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 e스포츠 스타디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용산 e스포츠 스타디움은 2005년 12월 29일 개장한 대한민국 최초의 e스포츠 상설 경기장으로, 서울 용산 아이파크몰에 위치했다. 온게임넷이 방송 시설을 구축하면서 본격적인 e스포츠 경기장으로 활용되었으며, FPS, AOS 게임 전용 부스 설치 및 리모델링을 거쳐 관람 환경을 개선했다. 2016년 4월 16일 마지막 경기를 치른 후 폐장되었으며, 스타리그 명예의 전당은 서울 OGN e스타디움으로 이전되었다.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등 다양한 e스포츠 리그가 이곳에서 개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E스포츠 경기장 - LOL 파크
LOL 파크는 라이엇 게임즈가 LCK 전용 경기장으로 2018년에 공개한 400석 규모의 공간으로, LCK 경기 개최 및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경기, PC방, 카페 등의 부대시설을 갖추고 있다. - E스포츠 경기장 - 프릭 업 스튜디오
프릭 업 스튜디오는 서울 강남구에 위치한 e스포츠 경기 및 방송 제작 스튜디오로, 곰TV 스튜디오에서 시작하여 아프리카TV에 인수된 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다양한 e스포츠 대회가 개최되고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와 아프리카TV 스타리그가 진행 중이다. - 서울 용산구의 건축물 - 서울중앙성원
서울중앙성원은 대한민국 서울 용산구 이태원에 위치한 한국 최초의 이슬람 사원으로, 한국 전쟁에 참전한 터키 군인들을 통해 한국 무슬림 공동체가 형성된 후 1976년에 완공되었으며, 한국 이슬람교의 중심지 역할을 한다. - 서울 용산구의 건축물 - 한강대교
한강대교는 1917년에 완공된 한강인도교를 전신으로 하며, 일제강점기에 건설되어 한국 전쟁으로 파괴되었으나 1958년에 재건되었고, 1984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2020년에는 서울특별시 등록문화재 제1호로 지정되었다. - 2016년 폐지 - 소사구
소사구는 1988년 설치되었다가 2016년 폐지된 후 2024년 재설치된 부천시의 구이며, 부천시 구시가지에 해당하고 11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양한 교육 기관과 철도 노선이 지나간다. - 2016년 폐지 - 원미구
원미구는 1993년 설치되어 2016년 폐지되었다가 2024년 재설치된 경기도 부천시의 옛 행정 구역으로, 20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약 39만 명의 인구가 거주하고 도서관, 경찰서, 문화 시설 등을 갖추고 있다.
용산 e스포츠 스타디움 - [경기장/극장]에 관한 문서 | |
---|---|
경기장 정보 | |
이름 | 용산 e스포츠 스타디움 |
별칭 | 해당 정보 없음 |
다른 이름 | e-스포츠 상설 경기장 |
위치 |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대로23길 55 (한강로3가 40-999) 아이파크몰 9층 |
좌표 | 해당 정보 없음 |
기공 | 해당 정보 없음 |
건설 기간 | 해당 정보 없음 |
개장 | 2005년 12월 29일 |
보수 | 해당 정보 없음 |
확장 | 해당 정보 없음 |
폐장 | 2016년 4월 16일 |
철거 | 해당 정보 없음 |
소유 | 한국e스포츠협회 |
운영 | 한국e스포츠협회 |
표면 | 해당 정보 없음 |
건설 비용 | 해당 정보 없음 |
건축가 | 해당 정보 없음 |
프로젝트 매니저 | 해당 정보 없음 |
사용처 | e스포츠 경기 |
개최 대회 |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등 |
수용 인원 | 약 200 ~ 250석 |
규모 | 전용 면적 350평 |
2. 설립 배경 및 역사
2005년 12월 29일 한국e스포츠협회 주도로 용산역 아이파크몰 내에 개장하였다. 초기에는 방송 시설 미비로 아마추어 대회 위주로 운영되었으나, 2006년 중반 온게임넷(현 OGN)이 약 15억원을 투자하여 방송 시설을 갖추고 리모델링을 진행하면서 본격적인 e스포츠 리그 중계가 가능해졌다. 2006년 8월 18일 신한은행 스타리그 2006 Season 2 조지명식을 시작으로 공식 방송 경기가 열렸다.
이후에도 경기장 시설 개선은 계속되었다. 2011년 10월에는 FPS 게임 및 AOS 게임 전용 부스가 추가되었고, 2013년에는 HD 방송 설비 구축을 위한 리모델링을 거쳐 같은 해 4월 3일 재개관했다.
약 10년간 한국 e스포츠의 중심지 역할을 했던 용산 e스포츠 스타디움은 2016년 4월 16일 롯데 꼬깔콘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스프링 2016 플레이오프 경기를 마지막으로 운영을 종료하였다.
