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우로보로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로보로스는 꼬리를 물고 있는 뱀 또는 용의 형상으로, 영원한 순환, 생, 사, 부활을 상징한다. 고대 이집트에서 처음 나타났으며, 헬레니즘 문화, 연금술, 융 심리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었다. 고대 이집트에서는 태양신 라를 수호하는 메헨을, 영지주의에서는 세계의 영혼을, 연금술에서는 상반된 것의 통일을, 융 심리학에서는 인간 정신의 원형을 상징했다. 북유럽 신화에서는 세계를 둘러싼 뱀 요르문간드로 등장하며, 현대에는 사이버네틱스, 문학, 영화, 게임 등 다양한 대중문화 작품에서 레퍼런스로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그리스의 연금술 - 그리스 마법 파피루스
    《그리스 마법 파피루스》는 헬레니즘 시대와 로마 시대에 걸쳐 다양한 마법 주문과 의식을 담고 있으며, 그리스, 이집트, 유대교 등의 종교가 혼합된 종교적 혼합주의를 보여주는 고대 이집트 파피루스 컬렉션이다.
  • 양사오 문화 - 봉황
    봉황은 닭, 제비, 뱀, 학, 물고기, 원앙, 거북, 매의 모습을 닮고 오색 빛깔과 아름다운 울음소리를 지닌 상서로운 새로, 평화와 번영, 행복의 상징으로 여겨지며 한국에서는 하늘과 땅을 잇는 매개체로 신성시된다.
  • 양사오 문화 - 삼족오
    삼족오는 동아시아 신화에 등장하는 세 발 달린 까마귀로, 태양을 상징하며, 중국, 한국, 일본 등 각 문화권에서 다른 의미로 나타난다.
  • 이집트의 상징 - 우라에우스
    우라에우스는 고대 이집트에서 파라오의 권위를 상징하는 코브라 형상의 장식으로, 와제트 여신을 상징하며 이집트 통일 후에는 네크베트와 함께 공동 수호신의 역할을 수행했고, 파라오의 신성함과 적을 물리치는 수호의 의미를 지녔다.
  • 이집트의 상징 - 이집트의 국장
    이집트의 국장은 살라딘의 독수리 디자인을 바탕으로, 발톱에는 "이집트 아랍 공화국"이라고 쓰여진 두루마리를 들고 있으며, 고대부터 권력의 상징이었던 독수리는 혁명을 거쳐 현재 디자인으로 이어져 이집트를 대표한다.
우로보로스
개요
자신의 꼬리를 먹는 뱀 또는 용을 묘사한 우로보로스 그림
자신의 꼬리를 먹는 뱀 또는 용을 묘사한 우로보로스 그림
어원고대 그리스어: Οὐροβóρος (Ourobóros)
꼬리를 삼키는 자
상징
의미순환
영원
시작과 끝의 융합
자기 충족성
윤회
불멸
문화적 중요성연금술
영지주의
융 심리학
다양한 신화와 종교
연금술에서의 우로보로스
상징적 의미하나임 (Hen to Pan)
물질의 순환
영원회귀
연금술 도해연금술 도해에서 자주 등장하는 모티프
영지주의에서의 우로보로스
의미자기 보존과 영원한 귀환의 상징
관련 개념빛의 영역으로 돌아가려는 인간의 노력
플레로마와의 재결합
융 심리학에서의 우로보로스
의미원형적 이미지, 의식과 무의식의 통합
개인의 심리적 발달 단계자기 인식의 초기 단계, 자아의 통합
문화적 변형
노르드 신화요르문간드 (세상을 둘러싼 거대한 뱀)
아즈텍 문명케찰코아틀 (깃털 달린 뱀 신)
기타 문화다양한 문화권에서 유사한 상징적 표현 존재
현대적 사용
예술 및 문학상징적 의미를 담아 다양한 작품에서 활용
대중 문화영화, 소설, 게임 등에서 모티프로 사용

2. 명칭 및 해석

"우로보로스"라는 용어는 그리스어 οὐροβόρος에서 유래되었으며,[6] οὐρά (oura) '꼬리'에 -βορός (-boros) '-먹는'이 더해진 것이다.[7][8]

