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우에스기 겐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에스기 겐신은 1530년에 태어나 1578년에 사망한 센고쿠 시대의 무장이다. 에치고 슈고다이 나가오 가문의 나가오 다메카게의 아들로 태어나 린센지에서 수학하고 1548년 나가오 하루카게를 몰아내고 가문의 지배권을 장악했다. 이후 우에스기 노리마사를 옹립하여 간토 간레이 지위를 계승, 우에스기 씨의 가신이 되었다. 다케다 신겐과의 가와나카지마 전투, 호조 씨와의 전투에서 활약했으며, 엣추를 평정하고 노토를 공격하다가 급사했다. 그는 뛰어난 용병술과 문화를 겸비한 인물로 평가받으며, 유산으로는 겐신 축제, 문학 작품, 게임 캐릭터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에스기 겐신 - 가와나카지마 전투
    가와나카지마 전투는 1553년부터 1564년까지 다케다 신겐과 우에스기 겐신이 시나노 국 가와나카지마에서 시나노 지방의 지배권을 두고 벌인 다섯 차례의 전투로, 복잡한 정치적, 군사적 배경 속에서 전개되었으며 현대 사회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 우에스기 겐신 - 간토 관령
    간토 관령은 무로마치 막부 시대에 간토 지역을 통괄하며 가마쿠라 구보를 보좌하던 직책으로, 우에스기 씨가 세습하다가 센고쿠 시대 혼란을 겪으며 명목상 직위로 남았다.
  • 에치고 나가오씨 - 우에스기 가게카쓰
    우에스기 가게카쓰는 센고쿠 시대 무장으로, 우에스기 겐신의 양자가 되어 오타테의 난을 겪고 도요토미 히데요시에게 귀순하여 아이즈를 다스렸으며, 세키가하라 전투 패배 후 요네자와 번 초대 번주가 되어 에도 시대에 활약하다 사망했다.
  • 에치고 나가오씨 - 나가오 하루카게
    나가오 하루카게는 센고쿠 시대 무장으로, 우에스기 사다자네의 양자이자 나가오 다메카게의 아들이며, 가스가 산성 성주를 지냈으나 동생 나가오 가게토라에게 가독을 물려주고 은거했으며, 1553년에 사망했다.
  • 나가오 우에스기가 - 가와나카지마 전투
    가와나카지마 전투는 1553년부터 1564년까지 다케다 신겐과 우에스기 겐신이 시나노 국 가와나카지마에서 시나노 지방의 지배권을 두고 벌인 다섯 차례의 전투로, 복잡한 정치적, 군사적 배경 속에서 전개되었으며 현대 사회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 나가오 우에스기가 - 간토 관령
    간토 관령은 무로마치 막부 시대에 간토 지역을 통괄하며 가마쿠라 구보를 보좌하던 직책으로, 우에스기 씨가 세습하다가 센고쿠 시대 혼란을 겪으며 명목상 직위로 남았다.
우에스기 겐신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우에스기 신사 소장 초상화
본명나가오 가게토라
출생일1530년 2월 18일
사망일1578년 4월 19일
출생지에치고국, 일본
사망지에치고국, 일본
별칭에치고의 용
군신
비샤몬텐의 화신
가문 정보
씨족나가오 씨
우에스기 씨
가문 수장나가오 씨: 1548년 ~ 1578년
우에스기 씨: 1561년 ~ 1578년
이전 수장나가오 씨: 나가오 하루카게
우에스기 씨: 우에스기 노리마사
후임 수장우에스기 가게카쓰
아버지나가오 다메카게
어머니세이간인 (도라 고젠)
양아버지우에스기 노리마사
형제나가오 하루카게
나가오 마사카게
아야고젠
친척우에스기 노리마사 (양아버지)
나가오 하루카게 (형)
아야고젠 (여동생)
나가오 마사카게 (매형)
우에스기 가게카쓰 (양자)
우에스기 가게토라 (양자)
관직 및 지위
소속무로마치 막부
직위간토 간레이
에치고국 슈고다이 (수호대)
관위종오위하, 탄죠다이 소필(彈正少弼) (추증 종이위)
군사 정보
소속 부대가스가야마 성
주요 전투도치오 성 전투 (1544년)
가와나카지마 전투 (제1차) (1553년)
가와나카지마 전투 (제2차) (1555년)
가와나카지마 전투 (제3차) (1557년)
오다와라 성 전투 (1561년)
가와나카지마 전투 (제4차) (1561년)
가라사와 성 전투 (1563년)
가와나카지마 전투 (제5차) (1564년)
마쓰쿠라 성 전투 (1568년)
도네가와 전투 (1571년)
가나야마 성 전투 (1574년)
나나오 성 전투 (1576년, 1577년)
데도리가와 전투 (1577년)
기타 정보
묘소우에스기가 묘소
린센지 (조에쓰시)
묘세이인 (조에쓰시)
고야산
법명후쇼쿠안 겐신(不識庵謙信)
계명후쇼쿠인덴 신코 겐신(不識院殿真光謙信)
임시 이름헤이조(平三)
종교불교
불교 이름소신(宗心)

2. 생애

우에스기 겐신은 1530년 음력 1월 21일 에치고 슈고다이 나가오 다메카게의 아들로 가스가 산성에서 태어났다. 본명은 '''나가오 가게토라'''(長尾景虎)이다.[2] 겐신은 범띠(십이지)에 태어나 이름에 "토라"(虎)를 사용했고, "에치고의 호랑이"로 불렸다. 라이벌 다케다 신겐은 "카이의 호랑이"로 불렸으며, 가와나카지마 전투에서 여러 차례 격돌했다. 겐신은 신겐의 죽음에 "나의 훌륭한 라이벌을 잃었다."라며 애도했다.

