되지 않아 계속 심의가 되어 나고야시는 공사 기간을 재검토할 방침을 보였다.[118]
  • 8월 29일 - 시장의 가와무라는, 예정했던 2022년 말의 복원 천수각 완성을 포기한다고 발표했다.[158]
  • 2023년 3월 - 나고야시는 목조 천수각의 공사 기간을 재검토하여, 구체적인 완성 시기를 최단으로 2032년 (레이와 14)도 무렵이 될 전망을 처음으로 공표했다. 이것은 향후 공사의 착수에 필요한 절차와, 그 후의 공사가 예상대로 진행된 경우로서의 목표이기 때문에, 약간의 오차가 생길 우려도 있다.[119]


중의원 의원가와무라 다카시는 2009년 나고야 시장에 취임하자 나고야성의 목조 복원화를 주장하기 시작했다.[133]

전후 재건은 당시 소방법 규정으로 목조 복원이 불가능했지만, 화염 감지기 등 방화 설비를 갖추고 목재를 난연 가공하는 기술 개발 등으로 목조 복원이 가능해졌다. 1994년 가케가와성의 천수가 목조 복원되었고, 나고야성에서도 혼마루 어전이 목조 복원되었다.

당시, 가와무라 시장은 리먼 쇼크의 영향으로 시 재정적인 예산 문제 등으로 혼마루 어전의 복원에 난색을 표하며, 일단 복원 중지도 검토했지만, 시민들이 끝까지 혼마루 어전의 완성을 원했기 때문에 중지 검토를 중단하고, 혼마루 어전과 마찬가지로 천수에도 도면 자료가 있고, 사상·충실하게 목조로 복원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게 된 가와무라 시장은 혼마루 어전뿐만 아니라 천수의 목조 복원에도 의욕을 보였다.

시장의 목조 복원화 계획을, 과거에는 가와무라 시장의 심복이었으며 시장 선거의 뒷무대에도 적극적으로 관여했던 행정학자 후방 유나고야 대학 교수는 "영향력이 저하된 가와무라 시장이 주목을 받기 위한 소재 중 하나에 불과하며, 문화청에 신청도 되지 않은 무리한 계획으로, 의회를 꺾을 힘도 없다"라고 비판했다. 반면 성곽 사학자 미우라 마사유키히로시마 대학 교수는 "나고야성은 자료가 풍부하게 남아 있는 귀중한 성으로, 목조 복원은 외국인에게 어필할 수 있다"[134]라고 했고, 경제학자 우치다 토시히로주쿄 대학 객원 교수는 "성은 외국인관광객이 방문하는 경우가 많은 장소로, 목조화는 외국인 관광객에게 상당한 임팩트를 줄 것으로 예상된다"[135]라고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2010년대에 철근 콘크리트제 천수각의 내진성이 현행 건축 기준법에 부적합한 것 외에 노후화가 문제가 되어[116], 재건 검토가 시작되었다. 2013년에 목조 재건의 방침이 제시되었고[113][114], 2016년에 2027년 완성을 목표로 재건을 실시한다는 방침이 나고야시에서 제시되었다[115]2016년 시점에서는 재건에 드는 총 공사비는 500억으로 추산되었다[115][116]

당시, 가와무라 다카시 시장은 도쿄 올림픽이 개최되는 2020년 7월의 목조 복원 완성을 강력하게 주장했지만, 나고야시 의회의 최대 파벌인 자유민주당을 중심으로 한 시의회 측의 반대로 목조 복원 관련 예산안이 가결되지 못했다. 그러나, 시가 2016년 5월에 실시한 시민 2만 명을 대상으로 한 목조 복원에 관한 시민 설문 조사에서는 약 60%가 목조 복원에 찬성했다. 시와 대립하는 시의회 측은 가와무라 다카시 시장이 목표로 했던 2020년 7월의 목조 복원을 완성한다는 계획에는 시민 설문 조사에서 찬성한 것이 약 20% 정도였던 것을 포함하여 시의 완성 시기 계획에 반대하며, 리니어 개업인 2027년의 목조 복원 완성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2016년 6월 시의회에서 시는 복원을 위한 약 10억의 보정 예산안을 제출했지만, 동 위원회에서 "시간을 들여 논의해야 할 이야기로, 졸속"이라며 주요 파벌이 반발했다.

장애인 단체의 요구에 따라 다케나카 공무점은 당초,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목조 천수 안도 생각하고 있었다. 그 안은 4인승의 소형을 천수 내부에 설치하는 안, 11인승의 대형을 천수 내부에 설치하는 안, 외부에 설치하는 3가지 안이었다. 내부에 대형 엘리베이터를 설치하는 안은, 수십 개의 기둥과 들보를 제거할 필요가 있어 충실한 복원이 불가능해지는 문제, 기둥과 들보의 강도가 저하되어 보강용 철골 설치가 필요한 문제, 목조 천수의 구조상 3층까지밖에 갈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외부에 대형 엘리베이터를 설치하는 안도, 경관상 좋지 않은 영향과 유구를 훼손하지 않는 기초 구조로 하기 위해 도달 층

3. 4. 혼마루의 망루, 문



혼마루는 대부분 정사각형 형태로, 북서쪽 구석에 천수가 있고, 그 밖의 3곳의 구석진 부분에는 스미 망루(隅櫓)가 있다. 문은 남쪽에 정문인 미나미 문(南御門), 동쪽에는 히가시 문(東御門), 북쪽에는 아카즈 문(不明御門)이 있다. 그리고, 다몬 망루(多聞櫓)가 혼마루 주위를 둘러싸고 있다.

스미 망루는 모두 2층 3계의 구조로, 그 규모는 다른 지역의 천수와 비교될 만하다. 외관도 각각 달라서, 외관 디자인에 신경을 썼던 것으로 보인다. 현존하는 망루는 남동쪽의 도난 망루(東南隅櫓), 남서쪽의 세이난 망루(西南隅櫓)이며, 북동쪽의 도호쿠 망루(東北隅櫓)는 전화로 소실되어 망루대만 남아 있다.

미나미 문과 히가시 문은 마스가타를 가진 2중 성문 구조를 채용했다. 아카즈 문은 암문(闇門)[207] 형식의 비상구였다. 하지만, 불행히도 전화로 소실되었다. 현존하는 성문은 미나미 니노 문(南二之門: 미나미 문의 두 번째 문)이다.

다몬 망루는 간단한 성벽이 아니라, 하나의 연결된 망루라고 생각하면 된다. 이점에서 기존의 스미 망루와 다른 점이다. 스미 망루는 점의 형태로 방어를 하지만, 다몬 망루는 선의 형태로 방어를 하기 때문이다. 다몬 망루는 내부에 병장기를 보관하거나 비상식량을 수납했다. 안타깝게도 노비 지진 때 모두 파손되거나, 철거되었다.

이 망루들은 평시에는 무기와 갑옷을 보관하고, 비상시에는 공격 거점 역할을 했다. 성곽 모서리에 세워 전략적 망루 역할을 했기 때문에 모서리 망루라고도 불린다. 나고야성은 원래 최소 11개의 모서리 망루를 가지고 있었다. 혼마루에는 동남쪽, 서남쪽, 북서쪽 모서리 망루 3개가 남아 있으며, 중요 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이 망루들은 바닥에 덮개가 달린 틈새를 가지고 있는데, 이 구멍들은 "돌 미끄럼틀"이라고 불렸지만 단순히 돌을 떨어뜨리는 용도는 아니었다. 총을 더 넓은 지역으로 아래를 향해 발사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고, 외부에서 위치를 알아볼 수 없도록 만들어졌다. 혼마루의 동남쪽 및 서남쪽 모서리 망루에는 2층 돌출창이 설치되어 있다.

건축학적으로 이 망루는 두 개의 지붕을 가지고 있어 2층 건물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3층 구조(二重三階, 니주-산카이)이다. 1층과 2층은 크기가 같고, 3층은 한 변이 2 (3.6미터) 작다. 태평양 전쟁 중 소실된 북동쪽 모서리 망루도 돌출창(出窓, 데-마도)의 디자인이 다르다는 점을 제외하면 유사한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세이난 망루(西南隅櫓, ''Seinan-sumi Yagura'')[30]는 십이지에서 염소와 원숭이에 해당하는 방위에 위치해 있어 "히츠지사루(未申) 망루"라고도 불린다. 3층 건물에 2층 지붕으로 이루어져 있다. 서쪽과 남쪽 면에는 낮은 층 지붕 아래로 함정 문이 돌출되어 있는데, 이는 성을 방어하기 위해 공격자에게 돌을 떨어뜨리도록 설계되었다. 일본 황실 문장인 국화 문장이 지붕 용마루 끝 타일에 새겨져 있다.[15]

이 탑과 석벽은 1891년 노비 지진으로 손상되었으며, 1923년 황실의 지시로 복구되었다. 중요 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타츠미" 망루라고 불리는 도난 망루(東南隅櫓 ''Tōnan-sumi Yagura'')는 2층 구조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3층 구조이다. 진흙 벽에 칠해진 흰색 코팅은 건물을 방수 및 방화 기능을 갖게 했다. 도난 망루는 세이난 망루와 유사하다. 이 건물은 원래 도쿠가와가 설계한 방식을 따른다. 도쿠가와 가문의 문장인 고케 문양이 지붕의 마루 끝 타일에 새겨져 있다. 이 망루는 중요 문화재로 지정되었다.[15]

나고야성의 많은 문들은 사각형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석벽에는 성의 방어 능력을 과시하기 위해 여러 개의 큰 돌이 포함되어 있다.

미나미 니노몬(本丸南二之門)은 니시노마루에서 내부 혼마루로 이어지는 외부 구조이다. 이 문은 튼튼한 목재 기둥과 두꺼운 강철판으로 덮인 가로대를 가지고 있다. 문의 양쪽에는 방화 석고 벽의 희귀한 사례가 있다. 박공형 타일 지붕을 가지고 있으며, 문은 보강을 위해 격자 구조로 되어 있다.

