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페이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워페이스는 2023년 발발한 가상 전쟁을 배경으로, 민간 군사 기업 블랙우드와 이에 맞서는 연합 군사체제 워페이스의 대립을 그린 온라인 FPS 게임이다. 플레이어는 스나이퍼, 라이플맨, 엔지니어, 메딕, SED 등 5가지 병과 중 하나를 선택하여 블랙우드의 기지를 파괴하고 주요 인물을 보호하는 임무를 수행한다. 게임은 PvP 및 PvE 모드를 지원하며, 다양한 맵과 특수 작전을 통해 블랙우드와 전투를 벌인다. 게임은 메타크리틱에서 엇갈린 평가를 받았으나, 일부 매체에서는 접근성과 재미를 긍정적으로 평가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3년 비디오 게임 - 어쌔신 크리드 IV: 블랙 플래그
《어쌔신 크리드 IV: 블랙 플래그》는 17세기 카리브해를 배경으로 해적 에드워드 켄웨이가 되어 해상 전투와 탐험을 즐기며 암살단과 템플 기사단의 갈등에 휘말리는 3인칭 액션 어드벤처 게임이다. - 2013년 비디오 게임 - 몬스터 스트라이크
몬스터 스트라이크는 몬스터를 수집, 육성, 진화시켜 당구처럼 몬스터를 튕겨 적에게 데미지를 주는 방식의 전투를 펼치는 모바일 게임으로, 독특한 조작 방식, 협력 플레이, 다양한 퀘스트와 가챠, 진화 시스템이 특징이며 미디어 믹스와 e스포츠 대회로 인기를 얻고 있다. - 다중 사용자 온라인 게임 - 헤일로: 컴뱃 이볼브드
헤일로: 컴뱃 이볼브드는 2001년 엑스박스 콘솔 출시와 함께 등장한 1인칭 슈팅 게임으로, 마스터 치프가 되어 코브넌트 및 플러드와 싸우는 싱글 플레이 캠페인과 멀티플레이어 모드를 제공하며, 독특한 게임 디자인으로 콘솔 게임 시장에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고 FPS 장르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다중 사용자 온라인 게임 - 콜 오브 듀티
콜 오브 듀티는 인피니티 워드, 트레이아크, 슬레지해머 게임즈가 번갈아 개발하는 1인칭 슈팅 게임 시리즈로, 매년 새로운 시리즈를 출시하며 캠페인, 멀티플레이어, 협동 모드 등 다양한 게임 모드를 제공하고 현실적인 전투 연출과 꾸준한 진화를 특징으로 한다. - 부분 유료화 비디오 게임 - 리프트 온라인
리프트 온라인은 텔라라라는 판타지 세계에서 멸망의 용에 맞서 싸우는 승천자가 되어, 두 진영 중 하나를 선택하고, 균열 봉인, 던전 공략, 직업 및 영혼 조합을 통한 캐릭터 커스터마이징을 특징으로 하는 MMORPG이다. - 부분 유료화 비디오 게임 - 리그 오브 레전드
리그 오브 레전드는 라이엇 게임즈에서 개발한 5대5 팀 기반 MOBA 게임으로, 다양한 챔피언을 조작하여 여러 전장에서 상대 팀의 넥서스를 파괴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e스포츠 리그 운영 및 미디어 믹스를 통해 세계관을 확장하고 있다.
워페이스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장르 | 1인칭 슈팅 게임 |
모드 | 멀티플레이어 |
개발 정보 | |
개발사 | 크라이텍 키예프 |
추가 개발 | 크라이텍 UK (Xbox 360 포팅) |
추가 개발 | 크라이텍 이스탄불 (추가 작업) |
추가 개발 | 블랙우드 게임즈 (2019-2021) |
추가 개발 | MY.GAMES (2021-현재) |
퍼블리셔 | MY.GAMES (전 세계) |
퍼블리셔 | 아스트룸 엔터테인먼트 (CIS) |
엔진 | 크라이엔진 3 |
출시 정보 | |
플랫폼 |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
플랫폼 | Xbox 360 |
플랫폼 | 플레이스테이션 4 |
플랫폼 | Xbox One |
플랫폼 | 닌텐도 스위치 |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출시일 | 2013년 10월 21일 |
Xbox 360 출시일 | 2014년 4월 22일 |
플레이스테이션 4 출시일 | 2018년 8월 14일 |
Xbox One 출시일 | 2018년 9월 25일 |
닌텐도 스위치 출시일 | 2020년 2월 18일 |
기타 | |
플레이 인원 | PVP: 최대 16명 |
플레이 인원 | PVE: 최대 5명 |
2. 스토리
2023년, 거대한 전쟁이 발발하고, 민간 군사기업(PMC) 블랙우드가 세계 대부분을 장악한다. 블랙우드는 미국, 남아프리카, 중동, 아시아, 발칸반도 등 전 세계를 침략하며, 특히 제3세계 국가들을 희생시킨다. 이에 맞서 유럽과 세계 정상들은 연합군사체제 워페이스를 창설한다. 워페이스의 주요 임무는 블랙우드 기지 섬멸, 주요 인물 보호, 그리고 블랙우드의 수장 우르슐라 엘리스와 '코인맨' 추적이다.
플레이어는 스나이퍼, 라이플맨, 엔지니어, 메딕, 또는 SED의 5가지 병과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각 병과는 고유한 전투 역할과 특수 능력을 가지고 있다.[27]
3. 병과
; 라이플맨
: 초기부터 사용할 수 있는 기본 병과. 초기 무기는 M4A1. 주로 돌격 소총이나 기관총을 사용한다. 특수 능력으로 탄약 상자를 가지고 있어, PvE 등에서 유용하게 사용된다.
