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동 통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동 통신은 여러 세대에 걸쳐 발전해 온 무선 통신 기술로,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멀티미디어 서비스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1940년대에 처음 제안된 이후 1G, 2G, 3G, 4G, 5G를 거치며 기술이 발전해 왔으며, 현재는 5G 기술을 활용한 초고속, 초저지연 통신 시대를 열었다. 이동 통신은 코어 네트워크와 액세스 네트워크로 구성되며, 기지국을 통해 휴대폰과 통신한다. 서비스 과금 방식에는 발신자 부담, 수신자 부담, 선불 및 후불 요금제가 있으며, 사회적으로는 정보 접근성 향상, 의사소통 편의성 증진에 기여하지만, 건강 문제, 안전 문제, 사회적 무례 등 부정적인 영향도 존재한다. 한국은 세계 최고 수준의 이동 통신 인프라를 갖추고 있으며,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통신 사업자들이 경쟁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동 통신 - 고속 패킷 접속
    고속 패킷 접속(HSPA)은 3세대 이동통신(3G)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높이는 기술 집합체로, 고속 하향/상향 패킷 접속(HSDPA/HSUPA)을 통해 속도를 개선하고 다중 안테나, 고차 변조, 다중 주파수 대역 활용 등의 기술로 진화했으나, LTE 및 5G 기술 발전으로 현재는 상용 서비스가 중단되었다.
  • 이동 통신 - 코드분할다중접속
    코드 분할 다중 접속(CDMA)은 1989년 퀄컴에 의해 개발되어 1996년 한국에서 상용화된 기술로,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서 여러 사용자가 통신하며, TDMA, FDMA보다 적은 기지국으로 더 많은 사용자를 수용할 수 있고, 보안 강화, 간섭 저항 등의 특징을 가진다.
  • 이동 통신 표준 - 고속 패킷 접속
    고속 패킷 접속(HSPA)은 3세대 이동통신(3G)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높이는 기술 집합체로, 고속 하향/상향 패킷 접속(HSDPA/HSUPA)을 통해 속도를 개선하고 다중 안테나, 고차 변조, 다중 주파수 대역 활용 등의 기술로 진화했으나, LTE 및 5G 기술 발전으로 현재는 상용 서비스가 중단되었다.
  • 이동 통신 표준 - 노르딕 모바일 텔레폰
    노르딕 모바일 텔레폰(NMT)은 1981년 스웨덴과 노르웨이에서 상용화된 아날로그 이동 통신 시스템으로, 450MHz와 900MHz 주파수 대역을 사용했으며 GSM 등장으로 쇠퇴했다.
  • 전기 통신 - 텔레비전
    텔레비전은 움직이는 영상과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고 수신 측에서 다시 영상과 소리로 바꾸는 기술을 이용한 매체로, 닙코프 원판을 이용한 초기 기계식 방식에서 음극선관 발명을 통해 전자식으로 발전하여 디지털 기술과 다양한 디스플레이 기술 발전을 거쳐 현재에 이르렀으며 사회, 문화, 경제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지만 건강 문제 및 부정적 콘텐츠 노출 등의 부작용도 존재한다.
  • 전기 통신 - 고속 패킷 접속
    고속 패킷 접속(HSPA)은 3세대 이동통신(3G)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높이는 기술 집합체로, 고속 하향/상향 패킷 접속(HSDPA/HSUPA)을 통해 속도를 개선하고 다중 안테나, 고차 변조, 다중 주파수 대역 활용 등의 기술로 진화했으나, LTE 및 5G 기술 발전으로 현재는 상용 서비스가 중단되었다.
이동 통신
모바일 통신 개요
기술 개요
정의전화 서비스를 휴대폰에 제공하는 것
관련 기술무선 네트워크 기술
종류0G
1G (1.5G)
2G (2.5G, 2.75G, 2.9G)
3G (3.5G, 3.75G, 3.9G/3.95G)
4G (4G/4.5G, 4.5G, 4.9G)
5G (5.25G, 5.5G)
6G
관련 용어
관련 기술무선 네트워크 기술
관련 주제이동 통신
참고
참고 자료모바일 브로드밴드

2. 역사

이동 통신의 역사는 여러 세대에 걸쳐 발전해왔다.

AT&T는 1915년 무선 전화 개발을 논의했지만, 해당 기술의 배치가 미국에서 유선 서비스에 대한 자사의 독점을 약화시킬 수 있다는 우려를 했다.[1]

1948년 암스테르담 국제 모터쇼(AutoRAI)에서 네덜란드 왕립 자동차 클럽(KNAC)과 네덜란드 우정, 전신 및 전화청(PTT)이 공동으로 선보인 최초의 네덜란드 차량 또는 수상 전화("Mobilofoon") 부스.


공공 휴대전화 시스템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몇 년 동안 처음 도입되었으며, 전쟁 전후에 개발된 기술을 활용했다. 최초의 시스템은 1946년 미국 미주리주 세인트루이스에서 개설되었으며, 다른 국가들도 그 후 수십 년 동안 시스템을 도입했다. 영국은 1958년 사우스 랭커셔 라디오폰 서비스로 '시스템 1' 수동 무선 전화 서비스를 도입했다.[2] 통화는 일반 전화기와 동일한 수화기를 사용하는 교환원을 통해 이루어졌다.[3] 전화기 자체는 진공관과 기타 초기 전자 부품이 들어 있는 차량 트렁크에 있는 큰 상자였다. 업그레이드된 수동 서비스('시스템 3')가 영국 대부분 지역으로 확장되었지만, 자동화는 '시스템 4'가 도입된 1981년까지 도입되지 않았다. 독일 B-Netz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이 비셀룰러 서비스는 1982년부터 1985년까지 영국 전역으로 빠르게 확장되었고, 스코틀랜드에서 최종적으로 서비스가 종료되기 전까지 몇 년 동안 운영되었지만, 1985년 1월 두 개의 셀룰러 시스템인 영국 전기 통신/세큐리코어 '셀넷' 서비스와 라칼/밀리콤/바클레이즈 '보더폰'(voice + data + phone에서 유래) 서비스의 도입으로 인해 추월당했다. 이러한 셀룰러 시스템은 미국 고급 이동 전화 서비스(AMPS) 기술을 기반으로 하였으며, 수정된 기술은 전체 접근 통신 시스템(TACS)이라고 명명되었다.

1964년 오스트리아에서 초기 휴대전화 사용


1947년, 벨 연구소는 최초로 셀룰러 무선 전화 네트워크를 제안했다. 주요 혁신은 사용자가 네트워크를 통해 이동할 때 추적하고 통화를 한 사이트에서 다른 사이트로 전달하여 연결이 끊기지 않도록 하는 호출 전환 인프라가 지원하는 작은 중복 셀 사이트 네트워크를 개발하는 것이었다. 1956년, MTA 시스템이 스웨덴에서 출시되었다. 이동 통신을 개발하려는 초기 노력은 상대적으로 적은 사용 가능한 주파수를 동시에 사용하는 많은 수의 발신자를 허용하고, 사용자가 통화가 끊기지 않고 한 지역에서 다른 지역으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두 가지 중요한 과제에 직면했다. 벨 연구소의 직원인 에이모스 조엘은 1970년 이동 통신 시스템에 대한 특허를 신청하여 두 가지 문제를 모두 해결했다.[4] 그러나 비즈니스 컨설팅 회사는 유료 전화의 용이한 이용 가능성과 셀 타워 건설의 높은 비용을 바탕으로 미국 휴대전화 시장 전체를 10만 대, 전 세계 시장 전체를 20만 대 이하로 계산했다. 결과적으로 벨 연구소는 이 발명이 "거의 또는 전혀 중요하지 않다"고 결론을 내리고 발명품을 상업화하려고 시도하지 않았다. 이 발명으로 조엘은 2008년 국립 발명가 명예의 전당에 입성했다.[5]

금속-산화물-반도체(MOS) 대규모 집적 회로(LSI) 기술, 정보 이론 및 셀룰러 네트워크의 발전은 저렴한 이동 통신의 개발로 이어졌다.[6] 휴대용 휴대전화로 최초의 통화는 1973년 4월 3일 모토로라의 마틴 쿠퍼가 최초가 되기 위해 경쟁하던 벨 연구소의 담당자에게 걸었다.[7] 벨 연구소는 1978년 시카고에 최초의 시험용 셀룰러 네트워크를 설치했다. 이 시험 시스템은 1982년 FCC에 의해 상업적 사용을 위해 ATT에 라이선스가 부여되었고, ATT 해체를 위한 분할 조치의 일환으로 AMPS 기술이 지역 전화 회사에 배포되었다. 최초의 상업용 시스템은 1983년 10월 시카고에서 개설되었다.[8][9] 모토로라가 설계한 시스템도 1982년 여름 워싱턴 D.C./볼티모어 지역에서 운영되었고, 그 이듬해 후반에 정식 공공 서비스가 되었다.[10] 일본의 최초 상업용 무선 전화 서비스는 1979년 NTT가 시작했다.

