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용인 보정동 고분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용인 보정동 고분군은 경기도 용인시 보정동 삼막곡에 위치한 신라 시대 대규모 고분군으로, 6세기 후반 신라가 한강 유역을 점령한 시기부터 9세기까지 조성되었다. 약 130여 기의 무덤이 확인되었으며, 돌덧널무덤과 돌방무덤 형태를 띤다. 이 지역은 신라의 한강 유역 진출의 교두보였으며, 백제, 고구려, 신라가 각축전을 벌이던 곳으로, 학술적 가치가 높다. 주요 유물로는 굽다리긴목항아리, 굽다리접시, 청동 허리띠 장식 등이 출토되었으며, 2011년 명칭이 변경되었다. 2020년 역사문화환경 보존지역으로 지정되어 관리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용인시의 무덤 - 이한응 묘
    대한제국 말기 순국선열 이한응의 묘소는 경기도 용인시에 있으며, 묘비에는 그의 애국심을 기리는 비문이 새겨져 있고 사후 장충단에 배향되었다.
  • 용인시의 무덤 - 용인 왕산리 지석묘
    용인 왕산리 지석묘는 경기도 용인시에 있는 청동기 시대의 탁자식 고인돌 유적으로, 덮개돌의 보존 상태가 뛰어나 선사시대 고인돌 축조 기술을 보여준다.
  • 신라의 무덤 - 대릉원
    신라시대 고분군인 대릉원은 경주 황남동 일대에 위치하며 미추왕릉, 천마총, 황남대총 등의 고분이 있고, 특히 천마총에서는 천마도가 그려진 말안장 드리개가 출토되었다.
  • 신라의 무덤 - 경주 김유신묘
    경주 김유신묘는 삼국 통일에 기여한 김유신을 기리는 묘로, 넓은 부지와 십이지신상이 조각된 호석 등을 갖추고 있지만, 묘의 주인공에 대한 논란이 존재한다.
  • 용인시의 문화유산 - 처인성
    처인성은 경기도 용인시에 위치한 사다리꼴 토성으로, 고려시대 몽골 침입을 막아낸 격전지이자 김윤후가 몽골군을 격퇴한 처인성 전투로 유명하며, 임진왜란 당시 왜군의 북상을 저지하는 데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 역사적인 장소이다.
  • 용인시의 문화유산 - 용인 할미산성
    용인 할미산성은 경기도 용인시에 위치한 산성으로, 내성과 외성으로 구분되며 삼국시대에서 남북국 시대에 걸쳐 축조된 것으로 추정된다.
용인 보정동 고분군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보정동 고분군
이름용인 보정동 고분군
영어 이름Ancient Tombs in Bojeong-dong, Yongin
유형사적
지정 번호500
지정일2009년 6월 24일
주소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보정동 산121-2번지 일원
시대신라
면적18,473m2
문화재청 ID13,05000000,31

2. 역사적 가치

용인 보정동 고분군은 중부 지역에 위치한 신라 시대의 대규모 고분군으로, 130여 기의 무덤이 넓게 분포하고 있다. 이 고분군은 6세기 후반 신라가 한강 유역으로 진출한 후 9세기까지 한강 유역을 점유한 시기에 조성된 것으로, 신라의 한강 진출 과정에서 탄천성복천 주변 지역이 중요한 교두보 역할을 했음을 보여준다. 인근의 할미산성, 석성산성과 함께 신라 세력의 성장을 상징하는 중요한 유적으로 평가받는다.[4]

특히, 주변의 동천동, 마북동, 성복동, 죽전동, 풍덕천동 등지에서는 백제 한성 시기 주거지는 물론, 껴묻거리 흔적이 있는 고구려 무덤과 고구려, 신라 마을터가 지속적으로 발견되고 있어, 이 일대가 삼국 간의 치열한 각축장이었음을 알 수 있다.[1]

보정동 고분군처럼 장기간에 걸쳐 대규모로 조성된 신라 고분군은 중부 지역에서 드물어 학술적 가치가 높다. 대표적인 무덤 형태는 돌덧널무덤과 돌방무덤이며, 고분군 주위에서 호석이 발견되고, 출토 유물을 통해 피장자들이 경주와 밀접한 진골 지배 세력으로 추정된다. 내부에서는 굽다리긴목항아리, 굽다리접시, 짧은목항아리, 청동허리띠장식, 금제허리띠장식 등 중요한 유물이 발굴되었다.[1]

이 고분군은 충청 이북 지역에서 확인된 신라 고분군 중 가장 장기간에 걸친 유적으로, 《충주 누암리 고분군》, 《여주 매룡리 고분군》에 필적할 만큼 유구가 잘 남아있고 유물도 다수 출토되어 역사적, 학술적 가치가 뛰어나다.[1]

2. 1. 한강 유역 진출의 교두보

용인 보정동 고분군(삼막곡) 신라 6~9C


탄천과 그 지류인 성복천 주변은 신라한강 유역으로 진출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교두보였다. 인근의 할미산성, 석성산성과 더불어 신라 세력의 성장을 상징하는 중요한 유적이다.[4] 특히 이 주변 동천동, 마북동, 성복동, 죽전동, 풍덕천동에서는 백제 한성시기 주거지는 물론 껴묻거리 흔적이 보이는 고구려 무덤과 고구려, 신라 마을터가 계속 조사되고 있어 이 일대가 삼국이 서로 차지하려고 하는 거점이었음을 분명하게 알 수 있다.

