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요하나 폰 외스터라이히 여대공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요하나 폰 외스터라이히 여대공은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페르디난트 1세의 딸로, 독실한 가톨릭 신앙을 바탕으로 교육받았다. 1565년 프란체스코 1세 데 메디치와 결혼했으나, 남편의 무관심과 정부 비앙카 카펠로의 총애로 고통받았다. 8명의 자녀를 낳았지만, 그 중 2명만이 성인이 되었으며, 1578년 계단에서 굴러 떨어지는 사고로 사망했다. 당시 남편과 정부가 살해했다는 소문이 돌았지만, 현대 의학적 조사 결과 척추측만증으로 인한 출산의 어려움이 사망 원인으로 밝혀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토스카나 대공비 - 비토리아 델라 로베레
    비토리아 델라 로베레는 우르비노 공국의 공주이자 토스카나 대공국의 대공비로서 델라 로베레 가문의 마지막 후계자였으며, 가문의 예술 컬렉션을 메디치 가문에 상속하여 예술품 보존에 기여했고, 코시모 3세 데 메디치를 통해 토스카나 대공국에 영향력을 행사했다.
  • 토스카나 대공비 - 마르그리트루이즈 도를레앙
    프랑스 공주 마르그리트 루이즈 도를레앙(1645–1721)은 토스카나 대공 코시모 3세 데 메디치의 아내로 토스카나 대공비였으나, 결혼 후 궁정 생활 부적응, 남편과의 불화, 프랑스 귀환 실패 등으로 불안정한 삶을 살았다.
  • 1578년 사망 - 우에스기 겐신
    우에스기 겐신은 전국시대 에치고의 무장으로, 나가오 가게토라에서 우에스기 가문을 계승하여 에치고 통일, 간토 진출, 다케다 신겐과의 가와나카지마 전투, 간토 관령으로서의 호조 가문과의 대립, 오다 노부나가와의 충돌 등 활발한 활동을 펼쳤으나 급사 후 우에스기 가문은 쇠퇴하였다.
  • 1578년 사망 - 이지함
    이지함은 조선 중기의 학자이자 사회 사상가로, 서경덕에게 학문을 배우고 실용적인 면을 강조하며 유랑 학자로서 백성들의 삶을 체험하고 관직에 나아가 백성을 위한 정책을 펼쳤으며, 실학 운동의 선구자로 평가받는다.
  • 16세기 합스부르크가 - 펠리페 2세
    펠리페 2세는 신성 로마 제국 황제의 아들로 태어나 스페인, 이탈리아, 아메리카 등 광대한 영토를 물려받아 중앙 집권 체제를 강화하고 가톨릭 신앙을 옹호하며 종교 개혁 세력을 탄압하다가 1598년에 사망했다.
  • 16세기 합스부르크가 - 이사벨 클라라 에우헤니아
    스페인 인판타 이사벨 클라라 에우헤니아는 펠리페 2세와 엘리자베트 드 발루아의 딸로, 알브레히트 7세 대공과 결혼하여 스페인령 네덜란드의 공동 통치자가 되었고, 사후에는 총독으로서 통치하며 예술을 후원하고 세속 프란치스코 수도회에 가입했다.
요하나 폰 외스터라이히 여대공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주세페 아르침볼도가 그린 요안나 초상화 (1562년경)
주세페 아르침볼도가 그린 초상화 (1562년경)
칭호토스카나 대공비
배우자프란체스코 1세 데 메디치
가문합스부르크 가문
아버지페르디난트 1세
어머니안나 야기에오
출생일1547년 1월 24일
출생지프라하, 보헤미아 왕국, 신성 로마 제국
사망일1578년 4월 11일
사망지피렌체, 토스카나 대공국
매장지메디치 가 예배당
결혼 정보
결혼일1565년 12월 18일
결혼 장소피렌체
통치 기간
재위 시작1574년 4월 21일
재위 종료1578년 4월 11일
자녀
자녀 목록엘레오노르 데 메디치
안나 데 메디치
마리아 데 메디치
필리포 데 메디치, 토스카나 대공세자

2. 생애

신성 로마 황제 페르디난트 1세와 황후 안나의 막내딸로 태어났다.

1565년 12월 18일, 피렌체에서 프란체스코와 결혼했다. 프란체스코는 그녀를 "창백하고 야위고 매력이 부족하다"며 멀리했고, 요하나는 심한 향수병에 시달렸다.[9] 결혼 생활은 불행했고, 남편에게 무관심했으며, 피렌체 생활에 적응하지 못했다.[10] 시아버지 코시모 1세는 그녀에게 상냥했고, 베키오 궁전의 정원을 그녀를 위해 아름답게 장식했다.[11]

12년의 결혼 생활 동안, 프랑스 왕 앙리 4세의 왕비가 된 마리아를 포함한 8명의 자녀를 낳았다.