미나미 이치노몬(本丸南一之門)은 망루 문(櫓門, 야구라 몬)이었다. 바비칸 망루가 북쪽과 서쪽의 석벽 위에 건설되었다. 이 구조는 공격하는 적군에게 세 방향에서 화살을 발사할 수 있게 했다. 미나미 이치노몬과 더 작은 미나미 니노몬은 바비칸과 함께 '마스-가타 코구치'(枡形虎ロ)라고 불리는 사각형 벽으로 둘러싸인 성문 구조를 형성했다. 첫 번째 문 앞 부분 아래의 벽 부분은 나무 타일로 덮여 있었고, 문 자체는 철판으로 덮여 있었다. 두 번째 층의 기계에서 돌을 떨어뜨릴 수 있었다.

전체 문 구조는 1612년경에 건설되었다. 바비칸 망루는 1891년 지진으로 손상되었고, 이후 완전히 제거되었다. 상세한 측량 및 건축 도면은 쇼와 시대 초기에 만들어졌다.[31] 첫 번째 문은 1945년 공습으로 불에 타 석조 기반과 더 작은 두 번째 문만 남았다. 두 번째 문은 원래 상태로 남아있어 중요 문화재로 지정되었다.[15]

히가시 문은 배치와 외관에서 남문과 유사한 구조였다. 니노마루에서 혼마루로 이어지는 곳에 위치해 있었다. 이 또한 1612년경에 건설되었다. 히가시 이치노몬은 오른쪽에 있는 작고 바깥쪽에 위치한 두 번째 문과 함께 사각형을 이루는 튼튼한 문이었다. 작은 문과 함께 박공 형태의 기와 지붕도 있었다. 사각형의 길이를 이루는 보루는 1891년 지진으로 심하게 손상된 후 철거되었다. 나머지 구조물은 1945년 공습으로 파괴되었다.

히가시 문에는 벽에 설치된 매우 큰 돌이 있다. 전설에 따르면, 장군이자 성 기술자인 가토 기요마사가 이 큰 돌을 성으로 운반했다고 한다.[15] 그러나 이 성의 기초 부분은 구로다 나가마사에 의해 건설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석벽을 건설하라는 명령을 받은 영주들은 다른 영주들의 돌과 구별하기 위해 돌에 자신의 표시를 새겼다.

도호쿠 망루(東北隅櫓 ''Tōhoku-sumi Yagura'')는 십이지 방위에 따라 '우시토라'(丑寅) 망루라고도 불리며, 2층 구조였다. 히가시 문 근처에 위치해 있었다. 흙벽에 칠해진 흰색 코팅은 구조물을 방수 및 방화 기능하게 했다. 도호쿠 망루는 도난 망루 및 세이난 망루와 유사했으며, 돌출된 창문(出窓 ''de-mado'')의 디자인이 다르다는 점을 제외하면 구조도 비슷했다. 태평양 전쟁 중 파괴되었다.

혼마루는 북서쪽 모퉁이에 천수각이 있고, 나머지 세 모퉁이에는 스미야구라(隅櫓)가 설치되었으며, 다몬 야구라(多聞櫓)가 혼마루의 외주를 둘러싸고 있었다. 문은 남쪽에 남어문(표문), 동쪽에 동어문(카라메테몬), 북쪽에 불명(아카즈)어문의 3개가 있었다. 대부분의 야구라와 담장은 흰 회반죽을 칠한 벽면이었지만, 혼마루의 북면만은 시타미이타가 덧대어져 있었다.

남어문·동어문은 해자 안쪽에 고라이몬과 야구라몬의 이중 성문으로 구성된 마스카타몬[120]이 있었고, 해자 바깥쪽에는 오테 우마다시와 카라메테 우마다시의 큰 우마다시를 갖추고 입구를 이중 삼중으로 굳게 지켰다. 바깥 곽에서 우마다시를 거쳐 혼마루로 들어가는 경우, 다음 경로를 거치도록 되어 있다.

# 우마다시로 가는 토교를 건너 돌담에 부딪혀 옆으로 꺾이고,

# 혼마루를 등지고 우마다시의 문을 통과하고,

# 우마다시 안에서 U턴하듯 나아가 혼마루로 가는 토교를 건너고,

# 이노몬(고라이몬)을 지나 마스카타로 들어가 옆으로 꺾이고,

# 이치노몬(야구라몬·총 철판 덮개)을 통과한다.

오테 우마다시는 삼면을 다몬 야구라로 구성하고 있는 반면, 카라메테 우마다시는 초기 계획에서는 남쪽과 서쪽을 다몬 야구라가 돌고, 북동쪽에 스미야구라대가 있지만, 결국 담장조차 없는 미완의 상태였다. 현재 오테 우마다시의 서쪽 면은 매립되어 평지가 되었고, 카라메테 우마다시는 석축 수복 공사가 진행 중이다.

현재, 문은 표니노몬(남니노몬)만이 현존한다. 불명어문은 우즈미몬 형식이었지만, 전쟁으로 소실되었다.

스미야구라는 총 2층 3계 건물로, 다른 성의 천수각에 필적하는 규모이다. 외관은 각각 의장을 달리하여 외관을 중시한 설계이다. 남동쪽의 타츠미 스미야구라, 남서쪽의 히츠지사루 스미야구라가 현존하고, 북동쪽의 우시토라 스미야구라는 전쟁으로 잃고 야구라대만 남았다. 다몬 야구라는 노비 지진으로 모두 파손되어 철거되어 현존하지 않지만, 깊이는 5미터 정도로, 내부에 무구류나 비상 식량을 수납하는 등 충분한 방어 능력이 있었다.

현재, 해자로 된 혼마루를 둘러싼 내호에는 사슴이 방목되고 있다.

3. 5. 혼마루 어전



평상시 성주가 거처하는 어전이었으나, 1620년 쇼군 상경 시에 황족이나 쇼군, 고위 관료 전용 거처로 결정되면서 이후 번주는 니노마루에서 기거하였다. 실제로 혼마루 어전을 사용했던 쇼군은 도쿠가와 히데타다도쿠가와 이에미쓰뿐이었다. 그 후에는 전혀 사용되지 않고 경비와 관리만 이루어졌다.

황족, 고위 관료, 쇼군 전용이었기 때문에 혼마루 어전은 니조 성에 필적할 만큼 호화로운 건물로 알려져 있다. 미나미 문으로 들어서면 입구인 시키다이(式台)[208]가 있고, 그 안쪽에 현관이 지어져 있다. 그 밖에도 히로마(広間)[209], 번주의 침실이 있는 쇼인(書院), 부엌인 가미다이도코로(上台所)와 시모다이도코로(下台所) 등의 건물이 나란히 지어져 있으며, 각종 창고와 반쇼(番所)[210]도 있었다.

이 건물들은 모두 태평양 전쟁에서 소실되었지만, 내부에 있던 장벽화 일부는 스미 망루 등에 보관되어 있었기 때문에 무사했다. 장벽화는 중요문화재로 지정되었으며, 오랜 복원 공사를 마치고 2018년 6월 완전히 개방되었다.

3. 6. 니노마루

니노마루는 혼마루 남동쪽에 위치하며, 그 면적은 혼마루, 니시노마루, 오후케마루를 합친 것과 맞먹는다. 성이 건축될 당시 번주는 혼마루에 거주했고, 니노마루에는 쇼군의 거처로 고자쇼(御座所)가 건립되었다. 도쿠가와 이에야스와 초기 쇼군 히데타다는 상경이나 오사카 전투 때 이곳에 머물렀다. 그러나 혼마루 어전이 쇼군 전용이 되면서, 니노마루에 있던 히라이와 지카요시의 저택을 개수하여 1618년 니노마루 어전으로 삼았다. 이후 니노마루 어전은 오시로(御城)로 불리며 번주의 거처 및 오와리 번의 번청 기능을 담당했다.[211]

니노마루의 방어 시설로는 북동, 남서, 남동쪽에 L자형 스미 망루를 세웠고, 남쪽 변 중앙에 다이코 망루(太鼓櫓)가 있었다. 북쪽 변과 북서쪽에는 방어 시설로 보기 어려운 누각을 배치했는데, 이는 니노마루 정원에서 보이는 경관을 고려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서쪽과 동쪽에는 구로가네 문(鉄御門)을 배치했으며, 이 문도 2중 문으로 되어 있고 다몬 망루가 감싸고 있다. 니노마루 주위는 토담으로 막혀 있었다.

니노마루 어전의 정문은 남쪽에 있는 구로 문(黒御門)이며, 가까이에 아카즈 문, 서쪽에는 구자쿠 문(孔雀御門), 히가시쿠로가네 문 가까이에는 조추 문(女中門)과 메시아와세 문(召合門), 나이쇼 문(内証門), 후조 문(不浄門), 혼마루 히가시 문 우마다시 부근에는 암문이 설치되어 있었다. 어전 남쪽 면에서 히가시쿠로가네 문까지 다몬이 서 있었고, 서쪽 면과 동쪽 면에는 토담이 둘러쳐져 있었다.

구로 어문으로 들어서면 정면과 서쪽에 오모테 어전, 그 안쪽에는 나카오쿠 어전과 오쿠 어전, 구로 어문 동쪽에는 오오쿠 어전, 그 안쪽에는 더 넓은 니노마루 정원이 있었다. 이 니노마루 정원은 번주 전용 정원으로 성곽 내부에 있는 정원으로는 규모 면에서 손꼽히는 정원이었다. 초기에는 중국풍 정원이었지만, 이후 순 일본식 회유식 정원으로 바뀌었다.

니노마루 어전은 니노마루 북쪽에 위치했고, 남쪽에는 승마장이 있었다. 현재 승마장 터에는 아이치 현 체육관이 들어서 있다.

현존하는 것은 동, 서에 각각 구로가네 문의 두 번째 문인 구로가네 니노 문(鉄御門二之門)이 2동 있지만, 동쪽에 있는 히가시쿠로가네 니노 문(동쪽 구로가네 문의 두 번째 문)은 혼마루의 히가시 니노 문터(동문의 두 번째 문)터에 이축되었다. 그 밖에도 니노마루 내 건물은 모두 철거되었지만, 현재 정원의 일부로 복원 정비되고 있다. 또, 니노마루에는 현재 나고야 성의 전신이라 할 수 있는 나고야 성(那古野城)이 있었고, 이를 알리는 석비가 있다. 덧붙여 옛 나고야 성은 오다 노부나가의 첫 번째 거성이었다고 알려져 있다.