; 메딕
: 훈련을 완료하면 사용할 수 있는 병과. 초기 무기는 레밍턴 M870. 주로 샷건을 사용한다. 특수 능력으로 제세동기와 회복 팩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하드 난이도의 PvE에서 매우 유용하다.
; 엔지니어
: 훈련을 완료하면 사용할 수 있는 병과. 초기 무기는 H&K MP5. 주로 서브머신건을 사용한다. 특수 능력으로 방어구 플레이트와 SED 점퍼를 가지고 있으며, 전자는 방어구를 회복할 수 있고, 후자는 후술할 SED를 재가동할 수 있다.
; 스나이퍼
: 랭크 5부터 사용할 수 있는 병과. 초기 무기는 드라구노프 저격소총. 주로 저격 소총을 사용한다. 특수 능력은 아무것도 가지고 있지 않다. 원거리에서 공격할 수 있지만, 플레이어에 따라 근거리에서 공격하는 플레이어도 있다.
; SED
: 업데이트로 추가된 다섯 번째 병과. 초기 무기는 KAC 체인쏘. 랭크 10부터 사용할 수 있으며, 주로 중기관총을 사용한다. 특수 능력은 특정 특수 작전을 제외하고는 아무것도 가지고 있지 않다. 장시간 달릴 수 있으며, 연계 동작으로 통상 2명만 오를 수 있는 벽을 혼자 오를 수 있다.
3. 1. 라이플맨
플레이어는 스나이퍼, 라이플맨, 엔지니어, 메딕, 또는 SED의 5가지 클래스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각 클래스는 고유한 전투 역할을 가지고 있다. 라이플맨은 추가 탄약을 제공한다.
라이플맨은 다양한 돌격 소총과 경기관총 중에서 선택할 수 있으며, 자신과 다른 플레이어에게 탄약을 분배할 수 있다. 무기에는 조준경, 양각대, 손잡이, 섬광 방지기, 소음기 등을 장착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사용자 지정 슬롯이 있다.
3. 2. 메딕
메딕은 5가지 클래스 중 하나로, 전투에서 쓰러진 팀원을 부활시키고 부상당한 팀원을 치료하는 고유한 역할을 수행한다. 자동 및 펌프 액션 샷건을 주무기로 사용하며, 팀원을 치료하고 부활시키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보조 화기와 근접 무기를 휴대하며, 수류탄, 연막탄, 섬광탄 등으로 장비 벨트를 구성할 수 있다.
3. 3. 엔지니어
엔지니어는 기관단총(SMG)과 개인 방어 화기로 무장하고 있다. 방어구를 보충하고, 폭발 지뢰를 설치하며, SED를 부활시키고, 폭발물과 빠르게 상호 작용할 수 있다. 모든 클래스는 보조 화기, 추가 근접 무기를 휴대하며, 수류탄과 섬광탄, 연막탄으로 장비를 확장할 수 있다. 엔지니어는 대인 지뢰도 휴대할 수 있다. 무기에는 조준경, 양각대, 손잡이, 섬광 방지기, 소음기 등을 장착할 수 있다.
3. 4. 스나이퍼
스나이퍼는 저격 소총으로 무장하고 장거리 교전을 담당하는 병과이다. 볼트 액션 및 반자동 저격 소총과 지정 사수 소총을 사용할 수 있다. 보조 화기와 근접 무기를 휴대하며, 수류탄, 연막탄, 섬광탄을 사용할 수 있다. 무기에는 조준경, 양각대, 손잡이, 섬광 방지기, 소음기 등을 장착할 수 있다.
3. 5. SED
SED는 중화기, 유탄 발사기로 무장하고 제압 사격을 가하며, 짧은 시간 안에 적의 대규모 무리를 제거하는 데 특화된 병과이다. 다른 병과와 달리 중화기를 사용하며, 중간 피해를 입히고 섬광 효과가 있는 유탄 발사기를 사용할 수 있다. 보조 화기, 근접 무기를 휴대하며, 수류탄 외에 연막탄, 섬광탄을 추가로 사용할 수 있다.
4. 게임 모드
플레이어들은 온라인 PvP 매치에서 경쟁하거나, AI가 제어하는 적들과의 PvE 전투 및 특수 작전에서 협력할 수 있다.
플레이어는 매치와 미션을 완료하면 경험치, 워페이스 달러, 벤더 포인트를 얻을 수 있다. 획득하는 보상의 양은 플레이어 수, 플레이한 미션, 미션의 지속 시간, 체크포인트 수 및 기타 기준에 따라 달라진다.
== PvP (Player versus Player) ==
플레이어는 온라인 PvP 매치에서 팀 데스매치, 자유 대전, 스톰 등과 같은 모드를 통해 서로 경쟁할 수 있다. 플레이어는 워페이스 팀과 블랙우드 팀으로 나뉘어 전투를 벌이며, 제한 시간 10분 동안 150킬을 먼저 달성하거나, 시간이 종료되었을 때 더 많은 킬을 달성한 팀이 승리한다.
== PvE (Player versus Environment) ==
플레이어들은 AI가 제어하는 적들과의 PvE 전투에서 협력할 수 있다. PvE 모드는 PvE 미션과 특수 작전으로 나뉜다. 최대 5명이서 공략을 목표로 한다.
=== PvE 미션 ===
플레이어는 매치와 미션을 완료하면 경험치, 워페이스 달러, 벤더 포인트를 얻을 수 있다. 획득하는 보상의 양은 플레이어 수, 플레이한 미션, 미션의 지속 시간, 체크포인트 수 및 기타 기준에 따라 달라진다.
연습 모드를 제외하고 매일 맵이 변경된다. 난이도는 맵마다 고정되어 있으며, 이지, 노멀, 하드의 3종류가 있다.
=== 특수 작전 ===
워페이스의 특수 작전은 PvE 미션보다 긴 호흡으로 진행되며, 블랙우드의 음모를 막기 위해 다양한 지역에서 임무를 수행하는 모드이다.
