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은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윤은필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영의정 윤석의 후손이다. 1496년 사마시에 합격하고 1504년 문과에 급제하여 관직에 나섰다. 기묘사화 당시 조광조 등을 옹호하며 훈구파에 맞섰으며, 이후 여러 관직을 거쳐 황해도 관찰사, 충청도 관찰사, 강원도 관찰사, 호조참판 등을 역임했다. 1532년 명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오기도 했다. 사후에는 영조 때 영의정에 추증되었으며, 기묘명현록에 수록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묘사화 관련자 - 김전
김전은 조선 전기의 문신이자 학자로, 김종직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문과에 장원 급제하여 관직에 진출, 훈구파의 중진으로 활동하며 기묘사화에 가담하여 사림 세력을 숙청하는 데 협력한 인물이다. - 기묘사화 관련자 - 남곤
남곤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학자로, 김종직의 문하에서 성리학을 수학하고 뛰어난 문장으로 이름을 알렸으며, 중종반정 이후 요직을 역임하고 영의정을 지냈으나, 조광조 등 사림파의 급진적인 개혁에 반대하여 기묘사화에 가담하기도 한 인물이다. - 조선의 병마절도사 - 방유령
방유령은 1460년에 태어나 1529년에 사망한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김종직의 문인이며 갑자사화로 파직되었으나 복귀하여 여러 관직을 역임하고 명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왔으며, 훈구파이면서 사림파를 두둔하는 등 복잡한 정치적 행보를 보였다. - 조선의 병마절도사 - 김종서 (1383년)
김종서는 조선 전기의 문신이자 무신, 학자로, 육진을 개척하고 국경을 확정하는 데 공을 세웠으며, 문신으로서도 활약했으나 계유정난 때 수양대군에게 살해되었다. - 해평 윤씨 - 윤치영
윤치영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이자 정치인으로, 대한민국 임시 정부에서 활동하며 이승만, 박정희 정부에서 요직을 역임하고 제헌 국회의원, 초대 내무부 장관, 주프랑스 공사, 서울특별시장, 국회의장 등을 지냈으나, 친일 의혹과 독재 정권 옹호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 해평 윤씨 - 윤보선
윤보선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자 독립운동가로, 대한민국 임시정부 참여, 한국민주당 창당, 서울특별시장 및 상공부 장관 역임, 제2공화국 대통령 역임, 그리고 민주화 운동 참여 등의 활동을 했다.
윤은필 | |
---|---|
기본 정보 | |
![]() | |
본관 | 파평 윤씨 |
출생 | 1967년 12월 24일 |
직업 | 대한민국의 군인, 정치인 |
학력 | |
학력 | 육군사관학교 졸업 경남대학교 대학원 졸업 (군사학 석사) |
경력 | |
경력 | 제2작전사령부 동원처장 제2작전사령부 작전처장 제53보병사단 제127연대장 국방부 정책기획관 제2작전사령부 동원지원단장 국방부 동원기획관 국방부 전력자원관리관 국방부 인사복지실장 |
정당 | |
정당 | 국민의힘 |
2. 생애
윤은필은 윤석의 7대손으로, 증조부는 수원부사 윤처성, 할아버지는 승문원참교를 지내고 사후 증 숭록대부 의정부좌찬성에 추증된 윤면이다. 아버지는 첨정을 지내고 증 의정부영의정에 추증된 윤훤이며, 어머니는 현감 김모의 딸이다.
중종 때 의정부영의정을 지낸 윤은보의 동생이며, 선조 때 재상 윤승길, 윤승훈은 그의 손자들이다. 형 윤은보에게 아들이 없어 둘째 아들 윤정언을 형의 양자로 입양시켰다.
1496년(연산군 2) 사마시에 합격하여 진사가 되고, 성균관에 들어가 유생으로 수학하였다. 1504년(연산군 10) 진사로서 별시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하고, 춘추관기사관과 부수찬을 거쳐 1506년 경연검토관(檢討官)이 되었다.
1507년 다시 경연검토관이 되고, 1508년(중종 3) 부교리를 거쳐 1510년 이조정랑(吏曹正郞)으로 그 해의 식년문과와 사마시의 고시관이 되어 과거 시험을 주관하였다. 이후 사헌부 장령, 경연시강관, 홍문관응교, 전한, 직제학 등을 거쳐 1517년 사간원대사간이 되었다.