최초의 완전 자동 1세대 셀룰러 시스템은 노르딕 모바일 텔레폰(NMT) 시스템으로, 1981년 덴마크, 핀란드, 노르웨이, 스웨덴에서 동시에 출시되었다.[11] NMT는 국제 로밍 기능을 갖춘 최초의 휴대전화 네트워크였다. 스웨덴의 전기 기술자인 외스텐 매키탈로는 1966년부터 이러한 비전을 실현하기 위해 노력했으며, NMT 시스템의 아버지로 여겨지며 일부는 그를 휴대전화의 아버지로 여기기도 한다.[12][13]

20세기 말 무선 통신의 급속한 성장은 주로 저렴한 초대규모 집적 회로(VLSI) RF CMOS(무선 주파수 상보형 금속 산화물 반도체) 기술 개발에 힘입어 무선 통신에서 디지털 신호 처리의 도입으로 인해 발생했다.[6] 셀룰러 기술의 출현은 유럽 국가들이 미국과 일본의 기술에 필적하는 유럽 전역 셀룰러 기술 개발에 협력하도록 장려했다. 이는 GSM 시스템으로 이어졌는데, 처음에는 사양 및 개발 작업을 담당했던 ''Groupe Spécial Mobile''의 약자였지만, 후에는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로 사용되었다. GSM 표준은 결국 유럽 외부로 확산되었으며 현재 세계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셀룰러 기술이자 사실상의 표준이다. 업계 협회인 GSMA는 현재 219개국과 거의 800개의 이동통신 사업자를 대표한다.[14] "사용 중인 휴대전화 수에 따른 국가 목록"에 따르면 현재 휴대전화 가입자가 50억 명이 넘는 것으로 추정되지만(일부 사용자는 여러 개의 가입을 하거나 비활성 가입을 보유하고 있음), 이는 휴대전화가 세계에서 가장 널리 보급된 기술이자 가장 일반적인 전자 기기임을 나타낸다.[15]

인터넷 연결과 무선 이메일을 가능하게 하는 최초의 휴대전화인 노키아 커뮤니케이터는 1996년 출시되어 스마트폰이라는 새로운 범주의 다용도 기기를 만들었다. 1999년 NTT 도코모는 일본에서 i-모드 서비스 하에 최초의 모바일 인터넷 서비스를 시작했다. 2007년까지 전 세계 7억 9,800만 명 이상이 개인용 컴퓨터가 아닌 휴대전화를 사용하여 WAP 및 i-모드와 같은 인터넷 또는 동등한 모바일 인터넷 서비스에 적어도 가끔씩 접속했다.

0G (이동 무선 전화)

1세대 이동통신(아날로그 방식)

2세대 이동통신(최초의 디지털 방식):

  • 디지털 AMPS
  • CDMA 원
  • GSM
  • *GPRS
  • *EDGE(IMT-SC)
  • *향상된 EDGE

3세대 이동통신

  • UMTS
  • *W-CDMA (무선 인터페이스)
  • *TD-CDMA (무선 인터페이스)
  • *TD-SCDMA (무선 인터페이스)
  • **HSPA
  • **HSDPA
  • **HSPA+
  • CDMA2000
  • *OFDMA (무선 인터페이스)
  • **EV-DO

SVDO

4세대 이동통신

  • LTE (TD-LTE)
  • LTE 어드밴스드
  • LTE 어드밴스드 프로
  • WiMAX
  • WiMAX 어드밴스드 (WirelessMAN-Advanced)
  • 초고속 이동 통신 (상용화되지 않음)

5세대 이동통신

EV-DO부터 시작하여 다음과 같은 기술들을 사용하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2. 1. 1세대 (1G)

1세대 이동 통신은 아날로그 방식으로, 음성 통화만 가능했다. 대표적인 기술로는 AMPS가 있다.

1979년에 세계 최초의 소존(小ゾーン) 셀룰러 방식 자동차 전화가 일본에서 서비스를 시작했고, 전자 공학의 발전에 따라 점차 단말기(전화기)가 소형·경량화되어 휴대 전화가 되었다. 1세대 휴대 전화·자동차 전화·선박 전화·항공기 전화가 주된 것이었다.

주파수 대역 이용 효율이 나쁘기 때문에 디지털 방식으로 이행되었다. 일본에서는 항공기 전화가 2004년 3월 서비스 종료를 마지막으로 폐지되었다.

FDD-FDMA 방식으로 음성은 FM 방식의 비교는 아래와 같다.

약칭반송파 간격(kHz)(인터리브)제어 신호 전송 속도(kb/s)특징서비스 개시이용 지역·사업자
NTT 방식250.3소존(小ゾーン) 셀룰러 방식 자동차 전화로서 세계 최초 서비스 개시1979년일본 : 일본전신전화공사
NTT 대용량 방식12.5 (6.25)기지국에 3섹터 안테나 사용. 하이캡(Hicap)이라고도 불린다.1988년일본 : NTT 도코모와 IDO·1999년 3월 폐지
NMT251.2450MHz 대역을 사용하는 것은 기지국당 서비스 지역이 넓기 때문에 인구 밀도가 낮은 지역에 적합하다.1981년북유럽·동유럽·중동·러시아
AMPS30 (15)10기지국에 6섹터 안테나 사용. AT&T·모토로라가 제안1983년북아메리카 : 2005년 현재, 수요가 적은 지역에서 2G의 로밍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NAMPS15 (7.5)
TACS25 (12.5)8영국용으로 반송파 간격 변경1984년영국·프랑스·스위스·스페인·싱가포르·대한민국·중화인민공화국·홍콩·아프리카 일부
JTACS일본용으로 상하행 주파수를 반대로 하고 55MHz 간격화1989년일본 : DDI 셀룰러·IDO、2000년 9월 폐지
NTACS12.5 (6.25)1991년


2. 2. 2세대 (2G)

2세대 이동 통신은 디지털 방식으로 전환되어 음성 통화 품질이 향상되고, 문자 메시지 서비스가 가능해졌다. GSM, CDMA 등의 기술이 사용되었다.

GSM은 400 (200)kHz 반송파 간격과 270.833kb/s 전송 속도를 가지며, GMSK 변조 방식을 사용한다. 음성 부호화 방식으로는 ACELP, RPE-LTP (EVSELP)를 사용하며, 다중화 채널 수가 많아 기지국 설비가 저렴하다는 특징이 있다. 2005년 현재 210개 이상의 국가 및 지역에서 사용되는 사실상 표준이지만, 일본, 한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사용되지 않았다.

PDC는 50 (25)kHz 반송파 간격과 42kb/s 전송 속도를 가지며, π/4 DQPSK 변조 방식을 사용한다. 음성 부호화 방식으로는 CS-ACELP, ACELP, VSELP (PSI-CELP)를 사용하며, 다중화 채널 수가 적어 단말기의 순간 최대 안테나 전력을 작게 할 수 있고, 배터리 용량 대비 대기·통화 시간을 길게 하는 것이 용이하다. 일본에서는 3세대 휴대전화로의 이행이 급속히 진행되어, 2012년 3월에 NTT 도코모가 서비스를 종료하면서 PDC 방식의 서비스는 모두 종료되었다.

D-AMPS는 60 (30)kHz 반송파 간격과 48.6kb/s 전송 속도를 가지며, π/4 DQPSK 변조 방식을 사용한다. 음성 부호화 방식으로는 ACELP, VSELP (CELP)를 사용하며, AMPS와 주파수 대역을 공유할 수 있다. (IS-136/IS-54) 주로 북미에서 사용되었다.

