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위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위카는 "마법사"를 의미하는 고대 영어 단어에서 유래된 현대 이교 종교의 한 형태이다. 종교학자들은 위카를 신종교 운동, 특히 현대 이교주의의 한 형태로 분류한다. 위카는 뿔 달린 신과 여신을 숭배하며, 자연 종교, 비밀 종교, 마법 종교, 서양 밀교의 한 형태로 간주되기도 한다. 위칸은 연 8회의 사바트 축제와 에스바트를 통해 신들을 찬양하며, 마법과 주문술을 실천한다. 위카는 다양한 전통과 신념을 포괄하며, 절충주의적 경향을 보이기도 한다. 20세기 중반 제럴드 가드너에 의해 시작되었으며, 1960년대 이후 널리 확산되었다. 위카는 전 세계적으로 수십만 명의 신자를 가지고 있으며, 특히 미국에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위카는 기독교의 반대에 직면하기도 하지만, 법적으로 인정받고 있으며, 다양한 문화와 사회에서 수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위카 - 와일드헌트
    와일드헌트는 유럽 민속에 등장하는 초자연적 존재들의 무리 또는 사냥 행렬로, 다양한 이름과 형태로 나타나며 어둠의 왕, 악마의 개, 죽은 자들의 영혼 등과 연관되어 묘사되고, 게르만 신화의 오딘이나 켈트 신화의 굴든과 같은 지도자를 중심으로 할로윈부터 율 시기 동안 활동한다고 전해지며, 현대 이교주의, 대중문화, 문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소재로 활용되고 산타클로스의 기원과도 관련이 있다는 설이 있다.
  • 위카 - 뿔 난 남신
    뿔 난 남신은 위카 신앙에서 자연, 야생, 생명력의 화신으로 숭배받으며 계절 변화와 관련된 다양한 축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여러 문화권 신화와 인본주의 심리학, 대중문화에서도 묘사되는 등 다양한 의미와 상징성을 지닌다.
  • 신이교주의 - 율 (게르만)
    율은 게르만 민족의 겨울 축제로서, 오딘 신과 관련되며, 현대의 크리스마스와 유사한 시기에 율 보드, 율 로그 등의 다양한 전통과 함께 기념된다.
  • 신이교주의 - 현대 이교
    현대 이교는 기독교 이전 신앙에서 영감을 얻은 다양한 종교, 영적, 마법적 전통의 집합으로, "이교주의" 용어 재전유를 통해 기독교 사회에 대한 저항을 나타내며, 위카, 드루이드교, 게르만 신이교주의 등을 포함하는 종교들의 범주이다.
위카
기본 정보
오망성
오망성
개요
유형신이교주의
분류현대 마녀 종교 운동
기원잉글랜드, 1950년대
창시자제럴드 가드너
주요 인물제럴드 가드너
도린 발리엔테
알렉스 샌더스
레이먼드 벅랜드
신앙과 실천
여신
뿔 달린 신
경전그림자의 서
종교적 텍스트마녀의 룬
여덟 개의 사바트 찬가
주요 원칙위카의 권고
종교적 의식사바트
에스바트
핸드패스팅
조직과 공동체
조직 구조다양함 (코번, 서클, 솔리터리 등)
지리적 분포전 세계적
추가 정보
관련 용어마녀
마법
신이교주의
다신교
영성

2. 정의 및 용어

"위카(Wicca)"라는 단어는 고대 영어 ''wicca''(wicca|ˈwittʃɑang)와 ''wicce''(wicce|ˈwittʃeang)에서 유래되었으며, 각각 앵글로색슨 잉글랜드에서 사용된 남성 및 여성형 '마녀'를 의미한다.[9] 현대에 이 용어를 채택하면서 위칸들은 고대 기독교 이전 시대로 자신들을 연결하고, '마법'보다 덜 논쟁적인 명칭을 사용하게 되었다.[10][11]

"위카"는 처음에는 특정 분파가 아닌 종교 전체를 지칭했다.[13] 그러나 영국 전통 위카 구성원들은 자신들만이 "위칸"이라 불려야 한다고 주장하기 시작했다.[14] 1980년대 후반부터 출판된 책들은 이 단어의 더 넓은 정의를 다시 사용하면서,[15] 1980년대까지 이교 및 비전 공동체에서는 넓고 포괄적인 의미와 좁고 배타적인 의미, 두 가지 상반된 정의가 사용되었다.[16] 이교 연구 학자들 사이에서는 더 오래되고, 더 넓고, 더 포괄적인 의미가 선호된다.[5]

위카 내에서 종교 분파는 "전통"이라고 불리며,[17] 비위칸 신자들은 "코완스"라고 불린다.[18] 일부 학자들은 위카를 신종교 운동, 현대 이교주의의 한 형태, 자연 종교, 비밀 종교, 마법 종교, 서양 밀교의 일부, 뉴에이지의 일부 등으로 분류한다.[19][20][21][22][23] 복음주의 기독교인들은 위카를 종교로 인정하지 않으려 하며, 일부 위칸 신자들은 "종교" 대신 "영성" 또는 "생활 방식"이라는 용어를 선호한다.[24]

미국에서 설교하는 위칸 여사제


"마법사"와 "마법"이라는 용어는 때때로 사용하지 않도록 권장된다.[25] "마법사"는 지혜와 통찰력에 기반한 수행을 강조하며,[1] "지혜"를 얻고 "현명"해지는 것과 같은 공통된 어원 때문에 일부는 "마녀"라는 용어와 같은 의미로 사용한다.[2]

"위카" 외에 일부 수행자들은 여전히 종교를 "마법" 또는 "기술"이라고 부른다.[26] 이 맥락에서 "마법"이라는 단어를 사용하면 "마법"의 다른, 종교적이지 않은 의미와 혼동될 수 있으며, 스스로를 "마녀"라고 묘사하는 사탄교 및 루시퍼교와 같은 다른 종교들과 혼동을 일으킬 수 있다.[27] "위카"의 동의어로 "이교 마법"이 사용되기도 하지만,[28] 헤테네리 등 다른 현대 이교주의에서도 이 용어를 사용한다.[29] 1990년대부터 일부 위칸들이 자신을 "전통 마녀"라고 묘사하기 시작했지만, 이 용어는 루시퍼교 등 다른 마법 종교 전통에서도 사용된다.[30] 일부 대중 문화(예: ''버피 더 뱀파이어 슬레이어'', ''매혹된'')에서는 "위카"가 비종교적, 비이교적 형태를 포함하여 마법을 일반적으로 지칭하는 동의어로 사용되기도 한다.[31]

2. 1. "위치크래프트"에 대한 위칸의 정의

종교가 처음 대중의 관심을 받았을 때, 그 추종자들은 흔히 "마법"이라고 불렀다.[1] "위카의 아버지"로 여겨지는 제럴드 가드너는 1950년대에 이를 "현자들의 기술", "마법", 그리고 "마녀 숭배"라고 불렀다.[2] 가드너는 박해받는 마녀들이 실제로 생존한 이교 종교의 추종자들이었다는 이론을 믿었지만, 이 이론은 이제 틀린 것으로 증명되었다.[3] 가드너가 그것을 "위카"라고 부른 증거는 없지만, 그는 그 추종자들의 공동체를 "the Wica"(c 하나)라고 언급했다.[4] 종교의 이름으로서 "위카"는 1960년대 영국에서 발전했다.[5] 누가 처음 이 이름을 이 종교에 사용했는지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한 가지 가능성은 가드너의 라이벌 찰스 카델일 수 있는데, 그는 1958년까지 그것을 "Wiccens의 기술"이라고 불렀다.[6] "위카"라는 이름의 최초 기록은 1962년에 있었고,[7] 1968년에는 여러 영국 수행자들이 ''The Wiccan''이라는 뉴스레터를 창간할 정도로 대중화되었다.[8]

위칸 행사 in 미네소타, 수행자들이 오망성을 들고 있다, 2006


발음은 다르지만, 현대 영어 용어 "위카"는 고대 영어 ''wicca'' 및 ''wicce''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각각 남성 및 여성형 마녀를 의미하는 단어로, 앵글로색슨 잉글랜드에서 사용되었다.[9] 현대적인 용법으로 이를 채택함으로써, 위칸들은 고대, 기독교 이전 시대로 자신들을 상징적으로 연결하고,[10] "마법"보다 덜 논란의 여지가 있는 자기 지정을 채택했다.[11] 종교 학자이자 위칸 여사제인 조앤 피어슨은 "'마녀'와 '위카'라는 단어는 어원적으로 연결되어 있지만, [...] 오늘날에는 다른 점을 강조하기 위해 사용된다"고 언급했다.[12]

초기 자료에서 "위카"는 특정 전통이 아닌 종교 전체를 지칭했다.[13] 수십 년 동안, 영국 전통 위카로 알려진 특정 전통의 구성원들은 오직 자신들만이 "위칸"이라고 불려야 하며, 다른 전통은 그것을 사용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하기 시작했다.[14] 1980년대 후반부터 위카를 전파하는 다양한 책들이 출판되었으며, 이 책들은 단어의 이전의 더 넓은 정의를 다시 사용했다.[15] 따라서 1980년대까지 이교 및 비전 공동체에서 "위카"라는 단어에 대해 두 가지 상반된 정의가 사용되었는데, 하나는 넓고 포괄적이며, 다른 하나는 좁고 배타적이었다.[16]

3. 신념

위카의 신학적 관점은 매우 다양하여 유신론적 믿음뿐만 아니라, 무신론불가지론까지 폭넓게 나타난다.[5] 위카 신자들은 신을 실제 존재하는 존재로 보기도 하고, 융 심리학에서 말하는 원형이나 상징으로 해석하기도 한다.[5] 유신론 안에서도 범신론, 일신론, 이신론, 다신론 등 다양한 믿음이 공존한다.[6] 하지만 이 모든 다양성 속에서도 공통적인 믿음은 위카의 신들이 고대, 즉 기독교 이전 시대부터 존재해 온 신성한 존재의 형태를 띤다는 것이다.[7]

위카 신앙은 통일된 교리가 없어 일반화하기 어렵지만, 대부분 여신과 뿔 달린 신이라는 두 신을 숭배한다. 다이아나 위카와 같은 페미니즘 성향의 분파에서는 여신을 중심으로 신앙하며, 남신의 역할은 미미하거나 아예 없다. 또한, 전 세계 여러 신들의 존재를 인정하고 숭배하기도 하는데, 특히 켈트 신화게르만 신화에 등장하는 신들이 자주 언급된다.