- 극지방 산정 (러시아 시베리아): 시베리아 산악 지대에 건설 중인 블랙우드 기지를 공격한다.
- 사이버 집단 (동유럽): 블랙우드의 인체 실험 실패작들로부터 EMP 차량을 호위하여 연구 시설로 향한다.
- 대지를 뒤흔드는 자 (아프리카): 활화산에 있는 블랙우드 연구 시설에서 진행되는 연구 내용을 밝혀낸다.
- 아누비스 (이집트): 민간 시설을 향한 탄도 미사일 발사 저지, 잠수함 격침 등 블랙우드 군의 대침공을 막는 임무를 수행한다.
- 블랙 샤크 (발칸): 동유럽에 건설 중인 블랙우드의 탑을 파괴하고 인질을 구출한다.
- 쇄빙 (미국): 워페이스 군 기지를 파괴하려는 블랙우드 군에 맞서 기지를 방어한다.
- 체르노빌 (우크라이나): 프리피야트에 있는 블랙우드의 탑에서 진행되는 초인 병사 계획과 관련된 끔찍한 인체 실험의 수수께끼를 푼다.
- 일출 (태평양): 워페이스 군 부대가 내일의 일출을 지키기 위해 싸운다.
- 화성 (화성): 블랙우드가 초인 병사 계획에 화성의 박테리아를 사용하려는 것을 막고, 화성의 정착민을 구출한다.
- 히드라 (태평양): 블랙우드의 해상 이동 요새 "히드라"에 사로잡힌 워페이스 군 부대와 공작원을 구출한다.
- 블랙우드 (아이슬란드): 플레이어는 블랙우드 부대가 되어 워페이스 군 기지를 공격한다.
- 대군 (미국): 미국의 사막에 추락한 화성 정착민을 조사하기 위해 파견된 워페이스 군 부대가 블랙우드와 협력하여 수수께끼를 푼다.
- 강탈 (미국): 블랙우드 군이 워페이스에게 알려져서는 안 되는 데이터를 파괴하기 위해 은행 강도를 벌인다.
4. 1. PvP (Player versus Player)
플레이어는 온라인 PvP 매치에서 팀 데스매치, 자유 대전, 스톰 등과 같은 모드를 통해 서로 경쟁할 수 있다. 플레이어는 워페이스 팀과 블랙우드 팀으로 나뉘어 전투를 벌이며, 제한 시간 10분 동안 150킬을 먼저 달성하거나, 시간이 종료되었을 때 더 많은 킬을 달성한 팀이 승리한다. 매치와 미션을 완료하면 경험치, 워페이스 달러, 벤더 포인트를 얻을 수 있다. 획득하는 보상의 양은 플레이어 수, 플레이한 미션, 미션의 지속 시간, 체크포인트 수 및 기타 기준에 따라 달라진다.4. 2. PvE (Player versus Environment)
플레이어들은 AI가 제어하는 적들과의 PvE 전투에서 협력할 수 있다. PvE 모드는 PvE 미션과 특수 작전으로 나뉜다. 최대 5명이서 공략을 목표로 한다.PvE 미션플레이어는 매치와 미션을 완료하면 경험치, 워페이스 달러, 벤더 포인트를 얻을 수 있다. 획득하는 보상의 양은 플레이어 수, 플레이한 미션, 미션의 지속 시간, 체크포인트 수 및 기타 기준에 따라 달라진다.
연습 모드를 제외하고 매일 맵이 변경된다. 난이도는 맵마다 고정되어 있으며, 이지, 노멀, 하드의 3종류가 있다.
특수 작전워페이스의 특수 작전은 PvE 미션보다 긴 호흡으로 진행되며, 블랙우드의 음모를 막기 위해 다양한 지역에서 임무를 수행하는 모드이다.
- 극지방 산정 (러시아 시베리아): 시베리아 산악 지대에 건설 중인 블랙우드 기지를 공격한다.
- 사이버 집단 (동유럽): 블랙우드의 인체 실험 실패작들로부터 EMP 차량을 호위하여 연구 시설로 향한다.
- 대지를 뒤흔드는 자 (아프리카): 활화산에 있는 블랙우드 연구 시설에서 진행되는 연구 내용을 밝혀낸다.
- 아누비스 (이집트): 민간 시설을 향한 탄도 미사일 발사 저지, 잠수함 격침 등 블랙우드 군의 대침공을 막는 임무를 수행한다.
- 블랙 샤크 (발칸): 동유럽에 건설 중인 블랙우드의 탑을 파괴하고 인질을 구출한다.
- 쇄빙 (미국): 워페이스 군 기지를 파괴하려는 블랙우드 군에 맞서 기지를 방어한다.
- 체르노빌 (우크라이나): 프리피야트에 있는 블랙우드의 탑에서 진행되는 초인 병사 계획과 관련된 끔찍한 인체 실험의 수수께끼를 푼다.
- 일출 (태평양): 워페이스 군 부대가 내일의 일출을 지키기 위해 싸운다.
- 화성 (화성): 블랙우드가 초인 병사 계획에 화성의 박테리아를 사용하려는 것을 막고, 화성의 정착민을 구출한다.
- 히드라 (태평양): 블랙우드의 해상 이동 요새 "히드라"에 사로잡힌 워페이스 군 부대와 공작원을 구출한다.
- 블랙우드 (아이슬란드): 플레이어는 블랙우드 부대가 되어 워페이스 군 기지를 공격한다.
- 대군 (미국): 미국의 사막에 추락한 화성 정착민을 조사하기 위해 파견된 워페이스 군 부대가 블랙우드와 협력하여 수수께끼를 푼다.
- 강탈 (미국): 블랙우드 군이 워페이스에게 알려져서는 안 되는 데이터를 파괴하기 위해 은행 강도를 벌인다.