2. 3. 3세대 (3G)

3세대(3G) 이동 통신은 데이터 통신 속도가 향상되어, 인터넷, 동영상 스트리밍 등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한다. CDMA2000, W-CDMA, TD-SCDMA, UMTS 등의 기술이 사용되었다.

W-CDMA는 유럽과 일본 등에서 사용되는 기술이며, NTT 도코모, 소프트뱅크 등이 서비스를 제공한다. CDMA2000은 미국 퀄컴이 개발한 2.5G 기술인 cdmaOne (IS-95)의 발전형으로, 미국, 대한민국, 홍콩, 이스라엘, 베네수엘라, 일본의 au 등에서 사용되었다. TD-SCDMA는 중국의 독자 표준 기술이다.

2. 4. 3.5세대 (3.5G) ~ 3.9세대 (3.9G)

3세대 이동 통신 기술을 더욱 발전시켜 데이터 통신 속도를 향상시킨 기술이다. HSDPA, HSUPA, HSPA+ 등이 이에 해당한다.

2. 5. 4세대 (4G)

LTE-Advanced 기술을 사용하여 고속 데이터 통신이 가능해졌다. LTE도 4세대로 분류된다.

2. 6. 5세대 (5G)

5세대 이동 통신(5G)은 초고속, 초저지연, 초연결을 특징으로 하는 차세대 이동 통신 기술이다.

2. 7. 6세대 (6G)

6세대 이동 통신(6G)은 5G를 넘어선 차세대 이동 통신 기술로, 현재 연구 개발이 진행 중이다.

3. 구성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영어)는 이동 통신을 구성하는 네트워크 중 하나로, 액세스 네트워크(Access Network영어)와 함께 이동 통신 시스템을 구성한다. 코어 망은 가입자 정보 관리, 유선 전화망 연결, 부가 서비스 제공 등의 핵심 기능을 수행한다.

코어 망은 전체 망을 총괄 관리하는 부분과 각 지역별 액세스 망과 연결되는 부분으로 나뉜다. 가입자의 번호와 현재 위치 등의 정보를 관리하고, 유선 전화망 서비스와의 연결을 지원하며,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위한 서버 기능을 제공한다.

액세스 네트워크는 가입자와 직접 연결되는 망으로 가입자의 번호 처리, 서비스의 연결 및 정보의 송수신과 같은 기능을 담당한다. 액세스 망의 주요한 거점은 기지국이다.

휴대전화는 여러 개의 기지국 기지국과 마이크로웨이브 안테나를 장착하여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이러한 기지국은 일반적으로 타워, 기둥, 또는 건물에 장착되며 인구 밀집 지역에 설치되어 유선 통신 네트워크 및 교환 시스템에 연결된다. 휴대전화에는 저전력 송수신기가 있어 음성 및 데이터를 가장 가까운 기지국(보통 8~13km 이내)으로 전송한다. 커버리지가 낮은 지역에서는 셀룰러 중계기를 사용할 수 있다. 셀룰러 중계기는 장거리 고이득 패러볼 안테나 또는 야기 안테나를 사용하여 정상 범위를 벗어난 기지국과 통신하고, 중계기를 통해 몇 미터 이내의 모든 휴대전화가 제대로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소형 단거리 로컬 안테나로 재전송한다.

휴대전화 또는 데이터 장치를 켜면 고유 식별자를 사용하여 이동전화 교환국 또는 교환기에 등록되며, 수신 전화가 있을 때 이동 교환기에서 알림을 받을 수 있다. 수화기는 주변 기지국에서 수신되는 가장 강한 신호를 지속적으로 수신하며, 기지국 간에 끊김 없이 전환할 수 있다. 사용자가 네트워크를 이동하면 통화를 중단하지 않고 장치가 기지국을 전환할 수 있도록 "핸드오프"가 수행된다.

기지국에는 휴대용 단말기와 교환기 간의 통신을 중계하는 상대적으로 저전력(종종 1~2와트) 무선 송신기가 있다. 교환기는 동일한 무선 서비스 제공업체의 다른 가입자 또는 다른 무선 통신 사업자의 네트워크를 포함한 공중전화망에 통화를 연결한다. 이러한 기지국 중 상당수는 특히 경치 좋은 지역에서 기존 환경과 조화를 이루도록 위장되어 있다.

수화기와 기지국 간의 대화는 디지털 오디오(1세대 아날로그 네트워크 제외)를 포함한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이다. 이를 달성하는 기술은 이동통신 사업자가 채택한 시스템에 따라 달라진다. 기술은 세대로 그룹화됩니다. 1979년 일본에서 시작된 1세대 시스템은 모두 아날로그이며 AMPS 및 NMT를 포함한다. 1991년 핀란드에서 시작된 2세대 시스템은 모두 디지털이며 GSM, CDMA 및 TDMA를 포함한다.

GSM 표준은 CEPT("Conférence Européenne des Postes et Telecommunications", 유럽 우정 및 통신 회의)에서 표현된 유럽의 이니셔티브이다. 프랑스-독일 R&D 협력은 기술적 타당성을 입증했으며, 1987년 13개 유럽 국가 간에 1991년까지 상업 서비스를 시작하기로 합의한 양해각서가 체결되었다. GSM(=2G) 표준의 첫 번째 버전은 6,000페이지였다. IEEE/RSE는 첫 번째 디지털 이동전화 표준에 대한 공헌으로 토마스 하우그와 필립 뒤푸이에게 2018년 제임스 클러크 맥스웰 메달을 수여했다. 2018년 GSM은 220개국 이상의 50억 명 이상의 사람들이 사용했다. GSM(2G)은 3G, 4G 및 5G로 발전했다. GSM의 표준화 기관은 1982년 CEPT의 틀 아래 CEPT 작업 그룹 GSM(Group Special Mobile)에서 시작되었다. 1988년 ETSI가 설립되었고 모든 CEPT 표준화 활동이 ETSI로 이전되었다. 작업 그룹 GSM은 기술 위원회 GSM이 되었다. 1991년 ETSI가 UMTS(3G)를 위임하면서 기술 위원회 SMG(Special Mobile Group)가 되었다.

셀룰러 기술의 특성상 많은 휴대전화가 '복제'에 취약하다. 예를 들어 도로 터널과 같이 휴대전화가 커버리지를 벗어날 때마다 신호가 재설정되면 휴대전화는 자신을 식별하고 다시 전송할 준비가 되었음을 알리는 '재연결' 신호를 가장 가까운 기지국으로 보냅니다. 적절한 장비를 사용하면 재연결 신호를 가로채고 포함된 데이터를 '빈' 휴대전화에 인코딩할 수 있다. 모든 면에서 '빈' 휴대전화는 실제 휴대전화의 정확한 복제품이며 '복제품'으로 걸린 모든 통화는 원래 계정에 청구된다. 이 문제는 1세대 아날로그 기술에서 널리 퍼졌지만, GSM과 같은 최신 디지털 표준은 보안을 크게 향상시켜 복제를 어렵게 만듭니다.

사용자 신체 근처에 송신기가 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잠재적 피해를 제한하기 위해 별도의 송신기, 차량 장착 안테나 및 수화기가 있는 최초의 고정/이동 셀룰러 휴대전화(일명 '자동차 전화' 및 '가방 전화')는 최대 3와트 유효 복사 전력으로 제한되었다. 사용자의 두개골에서 몇 인치 떨어진 곳에 송신 안테나가 있어야 하는 최신 '휴대용' 휴대전화는 최대 0.6와트 ERP의 송신 전력으로 제한됩니다. 잠재적인 생물학적 영향에 관계없이 최신 휴대용 휴대전화의 감소된 송신 범위는 자동차/가방 전화에 비해 시골 지역에서의 유용성을 제한하며, 휴대용 휴대전화는 송신 전력 부족을 보상하기 위해 기지국을 훨씬 더 가깝게 배치해야 한다.

3. 1. 코어 네트워크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영어)는 이동 통신을 구성하는 네트워크 중 하나로, 액세스 네트워크(Access Network영어)와 함께 이동 통신 시스템을 구성한다. 코어 망은 가입자 정보 관리, 유선 전화망 연결, 부가 서비스 제공 등의 핵심 기능을 수행한다.