옛날 사람들은 뱀이 탈피하는 것을 ‘낡은 육체를 버리고 새로운 육체를 얻었다’고 생각했다. 이는 곧 불사신을 의미했고, 이 생각에서 우로보로스가 생겨났다. 고대 그리스에서는 우로보로스가 자신의 입(몸의 시작)으로 자신의 꼬리(몸의 끝)를 묾으로써 처음과 마지막이 묶인 원이 되어 탄생과 죽음의 결합을 상징한다고 생각했다. 또한, 원을 따라가면 끝없이 회전하는 모습 때문에 ‘불사’ 또는 ‘무한’과 같은 의미를 부여했고, 탄생과 죽음을 반복하는 ‘시간’이라는 의미도 포함되었다.

뱀이 허물을 벗는 것은 영혼의 윤회를 상징한다. 자신의 꼬리를 물고 있는 뱀은 일부 종교에서 다산의 상징인데, 꼬리는 남근 상징이며 입은 여성 생식기 또는 자궁과 같은 상징이다.[9]

우로보로스는 종종 영원한 순환적 갱신 또는 생, 사, 부활의 순환을 상징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3. 역사적 표현

우로보로스의 최초 묘사, 투탕카멘의 석관을 둘러싼 신사 중 하나에 새겨져 있다.


꼬리를 삼키는 우로보로스; 모스코위츠가 용자리에 대한 상징을 기반으로 함


우로보로스는 고대부터 여러 문화권에서 다양한 상징으로 나타났다. 가장 오래된 우로보로스 모티브는 기원전 14세기 투탕카멘 무덤에서 발견된 고대 이집트 장례 텍스트인 ''저승의 수수께끼 책''에서 발견된다. 여기서 우로보로스는 오시리스의 결합을 상징하며, 시간의 시작과 끝을 나타낸다.[10]

이집트에서 유래한 우로보로스 상징은 로마 이집트 시대로 이어져 마법 부적에 사용되기도 했다. 4세기 세르비우스는 뱀이 꼬리를 무는 이미지가 1년의 순환적 성격을 나타낸다고 언급했다.[12]

고대 그리스에서는 탄생과 죽음의 결합, 불사, 무한, 시간 등을 상징했다. 영지주의에서는 예수 그리스도를 상징하기도 했으며, 중세 연금술에서는 현자의 돌을 상징하는 중요한 기호였다.

북유럽 신화에서는 요르문간드라는 거대한 뱀이 세상을 둘러싸고 자신의 꼬리를 물고 있는 모습으로 묘사된다. 인도베다 텍스트에서도 유사한 상징이 나타난다.

힌두교에서는 세계를 지탱하는 코끼리, 거북이, 그리고 꼬리를 문 용의 형상으로 나타난다. 중국 홍산 문화 유적에서는 꼬리를 물고 있는 돼지 모양의 옥룡이 발견되었으며, 아즈텍 문명에서는 케찰코아틀이 꼬리를 물고 있는 모습으로 그려졌다. 남아메리카 원주민들은 세계를 둘러싼 물이 꼬리를 무는 뱀으로 둘러싸여 있다고 믿었다.

3. 1. 고대 이집트

가장 초기에 알려진 우로보로스 모티브 중 하나는 기원전 14세기에 투탕카멘의 무덤인 KV62에 있는 고대 이집트 장례 텍스트인 ''저승의 수수께끼 책''에서 발견된다. 이 텍스트는 의 행적과 그가 저승에서 오시리스와 결합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우로보로스는 이 형상에서 두 번 묘사된다. 꼬리를 입에 물고, 하나는 머리와 상체를 감싸고, 다른 하나는 큰 형상의 발을 감싸고 있는데, 이는 통일된 라-오시리스(다시 태어난 로서의 오시리스)를 나타낼 수 있다. 두 뱀 모두 다른 장례 텍스트에서 저승 여정에서 라를 보호하는 신 메헨의 현현이다. 이 신성한 형상 전체는 시간의 시작과 끝을 나타낸다.[10]