3. 7. 니시노마루

나고야성 니시노마루는 정문 부근에 위치한다. 남쪽에는 에노키다 문(榎多御門)이 있으며, 마스가타(桝形)[205]와 2중 성문 구조로 되어 있다. 이 문은 산노마루와 연결되어 있다. 남쪽 면은 다몬 망루(多聞櫓)가 설치되어 있고, 그 밖의 주변은 토담으로 둘러싸여 있다. 남서쪽 구석에는 고간조 다몬 망루, 서쪽 면 중앙에는 쓰키미 망루(달맞이 망루)가 세워져 있다. 성곽 안에는 많은 미곡 창고가 건설되어 보급 기지로서의 성격이 강했다.

메이지 시대에 니시노마루에 있던 구조물은 모두 철거되었고, 1910년(메이지 43년)에 에도성의 하스이케 문(蓮池門)을 옮겨와 세이몬(正門: 정문)이라고 이름을 바꾸었다. 안타깝게도 태평양 전쟁 때 소실되었다. 현재 세이몬은 복원된 것이다. 현재 니시노마루에는 나고야 성 관리사무소와 천연기념물비자나무가 자라고 있다.

3. 8. 오후케마루

혼마루의 북서쪽에 위치해 있으며, 혼마루와는 아카즈 문으로 연결되어 있고, 혼마루 북쪽의 오시오구라가마에(御塩蔵構: 소금 창고) 터 및 니시노마루와도 좁은 통로로 연결되어 있었다.

망루는 북서쪽과 북동쪽 부근에 2동이 있었고, 그중 북서쪽에 있는 세이호쿠 망루가 현존한다. 세이호쿠 망루는 3층 3계 구조로, 히로사키성 천수 및 마루가메성 천수보다 규모가 크다. 1611년 기요스성의 소천수를 이축했다고 전해져 기요스 망루라고도 불린다. 실제 해체 수리 시 이축한 흔적이 발견되어, 기요스 성의 소천수일 가능성이 크다.

혼마루의 후방을 담당하는 성곽으로, 당초 성곽 외측을 모두 다몬 망루로 지을 예정이었으나, 도중에 계획이 변경되어 망루 이외에는 토담만 쌓았다. 이는 겐나엔부(元和偃武)에 따라 공사가 중단되었기 때문이다. 이 성곽 안에는 각종 창고가 지어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오후케마루에는 메이지 시대 초기에 노기 창고(乃木倉庫)라고 불리는 옛 일본 제국 육군의 탄약고가 지어졌다. 이 탄약고는 오후케마루에 현존한다. 이 건물의 벽돌은 나고야 시내에서 가장 오래된 벽돌 건물로, 태평양 전쟁 중에는 혼마루 어전의 장벽화 등이 이곳에 보관되었다. 노기 마레스케가 나고야 진다이에 근무할 때 지어져 노기 창고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전해진다. 1997년 국가 등록유형문화재로 등록되었다.

그 밖에 오후케마루 동쪽에는 천수 재건 공사 때 철거된 천수각 초석들이 놓여 있으며, 나고야 대공습 때 불에 그을린 자국도 볼 수 있다.

3. 9. 산노마루

산노마루는 현재 나고야시 나카구 산노마루 1정목(一丁目) ~ 4정목(四丁目)까지의 지역과 거의 일치한다. 성곽 내에는 중신들의 저택과 각종 신사가 건립되었다. 문은 5개였으며, 서쪽에는 암문(闇門)인 하바시다 문(巾下御門), 남쪽 면의 서쪽에는 미조노 문(御園御門), 남쪽 면 중앙에는 혼초 문(本町御門), 동쪽에는 히가시 문, 북쪽 면 니노마루에는 시미즈 문(清水御門)이 있었다. 각각 마스가타를 가지고 있었다.[82][83] 단, 문이 있는 주변은 석벽으로 이루어졌지만, 그 외에는 흙으로 되어있다.

산노마루에 있던 구조물은 모두 철거되었지만, 이치노미야시 묘코지의 정문인 소몬(総門)은 시미즈 문을 이축한 것이다. 나고야 도쇼궁은 산노마루 남쪽(나고야 시 나카 구 마루노우치)으로 이축되었고, 덴노 신사는 나고야 신사(那古野神社)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메이지 시대 이후 관청가로 변모하였으며, 나고야성의 바깥 해자 일부는 메이지 후기 ~ 쇼와 후기에 걸쳐 메이테츠 세토선의 선로가 놓였다.

현재 산노마루에는 아이치현청, 나고야 시청, 아이치 현 경찰 본부, 각종 청사가 건립되어 아이치현의 행정 중심 지역이 되었다.

4. 나고야 성의 긴샤치



나고야성 최상층 지붕 양쪽 끝에는 두 개의 금색 ''샤치''(金鯱, ''킨샤치'')가 있다. 일본 신화에 등장하는 ''샤치''는 호랑이 머리를 한 돌고래잉어로, 비를 다스리는 존재로 여겨진다. 따라서 전통적인 일본 건축에서 부적으로서 방화를 위해 사용되었으며, 영주의 권위를 상징하는 역할도 했다.

원래의 ''샤치''는 나무 블록 위에 납판을 덮고, 그 위에 구리를 얹은 후 금박을 입혀 만들었다. 게이초 시대의 동전으로 환산하면 사용된 금의 양이 17,975 ''료''에 달한다고 한다. 금색 ''샤치''의 핵심은 히노키 사이프러스로 구성되어 있으며, 원래 기초는 ''사와라'' 사이프러스였다.

에도 시대에는 오와리 번이 심각한 경제적 어려움을 겪으면서 금색 ''샤치''가 세 번이나 녹여져 다시 주조되었다. 1827년(분세이 10년)에 ''샤치''를 다시 주조했을 때 금의 순도가 크게 떨어졌다. 금속의 광택이 떨어진 것을 감추기 위해 교호 시대(1715-1735)에는 ''샤치'' 주변에 설치된 보호용 새 스크린의 메쉬 구멍이 더 작게 만들어졌다.

메이지 유신 이후, 낡은 방식을 버리는 추세 속에서 성을 해체하려는 계획이 세워졌다. 이 시기에 금색 ''샤치''는 오와리 지부에 의해 황실에 기증되었다. 1871년(메이지 4년)에 본관에서 철거되어 아쓰타 항에서 도쿄로 이송되었다. 1872년(메이지 5년) 3월, 수컷 ''샤치''는 도쿄 국립 박물관의 창립 행사로 여겨지는 유시마 세이도 박람회에서 도쿄에 전시되었다. 이후 이시카와, 오이타, 에히메, 나고야에서 열린 지역 박람회에도 전시되었다. 암컷 ''샤치''는 1873년 빈 만국 박람회에 전시되었다. 이후 성을 보존하기로 결정되면서 ''샤치''를 반환하려는 움직임이 시작되었다. 1878년(메이지 11년)에 금색 ''샤치''는 나고야로 반환되어 다음 해 2월에 원래 위치로 복원되었다.

이후 1937년(쇼와 12년)에 성 제국 기증 기념 위원회의 검사 중에 한 도둑이 비계를 타고 올라가 금색 비늘을 훔치는 사건이 발생했다. 그는 나중에 오사카에서 붙잡혔다. 메이지 시대 이후 금색 ''샤치''는 세 번이나 도난당했다.

''샤치''는 태평양 전쟁 중 화재로 파괴되었다. 2대 금색 ''샤치''는 오사카 조폐국에서 주조되어 1959년(쇼와 39년) 3월에 성으로 운송되었다. 두 ''킨샤치''는 1984년(쇼와 59년) 9월 나고야성 전시회를 위해 잠시 성에서 내려와 성 부지에 전시되었으며, 2005년 엑스포 부지에서도 전시되었다. 같은 해 7월 9일, 성 지붕의 상부 빔으로 복원되었다.

수컷과 암컷 ''샤치''는 COVID-19 팬데믹 기간 중 전시를 위해 2021년 3월 8일 헬리콥터로 다시 내려졌다.[33]

북쪽 ''킨샤치''는 수컷으로, 높이는 2.621m, 무게는 1272kg(이 중 금이 44.69kg), 비늘은 112개이다. 남쪽 ''킨샤치''는 암컷으로, 높이는 2.579m, 무게는 1215kg(이 중 금이 43.39kg), 비늘은 126개이다. 두 ''샤치'' 모두 두께 0.15mm의 18-캐럿 금판으로 덮여 있다.

4. 1. 긴샤치에 관한 에피소드

금망이 쳐진 긴샤치


나고야성 천수각 지붕 양쪽 끝에는 한 쌍의 금색 샤치(金鯱, 긴샤치)가 있다. 일본 신화에 등장하는 샤치는 호랑이 머리를 한 돌고래잉어로, 비를 다스리는 존재로 여겨진다. 전통적인 일본 건축에서 부적으로 방화를 위해 사용되었으며, 영주의 권위를 상징하기도 했다.

  • 제작 및 재료: 처음 만들어진 긴샤치는 게이초 오반(1분당 금이 약 671/1000) 1940분의 금을 사용했다. 두 긴샤치의 금 중량은 약 320kg이다. 나무 블록 위에 납판을 덮고, 그 위에 구리를 얹은 후, 금화를 얇게 두드려 만든 금박을 입혔다. 게이초 시대의 동전으로 환산하면 사용된 금의 양이 17,975 료 (태일)에 달한다고 한다. 금색 샤치의 핵심은 히노키 사이프러스로 구성되어 있으며, 원래 기초는 ''사와라'' 사이프러스였다.[212]

  • 개수: 오와리 번의 재정 악화로 인해 3회(1730년, 1827년, 1846년)에 걸쳐 금박을 개수하여 금 순도를 낮췄다. 광택이 둔해지자 이를 감추기 위해 긴샤치 주위에 금망을 둘러 위장했다. 이는 표면상 새의 접근을 막기 위한 것이라고 한다. 전화(戰禍)로 소실되기 전까지 긴샤치에 금망이 쳐져 있었다.

  • 헌납 및 전시: 1871년 정부에 헌상되어 도쿄 궁내성에 납입되었다. 수컷 샤치호코는 국내 박람회를 돌았고, 암컷 샤치호코는 1873년 만국박람회에 출품되었다. 긴샤치가 대천수로 돌아온 것은 1879년 2월이었다.