코어 망은 전체 망을 총괄 관리하는 부분과 각 지역별 액세스 망과 연결되는 부분으로 나뉜다. 가입자의 번호와 현재 위치 등의 정보를 관리하고, 유선 전화망 서비스와의 연결을 지원하며,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위한 서버 기능을 제공한다.

3. 2. 액세스 네트워크

액세스 네트워크는 가입자와 직접 연결되는 망으로 가입자의 번호 처리, 서비스의 연결 및 정보의 송수신과 같은 기능을 담당한다. 액세스 망의 주요한 거점은 기지국이다.

코어 네트워크와 액세스 네트워크의 비교


4. 서비스 원리

휴대전화는 여러 개의 기지국과 마이크로웨이브 안테나를 장착하여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이러한 기지국은 일반적으로 타워, 기둥, 또는 건물에 장착되며 인구 밀집 지역에 설치되어 유선 통신 네트워크 및 교환 시스템에 연결된다. 휴대전화에는 저전력 송수신기가 있어 음성 및 데이터를 가장 가까운 기지국(보통 8~13km 이내)으로 전송한다. 커버리지가 낮은 지역에서는 셀룰러 중계기를 사용할 수 있다. 셀룰러 중계기는 장거리 고이득 패러볼 안테나 또는 야기 안테나를 사용하여 정상 범위를 벗어난 기지국과 통신하고, 중계기를 통해 몇 미터 이내의 모든 휴대전화가 제대로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소형 단거리 로컬 안테나로 재전송한다.

휴대전화 또는 데이터 장치를 켜면 고유 식별자를 사용하여 이동전화 교환국 또는 교환기에 등록되며, 수신 전화가 있을 때 이동 교환기에서 알림을 받을 수 있다. 수화기는 주변 기지국에서 수신되는 가장 강한 신호를 지속적으로 수신하며, 기지국 간에 끊김 없이 전환할 수 있다. 사용자가 네트워크를 이동하면 통화를 중단하지 않고 장치가 기지국을 전환할 수 있도록 "핸드오프"가 수행된다.

기지국에는 휴대용 단말기와 교환기 간의 통신을 중계하는 상대적으로 저전력(종종 1~2와트) 무선 송신기가 있다. 교환기는 동일한 무선 서비스 제공업체의 다른 가입자 또는 다른 무선 통신 사업자의 네트워크를 포함한 공중전화망에 통화를 연결한다.

수화기와 기지국 간의 대화는 디지털 오디오(1세대 아날로그 네트워크 제외)를 포함한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이다.

4. 1. 기지국의 구성

기지국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는 서비스 제공 지역을 포괄하는 기지국들을 설치한다. 하나의 기지국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범위를 셀이라 한다. 이 때문에 휴대 전화를 셀룰러 폰(Cellular Phone)이라 하기도 한다. 기지국들은 서로 인접하여 있어서 서비스 제공 지역 전체를 벌집처럼 덮어 사용자가 하나의 셀에서 다른 셀로 이동하더라도 지속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렇게 지속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을 핸드오프(핸드오버) 기술이라고 한다.

4. 2. 사용자의 위치

사용자의 단말기에는 각자 고유 번호가 부여되어 있으며, 가입자 개개인에게는 이동 통신 번호가 부여된다. 사용자의 단말기는 통화가 없더라도 지속적으로 기지국으로 단말기 고유 번호를 인식할 수 있는 신호를 보낸다. 이렇게 전송받은 단말기 정보는 코어 네트워크에 등록되어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한다.

4. 3. 이동 통신 간 통신

같은 이동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 간에 통신은 액세스 네트워크와 코어 네트워크를 통해 이루어진다. 사용자 ㄱ이 사용자 ㄴ에게 통화를 시도하는 경우를 예로 들면 다음과 같다.

  • 사용자 ㄱ이 휴대전화로 사용자 ㄴ의 전화번호를 누르고 통신 버튼을 누르면, 액세스 네트워크는 사용자 ㄱ의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여 코어 네트워크로 전송한다.
  • 코어 네트워크는 사용자 ㄴ의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단말기 고유번호를 검색하여 사용자 ㄴ의 상태를 파악한다.
  • 사용자 ㄴ의 단말기 전원이 꺼져 있거나 서비스 지역 내에 없을 경우, "단말기의 전원이 꺼져 있어 통화하실 수 없습니다. 음성을 남기시려면 ......"과 같은 메시지를 호출하여 사용자 ㄱ에게 알린다.
  • 사용자 ㄴ의 단말기가 서비스 지역 안에 정상적으로 있는 것을 확인하면, 코어 네트워크는 사용자 ㄴ가 있는 기지국으로 사용자 ㄱ의 호출을 송신한다.
  • 사용자 ㄴ가 있는 기지국에서는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사용자 ㄱ의 호출을 넘겨받아 이를 사용자 ㄴ의 단말기로 송신한다.
  • 사용자 ㄴ의 단말기 벨이 울린다.


위 과정에서 무선 통신은 사용자와 기지국 구간에서 일어나며, 나머지 구간은 광케이블을 이용한 유선 통신 구간이다.

4. 4. 유선 전화와의 통신

이동 통신과 유선 전화 간에 통신이 일어날 때에는 사용자의 서비스 요청이 코어 네트워크에 전달되면 코어 네트워크에서 시내 전화망으로 연결되고 시내 전화망에 의해 통화 요청이 처리된다.

5. 단말기

이동 통신 서비스의 사용자 단말기는 흔히 휴대 전화라고 불린다. 최초의 이동 통신인 아날로그 방식의 셀룰러 폰은 음성의 송수신이 주된 서비스였으나 최근에는 동영상, 문자, 인터넷 정보, 방송, 사진 촬영, 신용 결제 등 다양한 서비스가 결합된 단말기가 출시되고 있다.

6. 규격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에 따라 다음과 같은 서비스 규격이 있다.


  • FDMA: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의 약자이다. 가입자 수용에 제한이 있어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 GSM: "글로벌 모바일 서비스"의 약자이다. 접속방식은 TDMA, 즉 "시분할 다중 접속"을 사용한다.
  • CDMA: "코드 분할 다중 접속"의 약자이다.
  • W-CDMA: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접속"의 약자이므로, 일종의 3세대 이동 통신이라 부른다.
  • HSDPA와 LTE: 고속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위하여 W-CDMA가 진화된 형태이다. HSPA는 고속 패킷 전송을 지원하며, LTE는 CDMA 방식을 사용하는 대신, 광대역 주파수를 활용하기 위해 OFDM을 사용한다.
  • CDMA 2000: CDMA 규격을 진화시킨 3세대 이동 통신 방식의 하나이다.
  • HRPD와 UMB: CDMA 2000 계열로 각 WCDMA의 HSPA와 LTE의 대응 표준이다.


아래 목록은 이동 통신에 사용되는 기술들을 나열하려는 시도이며, 완전한 목록은 아니다.

0G (이동 무선 전화)

1세대 이동통신(아날로그 방식)

2세대 이동통신(최초의 디지털 방식):

  • 디지털 AMPS
  • CDMA 원
  • GSM
  • *GPRS
  • *EDGE(IMT-SC)
  • *향상된 EDGE

3세대 이동통신

  • UMTS
  • *W-CDMA (무선 인터페이스)
  • *TD-CDMA (무선 인터페이스)
  • *TD-SCDMA (무선 인터페이스)
  • **HSPA
  • **HSDPA
  • **HSPA+
  • CDMA2000
  • *OFDMA (무선 인터페이스)
  • **EV-DO

SVDO

4세대 이동통신

  • LTE (TD-LTE)
  • LTE 어드밴스드
  • LTE 어드밴스드 프로
  • WiMAX
  • WiMAX 어드밴스드 (WirelessMAN-Advanced)
  • 초고속 이동 통신 (상용화되지 않음)

5세대 이동통신

EV-DO부터 시작하여 다음과 같은 기술들을 사용하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6. 1. FDMA

FDMA는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의 약자이다. 가입자 수용에 제한이 있어 현재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6. 2. GSM

GSM은 "글로벌 모바일 서비스"의 약자이다. 접속방식은 TDMA, 즉 "시분할 다중 접속"을 사용한다. GSM은 2세대 이동통신의 최초 디지털 방식중 하나이다.