4. 2. 1. PvE 미션
플레이어는 매치와 미션을 완료하면 경험치, 워페이스 달러, 벤더 포인트를 얻을 수 있다. 획득하는 보상의 양은 플레이어 수, 플레이한 미션, 미션의 지속 시간, 체크포인트 수 및 기타 기준에 따라 달라진다.연습 모드를 제외하고 매일 맵이 변경된다. 난이도는 맵마다 고정되어 있으며, 이지, 노멀, 하드의 3종류가 있다.
4. 2. 2. 특수 작전
워페이스의 특수 작전은 PvE 미션보다 긴 호흡으로 진행되며, 블랙우드의 음모를 막기 위해 다양한 지역에서 임무를 수행하는 모드이다.- 극지방 산정 (러시아 시베리아): 시베리아 산악 지대에 건설 중인 블랙우드 기지를 공격한다.
- 사이버 집단 (동유럽): 블랙우드의 인체 실험 실패작들로부터 EMP 차량을 호위하여 연구 시설로 향한다.
- 대지를 뒤흔드는 자 (아프리카): 활화산에 있는 블랙우드 연구 시설에서 진행되는 연구 내용을 밝혀낸다.
- 아누비스 (이집트): 민간 시설을 향한 탄도 미사일 발사 저지, 잠수함 격침 등 블랙우드 군의 대침공을 막는 임무를 수행한다.
- 블랙 샤크 (발칸): 동유럽에 건설 중인 블랙우드의 탑을 파괴하고 인질을 구출한다.
- 쇄빙 (미국): 워페이스 군 기지를 파괴하려는 블랙우드 군에 맞서 기지를 방어한다.
- 체르노빌 (우크라이나): 프리피야트에 있는 블랙우드의 탑에서 진행되는 초인 병사 계획과 관련된 끔찍한 인체 실험의 수수께끼를 푼다.
- 일출 (태평양): 워페이스 군 부대가 내일의 일출을 지키기 위해 싸운다.
- 화성 (화성): 블랙우드가 초인 병사 계획에 화성의 박테리아를 사용하려는 것을 막고, 화성의 정착민을 구출한다.
- 히드라 (태평양): 블랙우드의 해상 이동 요새 "히드라"에 사로잡힌 워페이스 군 부대와 공작원을 구출한다.
- 블랙우드 (아이슬란드): 플레이어는 블랙우드 부대가 되어 워페이스 군 기지를 공격한다.
- 대군 (미국): 미국의 사막에 추락한 화성 정착민을 조사하기 위해 파견된 워페이스 군 부대가 블랙우드와 협력하여 수수께끼를 푼다.
- 강탈 (미국): 블랙우드 군이 워페이스에게 알려져서는 안 되는 데이터를 파괴하기 위해 은행 강도를 벌인다.
5. 작전 지역
블랙우드는 세력 확장에 따라 다양한 지역에서 전투를 벌인다.
중동블랙우드는 부패와 경찰 정부로 찌든 중동에 평화유지군이라는 명목으로 군대를 주둔시켰다. 그러나 이는 많은 석유를 차지하여 군사력을 확보하기 위한 목적이었다.
미국블랙우드의 핵심 인물인 오베론 화이트가 있는 곳으로, 훈련장 등 블랙우드의 핵심 시설이 위치한다.
남아프리카블랙우드는 브라질 파벨라 지역에 바이러스와 생화학 무기 개발 시설을 건설하고, 워페이스 군에게 퍼트릴 목적으로 운영하였다. 대부분의 주민들을 강제 이주시켰으며, 파벨라 빈민층 영유아들을 대상으로 생체 실험을 자행하기도 한다.
발칸반도추운 발칸반도에는 블랙우드의 핵심 무기들과 비밀 무기, 전차가 주둔하고 있다. 이곳은 블랙우드의 최후의 후방 기지이다.
아시아 (중국)블랙우드는 거대한 중국을 공격하여 자원과 인력을 확보하고, 유럽 침략 계획의 발판으로 삼았다. 아시아 지역은 블랙우드의 병기를 생산하는 본거지이다.
5. 1. 중동
블랙우드는 부패와 경찰 정부로 찌든 중동에 평화유지군이라는 명목으로 군대를 주둔시켰다. 그러나 이는 많은 석유를 차지하여 군사력을 확보하기 위한 목적이었다.5. 2. 미국
블랙우드의 핵심 인물인 오베론 화이트가 있는 곳으로, 훈련장 등 블랙우드의 핵심 시설이 위치한다.5. 3. 남아프리카
블랙우드는 브라질 파벨라 지역에 바이러스와 생화학 무기 개발 시설을 건설하고, 워페이스 군에게 퍼트릴 목적으로 운영하였다. 대부분의 주민들을 강제 이주시켰으며, 파벨라 빈민층 영유아들을 대상으로 생체 실험을 자행하기도 한다.5. 4. 발칸반도
추운 발칸반도에는 블랙우드의 핵심 무기들과 비밀 무기, 전차가 주둔하고 있다. 이곳은 블랙우드의 최후의 후방 기지이다.5. 5. 아시아 (중국)
블랙우드는 거대한 중국을 공격하여 자원과 인력을 확보하고, 유럽 침략 계획의 발판으로 삼았다. 아시아 지역은 블랙우드의 병기를 생산하는 본거지이다.6. 블랙우드의 병력
돌격병 (Assault) - AK-103 돌격소총과 IWI 데저트 이글 권총으로 무장한 다수의 병력이다. 명중률과 데미지는 난이도에 따라 다르다. 트레이닝과 이지 난이도에서는 낮지만, 하드 난이도에서는 거의 백발백중의 사격 정확도와 PVP에 맞먹는 데미지를 보여준다. 맷집은 낮아서 권총 총검에도 한 번에 쓰러지지만, 가장 흔하게 보이는 블랙우드 병력 중 하나이다.