"마법사"라는 용어는 지혜와 통찰력에 기반한 수행을 강조하기 위해 사용되기도 하며,[1] "지혜"를 얻고 "현명"해지는 것과 같은 공통된 어원을 가졌기 때문에 일부에서는 "마녀"라는 용어와 같은 의미로 사용한다.[2] 위카에서는 종교 분파를 "전통"이라고 부르며,[3] 위카 신자가 아닌 사람들은 종종 "코완스"라고 불린다.[4]

wiccaang는 "마법사"를 의미하는 고대 영어 단어였다. 현대 영어 단어 witch영어(마녀)는 이 단어에서 유래되었다. 또한, wicang에는 "구부러지다", "재치", "현명함"이라는 의미가 있다.

위치크래프트()는 종교로서의 의미와 종교와 관계없는 단순한 마법적 기술이라는 두 가지 의미로 사용된다. 전자는 위카와 유사하지만, 후자는 종교와 무관한 주술적 기술을 의미하므로 위카와 다소 차이가 있다. 위카는 마녀술이라는 의미의 위치크래프트를 포함하는 종교이다.

위카는 이교주의의 한 형태이며, 많은 위칸들이 자신을 이교도라고 생각하지만, 이교주의는 위카나 위치크래프트와 무관한 여러 전통을 포함한다.

위칸은 1년에 8번 열리는 계절 축제인 사바트와 에스바트(보통 보름달 집회)를 통해 신들을 찬양한다. 가드너파 위카에서는 풍요 의례로서 사제장과 여사제장에 의한 성적 교합이 행해지기도 한다(히에로스 가모스 참조). 위칸에게는 윤리 규정이 있다. 위치크래프트는 부정적인 인상을 주기도 하지만, 주문(마법)이나 허브 사용과 같은 실천적인 기술이므로, 목적의 선악과는 직접적인 관계가 없다. 위칸은 위치크래프트의 사용을 건설적이고 선한 것으로 여기며, 소위 흑마술(위칸은 이 용어를 인정하지 않지만)은 위칸의 신조와 윤리에 위배된다고 본다.

영국 에이브베리에서 2005년 벨테인에 열린 핸드파스팅(이교도 결혼식)


일 년의 수레바퀴


전형적인 위칸은 만월(경우에 따라 삭)을 에스바트(Esbat)라고 부르며, 마법 작업을 할 때 중요시한다. 또한 사바트라고 불리는 연 8회의 축일을 기념한다. 그 중 중요한 4개(대사바트)는 크로스 쿼터 데이에 해당하며, 고대 켈트의 불 축제에 상응한다. 할로윈의 원형인 10월 31일의 서윈(Samhain), 오월제 전날인 4월 30일의 벨테인(Beltane), 7월 31일의 루나사(Lammas), 성촉절의 원형인 2월 2일의 임볼크(Imbolc)이다. 나머지 4개(소사바트)는 하지, 동지(), 춘분(오스타라), 추분(메이본)이다.

위칸은 카번이라고 불리는 실천 그룹에서 의식을 행하고, 선배로부터 지도를 받는다. 카번에 속하지 않고 단독으로 행동하는 위칸도 있으며, 이들을 솔로 위칸(Solitary Wiccan)이라고 부른다. 솔로 위칸은 실천 그룹에 들어가지 않을 뿐, 친목을 위한 모임이나 기존 그룹의 의식 모임에 불규칙적으로 참여하기도 한다.

전통적으로 13명의 카번이 이상적이라고 여겨지지만, 실제로는 더 적다. 카번이 이 숫자를 넘어서 성장하면 복수의 카번으로 분리된다.

3. 1. 신학

위카 내의 신학적 관점은 다양하며, 유신론, 무신론, 불가지론을 포괄한다.[5] 종교의 신을 문자 그대로 존재하는 존재로 보는 사람과 융 심리학의 원형 또는 상징으로 보는 사람들이 있다.[5] 유신론적 위칸 사이에서도 다양한 신념이 있으며, 범신론, 일신론, 이신론, 다신론을 포함한다.[6] 그러나 이러한 다양한 관점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것은 위카의 신들이 고대, 기독교 이전의 신성한 존재의 형태라는 것이다.[7]

위카의 신앙은 다양하며, 신조를 일반화하기는 어렵다. 대부분 여신과 남신(때로는 뿔 달린 신)을 숭배한다. 페미니스트 유파인 다이아나 위카에서는 여신을 주로 신앙하며, 남신의 역할은 전혀 없거나 적다. 전 세계의 많은 신들의 존재를 인정하고 숭배하기도 하는데, 특히 켈트 신화, 게르만 신화에 언급되는 경우가 많다.

위칸들 사이에서 내세에 대한 믿음은 다양하며, 종교 내에서 중심적인 위치를 차지하지 않는다.[2] 역사학자 로널드 허튼은 "대부분의 위칸은 현재의 삶을 최대한 활용하면 다음 생도 혜택을 받을 것이므로 현재에 집중하는 것이 낫다고 생각한다"라고 말했다.[3]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간이 육체의 죽음 이후에도 살아남는 영혼이나 정신을 가지고 있다는 믿음은 일반적이다.[2]

모든 위칸이 받아들이는 것은 아니지만, 윤회에 대한 믿음은 위카 내에서 지배적인 내세관이며, 제럴드 가드너가 처음 주창했다.[2] 가드너는 또한 인간의 영혼이 육체의 죽음과 환생 사이에 "섬머랜드"에서 휴식을 취한다고 보았다.[2]

3. 1. 1. 이신론

대부분의 초기 위카 단체는 뿔 달린 신과 어머니 여신을 숭배하는 이원신론을 고수했으며, 이들이 고대 수렵 채집인들의 신이라고 믿었다. 이 신학은 마거릿 머레이의 '마녀 숭배 가설'에서 비롯되었으며, 가드너는 이를 받아들여 자신의 가드너주의 전통의 근본적인 신학적 기초로 삼았다.[1]
뿔 달린 신과 어머니 여신의 제단 조각상. 벨 부카가 제작했으며 "위카의 어머니" 도린 발리엔테 소유.
뿔 달린 신은 동물, 자연, 사후 세계와 연관되며, 남성의 이상적인 역할 모델로 여겨진다.[2] 어머니 여신은 삶, 다산, 봄과 연관되며, 여성의 이상적인 역할 모델로 묘사된다.[4] 위카의 이원신론은 도교음양 체계와 비교되기도 한다.[5]

다른 위카 교도들은 뿔 달린 신과 어머니 여신 외에 다른 신적 형태를 채택하기도 한다.[6] 예를 들어, 신은 참나무 왕과 호랑가시나무 왕 (원형), 태양신, 아들/연인 신, 식물 신 등으로 해석된다.[7] 여신은 삼중 여신 (신이교주의)(처녀, 어머니, 노파)으로 묘사되기도 한다.[8]

3. 1. 2. 일신론과 다신론

위카 내의 신학적 관점은 다양하다.[4] 이 종교는 유신론자, 무신론자, 불가지론자를 포괄하며, 종교의 신을 문자 그대로 존재하는 존재로 보는 사람과 융의 원형 또는 상징으로 보는 사람들이 있다.[5] 유신론적 위칸 사이에서도 다양한 신념이 있으며, 위카는 범신론자, 일신론자, 이신론자, 다신론자를 포함한다.[6] 그러나 이러한 다양한 관점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것은 위카의 신들이 그 종교를 실천하는 사람들에게 고대, 기독교 이전의 신성한 존재의 형태라는 것이다.[7]

대부분의 초기 위카 단체는 뿔 달린 신(Horned God)과 어머니 여신(Mother Goddess)을 숭배하는 이원신론을 고수했다.[8] 이 신학은 1921년 옥스퍼드 대학교 출판부에서 출판된 이집트학자 마거릿 머레이의 저서 ''서유럽의 마녀 숭배''에서 제시된 마녀 숭배 가설(witch-cult)에 대한 주장에서 비롯되었다.[9]

가드너는 위카의 두 신 외에 인간이 이해하기에는 너무 복잡한 "최고 신" 또는 "제1원인]"이 있다고 말했다.[10] 이러한 믿음은 "우주

3. 2. 내세

위칸들 사이에서 내세에 대한 믿음은 다양하며, 종교 내에서 중심적인 위치를 차지하지 않는다.[4] 역사학자 로널드 허튼은 "대부분의 [위칸]의 본능적인 입장은... 현재의 삶을 모든 면에서 최대한 활용하면 다음 생도 거의 확실히 그 과정에서 혜택을 받을 것이므로 현재에 집중하는 것이 낫다는 것으로 보인다"라고 말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위칸들 사이에서는 인간이 육체의 죽음 이후에도 살아남는 영혼이나 정신을 가지고 있다는 믿음이 일반적이다.[4]