덴분 5년(1536년) 아버지 다메카게가 은거하고 형 하루카게가 가문을 이었으나, 겐신은 린센지에서 덴시쓰 고이쿠에게 가르침을 받았다.[3] 덴분 12년(1543년) 성인식을 치르고 나가오 가게토라로 개명, 도치오 성(栃尾城)에 들어가 반 슈고다이 세력을 평정했다. 덴분 14년(1545년) 구로다 히데타다의 반란을 진압하는 등 군사적 재능을 보였다.

덴분 17년(1548년) 우에스기 사다자네의 조정으로 하루카게가 겐신에게 가문을 양도, 겐신은 19세에 나가오 가문의 본거지 가스가 산성에 입성하여 에치고 슈고다이가 되었다. 덴분 19년(1550년) 사다자네 사후, 쇼군 아시카가 요시테루는 겐신의 에치고 국주 지위를 인정했다. 덴분 20년(1551년) 나가오 마사카게의 반란을 진압, 22세에 에치고를 통일했다.

1551년, 겐신은 간토 지방으로 도망쳐 온 우에스기 노리마사에게 피난처를 제공하고, 노리마사는 겐신을 상속자로 삼아 간토 간레이 직책을 맡겼다. 1552년, 우에스기 씨족은 호조 씨와의 전쟁을 시작했다.

1553년, 오가사와라 나가토키무라카미 요시키요다케다 신겐에게 도움을 요청, 겐신은 신겐과 가와나카지마 전투를 벌이게 된다. 1561년 제4차 가와나카지마 전투에서 겐신은 독창적인 전술을 사용했고, 신겐과 일대일 대결을 벌였다는 기록도 있다.

1561년, 마사토라는 야마노우치 우에스기 가문의 수장이 되고 간토 간레이 지위를 맡으면서 '우에스기 테루토라'라는 이름을 사용했다. 후에 불교 승려가 된 후 '겐신'으로 개명했다.

겐신은 출정식 때 비사문천 신사에서 기도를 올리고, 장군들과 만찬을 가지며, "에이!"(영광)와 "오!"(예!)를 외치고, 하치만에게 활을 재헌정하는 의식을 치렀다.

2. 1. 출생과 성장

가스가 산성 조감도


교로쿠 3년(1530년) 음력 1월 21일 에치고 슈고다이(守護代)였던 산조 나가오 가문(三條長尾家)의 나가오 다메카게의 넷째 아들(혹은 둘째, 셋째)로 가스가 산성에서 태어났다. 어머니는 에치고 스요시 성(栖吉城) 성주 고시 나가오 가문(古志長尾家)의 나가오 후사카게의 딸 도라고젠이다. 아명 도라치요(虎千代)는 그가 태어난 해가 인(寅)년(호랑이 해)이었기 때문이다.

덴분 5년(1536년) 8월, 아버지 다메카게가 은거하고 도라치요의 형인 하루카게가 가문을 이었다. 도라치요는 가스가 산성 아래의 린센지에 들어가 주지 덴시쓰 고이쿠에게 가르침을 받았다. 아버지 다메카게와 사이가 좋지 않았던 도라치요는 그를 피하려고 절에 들어간 것으로 보인다.[3] 덴분 11년(1542년) 12월, 다메카게가 병으로 세상을 떠났고, 적대 세력이 가스가 산성을 위협하는 상황에서 도라치요 등은 투구와 갑옷을 갖춰 입고 장례를 준비해야 했다.

본명은 '''나가오 가게토라'''(長尾景虎)였다.[2] 겐신은 범띠(寅年)(십이지)에 태어나 항상 이름에 "토라"(虎, 호랑이)를 썼다. 뛰어난 지능과 공헌으로 "에치고의 호랑이"로 존경받는다.

덴분 12년(1543년) 8월 15일, 성인식을 치르고 나가오 가게토라(長尾景虎)로 개명했다. 같은 해 9월, 하루카게의 명으로 고시군지(古志郡司)가 되어 가스가 산성을 떠나 산조 성(三条城)을 거쳐 도치오 성(栃尾城)으로 들어갔다. 나카고리(中郡)의 반(反) 슈고다이 세력을 평정하고 나가오 가문의 영지를 통치하며, 시모고리(下郡)의 아가키타슈를 제압하려는 목적이었다.

덴분 13년(1544년) 봄, 병약한 하루카게를 얕보던 에치고 호족들이 반란을 일으켰다. 15세의 가게토라 역시 애송이 취급을 받으며 공격받았으나, 소수의 병사를 둘로 나눠 한쪽은 가라카사마쓰(傘松)에 진을 친 적 본대 배후를 급습하게 하고, 혼란한 틈을 타 성에서 본대를 돌격시켜 적을 궤멸시켰다(도치오 성 전투). 가게토라의 첫 전투였다.

2. 2. 가독 상속과 에치고 통일

덴분 14년(1545년) 10월, 슈고 우에스기 집안의 가신이자 구로타키 성 성주였던 구로다 히데타다가 나가오 씨에 대해 반란을 일으켰다. 히데타다는 슈고다이 하루카게가 있던 가스가 산성까지 공격하여 겐신의 형 나가오 가게야스 등이 이때 사망했고, 이후 구로타키 성으로 돌아가 농성하였다. 겐신은 형을 대신해 우에스기 사다자네로부터 토벌 명령을 받아 총대장으로서 공격을 지휘하여 히데타다를 항복시켰다(구로타키 성 전투). 그러나 이듬해인 덴분 15년(1546년) 2월, 히데타다는 다시 거병하였고, 겐신은 이번에도 다시 출전하여 구로다 씨를 멸문시켰다. 일련의 사건들 속에서 하루카게에게 불만을 품고 있던 에치고의 고쿠진 일부가 겐신을 옹립하면서 하루카게에게 물러날 것을 강요했고, 하루카게와 겐신의 관계는 험악해졌다.

