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토 1세 폰 작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토 1세 폰 작센은 작센 공작 리우돌프 1세의 아들로, 880년 형 브루노 1세의 사망 이후 작센 공작위를 계승했다. 그는 동프랑크 왕국에서 그라프, 변경백 등을 역임했으며, 간데르스하임 수도원을 건립하고 헤르스펠트 수도원 원장을 지냈다. 911년 동프랑크 왕국 왕위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았으며, 912년에 사망하여 간데르스하임 교회에 묻혔다. 그는 잉겔트루드와 결혼하여 하인리히 1세 등을 자녀로 두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0세기 독일 사람 - 오토 1세
    오토 1세는 작센 왕조 출신으로 동프랑크 왕국의 왕이었으며, 강력한 왕권 구축, 마자르족 격퇴, 제국 교회 체제 확립 등의 업적을 통해 신성 로마 제국의 초대 황제가 되어 중세 유럽 역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0세기 독일 사람 - 하인리히 1세
    하인리히 1세는 작센 왕조 출신으로 919년부터 936년까지 동프랑크 왕국을 통치하며 왕국을 안정시키는 데 기여한 독일 국왕이자, 프랑크족이 아닌 최초의 동프랑크 군주로서 독일 왕국으로의 전환점을 이끌었다.
  • 9세기 독일 사람 - 카롤루스 대제
    카롤루스 대제는 8세기 후반에서 9세기 초 프랑크 왕국을 통치하며 서유럽 대부분을 통합하고 영토를 확장하여 800년에 서로마 황제로 대관된 인물이다.
  • 9세기 독일 사람 - 리우돌프 (작센 공작)
    리우돌프는 9세기 동부 작센족을 지휘하며 세력을 확장하고 슬라브족의 침입을 격퇴한 동프랑크 왕국의 군사 사령관으로서, 루트비히 2세의 신임을 얻고 작센 귀족들 사이에서 영향력을 키웠으며, 브룬스하우젠에 여자 수도원을 건설하여 종교적으로도 기여한 인물로, 그의 가문은 후일 오토 왕조로 불리게 되었다.
  • 912년 사망 - 주전충
    주전충은 당나라 말기 후량의 초대 황제이며, 황소의 난을 진압하고 당나라의 실권을 장악한 뒤 애제로부터 선양을 받아 후량을 건국했지만, 아들에게 살해당했다.
  • 912년 사망 - 효공왕
    효공왕은 신라의 제52대 왕으로, 재위 기간 동안 후백제와 후고구려의 침략과 호족 세력의 발흥으로 국력이 쇠퇴하였다.
오토 1세 폰 작센
기본 정보
작센 공작 오토 1세
이름오토 1세
다른 이름Otto I. (독일어)
작위작센 공작
생애
출생일851년경
사망일912년 11월 30일
사망 장소알려지지 않음
매장 장소간더스하임 수도원
가문
가문리우돌핑거 가문
아버지리우돌프
어머니오다 폰 빌룽
배우자 및 자녀
배우자하트비히 폰 바벤베르크
자녀탱크마르
리우돌프
하인리히 1세
오다
통치
즉위880년
사망912년

2. 생애

880년 형 브룬이 사망한 후 작센 공작위를 계승했다.[1]

루트비히 3세의 877년 특허장에 따르면 남튀링겐(pago Suththuringalat) 지역을 소유했으며, 897년 특허장에는 그가 변경백(marchiolat)으로서 아이히스펠트(pago Eichesfeldenlat) 지역을 다스렸다고 기록되어 있다. 또한 908년에는 헤르스펠트 재속 수도원장의 지위에 있었다.

작센인 역사가인 코르베이의 비두킨트는 오토가 911년 동프랑크 왕국의 왕위를 요구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고 기록했지만[2], 이 기록의 사실 여부에 대해서는 의문이 제기된다.[2] 한편, 오토는 마인츠 대주교 하토와 함께 콘라트 1세를 동프랑크 왕으로 추대하는 데 참여한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3]

912년 오토는 사망했으며, 간데르스하임의 교회에 매장되었다.

2. 1. 초기 활동

그는 작센 공작 리우돌프 1세와 빌룽의 오다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아버지 리우돌프 1세는 원래 작센의 백작이었으나, 독일인 루트비히와 함께 북쪽에서 침입해오는 노르만족과 슬라브족을 성공적으로 막아낸 공로를 인정받아 공작으로 승격되었다. 일설에 따르면 오토 1세는 샤를마뉴 대제의 정복에 저항했던 작센 족의 지도자 비두킨트(Vidukind von Corvey)의 후손으로 추정되지만, 구체적인 혈연관계는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다만 그의 며느리이자 오토 대제의 어머니인 마틸다 폰 인겔하임은 비두킨트의 4대손인 베스트팔리아 백작 테오도리히의 딸이었다.