우로보로스는 이집트 자료에서도 나타나는데, 많은 이집트 뱀 신과 마찬가지로, 질서 있는 세계를 둘러싼 무형의 무질서를 나타내며, 이 세계의 주기적인 갱신에 관여한다.[11] 이 상징은 이집트 시대에서 로마 이집트 시대로 이어졌으며, 때때로 다른 마법의 상징과 함께 마법 부적에 자주 나타났다. 4세기 CE 라틴어 주석가인 세르비우스는 뱀이 꼬리를 무는 이미지가 1년의 순환적 성격을 나타낸다는 점을 언급하며, 이집트에서 이 상징을 사용한 것을 알고 있었다.[12]

오늘날 볼 수 있는 우로보로스의 기원이 되는, 자신의 꼬리를 물고 있는 뱀(또는 용)의 그림의 원형은, 기원전 1600년경의 고대 이집트 문명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이집트 신화에서, 태양신 (레)의 밤의 항해를 수호하는 신인 메헨이 이에 해당하며, 라의 항해를 방해하는 아페프로부터 라를 지키기 위해, 우로보로스처럼 라를 둘러싸고 있다.

3. 2. 고대 그리스

고대 그리스에서는 우로보로스가 자신의 입(몸의 시작)으로 자신의 꼬리(몸의 끝)을 묾으로써 처음과 마지막이 묶인 원이 되어 탄생과 죽음의 결합을 상징한다고 생각되었다. 또한 원을 손가락으로 따라가다 보면 끝을 찾지 못하고 무한하게 회전을 되풀이한다는 점 때문에 ‘불사’ 또는 ‘무한’ 등과 같은 의미가 주어졌다. 그리고 그 속에는 탄생과 죽음을 끝없이 되풀이하는 ‘시간’이라는 의미도 포함되어 있었다.

3. 3. 영지주의와 연금술

2세기영지주의에서는 우로보로스를 예수 그리스도를 상징한다고 생각하여 뱀을 공경했다. 그 이유는 탄생과 죽음을 되풀이하는 우로보로스 속에서 예수의 부활을 발견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윽고 영지주의파는 뱀을 악마의 하수인으로 여기는 당시 로마 가톨릭 교회에 의해 탄압을 받고 쇠퇴했다.[50]

중세 연금술사들은 자신들의 지식을 감추려고 많은 암호와 기호를 써서 사람들의 눈을 피했다. 특히 우로보로스를 가장 중요한 상징으로 여겼으며, 이를 의미하는 문자로서 'O'를 사용했다. 이는 우로보로스가 처음과 끝을 동시에 가진 존재, 즉 ‘모든 것’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로보로스는 ‘세계’와 ‘완전’과 같은 의미도 내포하게 되었다.[50]

한편 이 처음과 끝 사이에는 ‘과정’이 있는데 그것은 언제나 바뀌게 마련이므로, 우로보로스란 이름에는 ‘변화’라는 뜻도 포함되어 있었다. 그리고 이 ‘완전’과 ‘변화’라는 개념 때문에 우로보로스는, 또한 아무것도 아닌 하찮은 금속을 완전한 금속인 황금으로 변화시키는 현자의 돌을 나타내는 상징물이 되었다. 아울러 그것이 모든 지식의 근원이라는 생각에서, 우로보로스는 ‘지식’까지도 뜻하게 되었다.[50]

초기 연금술 오로보로스 삽화로, "ἓν τὸ πᾶν"(모든 것은 하나)이라는 단어를 포함한다.


초기 연금술 텍스트인 ''클레오파트라의 Chrysopoeia''(Κλεοπάτρας χρυσοποιία|클레오파트라스 크뤼소포이이아grc)에서 유래된 유명한 오로보로스 그림은, 아마도 3세기 알렉산드리아에서 시작되었지만, 10세기의 사본에서 처음 알려졌으며, "모든 것은 하나"라는 의미의 ''hen to pan''(ἓν τὸ πᾶν|헨 토 판grc)이라는 단어를 포함하고 있다. 검은색과 흰색의 반쪽은 도교음양 상징과 유사하게 존재의 영지주의 이원론을 나타낼 수 있다.[14] 클레오파트라 연금술사의 chrysopoeia 오로보로스는 연금술사들의 전설적인 ''오푸스'', 즉 현자의 돌과 관련된 가장 오래된 오로보로스 이미지 중 하나이다.