덴분 17년(1548년)에 이르러 하루카게를 대신해 겐신을 새로운 슈고다이로 옹립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해졌고, 그 중심에는 아가키타슈(揚北衆)의 톳사카 성 성주 나카조 후지스케와 기타시나노(北信濃)의 호족으로서 겐신의 숙부이기도 했던 나가노 성 성주 다카나시 마사요리가 있었다. 여기에 도치오 성에서 겐신을 보좌하던 혼조 사네요리, 겐신의 외가인 스요시 성주 나가오 가게노부, 요이타 성 성주 나오에 사네쓰나, 산조 성 성주 야마요시 유키모리 등이 협조해 겐신을 지지하는 하나의 파벌을 형성했다. 이에 맞서 하루카게를 지지한 것은 우에다 나가오 집안의 사카도시 성 성주 나가오 마사카게나 부도하라 군 오쿠야마장(奧山莊)의 구로카와성 성주 구로카와 기요자네 등이었다.

같은 해 12월 30일, 슈고 우에스기 사다자네의 조정을 바탕으로 하루카게가 겐신을 양자로 삼아 가문을 양도한 뒤 은거하는 것으로 매듭지어졌고, 겐신은 나가오 씨의 본거지 가스가 산성에 입성하고 19세의 나이로 가문을 상속받아 에치고의 슈고다이가 되었다.

2년 후인 덴분 19년(1550년), 사다자네가 후계 없이 사망하자, 쇼군 아시카가 요시테루는 겐신의 에치고 국주(國主) 지위를 인정했다. 12월에는 일족인 사카도시 성주 나가오 마사카게가 겐신의 가문 상속에 불만을 품고 반란을 일으켰다. 그 원인은 겐신이 에치고 국주가 되면서 하루카게를 지지했던 마사카게 자신의 입장이 난처해진 것과, 오랫동안 우에다 나가오 집안과는 대립하는 관계였던 고시 나가오 집안이 겐신을 지지하면서 일족 내에서의 발언권이 세진 것 등이 있었다. 그러나 겐신은 덴분 20년(1551년) 1월에 마사카게 측의 홋치 나가요시(発智長芳)의 거성인 이타기 성을 쳐서 이기고, 8월에는 사카토 성을 포위하여 반란을 진압했다(사카토 성 전투). 항복한 마사카게는 겐신의 누나 센도인(仙桃院)의 남편이라는 이유 등으로 목숨을 건졌고 이후 겐신의 중신으로 우대받았다. 마사카게의 반란이 진압되면서 에치고 국의 내란도 일단 수그러들었고, 에치고는 통일되었다. 겐신의 나이 22세였다.

2. 3. 가와나카지마 전투와 간토 출병

에이로쿠 2년(1559년) 5월, 겐신은 교토로 상경하여 오기마치 천황과 쇼군 아시카가 요시테루를 알현하였다. 이때 요시테루로부터 관령에 준하는 대우를 받았다.(우에스기의 칠면허).[43] 그러나 아시카가 요시테루가 오다치 하루미쓰를 보내 겐신, 다케다 신겐, 호조 우지야스 세 사람이 화친하여 미요시 나가요시의 세력을 몰아내도록 중재했으나, 세 사람의 의견 차이가 커서 실현되지 못했다.

마쓰 산성의 혼마루(本丸)터


에이로쿠 3년(1560년) 3월, 엣추국의 시나 야스타네가 진보 나가모토의 공격을 받자 겐신에게 지원을 요청했다. 이에 겐신은 처음으로 엣추로 출진하여 도야마 성을 함락시키고, 마스 산성까지 함락시켜 야스타네를 구원하였다. 그 해 5월에는 호조 우지야스를 토벌하기 위해 간토로 출진, 고즈케국의 여러 성들을 차례대로 공략하고 우마바야시 성을 간토에서의 거점으로 삼았다. 간토의 여러 무장들에게 고호조씨 토벌에 참전할 것을 요구하는 격문을 띄웠고, 이에 많은 무장들이 겐신에게 몰려왔다.

에이로쿠 4년(1561년), 고즈케국에서 무사시국으로 진격하여 여러 성을 차지하고, 사가미국까지 침공해 가마쿠라를 함락시켰다. 호조 우지야스는 오다와라 성 등에서 농성을 벌였다. 3월, 겐신은 간토 간레이 우에스기 노리마사를 옹립하고, 우쓰노미야 히로쓰나, 사타케 요시아키 등 옛 우에스기 가신들을 중심으로 한 10만 대군으로 오다와라 성을 포위 공격했다(오다와라 성 전투). 고가 고쇼를 제압하고, 아시카가 요시우지를 내쫓은 뒤 아시카가 후지우지를 대신 고가 고쇼로 맞아들였다.

오다와라 성을 공격했으나, 다케다 신겐이 가와나카지마에서 군사행동을 일으키며 배후를 견제했고, 장기 출병을 유지할 수 없었던 사타케 요시아키 등이 무단으로 진을 퇴거하는 사태가 벌어져 결국 함락시키지 못하고 가마쿠라로 철퇴했다. 이후 에치고 귀환 도중 마쓰 산성을 함락시켰다(마쓰 산성 전투).

에이로쿠 7년(1564년) 4월, 다케다 신겐과 손잡고 에치고로 쳐들어온 아시나 모리우지를 격파하였다. 8월에는 신겐과 다시 가와나카지마에서 대치했으나(제5차 가와나카지마 전투), 60일에 이르는 대치 끝에 에치고로 철수했고, 결국 결판을 내지 못한 채 다섯 차례에 걸친 가와나카지마 전투는 끝이 났다. 겐신은 이 가와나카지마 전투로 시나노 국 슈고를 겸한 신겐의 시나노 통일을 좌절시켜, 신겐의 에치고 침공을 저지하는 데 성공했지만, 영토적으로는 시나노 북부 일부만을 장악했을 뿐이었다. 10월, 다시 고호조 씨에 가담한 사노 마사쓰나를 공격하여 항복시키고 인질을 데리고 귀국했다.

