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혜산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혜산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량강도에 위치한 도시로, 해발 715m의 혜산 분지 중심부에 자리 잡고 있다. 혹한의 기후를 보이며, 1915년에는 -42℃를 기록하기도 했다. 고구려, 발해, 요나라, 금나라의 영토였으며, 역사적으로는 갑산군의 일부였다. 현재 25개의 동과 4개의 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목재 가공업, 제지업, 섬유업 등이 발달했다. 혜산광산은 구리 생산의 중심지이며, 백두산청년선, 삼지연선, 북부내륙선 등의 철도와 도로를 통해 북한의 다른 지역과 연결된다. 혜산시에는 김정숙사범대학, 혜산고등중학교 등 다양한 교육기관이 있으며, 괘궁정, 보천보전투승리기념탑 등의 관광 명소가 있다. 대한민국은 1940년대 행정 구역을 기준으로 혜산시가 백두산을 포함한다고 주장하며, 중국과도 백두산 영유권 분쟁을 겪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혜산시 - 장혜국제대교
  • 량강도의 도시 - 삼지연시
    삼지연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량강도에 위치하며 백두산 동남쪽 기슭에 자리 잡고 압록강, 두만강 발원지이자 중국과 국경을 접하고 있으며 천연기념물과 김일성 항일 투쟁 기념 시설, 휴양 시설, 스키장, 삼지연 공항 등이 있는 2019년 시로 승격된 곳이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 평안북도
    평안북도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서북부에 위치하며, 신의주를 도청 소재지로 하여 3개의 시와 22개의 군으로 구성되어 있고, 압록강과 청천강을 주요 하천으로 하며 대륙성 기후를 보이는 도이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 창성군
    창성군은 북한 평안북도 북서부에 위치하며 압록강을 경계로 중국과 접하고 험준한 산악 지형과 대륙성 기후를 가진 군으로, 1952년 행정 구역 개편 이후 농업, 잠업, 광업 등을 주요 산업으로 한다.
혜산시 - [지명]에 관한 문서
개요
혜산 시내 (2013년 9월)
2013년 9월 혜산 시내 풍경
유형
한글 표기혜산시
로마자 표기Hyesan-si
행정 구역 정보
국가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량강도
하위 행정 구역25개 동, 4개 리
지리 정보
면적277 km²
인구 정보
인구 (2008년)192,680 명
방언함경도
거주민혜산 사람
시간대
시간대평양 시간
UTC 오프셋+9

2. 지리 및 기후

해발 2,000m급 산으로 둘러싸인 해발 715m의 혜산 분지 중심부에 위치한다. 조선에서도 특히 추운 지역으로, 1915년에는 -42℃를 기록했다. 겨울 1월 평균 기온은 -16.5℃로 혹한이다. 연평균 기온은 3.7°C이고 연평균 강수량은 679 mm이다.

동쪽은 운흥군, 북동쪽은 보천군, 남쪽은 갑산군, 서쪽은 삼수군과 접한다. 북쪽으로는 압록강을 사이에 두고 중화인민공화국 지린성장백 조선족 자치현이 있다.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최고 기온 기록 (°C)6.112.121.030.035.034.037.138.331.629.519.08.2-
평균 최고 기온 (°C)-8.0-2.84.513.620.825.127.727.021.914.22.9-6.311.7
평균 기온 (°C)-15.9-11.2-2.76.012.817.521.120.313.85.8-4.0-13.24.2
평균 최저 기온 (°C)-22.2-18.5-9.5-1.15.711.416.015.47.6-0.7-9.6-19.1-2.1
최저 기온 기록 (°C)-37.2-33.0-27.8-20.0-4.3-1.76.51.0-4.3-19.9-26.6-35.0-
강수량 (mm)5.09.111.630.062.486.8135.2112.948.927.719.69.8559.0
평균 강수일수 (≥ 0.1 mm)5.24.46.18.412.213.813.812.26.96.46.86.5102.7
평균 적설일수10.99.410.55.90.60.00.00.00.12.59.913.263.0
평균 상대 습도 (%)73.368.663.259.661.169.875.377.072.865.972.274.269.4
평균 일조 시간180191237221228200198190184198157153-



자료: 대한민국 기상청,[2] 독일 기상청(일사량, 1961–1990),[3] Meteo Climat (극한값)[4]