근접병 (CQB) - 레밍턴 M870 산탄총으로 무장하고 있다. 명중률과 데미지는 난이도에 따라 다르다. 트레이닝과 이지 난이도에서는 중장거리 교전 시 위협적이지 않지만, 하드 난이도에서는 중거리까지 사거리에 따른 데미지 감소가 거의 없고, 산탄총 중 최강의 파괴력을 보인다. 맷집은 돌격병과 같지만, 돌격병만큼 흔하게 보이는 블랙우드 병력 중 하나이다. 하드 난이도의 근접병은 희귀급 장비를 착용해도 근거리에서 한 방에 쓰러뜨릴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쉴드가이 (Heavy Soldier) - 진압방패, 곤봉, IWI 데저트 이글 권총으로 무장하고 있다. 방어력이 높다. 평소에는 진압방패로 몸을 숨기고 있으며 근접시 공격 대상에게 달려가 진압방패로 밀쳐 쓰러뜨린 후 곤봉으로 공격한다. 중-장거리일 경우엔 진압방패에 몸을 숨긴 채로 권총을 사격하는 경우가 많다. IWI 데저트 이글을 주로 장비하지만, 일부 지역에선 (타워모드 - 거대한 백상아리) IWI 미니우지를 장비한 경우도 있다.
맷집도 상당하며 방패에 몸을 숨기므로 처리가 어렵지만, 사격시에 머리를 내미는 만큼, 머리를 노리는 것이 가장 쉬운 방법이다. 진압방패는 특수물질로 만들어져 .50 BMG탄도 무력화 시킬 수 있다. 예외로 벽을 뒤에 서면 넘어지지 않는데, 점프를 하여 머리를 노리거나, 발을 쏘거나, 카타나나 전술도끼로 공격하는 방법 등이 존재한다.
스나이퍼 (Sniper) - 드라구노프 SR 저격총과 IWI 데저트 이글 권총으로 무장하고 있다. 보통 건물 옥상이나 2층에 숨어 저격을 하며, 근접 시에는 권총을 사용한다. 사격 후 잠시 동안 총탄 궤적이 표시되어 역추적이 가능하다. 맷집은 약하지만 잘 보이지 않는 위치에 있어, 사격 무기로 빠르게 처리하는 것이 좋다. 명중률은 낮지만, 이지 난이도에서도 데미지가 높아 주의해야 한다. 스펙옵스, 로켓병과 함께 특히 주의해야 할 병과이다.
로켓병 (Demoman) - AT-4 로켓 발사기와 IWI 데저트 이글 권총으로 무장하고 있으며, 스나이퍼와 같이 은밀한 장소에서 플레이어에게 로켓을 발사한다. 로켓 발사 후 잠시 동안 분사 연기가 남아 역추적이 가능하다. 데미지는 상당히 높은 편으로, 폭발형 데미지인 만큼 주변에 가하는 데미지도 높으며, 하드 난이도의 경우 폭발 보호 방어구가 없는 경우 8~90%의 확률로 죽는다고 보면 된다. 또한 맷집 자체도 상당하기 때문에 처리하는데 큰 어려움이 있다. 강력한 화력을 투사하며, 스펙옵스만큼 위험한 병과이므로 큰 주의가 필요하다.
스펙옵스 (Spec-Ops) - IWI TAR-21 소총으로 무장하고 있다. 헬멧의 레이저 사이트를 플레이어에게 쏘아 시야를 방해하며, TAR-21 자체의 높은 데미지로 플레이어에게 큰 피해를 준다. DPS(초당 공격력)는 메크와 블랙샤크같은 탑승병기와 미니보스인 헤비거너를 제외한 병과 중 가장 높으며, 맷집도 상당하여 주의가 필요하다. 스나이퍼나 로켓병과 같이 은밀한 장소에 자주 보이며, 레이저 사이트를 통해 조준 후 사격까지 딜레이가 있으므로, 이 딜레이를 이용하여 엄폐 후 처리하는 것이 좋다.
헤비거너 (Heavy Gunner) - 미션의 미니보스로 자주 등장한다. 개틀링건으로 무장하고 있으며 방호복 자체가 EOD슈트의 개량형인 만큼, 총탄이나 폭발물에는 내성을 가진다. 개틀링건 자체의 명중률과 데미지도 상당하기 때문에 잦은 엄폐로 개틀링의 탄환을 모두 소진시키는 전술이 필요하며, 개틀링의 탄환이 모두 소진되면 헤비거너는 장전을 하게 된다. 이때 헤비거너의 등 뒤에 위치한 에너지팩을 노리면 헤비거너에 데미지를 입힐수 있다. 예외로 제세동기의 고압 전류는 헤비거너 내부에 존재하는 방탄재를 통해 에너지팩에 데미지를 줄 수 있다.
카모프 KA-50 (KA-50) - 카모프 설계국의 1인승 공격 헬리콥터이다. Черная акулаru, 나토 명칭은 Hokum이다. 30mm 시프노브 2A42 기관포와 KBP Hermes-A 공대지 미사일로 무장하고 있다. 일반적인 총기로는 피해를 줄 수 없고, SA-16 이글라를 사용해야 한다.
허미즈(헤르메스) 미사일은 반능동식 미사일로, 발당 공격력은 낮지만 많은 수가 발사되므로 주의해야 한다. 시프노브 기관포는 30mm로 높은 공격력을 가지므로 엄폐가 중요하다. KA-50은 공격 헬기인 만큼 회피 기동이 뛰어나므로, 약점을 보이는 근접 시에 이글라를 발사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메크 2300 (Mech 2300) - 블랙우드의 이족보행병기로 KA-50과 마찬가지로 기관포와 미사일 포드로 무장하고 있다. 다만 회피기동이 없어 상대하기는 쉽다고 생각할 수 있으나, 기관포와 미사일의 데미지가 KA-50의 상위호환인 만큼 메크 또한 엄폐가 중요하다.