가와나카지마 전투 4번째 전투에서 겐신과 신겐의 전설적인 일대일 대결을 묘사한 그림


일본 역사와 센고쿠 시대에서 전설이 된 겐신과 신겐의 라이벌 관계는 삼자 동맹 이후 시작되었다. 가와나카지마 (1553년, 1555년, 1557년, 1561년, 1564년)에서 총 다섯 번의 전투가 벌어졌지만, 네 번째 전투만이 두 사람 사이의 진지한 총력전이었다.

1561년, 제4차 가와나카지마 전투에서 겐신은 독창적인 전술을 사용했다. 전방의 병사들이 지치거나 부상을 입으면 후방의 병사들과 교대하는 특수한 진형이었다. 『고요군관』에는 겐신이 신겐에게 돌진하여 검으로 베었고, 신겐은 철선으로 공격을 막았다는 기록이 있다. 제4차 가와나카지마 전투의 결과는 학자들 사이에 의견이 분분하여 일반적으로 무승부로 간주된다. 야마모토 간스케와 다케다 노부시게등 신겐의 주요 장수들이 이 전투에서 전사하였다.

1563년, 신겐은 호조 우지야스와 동맹을 맺고 마쓰야마 성을 함락시켰다. 1565년, 신겐은 쿠라가노 성과 미노와 성을 함락시켰다. 1571년, 겐신은 이시쿠라 성을 공격했고, 다시 토네가와 전투에서 맞붙었지만, 격렬한 접전 끝에 전투는 종료되었다.

신겐이 호조와 결별한 후, 호조 씨가 가이국에 대한 소금 공급을 중단하는 사건이 있었다. 겐신은 신겐에게 소금을 보냈고, "나는 소금으로 싸우는 것이 아니라 검으로 싸운다"라고 말했다. 그러나 겐신이 에치고 상인들이 다케다 영토에서 소금을 판매하도록 허용했기 때문에, 겐신의 행동이 순전히 이타적인 것이었는지에 대한 의문이 있다.[4]

겐신은 신겐의 죽음에 대해 "나는 나의 훌륭한 라이벌을 잃었다. 우리는 다시는 그런 영웅을 만나지 못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1560년 가을부터 1561년 여름까지 호조 우지야스에 대한 원정을 지휘한 겐신은 누마타 성과 우마야바시 성 등 여러 성을 함락하는 데 성공했으며, 제1차 오다와라 공성전으로 이어졌다. 그는 방어선을 돌파하고 성읍을 불태웠지만, 신겐의 위협으로 인해 성 자체는 함락되지 않았고, 가마쿠라를 점령했다.

1563년 겐신은 오타 스케마사를 구출했고, 1569년 11월 신겐이 오다와라 성을 포위했을 때 우지야스는 겐신에게 지원을 요청했다.

1566년 고즈케국의 유라 씨족이 호조 씨족에 붙었다. 1574년 겐신은 사타케 씨족에게 가나야마 성을 공격할 것을 명령했고, 자신도 공성전에 참여했지만 가나야마 성은 공격을 견뎌냈다.

2. 4. 호조, 다케다와의 전투와 엣추 진출

1569년 음력 3월, 다케다 신겐을 견제하기 위해 우에스기 데루토라는 호조 우지야스와 동맹을 맺는다. (월상동맹(越相同盟)).[49] 1570년 우지야스의 7번째 아들[50][51]호조 우지히데를 양자로 맞아들인다. 데루토라는 우지히데가 마음에 들어 자신의 이름이었던 가게토라라는 이름을 주고 일족으로서 후대했다. 그 해 12월에는 법명을 겐신(謙信)으로 정한다.

1571년 우지야스가 죽고, 대를 이은 호조 우지마사(北条氏政)는 우에스기와의 동맹을 파기하고 다케다 신겐과 다시 화친했다. 이에 양 군대는 도네강을 사이에 두고 대치한다.[100] 그 해 8월, 겐신은 북국(北国)으로 공격 방향을 돌려 엣추의 잇코잇키 세력으로부터 도야마성을 빼앗는다. 11월에는 신겐과 교전 상황에 들어가고, 오다 노부나가의 동맹 제의를 받는다. 그 후 겐신은 엣추로 출진하지만, 신겐과 내통하여 반란을 일으킨 잇코잇키에 괴로워하며 연말까지 잇코잇키와 싸워 그들을 제압한다.

1573년 숙적 다케다 신겐이 병사하고 다케다 씨의 위협이 수그러들자 겐신은 엣추의 과반을 제압한다. 같은 해 우지마사가 고즈케를 침공하자 겐신은 이에 대항하기 위해 1574년 간토로 출진, 가나야마성, 기사이성(騎西城), 하뉴 성(羽生城) 등 관동의 여러 성을 차례차례 공략한다. 그 해 연말, 겐신은 삭발을 하고 호인다이오쇼(法印大和尚)를 맡는다. 1575년 1월, 우에스기 가게카쓰에게 단조쇼히쓰를 양도한다.

2. 5. 오다 노부나가와의 전투와 말년

1572년 다케다 신겐이 상경 작전을 개시하자, 오다 노부나가의 제안을 받아들여 그와 동맹을 맺었다.[52] 1573년 신겐이 병사하면서 다케다 가문의 영향력이 약해지자, 겐신은 1576년 아시카가 요시아키의 중재로 겐뇨와 화친하고 노부나가와의 동맹을 파기했다. 이로써 겐신을 맹주로 하는 반(反) 노부나가 포위망이 구축되었다.

1576년 9월, 겐신은 엣추국을 평정하고 노토국나나오성을 공격했다. 1577년 9월, 나나오성 전투에서 유사 쓰구미쓰의 내응으로 나나오 성을 함락시키고, 가가국 국경의 스에모리 성까지 점령했다.