윤회에 대한 믿음은 위카 내에서 지배적인 내세관이며, 제럴드 가드너가 처음 주창했다.[4] 윤회 순환이 어떻게 작동하는지에 대한 이해는 수행자들 사이에서 다르다. 예를 들어 위칸 레이먼드 버클랜드는 인간의 영혼만이 인간의 몸으로 환생할 것이라고 주장했지만, 다른 위칸들은 인간의 영혼이 모든 생명체로 환생할 수 있다고 믿는다.[4] 또한 모든 위칸은 미래의 위칸으로 환생하게 될 것이라는 일반적인 위칸의 믿음이 있는데, 이는 가드너가 처음 표현한 생각이다.[4] 가드너는 또한 인간의 영혼이 육체의 죽음과 환생 사이에 일정 기간 동안 머문다는 견해를 밝혔으며, 이 휴식처는 위칸 공동체 사이에서 일반적으로 "섬머랜드"라고 불린다.[4] 이것은 많은 위칸들이 교령술이 죽은 자의 영혼과 접촉할 수 있다고 믿게 하며, 이는 심령주의에서 채택된 믿음이다.[4]

3. 3. 마법과 주문술

많은 위카인들은 마법을 믿으며, 이는 주문술을 통해 행사되는 조작적인 힘이다.[4] 이들은 마법이 자연의 법칙이며, 초자연적인 것이 아니라 레오 마르텔로가 말한 "자연에 존재하는 초능력"의 일부라고 믿는다. 위카인들은 의례를 행하며 주문을 외워 물리적 세계에 실제 변화를 일으키려 한다. 일반적인 위카 주문에는 치유, 보호, 다산, 또는 부정적인 영향력을 몰아내는 것 등이 있다.

알렉스 샌더스, 시빌 리크와 같은 초기 위카인들은 자신들의 마법을 "백마법"이라 불렀는데, 이는 사탄주의와 연관되었던 "흑마법"과 대조되는 개념이었다. 샌더스는 악의적인 마법을 "좌도", 선한 의도로 행해지는 마법을 "우도"라고 칭하기도 했다.[5] 그러나 일부 현대 위카인들은 백마법/흑마법의 이분법을 사용하지 않는다.

종교학자 로드니 스타크와 윌리엄 베인브리지는 위카가 곧 쇠퇴할 반동적인 종교라고 주장했으나,[5] 역사학자 로널드 허튼은 1999년에 증거가 그 반대라고 반박했다.

3. 4. 마법



많은 위카인들은 주문술을 통해 행사되는 조작적인 힘인 마법을 믿는다.[4] 알레이스터 크로울리를 비롯한 의례 마법사들은 마법을 "의지에 따라 변화를 일으키는 과학과 기술" 또는 "자연의 비밀스러운 힘을 통제하는 과학"이라고 정의했다. 많은 위카인들은 마법을 현재의 과학이 아직 이해하지 못하거나 무시하는 자연의 법칙이라고 믿으며, 초자연적인 것이 아니라 레오 마르텔로가 "자연에 존재하는 초능력"이라고 부르는 것의 일부로 본다. 일부 위카인들은 마법이 놀라운 결과를 얻기 위해 다섯 가지 감각을 최대한 활용하는 것이라고 믿는 반면, 다른 위카인들은 마법이 어떻게 작용하는지 알지 못한다고 주장하며, 단지 그것을 관찰했기 때문에 실제로 존재한다고 믿을 뿐이다.

위카인들은 성스러운 원에서 자주 열리는 의례를 통해 물리적 세계에서 실제 변화를 가져오기 위한 주문 또는 "작업"을 시전한다. 일반적인 위카 주문에는 치유, 보호, 다산, 또는 부정적인 영향력을 몰아내는 데 사용되는 주문이 포함된다. 알렉스 샌더스, 시빌 리크 등 초기 위카인들은 자신들의 마법을 사탄주의와 연관시켰던 흑마법과 대조되는 "백마법"이라고 불렀다. 샌더스는 악의적인 마법을 "좌도", 선한 의도로 수행되는 마법을 "우도"라고 칭하기도 했다.[5] 이는 19세기에 신비주의자 헬레나 블라바츠키가 사용한 용어이다. 그러나 일부 현대 위카인들은 백마법/흑마법, 좌도/우도의 이분법을 사용하지 않는데, 예를 들어 검정색이 반드시 악과 연관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라고 주장한다.

역사학자 바우터 하네라프는 위칸의 마법관이 낭만주의 (준)학문, 특히 '마녀 숭배' 이론의 산물이라고 언급했다. 이 이론은 역사적으로 마녀로 지목된 이들이 실제로는 살아남은 이교도 종교의 추종자였으며, 유아 살해, 식인 풍습, 사탄 숭배 등에 대한 혐의는 종교 재판에 의해 조작되었거나 이교 의식에 대한 오해였다고 주장했다. 마녀로 기소된 이들이 실제로는 이교도였다는 이 이론은 이제 마녀 재판의 기록 보관 자료를 사용하여 입증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럴드 가드너와 다른 위카 창시자들은 이 이론이 사실이라고 믿었으며, 마녀를 지배적인 유대-기독교 및 계몽주의적 가치에 대한 암묵적인 비판에서 많은 상징적 힘을 얻는 "''긍정적 반형''"으로 보았다.

조앤 피어슨은 위칸들이 "마녀를 강력하다고 상상하기 때문에 동일시한다. 마녀는 사람들을 백 년 동안 잠들게 할 수 있고, 미래를 볼 수 있으며, 저주하고 죽일 수도 있고, 치유할 수도 있다... 물론, 사람들을 개구리로 바꿀 수도 있다!"라고 말한다. 피어슨은 위카가 "마녀로서의 자신의 이미지를 탐구하고 현대적 맥락으로 가져올 수 있는 틀을 제공한다"라고 말한다.

마녀로 정체성을 확립하는 것은 또한 위칸들이 근대 초기의 마녀 재판에서 박해받은 이들과 자신을 연결할 수 있게 해주며, 위칸들은 이를 종종 "타는 시대"라고 부른다. 다양한 실천가들은 근대 초기에 최대 900만 명이 마녀로 처형되었다고 주장하며, 홀로코스트에서 600만 명의 유대인 학살과 비교하고 자신들을 현대 마녀로서 "박해받는 소수"로 제시한다.

3. 5. 도덕

위카는 삶을 긍정하는 종교로 특징지어진다.[7] 모든 전통의 위칸들이 보편적으로 따르는 교리적인 도덕 또는 윤리 강령은 존재하지 않지만, 대다수는 "아무에게도 해를 끼치지 않는다면, 원하는 대로 하라"는 '위칸 언약'을 따른다.[7] 이는 행동의 자유를 선언하는 동시에, 자신의 행동에서 파생되는 결과에 대한 책임을 지고 자신과 타인에게 해를 최소화할 필요성을 선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7]

위칸 도덕의 또 다른 일반적인 요소는 '세 배 보답의 법칙'이다.[8] 이는 사람이 행하는 모든 자비롭거나 악의적인 행동이 세 배의 힘으로, 또는 신체, 정신, 영의 세 가지 수준 각각에서 동일한 힘으로 되돌아온다는 것이다.[8] 이는 동양의 업의 개념과 유사하다.[8]

많은 위칸들은 도린 발리엔테의 ''여신의 훈시''에서 언급된 여덟 가지 미덕, 즉 기쁨, 경외심, 명예, 겸손, 힘, 아름다움, 권능, 연민을 함양하고자 한다.[9] 발리엔테의 시에서 이들은 위칸 철학 전반에 걸쳐 흔히 나타나는 이원론을 반영하는 상반되는 쌍으로 배열되어 있다.

일부 혈통 위칸들은 '공예의 법' 또는 '아르데인스'라고 불리는 위칸 법을 준수한다. 가드너파 전통에는 30개, 알렉산드리아파 전통에는 161개가 있다. 발리엔테는 이 규칙의 처음 30개는 제럴드 가드너 자신이 브리켓 우드 코번 내의 내부 갈등의 부산물로 가짜 고대 언어로 발명했을 가능성이 가장 높다고 주장했다.[10]

영국 전통 위카에서 성적 상호 보완성은 기본적이고 근본적인 작동 원리이며, 남성과 여성은 서로 균형을 이루기 위해 필요한 존재로 여겨진다.[11] 따라서, 영국 전통 위카의 많은 실천가들은 동성애자 남성과 여성은 혼합된 성별의 짝 없이 마법을 올바르게 사용할 수 없다고 주장해 왔다.[12] 그러나, 동성애는 이제 모든 위카 전통에서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미노안 브라더후드와 같은 단체는 이를 바탕으로 자신들의 철학을 공개적으로 전개하고 있다.[13] 그럼에도 불구하고, 위카 내에는 이 점에 대한 다양한 관점이 존재하며, 일부 코번은 이성애 규범적 관점을 고수하고 있다.

많은 위칸들은 환경 운동에 참여하고 있다.[14]

3. 6. 오원소

많은 전통에서 고전 원소에 대한 믿음을 가지고 있으며, 이것들은 물질의 상태에 대한 상징적 표현으로 여겨진다. 이 다섯 가지 원소는 많은 마법 의식, 특히 마법 원을 성별할 때 사용된다.[10] 다섯 가지 원소는 공기, 불, 물, 흙, 에테르 (또는 정령)이며, 에테르는 다른 네 가지 원소를 통합한다.[10] 다섯 원소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해 다양한 비유가 고안되었다. 예를 들어, 위칸 앤마리 갤러거는 흙(토양 및 식물 물질), 물(수액 및 수분), 불(광합성을 통해), 공기(이산화 탄소에서 산소 형성)로 구성된 나무의 비유를 사용했으며, 이 모든 것은 정령을 통해 통합되는 것으로 여겨진다.