  • 도난 사건: 긴샤치의 비늘 도난 사건은 여러 번 일어났다. 에도 시대 큰 연을 이용해 긴샤치에 접근한 가키노기 긴스케의 전설이 유명하지만, 긴스케는 실제 도둑이다. 메이지 시대 이후에는 4번 도난 사건이 발생했고, 범인은 훔친 비늘을 녹여 매각하려다 체포되었다.


사건 발생 시기사건 내용
1871년 (메이지 4년) 3월폐번치현 이후, 궁내청에 헌상할 때 비늘 3개가 도난당했다. 범인인 육군 나고야 분영 번병은 총살형에 처해졌다.
1876년 (메이지 9년) 4월도쿄 박물관 보관 중에 도난당했다. 범인은 징역 10년형을 받았다.
1878년 (메이지 11년)복원 작업 중에 도난당했다. 범인은 육군 병졸로 알려졌으며 군의 기밀로 처리되어 자세한 내용은 불명이다.
1937년 (쇼와 12년) 1월 6일나고야성 하사 기념 사업으로 실측 조사 중이던 1월 6일 아침, 나고야시 건축국 기사가 수컷 몸통의 금 비늘 110개 중 58개가 도난당한 것을 발견했다. 아이치현 형사과는 보도를 전면 금지하고 전국 지명 수배를 내렸다. 하사 기념 사업 중이었기 때문에 당시 나고야 시장이 책임을 지고 사임하는 사태가 벌어졌다. 같은 달 27일, 금으로 만든 물고기 조각 매각 현장에서 범인이 체포되어 징역 10년형을 받았다.


  • 소실 및 잔해 처리: 태평양 전쟁1945년 나고야 대공습으로 소실되었다. 잔해는 전후 연합군 사령부에 접수되었고, 후에 대장성(재무부)으로 이관되었지만, 1967년 나고야 시로 반환되었다. 나고야 시는 잔해를 녹여, 나고야 시 깃발의 관두와 금 다관으로 가공해 보존하고 있다.

  • 현재의 긴샤치: 현재 긴샤치는 오사카 조폐국에서 복원한 것으로 두 긴샤치의 금 사용량은 약 88kg이다. 수컷 샤치호코(북측)에 44.7kg, 암컷 샤치호코(남측) 43.4kg을 사용했다.[212] COVID-19 팬데믹 기간 중 전시를 위해 2021년 3월 8일 헬리콥터로 다시 내려졌다.[33]

  • 기타:
  • 북쪽 긴샤치는 수컷으로, 높이는 2.621m, 무게는 1272kg (이 중 금이 44.69kg), 비늘은 112개이다.
  • 남쪽 긴샤치는 암컷으로, 높이는 2.579m, 무게는 1215kg (이 중 금이 43.39kg), 비늘은 126개이다.
  • 두 샤치 모두 두께 0.15mm의 18-캐럿 금판으로 덮여 있다.
  • 스탬프 제조사인 샤치하타(본사는 아이치현 나고야시 니시구)도 이것을 유래로 한다.
  • 1936년부터 1940년까지 존재했던 프로 야구 구단에 나고야 킨코 군이 있었고, 현재는 J리그 클럽에 나고야 그램퍼스 (grampus는 광의로 범고래를 가리킴)가 있다. 또한 나고야 대학미식축구부 별명도 "그램퍼스"를 칭한다.
  • 나고야시 교통국 마스코트캐릭터 "핫치"도 금색 물고기를 모델로 하고 있다.
  • 1986년부터 2000년에는 나고야항 유람선에서도 금색 물고기를 본뜬 배가 사용되었으며, "'''킨코'''"(금색 물고기)라고 불렸다. "킨코"는 2종류가 존재했다.
  • 주쿄 경마장에서는 킨코 상이 개최된다.
  • 나고야 우유 샤치 마크의 우유.
  • 파칭코 기기 "나고스로 킨코다 가네"
  • "긴장해서 굳어진다"는 의미의 "샤치호코바루("샤쵸코바루" 혹은 "샤치코바루"라고도 함)"의 어원. 성의 금색 물고기를 본 여행자가, 험악한 모습을 비유하는 말로 퍼진 것이 전해진 것.
  • 오버클러킹 경기를 하는 TEAM SHACHI-HOKO. 아이치 중심의 팀.
  • 나고야 로컬 아이돌 팀 샤치호코 (TEAM SHACHI). 멤버도 모두 나고야 거주이다.
  • 나고야시 모리야마구 모리야마 주둔지에 사령부를 둔, 육상자위대 제10사단 애칭, 킨코 사단.
  • 메이기렌 조합 전통 예능 "금의 샤치".
  • 나고야 기념품이나 일부 음식점에서 제공되는 식사에서 볼 수 있다. 과거 JR 도카이 푸드 서비스가 제공했던 "샤치본"이나 나고야 명물 새우튀김을 금색 물고기로 비유한 요리 등.
  • 나고야시에 있는 맨홀 뚜껑에도 금색 물고기가 디자인된 것이 존재한다.
  • 황금 샤치 전설 그란스피어 주인공이 변신하는 히어로의 디자인.

4. 2. 긴샤치의 외부시설 전시



1612년(게이초 17년) 나고야성 천수 준공 당시 금빛 물고기는 한 쌍으로, 게이초 오반 1940장 분, 순금 215.3kg이 사용되었다고 한다. 높이는 약 2.74m였다.

그러나 잉어 비늘은 번 재정 악화로 1730년(교호 15년), 1827년(분세이 10년), 1846년(고카 3년) 세 차례에 걸쳐 금판 개주를 실시, 금 순도를 낮췄다. 광택이 둔해지자 금빛 물고기 주위에 철망을 쳐 위장했는데, 이는 도난 방지 및 새를 피하기 위한 목적도 있었으며 전쟁으로 소실될 때까지 설치되었다. 1871년(메이지 4년) 정부에 헌납되어 도쿄 궁내성에 납입되었다. 이후 1872년(메이지 5년) 유시마 성당 박람회에 출품, 수컷 잉어는 이시카와·오이타·에히메 등 박람회에 출품, 암컷 잉어는 1873년(메이지 6년) 빈 만국 박람회에 출품된 후, 1879년(메이지 12년) 2월 암수 금빛 물고기가 대천수로 돌아왔다.

1937년(쇼와 12년) 도난 당시 아이치현 경찰과 나고야시가 비늘을 감정했는데, 구리 위에 종이보다 얇은 금박을 붙인 것으로, 비늘에 따라 엽서 두 장 정도 두께도 있었지만 순금분은 매우 적었다.[178]

도쿠가와 금빛 물고기 중 가장 오래 현존했지만, 1945년(쇼와 20년) 나고야 대공습으로 소실되었다. 잔해는 전후 GHQ에 접수, 대장성으로 옮겨졌다가 1967년(쇼와 42년) 나고야시에 반환되었다. 나고야시는 잔해에서 금을 추출, 시 깃발 관두와 금 다관으로 가공해 보존하고 있다.

현재 금빛 물고기는 복원된 것으로, 재건 천수 건조 때 망치 금속사였던 오사카 조폐국 직원 손에 제조되었다. 한 쌍에 사용된 금 무게는 88kg이다. 현재 잉어 크기는 수컷 2.62m, 암컷 2.57m이다.

2005년(헤이세이 17년) 3월 24일 개막한 아이치 엑스포 개회식에서 나고야성 금빛 물고기가 전시되었다. 나고야성 박람회 개최로 천수에서 지상으로 내려와 명성 공원 내 박물관에 전시된 적은 있었지만(이번은 아이치 엑스포에 맞춰 개최된 신세기 나고야성 박람회 전시), 외부 시설 전시는 1959년(쇼와 34년) 재건 이후 처음이었다.

전날인 3월 23일에는 나고야 시내 16개 구를 수컷과 암컷으로 나누어 돌며 시민에게 공개했고, 나카구 사카에에서는 두 개를 함께 퍼레이드했다.

당시 공개된 각 구의 장소는 다음과 같다.

성별공개 장소
수컷기타 구 구청 - 모리야마 구 구청 - 도쿠가와원 - 에노키 공원 · 에노키 초등학교 - 나카무라 구 이나바치 공원 - 나카가와 구 도미타 지소
암컷나카 구 쓰루마이 공원 - 미즈호 구 미즈호 운동 공원 야구장 - 덴파쿠 구 우에다 공원 - 미도리 구 구청 - 미나미 구 구청 - 미나토 구 나고야 항 가든 부두 - 아쓰타 구 아쓰타 구청
2체 합류UFJ 은행 별관 부지(나카 구) - 사카에 공원까지 퍼레이드 - 지쿠사 구 히가시야마 공원 신이케 주차장 - 메이토 구 후지가오카 역 앞 - 아이치군나가쿠테 정(당시) 아이치 엑스포 나가쿠테 회장 EXPO 돔


5. 오호리 전차

오조네에서 세토 간을 연결했던 세토 전기 철도의 노선 중 하나였다. 1911년에 개통되었으며, 당시 나고야성의 외곽 해자 밑을 통과하는 노선이었다.

세토선의 오호리 - 오조네 구간은 원래 나고야 성의 외곽 해자를 따라 달리는 노선이었다. 그러나 이 구간은 굴곡이 심했고,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1945년 3월 12일나고야 대공습으로 피해를 입어 운행이 중단되기도 했다.

1948년에 운행이 재개되었지만, 아이치현나고야시는 오호리 전차의 경로를 변경하고, 남은 구간을 시영 전차로 이관하는 방안을 검토했다. 그러나 메이테쓰 측은 오호리 전차를 유지하려 했고, 결국 1952년일본국유철도 주오 본선과의 평면 교차를 해소하기 위해 고가화 공사가 시작되었다.

1956년에 고가화 공사가 완료되었지만, 1971년에 나고야 시 교통국 지하철 메이조선 공사로 인해 오호리 - 호리카와초 구간이 폐지되었다. 1976년에는 남은 구간마저 폐지되면서 오호리 전차는 완전히 사라졌다.

현재 오호리 전차가 다니던 길은 대부분 도로로 바뀌었으며, 시미즈구치 정류장 부근에 남아있는 세토선 히가시오테역이 과거 오호리 전차의 흔적을 보여주는 유일한 증거이다.