메크는 중장갑으로 무장되어 있기에 어떠한 공격에도 파괴되지 않으며, 그 두꺼운 장갑에 데미지를 주는 건 105mm급 곡사포나 JDAM정도이다. 파워코어는 쿨링홀이 존재하는 만큼 방어에 매우 취약한 부위인데, 일반 소화기 공격에 보호하기 위해 기체의 상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부에 위치한 만큼, 냉각 효과도 상당히 높아 기체의 가동시간을 최대한으로 높였다. 하지만 이러한 메크도 취약부가 있는데, 방탄-방폭 유리로 보호된 콕핏이다. 이 부위는 일반 화기로는 파괴가 불가능하지만, 파일럿 자체에게 폭발의 충격은 가는 만큼, 파일럿에게 데미지를 주어 메크를 다운시키는 것이 유일한 파워코어를 노리는 방법이다.
메크를 파괴하는 방법은 파워코어를 파괴하는 것 뿐인데 메크의 콕핏에 이글라를 명중시켜 메크가 다운되도록 유도한 후, 노출된 파워코어를 공격하면 된다. 노출된 파워코어는 쿨링홀이 존재하는 만큼 어떠한 소화기로도 데미지를 줄 수 있으며, 심지어 근접무기나 제세동기로도 데미지를 줄 수 있다.
6. 1. 돌격병 (Assault)
AK-103 돌격소총과 IWI 데저트 이글 권총으로 무장한 다수의 병력이다. 명중률과 데미지는 난이도에 따라 다르다. 트레이닝과 이지 난이도에서는 낮지만, 하드 난이도에서는 거의 백발백중의 사격 정확도와 PVP에 맞먹는 데미지를 보여준다. 맷집은 낮아서 권총 총검에도 한 번에 쓰러지지만, 가장 흔하게 보이는 블랙우드 병력 중 하나이다.6. 2. 근접병 (CQB)
근접병(CQB)은 레밍턴 M870 산탄총으로 무장하고 있다. 명중률과 데미지는 난이도에 따라 다르다. 트레이닝과 이지 난이도에서는 중장거리 교전 시 위협적이지 않지만, 하드 난이도에서는 중거리까지 사거리에 따른 데미지 감소가 거의 없고, 산탄총 중 최강의 파괴력을 보인다. 맷집은 돌격병과 같지만, 돌격병만큼 흔하게 보이는 블랙우드 병력 중 하나이다. 하드 난이도의 근접병은 희귀급 장비를 착용해도 근거리에서 한 방에 쓰러뜨릴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6. 3. 쉴드가이 (Heavy Soldier)
쉴드가이 (Heavy Soldier)는 진압방패, 곤봉, IWI 데저트 이글 권총으로 무장하고 있다. 방어력이 높다. 평소에는 진압방패로 몸을 숨기고 있으며 근접시 공격 대상에게 달려가 진압방패로 밀쳐 쓰러뜨린 후 곤봉으로 공격한다. 중-장거리일 경우엔 진압방패에 몸을 숨긴 채로 권총을 사격하는 경우가 많다. IWI 데저트 이글을 주로 장비하지만, 일부 지역에선 (타워모드 - 거대한 백상아리) IWI 미니우지를 장비한 경우도 있다.맷집도 상당하며 방패에 몸을 숨기므로 처리가 어렵지만, 사격시에 머리를 내미는 만큼, 머리를 노리는 것이 가장 쉬운 방법이다. 진압방패는 특수물질로 만들어져 .50 BMG탄도 무력화 시킬 수 있다. 예외로 벽을 뒤에 서면 넘어지지 않는데, 점프를 하여 머리를 노리거나, 발을 쏘거나, 카타나나 전술도끼로 공격하는 방법 등이 존재한다.
6. 4. 스나이퍼 (Sniper)
스나이퍼 (Sniper)는 드라구노프 SR 저격총과 IWI 데저트 이글 권총으로 무장하고 있다. 보통 건물 옥상이나 2층에 숨어 저격을 하며, 근접 시에는 권총을 사용한다. 사격 후 잠시 동안 총탄 궤적이 표시되어 역추적이 가능하다. 맷집은 약하지만 잘 보이지 않는 위치에 있어, 사격 무기로 빠르게 처리하는 것이 좋다. 명중률은 낮지만, 이지 난이도에서도 데미지가 높아 주의해야 한다. 스펙옵스, 로켓병과 함께 특히 주의해야 할 병과이다.6. 5. 로켓병 (Demoman)
로켓병(Demoman)은 AT-4 로켓 발사기와 IWI 데저트 이글 권총으로 무장하고 있으며, 스나이퍼와 같이 은밀한 장소에서 플레이어에게 로켓을 발사한다. 로켓 발사 후 잠시 동안 분사 연기가 남아 역추적이 가능하다. 데미지는 상당히 높은 편으로, 폭발형 데미지인 만큼 주변에 가하는 데미지도 높으며, 하드 난이도의 경우 폭발 보호 방어구가 없는 경우 8~90%의 확률로 죽는다고 보면 된다. 또한 맷집 자체도 상당하기 때문에 처리하는데 큰 어려움이 있다. 강력한 화력을 투사하며, 스펙옵스만큼 위험한 병과이므로 큰 주의가 필요하다.6. 6. 스펙옵스 (Spec-Ops)
스펙옵스(Spec-Ops)는 IWI TAR-21 소총으로 무장하고 있다. 헬멧의 레이저 사이트를 플레이어에게 쏘아 시야를 방해하며, TAR-21 자체의 높은 데미지로 플레이어에게 큰 피해를 준다. DPS(초당 공격력)는 메크와 블랙샤크같은 탑승병기와 미니보스인 헤비거너를 제외한 병과 중 가장 높으며, 맷집도 상당하여 주의가 필요하다. 스나이퍼나 로켓병과 같이 은밀한 장소에 자주 보이며, 레이저 사이트를 통해 조준 후 사격까지 딜레이가 있으므로, 이 딜레이를 이용하여 엄폐 후 처리하는 것이 좋다.6. 7. 헤비거너 (Heavy Gunner)