전통적으로 가드너주의 마법에서는 각 원소가 나침반의 방위와 연관되어 왔다. 공기는 동쪽, 불은 남쪽, 물은 서쪽, 흙은 북쪽, 정령은 중앙이다. 그러나 프레데릭 라몬드와 같은 일부 위칸들은 이 정해진 방위는 위카가 발전한 남부 잉글랜드의 지리에만 적용되며, 위칸들은 자신들의 지역에 각 원소에 가장 적합한 방향을 결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예를 들어, 북아메리카 동해안에 사는 사람들은 서쪽이 아닌 동쪽에서 물을 불러야 하는데, 그들의 동쪽에는 거대한 대서양이 있기 때문이다. 다른 마법 그룹들은 원소를 다른 방위와 연관시켰다. 예를 들어 로버트 코크레인의 투발 카인 일족은 흙을 남쪽, 불을 동쪽, 물을 서쪽, 공기를 북쪽과 연관시켰으며, 각각은 주요 뿔 달린 신과 여신의 자식으로 여겨지는 다른 신에 의해 통제되었다. 다섯 가지 원소는 위카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상징인 오각별의 다섯 점으로 상징된다.

오원소와 오각별

4. 관습

위카 내의 신학적 관점은 다양하며, 유신론자, 무신론자, 불가지론자를 포괄한다. 유신론적 위칸 사이에서도 다양한 신념이 존재하며, 위카는 범신론, 일신론, 이신론, 다신론을 포함한다.[10] 이러한 다양한 관점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것은 위카의 신들이 그 종교를 실천하는 사람들에게 고대, 기독교 이전의 신성한 존재의 형태라는 것이다.[10]

wiccaang는 "마법사"라는 의미였다. 현대 영어 witch영어(위치)는 이 단어에서 유래되었다. 또한, wicang에는 "구부러지다", "재치", "현명함"이라는 의미가 있다. 위치크래프트(, 마녀술)는 종교로서의 의미와 종교와 관계없는 단순한 마법적 기술의 의미로 사용된다. 전자의 경우 위카와 유사하지만, 후자의 경우 위카와는 다소 다르다. 위카는 마녀술이라는 의미의 위치크래프트를 포함하는 종교이다. 위카는 이교주의의 한 형태이며, 많은 위칸들은 자신을 이교도라고 생각하지만, 이교주의는 위카나 위치크래프트와 무관한 여러 전통을 포함한다.

위칸은 여신을 주신으로 숭배하며, 대부분의 경우 여신의 아이이자 배우자가 되는 남신도 숭배한다. 위칸은 1년에 8번 열리는 계절 축제인 사바트와 에스바트(보통 보름달 집회)를 통해 신들을 찬양한다. 가드너파 위카에서는 풍요 의례로서 하이 프리스트(사제장)와 하이 프리스티스(여사제장)에 의한 성적 교합(히에로스 가모스)이 행해진다. 위칸에는 윤리 규정이 있으며, 위치크래프트는 부정적인 인상을 갖게 된 단어이지만, 스펠(마법)이나 허브 사용과 같은 실천적인 기술이므로 목적의 선악과는 직접적인 관계가 없다. 위칸은 위치크래프트의 이용을 건설적이고 선한 것으로 여기며, 흑마술(위칸은 이 용어를 인정하지 않지만)은 위칸의 신조와 윤리에 위배된다고 본다.

위카 신앙은 다양하며, 신조를 일반화하기는 어렵다. 대부분 두 신(여신과 남신, 때로는 뿔 달린 신)을 숭배한다. 페미니스트 유파인 다이아나 위카(디아나파 위카)에서는 여신을 주로 신앙하며, 이 경우 남신의 역할은 전혀 없거나 적다. 두 신을 주신으로 숭배하지만, 실제로는 전 세계의 많은 신들의 존재를 인정하고 숭배하기도 한다. 특히 영국의 이교주의의 뿌리인 켈트 신화, 게르만 신화에 언급되는 경우가 많다.

위칸은 카번이라는 실천 그룹에서 의식을 행하고, 선배로부터 지도를 받는다. 카번에 속하지 않고 단독으로 행동하는 위칸은 솔로 위칸(Solitary Wiccan)이라고 불린다. 솔로 위칸은 실천 그룹에 들어가지 않을 뿐, 친목 모임이나 기존 그룹의 의식 모임에 불규칙적으로 참여하기도 한다. 전통적으로 13명의 카번이 이상적이라고 여겨지지만, 실제로는 더 적다. 카번이 성장하여 이를 넘어서는 경우에는 복수의 카번으로 분리한다.

오각별은 위칸들이 흔히 사용하는 상징이다. 위칸들은 오각별의 다섯 꼭짓점이 흙, 공기, 불, 물, 그리고 에테르/정신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오각별은 인간의 상징으로 간주되기도 하며, 다섯 꼭짓점은 머리, 팔, 다리를 나타낸다.

4. 1. 의례 관행

위칸 의식은 참가자들에게 종교적 경험을 유도하여 의식을 변화시키려는 의도로 수행된다. 위칸 실천가이자 역사가인 에이던 켈리는 위카 내의 실천과 경험이 믿음보다 더 중요하다고 보았다. 그는 "위카는 신학보다는 의례의 종교입니다. 의례가 먼저이고, 신화가 그 다음입니다."라고 말했다.[15] 위칸 의식은 대개 사적으로 이루어지지만, 리클레이밍 전통은 정치적 목적으로 그 의식을 활용해왔다.[16] 위카에서의 수행은 영적/마법적 길에서 개인의 표현을 강조하는 마법의 특성으로 인해 널리 다양하다.[11]

벨테인에 세워진 위칸 제단


많은 의식들은 사바트를 기념하고, 신들을 숭배하며, 마법을 행할 때 사용된다. 이러한 의식들은 종종 보름달 또는 어떤 경우에는 그믐달에 거행되며, 이는 에스바트로 알려져 있다. 전형적인 의식에서는 코벤이나 독신 수행자가 의식적으로 정화된 마법 원 안에 모인다. 원을 치는 것은 각 원소, 즉 공기, 불, 물, 흙과 함께 주요 방위의 "수호자"를 소환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원이 쳐지면 계절 의식을 수행하고, 신과 여신에게 기도를 드리고, 주문을 외우기도 한다. 여기에는 신성한 공간 밖의 사람들에게 치유나 다른 마법을 보내기 위해 힘의 원뿔을 일으키는 것을 포함하여 다양한 형태의 '에너지 증폭'이 포함될 수 있다.

제럴드 가드너는 그의 의식 체계를 구축하면서, 특히 알레이스터 크로울리의 저술에서 발견되는, 고대 형태의 의례 마법을 활용했다.[17]

영국 전통 위카 전통의 고전적인 의식 체계는 다음과 같다.[18]

1. 신성한 공간과 참가자들의 정화

2. 원을 침

3. 원소 방위 부르기

4. 힘의 원뿔

5. 신들을 불러내기

6. 주문 외우기

7. 대제의

8. 포도주, 케이크, 노래, 춤, 게임

9. 방위와 참가자들에게 작별 인사

이러한 의식에는 종종 특별한 마법 도구 세트가 포함된다. 여기에는 일반적으로 아타메라고 불리는 칼, 지팡이, 펜타클, 성배가 포함되지만, 빗자루, 가마솥, 양초, 볼린이라고 불리는 곡선 칼과 같은 다른 도구도 포함된다. 제단은 일반적으로 원 안에 있으며, 그 위에 의식 도구가 놓이고 여신의 표현이 전시될 수 있다.[19] 원에 들어가기 전에 일부 전통은 하루 동안 단식하거나 의식적으로 목욕을 한다. 의식이 끝나면 신, 여신, 수호자에게 감사를 표하고, 방향을 해산하고 원을 닫는다.[12]

위카의 핵심적인 측면(특히 가드너주의와 알렉산드리아주의 위카에서)은 언론에 의해 종종 선정적으로 다루어지는데, 이것은 나체로 의식을 행하는 전통적인 관행, 즉 "스카이클래드"로도 알려져 있다. 더 이상 널리 사용되지 않지만, 이 관행은 찰스 고드프리 렐란드의 이탈리아 마법 기록으로 여겨지는 ''아라디아''의 한 구절에서 유래된 것으로 보인다.[13] 많은 위칸들은 스카이클래드로 의식을 수행하면 옷에 의해 방해받지 않고 몸에서 "힘"이 흐르게 된다고 믿는다.[20] 또한 사회적 지위와 차별의 흔적을 제거하여 수행자 간의 단결을 장려한다고 언급한다.[20]

위카의 가장 잘 알려진 전례 텍스트 중 하나는 "여신의 훈계"이다.[21] 오늘날 위칸들이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버전은 도린 발리엔테의 수정본인데,[21] 그녀는 가드너의 버전을 바탕으로 이 버전을 개발했다. 가드너가 원본 "훈계"의 어구를 정하면서, 알레이스터 크로울리의 작품, 특히 ''율법서''(특히 별의 여신 누이트가 말하는 1장)에서 발췌한 내용을 추가하여 현대 위카를 텔레마의 원칙과 돌이킬 수 없게 연결했다. 발리엔테는 가드너의 버전을 운문으로 다시 썼으며, ''아라디아''에서 파생된 자료는 유지했지만 크로울리의 자료는 제거했다.[22]

다른 전통에서는 허리에 끈을 묶은 로브나 평상복을 입는다. 특정 전통에서는 의례화된 성 마법이 대제의의 형태로 수행되는데, 이는 대사제와 여대사제가 신과 여신에게 자신을 소유하도록 기원한 후 성교를 하여 마법적 에너지를 높여 주문에 사용하는 것이다. 거의 모든 경우에, 대신 "상징적으로" 수행되며, 아타메는 남근을, 성배는 자궁을 상징한다.[23]

일부 위칸 전통은 에스밧(Esbat) 의례에서 상징적인 대제 대신 신과 여신을 기리는 성찬 스타일의 의식을 대체한다.