1577년 시바타 가쓰이에가 이끄는 오다 군이 데토리가와 전투에서 겐신에게 대패하면서, 겐신은 노토 국을 완전히 장악했다.

1577년 12월, 겐신은 다음 원정을 위해 대규모 동원령을 내렸으나, 1578년 3월 9일 원정 준비 중 가스가 산성에서 쓰러져 3월 13일에 급사했다. 사인은 뇌일혈로 추정된다.

겐신의 사후, 우에스기 가게카쓰우에스기 가게토라 사이에 후계자 다툼(오타테 전투)이 벌어져 우에스기 가문의 세력은 크게 약화되었다.

3. 인물과 평가

우에스기 겐신은 와카에 능통하고 명필이었으며, 고노에 다네이에로부터 와카 비법을 전수받는 등 황실과 교류가 깊은 문화인이었다. 겐지모노가타리와 같은 연애물을 즐겨 읽었고, 와카 대회에서 뛰어난 가가(雅歌)를 낭독하여 참가자들을 놀라게 했다고 전해진다.[56] 나나오 성 전투 때 겐신이 지었다고 알려진 유명한 주산야(十三夜)는 라이 산요의 『일본외사』에 실려 널리 알려졌다.[58]

비사문천의 열렬한 신자였던 겐신은 자신의 기에 '비(毘)'자를 사용했다.[56] 청년기에는 조동종 린센지에서 선을 배우고, 임제종 다이토쿠지에서 참선하여 '종심(宗心)'이라는 법명을 받았다. 만년에는 진언종에 관심을 가져 세인에게서 전법관정을 받고 아자리권대승도 지위를 받았다.[58]

일반적으로 "싸움에는 뛰어나고 내정에는 서툴다"는 인상이 있지만, 실제로는 영내 물품 유통 관리를 정비해 막대한 이득을 얻었다. 겐신 사후 가스가 산성에는 27,140냥이 저축되어 있었다고 한다. 라이 산요가 미담이라고 격찬했던 '적에게 소금을 보낸다'는 에피소드는 군비 조달을 위해 가이상인에게 소금 판매를 금지하지 않은 것이었다.[59] 겐신은 정보를 중시하여 닌자 집단인 노키자루(軒猿)를 거느렸다고 전해진다.[56]

겐신의 신장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있는데, 육척(약 180cm)에 가까운 장부라는 설과[56], 유품 갑옷 크기로 미루어 오척이치(약 156cm)라는 설이 있다.[56] 당시 남성 평균 신장(약 159cm)보다 체격이 좋다고는 말할 수 없다.

군사에 관해서는 '에치고의 용', '군신'이라는 칭송이 있으며, 철포, 활, 기마 등의 군사 편성은 다른 다이묘와 큰 차이가 없었지만, 우에스기 군은 직접 전투에서 압도적 위력을 자랑했다. 이는 겐신의 정확한 전술 안목, 신출귀몰한 속공, 카리스마 넘치는 지휘 통솔력 덕분이었다.[56]

정치면에서는 악정을 했다고 할 수 없고, 금광 운영으로 많은 이익을 얻었다. 따라서 "싸움에는 뛰어나고 내정에는 서툴다"는 것은 오해이다. 겐신의 연공 수입은 추정 99만 7천 석, 다케다 신겐은 추정 83만 5천 석으로 최전성기 때는 100만 석이 넘어 경제력은 양자 모두 호각이었다.[56]

오다 노부나가,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전국시대를 종언한 지도자지만, 전술적 면에서는 겐신에 미치지 못한다. 실제로 오다 군은 데토리가와 전투에서 겐신에게 완패했다(단, 노부나가는 이 전투에 참가하지 않았다).[56]

야전에서는 전광석화와 같은 지배를 했지만, 오다와라성, 우스이 성, 가라사와 산성 등 공성전에서는 실패하고 철퇴하는 일이 잦았다. 겐신을 전국 굴지의 전술가라고 할 수는 있어도 전국 최강이라고 말하기는 어렵다는 부정설도 있다.[56]

겐신은 를 중시하여 사리사욕으로 병사를 움직이지 않았고, 센고쿠 다이묘로서는 드물게 금욕적인 면모를 보였다. 라이 산요는 이를 격찬했고, 이는 현재에도 겐신이 인기 있는 이유 중 하나이다. 한편, 유명무실한 간토칸레이직을 계승한 점에서는 형식에 얽매인 사대주의자, 대의명분을 방패로 자기 정당화를 하는 인물, 자신을 비사문천의 전생이라고 믿는 등 자기애가 강하다는 평가도 있다.[56]

호조 우지야스는 겐신에 대해 "신겐과 노부나가는 겉과 속이 다르지만, 겐신은 백골이 되더라도 의리를 지키는 인물"이라고 평했다. 다케다 신겐은 죽음에 이르러 가쓰요리에게 "겐신은 의리가 깊은 장수로, 내가 죽은 후에는 겐신을 의지하라"고 유언했다고 고요군칸에 기록되어 있다.[56]

무로마치 막부의 직위에 얽매여 이익이 없는 간토로 출진하거나, 후계자를 결정하지 않은 점 등은 전략적 평가가 높지 않은 이유이다. 특히 후계자 문제로 인해 오타테의 난이 일어나 우에스기 가문은 큰 손실을 입고 쇠퇴하게 되었다. 겐신 시대에 획득한 북국의 대부분은 시바다 가쓰이에에게 빼앗겼다.[56]

