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운동량 사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운동량 사상은 심플렉틱 다양체와 리 군의 작용을 연결하는 개념으로, 해밀턴 역학 및 관련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심플렉틱 다양체 M과 리 군 G가 주어질 때, G의 매끄러운 군 표현 ρ에 대한 운동량 사상 μ는 M에서 리 대수의 쌍대 공간으로 가는 함수이며, 특정 조건을 만족한다. 운동량 사상이 존재하고 G의 작용이 심플렉틱하면 이를 해밀턴 작용이라고 한다. 운동량 사상은 다양체의 심플렉틱 구조를 보존하는 데 기여하며, 심플렉틱 몫공간, 초켈러 몫공간 등의 구성에 활용된다.

2. 정의

심플렉틱 다양체 (M, \omega) 위에 리 군 G가 심플렉틱 동형사상을 통해 매끄럽게 작용할 때, 이 작용과 관련된 운동량 사상 \mu: M \to \mathfrak{g}^*를 정의할 수 있다. 여기서 \mathfrak{g}^*G리 대수 \mathfrak{g}의 쌍대 공간이다. 운동량 사상은 본질적으로 리 대수의 각 원소 \xi \in \mathfrak{g}에 대해, M 위에서 \xi의 작용으로 생성되는 벡터장 v_\xi와 관련된 일종의 해밀토니안 함수 H_\xi = \langle \mu, \xi \rangle를 대응시키는 함수로 이해할 수 있다.[2]

수학적으로 운동량 사상 \mu는 모든 \xi \in \mathfrak{g}에 대해 다음 조건을 만족하는 함수로 정의된다.

:d\langle\mu,\xi\rangle=\omega(v_\xi,\cdot)

이 정의는 \langle \mu, \xi \rangle 함수의 미분이 벡터장 v_\xi와 심플렉틱 형식 \omega의 내적 \iota_{v_\xi} \omega과 같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운동량 사상이 존재하려면 각 1차 형식 \iota_{v_\xi} \omega가 완전 형식이어야 하며, 운동량 사상은 M의 각 연결 성분마다 상수 벡터만큼의 차이를 제외하고 유일하게 결정된다.

운동량 사상이 존재하는 G-작용을 '''해밀턴 작용'''이라고 부른다. 종종 운동량 사상에 G의 공변 작용에 대한 등변성 조건이 추가되기도 한다.

2. 1. 기본 정의

다음과 같은 요소들이 주어졌다고 가정하자.

  • 심플렉틱 다양체 (M,\omega): 이는 미분다양체 M과 그 위에 정의된 닫힌 비퇴화 2차 미분 형식인 심플렉틱 형식 \omega의 쌍이다.
  • 리 군 G: 이는 매끄러운 다양체 구조를 가지며 군 연산이 매끄러운 함수인 군이다.
  • 매끄러운 군 표현 \rho\colon G\to\operatorname{Ham}(M,\omega): 이는 G의 원소를 M의 심플렉틱 자기 동형 사상(즉, 심플렉틱 형식 \omega를 보존하는 미분 동형 M\to M)으로 보내는 매끄러운 준동형 사상이다. 이는 GM에 심플렉틱 동형사상을 통해 작용함을 의미한다.


리 대수 \mathfrak{g} = \mathfrak{lie}(G)G의 항등원에서의 접공간으로, 군의 무한소 구조를 나타낸다. 각 \xi \in \mathfrak{g}에 대해, M 위에는 G작용을 무한소적으로 기술하는 벡터장 v_\xi (또는 \rho(\xi))가 유도된다. 구체적으로, M의 점 x에서 이 벡터장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v_\xi(x) = \rho(\xi)_x = \left.\frac{\mathrm d}{\mathrm dt}\right|_{t=0}\rho(\exp(t\xi))(x) = \left.\frac{\mathrm{d}}{\mathrm{d}t}\right|_{t = 0} \exp(t \xi) \cdot x

여기서 \exp: \mathfrak{g} \to G리 지수 사상 (또는 지수 사상)이고, \cdotM에 대한 G의 작용을 나타낸다.[2]

G의 작용 \rho의 '''운동량 사상'''(moment map 또는 momentum map)은 리 대수 \mathfrak{g}의 쌍대 공간 \mathfrak{g}^* (즉, \mathfrak{g}에서 실수 \mathbb{R}로 가는 선형 함수들의 공간) 값을 갖는 함수 \mu\colon M\to\mathfrak{g}^*로, 다음 조건을 만족한다. 모든 \xi\in\mathfrak{g}에 대하여,

