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리체 절제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리체 절제술은 안구 내부의 유리체를 제거하는 수술이다. 이는 1969년 말과 1970년 초에 로버트 마케머에 의해 처음 시도되었으며, 망막 박리, 황반 원성막, 당뇨병성 망막증, 유리체 출혈 등 다양한 안과 질환 치료에 사용된다. 수술 방법에는 막 절제술, 액체/공기 교환, 광응고술 등이 있으며, 백내장과 같은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수술 후 회복 기간은 질환과 수술 성공 여부에 따라 다르며, 시력 회복 정도는 수술 전 눈 상태에 따라 달라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유리체 절제술 | |
---|---|
기본 정보 | |
![]() | |
식별 코드 | |
ICD-10 | 해당 없음 |
ICD-9 | 14.73-14.74 |
MeSH ID | D014821 |
OPS301 | 해당 없음 |
2. 역사
로버트 마케머[3]는 1969년 말과 1970년 초에 유리체 절제술을 시작했으며, 토마스 M. 아베르그 시니어가 기여했다. 유리체 절제술의 초기 목적은 혈액 등으로 혼탁해진 유리체를 제거하는 것이었다.
유리체 절제술은 다음과 같은 안과 질환 치료에 사용된다.
이러한 첫 시술의 성공으로 혼탁 제거, 망막에서 흉터 조직 제거, 막절제술, 가스 또는 액체 실리콘을 이용한 망막 재부착, 공막돌륭술과 같은 추가적인 수술 단계의 효능을 높이는 기술 및 기구가 개발되었다.
1970년대와 1980년대에 걸쳐 외과 의사이자 엔지니어인 스티브 찰스[4]는 새로운 기구와 수술 전략 개발을 주도했다. 최근에는 더 작고 정교한 기기, 수술 중 약물 주입, 흉터 조직 형성 방지 기술 등이 개발되어 수술 효과를 높이고 있다.[5]
3. 적응증
4. 수술 방법
유리체 절제술은 1969년 말과 1970년 초에 로버트 마케머[3]가 시작했으며, 토마스 M. 아베르그 시니어가 기여했다. 초기에는 혈액을 포함하는 혼탁한 유리체를 제거하는 것이 목적이었다.[3]
이러한 첫 시술의 성공은 망막에서 흉터 조직을 제거하는 기술(막절제술)과 기구 개발, 가스 또는 액체 실리콘과 같이 망막을 다시 부착하기 위해 눈에 주입된 물질을 위한 공간 제공, 공막돌륭술과 같은 다른 수술 단계의 효능을 높이는 결과로 이어졌다.[3] 1970년대와 1980년대에 걸쳐 새로운 기구와 수술 전략의 개발은 외과 의사이자 엔지니어인 스티브 찰스[4]가 주도했다.
최근에는 눈에 사용하기 위한 더 작고 정교한 기기, 수술 시 다양한 약물을 주입하여 박리된 망막을 조작하고 조직층의 위치를 표시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하며, 흉터 조직 형성으로부터 장기간 보호하는 기술 등이 발전했다.[5]
현대 유리체 절제술에는 다음과 같은 추가적인 수술 단계가 포함될 수 있다.
- 막 절제술: 포셉(작은 잡는 도구), 픽(미니어처 갈고리) 및 점탄 박리(액체 분사로 조직 층 분리)와 같은 미세한 기구를 사용하여 망막에서 망막전막이라 불리는 건강하지 않은 조직 층을 제거한다.[6]
- 액체/공기 교환: 눈에 공기를 주입하여 안압을 유지하면서 안구의 후방 부위에서 안구 내 액체를 제거하여 망막을 일시적으로 제자리에 고정하거나 망막의 구멍을 막는다.
- 공기/가스 교환: 과불화프로판 또는 육불화황과 같은 가스, 또는 혼합 가스와 공기를 공막을 통해 안구의 후방 부위에 주입하여 망막을 제자리에 고정한다. 이 절차는 공압 망막 고정술이라고도 불린다.[7]
- 실리콘 오일 주입: 액체 실리콘으로 눈을 채워 망막을 제자리에 고정한다. 실리콘 오일은 추후 수술로 제거해야 한다.[7]
- 광응고술: 망막에 찢어진 부분이 있거나 당뇨병성 망막증 환자처럼 건강하지 않은 손상 혈관이 있는 경우 레이저 치료를 통해 구멍을 막거나 손상된 혈관의 성장을 방지한다.[7]
- 공막 돌륭술: 망막을 적절하게 부착된 위치에 유지하기 위해 안구 주변에 벨트처럼 배치된 지지대(공막 돌륭)를 삽입한다. 망막 박리 환자의 약 80~90%에서 재부착에 성공하며, 실패 시 대부분 유리체 절제술로 치료한다.
- 렌즈 절제술: 눈의 수정체가 흐려지거나(백내장), 유리체 절제술 중 손상, 흉터 조직 부착, 또는 눈의 압력을 낮춰야 하는 경우(녹내장 환자)에 유리체 절제술과 함께 시행된다.[7]
5. 마취
유리체 절제술을 위한 마취 방법에는 전신 마취, 국소 마취, 표면 마취, 전방 내 리도카인 관류가 있다. 각 마취 기법은 장단점이 있으며, 마취 선택은 수술 의사 및 환자의 선택, 질병, 추가적인 수술 단계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진다.