오토 1세는 초기에 동프랑크 왕국의 그라프(Graf, 백작)로 활동했다. 880년, 아버지의 뒤를 이어 작센 공작이 된 그의 형 브루노 1세가 전투 중 갑작스럽게 사망하자 오토 1세가 공작위를 계승하게 되었다. 다른 형인 리우돌프 2세 역시 이미 이민족과의 전투에서 사망한 상태였기 때문에, 작센 공작의 지위와 영지는 자연스럽게 오토 1세에게 돌아갔다.[1]

작센 공작이 된 이후에도 그의 활동은 계속되었다. 877년 1월 16일에 발행된 루트비히 3세의 특허장에 따르면, 당시 남튀링겐(''pago Suththuringa'') 지역이 오토의 소유였음을 알 수 있다. 또한 897년 1월 28일자 특허장에는 그가 변경백(''marchio'')이었으며 아이히스펠트(''pago Eichesfelden'') 지역을 영지로 다스렸다고 기록되어 있다. 908년에는 헤르스펠트의 재속 수도원장 지위를 맡기도 했다.

작센 출신의 역사가 코르베이의 비두킨트는 오토 1세가 911년에 동프랑크 왕국의 왕위를 요구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고 기록했다.[2] 그러나 이 기록의 역사적 사실 여부에 대해서는 의문이 제기되기도 한다.[2] 한편, 오토 1세는 마인츠 대주교 하토와 함께 콘라트 1세를 동프랑크 왕으로 추대하는 데 참여한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3] 912년 오토 1세는 사망했으며, 간데르스하임의 교회에 매장되었다.

2. 2. 작센 공작

880년 형 브룬이 사망한 후 작센 공위를 계승했다.[1] 877년 1월 26일, 독일인 루트비히의 명으로 남부 튀링겐의 그라프로 임명되었으며, 왕명을 받아 간데르스하임 수도원을 건립했다. 이 수도원이 세워진 지역은 그의 이름을 따 'Otto county'라는 별칭으로 불리기도 했다. 877년 1월 16일자 루트비히 3세의 간데르스하임 수도원 특허장에 따르면, 남튀링겐(''pago Suththuringa'')은 오토의 소유지였다. 그는 헤르스펠트 수도원의 평신도 원장으로도 활동했으며, 888년에는 아이헤스펠텐 수도원의 원장을, 908년에는 쇠팅가우의 평신도 수도원 원장 및 헤르스펠트 재속 수도원장을 지냈다. 897년 1월 28일에는 아이헤스펠텐(Eichesfelden)의 수도원에 일부 재산을 기증하기도 했는데, 같은 날짜의 특허장에는 그가 변경백(''marchio'')이었고 아이히스펠트(''pago Eichesfelden'')를 영유하고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그의 여동생 리트가르트가 독일인 루트비히의 아들인 소 루트비히와 결혼하면서 그는 대공으로 승격했다.[4] 876년 독일인 루트비히 사후 동프랑크 왕국이 삼분되자 왕국의 중북부 지방 영지가 소 루트비히에게 상속되었으나, 그는 6년 만에 사망했다. 오토는 독일인 루트비히, 그의 아들 청년왕 루트비히, 케른텐의 아르눌프 등 세 왕을 섬겼다. 그의 주요 임무는 작센 지역을 통치하고 동부의 슬라브족을 방어하는 것이었다. 독일인 루트비히 사후 동프랑크 왕국이 혼란에 빠지자, 그는 중앙 정부의 지원 없이 바이킹, 헝가리인, 밴드족의 침입을 자체적으로 격퇴해야 했다.

작센 지역의 실력자로서 그는 일부 자치권을 인정받았다. 형식적으로는 루트비히 2세나 그의 손자 아르눌프의 대리인이었으나, 작센 내에서는 실질적인 통치자였다. 또한 작센 영토 근처 달레민츠까지 이주해 온 슬라브족을 복속시켰다. 황제 아르눌프는 동부 지역의 유력자인 오토와의 제휴를 원했고, 그의 딸 오다는 아르눌프의 서자인 로타링기아의 왕 츠벤티볼트와 결혼했다.

884년에는 비만왕 카를 3세를 따라 밀라노를 방문했으며, 894년에는 황제 아르눌프의 이탈리아 밀라노 원정에 동행하여 현지에서 밀라노의 마트로그라프로 임명되기도 했다. 그러나 아르눌프가 퇴각할 때 함께 동프랑크로 돌아왔다.