전형적인 위칸은 만월 (경우에 따라 삭)을 에스바트(Esbat)라고 명명하고, 마법 작업을 할 때 중요시한다. 또한 사바트라고 불리는 연 8회의 축일을 기념한다. 그 중 중요한 4개(대사바트)는 크로스 쿼터 데이에 해당하며, 고대 켈트의 불 축제에 상응한다. 할로윈의 원형인 10월 31일의 서윈 (Samhain), 오월제 전날 (May Eve)인 4월 30일의 벨테인 (Beltane), 7월 31일의 수확제 (Lammas) 또는 루나사(Lughnasad), 성촉절 (Candlemas)의 원형인 2월 2일의 임볼크(Imbolc, Imborg, Oimelc)가 있다. 나머지 4개(소사바트)는 하지, 동지 ( Yule), 춘분 (오스타라 Ostara, Eostar, Eostre)과 추분 (메이본, 마본 Mabon)이다.

위칸은 카번이라고 불리는 실천 그룹에서 의식을 행하고, 선배로부터 지도를 받는다. 카번에 속하지 않고 단독으로 행동하는 위칸도 있으며, 솔로 위칸(Solitary Wiccan)이라고 불린다. 솔로 위칸은 실천 그룹에 들어가지 않을 뿐, 친목을 위한 모임이나 기존 그룹의 의식 모임에 불규칙적으로 참여하기도 한다.

전통적으로 13명의 카번이 이상적이라고 여겨지지만, 실제로는 더 적다. 이것을 넘어서 카번이 성장한 경우에는, 복수의 카번으로 분리한다.

4. 2. 성 마법

특정 전통에서는 대제의 형태로 의례화된 성 마법이 수행되는데, 이는 대사제와 여대사제가 신과 여신에게 자신을 소유하도록 기원한 후 성교를 하여 마법적 에너지를 높여 주문에 사용하는 것이다.[14] 거의 모든 경우에, 성 마법은 상징적으로 수행되며, 아타메는 남근을, 성배는 자궁을 상징한다.[11] 제럴드 가드너는 성 마법을 강하게 믿었으며, 성의 힘과 해방에 초점을 맞추었고, 이는 페미니즘과 여성 해방과도 연관되어 있다.[14] 일부 위칸에게 의례 공간은 "기독교와 가부장제의 성적 도덕을 전복할 수 있는 저항의 공간"이며,[17] 이러한 이유로 그들은 BDSM 하위 문화에서 기술을 채택하여 의례에 사용하기도 한다.[17] 많은 위칸 그룹들은 성 마법의 역할을 그들의 이미지에서 제거하는 경향이 있었는데,[18] 이는 선정주의와 사탄 숭배 의식 학대 히스테리아에 대한 우려를 피하기 위한 것이었다.[18]

4. 3. 1년의 바퀴

위칸들은 일반적으로 사바트로 알려진 한 해의 여러 계절 축제를 기념하며, 이러한 행사들을 통틀어 1년의 바퀴라고 부른다.[15] 대부분의 위칸들은 이 사바트 8개를 기념하지만, 일부 집단은 4개 또는 6개만 지키기도 한다. 4개의 대사바트는 분기점이며, 축제의 이름은 고대 아일랜드 불 축제와 웨일스 신 마본에서 따왔지만,[16] 대부분의 전통 위칸 코벤에서는 켈트족 축제와의 공통점은 이름뿐이다. 다른 4개의 축제는 소사바트로 알려져 있으며, 동지와 주야 평분시이다. 축제는 본질적으로 재구성적인 것이 아니며, 역사적인 상대와도 거의 닮지 않고, 대신 보편주의 형태를 보여준다. 관찰되는 의식은 그 이름에서 따온 휴일뿐만 아니라 관련 없는 다른 문화의 영향도 나타낼 수 있다.[15]

사바트북반구남반구이름의 기원연관
사윈 (칼란 개아프)10월 31일 ~ 11월 1일4월 30일 ~ 5월 1일켈트 다신교겨울의 시작; 죽음과 조상
율 (한겨울)12월 21일 또는 22일6월 21일게르만 이교주의동지와 태양의 부활
임볼크 (캔들마스)2월 1일 또는 2일8월 1일켈트 다신교봄의 첫 징후
오스타라3월 21일 또는 22일9월 21일 또는 22일게르만 이교주의춘분
벨테인 (칼란 마이, 메이 데이)4월 30일 ~ 5월 1일10월 31일 ~ 11월 1일켈트 다신교여름의 시작; 요정
리타 (하지)6월 21일 또는 22일12월 21일초기 게르만 달력하지
루나사 (칼란 아우스트, 라머스)7월 31일 또는 8월 1일2월 1일켈트 다신교첫 열매
마본 (수확의 집)9월 21일 또는 22일3월 21일역사적인 이교적 등가물 없음.추분


4. 4. 통과의례

위카에는 다양한 통과의례가 존재한다. 가장 중요한 것은 누군가가 마법을 배우고 위칸이 되는 입문 의식이다. 영국 전통 위카(BTW) 전통에는 제럴드 가드너로 거슬러 올라가는 입문 계보가 있다.[17] 가드너는 사람들이 마법을 공부하기 시작해서 입문하기까지 전통적으로 "1년과 하루"의 기간이 있다고 말했다.

BTW에서 입문은 세 단계를 거친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의식 도구와 기구의 사용법을 설명하고 이름을 지으며, 마법명을 받는다. 세 번째 단계를 보유하면 부모 코번으로부터 완전히 자율적인 코번을 형성할 수 있다고 간주된다.

코크란 전통은 입문의 세 단계를 거치지 않고 초심자와 입문자의 단계만 있다. 일부 독신 위칸들은 스스로 위칸이 되기 위한 헌신 의식을 수행한다.

핸드패스팅은 위칸들이 거행하는 또 다른 축하 행사이며, 그들의 결혼식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이다. 일부 위칸들은 1년과 하루 동안의 시험 결혼 관습을 지킨다. 위칸 가정의 유아는 위카닝이라는 의식에 참여할 수 있으며, 이는 세례와 유사하다.[19]

4. 5. 마법서

위카에는 기독교의 성경, 유대교의 타나크, 이슬람교의 코란과 같은 정해진 성스러운 경전은 없지만, 다양한 전통에서 중요하게 여기는 특정 성서와 텍스트가 있다. 제럴드 가드너는 자신의 코벤에서 다양한 텍스트를 담은 책을 사용했는데, 이 책을 마법서 (다른 이름도 있음)라고 불렀으며, 자주 내용을 추가하고 수정했다.[20] 마법서는 의례 마법사의 마법서와 사용법이 유사하며, 의례와 주문을 수행하는 방법에 대한 지침, 그리고 그러한 의례에 사용할 종교 시와 찬트(예: ''에코 에코 아자라크'') 등이 포함되어 있다.

마법 제단에 식물과 수정과 함께 놓인 '마법서'.


가드너의 마법서에는 찰스 고드프리 릴랜드의 ''아라디아, 또는 마녀의 복음''(1899)과 19~20세기 오컬트 알레이스터 크로울리의 작품 등 다양한 출처에서 가져온 텍스트가 포함되어 있으며, 가드너는 크로울리를 개인적으로 알고 지냈다. 또한 이 책에는 가드너와 그의 여대사제 도린 발리엔테가 주로 작곡한 시의 예시가 있는데, 그중 가장 주목할 만한 것은 ''여신의 훈계''이다.

가드너의 원래 의도는 제자들이 입문자로부터 베껴 쓰고 개인적으로 효과가 없다고 생각되는 부분을 변경하기 때문에 모든 책의 사본이 다를 것이었지만, 오늘날 많은 가드너파 마녀들, 특히 미국에서는 마법서의 모든 사본이 여대사제 모니크 윌슨이 가드너로부터 베껴 쓴 버전과 동일하게 유지되며, 어떤 내용도 변경되지 않는다. 마법서는 원래 BTW에 입문하지 않은 사람들에게는 비밀로 유지될 예정이었지만, 찰스 카델, 레이디 시바, 자넷 페라와 스튜어트 페라를 포함한 작가들에 의해 마법서의 일부가 출판되었다.[20]

4. 6. 상징



오각별은 위칸들이 흔히 사용하는 상징이다. 위칸들은 오각별의 다섯 꼭지점이 흙, 공기, 불, 물, 그리고 에테르/정신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오각별은 인간의 상징으로 간주되기도 하며, 다섯 꼭지점은 머리, 팔, 다리를 나타낸다.

5. 구조

위카는 전반적인 조직 구조가 없다. 위카에서 모든 수행자는 사제이자 여사제로 간주된다. 위카는 일반적으로 입문 의식을 필요로 한다.