:d\langle\mu,\xi\rangle=\omega(v_\xi,\cdot)

여기서 \langle\mu,\xi\rangleM 위의 함수로, x \in M에서 \langle\mu(x),\xi\rangle 값을 가진다. \langle \cdot, \cdot\rangle : \mathfrak{g}^* \times \mathfrak{g} \to \mathbb{R}\mathfrak{g}^*\mathfrak{g} 사이의 자연스러운 페어링(pairing)이다. 우변의 \omega(v_\xi,\cdot)는 벡터장 v_\xi와 심플렉틱 형식 \omega의 내적 \iota_{v_\xi}\omega를 나타내는 1차 미분 형식이다. 따라서 위 조건은 다음과 같이 동등하게 쓸 수 있다.

:\mathrm{d}(\langle \mu, \xi \rangle) = \iota_{v_\xi} \omega

이 정의가 의미를 가지려면, 모든 \xi \in \mathfrak{g}에 대해 1차 형식 \iota_{v_\xi}\omega가 완전 형식이어야 한다. 즉, 어떤 함수 H_\xi : M \to \mathbb{R}가 존재하여 \iota_{v_\xi}\omega = \mathrm{d}H_\xi를 만족해야 한다. (주어진 G의 작용이 심플렉틱 동형사상에 의한 것이므로, \iota_{v_\xi}\omega는 항상 닫힌 형식임은 보장된다.) 이 완전성 조건이 만족될 때, 함수 H_\xi\xi에 대해 선형이 되도록 선택할 수 있으며, 운동량 사상은 \langle \mu(x), \xi \rangle = H_\xi(x)를 만족하도록 정의된다. 운동량 사상은 M의 각 연결 성분마다 더해지는 상수 벡터 C \in \mathfrak{g}^* (즉, 모든 \xi에 대해 \langle C, \xi \rangle가 상수인 벡터)의 차이를 제외하고 유일하게 결정된다.

지표 표기법을 사용하면 운동량 사상의 정의는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partial_j\mu_a=\omega_{ij}v_a^i

여기서 i,j접다발 \mathrm TM의 국소 좌표계에 대한 지표이고, a는 리 대수 \mathfrak{g}의 기저에 대한 지표이다. \mu_a는 운동량 사상 \mua번째 성분 함수, v_a^i는 기저 벡터 \xi_a에 대응하는 벡터장 v_{\xi_a}i번째 성분, \omega_{ij}는 심플렉틱 형식 \omega의 성분이다.

심플렉틱 다양체 (M, \omega) 위의 G-작용이 심플렉틱하고 운동량 사상이 존재하면, 이 작용을 '''해밀턴 작용'''(Hamiltonian action)이라고 부른다.

종종 운동량 사상 \mu는 추가적으로 '''G-등변성'''(G-equivariance)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고 요구되기도 한다. 이는 G가 공변표현(coadjoint representation) \operatorname{Ad}^*를 통해 \mathfrak{g}^*에 작용할 때, 모든 g \in Gx \in M에 대해 다음 등식이 성립함을 의미한다.

:\mu(g \cdot x) = \operatorname{Ad}^*_g (\mu(x))

리 군 G가 콤팩트하거나 반단순인 경우, 운동량 사상에 더해지는 상수를 적절히 선택하여 항상 등변성을 만족하도록 만들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경우에는 등변성을 만족시키기 위해 공변표현 자체를 \mathfrak{g}^* 값을 갖는 1-코사이클을 이용하여 수정해야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수정은 예를 들어 유클리드 군의 경우에 필요하며, 장 마리 수리오(Jean-Marie Souriau)가 1970년에 처음 기술하였다.

2. 2. 지표 표기법

운동량 사상 \mu\colon M\to\mathfrak{lie}(G)^*리 군 G리 대수 \mathfrak{lie}(G)의 쌍대 공간으로 가는 함수로, 각 \xi\in\mathfrak{lie}(G)에 대해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

:d\langle\mu,\xi\rangle=\omega(v_\xi,\cdot)

여기서 \langle\mu,\xi\rangle\mu(x)\xi의 자연스러운 쌍대성(pairing)을 나타내고, v_\xi\xi에 의해 생성된 벡터장이며, \omega심플렉틱 다양체 (M,\omega)의 심플렉틱 형식이다.