6. 남아있는 건조물



태평양 전쟁 전에는 많은 건물들이 성 내에 있었지만, 1945년 5월 14일 미군 B-29 폭격기의 폭격으로 천수를 포함한 대부분의 건물과 문화재가 소실되었다.[2]

현재 남아있는 건물은 6동으로, 모두 중요문화재로 지정되었다. 6동은 다음과 같다.

나고야성에 남아있는 건조물[213]
위치명칭비고
혼마루도난 망루(東南隅櫓)도쿠가와 가문이 설계한 방식을 따르며, 고케 문양이 지붕 마루 끝 타일에 새겨져 있다.
혼마루세이난 망루(西南隅櫓)십이지에서 염소와 원숭이에 해당하는 방위에 위치해 "히츠지사루(未申) 隅櫓"라고도 불린다. 일본 황실 문장인 국화 문장이 지붕 용마루 끝 타일에 새겨져 있다.[15]
혼마루미나미 니노 문(南二之門)니시노마루에서 내부 혼마루로 이어지는 외부 구조이다. 튼튼한 목재 기둥과 강철판으로 덮인 가로대를 가지고 있으며, 방화 석고 벽의 희귀한 사례이다.
니노마루히가시쿠로가네 니노 문(東鉄二之門)현재 혼마루의 히가시 니노 문 자리로 이축되었다.
니노마루니시쿠로가네 니노 문(西鉄二之門)
오후케마루기요스 망루(淸洲櫓)1611년기요스성 천수 또는 소천수를 이전한 것으로 전해진다.



1952년 3월 29일 현재 성이 있는 지역 전체는 특별사적으로 지정되었다.

7. 복원 목조와 여러 문제

가와무라 다카시 나고야시장은 2009년 취임 이후 나고야성 천수각 목조 복원화를 강력하게 추진했다.[133] 1994년 가케가와성 천수각이 목조로 복원된 이후, 나고야성 혼마루 어전도 목조 복원이 이루어졌다. 가와무라 시장은 리먼 쇼크로 인한 재정난에도 불구하고 혼마루 어전 복원을 중단하지 않았고, 천수각 역시 목조 복원을 추진했다.

목조 복원 계획에 대해 후방 유 나고야 대학 교수는 가와무라 시장의 정치적 의도를 지적하며 회의적인 입장을 보였으나,[134] 미우라 마사유키 히로시마 대학 교수는 나고야성의 역사적 가치와 목조 복원의 관광 효과를 강조하며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다.[134] 우치다 토시히로 주쿄 대학 객원 교수는 목조 복원이 외국인 관광객 유치에 큰 영향을 줄 것이라고 예측했다.[135]

2010년대 들어 철근 콘크리트 천수각의 내진성 및 노후화 문제가 제기되면서 재건 논의가 본격화되었다.[116] 2013년 목조 재건 방침이 결정되었고,[113][114] 2016년에는 2027년 완공을 목표로 하는 재건 계획이 발표되었다.[115] 당시 재건 비용은 500억 엔으로 추산되었다.[115][116]

가와무라 시장은 2020년 도쿄 올림픽 개최에 맞춰 목조 복원을 완료하려 했으나, 나고야 시의회의 반대로 예산 확보에 어려움을 겪었다. 그러나 2016년 시민 설문조사에서 목조 복원 찬성 의견이 다수를 차지하면서 시의회도 목조 복원에 찬성하는 입장을 취하게 되었다. 시와 시의회는 완공 시기를 두고 이견을 보였으나, 가와무라 시장은 2022년 완공을 목표로 하거나 아시안 게임 개최 시기인 2026년 또는 리니어 개통 시기인 2027년으로 완공 시기를 조정할 수 있다고 밝혔다.[136]

2016년 내진성 문제로 천수각 입장 제한이 제안되었으나,[137][138] 최종적으로 입장 제한은 실시되지 않았다.[141] 2017년 나고야 시의회에서 목조 복원 관련 예산안이 가결되었고,[142][143][135] 2017년 나고야 시장 선거에서 가와무라 시장이 재선되면서 목조 복원 사업이 본격화되었다.

2017년 다케나카 공무점과 기본 협정이 체결되고 2022년 12월 완공을 목표로 사업이 추진되었다. 그러나 문화청과의 협의 과정에서 난항을 겪으며 2018년 10월로 예정되었던 허가가 지연되었다.

장애인 단체들은 엘리베이터 설치를 요구했으나, 다케나카 공무점은 기술적, 구조적 문제로 엘리베이터 설치가 어렵다는 결론을 내렸다. 가와무라 시장은 엘리베이터 미설치 방침을 고수했고, 장애인 단체들은 이에 반발하여 시위를 벌였다.[150][151]

2018년 5월 7일부터 천수각 입장이 금지되었고, 목조 복원을 위한 준비 작업이 진행되었다. 쇼와 실측도, 사진 자료, 역사 문서 등 풍부한 자료를 바탕으로 에도 시대 나고야성의 모습을 충실하게 복원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평가되었다.

2019년 문화청은 에도 시대 석축 훼손을 우려하며 해체 및 목조 재건 허가를 보류했고, 가와무라 시장은 2022년 말 완공을 포기한다고 발표했다.[158] 이후 시민 설명회 등을 통해 목조 복원 사업에 대한 의견 수렴이 이루어졌으나, 오무라 히데아키 아이치현 지사는 가와무라 시장의 사업 추진 방식을 비판했다.[161]

2021년 2021년 나고야 시장 선거에서 엘리베이터 설치 문제가 쟁점으로 떠올랐으나, 엘리베이터 미설치를 주장한 가와무라 시장이 당선되었다.

2022년 나고야시는 배리어 프리 기술 공모를 시작했고,[163] 2024년 3월에는 시민 설명회 과정에서 시장 측의 동원 정황이 드러나 논란이 일었다.[165][166]

8. 석벽 석재 산지

나고야성 축성에 사용된 석재로는 토날암(신바라 토날암=하즈 돌), 사암(카와도 돌), 흑운모 화강암(이와사키 돌, 산요대), 반상 화강암(구마노 돌), 반려암 등이 있다.[195] 주요 산지는 미카와만 주변, 기후현 요로 산지 동쪽 기슭, 코마키시 이와사키 산, 미에현 구마노시 주변, 세토[196], 모토스시 후나키야마 주변, 사가현 가라쓰시, 가가와현 쇼도 섬 등이다.[107]

9. 작품

나고야성은 여러 미디어 매체에서 다양한 형태로 등장했다.


  • 영화

제목내용
모스라 대 고지라고지라가 해자에서 넘어지면서 천수를 파괴하는 장면이 있다.
대괴수 공중전 가메라 대 갸오스공중 비행으로 나고야를 습격하는 갸오스에게 지붕이 파괴된다.
고지라 vs 모스라출현 직후의 바트라에게 오후카이마루가 파괴된다.


  • 게임

제목내용
수도 고속도로 배틀 01오프닝에서 WEST 콜벳이 나고야성에 정차하고 있다.
건슬링거 스트라토스대전 스테이지 "나고야"의 무대이다.
어성 프로젝트DMM의 온라인 게임으로 의인화된 "나고야성"이 등장하며, 게임의 비주얼 배경에도 등장한다.


  • 창가


제목작곡가비고
"나고야성"오와다 겐키동요·창가 명곡 전집 제3권에 게재[197][198]
"나고야성"아오야기 젠고동요·창가 명곡 전집 제3권에 게재[197][198]


  • 연극


제목내용
경성 황금 샤치호코초대 나미키 고헤이 작. 가키노키 킨스케에 의한 금빛 샤치호코 비늘 도난 사건을 그린 연극[199]
통시 광언 아사히테루 황금 샤치호코경성 황금 샤치호코를 바탕으로 7대 오노에 키쿠고로가 감수, 편곡한 작품[199][200]


10. 현지 정보

나고야성은 오다 노부나가가 태어난 성으로 알려진 나고야성(なごやじょう) 터 부근에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천하부신으로 축성한 성이다. 메이지 유신까지 도쿠가와 고산케 중 으뜸으로 여겨지는 오와리 도쿠가와 가문 17대 영주의 거성이었다. 오사카성, 구마모토성과 함께 일본 3대 명성으로 꼽히며, 금빛 샤치호코는 성뿐만 아니라 나고야시의 상징이기도 하다.

쇼와 시대 초기까지 남아있던 대소 천수와 혼마루 어전 등은 1945년 나고야 대공습으로 대부분 소실되었으나, 전후 천수와 문 등이 철근 콘크리트로 복원되었다. 현재 나고야성은 전체 정비 계획이 진행 중이며, 2023년 현재 천수각의 목조 복원, 동북 우거루 복원, 혼마루 및 니노마루의 문 복원, 니노마루 정원 정비 등이 계획되어 있다.[104][105]

메이지 유신 이후 도쿠가와 요시카쓰는 나고야성 파각과 금빛 샤치호코 헌상을 신청했으나, 독일 공사 막스 폰 브란트와 나카무라 시게토오 공병 대좌의 노력으로 1879년 야마가타 아리토모가 나고야성과 히메지성의 보존을 결정했다. 이후 나고야성은 나고야 진대, 제3사단 사령부 등으로 사용되다가 1893년 궁내성으로 이관되어 나고야 이궁으로 불렸다. 1930년 나고야시에 하사되어 일반에 공개되었으며, 1937년에는 금 샤치호코 비늘 도난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

태평양 전쟁 중에는 도카이 군관구 사령부 및 제13방면군이 설치되었고, 1945년 나고야 대공습으로 주요 건물이 소실되었다. 전후 메이조 공원의 일부로 정비되었으며, 1959년 천수가 재건되었다. 이후 혼마루 어전 복원 사업이 추진되어 2009년 착공, 2018년 일반 공개되었다.

나고야성은 아쓰타 대지 서북단에 위치하여 노비 평야를 한눈에 조망할 수 있는 군사적 요충지였다. 성의 구조는 륜곽식과 제곽식의 특징을 모두 가진 독특한 형태로, 평성이자 평산성이기도 하다. 호리카와는 축성 물자 수송과 성하 마을 방어 기능을 수행했다.