2. 1. 출생과 가문

페르디난트 1세와 보헤미아와 헝가리의 안나의 4남 11녀 중 막내딸로 프라하에서 태어났다. 어머니는 요하나가 태어난 지 이틀 만에 사망하였다.[1] 형제로는 신성 로마 제국 황제 막시밀리안 2세, 폴란드 왕비 엘리자베타 등이 있다.

친조부모는 카스티야의 펠리페 1세와 카스티야의 후아나이며, 외조부모는 보헤미아 및 헝가리의 블라디슬라프 2세 국왕과 푸아캉달레의 안나이다. 아버지를 통해 이사벨라 1세마리 드 부르고뉴의 후손이기도 하다.

1547년 겨울, 페르디난트 1세는 결혼하지 않은 딸들을 인스브루크의 수도원에 있는 수녀들에게 맡겼다. 1552년, 작센 선제후 모리츠가 지휘하는 개신교 군대가 티롤 백국을 침략했을 때, 요하나와 오스트리아의 마그달레나 대공녀, 오스트리아의 마르가레테 대공녀 (수녀), 오스트리아의 바르바라 대공녀, 오스트리아의 헬레나 대공녀 (1543–1574)는 브루네크 성에서 수도원 밖에서 잠시 시간을 보냈다.[1]

요하나는 매우 종교적인 가톨릭 교육을 받았다. 그녀의 교육은 예수회의 페터 카니시우스와 디에고 라이네스의 저술에 기초한 경건함과 자선이 특징이었다. 그녀의 고해 신부들 또한 예수회 소속이었다.[1]

2. 2. 결혼 생활

1565년 12월 18일 토스카나 대공 프란체스코 1세피렌체에서 결혼했다.[8] 그러나 결혼 생활은 행복하지 못했다. 요하나는 평범한 외모에 차가운 성격이었고, 지나치게 오스트리아 합스부르크 가문 출신이라는 자부심만 강해 피렌체인들을 노골적으로 업신여겼다.[9] 남편 프란체스코는 그녀에게 무관심했고, 피렌체 사람들은 오스트리아 출신인 그녀를 좋아하지 않았다.

남편은 정부 비앙카 카펠로를 총애했고, 요하나 앞에서도 카펠로에게 애정을 표현하며 노골적으로 요하나를 무시했다. 요하나는 기회가 있을 때마다 오빠 황제 막시밀리안 2세에게 남편에 대한 불만을 토로했다.[9] 이 때문에 부부간에 끊임없이 갈등했고, 요하나는 피렌체 생활에 적응하지 못하고 향수병에 시달렸다.[10]

시아버지 코시모 1세 데 메디치는 요하나에게 상당히 다정하게 대했고, 그녀를 위해 여러 가지를 배려했다. 코시모 1세는 베키오 궁전의 뜰을 특별히 장식했는데, 이 벽화들은 바사리의 제자들이 그린 오스트리아의 도시 벽화였고, 베로키오의 돌고래 분수가 있는 푸토는 로렌초 데 메디치가 정원에 설치한 카레지 별장에서 가져온 것이다.[11]

요하나는 남편과의 사이에서 일곱 명의 자녀를 두었지만 대부분 어려서 죽었고, 유년기를 무사히 넘긴 것은 엘레오노라 데 메디치와 마리 드 메디시스뿐이었다.[9] 마리 드 메디시스는 훗날 프랑스 국왕 앙리 4세의 왕비가 되었다. 1577년에는 아들 필리포 데 메디치를 낳아 왕조를 이을 상속자가 생겼으나, 필리포는 일찍 죽고 말았다.

2. 3. 자녀

프란체스코 1세와의 사이에서 8명의 자녀를 두었으나, 엘레오노라 데 메디치와 마리 드 메디시스만이 성인이 되었다. 왕조를 이을 아들이 없다는 사실은 부부 갈등의 원인이 되었다.