2. 1. 기후 데이터

혜산시는 쾨펜 기후 구분상 ''Dwb'' (습윤 대륙성 기후)에 속한다. 1915년에는 -42°C의 최저 기온을 기록하여 한국에서 가장 추운 지역 중 하나이다.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최고 기온 기록 (°C)6.112.121.030.035.034.037.138.331.629.519.08.2-
평균 최고 기온 (°C)-8.0-2.84.513.620.825.127.727.021.914.22.9-6.311.7
평균 기온 (°C)-15.9-11.2-2.76.012.817.521.120.313.85.8-4.0-13.24.2
평균 최저 기온 (°C)-22.2-18.5-9.5-1.15.711.416.015.47.6-0.7-9.6-19.1-2.1
최저 기온 기록 (°C)-37.2-33.0-27.8-20.0-4.3-1.76.51.0-4.3-19.9-26.6-35.0-
강수량 (mm)5.09.111.630.062.486.8135.2112.948.927.719.69.8559.0
평균 강수일수 (≥ 0.1 mm)5.24.46.18.412.213.813.812.26.96.46.86.5102.7
평균 적설일수10.99.410.55.90.60.00.00.00.12.59.913.263.0
평균 상대 습도 (%)73.368.663.259.661.169.875.377.072.865.972.274.269.4
평균 일조 시간180191237221228200198190184198157153-



자료: 대한민국 기상청,[2] 독일 기상청(일사량, 1961–1990),[3] Meteo Climat (극한값)[4]

3. 역사

고구려발해, 그리고 요나라금나라의 영토였다.

역사적으로는 함경도 갑산군의 일부였으며, 혜산진을 중심으로 변경 방어의 요새가 설치되어 있었다. 조선시대에는 갑산부에 속했고 혜산진이 설치되어 병마첨절제사가 주재했다.


  • 1932년 10월 22일 혜산과 장백을 잇는 국제교 개통식을 거행했다.
  • 1934년 - 함경남도 갑산군 보혜면의 일부가 분립하여 혜산읍이 발족.
  • 1934년 12월 25일 교토 제국대학 백두산 원정대의 선발대가 혜산에 도착. 여관 백두관에 숙박. 12월 27일, 본대가 혜산 도착. 12월 28일, 등산대가 혜산을 출발.
  • 1936년 이즈미 세이이치 (인류학자) 등이 혜산진과 그 주변의 삼림 지대를 답사.
  • 1942년 4월 - 함경남도 갑산군 혜산읍, 운흥면, 보천면, 삼수군 별동면을 통합하여 '''혜산군'''을 설치. (1읍 3면)
  • 1945년 (광복 직후) (6면)
  • * 보천면의 일부가 분립하여 대진면이 발족.
  • * 운흥면의 일부가 분립하여 봉두면이 발족.
  • * 혜산읍이 혜산면으로 강등.
  • 1950년 11월 21일 한국 전쟁에서 북상한 미 제7사단이 입성.
  • 1952년 12월 - 군면리 통폐합에 따라, 함경남도 혜산군 혜산면, 봉두면 및 운흥면, 별동면의 각 일부 지역을 통합하여 '''혜산군'''을 설치. 혜산군에 다음과 같은 읍·리가 성립.(1읍 24리)
  • * 혜산읍, 용암리, 복안리, 장항리, 심포리, 봉두리, 영하리, 생장리, 용포리, 운흥리, 동포리, 장언리, 오시천리, 운총리, 노중리, 일건리, 대하리, 대중리, 춘동리, 영흥리, 신장리, 장안리, 위연포리, 중리, 대상리
  • 1952년 말 - 위연포리가 위연포노동자구로 승격.(1읍 1노동자구 23리)
  • 1954년 초 - 갑산군 동평리, 대덕리, 신중리, 상산리를 편입.(1읍 1노동자구 27리)
  • 1954년 10월 - 혜산군 폐지.
  • * 혜산읍, 춘동리, 영흥리, 중리, 위연포노동자구가 신설된 량강도 혜산시에 편입.
  • * 복안리, 장항리, 심포리, 봉두리, 영하리, 생장리, 용포리, 운흥리, 동포리, 장언리, 오시천리, 운총리, 노중리, 일건리, 대하리, 대중리, 대상리, 신장리, 장안리, 용암리, 동평리, 대덕리, 신중리, 상산리가 신설된 량강도 운흥군에 편입.
  • 1961년 3월 - 운흥군의 일부를 편입.