나고야성 해자에는 메이지 시대 말기부터 쇼와 시대 후기까지 메이테츠 세토선의 전신인 세토 전기 철도가 운행되었으며, "오호리 전차"(해자 전차)라고 불렸다.[181] 혼마치역 서쪽 혼마치 다리 아래에는 단복선 (간트렛, 협착 궤도) 구조가 채용되기도 했다.

10. 1. 위치

名古屋城|나고야조일본어의 주소는 다음과 같다.

10. 2. 교통 정보


  • 메이테츠세토선 히가시오테 역 하차, 도보 약 15분.
  • -- 나고야 시영 지하철메이조선 나고야 조 역 하차, 7번 출구에서 도보 약 5분.
  • -- 나고야 시영 지하철 츠루마이선 아사마초 역 하차, 1번 출구에서 도보 약 15분.
  • 나고야 시영 버스
  • * 「나고야성 정문 앞」 버스 정류장 하차, 도보 약 1분.
  • * 「시청」 버스 정류장 하차, 도보 약 5분.
  • 간선 버스 (나고야 시영 버스, 메이테츠 버스)
  • * 「시청」 버스 정류장 하차, 도보 약 5분.
  • 메-구루(나고야 관광 루트 버스) 「나고야성」 버스 정류장 하차.
  • 주차장: 520대.
  • * 30분마다 180JPY.

10. 3. 니시노마루 미창 성보관

2021년 (레이와 3년) 11월 1일에 개장한 니시노마루 미창성보관은, 과거 창고와 쌀 곡창 부지에 있었던 니시노마루 전시관을 대체하여 건설되었다. 과거 창고의 모습을 재현한 2개의 건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세 번째와 네 번째 창고가 있던 자리에 위치한다. 이곳에서는 나고야 성 혼마루 어전 장벽화 등 나고야 성 관련 중요 자료들을 보존·전시하고 있으며, 성의 역사와 인물에 대한 정보도 제공한다.[18][19][20][21][22][23][24] 나고야 성 입장료를 지불한 방문객은 무료로 입장할 수 있다.

10. 4. 행사

나고야성에서는 다양한 행사가 개최된다. 주요 행사로는 나고야성 요이마쓰리(구 나고야성 여름 축제)와 국화 전시회 등이 있다.

2009년(헤이세이 21년), 2010년(헤이세이 22년), 2012년(헤이세이 24년)에는 핑크 리본 운동의 일환으로 10월 1일 밤에 나고야성 천수를 핑크색으로 라이트업했다.[119]

2010년(헤이세이 22년) 10월 2일 - 3일에는 나고야성 유루캬라® 축제가 개최되어, 하치마루, 다나모, 에비자베스 등 각 지방의 마스코트가 참가했다.[201]

10. 4. 1. 나고야성 요이마쓰리 (구 나고야성 여름 축제)

매년 8월 상순부터 중순에 걸쳐 열리는 여름 축제이다. 성 안에서 대(大) 봉오도리나 무대 이벤트 등이 개최된다.[119]

1984년(쇼와 59년)부터 매년 도카이 라디오에서 공개 생방송을 하던 시기도 있었지만, 현재는 같은 방송국에서 방송되는 프로그램의 공개 녹화가 진행되고 있다.[119] 도카이 라디오에서는 여름의 대형 이벤트였던 전국 선발 나고야 대 불꽃이 2005년부터 중단된 이후, 요이마쓰리가 같은 방송국의 여름 대형 이벤트가 되었다.[119]

2005년(헤이세이 17년)은 신세기・나고야성 박람회와 아이치 엑스포 개최로 인해 중단되었다.[119] 2004년까지는 2005년 일본 국제 박람회 협회가 연계 협력으로 참가했던 시기가 있다.[119]

2006년(헤이세이 18년)부터 '''나고야성 요이마쓰리'''로 개최된다.[119]

10. 4. 2. 기타

2018 나고야성 국화 전시회


나고야성 국화 전시회는 태평양 전쟁 종전 이후 시작되었다. 국화 재배는 나라 시대헤이안 시대 (8세기 초~12세기 말)에 일본에서 시작되었으며, 에도 시대에 인기를 얻었다. 많은 꽃의 모양, 색상 및 품종이 만들어졌다. 꽃을 재배하고 모양을 만드는 방식 또한 발전하여 국화 문화가 번성했다. 성에서 열리는 이 행사는 도시의 전통이 되었다. 세 가지 범주로 진행되며 규모와 내용 모두 이 지역에서 가장 큰 행사 중 하나이다. 첫 번째 범주는 재배된 꽃의 전시이다. 두 번째 범주는 국화 분재 꽃으로, 죽은 나무 조각과 결합하여 작은 나무의 환상을 준다. 세 번째 범주는 미니어처 조경의 창조이다.