2. 2. 삼국의 각축지



용인 보정동 삼막곡에 있는 보정동 고분군은 중부지역에 위치하는 신라시대의 대규모 고분군으로 약 130여 개의 무덤이 넓게 펼쳐져 있다. 보정동 고분군의 중심 시기는 6세기 후반 신라가 한강 유역에 진출한 후 9세기까지 한강 유역을 점유한 시기이다. 신라의 한강 진출 과정에서 탄천과 탄천의 지류인 성복천 주변 지역은 매우 중요한 교두보였고, 인근의 할미산성, 석성산성과 더불어 신라 세력의 성장을 상징하는 중요한 유적이다.

특히 이 주변 동천동, 마북동, 성복동, 죽전동, 풍덕천동에서는 백제 한성시기 주거지는 물론 껴묻거리 흔적이 보이는 고구려 무덤과 고구려, 신라 마을터가 계속 조사되고 있어 이 일대가 삼국이 서로 차지하려고 하는 거점이었음을 분명하게 알 수 있다.[1] 중부지역의 신라 고분군 중 보정동 고분군처럼 장기간에 걸쳐 대규모로 조성된 고분군은 흔치 않아 학술적으로 가치가 높다. 대표적인 유구는 돌덧널무덤과 돌방무덤으로 돌을 네모나게 쌓아 시신을 모시는 공간을 만들고 뚜껑돌을 덮은 형태의 무덤이다. 신라 무덤으로는 고분군 주위에 호석이 발견되고 있으며, 출토 유물과 관련해서 피장자의 성격을 재지 세력이 아닌 경주와 밀접한 진골 지배 세력으로 추정할 수 있다. 내부에서는 굽다리긴목항아리, 굽다리접시, 짧은목항아리, 청동허리띠장식, 금제허리띠장식 등의 중요한 유물이 발굴되었다. 충청 이북 지역에서 확인된 신라 고분군 중 가장 장기간에 걸친 유적으로서 학술적 가치가 매우 크다.[1]

충청·경기 지역 소재 신라 고분군 중 《충주 누암리 고분군》, 《여주 매룡리 고분군》에 필적하는 것으로서 지금까지 발굴 결과 유구가 잘 남아있고 유물도 다수 출토되는 등 역사적, 학술적 가치가 뛰어나다.[1]

2. 3. 대규모 신라 고분군



용인 보정동 삼막곡에 있는 보정동 고분군은 중부지역에 위치하는 신라시대의 대규모 고분군으로 약 130여 개의 무덤이 넓게 펼쳐져 있다. 보정동 고분군의 중심 시기는 6세기 후반 신라가 한강 유역 진출 후 9세기까지 신라가 한강 유역을 점유한 시기이다. 탄천과 탄천의 지류인 성복천 주변 지역은 신라의 한강 진출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교두보였고 인근의 할미산성, 석성산성과 더불어 신라 세력의 성장을 상징하는 중요한 유적이다. 특히 이 주변 동천동, 마북동, 성복동, 죽전동, 풍덕천동에서는 백제 한성시기 주거지는 물론 껴묻거리 흔적이 보이는 고구려 무덤과 고구려, 신라 마을터가 계속 조사되고 있어 이 일대는 삼국이 서로 차지하려고 하는 거점이었음을 분명하게 알 수 있다.

중부지역의 신라 고분군 중 보정동 고분군처럼 장기간에 걸쳐 대규모로 조성된 고분군은 흔치 않아 학술적으로 가치가 높다. 대표적인 유구는 돌덧널무덤과 돌방무덤으로 돌을 네모나게 쌓아 시신을 모시는 공간을 만들고 뚜껑돌을 덮은 형태의 무덤이다. 신라 무덤으로는 고분군 주위에 호석이 발견되고 있으며 출토 유물과 관련해서 피장자의 성격을 재지 세력이 아닌 경주와 밀접한 진골 지배 세력으로 추정할 수 있다. 내부에서는 굽다리긴목항아리, 굽다리접시, 짧은목항아리, 청동허리띠장식, 금제허리띠장식 등의 중요한 유물이 발굴되었다. 충청 이북 지역에서 확인된 신라 고분군 중 가장 장기간에 걸친 유적으로서 학술적 가치가 매우 크다.

충주 누암리 고분군》, 《여주 매룡리 고분군》에 필적하는 것으로서 지금까지 발굴 결과 유구가 잘 남아있고 유물도 다수 출토되는 등 역사적, 학술적 가치가 뛰어나다.[4]

3. 구조 및 특징

용인 보정동 고분군은 돌덧널무덤(석곽묘)과 돌방무덤(석실묘) 등 다양한 형태의 무덤이 혼재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돌덧널무덤은 돌을 네모나게 쌓아 시신을 안치하는 공간을 만들고 뚜껑돌을 덮은 형태이다. 고분군 주위에 호석이 발견되는 것으로 보아 신라 무덤으로 추정되며, 굽다리긴목항아리, 굽다리접시, 청동허리띠장식 등 중요한 유물이 발굴되었다.