헤비거너는 미션의 미니보스로 자주 등장한다. 개틀링건으로 무장하고 있으며 방호복 자체가 EOD슈트의 개량형인 만큼, 총탄이나 폭발물에는 내성을 가진다. 개틀링건 자체의 명중률과 데미지도 상당하기 때문에 잦은 엄폐로 개틀링의 탄환을 모두 소진시키는 전술이 필요하며, 개틀링의 탄환이 모두 소진되면 헤비거너는 장전을 하게 된다. 이때 헤비거너의 등 뒤에 위치한 에너지팩을 노리면 헤비거너에 데미지를 입힐수 있다. 예외로 제세동기의 고압 전류는 헤비거너 내부에 존재하는 방탄재를 통해 에너지팩에 데미지를 줄 수 있다.6. 8. 카모프 KA-50 (KA-50)
카모프 KA-50(Черная акула, Hokum)은 카모프 설계국의 1인승 공격 헬리콥터이다. 30mm 시프노브 2A42 기관포와 KBP Hermes-A 공대지 미사일로 무장하고 있다. 일반적인 총기로는 피해를 줄 수 없고, SA-16 이글라를 사용해야 한다.허미즈(헤르메스) 미사일은 반능동식 미사일로, 발당 공격력은 낮지만 많은 수가 발사되므로 주의해야 한다. 시프노브 기관포는 30mm로 높은 공격력을 가지므로 엄폐가 중요하다. KA-50은 공격 헬기인 만큼 회피 기동이 뛰어나므로, 약점을 보이는 근접 시에 이글라를 발사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6. 9. 메크 2300 (Mech 2300)
블랙우드의 이족보행병기로 KA-50과 마찬가지로 기관포와 미사일 포드로 무장하고 있다. 다만 회피기동이 없어 상대하기는 쉽다고 생각할 수 있으나, 기관포와 미사일의 데미지가 KA-50의 상위호환인 만큼 메크 또한 엄폐가 중요하다.메크는 중장갑으로 무장되어 있기에 어떠한 공격에도 파괴되지 않으며, 그 두꺼운 장갑에 데미지를 주는 건 105mm급 곡사포나 JDAM정도이다. 파워코어는 쿨링홀이 존재하는 만큼 방어에 매우 취약한 부위인데, 일반 소화기 공격에 보호하기 위해 기체의 상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부에 위치한 만큼, 냉각 효과도 상당히 높아 기체의 가동시간을 최대한으로 높였다. 하지만 이러한 메크도 취약부가 있는데, 방탄-방폭 유리로 보호된 콕핏이다. 이 부위는 일반 화기로는 파괴가 불가능하지만, 파일럿 자체에게 폭발의 충격은 가는 만큼, 파일럿에게 데미지를 주어 메크를 다운시키는 것이 유일한 파워코어를 노리는 방법이다.
메크를 파괴하는 방법은 파워코어를 파괴하는 것 뿐인데 메크의 콕핏에 이글라를 명중시켜 메크가 다운되도록 유도한 후, 노출된 파워코어를 공격하면 된다. 노출된 파워코어는 쿨링홀이 존재하는 만큼 어떠한 소화기로도 데미지를 줄 수 있으며, 심지어 근접무기나 제세동기로도 데미지를 줄 수 있다.
7. 주요 인물
리 와튼 장군은 워페이스 타워 모드에서 10층 이상부터 지휘를 맡으며, 오베론 화이트(코인맨)와 우르슐라 엘리스 같은 블랙우드의 인물들을 싫어한다. 타워 모드 마지막에서 오베론을 제거할 때는 특히 신경 쓰는 말투로 플레이어들에게 명령한다.
오베론 화이트는 블랙우드의 총 책임자이자 실질적인 배후이다. 서번트 증후군을 앓고 있다. 블랙우드 홍보 영상에서 주로 나오는 인물이며, 블랙우드 작전의 총 지휘자이기도 하다. 워페이스 타워모드 초반 엘리베이터 탑승 이벤트 영상과 18층에서 등장한다.
워페이스의 리 와튼 장군은 타워모드 10층 이상부터 오베론 화이트와 우르슐라 엘리스 같은 블랙우드 인물들을 싫어하는 모습을 보이며, 타워모드 마지막에 오베론을 제거할 때 특히 신경쓰는 말투로 플레이어들에게 명령한다.
우르슐라 엘리스는 이 전쟁의 원인을 만든 인물이다. 영국에서 신정당인 자본주의자들에게 마녀 사냥을 당할 뻔했으나, 미국 상류층 부자들과 국제 기업들의 지원을 받아 블랙우드를 창시했다.
7. 1. 리 와튼 장군
리 와튼 장군은 워페이스 타워 모드에서 10층 이상부터 지휘를 맡으며, 오베론 화이트(코인맨)와 우르슐라 엘리스 같은 블랙우드의 인물들을 싫어한다. 타워 모드 마지막에서 오베론을 제거할 때는 특히 신경 쓰는 말투로 플레이어들에게 명령한다.7. 2. 오베론 화이트 (코인맨)
오베론 화이트는 블랙우드의 총 책임자이자 실질적인 배후이다. 서번트 증후군을 앓고 있다. 블랙우드 홍보 영상에서 주로 나오는 인물이며, 블랙우드 작전의 총 지휘자이기도 하다. 워페이스 타워모드 초반 엘리베이터 탑승 이벤트 영상과 18층에서 등장한다.워페이스의 리 와튼 장군은 타워모드 10층 이상부터 오베론 화이트와 우르슐라 엘리스 같은 블랙우드 인물들을 싫어하는 모습을 보이며, 타워모드 마지막에 오베론을 제거할 때 특히 신경쓰는 말투로 플레이어들에게 명령한다.
