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순우 (고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순우는 고려 시대의 문신으로, 본관은 우계 이씨이며 좌복야 이양식의 아들이다. 1163년 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하여 충주 사록으로 관직을 시작했다. 의종, 명종 대에 걸쳐 관직을 역임하며 중서사인, 지제고, 국자감 제주, 동북면 병마사 등을 거쳤다. 1188년 팔관회의 폐단을 상소하여 명종의 허락을 받아 폐지시키기도 했다. 1196년 최충헌의 정변에 연루되어 처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려 후기의 문신 - 백문절
    백문절은 고려 시대의 문신이자 문장가로, 1238년 문과에 급제하여 국자좨주, 국학대사성 등을 역임했으며, 뛰어난 문장으로 원종의 복위를 돕고 과거를 주관하여 인재를 등용하는 등 공헌을 남겨 고려사에 열전이 실려 있다.
  • 고려 후기의 문신 - 백원항
    백원항은 고려 후기 문신으로 국자감시에 장원 급제 후 관직에 나아가 선군 설치 별감사, 전교령, 동지공거 등을 역임하며 활동했으며, 충선왕 환국 청원 상소, 행궁 여비 착복 등 공과가 공존하고 그의 시는 동문선에 전해진다.
  • 1196년 사망 - 조여우
    조여우는 송나라 효종, 광종, 영종 시대의 재상으로, 효종의 신임을 받아 광종 폐위 후 영종을 옹립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으나, 한탁주와의 대립으로 유배 중 사망 후 복권되었으며 주희를 옹호하여 송명리학 발전에 기여했다.
  • 1196년 사망 - 이의민
    이의민은 경주 출신의 고려 시대 무신으로, 무술 실력으로 의종의 총애를 받았으나, 정중부의 난 이후 권력을 잡고 횡포를 부리다 최충헌 형제에게 암살당했다.
  • 고려 중기의 문신 - 정습명
    정습명은 고려 인종 때 국자감 사업을 지내고 묘청의 난 토벌에 참여했으며 김부식 등과 함께 《삼국사기》 편찬에 참여한 문신으로, 의종 즉위 후 간언을 이어갔으나 왕의 미움을 사 자결했다.
  • 고려 중기의 문신 - 이인로
    무신정변 이후 등용된 고려의 문인 이인로는 임춘, 오세재 등과 함께 강좌칠현으로 불리며 시와 술을 즐겼고, 한국 최초의 시화집 중 하나인 《파한집》을 저술하여 한국 시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이순우 (고려) - [인물]에 관한 문서
인물 정보
이름이순우 (李純祐)
출생일?
출생지고려 강원도 강릉부
사망일1196년 음력 3월
사망지고려 개경부 인은관
국적고려
별명다른 이름은 이순우(李純佑), 초명은 청(請), 자는 발지(拔之), 호는 자미(紫薇)
학력1163년(고려 의종 17년) 10월 의종 때에 문과에 장원 급제
직업문신 겸 군인, 정치인, 시인
부모이양식(부), 박씨(모)
배우자미상
자녀이적 등
친척이선용(조부), 이승고(백부)
군인 정보
이름 (군인)이순우(李純祐)
생애? ~ 1196년 음력 3월
별명 (군인)초명은 청(請), 자(字)는 발지(拔之), 호는 자미(紫薇), 이명은 이순우(李純佑)
태어난 곳 (군인)고려 강원도 강릉
죽은 곳 (군인)조선 개경부 인은관
복무 (군인)고려
최종 계급 (군인)동북면병마사, 대장군, 상장군 겸 상서
지휘 (군인)고려 육군

2. 생애

우계 이씨인 이순우는 좌복야 이양식의 아들로, 강원도 강릉시에서 태어났다. 어릴 적부터 글재주가 뛰어났으며, 1163년 문과장원으로 급제하여[1] 충주시 사록으로 관직 생활을 시작했다.[2] 의종 치세에 문과 주시관을 거쳤다.

명종의 생모 공예태후가 유방암을 앓자, 공역승 겸 직한림원이었던 이순우가 기도를 지었는데, 그 문구에 감동한 명종의 총애를 받아[2] 1185년 중서성 사인 지제고에 임명되었다.[2] 이후 우정언, 지제고, 국자감 제주, 동계 (양계) 병마사, 간의대부, 한림학사, 은청 광록대부 겸 국자감 대사성, 추밀원사, 예부 상서, 대장군, 상장군 겸 상서, 태자빈객 지제고, 보문각 대제학을 역임하고, 금성군에 봉해졌다.

1188년 팔관회 때 궁중에서 약을 달이기 위해 백성들의 소에서 우유를 짜는 것에 대해, 불필요하며 소가 지쳐 백성들이 곤궁해지는 폐해를 호소하며 팔관회 폐지를 상소하였다.[3] 명종이 이를 받아들여 팔관회를 폐지하자[2] 백성들은 크게 기뻐했다.