이름출생사망비고
엘레오노라1566년1611년만토바 공작 빈첸초 1세 곤차가와 결혼
로몰라1568년1568년요절
안나1569년1584년
이사벨라1571년1572년
루크레치아1572년1574년
마리아1573년1642년프랑스 왕 앙리 4세와 결혼
필리포1577년1582년
남자1578년1578년


2. 4. 사망

1578년 4월 10일, 여덟 번째 아이를 임신한 요하나는 계단에서 굴러 떨어졌다. 몇 시간 후, 조산하여 아들을 낳았으나 아이는 곧 죽었다. 요하나 또한 다음 날인 4월 11일에 사망했다.[11] 그녀의 사후, 남편 프란체스코 1세 데 메디치가 정부 비앙카 카펠로와 결혼하기 위해 요하나를 살해했다는 소문이 돌았다. 그러나 현대 의학적 조사 결과, 출산으로 인한 사망으로 공식 보고되었다. 아이가 팔을 먼저 내밀었고, 요하나는 자궁 파열로 고생했다. 요하나는 척추측만증을 앓고 있었기에 척추와 골반이 심하게 변형되어 있었으며, 이로 인해 출산이 매우 힘들었을 것으로 보인다.[12]

3. 자녀

프란체스코 1세요하나 사이에는 모두 여덟 명의 자녀가 있었으나, 성인이 될 때까지 살아남은 자녀는 엘레오노라와 마리아 두 딸뿐이었다.[13]

이름출생사망비고
엘레오노라1566년 3월 1일1611년 9월 9일만토바 공 빈첸초 곤차가와 결혼
로몰라1568년 11월 20일1568년 12월 2일요절
안나1569년 12월 31일1584년 2월 19일
이사벨라1571년 9월 30일1572년 8월 8일요절
루크레치아1572년 11월 7일1574년 8월 14일요절
마리아1573년 4월 26일1642년 7월 3일프랑스 왕 앙리 4세와 결혼
필리포1577년 5월 20일1582년 3월 29일요절
남자1578년 4월 10일1578년 4월 10일사산


3. 1. 엘레오노라 데 메디치

엘레오노라 데 메디치 (1566년 3월 1일 ~ 1611년 9월 9일)는 만토바 공작 빈첸초 1세 곤차가와 결혼하였다.[13]

3. 2. 로몰라 데 메디치

로몰라 데 메디치는 1568년 11월 20일에 태어나 같은 해 12월 2일에 요절하였다.[13]

3. 3. 안나 데 메디치

안나 데 메디치는 1569년 12월 31일에 요하나프란체스코 1세 데 메디치 사이에서 태어난 딸이다.[13] 1584년 2월 19일에 사망했다.

3. 4. 이사벨라 데 메디치

요하나 폰 외스터라이히 여대공과 프란체스코 1세 사이에서 태어난 이사벨라는 1571년 9월 30일에 태어났으나, 1572년 8월 8일에 요절했다.[13]

3. 5. 루크레치아 데 메디치

루크레치아 데 메디치 (1572년 11월 7일 ~ 1574년 8월 14일)는 유아기에 사망했다.[13]

3. 6. 마리 드 메디시스

마리 드 메디시스는 1600년에 앙리 4세와 결혼하여 프랑스의 왕비가 되었다.[13]

3. 7. 필리포 데 메디치

필리포는 1577년 5월 20일에 태어나 1582년 3월 29일에 어린 나이로 사망했다.[13]

4. 가계

1. 요하나 폰 외스터라이히 여대공
2. 페르디난트 1세! 3. 보헤미아와 헝가리의 안나
4. 카스티야의 필리페 1세[3]5. 카스티야의 후아나[3]6. 보헤미아와 헝가리의 블라디슬라프 2세[4]7. 푸아-캉달의 안[4]
8. 막시밀리안 1세[5]9. 부르고뉴 여공작 마리[5]10. 아라곤의 페르디난드 2세[3]11. 카스티야의 이사벨 1세[3]
12. 카지미에시 4세 야기에우워[4]13. 오스트리아의 엘리자베스[4]14. 캉달 백작 가스통 드 푸아[6]15. 푸아의 카트린[7]


참조

[1] 웹사이트 Barbara d'Asburgo, duchessa di Ferrara http://www.treccani.[...] treccani.it 2023-02-10
[2] 논문 The Medici Project: First Anthropological and Paleopathological Results http://www.paleopato[...] 2011-07-22
[3] EB1911 Joanna
[4] ADB Wladislaw II.
[5] BLKO Habsburg, Philipp I. der Schöne von Oesterreich
[6] 서적 The Lord's First Night: The Myth of the Droit de Cuissage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7] 서적 Revue de l'Agenais Société académique d'Agen
[8] 서적 메디치 가문 이야기 현대지성 2020-07-09
[9] 서적 메디치 가문 이야기 현대지성 2020-07-09
[10] 서적 메디치 가 이야기 생각의 나무 2002-02-02
[11] 서적 메디치 가 이야기 생각의 나무 2002-02-02
[12] 논문 The Medici Project: First Anthropological and Paleopathological Results http://www.paleopato[...] 2011-07-22
[13] 서적 메디치 가문 이야기 현대지성 2020-07-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