6. 합병증
백내장은 유리체 절제술의 가장 흔한 합병증으로, 많은 환자들이 수술 후 몇 년 이내에 백내장이 발생한다.[10] 안과의사들은 유리체 절제술 후 백내장 수술의 이점과 위험에 대해 환자에게 상담할 때 참고할 명확한 증거가 부족하다.[11]
다른 흔한 합병증으로는 안압 상승, 눈 출혈 및 망막 부종이 있다.[12] 대부분의 망막 부종은 일반의약품으로 관리 가능하며, 심한 경우에는 눈 내 주사로 치료할 수 있다.[13]
안내염 (눈의 체액 염증) 또는 맥락막 상 출혈(눈의 맥락막 상층 출혈)과 같은 더 심각한 합병증도 발생할 수 있는데, 발생률은 0.5% 미만이다.
유리체 절제술은 종종 망막 박리를 교정하기 위해 수행되지만, 수술 후 망막 박리가 발생할 수도 있으며, 발생률은 5% 미만이다.
7. 회복 및 예후
유리체 절제술 후 회복 기간은 환자마다 다르며, 수술 전 상태, 질환의 종류, 수술 성공 여부 등에 따라 몇 주에서 몇 달까지 걸릴 수 있다. 눈 표면 치유를 위해 몇 주 이상 안약을 사용하며, 경우에 따라 무거운 물건을 드는 것을 피해야 한다.[14] 망막을 제자리에 고정하기 위해 가스 기포를 주입한 경우, 엎드리거나 특정 방향으로 눕는 등 자세 유지가 필요할 수 있다. 가스 기포는 수 주에 걸쳐 서서히 흡수되지만, 가스 기포가 남아있는 동안에는 비행을 피해야 한다.[14]
수술 후 발생 가능한 문제로는 원래 질환의 재발, 출혈, 감염 등이 있으며, 이는 추가 치료를 필요로 하거나 심한 경우 실명으로 이어질 수 있다.
유리체 절제술 후 시력 회복은 수술 전 눈 상태와 질환에 따라 달라진다. 건강한 눈에 출혈이 발생한 경우에는 시력이 20/20으로 회복될 수 있지만, 여러 번의 망막 박리와 같은 심각한 경우에는 보행 가능한 정도(보행 시력)로 회복되거나 그 이하일 수 있다.
망막 박리의 경우, 망막이 박리된 기간과 범위, 특히 황반의 박리 여부가 예후에 큰 영향을 미친다. 박리 기간이 길수록, 황반이 박리된 경우에는 결과가 좋지 않을 수 있다. 일부 안과의사들은 황반을 포함한 망막 박리가 6개월 이상 지속된 경우 유리체 절제술의 효과가 없을 것이라고 보았으나, 최근 연구에서는 이러한 환자에서도 시력 개선이 가능하다는 결과가 보고되고 있다.
황반 원공의 경우, 코크란 리뷰에 따르면 유리체 절제술은 시력표에서 약 1.5줄의 시력 개선 효과가 있으며, 황반 원공 폐쇄율은 수술 환자에서 76%, 관찰만 한 환자에서는 11%였다.[14] 특발성 황반 원공으로 수술받은 눈의 약 절반에서 2년 이내에 백내장 수술이 필요했고, 약 20개의 눈 중 1개에서 망막 박리가 발견되었다.[14]
8. 한국의 유리체 절제술 현황
9. 문화적 참조
미국의 배우이자 시나리오 작가, 극작가인 스팔딩 그레이는 1996년에 황반원공 치료 경험과 수술 결정 과정을 묘사한 영화 독백극 ''그레이 아나토미''를 발표했다.[15]
참조
[1]
논문
A Family of Early English Oculists (1600–1751), With a Reappraisal of John Thomas Woolhouse (1664-1733/1734)
[2]
논문
Ophthalmology in North America: Early Stories (1491–1801)
[3]
논문
The development of pars plana vitrectomy: a personal account
1995-08
[4]
논문
Microsurgical instrumentation for vitrectomy: Part II
[5]
논문
Comparison of modern high-speed vitrectomy systems and the advantages of using dual-bladed probes
2021-01
[6]
웹사이트
Epiretinal Membrane
https://eyewiki.aao.[...]
2019-12-03
[7]
서적
Surgical Technology for the Surgical Technologist
Delmar Learning
[8]
논문
The physical and surgical aspects of silicone oil in the vitreous cavity.
1987
[9]
논문
"[Pars plana vitrectomy for idiopathic vitreous floaters]"
2005-09
[10]
논문
Complications of vitrectomy for non-clearing vitreous hemorrhage in diabetic patients
1988-12
[11]
논문
Surgery for postvitrectomy cataract
2018
[12]
논문
Vitrectomy surgery of diabetic retinopathy complications
2016
[13]
웹사이트
macular-edema-treatment
https://www.aao.org/[...]
2018-08-07
[14]
논문
Vitrectomy for idiopathic macular hole
2015-05-12
[15]
웹사이트
Gray's Anatomy
https://variety.com/[...]
1996-09-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