참조

[1] 웹사이트 TOKYO NATIONAL MUSEUM - about TNM History of the TNM 1.Yushima Seido Exposition https://www.tnm.jp/m[...] 2021-06-05
[2] 블로그 http://blog.goo.ne.j[...] 2022-02-00 #날짜 정보 부정확
[3] 웹사이트 代表的な展示品:名古屋城公式ウェブサイト http://www.nagoyajo.[...]
[4] 웹사이트 POW Camps in Japan Proper http://homepage3.nif[...] 2007-09-04
[5] 웹사이트 Nagoya Castle Hommaru Palace http://www.nagoyajo.[...]
[6] 웹사이트 名古屋城天守閣に木造復元構想 シャチホコも揺れる|旅行・レジャー|NIKKEI STYLE http://www.nikkei.co[...] 2016-12-22
[7] 웹사이트 「天守閣」復元にかける夢 名古屋城建て替えで論争 :日本経済新聞 http://www.nikkei.co[...] 2016-12-22
[8] 웹사이트 An invitation to Support the Wooden Restoration of the Nagoya Castle Towers Project https://www.nagoyajo[...] City of Nagoya 2020-05-22
[9] 뉴스 Castle rebuilding projects in Japan can create appealing symbols of communities https://www.dawn.com[...] 2017-03-08
[10] 뉴스 Donations sought to rebuild Nagoya Castle in wooden form https://www.japantim[...] 2017-07-16
[11] 웹사이트 天守閣木造復元 金シャチ募金(名古屋城天守閣寄附金):名古屋城公式ウェブサイト http://www.nagoyajo.[...] 2017-11-28
[12] 뉴스 岐阜)木曽ヒノキ、名古屋城へ出発 天守閣木造化で使用:朝日新聞デジタル https://www.asahi.co[...] 2020-10-01
[13] PDF http://www.city.nago[...] 2022-03-00 #날짜 정보 부정확
[14] 웹사이트 尾張国焼鉄道の旅13:浅間町(萩山焼) https://jusendo.com/[...]
[15] 웹사이트 Nagoya Castle Map http://www.nagoyajo.[...] Nagoya Castle Official Website 2011-03-05
[16] 웹사이트 名古屋城のカヤ 文化遺産オンライン https://bunka.nii.ac[...]
[17] 웹사이트 外観は「米蔵」モチーフ 名古屋城に新施設 所蔵する貴重な文化財など展示 https://www.nagoyatv[...] 2021-11-01
[18] 웹사이트 かつての西之丸 | 西の丸御蔵城宝館 | 観る https://www.nagoyajo[...]
[19] 웹사이트 https://www.city.nag[...] 2022-02-00 #날짜 정보 부정확
[20] 뉴스 名古屋市・河村市長が定例会見9月27日(全文1)市民の56.7%が2回目の接種を終了(Yahoo!ニュース オリジナル THE PAGE) https://news.yahoo.c[...]
[21] 웹사이트 金しゃち不在の名古屋城に「西の丸御蔵城宝館」プレオープン 「銅しゃち」企画展も https://meieki.keiza[...]
[22] 뉴스 名古屋城西之丸に本丸御殿障壁画などを公開する新施設「西の丸御蔵城宝館」11月1日オープン:中日スポーツ・東京中日スポーツ https://www.chunichi[...]
[23] 웹사이트 西の丸御蔵城宝館 プレオープン特別企画「鯱(しゃち)展」/名古屋城 | 【公式】名古屋市観光情報「名古屋コンシェルジュ」 https://www.nagoya-i[...]
[24] 웹사이트 Shunpei Yokoyama Design - 名古屋城「西の丸御蔵城宝館 歴史情報ルーム」 https://shunpei.co.j[...]
[25] 블로그 加藤純子(復元模写画家)のwiki経歴と名古屋城本丸御殿や他の作品を紹介!|しゃえま偶感 https://shae-bear.co[...] 2019-01-20
[26] 웹사이트 古典絵画を復元。模写制作を担う傑出の人 https://oshihaku.jp/[...]
[27] 웹사이트 About the Hommaru Palace | Hommaru Palace | Nagoya Castle https://www.nagoyajo[...]
[28] 웹사이트 Introduction of Various Rooms | Hommaru Palace | Nagoya Castle https://www.nagoyajo[...]
[29] 웹사이트 殿さまの御庭 ―名古屋城二之丸御庭と下御深井御庭― https://dai-nagoya.u[...]
[30] 웹사이트 Honmaru Area | Map https://www.nagoyajo[...]
[31] 웹사이트 名古屋城表一之門縦断面図 表一之門 名古屋城 昭和実測図 http://www.nagoyajo.[...]
[32] 웹사이트 Donation | Tower Keep Restoration https://www.nagoyajo[...]
[33] 뉴스 Golden statues removed from Nagoya Castle for temporary exhibition https://english.kyod[...] 2021-08-14
[34] 웹사이트 名古屋城・御殿椿 https://tabi-mag.jp/[...] 2022-02-26
[35] 웹사이트 名古屋城本丸御殿の「御殿椿(ごてんつばき)」 | 熱田神宮-御朱印 https://xn----kx8a26[...]
[36] 웹사이트 二之丸 | 建築・構造 | 知る https://www.nagoyajo[...]
[37] 웹사이트 第3展示室大名の室礼 -書院飾り- | 名品コレクション展示室 | 展示 | 名古屋・徳川美術館 https://www.tokugawa[...]
[38] 웹사이트 第4展示室武家の式楽 -能- | 名品コレクション展示室 | 展示 | 名古屋・徳川美術館 https://www.tokugawa[...]
[39] 웹사이트 10分でわかる尾張藩260年史ーマイタウン|一人出版社&ネット古書店 http://www.mytown-na[...]
[40] 웹사이트 三つ葉葵の風が吹く 王命によって催さるる事③ http://michans2917.b[...]
[41] 웹사이트 名古屋ナビ:名古屋城探検その8ー勤皇の精神ー https://www.nagoyana[...]
[42] 웹사이트 【レビュー】深い縁で結ばれた親と子の物語 「家康から義直へ」展 徳川美術館と名古屋市蓬左文庫 https://artexhibitio[...] 2021-08-23
[43] 웹사이트 新選組&幕末 ばんざい!! 名古屋城-藩訓秘伝の碑 http://miburou.blog1[...]
[44] 웹사이트 名古屋城二之丸大手二之門 文化遺産オンライン https://bunka.nii.ac[...]
[45] 웹사이트 名古屋城二之丸大手二之門(なごやじょうにのまるおおてにのもん) https://www.pref.aic[...]
[46] PDF https://www.nagoyajo[...] 2024-08-00
[47] 웹사이트 名古屋城旧二之丸東二之門(なごやじょうきゅうにのまるひがしにのもん) https://www.pref.aic[...]
[48] 웹사이트 名古屋城旧二之丸東二之門 文化遺産オンライン https://bunka.nii.ac[...]
[49] 웹사이트 二之丸エリア | マップ | 観る https://www.nagoyajo[...]
[50] 웹사이트 名古屋城ニノ丸庭園(なごやじょうにのまるていえん) https://www.pref.aic[...]
[51] PDF https://www.nagoyajo[...] 2022-03-00
[52] PDF https://www.nagoyajo[...] 2022-03-00
[53] 웹사이트 名古屋城二之丸庭園 https://bunka.nii.ac[...] Agency for Cultural Affairs 2019-02-10
[54] 웹사이트 名古屋城名勝二之丸庭園発掘現地説明会 2016年8月26日 http://network2010.o[...] Network2010.org 2022-08-03
[55] 웹사이트 名勝二之丸庭園復元 | 保存整備 | 知る https://web.archive.[...] 2021-11-24
[56] landmark
[57] landmark
[58] landmark
[59] landmark
[60] landmark
[61] landmark
[62] 웹사이트 第2展示室大名の数寄 -茶の湯- | 名品コレクション展示室 | 展示 | 名古屋・徳川美術館 https://www.tokugawa[...]
[63] landmark
[64] PDF https://www.nagoyajo[...]
[65] PDF http://www.nagoya.om[...] 2024-08-00
[66] PDF http://www.nagoya.om[...] 2024-08-00
[67] 웹사이트 余芳亭 | なごやの文化財 http://bunkazainagoy[...]
[68] 웹사이트 名古屋城二之丸庭園の茶屋「余芳」再建へ 名古屋市、25年度中に:中日新聞Web https://www.chunichi[...]
[69] 웹사이트 https://www.watanabe[...] 2024-08-00
[70] PDF https://www.nagoyajo[...]
[71] 웹사이트 風信亭 | なごやの文化財 http://bunkazainagoy[...]
[72] 웹사이트 乃木倉庫 文化遺産オンライン https://bunka.nii.ac[...]
[73] 웹사이트 Kiyosu Castle https://web.archive.[...] Kiyosu City 2011-03-05
[74] 웹사이트 ■ 茶席詳細見取り図 https://www.nagoyajo[...]
[75] 웹사이트 茶席 | 観る https://www.nagoyajo[...]
[76]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eb.archive.[...] 2019-11-26
[77] 웹사이트 名古屋市:森川邸田舎家再現基金(暮らしの情報) https://web.archive.[...] 2019-11-09
[78] 웹사이트 御深井丸エリア | マップ | 観る https://web.archive.[...] 2019-11-26
[79] PDF https://dn720504.ca.[...] 2024-08-00
[80] 웹사이트 御深井の庭(名城公園) https://nagoya-town.[...]
[81] PDF http://www.nagoyajou[...] 2024-08-00
[82] PDF https://www.city.nag[...] 2024-08-00
[83] 웹사이트 縄張 | 建築・構造 | 名古屋城について https://www.nagoyajo[...]
[84] 웹사이트 那古野神社(名古屋市/中区)の御朱印と見どころ https://www.jinjyago[...] 2017-05-05
[85] 웹사이트 那古野神社 https://tabi-mag.jp/[...] 2020-02-20
[86] 웹사이트 豊臣秀吉朱印状|名古屋市博物館 https://www.museum.c[...]
[87] 웹사이트 旧志水家玄関車寄せ | なごやの文化財 http://bunkazainagoy[...]
[88] 웹사이트 名古屋市:児玉学区(西区)の紹介(西区) https://www.city.nag[...]
[89] 웹사이트 名古屋城 本町門跡 | 日本の城写真集 https://castle.jpn.o[...]
[90] 웹사이트 http://www.taxbrains[...] 2024-08-00
[91] 웹사이트 永照寺本堂[えいしょうじほんどう] - 岐阜県公式ホームページ(文化伝承課) https://www.pref.gif[...]
[92] 웹사이트 名古屋城 移築藩校(永照寺本堂) | 日本の城写真集 https://castle.jpn.o[...]
[93] 웹사이트 Flowers and Blossoms http://www.nagoyajo.[...] Nagoya Castle Official Website 2011-03-05
[94] 웹사이트 Image http://commons.wikim[...] Wikimedia Commons 2009-04-13
[95] 웹사이트 国指定文化財等データベース(西南隅櫓) https://kunishitei.b[...] 문화청 2012-03-28
[96] 웹사이트 国指定文化財等データベース(東南隅櫓) https://kunishitei.b[...] 문화청 2012-03-28
[97] 웹사이트 国指定文化財等データベース(西北隅櫓) https://kunishitei.b[...] 문화청 2012-03-28
[98] 웹사이트 国指定文化財等データベース(表二之門) https://kunishitei.b[...] 문화청 2012-03-28
[99] 웹사이트 国指定文化財等データベース(名古屋城旧二之丸東二之門) https://kunishitei.b[...] 문화청 2012-03-28
[100] 웹사이트 国指定文化財等データベース(名古屋城二之丸大手二之門) https://kunishitei.b[...] 문화청 2012-03-28
[101] 서적 角川日本地名大辞典 23 愛知県
[102] 웹사이트 名古屋城本丸御殿 本丸御殿とは https://www.nagoyajo[...]
[103] 웹사이트 Aichi Now 名古屋城 / 名古屋城本丸御殿 https://www.aichi-no[...]
[104] PDF 特別史跡名古屋城跡保存活用計画(案)について http://www.nagoya.om[...]
[105] PDF 特別史跡名古屋城跡全体整備検討会議(第23回) http://www.nagoya.om[...]