4. 유산

겐신의 유해는 갑옷을 입혀 항아리에 넣어 장사 지냈다고 전해진다. 본래 가스가 산성 아래의 린센지에 안치되었으나, 우에스기 가문의 영지가 바뀜에 따라 와카마쓰 성, 요네자와 성 내로 이장되었다. 메이지 유신 이후에는 요네자와 번 역대 번주가 잠들어 있는 우에스기가 묘소(야마가타현 요네자와시)로 이장되었다. 이 외에도 가스가 산 린센지(니가타현 조에쓰시)와 고야산에도 묘가 있다. 1872년 요네자와 성 혼마루 터에 우에스기 신사가 창건되었다.[82][83]

에도 시대에 요네자와번 번주로 있던 가게카쓰의 후손들은 겐신을 번의 시조로 존경했고, 메이지 유신 후에는 요네자와 성에 겐신의 제를 올리는 우에스기 신사가 건립되었다. 1908년 9월 9일에는 종이위(従二位)로 추대되었다.[87]

겐신의 군사적 성공은 무역, 시장, 교통망(항구 도시의 조세 제도) 개혁과 옷감 무역에서 발생한 수입 증대와 관련이 있다. 그 결과 이전 정부가 가지고 있지 않았던 상업에 대한 통제력을 확보하게 되었다. 그는 또한 토지 분배를 통해 무사 계급과의 봉건적 유대 관계를 구축했다. 소위 '후나이 법령'은 전통적인 엘리트와 일반 백성에게 적용되는 조항, 전쟁으로 인한 피로로 인한 감세, 수도 주변의 토지 집중 및 통합 의도를 보여주며, 1560~1562년 관동 원정에 앞서 황실령 통합을 위한 추가 개혁이 뒤따랐다. 그러나 겐신은 농업과 경제를 장악했음에도 불구하고, 군사적 의무에 중요한 토지 측량과 같은 핵심 개혁을 철저히 시행하지는 않았는데, 이는 겐신이 상업에 집중했음을 시사한다. 겐신은 50회가 넘는 공개 전투에서 패배하지 않았다고 알려져 있으며, 따라서 추종자들로부터 "전쟁의 신"이라는 칭호를 얻었다.

겐신이 새로 축성한 성은 적지만, 가와나카지마 전투나나오성 전투에 대비하여 본격적으로 축성한 예는 다음과 같다.


  • 이이야마성(신슈(시나노)국) - 1564년 10월 1일에 겐신 자신이 공사 완료를 확인했다. 후에 성주인 이와이 노부요시는 성하 마을 정비를 실시하여 현재까지 이어지는 이이야마시 발전의 기초를 쌓았다.
  • 이시도야마성(노토국) - 천평사의 이시도야마 중도의 거점인 오미야보의 요새를 이용하여 축성. 나오에 가게쓰나를 성주로 두었다.[55]


겐신은 생전부터 고야산구카이의 예에 따라 가스가야마성 내에 자신의 시신을 안치할 부식원을 건립했고, 실제로 겐신이 죽자 유해에는 갑옷을 입히고 칼을 차게 한 후 항아리에 넣어 칠로 밀봉했다. 그리고 가스가야마성 내 부식원에 매장되었으며, 린센지에 공양탑이 세워졌다.

도요토미 정권 아래 나가오 우에스기가가 와카마쓰성으로 이봉되자, 우에스기 가게카쓰는 겐신의 유언에 따라 유해가 들어있는 항아리를 가스가야마성 내에 그대로 두고 아이즈로 이동하려 했으나, 새로운 성주인 호리 히데하루의 항의로 이전하게 되었다. 세키가하라 전투 후 우에스기 가문이 요네자와로 이동한 후에도 요네자와성 본마루 한쪽에 안치되었고, 1609년에 우에스기 가게카쓰의 명령으로 요네자와성 본마루 동남쪽 구석에 공식적으로 사당과 부속 령선사(초기 명칭은 자성원)를 건립했다. 히라바야시 마사쓰네가 봉행을 맡아 공사가 진행되어 1612년에 사당과 니노마루 사찰군이 완성되었다. 중앙에 겐신 영구, 그 좌우 측진에 젠코지 여래상과 니소쿠 비사몬텐상을 함께 서쪽을 향하게 안치하고, 구카이의 선례를 따라 승려들에 의해 생전과 마찬가지로 식사 봉사가 이루어졌다고 한다. 요네자와 번 제4대 번주 우에스기 쓰나노리 이후의 역대 번주는 가독 계승 후, 처음으로 요네자와성에 입성하면 즉시 사당에 참배하고, 그 후 처음 맞이하는 정월 13일(그 해 첫 겐신의 월명일)에 사당에 안치되어 있던 겐신 유물인 갑옷을 착용하고 참배하는 "고부구쇼쇼"를 행하게 되었다.

메이지 유신 이후에는 요네자와 번 역대 번주가 잠든 우에스기가 묘소(야마가타현 요네자와시)에 다시 개장되었다. 또한 사당에 봉사했던 사찰군 중, 호온지는 젠코지 여래상·니소쿠 비사몬텐상과 함께 묘소 근처로 이전하여 현재까지 남아있다. 가스가야마 린센지(니가타현 조에쓰시), 이와도노야마 메이세이인(니가타현 조에쓰시), 고야산 그리고 도치오 미술관의 전정(니가타현 나가오카시)에도 공양탑이 남아 있다.

1872년에 요네자와성 본마루 터에 창건된 우에스기 신사(별격관폐사)에 우에스기 하루노리(타카야마)와 함께 합사되었고, 1902년에 별격관폐사로 승격되었으며, 신체는 겐신 한 분이 되었다(우에스기 타카야마는 마쓰미사키 신사에서 우에스기 가게카쓰, 나오에 가네쓰구 등과 함께 합사되었다).

나오에 가네쓰구는 우에스기 유민 일기 당시 에치고 국의 구신들을 선동할 때, "우에스기 겐신 공의 묘를 지켜라"라는 격문을 사용했다고 한다.