15세기 연금술 필사본 ''오로라 콘수르겐스(The Aurora Consurgens)''에는 오로보로스가 등장하며, 해, 달, 수은의 상징과 함께 사용되었다.[15]

3. 4. 북유럽 신화

북유럽 신화에서 우로보로스는 로키와 앙르보다의 세 자녀 중 하나인 뱀 요르문간드로 등장하는데, 요르문간드는 너무 커져서 세상을 둘러싸고 꼬리를 입으로 물 수 있었다.[17] 라그나르 로드브로크의 전설인 ''라그나르 사가''에서 예르족의 왕 헤라우드는 딸 토라 타운-하르트에게 작은 린드웜을 선물하는데, 이후 린드웜은 커다란 뱀으로 자라 소녀의 보우어를 둘러싸고 꼬리를 물었다.[17] 이 뱀은 라그나르 로드브로크에 의해 죽임을 당하고, 그는 토라와 결혼한다.[17] 라그나르는 나중에 크라카라는 다른 여자와 아들을 낳았는데, 이 아들은 한쪽 눈에 흰 뱀의 형상을 가지고 태어났다.[17] 이 뱀은 홍채를 둘러싸고 꼬리를 물었으며, 이 아들은 시구르드 뱀-눈이라고 불렸다.[17]

북유럽 신화에서 미드가르드를 둘러싸고 자신의 꼬리를 물고 잠자는 "요르문간드"가 등장한다.

3. 5. 인도 사상과의 연관성

아이타레야 브라만은 기원전 1천년기 초반의 베다 텍스트로, 베다 의식의 본질을 "자신의 꼬리를 물고 있는 뱀"에 비유한다.[19]

우로보로스 상징은 쿤달리니를 묘사하는 데 사용되어 왔다.[20] 중세 시대의 요가-쿤달리니 우파니샤드에 따르면, "신성한 힘, 쿤달리니는 어린 연꽃 줄기처럼 빛나고, 뱀처럼 자신을 감아 꼬리를 입에 물고 몸의 기초 부분에서 반쯤 잠들어 있다"(1.82).[21]

힌두교에서는, 세계가 4마리의 코끼리에 의해 지탱되고 있으며, 그 코끼리는 거대한 거북이에 의해 지탱되며, 더 나아가 그 거북이를, 자신의 꼬리를 문 용이 둘러싸고 있다고 한다.

3. 6. 기타 문화권

남아메리카 열대 저지대의 원주민들은 세계 원반의 가장자리에 있는 물이 종종 자기 꼬리를 무는 아나콘다인 뱀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고 믿는다.[18]

중국 신석기 시대 홍산 문화(기원전 4700년 - 기원전 2900년) 유적에서 청색 사문석으로 만들어진 "저룡/옥저룡(zhūlóng)" (촉음과는 다름)이 발굴되었다. 이 유물은 돼지 머리와 뱀의 몸통을 가지고 있으며, 자신의 꼬리를 물고 있는 모습을 하고 있다.

힌두교에서는 세계가 4마리의 코끼리에 의해 지탱되고 있으며, 그 코끼리는 거대한 거북이에 의해 지탱되고, 더 나아가 그 거북이를 자신의 꼬리를 문 용이 둘러싸고 있다고 한다.

톨텍 문명·아즈텍 문명에서는 케찰코아틀이 자신의 꼬리를 물고 있는 모습으로 그려졌다.