이 관계를 좌표계와 지표를 사용하여 구체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운동량 사상 \mu의 성분을 \mu_a로, 벡터장 v_\xi의 성분을 v_a^i로 나타내면, 위 정의는 다음과 같은 지표 표기법으로 쓸 수 있다.

:\partial_j\mu_a=\omega_{ij}v_a^i

이 식에서 사용된 지표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 i,j: 다양체 M접다발 \mathrm TM에 대한 지표이다. 이는 M 위의 국소 좌표계 성분을 나타낸다.
  • a: 리 대수 \mathfrak{lie}(G)의 기저에 대한 지표이다. 이는 리 대수의 성분을 나타낸다.
  • \partial_j: j번째 좌표 성분에 대한 편미분 연산자이다.
  • \omega_{ij}: 심플렉틱 형식 \omega의 성분이다.
  • v_a^i: 리 대수의 기저 벡터 e_a에 대응하는 벡터장 v_{e_a}i번째 성분이다.


이 지표 표기법은 운동량 사상의 각 성분이 심플렉틱 형식과 리 대수 원소에 대응하는 벡터장 사이의 관계를 통해 어떻게 결정되는지를 명확하게 보여준다.

3. 성질

리 군 G, H를 각각 리 대수 \mathfrak{g}, \mathfrak{h}를 갖는 리 군이라고 하자. 운동량 사상은 다음과 같은 성질들을 가진다.

# \mathcal{O}(F), F \in \mathfrak{g}^*를 공액 궤도라고 하자. 그러면 포함 사상 \mathcal{O}(F) \hookrightarrow \mathfrak{g}^*가 운동량 사상이 되도록 하는 고유한 심플렉틱 구조\mathcal{O}(F)에 존재한다.

# G심플렉틱 다양체 (M, \omega)작용하고, \Phi_G : M \rightarrow \mathfrak{g}^*가 그 작용에 대한 운동량 사상이며, \psi : H \rightarrow G가 리 군 준동형사상이라고 하자. 이 준동형사상은 HM에 대한 작용을 유도한다. 그러면 HM에 대한 작용 또한 해밀턴 작용이며, 운동량 사상은 (\mathrm{d}\psi)_{e}^* \circ \Phi_G로 주어진다. 여기서 (\mathrm{d}\psi)_{e}^* : \mathfrak{g}^* \rightarrow \mathfrak{h}^*(\mathrm{d}\psi)_{e} : \mathfrak{h} \rightarrow \mathfrak{g}의 쌍대 사상이다(eH항등원을 나타낸다). 특별한 경우로 HG의 리 부분군이고 \psi가 포함 사상인 경우가 있다.

# (M_1, \omega_1)이 해밀턴 G-다양체이고 (M_2, \omega_2)가 해밀턴 H-다양체라고 하자. 그러면 (M_1 \times M_2, \omega_1 \times \omega_2)에 대한 G \times H의 자연스러운 작용은 해밀턴 작용이며, 운동량 사상은 두 운동량 사상 \Phi_G\Phi_H의 직접 합이다. 여기서 \omega_1 \times \omega_2 := \pi_1^*\omega_1 + \pi_2^*\omega_2이고, \pi_i : M_1 \times M_2 \rightarrow M_i는 투영 사상을 나타낸다.

# M이 해밀턴 G-다양체이고, NM의 부분다양체이며 G에 의해 불변이고, M의 심플렉틱 형식의 N으로의 제한이 비퇴화라고 하자. 이것은 자연스러운 방식으로 N에 심플렉틱 구조를 부여한다. 그러면 GN에 대한 작용 또한 해밀턴 작용이며, 운동량 사상은 포함 사상과 M의 운동량 사상의 합성이다.

3. 1. 불변성

심플렉틱 다양체 (M,\omega) 위에 리 군 G작용하고 있으며, 이 작용에 대한 운동량 사상 \mu\colon M \to \mathfrak g^*가 주어졌다고 하자. 여기서 \mathfrak g^*G리 대수 \mathfrak g의 쌍대 공간이다.