우에스기 겐신의 애도인 태도 「무명일문자」는 산쵸모라는 호칭으로 불리며, 국보로 지정되어 있다.[88] 산쵸모는 과거에는 개인 소유였으며 오카야마현립박물관에 위탁되어 있었지만, 2021년 현재는 오카야마현 세토우치시가 소유하고 있으며, 비젠나가후나도켄박물관에서 정기적으로 전시되고 있다.

2015년에 니가타현립역사박물관을 통해 겐신과 관련된 지역인 니가타현 조에쓰시에 양도를 제안했지만, 고향납세를 포함한 자금 조달을 실시했음에도 불구하고 전문가의 평가액과 소유자의 희망액이 맞지 않아 구입을 단념했다.[89] 2018년 4월, 소유자로부터 세토우치시에 양도 제안이 있었고, 구입할 방침을 명확히 했다. 그 후, 전시실 정비 및 취득에 드는 비용 등 5억 이상을 고향납세 등을 활용하여 조달하는 데 성공했다. 2020년 3월부터 세토우치시 소유가 되었다.

오다 노부나가로부터 하사받았다고 전해지는 겐신 소유의 「벨벳 직조 서양 망토」[93]가 있다.

가노 에이토쿠가 그린 6폭 2짝의 금박을 붙인 병풍이 있다. 왼쪽 2짝에는 교토 고쇼와 쇼군 저택이 있는 상경, 오른쪽 2짝에는 기온 축제로 북적이는 하경의 풍경이 그려져 있다. 제작 경위와 증정자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있다.