7. 3. 우르슐라 엘리스
우르슐라 엘리스는 이 전쟁의 원인을 만든 인물이다. 영국에서 신정당인 자본주의자들에게 마녀 사냥을 당할 뻔했으나, 미국 상류층 부자들과 국제 기업들의 지원을 받아 블랙우드를 창시했다.8. 평가
워페이스는 리뷰 애그리게이터 메타크리틱에 따르면 비평가들로부터 엇갈린 평가를 받았다.[17][18] PC 버전은 62/100점,[17] Xbox 360 버전은 60/100점을 기록했다.[18] 게이밍 트렌드는 Xbox One 버전의 ''워페이스''가 가장 독창적인 게임은 아니지만, 재미있고 접근하기 쉽다고 평했다.[23] TheXboxHub는 이 게임이 "진정한 무료 플레이"이며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 실제 돈을 쓸 필요가 없고, "매우 즐거운 온라인 중심 게임 플레이"와 많은 모드를 제공한다고 칭찬했다.[24] 게임스컴 2012에서 '최우수 소셜/캐주얼/온라인 게임' 상을 수상했고,[25] 인벤 어워드에서 지스타 2012 최고 FPS 게임으로 선정되었다.[26]
참조
[1]
웹사이트
Crytek Discontinuing Warface on Xbox 360
http://www.gamerevol[...]
GameRevolution
2015-03-20
[2]
웹사이트
Free-to-play first-person shooter Warface is now available on Switch
https://www.eurogame[...]
Eurogamer
2020-02-17
[3]
웹사이트
All the games created by video game developer Crytek
https://www.crytek.c[...]
2019-04-20
[4]
웹사이트
Warface is now live!
https://web.archive.[...]
2013-10-21
[5]
간행물
Warface: Breakout Arrives Today on PlayStation 4 and Xbox One
https://web.archive.[...]
[6]
웹사이트
Warface Announced for 2012 Release
http://www.crytek.co[...]
[7]
웹사이트
Nexon publishing Crytek's Warface in Korea, Taiwan
http://www.gamasutra[...]
2019-04-20
[8]
웹사이트
New parthnership with Trion Worlds
https://web.archive.[...]
2012-07-26
[9]
웹사이트
Warface free-to-play shooter closed beta launches today
https://www.polygon.[...]
2019-04-20
[10]
웹사이트
Free-to-play FPS Warface coming to Xbox 360 in early 2014
http://www.eurogamer[...]
Eurogamer
2013-12-11
[11]
웹사이트
Warface exits beta on Xbox 360 today
http://www.polygon.c[...]
2014-12-03
[12]
웹사이트
Warface lays down its guns on Xbox 360
http://www.joystiq.c[...]
2014-12-03
[13]
웹사이트
Warface Early Access Begins For PS4 Players, Variety of Maps and Modes
https://www.playstat[...]
2019-05-14
[14]
웹사이트
Next Week on Xbox: New Games for September 25 – 28
https://news.xbox.co[...]
2019-05-14
[15]
웹사이트
Soon in game: New Battle Pass
https://wf.my.com/en[...]
2018-11-28
[16]
웹사이트
Warface developers form Blackwood Games studio
https://wf.my.com/en[...]
2019-04-20
[17]
웹사이트
Warface for PC Reviews
https://www.metacrit[...]
CBS Interactive
2013-05-30
[18]
웹사이트
Warface for Xbox 360 Reviews
https://www.metacrit[...]
CBS Interactive
2013-05-30
[19]
웹사이트
Warface Review
https://www.gamespot[...]
2020-05-02
[20]
웹사이트
Warface im Test - Triple-C for Free
https://www.gamestar[...]
2020-05-02
[21]
웹사이트
Warface Review (Switch eShop)
http://www.nintendol[...]
2020-05-02
[22]
간행물
WARFACE REVIEW
https://www.pcgamer.[...]
2020-05-02
[23]
웹사이트
Squad up --- Warface review
https://gamingtrend.[...]
2019-05-14
[24]
웹사이트
Warface Review
http://www.thexboxhu[...]
2019-05-14
[25]
웹사이트
Warface Won Best Social/Casual/Online Game in Gamescom 2012 {{!}} DSOGaming {{!}} The Dark Side Of Gaming
https://www.dsogamin[...]
2019-05-14
[26]
웹사이트
Warface Scoops Prestigious Award at South Korea's G-Star Expo {{!}} ANP Pers Support {{!}} De kortste weg naar publiciteit
http://www.perssuppo[...]
2019-05-14
[27]
문서
https://warface.fand[...]
[28]
웹인용
크라이텍이 개발한 차세대 온라인 FPS 게임은 텐센트를 통해 중국 시장에 선보일 것입니다
http://www.crytek.co[...]
2011-08-20
[29]
웹인용
Nexon and Crytek Sign Publishing Deal for Warface®
http://www.crytek.co[...]
[30]
웹인용
Mail.Ru Group and Crytek Sign Publishing Deal for Warface®
http://www.crytek.co[...]
2011-12-21
[31]
웹인용
크라이텍 웹사이트의 게임 소개 페이지
http://crytek.com/ga[...]
[32]
웹인용
워페이스를 공개합니다
http://www.crytek.co[...]
2012-11-19
[33]
웹인용
Crytek's Warface turns West in 2012
http://gamescom.game[...]
[34]
웹인용
Warface for PC Reviews
http://www.metacriti[...]
CBS Interactive
2013-05-30
[35]
웹인용
Warface for Xbox 360 Reviews
http://www.metacriti[...]
CBS Interactive
2013-05-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