6. 3. CDMA

CDMA는 "코드 분할 다중 접속"의 약자로,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의 하나이다. CDMA 규격을 진화시킨 3세대 이동 통신 방식으로는 CDMA2000이 있다. HRPD와 UMB는 CDMA 2000 계열로, 각각 WCDMA의 HSPA와 LTE에 대응하는 표준이다.

2세대 이동통신 기술에는 CDMA 원이 있으며, 3세대 이동통신 기술에는 EV-DO가 있고, 이는 OFDMA 무선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며, SVDO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6. 4. W-CDMA

W-CDMA는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접속 방식으로, 3세대 이동 통신 규격 중 하나이다. HSDPA와 LTE는 고속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위하여 W-CDMA가 진화된 형태이다. HSPA는 고속 패킷 전송을 지원하며, LTE는 CDMA 방식을 사용하는 대신, 광대역 주파수를 활용하기 위해 OFDM을 사용한다.

6. 5. HSDPA, LTE

HSDPA와 LTE는 고속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위하여 W-CDMA가 진화된 형태이다. HSPA는 고속 패킷 전송을 지원하며, LTE는 CDMA 방식을 사용하는 대신, 광대역 주파수를 활용하기 위해 OFDM을 사용한다. CDMA 2000 계열로는 HRPD와 UMB가 있으며, 각각 WCDMA의 HSPA와 LTE에 대응하는 표준이다.

6. 6. CDMA2000

CDMA2000은 CDMA 규격을 진화시킨 3세대 이동 통신 방식의 하나이다. HRPD와 UMB는 CDMA 2000 계열로, 각각 WCDMA의 HSPA와 LTE에 대응하는 표준이다.

EV-DO부터는 MIMO, SDMA 및 빔포밍과 같은 기술을 사용하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6. 7. HRPD, UMB

CDMA2000 계열로, W-CDMA의 HSPA와 LTE에 대응하는 표준이다. EV-DO는 MIMO, SDMA, 빔포밍과 같은 기술을 사용하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7. 사업자

wikitext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이동 통신 사업자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 대한민국

: 대한민국에는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의 이동통신 사업자가 있다. 1.9GHz 대역에서는 CDMA2000 1x(PCS: KTF, LG텔레콤) 방식도 일부 사용되었다.

; 해외

: 3 (기업), 보다폰, 텔레포니카, 스마일 텔레콤, MTM 등 다국적 이동통신 사업자들이 여러 국가에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 중국: 중국이동통신(차이나 모바일), 차이나유니콤, 중국전신집단회사(차이나텔레콤)이 있다.

:* 미국: 버라이즌, AT&T, 스프린트, 도이체 텔레콤(T모바일), 크리켓 와이어리스, us 셀룰러 등이 있다.

:* 일본: 소프트뱅크 모바일, KDDI, NTT 도코모가 있다.

:* 사우디아라비아: 사우디텔레콤, 모바일리가 있다.

:* 노르웨이: 텔레노르가 있다.

:* 몽골: 모비콤, 유니텔 (통신사), 스카이텔이 있다.

:* 남아프리카 공화국: 보다콤이 있다.

:* 아랍에미리트: 에티살랏, DU가 있다.

:* 스페인: 텔레포니카가 있다.

:* 스위스: 스위스컴, 선라이즈가 있다.

:* 그리스: 코스모테가 있다.

:* 이집트: 오라스콤이 있다.

:* 필리핀: 스마트, 선 (통신사), 레드, 글로브가 있다.

:* 캄보디아: 스마트가 있다.

:* 네팔: 네팔텔레콤이 있다.

:* 오스트레일리아: 리베라(지역 사업자), 옵터스, 텔스트라가 있다.

:* 인도네시아: 엑셀콤, 텔콤, 텔콤셀, 인도삿이 있다.

:* 싱가포르: 싱가포르 텔레콤, 스타허브, M1이 있다.

:* 레바논: 터치가 있다.

:* 러시아: 메가폰 (기업), 요타 (이동통신)이 있다.

각 지역별 주파수 대역 이용 현황은 아래 표와 같다.

각 지역별 주파수 대역 이용 현황
주파수(GHz)일본유럽아시아오세아니아아프리카라틴 아메리카북미
0.2무선 호출
디지털 지역재난 방송
아날로그 코드리스 전화(자국)
0.3아날로그 코드리스 전화(모국)
JR재래선열차 무선(A·B타입)
T-GSM380
0.4아마추어 무선(430MHz 대역)
디지털공항 무선 전화
JR 재래선 열차 무선(C타입·승무원 무선)
T-GSM410
CDMA450
GSM450
NMT450
GSM480
CDMA450(일부)
0.5
0.6
0.7GSM710
GSM750
0.8PDC : NTT 도코모 (mova)
W-CDMA : NTT 도코모(FOMA 플러스 에어리어),소프트뱅크 모바일(플래티넘 밴드)
cdmaOne/CDMA2000 1x(EV-DO 포함) : KDDI (au)(CDMA 1X WIN)
제삼자 무선 : 전국 이동 무선 센터 (mcAccess e)
T-GSM810
CDMA2000 국제 로밍
GSM850
CDMA2000
GSM850
D-AMPS
AMPS
W-CDMA
0.9GSM900
NMT900
GSM-R(철도 무선)
T-GSM900
1.2아마추어 무선(1.2GHz 대역)
1.4W-CDMA : 소프트뱅크 모바일(ULTRA SPEED)
PDC : 소프트뱅크 모바일,NTT 도코모(mova 듀얼 밴드,간토·도카이시티폰,간사이시티오)
제삼자 무선 : 일본 이동 통신 시스템 협회 (NEXNET)
1.5
1.7W-CDMA,LTE(FDD :상행) : NTT 도코모 (FOMA),이모바일(EMOBILE G4,EMOBILE LTE),W-CDMA 사업자 추가 대역GSM1800 (DCS1800)(FDD :상행)WCDMA1721(FDD:상행)
1.8W-CDMA,LTE(FDD :하행) : NTT 도코모 (FOMA),이모바일(EMOBILE G4,EMOBILE LTE,W-CDMA 사업자 추가 대역
고도화 PHS(TDD : 1.8) : 윌컴 (W-OAM)
PHS
GSM1800 (DCS1800)(FDD :하행)
1.9PHS
W-CDMA,LTE(FDD :상행) : NTT 도코모 (FOMA,Xi),소프트뱅크 모바일 (SoftBank 3G,SoftBank 4G LTE)
CDMA2000 1x,LTE(FDD :상행) : KDDI(CDMA 1X WIN,au 4G LTE)
DECTPHS(일부)
CDMA2000 1x(PCS : KTF,LG텔레콤)
CDMA2000
GSM1900
D-AMPS
W-CDMA
2.0
할당 예정(TDD : 2.0) :
2.1
W-CDMA,LTE(FDD :하행) : NTT 도코모 (FOMA,Xi),소프트뱅크 모바일 (SoftBank 3G,SoftBank 4G LTE)
CDMA2000 1x,LTE(FDD :하행) : KDDI(CDMA 1X WIN,au 4G LTE)
WCDMA1721(FDD:하행)
2.4
아마추어 무선(2.4GHz 대역)
ISM 대역(전자레인지, 무선 네트워크, 디지털 코드리스 전화)
2.5/2.6
위성전화 와이드스타(위성 - 단말 간)
NTT 도코모
3.4~3.6
방송 전송용 시스템[65]
3.6~4.2전기 통신 업무용 고정 무선 시스템[65]
4.4~5.0전기 통신 업무용 고정 무선 시스템[65]
5.25~5.85기상 레이더[65]
13.25~15.4헬리콥터에서의 텔레비전 영상 전송 시스템[65]
59~66


7. 1. 한국

대한민국에는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의 이동통신 사업자가 있다. 1.9GHz 대역에서는 CDMA2000 1x(PCS: KTF, LG텔레콤) 방식도 일부 사용되었다.

7. 2. 해외

3 (기업), 보다폰, 텔레포니카, 스마일 텔레콤, MTM 등 다국적 이동통신 사업자들이 여러 국가에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각 지역별 주파수 대역 이용 현황은 아래 표와 같다.