4. 현대의 레퍼런스

카를 융은 우로보로스를 원형이자 연금술의 기본적인 만다라로 보았으며, 에리히 노이만은 이를 원아(pre-ego)의 "새벽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묘사했다.[23]

케쿨레가 벤젠 구조를 떠올리게 된 계기가 된 우로보로스


독일의 유기 화학자 아우구스트 케쿨레는 우로보로스의 환영을 본 후 벤젠의 구조를 깨달았다고 묘사했다.[24]

W. 로스 애시비는 저서 "두뇌를 위한 설계"(1952)에서 뇌를 신체의 필수 변수를 임계 범위 내에서 유지하는 피드백 루프의 조절 장치로 보는 생물학적 아이디어를 적용했다. 프란시스코 바렐라는 자기 생산적 자율 시스템 및 "생명의 수수께끼"를 분석하기 위한 논리적 과정 표기법에서 자기 참조[28] 또는 자기 지시를 위한 자기생성적 계산의 이미지나 은유로 꼬리를 물고 있는 뱀을 사용했다. 2차 사이버네틱스는 관찰 대상에 대한 관찰자의 참여, 즉 자기 참조성 원리를 적용하여 관찰자 참여를 탐구한다.[33]

아르마딜로테두리도마뱀의 속명인 'Ouroborus cataphractus'는 몸을 둥글게 말아 꼬리를 입에 무는 방어 자세에서 유래되었다.[35]

는 종종 꼬리를 물고 있는 모습으로 제공된다.


작은 크기의 유럽 대구는 종종 입으로 꼬리를 물고 있는 모습으로 묘사되며, Uma pescadinha de rabo na bocapt (꼬리를 문 작은 대구)와 La pescadilla que se muerde la colaes (꼬리를 무는 대구)는 순환 논법과 악순환을 비유하는 속담이다.[37]

일본 고베시를 거점으로 하는 드래곤 게이트 프로레슬링 단체는 창단 이후 20년 동안 우로보로스를 형상화한 로고를 사용했다.

4. 1. 융 심리학

카를 융은 우로보로스를 원형이자 연금술의 기본적인 만다라로 보았다. 융은 우로보로스와 연금술의 관계를 다음과 같이 정의했다:[23]

융 심리학자 에리히 노이만은 이를 원아(pre-ego)의 "새벽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묘사하며, 인류와 개별 어린이 모두의 분화되지 않은 유아 경험을 묘사한다고 적었다.[23]

4. 2. 케쿨레의 꿈



1872년 케쿨레가 제안한 벤젠 구조


독일의 유기 화학자 아우구스트 케쿨레는 우로보로스의 환영을 본 후 벤젠의 구조를 깨달았다고 묘사했다.[24]

> 나는 교과서를 쓰고 있었지만, 작업은 진전되지 않았고, 내 생각은 딴 데 가 있었다. 의자를 돌려 난로로 향하고 졸았다. 다시 원자들이 내 눈앞에서 뛰어놀고 있었다. 이번에는 더 작은 그룹들이 조심스럽게 배경에 머물렀다. 이러한 종류의 반복적인 비전을 통해 더욱 날카롭게 된 나의 정신적 눈은 이제 다양한 형태의 더 큰 구조를 구별할 수 있었다. 긴 행렬은 때로는 더 가깝게 맞춰져 있었고, 모두 뱀처럼 꼬이고 꼬였다. 그런데 봐! 저건 뭐지? 뱀 중 하나가 자신의 꼬리를 잡고 있었고, 그 형태가 내 눈앞에서 조롱하듯 맴돌았다. 마치 번개처럼 나는 깨어났고, 이번에도 나는 그 가설의 결과를 생각해 내는 데 밤을 다 보냈다.

4. 3. 사이버네틱스

W. 로스 애시비는 정신과 의사로서 자신의 저서 "두뇌를 위한 설계"(1952)에서 생물학적 아이디어를 적용했다. 살아있는 존재는 뇌를 필수적인 피드백 루프의 조절 장치로 하여 신체의 필수 변수를 임계 범위 내에서 유지한다는 것이다. 파마르는 사이버네틱 우로보로스 원리를 음악 즉흥 연주에 적용하는 예술가로서 자신의 실천을 맥락화한다.[27]

꼬리를 물고 있는 뱀은 자기 참조[28] 또는 자기 지시를 위한 자기생성적 계산에서 널리 받아들여지는 이미지 또는 은유이며, 이는 프란시스코 바렐라가 개발한 자기 생산적 자율 시스템 및 "생명의 수수께끼"를 분석하고 설명하기 위한 논리적 과정 표기법이다.