그렇다면, 임의의

:\zeta \in (\mathfrak g^*)^G

에 대하여 \mu+\zeta 역시 운동량 사상을 이룬다. 여기서 (\mathfrak g^*)^GG딸림표현의 쌍대 표현에 대해 불변인 원소들의 집합으로,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mathfrak g^*)^G

= \left\{\phi\in\mathfrak g^*\colon \forall x,y\in\mathfrak g\colon \phi([x,y]) = 0 \right\}



이 집합은 또한 \mathfrak g^*를 계수로 하는 \mathfrak g의 0차 리 대수 코호몰로지 \operatorname H^0(\mathfrak g; \mathfrak g^*)와 같다. 이는 운동량 사상에 (\mathfrak g^*)^G에 속하는 원소를 더해도 여전히 운동량 사상이 됨을 의미한다.

3. 2. 심플렉틱 몫공간

G콤팩트 리 군이고, 심플렉틱 다양체 (M, \omega)에 해밀턴적으로 작용하며 등변 운동량 사상 \mu : M\to \mathfrak{g}^*를 갖는다고 가정하자. 해밀턴 조건으로부터 \mu의 원상 \mu^{-1}(0)\subset MG의 작용에 대해 불변이다.

이제 G\mu^{-1}(0) 위에서 자유롭고 제대로 작용한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0\mu의 정칙값이며, \mu^{-1}(0)과 그 몫공간 \mu^{-1}(0)/G는 모두 매끄러운 다양체가 된다. 이 몫공간은 M의 심플렉틱 구조 \omega를 물려받는다. 즉, 몫공간 위에는 \mu^{-1}(0)으로의 당김\omega\mu^{-1}(0)으로 제한한 것과 같은 유일한 심플렉틱 형식 \omega'이 존재한다.

이렇게 얻어진 심플렉틱 다양체 (\mu^{-1}(0)/G, \omega')를 '''심플렉틱 몫공간'''(symplectic quotient영어) 또는 '''마즈든-와인스타인 몫공간'''(Marsden–Weinstein quotient영어)이라고 하며, M/\!/G라고 표기한다.[7] 이 공간의 차원은 다음과 같다.

:\dim(M/\!/G)=\dim M-2\dim G

더 일반적으로, 0 대신 \mathfrak{g}^* 안의 원소 중 G쌍대딸림 작용에 대해 불변인 임의의 원소 \zeta\in (\mathfrak g^*)^G를 사용하여 \mu^{-1}(\zeta)/G와 같은 몫공간을 정의할 수도 있다.

특히, M이 추가로 켈러 다양체 (M,\omega,J)이고 G의 작용이 심플렉틱 구조 \omega 및 복소구조 J를 모두 보존한다면, 심플렉틱 몫공간 M/\!/G=\mu^{-1}(0)/G 역시 켈러 다양체가 된다.

만약 G의 작용이 자유롭지 않지만 여전히 제대로 작용하는 경우, 몫공간 M/\!/G = \mu^{-1}(0)/G는 일반적으로 심플렉틱 다양체가 아닐 수 있지만, 층별 심플렉틱 공간(층별 공간 위에 호환되는 심플렉틱 구조가 주어진 공간)이라는 더 일반적인 구조를 갖는다.

3. 3. 초켈러 몫공간

초켈러 다양체의 경우에도 몫공간을 정의할 수 있다.[8] 초켈러 다양체 M은 세 선형 독립 심플렉틱 구조 \omega_I (I=1,2,3)를 가진다. 군의 작용 G\times M\to M이 세 개의 심플렉틱 구조를 모두 보존시킨다고 가정하자. 그렇다면 이에 대한 세 개의 서로 다른 운동량 사상 \mu_I\colon M\to\mathfrak g^*이 존재한다. 이들을 합쳐서 다음과 같은 사상을 정의할 수 있다.

:\mu\colon M\to\mathfrak g^*\otimes\mathbb R^3

이렇게 정의된 사상을 이용하면, 초켈러 몫공간은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M/\!/\!/G=\mu^{-1}(0)/G

이 몫공간 M/\!/\!/G는 초켈러 다양체를 이루며, 그 차원은 다음과 같다.

:\dim_{\mathbb R}(M/\!/\!/G)=\dim_{\mathbb R}M-4\dim_{\mathbb R}G

4. 예시

운동량 사상은 다양한 수학적, 물리적 상황에서 나타난다. 아래 하위 섹션들에서는 운동량 사상의 구체적인 예시들을 통해 그 개념과 응용을 더 자세히 살펴본다. 예를 들어, 특정 리 군의 작용이나 코탄젠트 다발과 관련된 경우 등이 대표적이다. 이러한 예시들은 운동량 사상이 어떻게 다양한 구조와 연결되는지 보여준다.