[106] 논문 庄内川の治水史を通してみた新川の役割と治水問題 https://doi.org/10.2[...] 土木学会 2023-05-09
[107] 논문 名古屋城石垣採石丁場の新知見 https://doi.org/10.2[...] 2015-00-00
[108] 웹사이트 近代 - 陸軍省から宮内省へ。名古屋城と呼ばれなかった時代 https://www.nagoyajo[...] 愛知県名古屋市役所 2021-07-18
[109] 웹사이트 昭和天皇の即位御大典 http://www.museum.ci[...] 名古屋市博物館 2023-01-03
[110] 뉴스 名古屋城ほか離宮、御用邸六カ所廃止 昭和ニュース事典編纂委員会 毎日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刊 1994-00-00
[111] 웹사이트 名古屋城の文化財一覧 https://www.nagoyajo[...] 愛知県名古屋市役所 2021-07-18
[112] 간행물 知れば知るほど、好きになる名古屋城なるほどなっとく検定 (財)名古屋城振興協会 2008-02-20
[113] 웹사이트 西南隅櫓及び旧二之丸東二之門工事について http://www.nagoyajo.[...]
[114] 웹사이트 重要文化財名古屋城西南隅櫓保存修理 http://www.city.nago[...]
[115] 뉴스 名古屋城天守閣、木造で復元へ 国指定史跡の城郭で初 http://www.asahi.com[...] 2016-10-29
[116] 웹사이트 広報なごや折込資料「名古屋城天守閣の整備」 https://www.city.nag[...] 名古屋市役所 2016-06-01
[117] 뉴스 名古屋城天守閣、入場禁止へ=「地震で相当危ない」―河村市長 https://web.archive.[...] 2016-10-12
[118] 뉴스 2019-06-22
[119] 뉴스 名古屋城の木造天守閣復元、最短で2032年度 名古屋市が目安示す https://www.chunichi[...] 2023-03-15
[120] 문서 桝形内では通路を屈曲させ、周りを多聞櫓で囲んで通過を困難にしている。
[121] 서적 日本の名城と迷城 https://www.chunichi[...]
[122] Youtube 名古屋城天守閣 木造再建の意義と課題 広島大学教授 三浦正幸氏 https://www.youtube.[...]
[123] 웹사이트 名古屋城天守考・天守はなぜ高いのか https://www.nagoyajo[...] 名古屋市 2021-04-10
[124] 문서 「なこや御城惣指図」中井家蔵
[125] 서적 日本の城 [戦国〜江戸]編 世界文化社 1997-00-00
[126] 웹사이트 西小天守「幻」にする決断 https://www.yomiuri.[...]
[127] 웹사이트 名古屋城・小天守の基礎? 内堀で発見の石列を一般公開 https://www.asahi.co[...]
[128] 웹사이트 幻の「もう一つの天守」石垣の基礎部分か…名古屋城の内堀から約80cm四方の石の列発掘 1列に約18m https://www.tokai-tv[...]
[129] 웹사이트 名古屋城築城について https://www2s.biglob[...]
[130] 방송 プロジェクトX〜挑戦者たち〜第174回「名古屋城再建 金のシャチホコに託す」
[131] 방송 美の巨人たち〜建築シリーズ 徳川家康「名古屋城」
[132] 웹사이트 施工実績 https://www.ad-hzm.c[...]
[133] 뉴스 名古屋城天守閣再建「本気度100%」 河村市長 2009-06-22
[134] 뉴스 名古屋城天守閣の木造復元構想 三浦正幸・広島大教授、後房雄・名古屋大教授の話 /愛知 https://mainichi.jp/[...]
[135] 뉴스 木造天守閣、課題山積 https://mainichi.jp/[...] 2017-03-23
[136] 뉴스 名古屋城を木造化…河村市長「東京五輪までに」断念 アジア大会やリニア開業に合わせ https://www.sankei.c[...] 2016-06-28
[137] 뉴스 名古屋城 耐震性問題視「天守閣入場制限を」有識者提言 https://mainichi.jp/[...] 2016-10-29
[138] 뉴스 「こんな危険な建物でええんか」河村市長、名古屋城・天守閣の入場制限を示唆 https://www.sankei.c[...] 2016-10-29
[139] 뉴스 名古屋城天守閣の入場制限、実施時期見えず https://www.nikkei.c[...] 2016-11-13
[140] 뉴스 名古屋城 耐震で不協和音 市長と当局 https://mainichi.jp/[...] 2016-11-13
[141] 뉴스 名古屋城天守閣 「入場制限せず」 河村市長、一転 http://mainichi.jp/a[...] 2016-12-13
[142] 뉴스 名古屋城天守の木造化、関連予算案を可決へ 市議会 http://www.asahi.com[...] 2017-03-23
[143] 뉴스 名古屋城“木造化” 10億円予算案可決へ https://news.ntv.co.[...] 2017-03-23
[144] 간행물 2017年5月10日中日新聞朝刊1面、26面 중일신문 2017-05-10
[145] 뉴스 4人乗り昇降機「車いす無理」 天守木造化で名古屋市 https://www.nikkei.c[...] 2018-05-07
[146] 간행물 2017年12月28日中日新聞朝刊12面 중일신문 2017-12-28
[147] 뉴스 名古屋城、木造化へ入場禁止 GWに17万人、感謝と寂しさと https://web.archive.[...] 2018-05-07
[148] 문서 契約候補者の技術提案書 (PDF形式, 7.15MB) http://www.city.nago[...]
[149] 간행물 2018年2月号広報なごや 나고야시 2018-02-01
[150] 뉴스 河村市長「クレーンで障害者を天守閣に」 名古屋城問題 https://www.asahi.co[...]
[151] 간행물 2018年6月20日中日新聞朝刊27面 중일신문 2018-06-20
[152] 뉴스 名古屋城木造化、月内の国の許可取得 市が断念 https://www.asahi.co[...] 2018-10-16
[153] 웹사이트 平成31年1月4日 市長年頭記者会見 https://www.city.nag[...]
[154] 뉴스 名古屋城の木造復元事業、17日から市民説明会 市長も出席予定 https://web.archive.[...] 2019-01-16
[155] 뉴스 名古屋城天守閣の木造復元で市民説明会‥反対相次ぐ 市は従来通りの説明 https://hicbc.com/ne[...] 2019-01-18
[156] 웹사이트 階段体験館(ステップなごや) | 天守閣の整備 - 名古屋城 https://www.nagoyajo[...]
[157] 웹사이트 完成が遅れる名古屋城天守閣、復元工事の現状は? | RadiChubu-ラジチューブ- https://radichubu.jp[...]
[158] 뉴스 名古屋城新天守閣、22年末復元を断念 河村市長が表明 https://www.nikkei.c[...] 2019-08-29
[159] 뉴스 名古屋城天守閣木造復元の完成延期で初の市民説明会 https://www2.ctv.co.[...] 2019-11-29
[160] 뉴스 天守閣木造復元の木曽ヒノキ お披露目と奉祝祭 岐阜・中津川市 https://www2.ctv.co.[...] 2019-11-04
[161] 뉴스 名古屋城の木造復元巡って、愛知県知事と名古屋市長批判応酬 https://www2.ctv.co.[...] 2019-07-16
[162] 뉴스 名古屋城巡る住民訴訟敗訴 支出違法との主張認めず https://www.nikkei.c[...] 2020-11-05
[163] 뉴스 昇降技術の公募開始/名古屋城天守の木造復元/名古屋市 https://www.kensetsu[...] 2022-04-21
[164] 뉴스 木造で再建する名古屋城、エレベーター代わりに「電動かご」案…復元とバリアフリー両立 https://www.yomiuri.[...]
[165] 뉴스 河村市長の特別秘書、名古屋城復元で賛成派市民の動員依頼か https://mainichi.jp/[...] 2024-03-19
[166] 뉴스 名古屋城天守木造復元の市民説明会で“賛成派のサクラ”動員疑惑 市長特別秘書が市議に依頼か https://www.nagoyatv[...] 2024-03-23
[167] 웹사이트 名古屋城本丸御殿玄関表書院公開 名古屋城まるはち博覧祭開幕(2013年5月29日) http://network2010.o[...] 特定非営利活動法人ビジュアルコンテンツプロダクトネットワーク 2013-07-01
[168] 웹사이트 名古屋城本丸御殿「対面所・下御膳所」公開 http://haruhime.info[...]
[169] 간행물 2018年1月4日中日新聞朝刊13面 중일신문 2018-01-04
[170] 신문 復元の名古屋城本丸御殿 将軍御座所に井波彫刻欄間 7年かけ忠実再現 2018-06-06
[171] 신문 復元の本丸御殿公開 名古屋城 欄間に井波彫刻 2018-06-09
[172] 서적 金城温故録
[173] 간행물 知れば知るほど、好きになる名古屋城なるほどなっとく検定 (財)名古屋城振興協会 2008-02-20
[174] 웹사이트 (仮称)名古屋城収蔵施設(展示施設併存)及び(仮称)名古屋城展示施設(収蔵施設併存)新築工事 http://www.iriya-con[...]
[175] 웹사이트 名古屋城の収蔵庫 展示施設 http://kurimotokense[...]
[176] 웹사이트 破損事故あった名古屋城の新施設、今秋オープン 愛知 https://www.asahi.co[...] 朝日新聞デジタル 2021-04-08
[177] 웹사이트 名古屋城内に「西の丸御蔵城宝館」が開館 特別展「名古屋城誕生!」では重文の障壁画や初公開の史料を展示 https://artexhibitio[...] 株式会社読売新聞社 2021-11-17
[178] 서적 昭和ニュース事典第7巻 昭和14年-昭和16年 毎日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1994
[179] 서적 昭和ニュース事典第7巻 昭和14年-昭和16年 毎日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1994
[180] 간행물 名城公園探鳥会300回の記録 https://www.wbsj-aic[...] 日本野鳥の会愛知県支部 2020-03
[181] 웹사이트 名鉄瀬戸線堀川駅跡 http://websv.aichi-p[...] 愛知県図書館
[182] 문서 水戸城の本丸と二の丸の間の空堀を利用
[183] 잡지 今度は国有地、名古屋に中国の魔手 https://yoshiko-saku[...] 櫻井よしこ 2011-01-03
[184] 웹사이트 中日领土纠纷波及中国领事馆新建计划 http://chn.chosun.co[...] 朝鮮日報 2011-01-03
[185] 웹사이트 世界の金シャチ横丁(仮称)基本構想 http://www.city.nago[...] 名古屋市 2014-02-14
[186] 웹사이트 世界の金シャチ横丁(仮称)について http://www.city.nago[...] 名古屋市 2014-02-14
[187] 웹사이트 「世界の金シャチ横丁(仮称)」の正式名称が決定しました http://www.nagoyajo.[...] 名古屋城公式ウェブサイト 2014-02-14
[188] 웹사이트 金シャチ横丁第一期整備事業提案における最優秀提案者が決定しました。 http://www.nagoyajo.[...] 名古屋城 2016-07-09
[189] 뉴스 2018年3月27日中日新聞朝刊20面 中日新聞 2018-03-27
[190] 서적 名古屋城
[191] 웹사이트 コトバンク https://kotobank.jp/[...]
[192] 서적 朝日(2007)
[193] 서적 麓(2007)
[194] 서적 麓(2007)
[195] 논문 西本昌司・市澤泰峰 (2018) 名古屋城石垣に使われている石材の岩石種と産地. 名古屋市科学館紀要 http://nishimoto.biz[...] 2018-10-01
[196] 논문 石垣調査における諸問題と石垣刻印 https://hdl.handle.n[...] 金沢大学考古学研究室 金大考古 2008-09-30
[197] 웹사이트 名古屋なんでも調査団 調査団報告書 調査No.72 https://www.library.[...] 名古屋市図書館 2019-07-27
[198] 웹사이트 童謡唱歌名曲全集 3/1989.1 https://rnavi.ndl.go[...] 国立国会図書館 2019-07-27
[199] 웹사이트 歌舞伎「旭輝黄金鯱」東京・国立劇場で公演開始 - http://network2010.o[...] Network2010 2019-01-19
[200] 웹사이트 旭輝黄金鯱 https://www2.ntj.jac[...] 文化デジタルライブラリー 2019-01-19
[201] 웹사이트 名古屋城 ゆるキャラ®祭りを開催します。 http://www.nagoya400[...] 名古屋開府400年祭 2011-03-04
[202] 문서 주고쿠 지방, 시코쿠 지방, 규슈 지방
[203] 문서 대규모 토목공사일 때 여러 다이묘의 노역을 동원하는 일
[204] 문서 옛 일본 육군의 사단급 부대
[205] 문서 성의 문과 문 사이에 있는 사각형의 광장. 출진 때 병사를 모는 장소 및 침입한 적의 움직임을 방해하는 효과도 있다.
[206] 문서 성곽의 출입구 앞에 설치된 방어시설로 개구부를 성측으로 향해 있고, ㄷ자 모양 또는 C자형의 벽으로 둘룬 구역
[207] 문서 석벽과 석벽사이 있는 문으로 비상시에는 땅에 묻어 성문을 감추었다. 비밀통로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208] 문서 다이묘가 로주직급의 후다이 다이묘에게 인사를 하던 곳으로 쇼군에게 전해질 헌상품이 이곳에서 전달되었다.
[209] 문서 무가 저택 현관부에 있던 넓은 방을 말한다.
[210] 문서 번의 정무를 보던 건물
[211] 문서 다몬 망루
[212] 간행물 나고야 성 판플렛 나고야시 2002
[213] 문서 무로마치 시대 포르투갈과 스페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