각 지역별 주파수 대역 이용 현황
주파수(GHz)일본유럽아시아오세아니아아프리카라틴 아메리카북미
0.2무선 호출
디지털 지역재난 방송
아날로그 코드리스 전화(자국)
0.3아날로그 코드리스 전화(모국)
JR재래선열차 무선(A·B타입)
T-GSM380
0.4아마추어 무선(430MHz 대역)
디지털공항 무선 전화
JR 재래선 열차 무선(C타입·승무원 무선)
T-GSM410
CDMA450
GSM450
NMT450
GSM480
CDMA450(일부)
0.5
0.6
0.7GSM710
GSM750
0.8PDC : NTT 도코모 (mova)
W-CDMA : NTT 도코모(FOMA 플러스 에어리어),소프트뱅크 모바일(플래티넘 밴드)
cdmaOne/CDMA2000 1x(EV-DO 포함) : KDDI (au)(CDMA 1X WIN)
제삼자 무선 : 전국 이동 무선 센터 (mcAccess e)
T-GSM810
CDMA2000 국제 로밍
GSM850
CDMA2000
GSM850
D-AMPS
AMPS
W-CDMA
0.9GSM900
NMT900
GSM-R(철도 무선)
T-GSM900
1.2아마추어 무선(1.2GHz 대역)
1.4W-CDMA : 소프트뱅크 모바일(ULTRA SPEED)
PDC : 소프트뱅크 모바일,NTT 도코모(mova 듀얼 밴드,간토·도카이시티폰,간사이시티오)
제삼자 무선 : 일본 이동 통신 시스템 협회 (NEXNET)
1.5
1.7W-CDMA,LTE(FDD :상행) : NTT 도코모 (FOMA),이모바일(EMOBILE G4,EMOBILE LTE),W-CDMA 사업자 추가 대역GSM1800 (DCS1800)(FDD :상행)WCDMA1721(FDD:상행)
1.8W-CDMA,LTE(FDD :하행) : NTT 도코모 (FOMA),이모바일(EMOBILE G4,EMOBILE LTE,W-CDMA 사업자 추가 대역
고도화 PHS(TDD : 1.8) : 윌컴 (W-OAM)
PHS
GSM1800 (DCS1800)(FDD :하행)
1.9PHS
W-CDMA,LTE(FDD :상행) : NTT 도코모 (FOMA,Xi),소프트뱅크 모바일 (SoftBank 3G,SoftBank 4G LTE)
CDMA2000 1x,LTE(FDD :상행) : KDDI(CDMA 1X WIN,au 4G LTE)
DECTPHS(일부)
CDMA2000 1x(PCS : KTF,LG텔레콤)
CDMA2000
GSM1900
D-AMPS
W-CDMA
2.0
할당 예정(TDD : 2.0) :
2.1
W-CDMA,LTE(FDD :하행) : NTT 도코모 (FOMA,Xi),소프트뱅크 모바일 (SoftBank 3G,SoftBank 4G LTE)
CDMA2000 1x,LTE(FDD :하행) : KDDI(CDMA 1X WIN,au 4G LTE)
WCDMA1721(FDD:하행)
2.4
아마추어 무선(2.4GHz 대역)
ISM 대역(전자레인지, 무선 네트워크, 디지털 코드리스 전화)
2.5/2.6
위성전화 와이드스타(위성 - 단말 간)
NTT 도코모
3.4~3.6
방송 전송용 시스템[65]
3.6~4.2전기 통신 업무용 고정 무선 시스템[65]
4.4~5.0전기 통신 업무용 고정 무선 시스템[65]
5.25~5.85기상 레이더[65]
13.25~15.4헬리콥터에서의 텔레비전 영상 전송 시스템[65]
59~66


8. 과금 방식



서비스 과금 방식에는 발신자 또는 수신자만 요금을 부담하는 단방향 과금과, 양측이 요금을 분담하는 양방향 과금, 그리고 서비스 제공자가 요금을 부담하고 광고 등을 제공하는 무과금 방식이 있다.

휴대 전화의 음성 통화·회선 교환 데이터 통신의 경우, 세계적으로는 양방향 과금이 주류이다. 대한민국은 발신자 단방향 과금이다. PHS의 경우 세계적으로는 발신자 단방향 과금이며, 이것이 아시아 각국에 도입된 이유 중 하나로 여겨진다.

또한, 휴대 전화·PHS의 단문 메시징 서비스는 세계적으로 발신자 단방향 과금이 주류이다. 미국은 양방향 과금이다. 휴대 전화·PHS의 패킷 통신은 세계적으로 양방향 과금이다(※단, 패킷 통신에서는 통신 상대방이 무선기기가 아닌 경우(예: 웹 서버 등)도 있지만, 그 경우 "양방향 과금"이라고 할 수 없다).

8. 1. 발신자/수신자 부담

초기 이동통신 시대에는 이동통신 사업자들이 발신과 수신 통화 모두에 대해 사용 시간에 따라 요금을 부과했다. 이동전화 보급률이 높아짐에 따라 사업자 간 경쟁이 심화되면서 일부 사업자들은 특정 시장에서 수신 통화 요금을 받지 않기로 결정했다. 이를 발신자 부담 방식이라고 한다. 유럽 시장은 GSM 환경 전반에 걸쳐 발신자 부담 방식을 채택했고, 곧 다른 여러 GSM 시장에서도 이 모델을 모방하기 시작했다.[62]

홍콩, 싱가포르, 캐나다, 미국에서는 수신자가 분당 요금을 부과받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일부 사업자는 수신 통화 무제한 요금제를 제공하기 시작하고 있다. 이를 "수신자 부담" 방식이라고 한다. 수신자 부담 방식의 단점 중 하나는 원치 않는 전화를 받지 않기 위해 휴대전화를 꺼 두는 사용자가 많아져, 발신자 부담 국가의 전체 음성 통화량 및 수익이 수신자 부담 국가보다 높다는 점이다.[63] 사용자가 휴대전화를 꺼 두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부분의 수신자 부담 국가는 발신자 부담 방식으로 전환하거나, 사업자들이 불편함을 보상하기 위해 할인된 가격으로 많은 월간 통화 시간을 제공하는 등의 추가적인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있다.

사용자가 다른 국가에서 로밍할 경우, 자국에서 채택된 방식에 관계없이 수신 통화 모두에 대해 국제 로밍 요금이 적용된다.[64] 서비스 과금 방식에는 발신자 또는 수신자만 요금을 부담하는 단방향 과금과, 양측이 요금을 분담하는 양방향 과금, 그리고 서비스 제공자가 요금을 부담하고 광고 등을 제공하는 무과금 방식이 있다.

휴대 전화의 음성 통화·회선 교환 데이터 통신의 경우, 세계적으로는 양방향 과금이 주류이다. 대한민국은 발신자 단방향 과금이다. PHS의 경우 세계적으로는 발신자 단방향 과금이며, 이것이 아시아 각국에 도입된 이유 중 하나로 여겨진다.

단문 메시지 서비스는 세계적으로 발신자 단방향 과금이 주류이다. 미국은 양방향 과금이다. 휴대 전화·PHS의 패킷 통신은 세계적으로 양방향 과금이다

8. 2. 선불/후불 요금제

휴대전화 요금 지불 방식에는 크게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선불 요금제로, 통화 시간을 인터넷 계정이나 매장, 현금 자동입출금기(ATM)를 통해 구매하여 휴대전화에 충전하는 방식이다. 다른 하나는 후불 요금제로, 서비스 이용 후 일정 기간마다 요금을 청구서로 지불하는 방식이다. 최근에는 기본 패키지를 구매한 후, 사용자의 필요에 맞춰 부가 서비스와 기능을 추가하여 맞춤형 구독을 만드는 방식이 점점 일반화되고 있다.

선불 요금제(선불 또는 프리페이라고도 함)는 포르투갈과 이탈리아에서 동시에 개발되었으며, 현재 전 세계 휴대전화 가입자의 절반 이상이 선불 요금제를 이용하고 있다. 미국, 캐나다, 코스타리카, 일본, 이스라엘, 핀란드 등은 여전히 후불 요금제가 대부분을 차지하는 드문 국가들이다.