참조

[1] 백과사전 Britannica
[2] 문서 Kōyō Gunkan, Hokuetsu Taiheiki, Hokuetsu military talk에 따른 설명
[3] 웹사이트 Rinsenji Temple https://www.japan.tr[...] Japan National Tourism Organization 2021-02-18
[4] 웹사이트 戦国時代の義将・上杉謙信は本当に塩を送ったのか? https://rekishiya.co[...] rekishiya 2023
[5] 웹사이트 信長でも信玄でもない…三河平定後の家康が「決して裏切らない」という起請文を送った意外な同盟相手 https://president.jp[...] President Inc. 2023
[6] 웹사이트 Uesugi Kenshin http://www.samurai-a[...]
[7] 서적 Rekishi Gunzô Shirizu, Uesugi Kenshin Gakken 1999
[8] 뉴스 GACKT謙信、400人の武者を引き連れ出陣 上越市「謙信公祭」 http://www.oricon.co[...] Oricon 2015-08-23
[9] 뉴스 【イベントレポート】出陣行列・川中島合戦の再現に、GACKT謙信登場 https://www.barks.jp[...] Japan Music Network 2015-08-23
[10] 뉴스 過去最高24万3000人 第90回謙信公祭の入り込み発表 https://www.joetsutj[...] 2015-08-24
[11] 뉴스 謙信公祭入り込み数、過去最多24万3200人GACKTさんメッセージ、「来年も楽しみに」 http://www.j-times.j[...] 2015-08-24
[12] 웹사이트 Joetsu: A historic town braces for the first snowfall of winter https://www.japantim[...] 2019-11-23
[13] 웹사이트 Ten To Chi To – Trivia https://www.imdb.com[...] IMDB
[14] 웹사이트 天と地と(新聞ラテ欄表記…「天と地と 謙信VS信玄 戦国最大の戦い・川中島の合戦!!神秘のベールに包まれた無敵の男上杉謙信の真実!!出生の秘密、運命に翻弄される恋…空前のスケールで描く歴史巨編!!」) http://www.tvdrama-d[...]
[15] 웹사이트 「風林火山」情報 http://www3.nhk.or.j[...] NHK
[16] 웹사이트 GACKTさんもびっくり 上杉謙信は女だった? https://www.joetsutj[...] 2014-06-19
[17] 뉴스 GACKT: Perennial idol looks back on triumphs and tragedies https://issuu.com/me[...] 2014-04-04
[18] 웹사이트 Gackt古装剧扮演上杉謙信 形象迷倒日本师奶 http://ent.sina.com.[...] 2007-10-13
[19] 웹사이트 「天地人」放送前情報 http://www.nhk.or.jp[...] NHK
[20] 웹사이트 殿といっしょ Staff and Cast http://www.tono-anim[...]
[21] 웹사이트 Live-Action Sengoku Basara Show's Cast Revealed in Costume https://www.animenew[...] 2012-07-03
[22] 웹사이트 Kenshin + Mewtwo http://www.pokemonco[...]
[23] 웹사이트 Nagao Kagetora https://gamepress.gg[...] 2021-06-20
[24] 뉴스 Hanyu takes fresh approach https://www.ifsmagaz[...] 2021-05-02
[25] 뉴스 https://www.sponichi[...] 2021-04-16
[26] 뉴스 Yuzuru Hanyu attempts quadruple Axel, wins Japan figure skating nationals https://olympics.nbc[...] 2021-12-26
[27] Jacar 故上杉輝虎外四名贈位ノ件
[28] 문서 系図纂要, 大日本史料, 上杉三代日記, 北越軍談에서 발췌
[29] 웹사이트 上杉謙信書翰 https://www.city.joe[...]
[30] 웹사이트 武将列伝|軍神・越後の龍 https://www.samuraim[...]
[31] 웹사이트 上杉謙信書翰 https://www.city.joe[...]
[32] 뉴스 「義の武将」謙信 実像に迫る/新史料や分析 過度な美化見直しも 読売新聞 2020-11-04
[33] 서적 長尾為景 戎光祥出版 2023-03
[34] 서적 上杉謙信 山川出版社 2018
[35] 서적 上杉謙信の政治動向 戒光祥出版 2024
[36] 서적 上杉謙信 戎光祥出版 2024-03
[37] 서적 上杉謙信 山川出版社 2018
[38] 논문 再考・黒田秀忠の乱
[38] 서적 上杉謙信 戒光祥出版
[39] 서적 景虎の権力形成と晴景 高志書院 2017
[40] 서적 上杉謙信 山川出版社 2018
[41] 논문 上杉謙信の家督継承と家格秩序の創出
[41] 서적 上杉謙信 戒光祥出版
[42] 서적 北条氏と山内・扇谷両上杉氏 戒光祥出版 2021-07
[43] 서적 三好一族と織田信長 戎光祥出版 2016
[44] 논문 山内上杉氏における官途と関東管領職の問題
[44] 서적 シリーズ・中世関東武士の研究 第一二巻 山内上杉氏 戒光祥出版 2014
[45] 문서 小幡家文書 内閣文庫
[46] 서적 小田氏十五代―豪族四百年の興亡 下巻 https://iss.ndl.go.j[...]
[47] 서적 房総里見氏の研究 寶文堂書店
[48] 논문 上杉謙信の臼井城攻めについて
[49] 간행물 静岡県史
[50] 논문 北条氏秀と上杉景虎
[51] 논문
[52] 서적 信長と将軍義昭―提携から追放、包囲網へ― 中央公論新社 2014
[53] 서적 不識院御堂と謙信の神格化 高志書院 2017
[54] 논문 米沢藩士市河家による系図作成 山梨県立博物館
[55] 문서 能登国司畠山殿伝記
[56] 문서 老古物語 2011-07
[57] 논문 日本犯罪学会 1963-04
[58] 웹사이트 朱皺漆六枚胴具足 三宝荒神形兜付(伝上杉謙信所用) - 仙台市の指定・登録文化財 http://www.sendai-c.[...] 2021-03-15
[59] 웹사이트 【特集】越後の青苧(あおそ)は上杉謙信の財源だったのか?歴史上の謎を探る https://www.niikei.j[...] 2022-11-24
[60] 웹사이트 中世の青苧と座|国税庁 https://www.nta.go.j[...] 2022-11-24
[61] 서적 上杉謙信とその一族 戎光祥出版 2024-09
[62] 논문 史論 上杉謙信 戦国孤高の名将の虚実
[63] 문서 謙信公御年譜
[64] 논문 上杉謙信の草津湯治
[64] 서적 上杉謙信 戒光祥出版
[65] 서적 英雄医談-病跡学こぼれ話 新人物往来社 2019-02-07
[66] 문서 上杉家文書
[67] 서적 柿崎景家―川中島先陣 日本城郭資料館出版会 2019-02-07
[68] 논문 上杉謙信の家督継承と家格秩序の創出
[68] 서적 上杉謙信 戒光祥出版
[69] 문서 関八州古戦録
[70] 문서 北条記(相州兵乱記)
[71] 서적 戦国期東国の都市と権力 http://www.shibunkak[...] 2019-02-07
[72] 문서 上杉家文書
[73] 문서 上杉(羽前米澤)家譜
[74] 논문 上杉謙信の家督継承と家格秩序の創出 戒光祥出版
[75] 논문 上杉謙信の家督継承と家格秩序の創出 戒光祥出版
[76] 서적 神になった戦国大名 上杉謙信の神格化と秘密祭祀 洋泉社
[77] 서적 雑兵たちの戦場 朝日新聞社 2019-02-07
[78] 서적 東国の戦国合戦 吉川弘文館
[79] 서적 川中島合戦再考 新人物往来社
[80] 간행물 戦国大名 平凡社
[81] 문서 甲陽軍鑑
[82] 웹사이트 林泉寺 https://niigata-kank[...] 公益社団法人 新潟県観光協会 2022-12-14
[83] 서적 上杉謙信 高志書院
[84] 서적 上杉謙信 高志書院
[85] 서적 上杉謙信 高志書院
[86] 서적 上杉謙信 高志書院
[87] 아카이브 故上杉輝虎外四名贈位ノ件
[88] 뉴스 上越市、「謙信の愛刀」の購入断念 金額で所有者と折り合いつかず http://www.niigata-n[...] 2017-11-19
[89] 뉴스 上越市が国宝の太刀「山鳥毛」購入断念へ 購入金額折り合わず https://www.joetsutj[...] 2017-11-18
[90] 뉴스 岡山・瀬戸内市が謙信の刀購入へ ふるさと納税活用で財源捻出 http://www.sanyonews[...] 2018-04-24
[91] 뉴스 瀬戸内市、名刀「山鳥毛」購入へ 資金5億円集まる https://www.nikkei.c[...] 2020-01-27
[92] 웹사이트 国宝「太刀 無銘 一文字(山鳥毛)」について - 瀬戸内市公式ホームページ https://www.city.set[...] 2023-03-16
[93] 문서 上杉神社 稽照殿
[94] 논문 上杉謙信の虚像 ─上杉謙信画像と要門派越後流軍学の展開─ 2004-03
[95] 웹사이트 上越市内各所の上杉謙信像11体を紹介 春日山神社には新たな銅像がお目見え https://www.joetsutj[...] 上越タウンジャーナル 2023-05-10
[96] 웹사이트 天と地と http://www9.nhk.or.j[...] 日本放送協会 2015-02-03
[97] 웹사이트 “Gackt謙信”写真集発売、NHK大河ドラマでは史上初 https://beauty.orico[...] ORICON STYLE:eltha 2016-04-06
[98] 웹사이트 GACKT謙信今年も出陣 「今年で一区切り」第90回謙信公祭 https://www.joetsutj[...] 上越タウンジャーナル 2017-09-26
[99] 웹사이트 謙信公祭 http://www.joetsutj.[...] 上越タウンジャーナル 2015-06-16
[100] 문서 엣추, 가가, 노토, 에치젠, 와카사, 이시카와현, 도야마현, 후쿠이현
[101] 문서 니가타를 중심으로 퍼진 샤미센을 끼는 맹인의 여성예능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