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현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위현성은 전한 시대의 관료로, 부친 위현의 뒤를 이어 부양후에 봉해졌다. 그는 학문을 장려하고 겸손한 인품으로 명망을 얻었으며, 간대부, 대하도위, 하내태수, 위위, 태상 등을 역임했다. 부친의 작위를 형에게 양보하려다 선제의 명으로 작위를 받았으며, 양운의 죽음과 종묘 제사 관련 사건으로 좌천되기도 했다. 원제 즉위 후 소부, 태자태부, 어사대부를 거쳐 승상에 올랐으나, 세상의 흐름에 따라 아첨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그는 승상으로 재직하며 황제 묘 제도를 정비했으며, 건소 3년에 사망하여 공(共)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위현성은 하내태수[2]를 거쳐 중앙에서 위위, 태상을 역임하였다. 그러나 양운이 주살될 때 그의 친구였기 때문에 연좌되어 면직되었다. 이후 혜제의 종묘 제사에 참석했을 때 말을 탄 채로 종묘 앞까지 온 일로 탄핵받아 작위가 관내후로 격하되었다.
2. 생애
원제 즉위 후 소부로 승진하였고, 이후 태자태부, 어사대부를 지냈다. 영광 2년(기원전 42년), 우정국의 뒤를 이어 승상이 되었고 다시 부양후에 봉해졌다. 한나라에서 아버지와 아들이 모두 승상을 역임한 경우는 위현·위현성 부자와 저우보·저우야푸, 조조·조비 세 쌍뿐이다.
건소 3년(기원전 36년)에 사망하여 시호를 공(共)이라 하였다. 작위는 아들 위관이 이었다. 위현은 평릉으로 이주했지만, 위현성은 두릉으로 갔다. 하지만 임종 때에 이르러서는 아버지가 있었던 평릉에 묻히길 청원하여 받아들여졌다. 그는 승상으로서 세상의 부침에 따라 아첨했다는 평가를 받기도 한다.
2. 1. 가문 배경 및 초기 생애
任子|임자중국어로 낭(郞)에 임명되었으며, 학문을 즐겨 부친의 학업을 이었다. 사람됨이 겸손하여 가난하고 비천한 자에게도 예를 다했으므로 평판이 좋았다. 경서에 밝다 하여 간대부(諫大夫)에 발탁되고, 이후 대하도위가 되었다.[2]
원강 5년(기원전 61년), 아버지 위현이 죽었다. 위현은 부양후(扶陽侯)에 봉해져 있었는데, 작위는 마땅히 위현성의 형 위홍이 뒤를 이어야 했으나 죄를 지어 감옥에 갇혀 있었다. 이 때문에 유가족과 문하생들은 위현의 유언을 멋대로 고쳐 위현성으로 하여금 뒤를 잇게 하려 하였다. 하지만 위현성은 그것이 위현 본인의 뜻이 아니었음을 알고, 거짓으로 미친 척하여 작위를 받지 않으려 하였다. 결국 세간에서 위현성이 작위를 형에게 양보하려 한다고 소문이 났고, 승상부(丞相府)에서 이를 듣고 조사하여 위현성이 거짓으로 미친 척한 것을 알아내어 그를 벌주려 하였으나 선제가 윤허하지 않고 조서를 내려 위현성을 만나보았다. 결국 위현성은 작위를 이어받았다.
2. 2. 작위 계승과 논란
원강 5년(기원전 61년), 아버지 위현이 죽자, 작위는 원래 형 위홍이 이어야 했다. 그러나 위홍이 죄를 지어 감옥에 갇혀 있었기 때문에, 유가족과 문하생들은 위현의 유언을 고쳐 위현성이 후사를 잇게 하려 했다. 위현성은 이것이 아버지의 본뜻이 아님을 알고, 거짓으로 미친 척하며 작위를 받지 않으려 하였다.[2]
이러한 소문이 퍼지자, 승상부(丞相府)에서 조사하여 위현성이 거짓으로 미친 척한 것을 밝혀냈다. 승상부는 위현성을 벌주려 하였으나, 선제는 윤허하지 않고 조서를 내려 위현성을 직접 만나 보았다. 결국 위현성은 부양후(扶陽侯) 작위를 이어받았다.[2]
2. 3. 중앙 정계 진출과 좌천
임자(任子)로 낭(郞)에 임명되었으며, 학문을 즐겨 부친의 학업을 이었다. 또 사람됨이 겸손하여 가난하고 비천한 자에게도 예를 다했으므로 평판이 좋았다. 경서에 밝다 하여 간대부(諫大夫)에 발탁되고, 이후 대하도위가 되었다.
원강 5년(기원전 61년), 아버지 위현이 죽었다. 위현은 부양후(扶陽侯)에 봉해져 있었는데, 작위는 마땅히 위현성의 형 위홍이 뒤를 이어야 하였으나 죄를 지어 감옥에 갇혀 있었다. 이 때문에 유가족과 문하생들은 위현의 유언을 멋대로 고쳐 위현성으로 하여금 뒤를 잇게 하려 하였다. 하지만 위현성은 그것이 위현 본인의 뜻이 아니었음을 알고, 거짓으로 미친 척하여 작위를 받지 않으려 하였다. 결국 세간에서 위현성이 작위를 형에게 양보하려 한다고 소문이 나돌았고, 승상부(丞相府)에서 이를 듣고 조사하여 위현성이 거짓으로 미친 척한 것을 알아내어 그를 벌주려 하였으나 선제가 윤허하지 않고 조서를 내려 위현성을 만나보았다. 결국 위현성은 작위를 이어받았다.