2차 사이버네틱스, 즉 사이버네틱스의 사이버네틱스는 관찰자 참여를 탐구하기 위해 자기 참조성 원리 또는 관찰 대상에 대한 관찰자의 참여를 적용한다.[33] 여기에는 D. J. 스튜어트의 "관찰자 가치 불순물" 영역이 포함된다.[34]

4. 4. 기타

아르마딜로테두리도마뱀의 속명인 'Ouroborus cataphractus'는 몸을 둥글게 말아 꼬리를 입에 무는 방어 자세에서 유래되었다.[35]

작은 크기의 유럽 대구는 스페인어로는 pescadillaes, 포르투갈어로는 pescadapt로 알려져 있으며, 종종 입으로 꼬리를 물고 있는 모습으로 묘사된다. 스페인에서는 (토러스 대구)라는 이름을 얻었다.[36] Uma pescadinha de rabo na bocapt (꼬리를 문 작은 대구)와 La pescadilla que se muerde la colaes (꼬리를 무는 대구)는 순환 논법과 악순환을 비유하는 포르투갈어와 스페인어 속담이다.[37]

일본 고베시를 거점으로 하는 드래곤 게이트 프로레슬링 단체는 창단 이후 20년 동안 우로보로스를 형상화한 로고를 사용했다. 이 로고는 자신의 꼬리를 물어 삼키는 무한대 기호 모양으로 뒤틀린 용의 실루엣이었다. 2019년, 단체는 무한대 용 로고 대신 방패 로고를 채택했다.

5. 대중문화 속 우로보로스

우로보로스는 문학, 영화, TV 시리즈, 게임 등 다양한 대중문화 작품에서 상징으로 등장한다.

5. 1. 문학

미하엘 엔데의 판타지 소설 ''끝없는 이야기''에서 아우린은 두 마리의 뱀이 서로의 꼬리를 물고 있는 우로보로스 형태로 묘사된다.[38] E. R. 에디슨의 소설 ''웜 우로보로스''는 제목과 같이 우로보로스를 주요 모티프로 사용한다. 소설은 자신의 꼬리를 먹는 우로보로스의 순환적인 상징처럼 시작과 동시에 끝을 맺으며, 주요 악당은 우로보로스 형태의 반지를 가지고 있다.

5. 2. 영화 및 TV

TV 시리즈 ''밀레니엄''에서 종말론 집단 밀레니엄 그룹의 상징으로 우로보로스가 사용된다.[42] 데이나 스컬리는 ''X파일'' 시즌 4 에피소드 "네버 어게인"(1997)에서 우로보로스 문신을 새긴다.[43]

사이버펑크 넷플릭스 시리즈 ''얼터드 카본'' 시즌 1 (2018)에서 주인공 타케시 코바치는 무한대 기호 모양의 우로보로스 문신을 새겼다.[45]

텔레비전 시리즈 ''로키'' 시즌 2에서 오로보로스(배우: 관계위)라는 캐릭터가 등장한다.[46]

5. 3. 게임

스플래툰 3에는 뱀과 같은 살몬이드 생물인 호러보로스가 이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48]

영웅전설 궤적 시리즈에는 수수께끼의 조직인 우로보로스 결사가 등장하며, 이들의 구성원은 시리즈에서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적대 세력으로 활약한다.