5. 1. 전통

195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 위칸 운동이 가드너주의 위카와 알렉산드리아 위카와 같은 혈통 집단에 주로 국한되었을 때, "전통"은 보통 입문을 통한 혈통의 전달을 의미했다.[21] 그러나 이러한 집단이 점점 더 많이 생겨나고, 이전의 입문 혈통이 없는 사람들에 의해 종종 설립되면서, 이 용어는 위카 내의 종교 분파의 동의어가 되었다. 종교 학자들은 위카를 기독교와 그 많은 분파처럼 중요한 점에서 다르지만 핵심적인 믿음을 공유하는 분파가 있는 종교로 취급하는 경향이 있다.[21] 이러한 전통은 많으며[22][23], 어떤 특정 혈통과도 관계를 맺지 않고 혼자 활동하는 많은 독수 수행자도 있다. 일부 코번은 형성되었지만, 어떤 특정 전통을 따르지 않고 대신 그들의 영향과 실천을 절충적으로 선택한다.

제럴드 가드너로 거슬러 올라가는 입문 혈통을 추적하는 전통에는 가드너주의 위카, 알렉산드리아 위카, 알가드 전통이 있다. 이들은 공동의 역사 때문에, 특히 북미에서 종종 영국 전통 위카라고 불린다. 다른 전통들은 가드너의 영향을 다소 받았을지라도 다른 인물에게 그 기원을 추적한다. 여기에는 코크란의 기술과 1734 전통(둘 다 로버트 코크란으로 거슬러 올라감), 페리 전통(빅터 앤더슨과 구이디온 펜더웬으로 거슬러 올라감), 디아닉 위카(추종자들이 종종 주잔나 부다페스트에게 영향을 받았다고 추적함)가 있다. 이러한 그룹 중 일부는 일반적으로 ''위칸''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BTW 전통과 구별하기 위해 스스로를 ''마녀''라고 부르는 것을 선호한다. 1980년대에 가드너주의와 알렉산드리아 전통의 입문자인 비비안느 크롤리는 이 두 전통을 통합했다.

조앤 피어슨은 "위카는 진화했고, 때로는 완전히 다른 형태로 극적으로 변이되었다"고 언급했다. 위카는 또한 그것이 도입된 다양한 국가적 맥락에 "맞춤화"되었다. 예를 들어, 아일랜드에서는 고대 아일랜드 신들의 숭배가 위카에 통합되었다.

5. 2. 코벤

리니지 위카는 입문한 사제와 여사제들로 구성된 코번으로 조직되며, 자율적으로 운영된다.[24] 코번은 대개 고위 사제와 고위 여사제의 파트너십으로 운영되며, 이들은 첫 번째, 두 번째, 세 번째 입문 단계를 모두 거친 부부이다. 코번 지도자가 두 번째 단계 입문자인 경우도 있는데, 이때는 상위 코번의 지배를 받는다. 새로운 사제단의 입문과 훈련은 대부분 코번 환경에서 이루어지지만, 필수는 아니며 일부 입문한 위칸들은 코번에 소속되지 않는다.

대부분의 코번은 18세 미만의 회원을 받지 않으며,[24] 자신들의 존재를 알리는 경우도 드물다. 광고를 할 때는 이교 잡지를 이용한다.[24] 잠재적 회원이 참여하여 평가받을 수 있는 강좌나 워크숍을 조직하기도 한다.[24]

코번의 이상적인 회원 수는 13명이라는 전통이 있지만, 엄격한 규칙은 아니다.[24] 실제로 많은 미국 코번은 훨씬 작으며, "공개" 의식에서 소속되지 않은 위칸들이 참여하여 회원 수가 늘어나기도 한다.[24] 피어슨은 코번이 대개 5명에서 10명의 입문자로 구성된다고 언급했다.[24] 많은 인원은 코번의 친밀감과 신뢰를 해치고, 넓은 공간을 찾기 어렵기 때문에 대규모 모집은 피하는 편이다.[24]

일부 코번은 수명이 짧지만, 다른 코번은 수년 동안 존속하기도 한다.[24] 리클레이밍 전통의 코번은 단일 성별에 비계층적 구조를 가지는 경우가 많다. 원래 그룹을 떠나 다른 코번을 만드는 구성원은 "분가"했다고 표현한다.[24]

코번 입문 전에는 전통적으로 1년과 하루의 수습 기간이 있다.[24] 이 기간 동안 학습 과정이 설정될 수 있으며, 일부 코번에서는 정식 입문 전에 "헌신" 의식을 통해 시험 자격으로 특정 의식에 참석하게 하기도 한다. 일부 독신 위칸들도 종교에 헌신하기 전에 1년과 하루 동안 공부한다.[25]

5. 3. 절충주의 위카

임볼크 제단


많은 위칸은 특정 전통만을 따르지 않으며, 입문조차 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절충주의적 위칸''들은 위카 및 더 넓은 이교주의와 관련된 다양한 종교 전통의 신념과 의례를 채택하고 재창조함으로써 각자 고유의 혼합주의적 영적 길을 개척한다.[26]

현대 위칸의 기원은 정통 계보를 가진 소수의 입문자들이 코벤 활동을 한 것이지만, 절충주의적 위칸들은 대부분 어떤 전통에도 입문하지 않은 독학 수행자들이다.[26] 특히 미국에서 대중의 관심이 증가하면서 전통적인 입문만으로는 위카 참여에 대한 수요를 충족시킬 수 없게 되었다. 1970년대 이후, 더 크고 비공식적이며 종종 공개적으로 광고되는 캠프와 워크숍이 열리기 시작했다.[26] 이러한 덜 형식적이지만 더 접근하기 쉬운 형태의 위카는 성공적이었다. 절충주의 위카는 미국에서 가장 인기 있는 위카의 한 종류이며[27] 현재 절충주의자들이 계보 위칸보다 훨씬 더 많다.[27]

절충주의 위카가 반드시 전통을 완전히 포기하는 것은 아니다. 절충주의 수행자들은 하나 이상의 종교적 또는 철학적 길을 따르면서도 자신의 개별적인 아이디어와 의례적 실천을 따를 수 있다. 위카에 대한 절충주의적 접근 방식은 종종 토착 종교와 고대 이집트, 그리스, 색슨, 앵글로색슨, 켈트, 아시아, 유대, 그리고 폴리네시아 전통에 의존한다.

영국 전통 위칸, 리클레이밍 위칸, 그리고 다양한 절충주의 위칸과 대조적으로, 사회학자 더글러스 에지는 "대중화된 마법"이 존재하며, 이는 "주로 소비주의적 마케팅에 의해 주도되고 영화, 텔레비전 쇼, 상업 잡지 및 소비재로 대표된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책과 잡지는 주로 어린 소녀들을 대상으로 하며, 남자 친구를 유혹하거나 물리치는 주문, 돈을 버는 주문, 그리고 집을 보호하는 주문 등을 포함했다. 에지는 이것을 "뉴에이지 마법"이라고 칭했으며, 이에 관련된 사람들을 뉴에이지 참여자들과 비교했다.

6. 역사

위카는 20세기 초, 고대 조상의 신앙을 부활시키려는 밀교적인 성향의 영국인들 사이에서 시작되었으며, 1950년대와 1960년대에 세상에 알려지게 되었다.[2] 이는 소수의 헌신적인 추종자들 덕분이었으며, 이 급진적인 종교는 1960년대 반문화와 여성 해방 운동, 게이 해방 운동 등에서 지지를 얻으며 미국으로 퍼져 나갔다.[2]

위카는 1921년에서 1950년 사이에 영국에서 창시되었으며,[28] 역사가 로널드 허튼은 이를 "영국이 세계에 제공했다고 말할 수 있는 유일하게 완전한 형태의 종교"라고 칭했다.[29] 학자들은 위카를 "창작된 전통"으로 평가하며,[28] 위카는 기존의 종교 및 밀교 운동에서 가져온 다양한 요소들을 짜깁기하여 만들어졌다.[28]

'위카의 아버지' 제럴드 가드너는 자신의 종교가 유럽 '마녀 숭배'의 생존이라고 주장했다.[9] '마녀 숭배' 이론은 1828년 독일의 카를 에른스트 야르케 교수가 처음 주장했으며, 이후 여러 학자들의 지지를 받았다.[28] 이 이론을 가장 적극적으로 옹호한 사람은 영국의 이집트학자 마가렛 머레이였는데, 그녀는 여러 저서에서 이 이론을 홍보했다.[28] 머레이의 동료들은 대부분 마녀 숭배 이론이 부정확하다고 생각했지만, 머레이는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에 "마녀 숭배" 항목을 작성하여 큰 영향력을 미쳤다.[28]

마녀 숭배 이론은 이후 역사 연구를 통해 사실이 아닌 것으로 밝혀졌지만,[29] 위칸들은 여전히 마녀 재판 희생자들과의 연대감을 주장한다.[9] 초기 위카에 영향을 미친 다른 요인으로는 의례 마법, 알레이스터 크로울리의 종교 텔레마, 프리메이슨 등 다양한 서양 밀교 전통과 관습, 교활한 사람들의 민간 마법, 제임스 프레이저의 ''황금 가지'', 로버트 그레이브스의 ''백색 여신'', 우드크래프트 기사단, 드루이드교 등이 있다.[28]

1964년 가드너가 사망한 후에도 위카는 계속 성장했으며, 알렉산드리아 위카와 같은 새로운 전통들이 생겨났다. 1970년대에는 1960년대 반문화의 영향을 받은 새로운 세대가 위카에 합류하여 환경주의적 생각을 도입하기도 했다. 미국과 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자생적인 전통이 발전하기 시작했으며, 이 시기에 스스로 마녀가 되는 방법을 가르치는 책들이 등장하면서 자가 입문자 수가 증가했다. 1990년대에는 대중 매체가 "마법"을 다루면서 더 많은 젊은이들이 위카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인터넷의 발달로 정보 접근성이 높아졌다.