  • 1967년 6월 4일 보천보 전투 30주년을 기념하여 보천보 전투 승리 기념탑이 건립. 높이는 38.7미터, 깊이는 30.3미터. 김일성을 비롯한 60명의 군상이 표현되어 있다.
  • 1980년 8월 17일, 혜산 제2사범대학을 "김정숙 사범대학"으로 개칭
  • 1997년 여름, 혜산에서 대규모 열차 사고가 발생, 사상자 수는 수백 명에 달했다.
  • 2004년 4월 15일, 혜산에서 백화점을 운영하는 중국인이 김일성의 생일을 축하하며 "21세기의 태양, 김정일 장군 만세!"라고 쓰인 네온사인을 선물. 네온사인은 혜산의 도립 도서관에 설치.
  • 2006년 9월 19일, 중국유색광업집단유한공사(NFCG), 중색국제광업주분유한공사, 무순홍투산동광서비스공사, 조선중국국제광업공사가 혜산동광에서 공동으로 채굴을 하기로 하고, 최근 협정에 조인했다고, 중국유색광업집단유한공사의 공식 사이트가 전한다. 약정에 따르면 중국유색광업집단유한공사는 중색국제광업주분유한공사가 채굴권을 보유하는 혜산동광을 개발, 경영한다. 동광은 중조 국경에서 약 10km 떨어진 곳에 있으며, 매장량은 약 25만 톤. 무순홍투산동광이 기술자, 굴착기기 등을 준비한다. 중국유색광업집단은 길림호융유색금속집단유한공사, 북한의 금강총회사와도 북한의 금광산을 공동 개발하고 있다.
  • 2007년 7월 19일, 혜산시에서 아파트 붕괴 사고가 발생해 30일까지 26명이 사망. 붕괴의 원인은 무리한 내벽 철거에 의한 하중의 변화라고도 한다. 붕괴된 아파트에 살고 있던 주민들 사이에서는 거실을 넓게 만들기 위한 인테리어 개조가 유행했다. 아파트에는 세관이나 무역 사업소 등에서 일하는 부유층이 살고 있었다.
  • 2009년 7월 30일, 중국의 철강 회사 "중광국제투자"가 혜산시에서 북한 기업 "조선광업개발무역회사"와 공동 개발을 진행하고 있던 동광산 관련 설비 공사를 중단할 방침이라고 조선일보가 보도.
  • 2010년 5월 20일 밤, 조선중앙통신은 김정일이 혜산시의 보천보 전투 승리 기념탑을 방문했다고 보도했다. 정확한 날짜는 불명
  • 2011년 1월 25일, 자유아시아방송 (RFA)는 한국 전쟁에서 활약하여 북한 영화에서도 주인공으로 등장했던 "전쟁 영웅" 이백겸 씨가 2009년 말 혜산시에서 아사했다고 보도했다. 한국 전쟁 당시, 이씨는 인천에서 공산주의에 반대하는 세력 수색의 선두에 서서 인민군에 입대, 30대에 양강도 보위부의 방첩과장으로 발탁되었다.
  • 2011년 9월 19일, 중국의 완샹 그룹과 북한의 혜산청년광산이 공동으로 합작 기업 "혜중광업합영회사"를 설립하고, 혜산시에서 구리 생산의 조업을 개시. 혜산시에서 개업식이 열렸고, 류훙차이 주북중국 대사, 김희택 양강도 당 책임비서 등이 테이프 컷팅을 했다.

3. 1. 행정 구역 변천

1954년 10월, 함경남도 혜산군 혜산읍, 춘동리, 영흥리, 중리, 위연포노동자구, 삼수군 중운리의 일부 지역을 가지고 량강도 '''혜산시'''가 설치되었다.[9] 이때 혜산읍은 혜산리, 혜화동, 혜흥동, 혜장동, 혜신동, 혜명동, 혜강동으로, 위연포노동자구는 위연동, 성후리, 연두리로 분할되었다.[9]

1961년 3월, 운흥군 오시천리, 노중리, 운총리, 신장리, 장안리가 혜산시에 편입되었다.[9] 이와 함께 영흥리 일부가 영흥동으로, 중리 일부가 송봉동으로, 춘동리 일부가 춘동으로 분리되었고, 춘동리의 잔여 부분은 삼수군 중운리 일부와 합쳐져 강구동이 되었다.[9] 또한 혜강동·혜산동 일부를 합쳐 혜장동을, 영흥리의 잔여 부분과 혜명동 일부를 합쳐 연봉동을 신설하였다.