서비스 과금 방식에는 발신자 또는 수신자만 요금을 부담하는 단방향 과금과, 양측이 요금을 분담하는 양방향 과금, 그리고 서비스 제공자가 요금을 부담하고 광고 등을 제공하는 무과금 방식이 있다.

휴대 전화의 음성 통화·회선 교환 데이터 통신의 경우, 세계적으로는 양방향 과금이 주류이다. 대한민국은 발신자 단방향 과금이다. PHS의 경우 세계적으로는 발신자 단방향 과금이며, 이것이 아시아 각국에 도입된 이유 중 하나로 여겨진다.

또한, 휴대 전화·PHS의 단문 메시징 서비스는 세계적으로 발신자 단방향 과금이 주류이다. 미국은 양방향 과금이다. 휴대 전화·PHS의 패킷 통신은 세계적으로 양방향 과금이다(※단, 패킷 통신에서는 통신 상대방이 무선기기가 아닌 경우(예: 웹 서버 등)도 있지만, 그 경우 "양방향 과금"이라고 할 수 없다).

9. 사회적 영향

휴대전화 사용은 사회적으로 무례한 행동으로 간주될 수 있다. 장례식이나 결혼식, 화장실, 영화관, 극장 등에서 휴대전화가 울리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일부 서점, 도서관, 욕실, 영화관, 의원, 예배 장소에서는 다른 이용객들이 통화로 방해받지 않도록 휴대전화 사용을 금지하기도 한다. 몇몇 시설에서는 휴대전화 사용을 막기 위해 신호 차단 장비를 설치하지만, 미국을 포함한 많은 국가에서는 이러한 장비가 불법이다.[44]

미국의 많은 지하철 시스템을 갖춘 도시들은 승객들을 위해 터널 내 휴대전화 수신을 연구하거나 구현하고 있으며, 특히 장거리 서비스를 포함하는 열차는 과거의 지정된 금연칸과 마찬가지로 휴대전화 사용이 금지된 "조용한 칸"을 종종 제공한다. 미국과 유럽, 캐나다의 대부분의 학교에서는 수업 방해를 줄이기 위해 교실이나 학교 내에서 휴대전화 사용을 금지하고 있다.

핀란드의 전화 회사, 대중교통 운영업체 및 통신 당국으로 구성된 작업반은 대중교통 이용 시, 특히 휴대전화 사용 예절(휴대전화로 무엇에 대해 이야기해야 하고 어떻게 해야 하는지)을 상기시키는 캠페인을 시작했다. 특히 이 캠페인은 시끄러운 휴대전화 사용과 민감한 문제에 대한 통화에 영향을 미치고자 한다.[44]

9. 1. 긍정적 영향

이동 통신은 정보 접근성을 높이고, 의사소통을 용이하게 하며, 다양한 편의 기능을 제공하여 삶의 질을 향상시킨다.[41][42] 198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 휴대전화는 사업가 계층이 사용하는 고가의 물품에서 일반 대중을 위한 보편적인 개인 통신 도구로 변모했다. 2007년 말 기준으로 대부분의 국가에서 휴대전화는 유선전화보다 수적으로 많았으며, 유선전화는 13억 대인 반면 휴대전화 가입자는 33억 명에 달했다.[15]

특히 유럽에서는 많은 국가에서 인구보다 휴대전화가 더 많아지고 있다. 유럽 연합의 내부 통계 기관인 유로스타트의 수치에 따르면, 룩셈부르크는 인구 100명당 158개의 휴대전화 가입을 기록하며 가장 높은 휴대전화 보급률을 보였고, 리투아니아와 이탈리아가 그 뒤를 이었다.[17] 2007년 7월 홍콩에서는 보급률이 인구의 139.8%에 달했다.[18] 50개국 이상에서 휴대전화 가입률이 인구보다 높았으며, 2007년 서유럽 평균 보급률은 110%였다.[17] 2007년 기준으로 중국에는 5억 개가 넘는 활성 휴대전화 계정이 있지만, 전체 보급률은 여전히 50% 미만이다.[19] 2005년 세계 휴대전화 가입자 수는 21억 4천만 명으로 추산되었다.[20] 2006년 기준으로 세계 인구의 약 80%가 휴대전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었으며, 이 수치는 2010년까지 90%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21]

유선전화 인프라가 부족한 일부 개발도상국에서는 지난 10년 동안 휴대전화 사용이 4배로 증가했다.[22] 개발도상국에서의 휴대전화 기술 발전은 종종 도약 효과의 사례로 인용된다. 제3세계의 많은 오지 지역은 통신 인프라가 전무한 상태에서 위성 기반 통신 시스템을 갖추게 되었다. 현재 아프리카는 세계에서 가장 높은 휴대전화 가입자 증가율을 보이고 있으며,[23] 시장은 아시아 시장보다 거의 두 배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24] 가입자가 장기 계약에 구애받지 않는 선불 또는 '정액제' 서비스의 이용 가능성은 이러한 성장을 촉진하는 데 기여했다. 숫자 기준으로 인도는 매달 약 600만 대의 휴대전화가 추가되는 가장 큰 성장 시장이다.[25]

SMS 기능은 젊은 사용자들 사이에서 "문자 메시지"라는 하위 문화를 만들어냈다. 1993년 12월, 최초의 사람 간 SMS 문자 메시지가 핀란드에서 전송되었다. 현재 문자 메시지는 가장 널리 사용되는 데이터 서비스이며, 2006년 18억 명의 사용자가 800억 달러의 매출을 올렸다. 많은 휴대전화는 간편한 문자 메시지를 위한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한다. 일본, 한국, 중국, 인도에서는 휴대전화에 인터넷 서비스(NTT 도코모의 i-모드 등)가 제공되어 이메일을 통한 문자 메시지가 가능하다.

9. 2. 부정적 영향

이동 통신은 여러 부정적인 영향들을 야기한다. 휴대전화가 등장한 이후로, 정기적인 사용으로 인한 잠재적인 건강 영향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어 왔다.[33] 수많은 연구에서 휴대전화 사용과 건강 사이에 유의미한 관계가 없다는 보고가 있었지만, 휴대전화 사용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여전히 대중적 관심사이다. 10년 이상 휴대전화를 사용한 경우 청신경초종과 교아종 위험 증가에 대한 일관된 패턴을 보인 연구 결과가 있으며,[35] 종양은 대부분 휴대전화가 접촉하는 머리 부분에서 발견된다. 피츠버그대학교 암 연구소(University of Pittsburgh Cancer Institute) 소장 로널드 허버먼 박사는 휴대전화의 전자파에 대해 경고하며, 예방 차원에서 휴대전화 사용을 줄일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다.[36] 흡수되는 전자파의 양을 줄이기 위해 핸즈프리 장치를 사용하거나 문자 메시지를 이용할 수 있다.[37] 또한, 영국 피부과의사 협회는 휴대기기 외장에 흔히 사용되는 니켈 표면에 대한 알레르기 반응으로 인해 사람들의 귀나 뺨에 발진이 생길 수 있다고 경고했다.[38]

휴대전화 사용은 사회적 무례의 중요한 문제가 될 수 있다. 장례식, 결혼식, 화장실, 영화관 등 공공장소에서 휴대전화가 울리는 경우가 있으며, 일부 시설에서는 신호 차단 장비를 설치하기도 한다.[44]

운전 중 휴대전화 사용은 교통사고 위험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지적[45][46]되며, 일부 국가 및 지역에서는 법으로 규제하고 있다. 유타 대학교 데이비드 스트레이어 교수의 연구에 따르면, 운전 중 휴대전화를 사용하는 운전자는 혈중알코올농도 0.08%인 운전자보다 더 큰 장애를 보였다.[48] 핸즈프리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휴대용 전화를 사용하는 것보다 더 안전하지 않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46][47][48][49][50]

휴대전화 기지국 안테나는 저공 비행하는 항공기에 위험을 초래할 수 있으며, 경고등이 새를 유인하고 혼란스럽게 할 수 있다는 보고가 있다.[57] 일부 휴대전화 기지국 타워는 지평선에서 덜 눈에 띄게 하기 위해 위장되어 나무처럼 보이도록 만들어졌다.