2. 1. 초기 설립
2005년 10월 20일, 한국e스포츠협회는 용산역 인근 아이파크몰의 운영업체인 현대역사와 제휴를 맺고, 아이파크몰 내부에 전용 면적 350평, 관람석 500석 규모의 e스포츠 상설 경기장을 구축하기로 했다. 이후 공사 기간을 거쳐 같은 해 12월 29일에 경기장이 개장하였다.개장 초기에는 방송 시설이 갖추어지지 않아 주로 아마추어 대회 중심으로 운영되었다. 그러나 2006년 중반, 게임 전문 방송국 온게임넷(현 OGN)이 한국e스포츠협회와 용산 경기장 사용 계약을 체결하고 약 15억원을 투자하여 상황이 변화했다. 온게임넷의 투자로 방송 시설 설치와 리모델링이 이루어졌고, 2006년 8월 18일 신한은행 스타리그 2006 Season 2 조지명식을 시작으로 용산 e스포츠 스타디움에서 공식적인 방송 경기를 진행할 수 있게 되었다.
2. 2. 방송 시설 구축 및 확장
2005년 12월 29일 개장 초기에는 방송 시설이 갖추어지지 않아 아마추어 대회 위주로 운영되었다. 이후 2006년 중반 온게임넷이 한국 e스포츠 협회와 용산 경기장 사용 계약을 체결하고 15억원의 비용을 투자하여 방송 시설 설치와 리모델링을 진행했다. 이를 통해 2006년 8월 18일 신한은행 스타리그 2006 Season 2 조지명식을 시작으로 용산 e스포츠 스타디움에서 공식 방송 경기를 진행할 수 있게 되었다.2011년 10월에는 FPS 게임 및 AOS 게임 전용 부스가 마련되었다. 이 과정에서 관중석이 120여 석으로 감소하였으나, 전체적으로는 200명에서 300명 정도의 관중을 수용할 수 있었다.
2013년 2월 24일,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12-13 3라운드 CJ 엔투스와 웅진 스타즈의 경기를 마지막으로 HD 방송 설비 구축을 위한 리모델링 공사에 들어갔다. 이로 인해 모든 리그가 약 1개월간 중단되었다. 같은 해 4월 3일, OLYMPUS LOL Champions Spring 12강 개막전을 통해 리모델링을 마치고 공식적으로 재개관했다. 이 리모델링 과정에서 옵저버실을 통제실로 이전하면서 기존의 관중석이 200석에서 250석 규모로 다시 늘어났다.
2. 3. 폐장
2016년 4월 16일 롯데 꼬깔콘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스프링 2016 KT 롤스터와 SK텔레콤 T1의 플레이오프 경기를 마지막으로 용산 e스포츠 스타디움의 시대가 막을 내렸다.3. 스타리그 명예의 전당
'''스타리그 명예의 전당'''은 역대 스타리그의 역사를 조명하는 공간으로 2007년 5월 11일에 설립되었으며, 주경기장 뒤편에 자리하고 있었다. 서울 OGN e스타디움 개장으로 인해 스타리그 명예의 전당 역시 서울 OGN e스타디움으로 이전되었다.
3. 1. 설립 목적 및 위치
'''스타리그 명예의 전당'''은 역대 스타리그의 역사를 조명하기 위해 2007년 5월 11일에 설립된 공간으로, 용산 e스포츠 스타디움 주경기장 뒤편에 자리하고 있었다. 서울 OGN e스타디움이 개장하면서 스타리그 명예의 전당 역시 해당 장소로 이전되었다.
명예의 전당에는 다음과 같은 전시 공간이 마련되어 있었다.
- '''The STARLEAGUE''': 99 프로게이머 코리아 오픈부터 옥션 올킬 스타리그 2013까지 역대 스타리그 우승자를 기리는 공간이다. 경기 현장 및 우승자 사진, 역대 스타리그 개최 기간, 역대 우승자 나이 등의 기록 자료가 함께 전시되었다. 다만, 스타크래프트 승부조작 사건에 연루되어 기록이 말소된 선수의 사진은 삭제되었다.
- '''핸드프린팅''': 스타리그 100승을 달성한 임요환, 홍진호, 송병구, 이영호와 스타리그 최초 골든 마우스 수상자인 이윤열의 손도장이 전시되어 있었다.
3. 2. 전시 내용
'''스타리그 명예의 전당'''은 역대 스타리그의 역사를 조명하는 공간으로 2007년 5월 11일에 설립되었으며, 주경기장 뒤편에 자리하고 있었다. 주요 전시 내용은 다음과 같다.
- '''The STARLEAGUE''': 99 프로게이머 코리아 오픈부터 옥션 올킬 스타리그 2013까지 역대 스타리그 우승자를 기리는 전시 공간이다. 경기 현장과 우승자 모습이 담긴 사진을 비롯하여, 역대 스타리그 개최 기간, 역대 우승자 나이 등의 기록 자료가 함께 전시되어 있다.
- * 다만, 스타크래프트 승부조작 사건에 연루되어 기록이 말소된 선수의 사진은 e스포츠 정신을 기리기 위해 명예의 전당에서 삭제되었다.
- '''핸드프린팅''': 스타리그에서 100승 이상을 기록한 임요환, 홍진호, 송병구, 이영호와 스타리그 최초로 골든 마우스를 수상한 이윤열의 손바닥 도장이 전시되어 있다.
4. 진행된 리그
-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 월드 오브 탱크 리그
- 하스스톤 마스터즈 코리아
- 스베누 11차 소닉 스타리그 시즌2 듀얼 토너먼트
- HOT6 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 슈퍼리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