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운흥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운흥군은 백두 용암 대지의 남서쪽 가장자리에 위치한 량강도의 군이다. 압록강 지류가 흐르고 최고봉은 대각봉(2,121m)이며, 산림이 군 면적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1954년 혜산군 일부를 묶어 설치되었으며, 1개의 읍, 10개의 로동자구, 10개의 리로 구성된다. 주요 산업은 벌목, 목재 가공, 광업이며, 감자, 밀, 콩 등을 재배한다. 백두산청년선이 군을 통과하며, 령하역, 령남역, 운흥역 등 여러 역이 위치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량강도의 군 - 갑산군
    갑산군은 량강도에 위치하며 개마고원 동쪽 자락의 산지가 대부분인 외진 지역으로, 조선시대 유배지이자 일제강점기 항일 유격대 근거지였으며 해방 후 갑산파 숙청 사건과 관련되고 농업, 임업, 광업이 주요 산업인 광물 자원 풍부한 지역이다.
  • 량강도의 군 - 김형직군
    김형직군은 량강도 최서단, 압록강을 경계로 중국과 접경한 개마고원 북서부 산악 지대에 위치하며, 본래 평안도 후창군이었으나 김일성 가문의 현양 정책으로 개칭되었고, 임업이 주요 산업이며 북부내륙선 철도가 통과한다.
  • 1954년 설치 - 량강도
    량강도는 1954년 함경도, 평안도, 자강도 일부를 합쳐 신설되었으며 압록강, 두만강을 경계로 중국과 접경하고 백두산이 위치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도이다.
  • 1954년 설치 - 황해북도
    황해북도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서남부에 위치하며 여러 차례 행정 구역 개편을 거쳐 현재 강원도, 황해남도, 남포특별시, 평양직할시, 평안남도, 대한민국 경기도 및 인천광역시와 접하고, 금, 석회석 등 지하자원이 풍부하며 평부선과 평양-개성 고속도로가 연결되어 있고 고려시대 수도였던 개성에 역사 유적이 많은 도이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 평안북도
    평안북도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서북부에 위치하며, 신의주를 도청 소재지로 하여 3개의 시와 22개의 군으로 구성되어 있고, 압록강과 청천강을 주요 하천으로 하며 대륙성 기후를 보이는 도이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 창성군
    창성군은 북한 평안북도 북서부에 위치하며 압록강을 경계로 중국과 접하고 험준한 산악 지형과 대륙성 기후를 가진 군으로, 1952년 행정 구역 개편 이후 농업, 잠업, 광업 등을 주요 산업으로 한다.
운흥군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량강도의 운흥군 위치 지도
량강도에서 운흥군의 위치를 보여주는 지도
기본 정보
현지 이름운흥군 (雲興郡)
국가북한
량강도
면적934 km²
인구 (2008년)61,705명
행정 구역1읍, 10 노동자구, 10리
행정 구역
종류
1개
노동자구10개
10개
언어 정보
한글운흥군
한자雲興郡
매큔-라이샤워Unhŭng-gun
한국어 개정 로마자 표기법Unheung-gun

2. 지리

압록강의 지류가 북서쪽으로 흐르는 지형이다. 백두고원 남서쪽 가장자리에 있으며, 최고봉은 대각봉(2,121m)이다. 주요 하천으로는 운총강, 오시천, 대동천이 있다. 전체 면적의 86%가 산림이다.

북쪽으로는 보천군, 서쪽은 혜산시, 남쪽은 갑산군과 접해 있다. 동쪽으로는 백암군, 함경남도 단천시가 있다. 백암군에서 혜산시까지 백두산청년선이 군을 통과하고 있다.

3. 역사

1896년에는 함경남도 갑산군의 일부였으나[3] 1942년에 혜산군에 편입되었다. 1954년 10월 1일량강도가 생기면서 혜산군 혜산읍, 춘동리, 위연포로동자구, 영흥리, 중리가 혜산시로 개편되면서 혜산군의 나머지 지역을 묶어 운흥군이 만들어졌다. 혜산군 운흥리가 운흥읍으로 개편되었다.[1]

이후 여러 차례 행정 구역 개편이 이루어졌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연도주요 내용
1954년 10월함경남도 혜산군 복안리, 장항리, 심포리, 봉두리, 령하리, 생장리, 룡포리, 운흥리, 동포리, 장언리, 오시천리, 운총리, 로중리, 일건리, 대하리, 대중리, 대상리, 신장리, 장안리, 룡암리, 동평리, 대덕리, 신중리, 상산리를 가지고 량강도 운흥군 설치 (1읍 24리)
1954년 말령하리 → 백암군 편입 (1읍 23리)
1958년생장리 → 생장로동자구 승격 (1읍 1로동자구 22리)
1961년 3월* 오시천리, 로중리, 운총리, 신장리, 장안리 → 혜산시 편입
1961년 12월* 운흥읍 → 대오시천리
1967년* 생장로동자구 일부 분리 → 남중로동자구
1973년신중리 일부 + 갑산군 오일리 → 오일로동자구 (1읍 6로동자구 14리)
1981년* 대오시천리 → 대오시천로동자구
1982년장언리 → 잠운리 (1읍 7로동자구 13리)
1983년* 대덕리 → 대덕로동자구


4. 행정 구역

운흥군한국어은 1개의 읍, 10개의 로동자구, 10개의 리로 구성되어 있다.[1]

로동자구
운흥읍


4. 1. 읍

운흥읍


4. 2. 로동자구

로동자구명한자
남중로동자구南中勞動者區
대덕로동자구大德勞動者區
대동로동자구大洞勞動者區
대오시천로동자구大五是川勞動者區
대전평로동자구大田坪勞動者區
령하로동자구嶺下勞動者區
룡암로동자구龍岩勞動者區
룡포로동자구龍浦勞動者區
생장로동자구生長勞動者區
일건로동자구日建勞動者區


4. 3. 리

대하리
대중리
동평리
동포리
복안리
상산리
신중리
심포리
잠운리
장항리


5. 경제

농업은 발전이 미약하나 감자, 밀, 콩 등이 재배된다. 벌목이 주요 산업이고 목재 가공업이 제조업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광산에서는 구리, 황철석, 납, 고령토, 텅스텐이 생산된다.

6. 교통

운흥군은 도로와 철도로 연결되어 있으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백두산청년선이 군을 통과한다.

참조

[1] 웹사이트 양강도 운흥군 역사 http://www.cybernk.n[...]
[2] 간행물 2008년 인구 조사 http://unstats.un.or[...] 조선중앙통계국 2009
[3] 서적 조선지명편람 량강도편 조선 사회과학출판사 20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