미국에는 선반이나 매립지에 5억 개가 넘는 중고 휴대전화가 있으며,[61] 매년 1억 2,500만 개가 넘는 휴대전화가 버려질 것으로 추산된다.

10. 한국의 이동 통신

한국은 세계 최고 수준의 이동 통신 인프라를 갖추고 있으며, 5G 상용화에도 성공했다.

10. 1. 현황

한국은 세계 최고 수준의 이동 통신 인프라를 갖추고 있으며, 5G 상용화에도 성공했다.

10. 2. 과제

참조

[1] 잡지 iSurrender: Apple's new iPhone augurs the inevitable return of the Bell telephone monopoly. http://www.slate.com[...] 2008-06-10
[2] 웹사이트 Asset Bank | Image Details https://web.archive.[...] Imagelibrary.btplc.com 2011-07-11
[3] 웹사이트 Asset Bank | Image Details https://web.archive.[...] Imagelibrary.btplc.com 2011-07-11
[4] 특허 Patent No. 3,663,762 1972-05-16
[5] 목록 List of National Inventors Hall of Fame inductees
[6] 서적 MOSFET Technologies for Double-Pole Four-Throw Radio-Frequency Switch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3
[7] 웹사이트 30th Anniversary of First Wireless Cell Phone Call http://www.3g.co.uk/[...] 3g.co.uk 2011-07-11
[8] 뉴스 Reach out and touch someone--by land, sea or air https://archive.toda[...] Chicago Tribune 1983-12-22
[9] 웹사이트 Mobile Phone History - Invention of the Mobile Phone https://web.archive.[...] Ideafinder.com 2011-07-11
[10] 문서 Visited and evaluated by a group of (soon-to-be) British Telecoms staff (including writer) in September 1982.
[11] 웹사이트 Swedish National Museum of Science and Technology https://web.archive.[...] Tekniskamuseet.se 2009-07-29
[12] 웹사이트 Mobile and technology: The Basics of Mobile Phones https://web.archive.[...] Sharelie-download.com 2011-07-11
[13] 웹사이트 Facts about the Mobile https://web.archive.[...] 2011-07-11
[14] 웹사이트 Full Members ~ GSM World https://web.archive.[...] Gsmworld.com 2011-07-11
[15] 웹사이트 Global cellphone penetration reaches 50 pct https://www.reuters.[...]
[16] 웹사이트 Duke of Cambridge Presents Maxwell Medals to GSM Developers https://www.ieee-uka[...] IEEE United Kingdom and Ireland Section 2018-09-01
[17] 뉴스 Europeans hang up on fixed lines http://news.bbc.co.u[...] 2007-11-28
[18] 웹사이트 Office of the Telecommunications Authority in Hong Kong http://www.ofta.gov.[...]
[19] 웹사이트 500 mln cell phone accounts in China http://www.itfacts.b[...] ITFacts Mobile usage 2007-09-05
[20] 뉴스 Total mobile subscribers top 1.8 billion http://www.mobiletra[...]
[21] 웹사이트 Up to 90 percent of globe to have mobile coverage https://web.archive.[...] Textually.org 2006-10-17
[22] 뉴스 Cell phone use booming worldwide http://www.sunherald[...] 2007-09-15
[23] 뉴스 Mobile growth fastest in Africa http://news.bbc.co.u[...] 2005-03-09
[24] 뉴스 Phone revolution makes Africa upwardly mobile https://web.archive.[...] 2006-03-04
[25] 웹사이트 The Telecom Regulatory Authority of India https://web.archive.[...] 2009-02-08
[26] 웹사이트 The Telecom Regulatory Authority of India https://web.archive.[...] 2015-02-02
[27] 웹사이트 Mobile Network 2018 https://web.archive.[...] 2015-09-08
[28] 웹사이트 Supplementary memorandum submitted by Gregory Smith https://publications[...] Publications.parliament.uk 2011-07-11
[29] 논문 Guidelines on Cell Phone Forensics http://csrc.nist.gov[...] 2007-05-30
[30] 뉴스 Mobile phones key to Omagh probe http://news.bbc.co.u[...] 2000-10-10
[31] 웹사이트 Communication safety https://web.archive.[...] Nokia-n98.org 2011-07-11
[32] 웹사이트 New Japanese phones offer Earthquake early warning alerts https://web.archive.[...] 2008-01-08
[33] 웹사이트 Cellular Phones and Cancer https://web.archive.[...] 2007-03-02
[34] 뉴스 Text Messages Seen as Dangerously Distracting https://www.nytimes.[...] 2008-09-19
[35] 뉴스 Listening to Cell Phone Warnings: Researchers Working Overtime to Find Out If the Greatest Tool of Business is Causing Brian Cancer in Those Who Use it Constantly https://www.thestar.[...] Toronto Star 2008-05-31
[36] 뉴스 US Cancer Boss in Mobiles Warning http://news.bbc.co.u[...] 2008-07-24
[37] 웹사이트 Can Cell Phones Harm Our Health? http://center4resear[...] 2008-08-13
[38] 뉴스 Doctors warn of rash from mobile phone use https://www.reuters.[...] 2008-10-17
[39] 웹사이트 Mobile Phones for Kids Under 15: a Responsible Question https://web.archive.[...] Point.com 2006-04-13
[40] 뉴스 Rise in executions for mobile use https://web.archive.[...] 2007-06-15
[41] 논문 Reaching the Mobile Respondent: Determinants of High-Level Mobile Phone Use Among a High-Coverage Group http://homepage.univ[...]
[42] 웹사이트 Cell Phone Fashion Show http://www.pcworld.c[...] 2006-04-28
[43] 뉴스 Mastertones ring up profits https://www.usatoday[...] USA Today 2006-11-29
[44] 웹사이트 campaign to promote cell phone manners http://www.ficora.fi[...]
[45] 논문 Association Between Cellular-Telephone Calls And Motor Vehicle Collisions https://web.archive.[...] 1997-02-13
[46] 논문 Role of mobile phones in motor vehicle crashes resulting in hospital attendance: a case-crossover study
[47] 논문 Wireless telephones and the risk of road crashes 2003-09
[48] 웹사이트 Fatal Distraction? A Comparison Of The Cell-Phone Driver And The Drunk Driver https://web.archive.[...]
[49] 논문 Effects of Cellular Telephones on Driving Behaviour and Crash Risk: Results of Meta-Analysis https://web.archive.[...] CAA Foundation for Traffic Safety 2004-10-25
[50] 논문 Examining the Impact of Cell Phone Conversations on Driving Using Meta-Analytic Techniques https://web.archive.[...] Human Factors and Ergonomics Society 2006
[51] 웹사이트 Text Messaging Law Effective January 1, 2009 Cellular Phone Laws Effective July 1, 2008 https://web.archive.[...] State of California
[52] 비디오 videos about California cellular phone laws https://web.archive.[...]
[53] 논문 Regulating conversation during driving: a problem for mobile telephones? https://wayback.arch[...]
[54] 웹사이트 Europe closer to allowing in-flight cellphone use https://www.engadget[...] Engadget 2007-10-18
[55] 뉴스 FCC Says No To Cell Phones On Planes https://www.cbsnews.[...] CBS News 2007-04-03
[56] 논문 Mobile Phones and Service Stations: Rumour, Risk and Precaution http://dio.sagepub.c[...]
[57] 웹사이트 Communication Towers and the Fish and Wildlife Service https://web.archive.[...] U.S. Fish and Wildlife Service
[58] 뉴스 Are mobile phones wiping out our bees? https://web.archive.[...] 2007-04-15
[59] 뉴스 Wireless: Case of the disappearing bees creates a buzz about cellphones http://www.iht.com/a[...] 2007-04-22
[60] 뉴스 Researchers: Often-cited study doesn't relate to bee colony collapse http://www.fosters.c[...] Foster's Online 2007-04-22
[61] 잡지 Study: Cell Phone Waste Harmful https://www.wired.co[...] 2002-05-07
[62] 뉴스 Mainland mobile services to be cheaper South China Morning Post 2006-12-18
[63] 웹사이트 http://www.oecd.org/[...] OECD.org
[64] 웹사이트 REGULATORY AND MARKET ENVIRONMENT http://www.itu.int/e[...] ITU
[65] 웹사이트 https://www.soumu.g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