그 후 위현성은 하내태수[2]를 지내다가 몇 년 후 중앙에 소환되어 위위·태상을 역임하였는데, 양운이 주살되었을 때 그가 양운의 벗이었으므로 연좌되어 면직되었다. 그 후 혜제의 종묘 제사에 참석하였을 때 말을 탄 채로 종묘 앞까지 온 일로 탄핵받아, 작위가 관내후로 격하되었다.
선제는 평소 아들 회양헌왕을 총애했었는데, 본래 태자로 삼으려 하였으나 포기하였다. 선제는 회양헌왕이 태자 자리를 욕심내지 않도록 일깨우기 위하여 위현성을 회양중위로 파견시켰다.
원제가 즉위한 후 위현성은 소부로 승진하였고, 이후 태자태부·어사대부를 지냈다. 영광 2년(기원전 42년), 우정국의 뒤를 이어 승상이 되었고 다시 부양후에 봉해졌다.
2. 4. 회양왕 중위 부임과 석거각 논쟁
선제는 아들 회양헌왕 유흠을 총애하여 태자로 삼으려 하였으나, 결국 포기하였다. 선제는 회양헌왕이 태자 자리를 욕심내지 않도록 가르치기 위하여 위현성을 회양 중위로 파견하였다.[2] 이와 더불어, 위현성은 석거각에서 오경의 이견에 대해 다른 유학자들과 논쟁을 벌였다.
2. 5. 승상 임명과 묘제 정비
원강 5년(기원전 61년), 아버지 위현이 죽었다. 위현은 부양후(扶陽侯)에 봉해져 있었는데, 작위는 마땅히 위현성의 형 위홍이 뒤를 이어야 했다. 그러나 위홍이 죄를 지어 감옥에 갇혀 있었기 때문에, 유가족과 문하생들은 위현의 유언을 멋대로 고쳐 위현성으로 하여금 뒤를 잇게 하려 하였다. 하지만 위현성은 그것이 위현 본인의 뜻이 아니었음을 알고, 거짓으로 미친 척하여 작위를 받지 않으려 하였다. 결국 세간에서 위현성이 작위를 형에게 양보하려 한다고 소문이 났고, 승상부(丞相府)에서 이를 듣고 조사하여 위현성이 거짓으로 미친 척한 것을 알아내어 그를 벌주려 하였으나 선제가 윤허하지 않고 조서를 내려 위현성을 만나보았다. 결국 위현성은 작위를 이어받았다.[2]
그 후 하내태수를 지내다가 몇 년 후 중앙에 소환되어 위위, 태상을 역임하였는데, 양운이 주살되었을 때 그가 양운의 벗이었으므로 연좌되어 면직되었다. 그 후 혜제의 종묘 제사에 참석하였을 때 말을 탄 채로 종묘 앞까지 온 일로 탄핵받아, 작위가 관내후로 격하되었다.
선제는 평소 아들 회양헌왕을 총애했는데, 본래 태자로 삼으려 하였으나 포기하였다. 선제는 회양헌왕이 태자 자리를 욕심내지 않도록 일깨우기 위하여 위현성을 회양중위로 파견시켰다.
원제가 즉위한 후 위현성은 소부로 승진하였고, 이후 태자태부, 어사대부를 지냈다. 영광 2년(기원전 42년), 우정국의 뒤를 이어 승상이 되었고 다시 부양후에 봉해졌다.
건소 3년(기원전 36년)에 죽으니, 시호를 공(共)이라 하였다.
2. 6. 사망과 평가
원강 5년(기원전 61년), 아버지 위현이 죽었다. 위현은 부양후(扶陽侯)에 봉해져 있었는데, 작위는 마땅히 위현성의 형 위홍이 뒤를 이어야 했으나 죄를 지어 감옥에 갇혀 있었다. 이 때문에 유가족과 문하생들은 위현의 유언을 멋대로 고쳐 위현성으로 하여금 뒤를 잇게 하려 하였다. 하지만 위현성은 그것이 위현 본인의 뜻이 아니었음을 알고, 거짓으로 미친 척하여 작위를 받지 않으려 하였다. 결국 세간에서 위현성이 작위를 형에게 양보하려 한다고 소문이 났고, 승상부(丞相府)에서 이를 듣고 조사하여 위현성이 거짓으로 미친 척한 것을 알아내어 그를 벌주려 하였으나 선제가 윤허하지 않고 조서를 내려 위현성을 만나보았다. 결국 위현성은 작위를 이어받았다.[2]
그 후 하내태수를 지내다가 몇 년 후 중앙에 소환되어 위위, 태상을 역임하였는데, 양운이 주살되었을 때 그가 양운의 벗이었으므로 연좌되어 면직되었다. 그 후 혜제의 종묘 제사에 참석하였을 때 말을 탄 채로 종묘 앞까지 온 일로 탄핵받아, 작위가 관내후로 격하되었다.
원제 즉위 후 소부로 승진하였고, 이후 태자태부, 어사대부를 지냈다. 영광 2년(기원전 42년), 우정국의 뒤를 이어 승상이 되었고 다시 부양후에 봉해졌다.
건소 3년(기원전 36년)에 죽으니, 시호를 공(共)이라 하였다. 작위는 아들 위관이 이었다.
위현은 평릉으로 이주했는데, 위현성은 두릉으로 갔다. 하지만 임종 때에 이르러서는 아버지가 있었던 평릉에 묻히길 청원해 받아들여졌다.
승상으로서 세상의 부침에 따라 아첨했다는 평가를 받기도 한다.
참조
[1]
기록
百官公卿表の記録
[2]
기록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