이후 여러 차례 행정 구역 개편을 거쳐, 현재 혜산시는 강구동(江口洞), 강안동(江岸洞), 검산동(劒山里), 련두동(蓮頭洞), 련봉1동(蓮峯一洞), 련봉2동(蓮峯二洞), 마산1동(馬山一洞), 마산2동(馬山二洞), 성후동(城後洞), 송봉1동(松峯一洞), 송봉2동(松峯二洞), 신흥동(新興洞), 연풍동(淵豊洞), 영흥동(英興洞), 위연동(渭淵洞), 춘동(春洞), 탑성동(塔城洞), 혜강동(惠江洞), 혜명동(惠明洞), 혜산동(惠山洞), 혜신동(惠新洞), 혜장동(惠長洞), 혜탄동(惠炭洞), 혜화동(惠化洞), 혜흥동(惠興洞)의 25개 동과 로중리(盧中里), 신장리(新長里), 운총리(雲寵里), 장안리(長安里)의 4개 리로 구성되어 있다.[9]

4. 행정 구역

혜산시는 25개의 동과 4개의 리로 구성되어 있다.

동(洞)리(里)


5. 경제

혜산시는 목재 가공업, 제지업, 섬유업 등이 발달하였다. 1990년대 중반 북한 경제 위기 이후 경제 침체를 겪었으며, 도시 내 일부 공장이 폐쇄되었다. 도시 주민들은 집 안에 상수도가 없어서 강에서 옷을 빤다고 한다.

1960년대에 처음 탐사된 혜산광산은 연간 1만 톤의 구리 정광을 생산한다. 이 지역은 북한 가용 구리의 80%를 차지하며, 북한은 향후 40년 동안 구리 채굴을 계속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했다. 일제강점기에 탐사된 갑산동점광산이 1990년에 고갈되어 폐쇄되자 혜산광산이 북한 구리 생산의 생명줄이 되었다. 당시에는 전국적인 전력 부족으로 펌프 장치가 작동을 멈추면서 광산이 침수되었다. 광산 노동자들이 물을 퍼내기 위해 최선을 다했지만, 시간당 480m3의 속도로 광산에 유입되는 물을 막을 수 없었다. 1996년, 북한의 '고난의 행군' 기간 동안 광산에 전기가 공급되지 않아 1997년 1월에 갱도가 침수되었다. 혜산광산은 전국 다른 광산과 마찬가지로 다시 침수되었고, 모든 채굴 시설을 잃었다. 1998년부터 김정일광업에서 물을 빼내기 위해 820만 달러를 예산으로 책정했고, 중화인민공화국이 제공한 전기와 장비를 사용하여 광산을 복구했다.

2000년대 들어 중국과의 합작 등을 통해 광산 개발을 재개하고 있다.

6. 교통

혜산시는 백두산청년선, 삼지연선, 북부내륙선 등의 철도와 도로, 공항을 통해 북한의 다른 지역과 연결되어 있다.[5] 백두산청년선북부내륙선을 통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와 연결된다.[5] 혜산시는 트롤리버스 시스템을 갖춘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실제 존재 여부는 불분명하다. 2010년대에는 평양역혜산청년역 사이에 여객 열차가 매일 운행되었으나, 정전과 시설 노후화로 인해 지연 및 운행 취소가 빈번했다.[10] 2020년대 이후에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확산으로 이용객이 급감하여, 일주일에 1편 정도만 운행되고 있다.[10]

7. 교육

혜산시에는 여러 교육 기관이 있다. 김정숙사범대학은 김일성의 첫째 부인인 김정숙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농림대학교는 중앙급 대학교였지만 고난의 행군으로 인해 농업, 축산업, 임업이 축소되면서 지방급 대학교로 전락했다. 혜산의학대학은 2016년 4년제 의학전문학교가 없어지고 의대와 통합되었다. 량강공업대학은 2016년 2년제 경제전문학교가 없어지고 공업대학과 통합되었다. 이 외에도 간호전문학교, 상업전문학교(이미용, 회계, 경리 등을 가르침), 화학전문학교 등 여러 전문학교들이 있다.