4. 1. 해밀토니안

G가 1차원 아벨 리 군 \mathbb R일 경우, 운동량 사상 \mu는 해밀턴 벡터장(Hamiltonian vector field영어) v를 생성하는 해밀토니언이 된다. 마찬가지로, 원 군 G = U(1)의 해밀턴 작용에서 리 대수 쌍대 \mathfrak{g}^*는 자연스럽게 \mathbb{R}과 동일시될 수 있으며, 이때 운동량 사상은 해당 원 작용을 생성하는 해밀턴 함수이다.

보다 일반적으로, N을 매끄러운 다양체라 하고 T^*N을 투영 사상 \pi : T^*N \rightarrow N을 갖는 코탄젠트 다발이라고 하자. \tauT^*N 위의 타우톨로지 1-형식으로 표기한다. 만약 군 GN에 작용한다면, g \in G, \eta \in T^*N에 대해 g \cdot \eta := (T_{\pi(\eta)}g^{-1})^* \eta로 정의되는 심플렉틱 다양체 (T^*N, \mathrm{d}\tau) 위의 G의 유도된 작용은 해밀턴 작용이 된다. 이 작용의 운동량 사상은 모든 \xi \in \mathfrak{g}에 대해 -\iota_{\rho(\xi)} \tau로 주어지는데, 여기서 \iota_{\rho(\xi)}\tau\xi의 무한소 작용에 해당하는 벡터장 \rho(\xi)와 1-형식 \tau의 내부 곱을 의미한다.

고전적인 예시로 M\mathbb{R}^3의 코탄젠트 다발이고 G가 회전과 평행 이동으로 생성된 유클리드 군인 경우를 들 수 있다. 이 경우 G는 6차원 군으로, \operatorname{SO}(3)\mathbb{R}^3반직접곱이다. 이때 운동량 사상의 여섯 가지 성분은 물리적으로 세 개의 각운동량과 세 개의 선형 운동량에 해당한다.

4. 2. 복소수 사영 공간

복소수 n차원 벡터 공간 \mathbb C^n은 자연스럽게 켈러 다양체의 구조를 가진다. 이 공간 위에는 0이 아닌 복소수의 곱셈 \mathbb C^\times이 자연스럽게 작용한다. 이 작용 중에서 심플렉틱 구조를 보존하는 부분군은 원군 U(1)이다.

이 U(1) 작용에 대한 운동량 사상 \mu는 다음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mu \colon \mathbb C^n \to \mathfrak{lie}(\operatorname U(1)) = \mathrm i\mathbb R

:\mu \colon z \mapsto \mathrm i\|z\|^2 - \mathrm iC

여기서 \|z\|^2는 벡터 z의 노름 제곱을 의미하며, C는 임의의 실수 상수이다. \mathfrak{lie}(\operatorname U(1))는 U(1) 군의 리 대수를 나타내며, 이는 순허수 집합 \mathrm i\mathbb R과 동형이다.

이 운동량 사상을 이용하여 켈러 몫을 구성할 수 있다. 상수 C의 값에 따라 몫 공간의 형태가 결정된다.

  • 만약 C > 0 이면, 켈러 몫은 (n-1)차원 복소수 사영 공간 \mathbb P^{n-1}_{\mathbb C}과 동형이다. 이 과정에서 복소수 사영 공간 위에 자연스럽게 유도되는 켈러 구조는 바로 푸비니-슈투디 계량이다. 이는 복소수 사영 공간의 표준적인 기하학적 구조로 잘 알려져 있다.
  • 반대로 C < 0 이면, 켈러 몫은 공집합이 된다.


따라서 운동량 사상과 켈러 몫의 개념을 통해 복소수 사영 공간과 그 위의 중요한 기하학적 구조인 푸비니-슈투디 계량을 자연스럽게 얻을 수 있다.

4. 3. 복소수 사영 공간의 접공간

사원수 벡터 공간 W=\mathbb H^n은 자명하게 초켈러 다양체를 이룬다. 이 공간은 n차원 복소수 내적 공간 V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W = V \oplus V^* = \mathrm T^*V

여기서 \mathrm T^*VV의 공변접다발을 의미한다.