1518년 형조참의를 거쳐 직제학이 되었으며, 이 무렵 조광조, 김정, 김식 등과 함께 중종 반정 공신과 원종공신 중 가짜 공신을 선별하여 위훈삭제 운동을 주관하였다. 같은 해 8월 사간원대사간으로서 중종이 방어사 이지방을 비밀리에 파견하여 여진족 속고내를 잡으려 하자, 홍문관부제학 조광조와 함께 이를 반대하였다. 윤은필은 사간원 관리들을 이끌고 중종을 찾아가 속임수를 쓰는 것은 군자답지 못한 행동이라며 강력 반대하여 무산시켰다. 이어 소격서의 철폐를 적극 주장하였다. 1519년 좌부승지, 예조참의, 승지가 되었다.
기묘사화가 일어나 조광조 등이 훈구파의 공격을 받자 야밤에 일처리를 몰래 한 것은 부당하다며 중종 등을 질책하였다. 이후 조광조 등이 훈구파의 탄핵을 받고 파면되자 앞장서서 조광조의 무고함을 변호하였으며, 그가 참여하던 위훈삭제는 실패하였다. 조광조, 김정 등이 유배지에서 사약을 받게 되자 그들을 옹호하였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남곤이 그를 탄핵하였지만 중종은 윤은필의 인물됨됨이가 버리기 아깝다며 거절하였다. 곧 훈구파의 공격을 받고 체직되었다가 복직, 1520년 승지, 대사간, 1521년 홍문관부제학, 참찬관 등을 지냈다.
1522년(중종 17년) 승정원 좌승지가 되었다가 탄핵을 받고 파면되었다. 다시 복직되어 첨지중추부사, 지중추부사, 가승지(假承旨)를 거쳐 그해 우승지가 되었고, 1523년 2월 황해도관찰사 겸 병마절도사로 부임하였다. 1527년에는 충청도관찰사를 역임하였다. 그러나 조광조의 일파라는 이유로 훈구파의 공격을 받기도 했다.
1529년 이조참의, 1530년 승정원도승지, 부제학 등을 역임하고 그해 8월 강원도관찰사 겸 병마절도사로 부임하였다. 1531년 호조참판이 되었다. 1532년 다시 호조참판이 되었다가, 동지중추부사가 되었다. 그해 겨울 동지중추부사로서 동지사가 되어 명나라에 다녀왔다.
1533년 귀국 후, 성균관대사성을 거쳐 그해 6월 경상도관찰사 겸 병마수군절도사로 나아갔다. 1534년 12월에는 경기도관찰사 겸 병마수군절도사가 되고 개성부유수를 겸하였다. 지방관으로 부임하여 아사자들을 직접 구휼하고, 형옥을 너그럽게 처결하는 등의 치적을 쌓았다. 벼슬은 이조참판에 이르렀으며, 사후 기묘 명현(己卯名賢)의 한 사람으로 추대되었다.
사후 기묘사화 관련자들을 실은 기묘명현록에 수록되었으며, 기묘명현의 한 사람으로 추대되었다. 경기도 양주군 시둔면 송산리(현 경기도 의정부시 신곡동 산 33) 할아버지 장령공 윤면의 묘소 근처에 안장되었다. 증 숭정대부 의정부좌찬성에 추증되었다가, 영조 때 증 대광보국숭록대부 의정부영의정 겸 영경연 홍문관 춘추관 관상감사에 추증되고, 정헌(貞憲)의 시호가 추서되었다. 1910년(융희 4년) 8월 헌간(憲簡)으로 시호가 개정되었다.
2. 1. 초기 생애와 가계
윤석의 7대손으로, 증조부는 수원부사 윤처성이고, 할아버지는 승문원참교를 지내고 사후 증 숭록대부 의정부좌찬성에 추증된 윤면이다. 아버지는 첨정을 지내고 증 의정부영의정에 추증된 윤훤이며, 어머니는 현감 김모의 딸이다.중종 때 의정부영의정을 지낸 윤은보의 동생이다. 선조 때 재상 윤승길, 윤승훈은 그의 손자들이다. 형 윤은보에게 아들이 없어 둘째 아들 윤정언을 형의 양자로 입양시켰다. 형 윤은보의 외손녀는 중종의 서자 덕양군과 결혼하였고, 손자 윤승길의 딸은 선조의 서자 인성군과 결혼하여 왕실과 이중으로 인척관계를 형성하였다.
가계는 다음과 같다.