돌방무덤은 돌로 방을 만들고 그 안에 시신을 안치하는 형태로, 돌덧널무덤보다 발전된 형태이다. 횡구식석실묘(橫口式石室墓)가 주를 이루며, 시신을 추가로 매장하기에 용이하다. 주요 출토 유물로는 단각고배(短脚高杯), 인화문(印花文) 토기, 청동대금구(靑銅帶金具), 철제관정(鐵製棺釘) 등이 있다.

이 고분군 주위에서 발견되는 호석(護石)과 출토 유물은 피장자가 재지세력이 아닌 경주와 밀접한 진골 지배 세력임을 보여준다.

3. 1. 돌덧널무덤 (석곽묘)

돌을 네모나게 쌓아 시신을 안치하는 공간을 만들고 뚜껑돌을 덮은 형태의 무덤이다.[4] 고분군 주위에 호석이 발견되는 것으로 보아 신라 무덤으로 보이며, 출토 유물과 관련하여 피장자의 성격을 재지 세력이 아닌 경주와 밀접한 진골 지배 세력으로 추정할 수 있다. 내부에서는 굽다리긴목항아리, 굽다리접시, 짧은목항아리, 청동허리띠장식, 금제허리띠장식 등의 중요한 유물이 발굴되었다.

3. 2. 돌방무덤 (석실묘)

돌로 방을 만들고 그 안에 시신을 안치하는 형태로, 돌덧널무덤보다 발전된 형태이다. 횡구식석실묘(橫口式石室墓)가 주를 이룬다.[4] 횡구식 석실묘는 시신을 추가로 매장하기에 용이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보정동 고분군에서 조사된 고분은 횡구식석실묘가 주를 이루고 있다.[4] 주요 출토 유물로는 단각고배(短脚高杯), 부가구연대부장경호(附加口緣臺附長頸壺), 인화문(印花文) 토기, 유개고배(有蓋高盃), 유개대부완(有蓋臺附碗), 유개대부발(有蓋臺附鉢), 단경호(短頸壺), 청동대금구(靑銅帶金具), 철제관정(鐵製棺釘) 등이 있다.[4]

3. 3. 호석

고분군 주위에서 호석(護石)이 발견되고 있으며, 출토 유물과 관련하여 피장자(被葬者)는 재지세력(在地勢力)이 아닌 경주와 밀접한 진골 지배 세력으로 추정할 수 있다.

4. 주요 출토 유물

용인 보정동 고분군에서는 토기류와 금속류 유물이 출토되었다. 토기류는 굽다리긴목항아리, 굽다리접시, 짧은목항아리 등과 신라 후기 및 통일신라 양식 토기가 함께 발견되었다. 금속류로는 청동허리띠장식, 금제허리띠장식, 철제관정 등이 출토되었는데, 이는 피장자가 경주 지역 진골 지배세력과 관련 있음을 보여준다.[4]

4. 1. 토기류

용인 보정동 고분군에서는 굽다리긴목항아리(장경호, 長頸壺), 굽다리접시(고배, 高杯), 짧은목항아리(단경호, 短頸壺) 등이 출토되었다.[4] 이와 함께 전형적인 신라 후기 양식 토기인 단각고배(短脚高杯)와 부가구연대부장경호(附加口緣臺附長頸壺), 통일신라 양식 토기인 인화문(印花文) 토기, 유개고배(有蓋高盃), 유개대부완(有蓋臺附碗), 유개대부발(有蓋臺附鉢) 등도 함께 출토되었다.[4]

4. 2. 금속류

금속류로는 청동허리띠장식(청동대금구, 靑銅帶金具), 금제허리띠장식, 철제관정(鐵製棺釘) 등이 출토되었다. 이러한 유물은 피장자가 경주 지역의 진골 지배세력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보여준다.

5. 명칭 변경

당초 문화재 지정 명칭은 '''용인 보정동 고분군'''이었으나, 2011년 7월 28일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2]

6. 보존 및 관리

2020년 2월 7일 문화재청은 문화재보호법 제13조 및 토지이용규제기본법 제8조에 따라 제500호 용인 보정동 고분군의 역사문화환경 보존지역 내 건축행위 등에 관한 허용기준을 고시하였다.[3]

참조

[1] 간행물 문화재청고시제2009-55호(국가지정문화재[사적] 지정 및 지형도면) http://gwanbo.mois.g[...] 관보(정호) 2009-06-24
[2] 간행물 문화재청고시제2011-116호(국가지정문화재[사적] 지정명칭 변경 및 지정·해제) http://gwanbo.mois.g[...] 관보(정호) 2011-07-28
[3] 간행물 문화재청고시제2020-10호(안성 도기동 산성 등 2개소 국가지정문화재 역사문화환경보존지역 내 건축행위 등에 관한 허용기준 마련 및 변경) http://gwanbo.mois.g[...] 관보(정호) 2020-02-07
[4] 문서 현지 안내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