6. 1. 기원 (1921–1935)

위카는 1921년에서 1950년 사이에 영국에서 창시되었으며,[28] 역사가 로널드 허튼은 이를 "영국이 세계에 제공했다고 말할 수 있는 유일하게 완전한 형태의 종교"라고 칭했다.[29] 위카는 기존의 종교 및 밀교 운동 등에서 가져온 다양한 요소들을 짜깁기하여 만들어졌다.[28]

위카는 근대 초기 마녀 재판에서 마녀로 박해받은 사람들이 실제로 살아남은 이교주의 종교의 추종자였다는 마녀 숭배 가설을 기반으로 삼았다.[28] '위카의 아버지' 제럴드 가드너는 자신의 종교가 이 유럽 '마녀 숭배'의 생존이라고 주장했다.[9] '마녀 숭배' 이론은 1828년 독일의 카를 에른스트 야르케 교수에 의해 처음 표현되었으며, 이후 여러 학자들의 지지를 받았다.[28] 19세기 말에는 미국의 마틸다 조슬린 게이지와 찰스 르랜드가 이 이론을 받아들였으며, 르랜드는 1899년 저서 ''아라디아, 또는 마녀의 복음''에서 이 이론의 변형을 홍보했다.[28] 이 이론의 가장 주목할 만한 옹호자는 영국의 이집트학자 마가렛 머레이였으며, 그녀는 일련의 저서에서 이 이론을 홍보했다.[28]

머레이의 동료들은 거의 모두 마녀 숭배 이론이 부정확하고 부실한 학문에 근거하고 있다고 생각했지만, 머레이는 1929년판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에 "마녀 숭배" 항목을 작성하도록 초청받았으며, 이 항목은 수십 년 동안 재인쇄되어 큰 영향력을 발휘했다.[28] 마녀 숭배 이론은 이후 추가적인 역사 연구를 통해 반증되었지만,[29] 위칸들은 여전히 마녀 재판 희생자들과의 연대감을 주장하는 것이 일반적이다.[9]

초기 위카에 영향을 미친 다른 요인으로는 의례 마법, 알레이스터 크로울리의 종교 텔레마, 프리메이슨, 심령주의, 신지학 등 다양한 서양 밀교 전통과 관습, 교활한 사람들의 민간 마법과 관행, 제임스 프레이저의 ''황금 가지''와 같은 학술 저작물, 로맨티시즘 작가인 로버트 그레이브스의 ''백색 여신''과 같은 낭만주의 저작물, 우드크래프트 기사단 및 드루이드교와 같은 기존의 현대 이교도 집단 등이 있다.[28]

6. 2. 초기 발전 (1936–1959)

1930년대에 영국에서 신이교주의 '마법' 종교(현재 위카로 인식될 수 있는)의 실천에 대한 최초의 증거가 나타났다.[30] 노퍽,[31] 체셔 그리고 뉴 포레스트와 같은 지역에서 여러 그룹이 마가렛 머레이의 "마녀 숭배"에 관한 글에 영감을 받아 조직된 것으로 보인다.

위카의 역사는 20세기 중반의 제럴드 가드너(위카의 "아버지")로부터 시작된다. 가드너는 은퇴한 영국 공무원이자 아마추어 인류학자였으며, 이교주의와 오컬트에 대한 광범위한 지식을 가지고 있었다. 그는 1930년대 후반에 햄프셔의 뉴 포레스트에 있는 마녀 코븐에 입문했다고 주장했다. 이 마법을 영속시키려는 의도로, 가드너는 네이쳐리스트 파이브에이커스 컨트리 클럽을 구입한 후 1940년대에 아내 도나와 함께 브리켓 우드 코븐을 설립했다.[28] 코븐의 초기 구성원 중 많은 수가 클럽 회원들로 구성되었으며 회의는 클럽 부지 내에서 열렸다. 다포, 도린 발리엔테, 잭 브라셀린, 프레데릭 라몬드, 데이오니스, 엘리너 본, 로이스 본을 포함하여 초기 위카의 많은 저명한 인물들이 이 코븐의 직접적인 입문자였다.

마법 종교는 마법법 1735의 폐지와 함께 1951년에 성장하기 시작했으며, 그 후 제럴드 가드너와 찰스 카델 및 세실 윌리엄슨과 같은 다른 사람들이 자신들의 마법 버전을 공개하기 시작했다. 가드너는 마녀를 "위카"라고 지칭했다.[50] 1960년대에 이 종교의 이름은 "위카"로 정착되었다. 가드너의 전통은 나중에 가드너주의로 불리며, 곧 잉글랜드에서 지배적인 형태가 되었고 영국 제도의 다른 지역으로 확산되었다.

6. 3. 적응과 확산 (1960–현재)

제럴드 가드너가 1964년에 사망한 이후, 마법은 꺾이지 않고 계속 성장했으며, 로버트 코크레인, 시빌 리크, 알렉스 샌더스와 같은 인물들에 의해 새로운 전통이 전파되었다.[32] 특히 알렉산드리아 위카는 가드너 위카를 기본으로 하되, 의례 마법을 강조하여 빠르게 확산되었고 많은 언론의 주목을 받았다. 이 시기에 "마법" 대신 "위카"라는 용어가 널리 사용되기 시작했으며, 이 신앙은 오스트레일리아미국과 같은 국가로 전파되었다.

1970년대에는 1960년대 반문화의 영향을 받은 새로운 세대가 위카에 합류했다.[32] 많은 사람들이 환경주의적 생각을 운동에 가져왔으며, 이는 영국에 본부를 둔 핵 반대 이교도와 같은 단체의 결성으로 나타났다.[32] 미국에서는 빅터 앤더슨, 코라 앤더슨, 그위디온 펜더웬이 페리 전통을 설립했다.[32]

미국과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새로운 자생적 전통이 발전하기 시작했는데, 때로는 이전 지역의 민속 마법 전통을 기반으로 하고 가드너 위카의 기본 구조와 혼합된 형태였다. 여기에는 빅터 앤더슨의 페리 전통, 조셉 윌슨의 1734 전통, 에이단 켈리의 새 개혁 정통 황금 새벽 교단, 그리고 주잔나 부다페스트의 다이아닉 위카가 포함되었으며, 각 전통은 신앙의 다른 측면을 강조했다.[32] 이 시기에 정식 입문이나 훈련 없이 스스로 마녀가 되는 방법을 가르치는 책들이 등장하기 시작했는데, 그중에는 폴 허슨의 ''마법의 숙달''(1970)과 ''레이디 시바의 그림자 책''(1971)이 있었다. 도린 발리엔테, 자넷 페라, 스튜어트 페라, 스콧 커닝햄과 같은 작가들의 저술은 마법에 대한 자기 입문의 아이디어를 대중화했다.[32] 캐나다의 마녀들 중 빅토리아 대학교의 인류학자 헤더 보팅 (옛 성씨 하든)은 공립 대학의 최초의 공인 위칸 채플린이었다.[33] 그녀는 코번 셀레스트의 초대 여사제이다.[34]

1990년대에는 자가 입문자의 수가 계속 증가하는 가운데, 대중 매체는 ''크래프트''(1996)와 ''마법사 자매들''(1998–2006)과 같은 텔레비전 시리즈와 같은 허구 영화에서 "마법"을 탐구하기 시작하여 많은 젊은이들에게 종교적 마법에 대한 아이디어를 소개했다. 이 성장하는 인구 통계는 곧 인터넷을 통해 그리고 실버 레이븐울프와 같은 작가들에 의해 충족되었으며, 이는 전통적인 위칸 단체와 개인들의 비판을 받았다. 위카가 유행하고 절충적이며 뉴에이지 운동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점점 더 묘사되는 방식에 대한 대응으로, 많은 마녀들은 가드너 이전의 마법의 기원과 카델 및 코크레인과 같은 그의 라이벌들의 전통으로 눈을 돌려 자신들을 "전통적인 마법"을 따르는 자라고 묘사했다. 이러한 전통 마법 부흥 내 단체에는 앤드루 춤블리의 숭배 사바티와 콘월의 로스 안 부카 코번이 포함되었다.

7. 인구 통계

영국에서 시작된 위카는 오스트랄라시아, 유럽 대륙, 남아프리카 공화국을 거쳐 북미로 퍼져나갔다.[35] 전 세계 위칸의 실제 수는 알려져 있지 않으며, 조직화되지 않은 구조로 인해 신이교주의 신앙의 구성원 수를 파악하기가 더 어렵다.[35] 2016년 현재, 도일 화이트는 '전 세계적으로 수십만 명의 위칸들이 실천하고 있다'고 말했다.[35]

위카는 전도하지 않는 종교로 묘사되며,[35] 위칸으로 성장한 사람은 거의 없었지만 위칸 성인 부모의 수는 증가하고 있다.[35] 대부분의 설문 조사는 위카의 대다수가 여성임을 보여주지만 상당수가 남성이다.[35]

1998년, 위칸의 여대사제이자 학자 심리학자인 비비안느 크롤리는 위카가 인구가 주로 로마 가톨릭인 국가에서 덜 성공적으로 전파되었다고 주장했다. 그녀는 위카가 여성 신성을 강조하는 것이 개신교가 지배적인 배경에서 자란 사람들에게 더 새로운 것이었기 때문일 수 있다고 말했다.[35]

7. 1. 유럽

1996년 영국 위칸에 대한 설문 조사에 따르면, 대부분의 위칸은 25세에서 45세 사이이며 평균 연령은 약 35세였다.[35] 남녀 비율은 거의 같았고, 62%가 개신교 배경 출신이었다.[35] 영국 위칸의 절반은 대학교육을 받았으며, 의학, 상담, 교육, 컴퓨터, 행정과 같은 '치유 직업'에 종사하는 경향을 보였다.[35]