참조

[1] 서적 Theodoros Pelecanos's manuscript of an alchemical tract attributed to Synesius Oxford University Press
[2] 웹사이트 uroboros https://web.archive.[...] Oxford University Press
[3] 웹사이트 ouroboros https://www.dictiona[...] Random House
[4] 웹사이트 Salvador Dalí: Alchimie des Philosophes {{!}} The Ouroboros https://libmedia.wil[...] Willamette University
[5] 서적 The New Encyclopedia of Snakes Princeton University Press
[6] 서적
[7] 서적
[8] 서적
[9] 서적 Humans and Other Animals Ohio State University Press
[10] 서적 The Ancient Egyptian Books of the Afterlife Cornell University Press
[11] 서적 Conceptions of God in Egypt: The One and the Many Cornell University Press
[12] 간행물 Aeneid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3] 간행물 Contra Celsum
[14] 서적 Occultism, Witchcraft, and Cultural Fashions U of Chicago Press
[15] 웹사이트 The ancient symbol that spanned millennia https://www.bbc.com/[...] BBC 2021-07-24
[16] 서적 De Lapide Philosophico https://books.google[...] Sumptibus LUCAE JENNISSI, Frankfurt
[17] 서적 Scheherazade's Sisters: Trickster Heroines and Their Stories in World Literature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1998
[18] 서적 The Cosmic Zygote Rutgers University Press
[19] 기타 The Development of the Vedic Canon and its Schools: The Social and Political Milieu http://www.people.fa[...] Harvard University Press
[20] 서적 The Dynamic Human https://books.google[...] Bentham Science Publishers 2016-03-24
[21] 서적 The Artful Universe: An Introduction to the Vedic Religious Imagination https://books.google[...] SUNY Press 1998-01-01
[22] 서적 Shiva: The Wild God of Power and Ecstasy https://books.google[...] Inner Traditions / Bear & Co 2004
[23] 서적 The Origins and History of Consciousness Princeton University Press
[24] 서적 From Alchemy to Chemistry https://books.google[...] Courier Corporation
[25] 서적 Just Six Numbers
[26] 서적 Just Six Numbers
[27] 기타 No Input Software: Cybernetics, Improvisation, and the Machinic Phylum
[28] 간행물 A Calculus for Self-reference
[29] 기타 Laws of form and form dynamics
[30] 논문 Snakes all the Way Down: Varela's Calculus for Self-Reference and the Praxis of Paradis http://www.andrereic[...]
[31] 기타 Some Thoughts on A. H. Louie's ''More Than Life Itself: A Reflection on Formal Systems and Biology''
[32] 기타 Ouroboros Avatars: A Mathematical Exploration of Self-reference and Metabolic Closure https://web.archive.[...]
[33] 서적 Second-order Science: The Revolution of Scientific Structures. Complexity, design, society. https://books.google[...] Edition Echoraum
[34] 간행물 The Cybernetics of Systems of Belief
[35] 논문 Between a rock and a hard polytomy: Rapid radiation in the rupicolous girdled lizards (Squamata: Cordylidae)
[36] 웹사이트 Pescadilla; entre pijota y pescada.- Grupo Gastronómico Gaditano http://grupogastrono[...] Grupo Gastronómico Gaditano 2021-10-28
[37] 서적 Diccionario de la lengua española https://dle.rae.es/p[...] RAE-ASALE 2014
[38] 웹사이트 LitCharts https://www.litchart[...] 2024-08-23
[39] 뉴스 The Wheel of Time Star Hints at What to Look For in Aes Sedai Rings https://www.cbr.com/[...]
[40] 서적 Postmodern Science Fiction and Temporal Imagination Bloomsbury Publishing 2010
[41] 웹사이트 The Ouroboros Cycle Proposal https://scp-wiki.wik[...] 2023-12-19
[42] 서적 Myth-Building in Modern Media The Role of the Mytharc in Imagined Worlds McFarland 2020
[43] 서적 PopLit, PopCult and The X-Files A Critical Exploration McFarland 2015
[44] 웹사이트 Ouroboros https://reddwarf.co.[...] Grant Naylor Productions 2022-10-10
[45] 뉴스 Why Takeshi's Tattoo In Altered Carbon Means More Than You Think https://www.looper.c[...]
[46] 뉴스 Loki Season 2: There's A Secret Meaning Behind A Fan Favorite Character's Name https://gamerant.com[...]
[47] 웹사이트 The Symbols & Logos In Fullmetal Alchemist: Brotherhood, Explained https://www.cbr.com/[...] 2024-03-27
[48] 뉴스 Splatoon 3: Big Run's King Salmonid Continue a Clever Boss Pattern https://gamerant.com[...]
[49] 웹사이트 National Gallery of Australia's $14m behemoth artwork unveiled – and it's a showstopper https://www.theguard[...] 2024-10-23
[50] 서적 환수 드래곤 들녘 20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