양강도 내 영재들을 가르치는 영웅혜산제1중학교는 2009년까지 보천군에 있는 김일성고등물리학교에 밀려 2인자였으나, 2010년 이후 혜산시 제1의 영재고등학교가 되었다. 매년 시험을 통해 80명 정도의 신입생을 선발하며, 평양시평양제1중학교, 금성1고등에 인재들이 빠져나가 질이 떨어진다는 평가도 있지만, 여전히 뛰어난 인재들이 많다. 2012년부터는 1학년과 4학년 두 학년에 걸쳐 신입생을 받고 있으며, 총 인원은 약 500명 정도이다. 성적이 우수한 학생들은 예비시험 없이도 대학에 지원할 수 있는 자격을 얻는다.

그 외에도 혜산고등중학교, 혜산여자고등중학교, 혜산경공업대학이 있다.

8. 문화

량강도에는 지역 언론인 량강도 방송과 량강일보가 있다. 혜산시에는 혜산고등학교와 혜산여자학교가 있다.

9. 관광

혜산시에는 괘궁정(掛弓亭), 보천보전투승리기념탑 등의 관광지가 있다. 괘궁정은 혜산진성 남문의 문루로 조선 시대에 건립되었다. 시내에서 가까운 관광지로는 백두산(白頭山), 천지(天池), 내곡온천(內曲溫泉) 등이 있다.

10. 남북 관계 및 영토 문제

대한민국은 1940년대의 행정 구역을 기준으로 혜산시가 백두산을 포함한다고 주장한다. 이는 북한과의 통일 문제와 관련이 있다. 1940년대 혜산시는 인근의 백두산을 포함했으나, 여러 차례 행정 구역 변경으로 현재는 압록강만을 포함한다.

대한민국은 백두산을 두고 중국과도 영토 분쟁을 겪고 있다. 백두산은 현재 대한민국과 중국이 나누어 점유하고 있지만, 대한민국은 여전히 북쪽 부분을 주장하고 있으며, 공식적으로 주장하지는 않지만, 대한민국에서 인쇄된 지도에서는 ''사실상'' 주장되고 있다.

11. 기타

11. 1. 출신 인물


  • 박연미(1993년 출생)는 탈북민이자 사회운동가로 2007년 탈북했다.
  • 이현서(1980년 출생)는 탈북민이자 사회운동가로 1997년 탈북했다.

참조

[1] 웹사이트 2008 Population Census of DPR Korea https://unstats.un.o[...] Central Bureau of Statistics, DPR Korea 2009-00-00
[2] 웹사이트 30 years report of Meteorological Observations in North Korea (1991-2020)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2-03-23
[3] 웹사이트 Station 47016 Hyesan ftp://ftp-cdc.dwd.de[...] Deutscher Wetterdienst 2016-11-06
[4] 웹사이트 Station Hyesan http://meteo-climat-[...] Meteo Climat 2016-11-06
[5] 웹사이트 발전하는 교통문화⑥ 궤도 전차와 무궤도 전차 (편) http://www.tongilnew[...] 2021-02-22
[6] 웹사이트 <北朝鮮内部>電力事情急悪化で鉄道麻痺 https://web.archive.[...] アジアプレス・ネットワーク 2016-11-18
[7] 웹사이트 平年値データ ヘサン(恵山) https://www.data.jma[...] 気象庁 2013-04-02
[8] 웹사이트 Hyesan, North Korea Climate Normals 1961-1990 http://www.climate-c[...] World Climate Home 2013-04-01
[9] 웹사이트 양강도 혜산시 역사 http://www.cybernk.n[...]
[10] 웹사이트 이용자激減で旅客列車の運行削減 燃料高騰で物資の鉄道輸送に注力するが…リアカーに頼る現状 https://www.asiapres[...] アジアプレス・ネットワーク 2024-07-06
[11] 웹사이트 2008년 인구 조사 http://unstats.un.or[...] 조선중앙통계국 2009-00-00
[12] 웹인용 북한 기상 30년보 (1991 ~ 2020) https://data.kma.go.[...] 대한민국 기상청 2022-01-31
[13] 웹인용 Station 47016 Hyesan http://ftp-cdc.dwd.d[...] 독일 기상청 2016-11-06
[14] 웹인용 Station Hyesan http://meteo-climat-[...] Meteo Climat 2016-11-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