899년 아르눌프가 사망하면서 오토는 유아왕 루트비히 4세의 후견인이자 보호자로 지명되었으나, 실제로는 유아왕과 자주 접촉하지 않았다. 작센인 역사가 코르베이의 비두킨트에 따르면, 오토는 911년 동프랑크 왕국의 왕위를 요구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고 한다.[2] 하지만 이 기록의 사실 여부에 대해서는 의문이 제기된다.[2] 또한, 그는 마인츠 대주교 하토와 함께 콘라트 1세를 동프랑크 왕으로 추대했다는 설도 있다.[3]

912년 오토는 사망했으며, 간데르스하임의 교회에 매장되었다.

2. 3. 생애 후반

897년 1월 28일의 특허장에 따르면 오토는 변경백(marchiolat)이었고, 아이히스펠트(pago Eichesfeldenlat)를 영유하고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900년 초 그는 동프랑크 왕국의 패권을 놓고 프랑켄 공작 콘라트 1세와 경쟁하였다. 902년부터는 아이헤스펠텐 수도원의 평신도 원장으로 재직했으며, 908년에는 헤르스펠트 재속 수도원장의 지위에 있었다.

오토의 아내는 프랑켄 공작 하인리히 (프랑켄)의 딸 바벤베르크의 헤드비가였으며, 그녀는 903년 12월 24일에 사망하였다.[5] 오토는 메르제부르크에서 아내의 사망 소식을 접했으며, 그녀는 사후 간데르스하임 수도원에 매장되었다.

911년 유아왕 루트비히가 후계자 없이 사망하자 그는 일부 귀족들에 의해 동프랑크 왕국의 국왕으로 추대되었다. 그러나 그는 고령을 이유로 사양하고 대신 프랑켄 공작 콘라트 1세를 추천하였다. 작센인 역사가 코르베이의 비두킨트는 오토가 911년동프랑크 왕국의 왕권을 요구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고 기술했다.[2] 그러나 이 주장의 진위 여부는 의심스럽다고 여겨진다.[2] 또한, 오토는 마인츠 대주교 하토와 함께 콘라트 1세를 동프랑크 왕으로 추대한 인물 중 한 명으로도 전해진다.[3] 콘라트 1세가 즉위한 이듬해인 913년 그는 콘라트 1세에게 형식적으로 화해를 청하였다.

912년 오토는 사망했으며, 간데르스하임의 교회에 매장되었다. 그의 아들로는 탕크마르, 리우돌프, 하인리히가 있었는데, 셋째 아들인 하인리히 1세가 공작직을 계승하였으며, 후일 동프랑크의 국왕이 되었다.

3. 가족 관계


  • 아버지 : 리우돌프
  • 어머니 : 빌룽의 오다
  • * 형 : 브루노 1세 (Brun, 835년 ~ 880년), 작센 공작
  • * 형 : 리우돌프 2세 (Liudolf II)
  • * 누나 : 하투모트 (Hathumod, 840년 ~ 874년)
  • * 동생 : 탕크마르 (Thankmar, ? ~ 878년)
  • * 여동생 : 류트가르트 (Liutgart, 840년? ~ 885년)
  • * 여동생 : 게르베르가 (Gerberga, ? ~ 896/897년), 브룬스하우겐 수녀원장
  • * 여동생 : 크리스티나 (Christina, ? ~ 919/920년), 간데르스하임 수녀원장
  • 부인 : 하트비히 (Hedviga 또는 Hedwig, ? ~ 903년)
  • * 869년경 바벤베르크 가문의 오스트마르크 변경백 하인리히와 이탈리아 왕 베렝가리오 1세의 누이 잉겔트루드 사이에서 태어났다. 외가 쪽으로는 루트비히 1세의 증손녀에 해당한다.
  • 자녀
  • * 탕크마르 (Thankmar, ? ~ 912년 이전)
  • * 리우돌프 (Liudolf, ? ~ 912년 이전)
  • * 하인리히 1세 (Heinrich, 876년 ~ 936년) : 작센 공작위를 계승했으며, 후에 동프랑크 왕국의 왕이 되었다.
  • * 오다 (Oda von Saxony, 877년 ~ 952년 이후) : 로트링겐 왕 츠벤티볼트 (동프랑크 왕국의 왕 아르눌프의 서자)와 결혼했다. 사별 후 지라르 가문의 메츠 백작 제라르 1세와 재혼했다.

참조

[1] 서적 成瀬
[2] 서적 Reuter
[3] 서적 瀬原
[4] 문서
[5]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