관계 | 이름 |
---|---|
고조부 | 윤사수(尹思修) |
증조부 | 윤처성(尹處誠) |
할아버지 | 윤면(尹沔) |
아버지 | 윤훤(尹萱) |
어머니 | 김씨(金氏) |
형 | 윤은보(尹殷輔) |
형수 | 양성이씨 |
조카딸 | 해평윤씨, 중종의 서자 덕양군의 장모 |
형수 | 여산송씨 |
조카 | 윤정언(尹貞彦), 윤은필의 둘째 아들, 입양됨. |
동생 | 윤은좌(尹殷佐) |
남매 | 숙의 윤씨, 연산군의 후궁 |
부인 | 평강채씨(平康蔡氏), 채자연(蔡子涓)의 딸 |
아들 | 윤홍언(尹弘彦, 1503년 - 1584년) |
며느리 | 전주이씨(全州李氏), 장림수(長臨守) 이순민(李舜民)의 딸 |
손자 | 윤승경(尹承慶, 1523년 - 1583년) |
손부 | 원주원씨(原州元氏), 원희윤(元希尹)의 딸 |
손자 | 윤승길(尹承吉, 호는 남악(南岳), 1540년 - 1616년) |
손부 | 반남박씨(潘南朴氏), 박간(朴諫)의 딸 |
증손녀 | 해평윤씨 |
증손녀사위 | 인성군(仁城君) 이공(李珙, 선조의 서자) |
손자 | 윤승서(尹承緖, 1544년 - ?) |
손자 | 윤승훈(尹承勳, 호는 청봉(晴峰), 1549년 - 1611년) |
손부 | 창녕성씨(昌寧成氏), 성호문(成好問)의 딸 |
증손 | 윤공(尹珙) |
아들 | 윤정언(尹貞彦) - 형 윤은보의 양자로 출계 |
딸 | 해평윤씨 |
사위 | 조광옥(趙光玉, 1501년 - ?) |
장인 | 채자연(蔡子涓) |
외할아버지 | 김모(金模) |
사돈 | 이순민(李舜民), 장림수(長臨守), 보성군의 손자, 원산군(園山君)의 아들 |
2. 2. 과거 급제 및 관료 생활
1496년(연산군 2) 사마시에 합격하여 진사가 되고, 성균관에 들어가 유생으로 수학하였다. 1504년(연산군 10) 진사로서 별시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하고, 춘추관기사관과 부수찬을 거쳐 1506년 경연검토관(檢討官)이 되었다.1507년 다시 경연검토관이 되고, 1508년(중종 3) 부교리를 거쳐 1510년 이조정랑(吏曹正郞)으로 홍문관교리(弘文館校理) 김정(金淨), 이조참판(吏曹參判) 성몽정(成夢井), 선공감정(繕工監正) 김극핍(金克愊), 홍문관부응교(弘文館副應敎) 안처성(安處誠), 사헌부감찰(司憲府監察) 소세량(蘇世良) 등과 함께 그 해의 식년문과와 사마시의 고시관의 한사람이 되어 과거 시험을 주관하였다.
그 뒤 사헌부 장령, 경연시강관 등을 거쳐 1511년 사헌부장령(掌令), 1512년 부응교, 경연시강관, 홍문관응교, 전한, 직제학 등을 거쳐 1517년 사간원대사간이 되었다.
2. 3. 기묘사화 전후의 활동
1518년 형조참의를 거쳐 직제학이 되었으며, 이 무렵 조광조, 김정, 김식 등과 함께 중종 반정 공신과 원종공신 중 가짜 공신을 선별하여 위훈삭제 운동을 주관하였다. 1518년 8월 사간원대사간이 되었다. 같은 해 8월 중종이 방어사 이지방을 비밀리에 파견하여 여진족 속고내를 잡으려 하자, 홍문관부제학 조광조는 이를 반대하였다. 이때 윤은필도 대사간으로서 사간원 관리들을 이끌고 중종을 찾아가 속임수를 쓰는 것은 군자답지 못한 행동이라며 강력 반대하여 무산시켰다. 이어 소격서의 철폐를 적극 주장하였다. 1519년 좌부승지, 예조참의, 승지가 되었다.이 때 기묘사화가 일어나 조광조 등이 훈구파의 공격을 받자 야밤에 일처리를 몰래 한 것은 부당하다며 중종 등을 질책하였다. 이후 조광조 등이 훈구파의 탄핵을 받고 파면되자 앞장서서 조광조의 무고함을 변호하였으며, 그가 참여하던 위훈삭제는 실패하였다. 이후 조광조, 김정 등이 유배지에서 사약을 받게 되자 그들을 옹호하였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한편 남곤이 그를 탄핵하였지만 중종은 윤은필의 인물됨됨이가 버리기 아깝다며 거절하였다. 곧 훈구파의 공격을 받고 체직되었다가 복직, 1520년 승지, 대사간, 1521년 홍문관부제학, 참찬관 등을 지냈다.