영국에서 종교에 대한 인구 조사 자료는 2001년에 최초로 수집되었다.[36] 2011년 인구 조사에서는 56,620명이 스스로를 이교도로, 11,766명이 위카로, 1,276명이 자신의 종교를 '마법'으로 묘사했다.[36]

7. 2. 북미

미국에서 위카는 상당한 성장을 보였다. 미국 종교 식별 설문조사에 따르면, 스스로를 위칸이라고 밝힌 사람들의 수는 1990년 8,000명에서 2001년 134,000명, 2008년 342,000명으로 크게 증가했다.[47] 미국 공군에서는 1,434명의 공군 병사가 스스로를 위칸이라고 밝혀, 위카가 기독교를 제외하고 가장 큰 신앙으로 나타났다.[47]

2014년, 퓨 리서치 센터는 미국 인구의 0.3% (약 950,000명)가 위칸 또는 이교도로 식별한다고 추정했다. 2018년, 퓨 리서치 센터 연구에 따르면 미국의 위칸 수는 최소 150만 명으로 추정되었다.[47]

미국 내 위카 신자 수 변화 추이
연도인구 조사에 따른 위카 신자 수비고
1990년8,000명
2001년134,000명
2008년342,000명
2014년약 950,000명미국 인구의 0.3%
2018년최소 150만 명


8. 수용

제럴드 가드너가 1954년에 발표한 『오늘의 마녀술(Witchcraft Today)』에서 위카가 시작되었다. 가드너는 자신이 가입한 위치크래프트는 유럽의 기독교 이전 다신교가 현대에 살아남은 것이라고 주장했다. 가드너는 'Wica'라는 단어를 사용했지만, 이는 자신의 위치크래프트 전통 신봉자를 나타내는 남성 명사였고, 마녀의 종교는 위치크래프트라고 불렀다.[50] 1960년대부터 '위카'라는 용어가 종교 명칭으로 사용되기 시작했으며, 처음에는 "가드너파 위카"와 알렉산더파 위치크래프트를 가리켰다. 이후 위치크래프트는 다양한 형태로 발전했고, 파생된 여러 유파를 포함한 포괄적인 명칭으로 위카라는 단어가 일반화되었다. 하지만 가드너의 계보를 잇는 위치크래프트 유파만을 위카라고 부르는 경향도 있다. 전통적인 위카에서는 가입을 위해 이니시에이션(가입례)이 필요하지만, "솔리터리 위칸"(Solitary Wiccan)이라 주장하며 기존 위칸으로부터의 이니시에이션을 필요로 하지 않는 사람들도 늘고 있다. 이러한 "신흥 위카"와 전통적인 위카는 형태는 비슷하지만, 정신적인 부분이나 사상 이해에 차이가 나는 경우가 많다.

9. 일본에서의 수용

일본에서 위카는 '현대 마녀'나 '마녀교'라는 형태로 수용되고 있다. 1980년대에 점술가 헤이즈 나카무라가 효시이다.[51] 2020년에는 생태주의 사상이나 아나키즘, 페미니즘, 현대 미술 등에 중점을 둔 미국 서부 해안의 마녀 문화에 접한 엔카 등이 활동하고 있다.[51]

카사이 에리코는 일본에서 마녀를 자칭하는 사람들은 여성이나 성적 소수자로서의 자각, 대체 의학인 허브, 점이나 마술과 같은 '비과학'적인 일들에 관심이 많고, '얼터너티브'한 삶을 각자의 방식으로 보여주는 선구자처럼 보인다고 말하고 있다.[52] 조몬 시대에 있었다고 하는 문신을 현대에 재구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조몬족'이라는 그룹도 활동하고 있다. 엔카는 "조몬 문신은 일본의 네오 페이거니즘이라고 생각한다"라고 말한다.[53]

참조

[1] 웹사이트 Wizard Definition & Meaning https://www.merriam-[...] 2024-07-01
[2] 서적 Wiccan Beliefs & Practices: With Rituals for Solitaries & Covens Llewellyn Worldwide 2001
[3] 서적 Wicca: The Old Religion in the New Millennium Thorsons
[4] 서적 The A–Z of Wicca Boxtree 1998
[5] 서적 The Alex Sanders Lectures Magickal Childe
[6] 서적 The Rede of the Wiccae Olympian Press 2005
[7] 간행물 Exegesis on the ''Rede'' http://www.draknet.c[...] 1985
[8] 문서 "''The Threefold Law''" https://web.archive.[...] 2002
[9] 서적 The Book of Mirrors Capall Bann
[10] 서적 Creating Circles & Ceremonies New Page Books
[11] conference Casting Your Own Spell: The Role of Individualism in Wiccan Beliefs https://egrove.olemi[...] 2023
[12] 간행물 A Turning on the Wheel of Life: Wiccan Rites of Death https://scholarworks[...] 1998
[13] 서적 Aradia, or the Gospel of the Witches David Nutt
[14] 서적 The Goddess and the Great Rite: Sex Magic and Feminism in the Neo-Pagan Revival 2006-10-04
[15] 서적 Traditional Witchcraft: A Cornish Book of Ways Troy Books
[16] 서적 Mythology Little Brown & Company
[17] 간행물 Witching Culture: Folklore and Neo-Paganism in America
[18] 서적 Mastering Witchcraft: A Practical Guide for Witches, Warlocks and Covens Putnum
[19] 서적 Coven Craft: Witchcraft for Three or More Llewellyn
[20] 서적 Witchcraft and the Book of Shadows I-H-O Books
[21] 서적 Wicca: History, Belief & Community in Modern Pagan Witchcraft Liverpool University Press 2015
[22] 웹사이트 Beaufort House Index of English Traditional Witchcraft http://beaufort.brav[...] 1999-01-15
[23] 웹사이트 Different types of Witchcraft http://www.hexarchiv[...]
[24] 서적 Covencraft: Witchcraft for Three or More Llewellyn 1998
[25] 서적 Wicca: A Year and a Day Llewellyn Publications 2005
[26] 서적 Modern Wicca Llewellyn Publications 2010
[27] 서적 Wicca and Witchcraft for Dummies Wiley 2005
[28] 잡지 The Scholars and the Goddess https://www.theatlan[...] 2001-01
[29] 서적 Goddess Unmasked Spence
[30] 서적 Book of Lies: The Disinformation Guide to Magick and the Occult Disinformation Books 2003
[31] 서적 Dancing With Witches Robert Hale 1998
[32] 서적 The New Pagans Doubleday
[33] 웹사이트 University of Victoria chaplain marks solstice with pagan rituals | Vancouver Sun http://blogs.vancouv[...] Blogs.vancouversun.com
[34] 웹사이트 ATC Affiliates – Canada http://www.aquariant[...] Aquarian Tabernacle Church
[35] 웹사이트 Census 2001 Key Statistics – Local Authorities KS07 Religion http://www.ons.gov.u[...] United Kingdom Office for National Statistics
[36] 간행물 "2011 Census, Key Statistics for Local Authorities in England and Wales" http://www.ons.gov.u[...] Office for National Statistics 2012-12-11
[37] 뉴스 Real Witches Practice Samhain: Wicca on the Rise in U.S. https://abcnews.go.c[...] 2013-11-10
[38] 뉴스 Respect healthy for different faiths https://archive.toda[...] 2010-10-20
[39] 웹사이트 Religious Landscape Study http://www.pewforum.[...] Pew Research Center
[40] 뉴스 Number Of Witches Rises Dramatically Across U.S. As Millennials Reject Christianity https://www.newsweek[...]
[41] 서적 New Religious Movements and Religious Liberty in America https://books.google[...] Baylor University Press
[42] 웹사이트 Witch Way http://www.slate.com[...] 2008-05-16
[43] 논문 Something Wiccan This Way Comes http://www.trincoll.[...] 1999-Summer
[44] 뉴스 Barr's Witch Project: Lawmaker Wants to Ban Witches from the Military http://www.lawstreet[...] 2007-07-11
[45] 뉴스 Use of Wiccan Symbol on Veterans' Headstones Is Approved https://www.nytimes.[...] 2007-04-24
[46] 뉴스 George W. Bush Justifies Off-The-Cuff Bigotry https://web.archive.[...] 2008-11-30
[47] 웹사이트 Veteran Pentacle Quest https://www.circlesa[...] 2015-12-28
[48] 웹사이트 Wiccan Chaplaincy https://web.archive.[...] Aquarian Tabernacle Church Canada 2013-05-02
[49] 웹사이트 University of Victoria chaplain marks solstice with pagan rituals https://web.archive.[...] 2013-03-27
[50] 웹사이트 ウイッカ、クラフト、ウイッチクラフト ~「魔女宗」の混乱~ http://www.wicca.ne.[...] 2016-02-14
[51] 웹사이트 日本で増殖する「現代魔女」たちの証言 https://web-mu.jp/co[...] "ムー (雑誌)|webムー" 2022-08-16
[52] 웹사이트 いま日本で「魔女」を名乗る人が増えていた…「魔女とフェミニズム」の意外な関係。オルタナティブな生き方を模索して https://gendai.media[...] "現代ビジネス" 2021-07-10
[53] 웹사이트 汝はいかにして“縄文族”になりしや──《JOMON TRIBE》外伝 ❻| 「縄文タトゥーは日本のネオペイガニズムだと思う」|円香(現代魔女) https://hagamag.com/[...] "DOZiNE " 2021-10-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