이 공간 W에 다음과 같은 U(1) 군의 작용을 생각해보자.

:(x,\xi) \mapsto (\lambda x,\lambda^{-1}\xi)

여기서 x \in V, \xi \in V^*이고 \lambda \in U(1)이다. 이 작용에 대한 운동량 사상 \mu = (\mu_1, \mu_2, \mu_3)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mu_1(x,\xi) = \mathrm i(\|x\|^2 - \|\xi\|^2) - \mathrm iC

:\mu_2(x,\xi) + \mathrm i\mu_3(x,\xi) = \xi(x) - D

여기서 C, D는 상수이다.

만약 상수 D = 0이라고 가정하면, 운동량 사상의 값이 0이 되는 지점들의 집합, 즉 \mu^{-1}(0)은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mu^{-1}(0) = \{(x,\xi)\in \mathrm T^*V \colon \xi \perp x, \; \|x\|^2-\|\xi\|^2 = C \}

이 집합에 대한 초켈러 몫공간을 구성하면, 그 결과는 V 위의 사영 공간 \mathbb P(V)의 공변접다발 \mathrm T^*\mathbb P(V)이 된다.

특히, 만약 V가 2차원 복소수 벡터 공간일 경우, 위에서 얻어진 초켈러 몫공간 \mathrm T^*\mathbb P(V)에구치-핸슨 공간과 동일하다.

5. 응용

리 군 ''G''가 심플렉틱 다양체 (M, \omega)에 해밀턴 작용을 하고, 등변 운동량 사상 \mu : M\to \mathfrak{g}^*를 갖는다고 가정해 보자. 해밀턴 작용이라는 조건 때문에, 운동량 사상의 값이 0이 되는 점들의 집합 \mu^{-1}(0)은 리 군 ''G''의 작용에 대해 변하지 않는다.

만약 ''G''가 \mu^{-1}(0) 위에서 자유롭고 제대로 작용한다면, ''0''은 \mu의 정칙 값(regular value)이 되며, \mu^{-1}(0)과 그 몫 공간 \mu^{-1}(0) / G는 모두 매끄러운 다양체가 된다. 이 몫 공간은 원래의 다양체 ''M''으로부터 심플렉틱 형식을 물려받는다. 즉, 몫 공간에는 고유한 심플렉틱 형식이 존재하며, 이 형식의 당김은 ''\omega''를 \mu^{-1}(0)에 제한한 것과 같다.

이렇게 얻어진 몫 공간 \mu^{-1}(0) / G는 마스던(Marsden)과 와인스타인(Weinstein)의 1974년 연구에 따라 마스던-와인스타인 몫(Marsden–Weinstein quotient), 심플렉틱 몫(symplectic quotient), 또는 ''G''에 의한 ''M''의 심플렉틱 환원(symplectic reduction)이라고 불리며, M/\!\!/G로 표기한다. 이 공간의 차원은 원래 다양체 ''M''의 차원에서 리 군 ''G''의 차원의 두 배를 뺀 값과 같다. 이는 운동량 사상을 이용하여 원래의 큰 심플렉틱 다양체에서 더 작고 다루기 쉬운 심플렉틱 다양체를 얻는 중요한 방법 중 하나이다.

더 일반적으로, ''G''가 자유롭게 작용하지 않더라도 제대로 작용하는 경우에는, 샤마르(Sjamaar)와 레르만(Lerman)의 1991년 연구에 따라 M/\!\!/G = \mu^{-1}(0)/G층별 심플렉틱 공간(stratified symplectic space)이 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는 각 층(stratum)에 호환되는 심플렉틱 구조를 갖는 층별 공간이다.

참조

[1] 문서 https://mathoverflow[...]
[2] 문서
[3] 서적 Momentum maps and Hamiltonian reduction Birkhäuser 2004
[4] 서적 Kähler and symplectic manifolds: quotient constructions https://web.archive.[...] University of Oxford 2013-10-09
[5] 저널 Symmetry reduction in symplectic and Poisson geometry 2004-07
[6] 저널 Symplectic geometry
[7] 저널 Reduction of symplectic manifolds with symmetry 1974-02
[8] 저널 Hyper-Kähler metrics and supersymmetry https://projecteucli[...] 1987-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