1191년에 문과 주시관을 다시 맡았고,[2] 1196년 국자감 대사성[4]에 재임되었으나, 같은 해 최충헌이 정변을 일으켜 이의민 등을 살해하자, 손석 등이 최충헌을 제거하려는 모의에 가담했다가 인은관에 갇혀 살해되었다.[2][5]

이규보의 『동국이상국집』에는 이순우와 이규보가 시를 주고받은 기록이 있으나, 이순우가 이규보에게 지은 시는 전해지지 않는다.

2. 1. 출생과 가계

아버지는 중서사인 이양식이고 어머니는 박씨(朴氏)이다.[9][10] 박씨 부인의 본관과 친정아버지는 미상이다. 그의 모친 박씨는 오랫동안 아들이 없자 뜰에서 촛불을 켜고 하늘에 후사를 빌었는데, 어느 날 갑자기 어린아이가 촛대를 타고 내려오는 것을 보고, 받아서 가슴에 품는 꿈을 꾸었다. 그로부터 임신해 아들을 낳고는 이름을 이청(李請)이라 했는데, 하늘에 청을 올려 얻었다는 뜻이었다.[11][12]

이인로파한집 상권에는 李紫薇純祐出鎭關東云|이자미순우출진관동운중국어 ‘細柳營中新上將, 紫薇花下舊中書|세류영중신상장 자미화하구중서중국어'(자미(紫薇) 이순우(李純祐)가 관동(關東)에 출진했을 때 짓기를, '세류영(細柳營)의 새 상장(上將)은 자미화(紫薇花) 아래의 옛 중서(中書)로구나'라고 하였다)고 하여 그의 아호가 자미라고 기록되어 있다. 어려서부터 글을 잘 지었으며[9], 독서를 좋아하였다. 부인의 이름과 본관은 미상이다. 본관우계 이씨이다. 좌복야였던 이양식의 아들로 강원도 강릉시에서 태어났다.

2. 2. 관료 생활

1163년(고려 의종 17년) 9월 동지추밀원사(同知樞密院事) 김영윤(金永胤)이 지공거(知貢擧), 좌승선(左承宣) 김양(金諹)이 동지공거(同知貢擧)가 되어 진사(進士)시를 주관할 때 선발되었다.[13] 그해 10월 1일 동지추밀원사(同知樞密院事) 김영윤과 좌승선(左承宣) 김양(金諹)이 주관한 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하여[9][14][15][16], 충주사록(忠州司錄)으로 관직 생활을 시작했다.[9][10]

의종 연간에 주시관(主試官)으로 문과를 주관하여 채보문(蔡寶文) 등을 선발하였다.[17] 명종 초에 공역승(供驛丞)으로 옮기고 직한림원(直翰林院)을 겸했는데, 왕이 이순우에게, 당시 유창(乳瘡)을 앓던 공예태후(恭睿太后)를 위해 기도문을 짓게 했다.[18] 그 중 "종기는 모후의 젖에 났으나 아픔은 짐의 마음에 있다. (有瘡生母乳 痛在朕心)"라는 글귀에 왕이 감격하였다.

왕은 기도문 중의 한 구절을 보고 이순우가 자신의 마음을 앞서 헤아렸다며 감탄했고, 이때부터 왕에게 각별한 총애를 받아, 우정언(右正言)·지제고(知制誥)로 발탁되었다가[9], 1185년(명종 15) 7월 중서사인·지제고(中書舍人 知制誥)에 임명되었다.[19]

이후 다시 국자좨주(國子祭酒)[9], 동북면병마사, 간의대부(諫議大夫)·한림학사(翰林學士)로 승진하였다.[9] 최자의 보한집에 의하면 국자좨주로 동북면 병마사에 부임해 가다가 금강산에서 시 한수를 지었다 한다. 1188년(명종 18) 팔관회(八關會) 때 쓸 약을 달이기 위해 경기 지방의 암소를 동원해 수락(酥酪)을 만드는 일의 폐단을 지적하고 이를 폐지할 것을 청했는데, 왕이 이를 따르자 백성들이 크게 기뻐했다.[9][19]

외직으로 동북면병마사(東北面兵馬使)[20]를 역임하기도 했다. 이인로에 의하면 "의종이 즉위하였을 때 유희와 황빈연이 서로 이어 옥당에 입시하였다. 명종 때에는 이순우가 먼저 이름이 나고 재주는 없지만 그 뒤를 이었다"[21][22] 고 한다.

2. 3. 최충헌 정변과 죽음

1196년(명종 26) 음력 3월 평장사(平章事) 권절평(權節平)·손석(孫碩), 상장군 길인(吉仁) 등이 최충헌(崔忠獻)을 제거하려는 정변을 모의했다.[9] 이 모의에 연루되어 참지정사(參知政事) 이인성(李仁成), 상장군 강제(康濟)·문득려(文得呂), 좌승선(左承宣) 문적(文迪), 우승선(右承宣) 최광유(崔光裕) 등과 함께 인은관(仁恩館)에 갇혔다가 최충헌에게 살해되었다.[9][26]

3. 정치적 성향 및 평가

명종 때 이인로는 이순우가 이름은 먼저 났지만 재주는 없다고 평가했다.[21][22] 1188년(고려 명종 18년) 10월 이순우는 팔관회에서 전약을 만들기 위해 동경, 서경, 남경, 사기 백성의 농우에게서 젖을 너무 많이 짜내어 농우와 송아지가 심하게 손상된다며 팔관회 폐지를 건의했고, 왕이 이를 허락하여 백성들이 그에게 감복하였다.[23]

4. 작품 활동

이규보에 의하면 국자제주 재직 시 그가 부령 객사(扶寧客舍) 판상(板上)에 그가 지은 시가 걸려있었다[27] 하나 후에 실전되었다.