2. 4. 생애 후반
1522년(중종 17년) 승정원 좌승지가 되었다가 탄핵을 받고 파면되었다. 다시 복직되어 첨지중추부사, 지중추부사, 가승지(假承旨)를 거쳐 그해 우승지가 되었고, 1523년 2월 황해도관찰사 겸 병마절도사로 부임하였다. 1527년에는 충청도관찰사를 역임하였다. 그러나 조광조의 일파라는 이유로 훈구파의 공격을 받기도 했다.1529년 이조참의, 1530년 승정원도승지, 부제학 등을 역임하고 그해 8월 강원도관찰사 겸 병마절도사로 부임하였다. 1531년 호조참판이 되었다. 1532년 다시 호조참판이 되었다가, 동지중추부사가 되었다. 그해 겨울 동지중추부사로서 동지사가 되어 명나라에 다녀왔다.
1533년 귀국 후, 성균관대사성을 거쳐 그해 6월 경상도관찰사 겸 병마수군절도사로 나아갔다. 1534년 12월에는 경기도관찰사 겸 병마수군절도사가 되고 개성부유수를 겸하였다. 지방관으로 부임하여 아사자들을 직접 구휼하고, 형옥을 너그럽게 처결하는 등의 치적을 쌓았다. 벼슬은 이조참판에 이르렀으며, 사후 기묘 명현(己卯名賢)의 한 사람으로 추대되었다.
2. 5. 사후
기묘사화 관련자들을 실은 기묘명현록에 수록되었으며, 사후 기묘명현의 한 사람으로 추대되었다. 경기도 양주군 시둔면 송산리(현 경기도 의정부시 신곡동 산 33) 할아버지 장령공 윤면의 묘소 근처에 안장되었다. 증 숭정대부 의정부좌찬성에 추증되었다가, 영조 때 증 대광보국숭록대부 의정부영의정 겸 영경연 홍문관 춘추관 관상감사에 추증되고, 정헌(貞憲)의 시호가 추서되었다. 1910년(융희 4년) 8월 헌간(憲簡)으로 시호가 개정되었다.3.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
고조부 | 윤사수(尹思修) |
증조부 | 윤처성 |
조부 | 윤면(尹沔) |
부친 | 윤훤(尹萱) |
모친 | 김씨(金氏) |
형 | 윤은보(尹殷輔) |
형수 | 양성이씨 |
조카딸 | 해평 윤씨, 중종의 서자 덕양군의 장모 |
형수 | 여산송씨 |
조카 | 윤정언(尹貞彦) (윤은보의 양자로 출계) |
동생 | 윤은좌(尹殷佐) |
남매 | 숙의 윤씨 (연산군의 후궁) |
부인 | 평강 채씨(平康蔡氏), 채자연(蔡子涓)의 딸 |
아들 | 윤홍언(尹弘彦, 1503년 - 1584년) |
며느리 | 전주 이씨(全州李氏), 장림수(長臨守) 이순민(李舜民)의 딸 |
손자 | 윤승경(尹承慶, 1523년 - 1583년) |
손부 | 원주 원씨(原州元氏), 원희윤(元希尹)의 딸 |
손자 | 윤승길(尹承吉, 호는 남악(南岳), 1540년 - 1616년) |
손부 | 반남 박씨(潘南朴氏), 박간(朴諫)의 딸 |
증손녀 | 해평 윤씨 |
증손녀사위 | 인성군 이공(李珙, 선조의 서자) |
손자 | 윤승서(尹承緖, 1544년 - ?) |
손자 | 윤승훈(尹承勳, 호는 청봉(晴峰), 1549년 - 1611년) |
손부 | 창녕 성씨(昌寧成氏), 성호문(成好問)의 딸 |
증손 | 윤공(尹珙) |
딸 | 해평 윤씨 |
사위 | 조광옥(趙光玉, 1501년 - ?) |
장인 | 채자연(蔡子涓) |
외조부 | 김모(金模) |
사돈 | 이순민(李舜民), 장림수(長臨守), 보성군의 손자, 원산군(園山君)의 아들 |
4. 묘소
경기도 의정부시 신곡동 산 33번지 도로변 옆에 있으며, 해평 윤씨 장령공파 묘소라는 푯말과 형 윤은보의 신도비, 아버지 증 영의정 윤훤의 신도비가 묘소 근처에 있다. 묘역 주변에는 추동공원과 아파트단지가 있다.
묘역 맨 위는 광흥창수 윤제(尹璾)의 묘소이고, 그 아래에는 할아버지 윤면과 아버지 윤훤 내외 묘소가 있다. 그 아래에는 형 윤은보와 형수 양성이씨, 여산송씨의 묘소가 있고, 네 번째 좌측에 윤은필 내외의 묘소가 있다. 그 아래에는 아들 윤홍언 내외의 합장묘와 형 윤은보의 양자로 간 윤정언 내외의 쌍분이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