최자에 의하면 그가 제주(祭酒)로 있다가 동북면병마사(東北面兵馬使)가 되어 풍악산을 지나던 중 절구 한 수를 지어 읊었으나 최자의 외조부 김예경(金禮卿)이 그 시에 차운했다[7] 한다. 그가 풍악산에서 지었다는 시 역시 실전된다.

자미(紫薇: 백일홍)가 많이 피어 있는 중서성(中書省)에서 근무하던 이순우는 강원도 관동 지방에 나아가 시를 지었다.[28]

상장군 겸 상서로 재직 중일 때 기홍의 상서에서 술을 마시던 이규보에게 시를 지어주자, 이규보가 화답으로 답시를 지어준 것이 동국이상국집 2권에 전한다.[8] 그러나 이순우가 이규보에게 먼저 선보였다는 시는 전하지 않는다.

5. 가족 관계

관계이름비고
아버지이양식(李陽植)중서사인
어머니박씨(朴氏)본관과 친정아버지 미상[9][10]
부인미상이름과 본관 미상
아들이적(李迪)호는 옥계(玉溪), 우계현 호장 역임
손자이홍준(李洪俊)중윤 호장 역임
손자며느리삼척심씨(三陟沈氏)장사랑 양온령동정 심윤의의 딸
손자이공용(李公用)
후손이녹후(李祿厚)문하시중 옥천부원군 역임
후손이신송(李臣松)정확한 촌수관계 미상


6. 기타

배정지의 외조부이자, 그의 어머니 우계군부인 이씨(羽溪郡夫人 李氏)의 친정아버지 이신송(李臣松)은 내시 양온령동정(內侍 良醞令同正)을 지냈는데, 이순우와 이신송의 정확한 혈연관계는 알려져 있지 않다.

19세기에 울진장씨 족보를 편찬하는 과정에서 1415년에 작성된 장인숙(張仁淑) 호구입안(戶口立案)이 발견되었는데, 여기에도 이순우의 이름이 나타난다.[29] 장인숙의 호구입안에 따르면, 이순우는 장인숙의 처 옥당군부인 이씨(玉堂郡夫人李氏, 1347년 ~ ?)의 친정 6대조 할아버지이다.

1415년 울진군 관아에서 발급한 이 호구입안에는 그보다 100년 뒤의 인물인 이구가 이순우의 증손자로 기록되어 있다.

참조

[1] wikisource 『高麗史』巻十八 世家第十八 毅宗二
[2] 웹사이트 이순우(李純祐)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s://encykorea-ak[...] 2021-10-23
[3] 웹사이트 한국고전종합DB https://db.itkc.or.k[...] 2021-10-23
[4] 서적
[5] 서적
[6] 문서 파한집(破閑集) 권상(卷上) / 본조(本朝)의 학사(學士) 김황원(金黃元)이 군(郡)의 숙소에서 시를 짓기를
[7] 서적 보한집:우리 고전 다시 읽기 24 신원문화사
[8] 문서 동국이상국전집 제11권 / 고율시(古律詩), 기 상서의 수정(水亭)에서 술을 마실 적에 기생이 우연히 왔는데, 학사 이순우(李純祐)가 시를 지었으므로 나도 받들어 화답하다
[9] 문서 『고려사』권 99, 列傳 12 「이순우전」
[10] 서적 국역 고려명신전 성남 문화원
[11] 문서 『고려사』권 99, 列傳 12 「이순우전」
[12] 서적 국역 고려명신전 성남 문화원
[13] 문서 고려사 卷七十三, 志 卷第二十七. 選擧 一, "이순우 등이 급제하다"
[14] 문서 『고려사』 「선거지」
[15] 문서 『고려사 卷十八』 「世家」의종 17년 10월
[16] 문서 이 때 이미 이순우라는 개명을 쓰고 있었다.
[17] 문서 신증동국여지승람 제9권
[18] 서적 한국사대사전 고려출판사
[19] 문서 『고려사절요』
[20] 서적 보한집:우리 고전 다시 읽기 24 신원문화사
[21] 서적 파한집 신원문화사
[22] 서적 고려전기 한문학사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3] 웹사이트 한국고전번역원 http://db.itkc.or.kr[...]
[24] 서적 한국사 뒷 이야기 실천문학사
[25] 서적 서하집 민족문화추진회
[26] 문서 『고려사』 「최충헌전」
[27] 문서 동국이상국전집 제9권
[28] 서적 파한집 두산동아
[29] 문서 1415년 장인숙 호구입안(張仁淑 戶口立案), 한국학중앙연구원 소장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